KR101126307B1 - 채변기 - Google Patents

채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6307B1
KR101126307B1 KR1020090015187A KR20090015187A KR101126307B1 KR 101126307 B1 KR101126307 B1 KR 101126307B1 KR 1020090015187 A KR1020090015187 A KR 1020090015187A KR 20090015187 A KR20090015187 A KR 20090015187A KR 101126307 B1 KR101126307 B1 KR 1011263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
feces
inlet
stopper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51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96353A (ko
Inventor
박정규
Original Assignee
박정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정규 filed Critical 박정규
Priority to KR10200900151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6307B1/ko
Publication of KR201000963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63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63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63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038Devices for taking faeces samples; Faecal examination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44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Portable urination aids; Colostomy devi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a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Surg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Hemat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채변기에 관한 것으로서, 그 주요 구성은 일측 선단에 분변을 묻혀 채취하도록 되어 있는 봉형상의 채변봉; 입구측으로 삽입되는 상기 채변봉을 수납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채변봉에 묻어 있는 분변을 현탁하기 위해 내부에 수용되는 액체를 출구측의 적하노즐을 통해 외부로 배출하도록 되어 있는 통형상의 몸체; 상기 채변봉의 타측 선단에 결합되도록 안쪽 바닥면 중심에 소켓부가 돌출되어 있고, 상기 소켓부에 끼워져 있는 상기 채변봉이 삽입되는 상기 몸체의 입구를 착탈 가능하게 마감하도록 되어 있는 캡; 상기 몸체의 입구에 삽입 결합되어 상기 입구의 끝면과 상기 캡 사이의 틈새를 밀봉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채변봉의 외경과 동일한 내경을 갖도록 출구의 직경이 축소되어 축경부를 형성하도록 되어 있는 거름관; 및 상기 몸체의 출구부에 씌워져 상기 적하노즐을 마감하도록 되어 있으며, 안쪽 바닥면에 밀봉돌기와 동축상으로 환형의 탄지돌기가 돌출되어 있는 는 마개;로 이루어지며, 위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적하노즐과 마개 사이에 밀봉구간을 두어 마개에 의해 몸체를 중첩적으로 밀봉하게 되므로, 몸체 내의 액체나 시액이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채변, 채변봉, 마개, 탄지돌기, 분변

Description

채변기{Feces pick-up container}
본 발명은 채변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채취된 분변을 현탁하는 액체나 이 액체에 분변이 섞인 검진시액이 마개를 통해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중첩적으로 억제할 수 있도록 한 채변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채변기는 병원 등의 의료기관에서 각종 건강검진을 위해 피검사자의 분변을 채집하는 데 사용되는 것으로, 그 한 예가 특허출원 제10-1994-0702849호에 '수송채변용기'로 개시되어 있다.
이 수송채변용기는 도 1에 도면부호 101로 도시된 바와 같이, 채변봉(103), 몸체(105), 캡(107) 및 적하노즐(109)로 이루어지는 바, 여기에서 먼저 채변봉(103)은 캡(107)에 이어진 봉체로서 환형홈(111)이 가공된 선단 부분에 분변을 묻혀 채변을 한다.
또한, 상기 몸체(105)는 채변봉(103)의 선단에 묻어 있는 분변을 현탁하는 액체(L)가 내부에 수용되는 원통형의 용기로서, 캡(107)이 삽입되는 입구측 선단에 깔대기 모양으로 직경이 축소된 분리벽(113)이 돌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캡(107)은 몸체(105)의 입구를 마감하는 수단으로서, 채변봉(103)의 상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몸체(105)의 입구측 내주면에 가공된 암나사부(116)와 나사 결합되도록 채변봉(103)으로 이어진 부분에 수나사부(115)가 가공되어 있다.
끝으로, 상기 적하노즐(109)은 몸체(105)에 수용된 현탁 액체(L)에 분변이 섞여서 된 검진시액을 배출하는 부분으로, 노즐공(117) 위쪽에 검진시액을 여과하기 위한 필터(119)가 끼워져 있다.
그런데, 위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수송채변용기(101)는 적하부(109)의 노즐공(117)이 출구측에 형성된 격벽(121)에 의해 막혀 있으므로, 현탁 액체(L)가 수용된 용기본체(105)의 출구를 적하부(109)에 의해 마감하도록 되어 있는 바, 채변막대(103)의 선단에 묻은 분변이 현탁 액체(L)와 충분히 섞인 검진시액을 수송채변용기(101)로부터 빼내기 위해서는 바늘과 같은 길고 뾰족한 별도의 도구를 이용하여 격벽(121)을 파단해야 하기 때문에 사용이 매우 번거롭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별도로 도시하지 않았지만, 격벽(121)을 없애 노즐공(117)을 개방하고 적하부(109) 외곽에 마개를 씌울 수 있으나, 이 경우에는 마개의 내주면과 적하부(109) 외주면의 접촉 틈새를 통해 용기본체(105) 내의 현탁 액체(L)나 검진시액이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의 채변기가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몸체의 출구부와 이 출구부에 끼워지는 마개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의 안쪽에 밀봉구간을 중첩하여 형성함으로써 몸체 내에 수용된 현탁 액체나 검진시액이 외부로 누설되지 못하도록 하는 채변기의 밀봉성능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일측 선단에 분변을 묻혀 채취하도록 되어 있는 봉형상의 채변봉; 입구측으로 삽입되는 상기 채변봉을 수납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채변봉에 묻어 있는 분변을 현탁하기 위해 내부에 수용되는 액체를 출구측의 적하노즐을 통해 외부로 배출하도록 되어 있는 통형상의 몸체; 상기 채변봉의 타측 선단에 결합되도록 안쪽 바닥면 중심에 소켓부가 돌출되어 있고, 상기 소켓부에 끼워져 있는 상기 채변봉이 삽입되는 상기 몸체의 입구를 착탈 가능하게 마감하도록 되어 있는 캡; 상기 몸체의 입구에 삽입 결합되어 상기 입구의 끝면과 상기 캡 사이의 틈새를 밀봉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채변봉의 외경과 동일한 내경을 갖도록 출구의 직경이 축소되어 축경부를 형성하도록 되어 있는 거름관; 및 상기 몸체의 출구부에 씌워져 상기 적하노즐을 마감하도록 되어 있는 마개;로 이루어지며, 상기 마개는 안쪽 바닥면 중앙에 돌출형성된 밀봉돌기와 이격져서 상기 밀봉돌기와 동축상으로 환형의 탄지돌기가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탄지돌기는 상기 마개의 내주 벽면과 여유틈새를 두고 이격되어 상기 밀봉돌기에 정합되는 적하노즐의 외주면에 탄력적으로 접촉됨으로써 적하노즐과 함께 밀봉구간을 형성하도록 되어 있는 채변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캡은 상면에 표지판이 형성되어 채변된 분변에 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채변기에 의하면, 몸체의 출구부 외주면과 이 출구부에 겉에 결합되는 마개 내주면 사이의 결합틈새와, 출구부 선단의 적하노즐과 마개 내주면의 밀봉돌기 사이의 접촉틈새 중간에 탄지돌기를 형성하고 이 탄지돌기에 의해 적하노즐 외주면과의 사이에 밀봉구간을 추가로 형성하게 되므로, 마개에 의해 적하노즐을 마감하고 있을 때 몸체 내에 수용된 현탁 액체나 검진시액이 적하노즐을 통해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중첩하여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채변기를 첨부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채변기는 도 2 내지 도 4에 도면부호 1로 도시된 바와 같이, 채변봉(3), 몸체(5), 캡(7), 거름관(9) 및 마개(11)로 구성되는 바, 먼저 상기 채변봉(3)은 분변을 직접적으로 채취하는 수단으로서,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봉형상으로 제작되어 축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있으며, 일측 즉, 출구측 선단에 분변을 찍어 묻히도록 되어 있는 바, 분변을 잘 묻힐 수 있도록 외주면에 복수의 환형홈(47)이 가공되어 있으며, 환형홈(47) 반대쪽의 타측 즉, 입구측 선단에 캡(7)이 끼워지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몸체(5)는 채변봉(3)에 묻어 있는 분변을 현탁하기 위한 액체 즉, 현탁 액체를 내부 공간(S)에 수용하는 원통형의 용기수단으로서, 입구(23) 측으로 채변봉(3)이 삽입되어 수납되며, 출구측에는 내부 공간(S)에 수용된 현탁 액체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적하노즐(21)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적하노즐(21)과 인접한 선단 부위에는 마개(11)를 결합할 수 있도록 직경이 축소되어 있는 출구부(22)가 형성되어 있으며, 출구부(22)는 마개(11)와 나사결합 등의 다양한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외주면에 수나사부 등이 가공되어 있다. 또한, 몸체(5)의 입구(23) 끝부분에는 캡(7)을 결합하도록 직경이 축소된 입구부(24)가 형성되어 있는 바, 이 입구부(24)도 출구부(22)와 마찬가지로 캡(7)과 나사결합 등의 다양한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외주면에 수나사부 등이 가공되어 있다.
또한, 상기 캡(7)은 채변봉(3)이 삽입되는 몸체(5)의 입구(23)에 착탈식으로 결합되어 이 입구(23)를 마감하는 수단으로서, 내주 벽면에 몸체(5)의 입구부(24)와 나사결합 등의 다양한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예컨대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암나사부 등이 가공되어 있다. 캡(7)은 또한, 채변봉(3)의 입구측 선단에 착탈 가능하게 끼워져 결합되도록 되어 있는 바, 이들의 결합을 위해 다양한 수단이 채용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캡(7)의 안쪽 바닥면(29) 중심에 소켓부(27)가 돌출되어 채변봉(3)의 입구측 선단을 끼워 넣도록 되어 있다.
이때, 캡(7)은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상면에 표지판(45)을 형성하여 채변된 분변에 관한 채변자 이름이나 채변일자 등의 정보를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거름관(9)은 채변봉(3)의 출구측 선단에 묻어서 몸체(5) 내부로 들어오는 분변의 양을 적정하게 정량하는 수단으로서, 몸체(5)의 입구(23)에 삽입 결합되는 바, 몸체(5)의 입구(23)측 내주면에 밀착되는 몸체부(35), 채변봉(3)의 봉체(49) 외경과 동일한 내경을 갖도록 직경이 축소되어 출구측에 형성된 축경부(37), 그리고 몸체부(35)와 축경부(37)를 연결하는 경사부(39)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거름관(9)은 채변봉(3)의 외경과 동일한 내경을 갖는 축경부(37)에 의해 채변봉(3)의 환형홈(47) 이외의 곳에 과도하게 묻어 있는 분변을 걸러냄으로써 적정량의 분변이 축경부(37)를 통과해 몸체(5)의 내부 공간(S)에 수용된 현탁 액체로 투입되도록 한다. 또한, 거름관(9)은 몸체(5)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몸체부(35)에 의해 몸체(5)의 입구(23) 끝면과 캡(7) 사이의 틈새를 밀봉하게 된다.
또한, 상기 마개(11)는 몸체(5)의 출구부(22)에 착탈 가능하게 씌워져 적하노즐(21)을 마감하는 수단으로서, 출구부(22)와 나사결합 등의 다양한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예컨대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내주 벽면에 암나사가 가공되어 있다.
마개(11)는 또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몸체(5)의 출구부(22)에 결합된 상태에서 적하노즐(21)의 노즐공(26)을 밀봉하도록 안쪽 바닥면(53) 중앙에 밀봉돌기(51)가 돌출 형성되는 바, 이 밀봉돌기(51)는 예컨대 오목하게 제작된 적하노즐(21)의 선단면에 정합되도록 예컨대 반구 형태로 볼록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노즐공(26)에 삽입되도록 중앙 부분이 2단으로 돌출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본 발명의 마개(11)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쪽 바닥면(53)에 밀봉돌기(51)와 동축상으로 환형의 탄지돌기(55)가 돌출되어 있는데, 이 탄지돌기(55)는 마개(11)의 내주 벽면(57)과 여유틈새(g)를 두고 이격되어 밀봉돌기(51)에 정합되는 적하노즐(21)의 외주면에 탄력적으로 접촉됨으로써 적하노즐(21)과 함께 밀봉구간(59)을 형성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이 밀봉구간(59)을 통해 몸체(5)로부터 밀봉돌기(51)와 노즐공(26) 사이의 틈새로 누설된 액체를 마개(11)의 내주 벽면(57)과 출구부(22) 사이의 틈새로 접근하기 전에 선제적으로 밀봉하게 된다.
이제, 위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채변기(1)의 작용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채변기(1)는 도 6 내지 도 9에 도시된 과정을 통해 채변한 분변을 건강검진에 사용하게 되는데, 먼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병원 등 건강검진을 위해 채변을 요구하는 기관에서는 몸체(5)의 내부 공간(S)에 분변을 현탁하기 위한 액체(L)를 넣어 채변 피검사자에게 준다.
이에 따라, 피검사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7)을 잡고 돌려 몸체(5)에서 채변봉(3)을 빼낸 다음, 분변(D)에 채변봉(3) 선단 부분을 묻힌 후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채변봉(3)을 몸체(5) 안으로 다시 집어넣는다. 이때, 채변봉(3) 선단 외주면에 두껍게 묻어 있던 분변(D)은 채변봉(3)이 그 외경과 동일한 내경을 갖는 거름관(9)의 축경부(37)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걸러져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거름관(9) 내에 남게 되고, 따라서 채변봉(3)의 환형홈(47)에 남아 있는 적정량의 분변만이 축경부(37)를 통과해 현탁 액체(L)로 투입된다.
그리고 나서, 채변봉(3)과 함께 몸체(5)의 현탁 액체(L)로 투입된 분변은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검진에 사용될 검진시액(T)으로 충분히 섞이게 되며, 이와 같이 충분히 섞인 검진시액(T)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출구부(22)에서 마개(11)를 분리하고 적하노즐(21)을 통해 분변이 섞인 현탁 액체 즉, 검진시액(T)을 적하노즐(21)을 통해 적하시켜 검진에 사용하게 된다.
이와 같이 채취봉(3) 선단에 묻은 분변을 현탁하기 위한 액체(L)나 이 현탁 액체(L)에 분변이 충분히 현탁되어 섞인 후의 검진시액(T)을 도 10에 도시된 것처럼 몸체(5) 내에 수용하고 있는 채변기(1)는 적하노즐(21)의 노즐공(26)과 밀봉돌기(51) 사이의 틈새로 내부의 현탁 액체(L)나 검진시액(T)이 누설되더라도, 탄지돌기(55)가 적하노즐(21)의 외주면과의 사이에 밀봉구간(59)을 형성하고 있으므로, 몸체(5) 출구부(22)의 외주면과 마개(11) 내주 벽면 사이의 틈새로 누설되는 것을 사전에 다시 한 번 억제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채변기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채변기의 정단면도.
도 3은 도 2의 채변기 하단을 확대 도시한 부분 정단면도.
도 4는 도 2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채변기의 정단면도.
도 6은 도 2에 도시된 몸체 내에 현탁 액체가 수용된 상태로 도시된 채변기의 정단면도.
도 7은 분변을 채변하는 채변봉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분변이 묻은 채변봉을 몸체에 삽입하는 상태를 보인 도면.
도 9는 채변봉에 묻은 분변이 현탁 액체에 완전히 섞인 검진시액이 수용된 상태를 보인 도면.
도 10은 도 3에 도시된 몸체 내에 현탁 액체 또는 검진시액이 수용된 상태를 보인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채변기 3 : 채변봉
5 : 몸체 7 : 캡
9 : 거름관 11 : 마개
21 : 적하노즐 22 : 출구부
23 : 입구 24 : 입구부
25 : 출구 26 : 노즐공
27 : 소켓부 29, 53 : 안쪽 바닥면
35 : 몸체부 37 : 축경부
39 : 경사부 45 : 표지판
47 : 환형홈 51 : 밀봉돌기
55 : 탄지돌기 59 : 밀봉구간

Claims (2)

  1. 일측 선단에 분변을 묻혀 채취하도록 되어 있는 봉형상의 채변봉(3);
    입구측으로 삽입되는 상기 채변봉(3)을 수납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채변봉(3)에 묻어 있는 분변을 현탁하기 위해 내부에 수용되는 액체를 출구측의 적하노즐(21)을 통해 외부로 배출하도록 되어 있는 통형상의 몸체(5);
    상기 채변봉(3)의 타측 선단에 결합되도록 안쪽 바닥면(29) 중심에 소켓부(27)가 돌출되어 있고, 상기 소켓부(27)에 끼워져 있는 상기 채변봉(3)이 삽입되는 상기 몸체(5)의 입구(23)를 착탈 가능하게 마감하도록 되어 있는 캡(7);
    상기 몸체(5)의 입구(23)에 삽입 결합되어 상기 입구(23)의 끝면과 상기 캡(7) 사이의 틈새를 밀봉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채변봉(3)의 외경과 동일한 내경을 갖도록 출구(25)의 직경이 축소되어 축경부(37)를 형성하도록 되어 있는 거름관(9); 및
    상기 몸체(5)의 출구부(22)에 씌워져 상기 적하노즐(21)을 마감하도록 되어 있는 마개(11);로 이루어지며,
    상기 마개(11)는 안쪽 바닥면(53) 중앙에 돌출형성된 밀봉돌기(51)와 이격져서 상기 밀봉돌기(51)와 동축상으로 환형의 탄지돌기(55)가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탄지돌기(55)는 상기 마개(11)의 내주 벽면(57)과 여유틈새(g)를 두고 이격되어 상기 밀봉돌기(51)에 정합되는 적하노즐(21)의 외주면에 탄력적으로 접촉됨으로써 적하노즐(21)과 함께 밀봉구간(59)을 형성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변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캡(7)은 상면에 표지판(45)이 형성되어 채변된 분변에 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변기.
KR1020090015187A 2009-02-24 2009-02-24 채변기 KR1011263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5187A KR101126307B1 (ko) 2009-02-24 2009-02-24 채변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5187A KR101126307B1 (ko) 2009-02-24 2009-02-24 채변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6353A KR20100096353A (ko) 2010-09-02
KR101126307B1 true KR101126307B1 (ko) 2012-03-23

Family

ID=430038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5187A KR101126307B1 (ko) 2009-02-24 2009-02-24 채변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630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8232B1 (ko) 2011-03-25 2012-07-30 바디텍메드 주식회사 일체형 채취 및 분배기구
KR101995790B1 (ko) * 2017-12-27 2019-07-03 바디텍메드(주) 절취부가 구비된 일체형 채취 및 분배기구 및 채취 및 분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092279B (zh) * 2014-05-21 2019-09-24 艾博生物医药(杭州)有限公司 一种样本收集装置
CN108645644B (zh) * 2018-07-19 2024-02-23 中山康源基因技术科技有限公司 一种采集和留置粪便标本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78040B1 (ko) * 1992-12-18 2001-03-02 타다오 구로쯔미 수송채변용기
JP2007040984A (ja) * 2005-06-27 2007-02-15 Wakamoto Pharmaceut Co Ltd 採便容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78040B1 (ko) * 1992-12-18 2001-03-02 타다오 구로쯔미 수송채변용기
JP2007040984A (ja) * 2005-06-27 2007-02-15 Wakamoto Pharmaceut Co Ltd 採便容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8232B1 (ko) 2011-03-25 2012-07-30 바디텍메드 주식회사 일체형 채취 및 분배기구
KR101995790B1 (ko) * 2017-12-27 2019-07-03 바디텍메드(주) 절취부가 구비된 일체형 채취 및 분배기구 및 채취 및 분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6353A (ko) 2010-09-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03456C2 (ru) Способ, система и устройство сбора биологической жидкости
KR101126307B1 (ko) 채변기
ES2790881T3 (es) Aparato de recogida y análisis de muestras de líquido
US11992197B2 (en) Set of sampling parts
US9752967B2 (en) Sample extracting, diluting and discharging device
CN110074823A (zh) 唾液采检装置
KR20110006453U (ko) 검체 보존용기
JP6811255B2 (ja) 医療処置で使用するためのキャップおよびチューブセット
WO2010023460A1 (en) Adaptor for an endoscope
EP3117903B1 (en) Disposable sealed body fluid retention device
CN109342102A (zh) 一种粪便采样处理装置
CN205898484U (zh) 用于临床检验的粪便标本收集装置
JPS59502033A (ja) 医療用ストツプコツクバルブ装置
CN201535723U (zh) 一种新型的试样收集、储运和滴加的多功能装置
KR101821020B1 (ko) 일체형 타액채취기
KR100927628B1 (ko) 채변기
JP2010202237A (ja) 二剤混合容器
JP3867077B2 (ja) 便採取用容器
JP4953980B2 (ja) 採尿用容器
PL185997B1 (pl) Zestaw do podciśnieniowego pobierania i dozowaniapróbek płynnych, zwłaszcza krwi, do badań analitycznych
KR101823745B1 (ko) 타액의 수집과 보관 및 전처리가 가능한 타액 채취 모듈
JP4844703B1 (ja) 二剤混合容器
CN210871717U (zh) 一种内分泌科用尿液取样装置
CN206479361U (zh) 一种便样采集处理器
US6258057B1 (en) Disposable mouthwash pack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