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1020B1 - 일체형 타액채취기 - Google Patents

일체형 타액채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1020B1
KR101821020B1 KR1020150167718A KR20150167718A KR101821020B1 KR 101821020 B1 KR101821020 B1 KR 101821020B1 KR 1020150167718 A KR1020150167718 A KR 1020150167718A KR 20150167718 A KR20150167718 A KR 20150167718A KR 101821020 B1 KR101821020 B1 KR 1018210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mber
unit
saliva
membrane
integr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77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62633A (ko
Inventor
이기자
이영주
이진우
Original Assignee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1677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1020B1/ko
Publication of KR201700626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26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10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10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04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ody liqu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04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ody liquids
    • A61B10/0051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ody liquids for taking saliva or sputum samp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483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 G01N33/487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of liquid biological materia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ulmon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체형 타액채취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타액의 보관과 전처리를 수행할 수 있는 전처리 일체형의 타액 채취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멤브레인(120)이 형성되며 내부에 보존 용액(Citric Acid)(130)이 마련되어 타액이 수용되는 챔버(110); 상기 챔버(110)에 결합되어 상기 챔버(110)의 기밀을 유지하는 커버 유닛(200); 및 상기 챔버(110)에 연결되며 상기 멤브레인(120)이 파괴될 때 상기 챔버(110)의 타액을 전처리시키는 전처리 유닛(300); 을 포함하는 일체형 타액채취기를 제공하여, 현장에서 바로 펩신을 검출을 요하는 경우에 편리하게 타액채취와 전처리가 동시에 수행 가능한 강점이 있다.

Description

일체형 타액채취기{An integral saliva collecting device}
본 발명은 일체형 타액채취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타액의 보관과 전처리를 수행할 수 있는 전처리 일체형의 타액 채취 장치에 관한 것이다.
침은 구강 내부에서 분비되는 무색의 끈기가 있는 물질로서 녹말을 맥아당으로 바꾸거나 맥아당을 포도당으로 바꾸는 작용을 수행하는 소화액이여 타액이라고 칭하기도 한다.
한편, 펩신은 위(stomach)의 주세포(chied cell)에서 분비되는 소화효소(digestive enzyme)이다.
역류성 인후두염과 같은 경우에는 펩신이 타액에서 검출되며, 이는 위액이 역류하여 구강 내부에서 검출된다는 의미이다.
따라서, 펩신이 위액에서 타액에 함유되면 역류성 식도염 등을 의심해 볼 수 있다.
타액은 혈액, 소변, 뇌척수액과 같은 다른 체액처럼 몸의 병리와 생리적 상태를 반영해줄 충분한 양의 단백질, 핵산 등의 분자를 포함하고 있으며, 타액의 채취는 검사자와 피험자 모두에게 안전하며 쉽고 비침습적이어서 매우 활용도 높은 질병 진단기술로 인정될 수 있다.
따라서 역류성 인후두염과 같은 질병을 진단하기 위하여 비침습 검체인 타액을 활용한 진단 키트들의 개발이 되어 왔다.
그러나, 종래의 펩신을 검출하는 진단 키트는 피펫 테스트를 통해 이루어지고 있었다.
피펫 테스트는 타액의 수집과 타액 내에서 펩신 이외의 불순물 등을 제거하는 전처리 과정을 위한 별도의 기구와 용기가 제공되어야만 하는 번잡함이 있었다.
피펫 테스트를 이용한 종래의 타액 진단은 타액의 수집과 샘플 처리를 여러 단계에 걸쳐 수행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샘플링된 타액을 일정량 채취하고 다시 넣는 복잡한 단계를 거쳐야 할 뿐만 아니라 원심분리도 직접 수행하여야 하기 때문에 일반인이 사용하기에는 크게 불편할 뿐 아니라 펩신 측정의 정밀도 역시 크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특허문헌 1) US2014-0302617 A1
(특허문헌 2) US5393496 A
(특허문헌 3) US9113850 B2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타액의 수집과 전처리가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는 전처리 일체형의 타액 채취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멤브레인(120)이 형성되며 내부에 보존 용액(Citric Acid)(130)이 마련되어 타액이 수용되는 챔버(110); 상기 챔버(110)에 결합되어 상기 챔버(110)의 기밀을 유지하는 커버 유닛(200); 및 상기 챔버(110)에 연결되며 상기 멤브레인(120)이 파괴될 때 상기 챔버(110)의 타액을 전처리시키는 전처리 유닛(300); 을 포함하는 일체형 타액채취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챔버(110)에는 상기 멤브레인(120)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확관된 경사부(140)가 형성된 일체형 타액채취기를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전처리 유닛(300)은 내부에 폴리프로필렌 필터가 포함된 일체형 타액채취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처리 유닛(300)에 연결되어 상기 전처리된 타액을 제공받는 배출 유닛(400); 을 더 포함하는 일체형 타액채취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출 유닛(400)은 상기 전처리 유닛(300)에 유체 소통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3 연결부(410) 및 상기 전처리된 타액을 외부로 배출하는 제2 토출구(420)가 각각 형성된 하우징(430)과; 상기 제2 토출구(420)를 개폐하는 밸브 부재(440); 를 포함하는 일체형 타액채취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 유닛(200)은 중앙에 관통부가 형성된 채로 상기 경사부(140)의 단부에 밀착되는 손잡이부(210)와; 상기 손잡이부(210)에서 연장되어 상기 챔버(110)과 결합되는 밀폐 봉(220); 을 포함하되, 상기 밀폐 봉(220)은 상기 관통부의 내주면과 동일한 직경의 내주면을 갖고 내부가 비어있는 원형 봉으로 형성되면서 단부는 파괴 가능한 막으로 형성된 일체형 타액채취기일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밀폐 봉(220)의 단부에는 탈착 가능한 캡 유닛(260)이 결합되되, 상기 캡 유닛(260)이 상기 챔버(110)에 결합되는 일체형 타액채취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존 용액(Citric Acid)(130) 및 상기 멤브레인(120)은 상기 챔버(110)에서 탈착 가능한 교체용 챔버(111)에 마련된 일체형 타액채취기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챔버(110)과 상기 전처리 유닛(300) 사이를 유체 소통 시키는 연결 유닛(500);을 더 포함하는 일체형 타액채취기일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현장에서 바로 펩신을 검출을 요하는 경우에 편리하게 타액채취와 전처리가 동시에 수행 가능한 강점이 있다.
둘째, 현장에서 타액의 펩신을 바로 검출하지 않고 타액을 병원으로 가지고 오는 경우에는 커버유닛을 닫아 타액의 밀폐 보관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셋째, 보존용액과 멤브레인과 캡 유닛이 교체 가능하기 때문에 타액 채취 장치의 재사용이 가능하게 되는 이점이 있다.
넷째, 타액 기반의 진단 기술에 필수적인 샘플의 전처리 및 표준화 기구로서 다양한 질환의 진단에 활용될 수 있는 범용성의 강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전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 예에 따른 전체 분리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 예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험에 따른 폴리프로필렌필터(PP필터)를 사용한 경우와 다른 필터를 사용한 경우에 있어서 필터 통과 전후의 타액 부피량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사용자에 따라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험에 따른 폴리프로필렌필터(PP필터)를 사용한 경우와 다른 필터 종류를 사용한 경우에서 필터 통과 전후의 타액 부피량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험에 따른 폴리프로필렌필터(PP필터)를 사용한 경우와 다른 필터 종류를 사용한 경우에서 필터 통과 전후의 단백질 (BSA) 농도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 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기술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전체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 예에 따른 전체 분리 사시도이다.
챔버(110)는 멤브레인(120)이 형성되며 내부에 보존 용액(Citric Acid)(130)이 마련되어 타액이 수용된다.
커버 유닛(200)은 챔버(110)에 결합되어 챔버(110)의 기밀을 유지한다.
전처리 유닛(300)은 챔버(110)에 연결되며 멤브레인(120)이 파괴될 때 챔버(110)의 타액을 전처리시킨다.
전처리는 타액이 전처리 유닛(300) 내부에 마련된 폴리프로필렌 필터를 통과하면서 검사에 불필요한 이물질 등을 제거하는 과정으로 이해하면 된다.
보관 유닛(100)은 타액을 보관하는 것으로 챔버(110)를 갖는다.
챔버(110) 내부에는 보존 용액(Citric Acid)(130)이 마련되고 있어 타액을 보다 용이하게 보존 가능하다.
챔버(110)에는 멤브레인(120)이 형성되기 때문에 타액이 챔버(110)에서 외부로 누설되지 않는다.
한편, 멤브레인(120)은 파괴될 수 있는 구조이기 때문에 멤브레인(120)이 찢어질 때 챔버(110) 내부의 타액은 챔버(110)의 외부로 배출 가능하다.
챔버(110)에는 상기 멤브레인(120)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확관된 경사부(140)가 형성된다.
경사부(140)은 챔버(110)을 향할수록 단면의 직경이 작아지도록 깔대기 형상을 하고 있기 때문에 보다 용이하게 타액을 수집이 가능해진다.
다시 말해서 타액은 경사부(140)의 내주면을 따라 아래로 흘러내려 챔버(110) 내부로 용이하게 주입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경사부(140)과 챔버(110)이 만나는 지점에는 제2 나사산 형성부(150)가 형성된다.
제2 나사산 형성부(150)은 챔버(110) 내주면에서 나사산으로 형성될 수 있다.
커버 유닛(200)은 중앙에 관통부가 형성된 채로 경사부(140)의 단부에 밀착되는 손잡이부(210)를 포함한다.
밀폐 봉(220)은 손잡이부(210)에서 연장되어 챔버(110)와 결합된다.
밀폐 봉(220)은 관통부의 내주면과 동일한 직경의 내주면을 갖고 내부가 비어있는 원형 봉으로 형성되면서 단부가 파괴 가능한 막으로 형성된다.
밀폐 봉(220)의 단부에는 제1 나사산 형성부(250)가 형성되며, 제1 나사산 형성부(250)는 제2 나사산 형성부(150)과 나사결합 될 수 있다.
밀폐 봉(220)의 단부는 막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제1 나사산 형성부(250)이 챔버(110)의 제2 나사산 형성부(150)에 결합되면 챔버(110) 내부는 외부와 기밀이 유지되는 것이다.
한편, 밀폐 봉(220)의 단부의 막은 파괴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손잡이부(210)의 중앙에는 관통부가 형성되는데, 관통부에는 니들 유닛(600)이 삽입 가능하다.
니들 유닛(600)은 가이드 통공(230)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진 막대 부재일 수 있으며, 니들 유닛(600)의 단부에는 니들 팁(620)이 마련된다.
니들 유닛(600)은 니들 팁(620)이 밀폐 봉(220)의 단부의 막을 파괴하고 멤브레인(120) 까지도 파괴할 수 있도록 길게 연장된다.
또한, 니들 유닛(600)의 니들 팁(620) 부근 외주면에는 고무 패킹(610)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니들 유닛(600)이 가이드 통공(230)에 삽입될 때 챔버(110)를 향해 압력을 인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세한 작동 예는 후술한다.
한편, 챔버(110)은 멤브레인(120)이 형성된 단부 외주면에 제3 나사산 형성부(160)를 갖는다.
이하에서 서술하겠으나 제2 나사산 형성부(150)에는 커버 유닛(200)이 결합되며, 제3 나사산 형성부(160)에는 연결 유닛(500)이 결합될 수 있다.
제3 나사산 형성부(160)에는 연결 유닛(500)이 체결된다.
연결 유닛(500)에는 제3 나사산 형성부(160)에 나사 체결되도록 제4 나사산 형성부(560)가 형성되어 있으며, 타측에는 제1 토출구(510)가 돌설되어 있다.
연결 유닛(500)은 챔버(110)와 전처리 유닛(300) 사이를 유체 소통 시킨다.
즉, 연결 유닛(500)은 내부가 비어 있어 유체가 제1 토출구(510)를 통해 배출될 수 있는 구조이다.
다시 말해서, 연결 유닛(500)이 보관 유닛(100)에 결합된 채로 멤브레인(120)이 파괴되면 챔버(110) 내부에 저장되어 있는 타액이 연결 유닛(500) 내부를 지나 제1 토출구(510)를 통해 배출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1 토출구(510)에는 전처리 유닛(300)이 결합된다.
전처리 유닛(300)에는 필터 케이스(330) 내부에 폴리프로필렌 필터가 포함될 수 있다.
전처리 유닛(300)의 일면에는 제1 연결부(310)가 돌출되어 있으며, 타면에는 제2 연결부(320)가 돌설되어 있다.
제1 연결부(310)와 제2 연결부(320)는 필터 케이스(330)에서 서로 유체소통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제1 연결부(310)와 제2 연결부(320) 사이에 폴리프로필렌 필터가 마련되어 있는 것이다.
제1 연결부(310)는 제1 토출구(510)에 기밀을 유지한 채로 끼움 결합될 수 있으나 그 결합 방식은 유체의 누출이 없이 유체소통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라면 어느 것이든 무방하다 할 것이다.
배출 유닛(400)은 전처리 유닛(300)에 연결되어 전처리 유닛(300)으로부터 전처리된 타액을 제공받는다.
보다 상세하게는, 배출 유닛(400)은 전처리 유닛(300)에 유체 소통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3 연결부(410) 및 전처리된 타액을 외부로 배출하는 제2 토출구(420)가 각각 형성된다.
밸브 부재(440)는 제2 토출구(420)를 개폐하여, 하우징(430) 내부의 전처리된 타액을 외부로 배출하는 것이 제어 가능해진다.
한편, 하우징(430)의 내부 유로 구조는 “ㄱ” 자 형상으로 꺽여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 예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보관 유닛(100)으로부터 커버 유닛(200)을 분리한 뒤 경사부(140) 내로 침을 뱉는 행위 등을 통해 타액을 주입시킨다.
검사 필요량의 타액이 보관 유닛(100) 내부에 수용되면 커버 유닛(200)을 보관 유닛(100)에 결합시킨다.
이때, 커버 유닛(200)의 제1 나사산 형성부(250)가 보관 유닛(100)의 제2 나사산 형성부(150)에 나사 결합됨으로써 챔버(110) 내부에 수용된 타액은 검사에 사용될 때까지 외부로 누출됨이 없이 기밀이 유지된 채로 안전하게 보관된다.
타액의 검사를 수행할 때에는 연결 유닛(500)에 형성된 제4 나사산 형성부(560)를 제3 나사산 형성부(160)에 결합시킨다.
제1 토출구(510)에 전처리 유닛(300)의 제1 연결부(310)를 결합시킨다.
이때, 제2 연결부(320)에는 배출 유닛(400)의 제3 연결부(410)를 결합시킬 수 있다.
커버 유닛(200)에 형성된 가이드 통공(230)에 니들 유닛(600)을 삽입하고 챔버(110)를 향해 니들 유닛(600)을 가압하면, 니들 팁(620)이 밀폐 봉(220)의 단부를 뚫고 챔버(110)에 진입하게 되는데, 고무 패킹(610)은 가이드 통공(230)의 내벽 및 챔버(110)의 내벽에 밀착되면서 챔버(110) 내부에 압력을 인가하게 된다.
니들 유닛(600)이 계속하여 챔버(110) 내부로 가압되면 니들 팁(620)은 멤브레인(120)을 파괴하여 챔버(110) 내부에 보관되던 타액이 연결 유닛(500)을 지나 제1 토출구(510)를 거쳐 전처리 유닛(300)에 유입된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실시 예에 의하면 보관 유닛(100)으로부터 커버 유닛(200)을 분리한 뒤 경사부(140) 내로 침을 뱉는 행위 등을 통해 타액을 주입시키고, 커버 유닛(200)을 분리한 상태에서 니들 유닛(600)이 챔버(110) 내부에 곧바로 삽입될 수도 있다.
이 때, 챔버(110) 내부에 보관되던 타액이 연결 유닛(500)을 지나 제1 토출구(510)를 거쳐 전처리 유닛(300)에 유입된다.
타액은 전처리 유닛(300)을 통과하면서 검사 대상이 아닌 불순물 등이 걸러져 전처리된다.
전처리된 타액은 하우징(430)에 보내지며 밸브 부재(440)를 개방하면 제2 토출구(420)를 통하여 최종적으로 검사장치로 이동되어 타액 내 펩신 검사가 수행될 수 있게 된다.
다시 밸브 부재(440)를 잠그면 제2 토출구(420)가 외부와 차단되면서 전처리된 타액은 하우징(430) 내부에 보관될 수 있으며 필요 시 다시 밸브 부재(440)를 개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 예를 도 3을 참조하여 상술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 예의 분리 사시도이다.
커버 유닛(200)에는 캡 유닛(260)이 별도로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캡 유닛(260)의 단부는 얇은 막으로 파괴될 수 있게 되어 있다.
한편, 보관 유닛(100)에는 내부에 보존 용액(Citric Acid)(131)과 멤브레인(121)이 마련된 교체용 챔버(111)가 포함될 수 있다.
교체용 챔버(111)는 보관 유닛(100)의 단부를 이룰 수 있도록 보관 유닛(100)에서 제7 나사산 형성부(561)가 제6 나사산 형성부(161)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조이다.
교체용 챔버(111)에는 앞서 언급된 연결 유닛(500)이 연결되고, 연결 유닛(500)에는 전처리 유닛(300)이 결합되며, 전처리 유닛(300)에는 배출 유닛(400)이 순차적으로 결합될 수 있는 것이다.
제2실시 예의 작동원리는 전체적으로 앞서 언급된 제1실시 예와 크게 다르지 않다.
다만, 제2실시 예에서는 커버 유닛(200) 및 보관 유닛(100)을 세척하여 재사용 하기 위하여 별도의 탈착 가능한 캡 유닛(260) 및 교체용 챔버(111)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구조인 것이다.
보관 유닛(100)의 챔버(110) 내부는 세척이 용이하게 가능하다.
전처리에 사용되는 필터로서 폴리프로필렌필터(PP필터)를 사용하는 이유는 다른 필터 종류에 비하여 필터 통과 전 후의 타액 부피량 변화 및 단백질 흡착률이 가장 적기 때문이다.
왜냐하면 펩신 단백질을 정확하게 검출하기 위해서는 타액이 전처리 필터를 통과할 때 단백질이 전처리 필터에 흡착됨으로써 검사에 필요한 단백질의 손실을 최소화 할 필요가 강하게 요구되기 때문이다.
이는 도 4 내지 도 5에서 입증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험에 따른 폴리프로필렌필터(PP필터)를 사용한 경우와 다른 필터를 사용한 경우에 있어서 필터 통과 전후의 타액 부피량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도 4에 나타낸 것과 같이 폴리프로필렌필터(PP필터)를 사용한 경우에서 타액의 부피 변화량이 가장 적음을 알 수 있다.
도 5는 사용자에 따라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험에 따른 폴리프로필렌필터(PP필터)를 사용한 경우와 다른 필터 종류를 사용한 경우에서 필터 통과 전후의 타액 부피량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도 5에서도 알 수 있듯이 사용자에 무관하게 따른 폴리프로필렌필터(PP필터)를 사용한 경우에서 타액의 부피 변화량이 가장 적음을 알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험에 따른 폴리프로필렌필터(PP필터)를 사용한 경우와 다른 필터 종류를 사용한 경우에서 필터 통과 전후의 단백질 (BSA) 농도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에서 알 수 있듯이 폴리프로필렌필터(PP필터)를 사용한 경우에서 필터 통과에 따른 단백질의 농도 변화가 거의 없음을 알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은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보관 유닛
110 : 챔버
111 : 교체용 챔버
120, 121 : 멤브레인
130, 131 : 보존 용액(citric acid)
140 : 경사부
150 : 제2 나사산 형성부
160 : 제3 나사산 형성부
161 : 제6 나사산 형성부
200 : 커버 유닛
210 : 손잡이부
220 : 밀폐 봉
230 : 가이드 통공
250 : 제1 나사산 형성부
260 : 캡 유닛
300 : 전처리 유닛
310 : 제1 연결부
320 : 제2 연결부
330 : 필터 케이스
400 : 배출 유닛
410 : 제3 연결부
420 : 제2 토출구
430 : 하우징
440 : 밸브 부재
500 : 연결 유닛
510 : 제1 토출구
560 : 제4 나사산 형성부
561 : 제7 나사산 형성부
600 : 니들 유닛
610 : 고무 패킹
620 : 니들 팁

Claims (9)

  1. 하단부에 멤브레인(120)이 형성되며 내부에 보존 용액(Citric Acid)(130)이 마련되어 타액이 수용되는 챔버(110);
    상기 챔버(110)의 상부에 결합되며, 하단부에 막이 형성되어 상기 챔버(110)와 결합 시, 상기 챔버(110)의 기밀을 유지하는 커버 유닛(200);
    상기 커버 유닛(200)과 챔버(110)에 삽입되어 상기 막과 상기 멤브레인(120)을 모두 파괴하는 니들 팁(620)을 포함하는, 니들 유닛(600); 및
    상기 챔버(110)에 연결되며, 상기 니들 유닛(600)에 의해 상기 멤브레인(120)과 상기 막이 모두 파괴될 때 상기 챔버(110)에서 유출되는 타액을 전처리하는 필터를 포함하는, 전처리 유닛(300); 을 포함하며,
    상기 니들 유닛(600)에 의해 상기 막과 상기 멤브레인(120)을 파괴하기 전에 상기 챔버(110)에서 전처리 이전의 타액이 보관되고,
    상기 챔버(110)의 하부는 상기 멤브레인(120)에 의해 기밀이 유지되고, 상부는 상기 커버 유닛(200)의 막에 의해 기밀이 유지되는,
    일체형 타액채취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110)에는 상기 멤브레인(120)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확관된 경사부(140)가 형성된,
    일체형 타액채취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폴리프로필렌 필터를 포함하는,
    일체형 타액채취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처리 유닛(300)에 연결되어 상기 전처리된 타액을 제공받는 배출 유닛(400); 을 더 포함하는,
    일체형 타액채취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 유닛(400)은,
    상기 전처리 유닛(300)에 유체 소통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3 연결부(410) 및 상기 전처리된 타액을 외부로 배출하는 제2 토출구(420)가 각각 형성된 하우징(430)과;
    상기 제2 토출구(420)를 개폐하는 밸브 부재(440); 를 포함하는,
    일체형 타액채취기.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유닛(200)은,
    중앙에 관통부가 형성된 채로 상기 경사부(140)의 단부에 밀착되는 손잡이부(210)와;
    상기 손잡이부(210)에서 연장되어 상기 챔버(110)과 결합되는 밀폐 봉(220); 을 포함하되,
    상기 밀폐 봉(220)은,
    상기 관통부의 내주면과 동일한 직경의 내주면을 갖고 내부가 비어있는 원형 봉으로 형성되면서 하단부는 상기 막이 형성된,
    일체형 타액채취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 봉(220)의 단부에는 탈착 가능한 캡 유닛(260)이 결합되되,
    상기 캡 유닛(260)이 상기 챔버(110)에 결합되는
    일체형 타액채취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존 용액(Citric Acid)(130) 및 상기 멤브레인(120)은,
    상기 챔버(110)에서 탈착 가능한 교체용 챔버(111)에 마련된,
    일체형 타액채취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110)과 상기 전처리 유닛(300) 사이를 유체 소통 시키는 연결 유닛(500);을 더 포함하는,
    일체형 타액채취기.
KR1020150167718A 2015-11-27 2015-11-27 일체형 타액채취기 KR1018210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7718A KR101821020B1 (ko) 2015-11-27 2015-11-27 일체형 타액채취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7718A KR101821020B1 (ko) 2015-11-27 2015-11-27 일체형 타액채취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2633A KR20170062633A (ko) 2017-06-08
KR101821020B1 true KR101821020B1 (ko) 2018-01-24

Family

ID=592212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7718A KR101821020B1 (ko) 2015-11-27 2015-11-27 일체형 타액채취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102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0127A (ko) * 2018-11-22 2020-05-29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면역응집용 입자가 고정된 샘플 검사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8171B1 (ko) * 2017-10-16 2019-09-04 헨리기술 주식회사 타액을 이용한 유방암 감지 키트 및 이를 이용한 유방암 감지 방법
KR101876700B1 (ko) * 2018-01-02 2018-07-18 주식회사 세종바이오메드 셀 수집 장치
KR102515067B1 (ko) * 2020-12-31 2023-03-28 한경준 검체용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3303388U (zh) * 2013-06-14 2013-11-27 周冬梅 一种新型结核内科用唾液处理盒
CN203705198U (zh) * 2013-12-17 2014-07-09 深圳华大基因研究院 唾液样本采集处理装置及系统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3303388U (zh) * 2013-06-14 2013-11-27 周冬梅 一种新型结核内科用唾液处理盒
CN203705198U (zh) * 2013-12-17 2014-07-09 深圳华大基因研究院 唾液样本采集处理装置及系统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0127A (ko) * 2018-11-22 2020-05-29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면역응집용 입자가 고정된 샘플 검사장치
KR102643733B1 (ko) 2018-11-22 2024-03-05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면역응집용 입자가 고정된 샘플 검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2633A (ko) 2017-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1020B1 (ko) 일체형 타액채취기
JP5379093B2 (ja) 検体の採取方法および検査方法
US7858037B2 (en) Adaptor for sample vial
US9149258B2 (en) Collection device with double outputs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EP3043165B1 (en) Bodily fluid sampler, bodily fluid container and bodily fluid sampling device
US20160354595A1 (en) Aspirators
WO2007069731A1 (ja) 便採取容器
US20200121304A1 (en) Set of sampling parts
JP4492396B2 (ja) 検体採取液容器
CN208568355U (zh) 取样瓶
KR101823745B1 (ko) 타액의 수집과 보관 및 전처리가 가능한 타액 채취 모듈
CN102230851B (zh) 双滴头采集装置及其使用方法
CN204618173U (zh) 一种内窥镜磁性活检阀
JP4158094B2 (ja) 尿検体の採取・保存器具
CN206945315U (zh) 一种大便取检器
US20040025935A1 (en) Test tube insert
JP3708879B2 (ja) 採尿用容器
JP5802899B2 (ja) 採尿用容器
US10709369B2 (en) Needle assembly with flashback chamber for collecting blood or other liquid samples
CN207570819U (zh) 一种取样加样装置
JPH11295194A (ja) 採便容器
CN219608513U (zh) 用于25-羟基维生素d检测的采样及处理一体化装置
CN214584278U (zh) 一种尿液标本采集装置
CN211131165U (zh) 防外沾的泌尿男科尿液承载杯
JP4158095B2 (ja) 尿検体の採取・保存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