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5790B1 - 절취부가 구비된 일체형 채취 및 분배기구 및 채취 및 분배 방법 - Google Patents

절취부가 구비된 일체형 채취 및 분배기구 및 채취 및 분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5790B1
KR101995790B1 KR1020170180527A KR20170180527A KR101995790B1 KR 101995790 B1 KR101995790 B1 KR 101995790B1 KR 1020170180527 A KR1020170180527 A KR 1020170180527A KR 20170180527 A KR20170180527 A KR 20170180527A KR 101995790 B1 KR101995790 B1 KR 1019957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collecting
sample
cut
coll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805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기봉
차민석
박상현
유석찬
김도원
목락선
Original Assignee
바디텍메드(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디텍메드(주) filed Critical 바디텍메드(주)
Priority to KR10201701805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57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57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57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2Instruments for taking cell samples or for biops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3/00Containers or dishes for laboratory use, e.g. laboratory glassware; Droppers
    • B01L3/50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 B01L3/508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rigid containers not provided for above
    • B01L3/5082Test tubes per se
    • B01L3/50825Closing or opening means, corks, bu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3/00Containers or dishes for laboratory use, e.g. laboratory glassware; Droppers
    • B01L3/56Labware specially adapted for transferring fluids
    • B01L3/565Sea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58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using diffusion or migration of antigen or antibod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4Closures and closing means
    • B01L2300/041Connecting closures to device or container
    • B01L2300/044Connecting closures to device or container pierceable, e.g. films, memb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6Auxiliary integrated devices, integrated components
    • B01L2300/0672Integrated piercing to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8Geometry, shape and general structure
    • B01L2300/0832Geometry, shape and general structure cylindrical, tube shap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8Geometry, shape and general structure
    • B01L2300/0848Specific forms of parts of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400/00Moving or stopping fluids
    • B01L2400/04Moving fluids with specific forces or mechanical means
    • B01L2400/0403Moving fluids with specific forces or mechanical means specific forces
    • B01L2400/0406Moving fluids with specific forces or mechanical means specific forces capillary forces

Abstract

본 발명은 일체형 채취 및 분배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시료의 채취, 채취된 시료와 시약과의 반응, 및 반응물의 분배가 하나의 장치로 가능한 일체형 채취 및 분배기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절취부가 구비된 일체형 채취 및 분배기구 및 채취 및 분배 방법 {INTEGRATED SAMPLING AND DISPENSING DEVICE WITH SEVERING MEANS AND METHOD OF SAMPLING AND DISPENSING}
본 발명은 일체형 채취 및 분배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시료의 채취, 채취된 시료와 시약과의 반응, 및 반응물의 분배가 하나의 장치로 가능한 일체형 채취 및 분배기구에 관한 것이다.
특정 질환, 일반적 건강상태, 또는 감염 등과 관련된 생물학적 지표 측정을 위한 다양한 화학 또는 생화학적 검사법은 일반적으로 여러 가지의 시약 및 기구를 이용하는 다단계의 화학적 반응과 물리적 조작을 통해 수행된다. 예를 들어, 분변 또는 점액에 포함된 잠혈, 특정 화학물질, 또는 단백질과 같은 생화학 물질을 검출하는 경우, 시료를 채취하고, 채취된 시료를 일정한 용기에 넣어 1종 이상의 시약과 반응시킨 후, 검사/판독 기기에 적용하기 전에 용기로부터 반응된 시료를 분배해야 하는 여러 단계의 물리적 조작을 필요로 한다.
종래 기구는 시료를 채취하여 용기 본체에 넣고 시약과 반응시킨 후, 반응된 시료를 분배하기 위해, 정확한 정량이 가능하지 않은 시료 채취 방식을 사용하거나 분배에 별도의 구조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질적인 면과 방법적 면에서 조작이 불편한 것은 물론 용기의 제조단가가 상승하여 검사비용의 증대를 가져오는 단점이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른 기구는, 하측은 폐쇄되고 상측은 개구되어 수용공간이 형성된 용기 본체와, 상기 용기 본체의 개방된 단부를 마감하는 마감캡으로 구성된다. 상기 마감캡은 시료의 채취를 위한 채취봉을 구비하고 채취봉의 반대 방향에 토출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채취봉에는 채취홈이 형성되어 있고, 토출구는 별도의 캡에 의해 개폐된다.
이러한 종래기술의 기구에 따르면, 상기 별도의 캡이 장착된 상기 마감캡의 채취봉을 고형의 시료에 담가 채취하고, 시료가 채취된 상기 마감캡을 용기 본체와 결합하여 고형 시료와 상기 용기 본체에 수용된 시약이 서로 반응하게 한다. 이후, 검사/판독을 위해서는 상기 별도의 캡을 제거한 후 용기 본체를 거꾸로 들어 마감캡에 형성된 토출구를 통해 반응물을 분배하게 된다.
따라서, 시료 채취, 시료와 시약 간의 반응 및 분배를 위해 복잡한 과정을 거치게 되어 조작이 불편한 문제가 있었다. 뿐만 아니라, 분배를 위해 별도의 분배 수단을 마련해야 하므로 제조 원가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 제1168232호
본원은 전술한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정량의 시료를 채취/사용할 수 있고 시료와 시약 간의 반응을 간편이 수행하면서 시료와 시약이 반응한 반응물을 간편히 검사/판독기에 분배할 수 있는 일체형 채취 및 분배기구를 제공하고자 한다.
한 양태에서 본원에 따른 일체형 채취 및 분배기구는, 시료가 채취되는 콜렉터부; 및 상기 콜렉터부와 연결될 수 있게 구성되며 상기 콜렉터부에서 채취된 시료를 전달받는 튜브부; 를 포함하며, 상기 콜렉터부는, 연질로 구성되며 수용공간을 갖는 콜렉터 용기, 및 상기 콜렉터 용기의 하부에 결합되는 채취부를 포함하며, 상기 채취부는,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콜렉터 용기의 내측으로 수용되는 리드부, 하부에 구비되며 시료가 채취되는 채취 팁, 및 상기 리드부와 채취 팁 내부를 상하로 관통하며 상단이 밀폐된 유동로를 가지며, 상기 리드부는 외력에 의해서 절단될 수 있는 제1 절단부를 가져서 상기 제1 절단부가 절단되면 상기 유동로가 상방향으로 오픈되게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1 절단부에는 절단홈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콜렉터 용기는 투명 또는 반투명한 재질로 형성된다.
한편, 상기 콜렉터 용기는, 하방향으로 오픈된 수용공간을 갖는 용기 바디, 및 상기 용기 바디의 하부에 마련되는 결합 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 단부는, 하단에 형성되며 상기 수용공간이 하방향으로 오픈되도록 하는 개구부, 상기 개구부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튜브부의 상단이 고정되도록 하는 하부 결합부, 및 상기 하부 결합부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채취부가 고정되도록 하는 상부 결합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하부 결합부는, 상기 상부 결합부보다 큰 내경을 갖는다.
그리고, 상기 상부 결합부는 내경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 끼움 돌부를 갖고, 상기 채취부는 외경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2 끼움 돌부를 갖는다.
한편, 상기 하부 결합부는, 적어도 일 부분의 내경이 상기 튜브부의 상단의 외경과 같다.
또한, 상기 튜브부는, 상하로 관통된 중공을 갖고 상단이 상기 콜렉터 용기의 하부에 연결되는 튜브 바디, 및 상기 튜브 바디의 하단에 결합되는 튜브 캡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튜브부의 중공의 상단에는 상기 채취부를 수용할 수 있도록, 내부에 관통하는 제2 중공이 형성된 채취부 결합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튜브 캡은, 하방향으로 돌출되는 드롭 팁을 갖고, 상기 드롭 팁에는 상하로 연장되되 하단이 밀폐된 토출공이 형성되며, 상기 드롭 팁은 외력에 의해서 절단될 수 있는 제2 절단부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제2 절단부에는 절단홈이 형성된다.
또 다른 양태에서 본원은 신체에서 외부로 분리된 생물학적 시료를 모세관 현상을 이용하여 채취하는 단계로, 상기 채취에 의해 상기 시료는 소정의 관의 제1 말단에 구비되며 모세관 현상을 유발할 수 있는 제1 관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관에서 상기 채취에 사용되지 않는 제2 말단을 포함하는 상기 관의 일부는 반응 용액을 포함하는 제1 튜브 내에 위치하며, 상기 시료 채취 후에, 상기 제1 튜브를 구부려서 상기 제2 말단을 절단하여 상기 관을 상기 제1 튜브와 연통시키는 단계: 상기 제1 튜브를 눌러서 상기 제1 튜브에 포함된 반응 용액이, 상기 채취된 시료를 포함하는 상기 제1 관을 따라 이동하도록 하여, 이동 중에 상기 채취된 시료와 혼합되고, 상기 혼합물은 제2 튜브로 수집하는 단계; 및 상기 수집된 혼합물을 상기 제2 튜브에 구비된 제2 관을 통해 분석 장치에 로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시료의 채취, 반응 및 로딩을 연속적으로 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채취 및 분배기구에 따르면, 시료의 채취, 채취된 시료와 시약과의 반응, 및 반응물의 분배/로딩이 하나의 장치로 연속적으로 가능하여 반응의 정확성은 물론 편의성이 향상되고 제조원가가 절감될 수 있다.
도 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채취 및 분배기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의 (a)는 도 1의 콜렉터부의 콜렉터 용기를 도시한 도면이고, (b)는 콜렉터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콜렉터부의 채취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채취부의 단면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채취 및 분배기구의 단면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채취 및 분배기구의 사용방법을 단계별로 나타낸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채취 및 분배기구(A)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의 (a)는 도 1의 콜렉터부(1)의 콜렉터 용기(100)를 도시한 도면이고 (b)는 콜렉터 용기(100)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도 1의 콜렉터부(1)의 채취부(200)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1의 채취부(200)의 단면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5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채취 및 분배기구(A)의 단면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채취 및 분배기구(A)는, 샘플이 채취되는 콜렉터부(1); 및 상기 콜렉터부(1)와 연결될 수 있게 구성되며 상기 콜렉터부(1)에서 채취된 샘플을 전달받는 튜브부(2); 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콜렉터부(1)는, 연질로 구성되는 콜렉터 용기(100), 및 상기 콜렉터 용기(100)의 하부에 결합되는 채취부(2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콜렉터 용기(100)는, 수용공간(112)을 갖되, 하측은 개방되고 상측은 폐쇄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콜렉터 용기(100)는 하방향으로 오픈된 수용공간(112)을 갖는 용기 바디(110), 및 상기 용기 바디(110)의 하부에 마련되는 결합 단부(1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수용공간(112) 내에는 시료와 반응하는 시약이 상기 콜렉터 용기(100)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시약은 고형 또는 액상의 형태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수용공간(112)의 내부에는 액상 형태의 시약이 포함되며, 이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1 절단부(214)의 절단에 의해 형성된 유동로(206)를 통해 튜브바디 (300) 내로 유입된다.
이를 위해 상기 콜렉터 용기(100)는 내부의 구성이 보일 정도의 투명 또는 반투명한 연질의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구현예서는 연질로 구성되며, 손가락으로 눌러 압력을 가하여, 콜렉터 용기(100)의 수용공간(112) 내의 용액이 튜브 바디(300)내로 토출 또는 유입을 용이하게 한다.
상기 결합 단부(120)는, 하단의 개구부(122)와, 상기 개구부(122) 상부의 하부 결합부(124) 및 상부 결합부(126)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결합 단부(120)의 외면에는 사용자가 파지하기 용이하도록 하는 소정의 돌부가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개구부(122)는 결합 단부(120)의 하단에 형성되며 상기 수용공간(112)이 하방향으로 오픈되도록 한다.
하부 결합부(124)는 상기 개구부(122)의 상부에 구비되며 소정의 내경을 갖는 부분이다. 하부 결합부(124)는 튜브부(2)의 상단이 끼워져 고정되도록 적절한 내경을 가질 수 있다.
상부 결합부(126)는 상기 하부 결합부(124)의 상부에 구비되며 소정의 내경을 갖는 부분이다. 상부 결합부(126)는 상기 채취부(200)가 끼워져 고정되도록 적절한 내경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상부 결합부(126)의 내경은 하부 결합부(124)의 내경보다 작게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결합부(126)는 빗면을 가져서 상부로 갈수록 내경이 작아지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부 결합부(126)의 내면에는 채취부(200)가 끼워질 수 있도록 내경 방향으로 돌출된 소정의 제1 끼움 돌부(128)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 끼움 돌부(128)는 내경 방향으로 돌출되며 복수 개 마련되고 서로 둘레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갖고 이격될 수 있다.
아울러, 상부 결합부(126)와 하부 결합부(124) 사이에는 내경 돌부(130)가 마련될 수 있다. 내경 돌부(130)는 상기 제1 끼움 돌부(128)의 아래에 제1 끼움 돌부(128)와 상하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갖고 위치하며, 내경 방향으로 돌출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채취부(200)는, 상부의 리드부(202), 하부의 채취 팁(204), 및 상기 리드부(202)와 채취 팁(204) 내부를 상하로 관통하며 상단이 밀폐된 유동로(206)를 가질 수 있다. 리드부(202)와 채취 팁(204)은 서로 분리, 결합될 수 있다.
리드부(202)는 채취부(200)가 상기 콜렉터 용기(100)에 결합되었을 때, 상기 콜렉터 용기(100)의 내측으로 수용될 수 있는 부분이다. 리드부(202)는 리드 바디(210), 및 상기 리드 바디(210)의 상부에 구비되는 리드봉(212)을 가질 수 있다. 리드 바디(210)의 내부에는 상하로 형성된 상부 유동로(206a)가 형성되어 있다. 상부 유동로(206a)의 하단은 후술하는 제1 결합부(216)와 연통하며, 상부 유동로(206a)의 상단은 리드봉(212)에 의해서 밀폐되어 있다.
리드봉(212)은 외력에 의해서 절단될 수 있는 제1 절단부(214)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절단부(214)가 절단되면 상기 리드부(202)의 상부 유동로(206a)가 상방향으로 오픈될 수 있다.
일 예에 의하면, 상기 제1 절단부(214)는 상기 리드봉(212)의 하단부, 즉, 리드봉(212)과 리드 바디(210)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 절단부(214)는 다른 부분에 비해 작은 두께를 가져서 쉽게 파단될 수 있는 부분일 수 있다.
일 예에 의하면, 상기 제1 절단부(214)에는 상기 상부 유동로(206a)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전단응력이 집중되도록 절단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절단홈의 위치는 제1 절단부(214)의 길이를 따라 가변적이며 바람직하게는 리드봉(212)의 하단에 위치하여 제1 절단부(214)를 파단 후 용기 바디(110) 내와 연통하여, 용기 바디(110) 내의 용액이 유동로(206)를 통해 토출 가능한 위치여야 한다. 상기 절단 홈은 리드봉(212)의 외주면을 따라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절단홈은 'V' 자형 단면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절단홈의 단면형상을 'V'자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전단 응력이 집중될 수 있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경가능하다.
리드 바디(210)의 하부에는 채취 팁(204)의 상단이 투입되어 끼워질 수 있도록 하는 제1 결합부(216)가 형성되어 있다. 제1 결합부(216)는 예컨대 상부 유동로(206a)의 하부분으로서, 다른 부분에 비해서 넓은 단면적을 갖는 부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리드부(202)는 상기 콜렉터 용기(100)의 상기 상부 결합부(126)에 끼워질 수 있도록 외경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2 끼움 돌부(218)를 가질 수 있다. 제2 끼움 돌부(218)는 복수 개 마련되되 둘레 방향으로 서로 소정 거리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배열될 수 있다.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콜렉터 용기(100)의 상부 결합부(126)가 상방향으로 갈수록 내경이 좁아지는 형태로 구성됨에 따라서, 상기 제2 끼움 돌부(218)의 형상도 상기 상부 결합부(126)의 형상에 대응하여 상방향으로 폭이 좁아지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채취부(200)가 콜렉터 용기(100)의 결합 단부(120)에 투입되면 상기 제2 끼움 돌부(218)가 상기 콜렉터 용기(100)의 상부 결합부(126)에 끼워질 수 있다. 이때, 제2 끼움 돌부(218)는 상기 상부 결합부(126)에 구비된 제1 끼움 돌부(128) 사이에 각각 위치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2 끼움 돌부(218)의 하단에는 리드부(202)의 둘레를 따라서 외경 방향으로 확장된 밀폐 단부(220)가 구비되며, 상기 밀폐 단부(220)는 상기 제1 끼움 돌부(126)와 내경 돌부(130) 사이에 위치하여 끼워질 수 있다. 따라서, 시약 및 시료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채취 팁(204)은 리드부(202)에 끼워져서 시료를 채취할 수 있는 부재이다. 채취 팁(204)은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는 하부 유동로(206b)를 갖는다.
채취 팁(204)은 상부에 상기 리드부(202)의 제1 결합부(216) 내에 투입되어 끼워지는 제2 결합부(230)를 갖는다. 따라서, 채취 팁(204)의 제2 결합부(230)가 상기 리드부(202)의 제1 결합부(216) 내에 투입되어 끼워지면 상부 유동로(206a)와 하부 유동로(206b)가 서로 연통되어 하나의 유동로(206)를 형성할 수 있다.
채취 팁(204)의 하부에는 하방향으로 돌출되는 채취봉(232)이 구비된다. 채취봉(232)은 시료의 채취에 적절한 구조를 가질 수 있고, 액상 시료의 채취를 모세관 현상을 통해 채취할 수 있는 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관은 유동로와 연통된다. 아울러, 채취봉(232)의 상단에는 액상 시료가 모세관 현상에 의해서 상기 관 내로 유입되어 채취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소정의 벤트 홀(23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튜브부(2)는, 튜브 바디(300), 및 튜브 캡(4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튜브 바디(300)는, 상하로 관통된 중공(310)을 갖는 관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튜브 바디(300)의 상단은 콜렉터 용기(100)의 하부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튜브 바디(300)의 상기 중공(310) 내에 상기 채취 팁(204)의 적어도 일 부분이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중공(310)의 상단에는 상기 채취 팁(204)을 수용할 수 있는 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일 구현예에서 상기 중공의 상단에 형성된 구조는 그 내부에 채취봉 (232)의 외경에 대응하는 관통하는 관 (또는 제2 중공)(320) 및 제2 결합부의 하단에 대응하는 구조인 채취부 결합부 (330)가 형성되어, 콜렉터부(1) 결합시에, 상기 제2 결합부의 하단 및 상기 채취봉 (232)이 튜브 바디 (300)에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튜브 바디(300)가 상기 콜렉터 용기(100)의 하부에 연결되어 고정되도록, 상기 튜브 바디(300)의 상단의 외경은 상기 콜렉터 용기(100)의 고정 단부의 하부 결합부(124)의 내경과 대응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튜브 바디(300)의 상단이 상기 하부 결합부(124) 내에 끼워져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튜브 캡(400)은, 상기 튜브 바디(300)의 하단에 끼워져 고정될 수 있다. 튜브 캡(400)의 하부에는 하방향으로 돌출되는 드롭 팁(41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드롭 팁(410)에는 상하로 연장되되 상단이 개방되고 하단이 밀폐된 토출공(41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드롭 팁(410)은 외력에 의해서 절단될 수 있는 제2 절단부(41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절단부(414)에는 상기 토출공(412)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전단응력이 집중되도록 절단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절단홈의 위치는 제2 절단부(414)의 길이를 따라 가변적이며 제2 절단부(414)를 파단 후 튜브 바디(300) 내의 반응물이 토출공(412)을 통해 분배 가능한 위치여야 한다. 상기 절단홈은 토출공(412)이 형성된 드롭 팁(410)의 외주면을 따라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절단홈은 'V' 자형 단면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절단홈의 단면형상을 'V'자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전단 응력이 집중될 수 있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경가능하다.
도 6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채취 및 분배기구(A)의 사용방법을 단계별로 나타낸 예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채취 및 분배기의 시료의 채취와 분배를 도 6을 참조하여 간단하게 설명한다.
먼저, (a)와 같이 콜렉터 용기(100)와 채취부(200)를 결합시켜서 콜렉터부(1)를 만들거나 또는 콜렉터 용기 (100)와 채취부(200)는 이미 결합된 상태의 콜렉터부(1)로 제공된다, 이어서 콜렉터부(1)의 채취 팁(204)을 액상 또는 반고형의 시료와 접촉하여 시료를 채취한다. 시료란 변, 객담, 침, 콧물과 같은 점액성 시료, 혈액, 혈청과 같은 액상 시료, 또는 분변과 같은 반고형의 시료를 포함하는 것이나, 이로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콜렉터 용기(100)에는 시료와의 반응에 필요한 액상의 완충액 또는 시약이 포함될 수 있다. 액상 시료는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라서 채취부(200)의 채취 팁(204)에는 액체가 모세관 현상에 의해 유입될 수 있는 관이 형성될 수 있다. 채취되는 시료의 양은 한정이 없으며, 예를 들면 약 5 ul 내외가 될 수 있다.
다음으로, (b)와 같이 시료가 채취된 상기 콜렉터부(1)를 튜브부(2)와 결합한다. 이때, 튜브부(2)는 튜브 바디(300)와 튜브 캡(400)이 서로 결합되어 있는 상태이다.
콜렉터부(1)와 튜브부(2)를 결합시킬 때, 튜브부(2)의 튜브 바디(300)의 상단은 상기 콜렉터 용기(100)의 결합 단부(120)의 하부 결합부(124)에 투입되어 끼워진다. 동시에, 콜렉터부(1)의 채취부(200)의 채취 팁(204)의 적어도 일 부분은 상기 튜브 바디(300)의 중공(310) 내에 투입된다. 따라서, 튜브 바디(300)의 상부는 콜렉터 용기(100)의 하부 결합부(124)와 채취부(200)의 채취 팁(204)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또한, 이때 튜브부(2)의 상단은 상기 채취부(200)의 밀폐 단부(220) 하부에 접할 수 있다.
이어서, (c)와 같이 사용자는 연질의 콜렉터 용기(100)를 눌러주어 콜렉터 용기(100) 내의 리드봉(212)을 파지한 상태로 휘어주면 리드봉(212)이 파단된다. 본원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해서, 리드봉(212)에 제1 절단부(214)가 형성되어 있을 경우, 전단 응력은 상기 절단홈에 집중되어 상기 리드봉(212)이 더욱 용이하게 파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유동로(206)는 상기 콜렉터 용기(100)의 수용 공간과 연통된다. 따라서, 콜렉터 용기(100) 내의 시약이 유동로(206)를 통해 토출되어 시료와 혼합된 상태로 튜브 바디(300) 내로 토출될 수 있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상기 콜렉터 용기(100) 내의 시약이 남아 있지 않도록 상기 콜렉터 용기(100)를 눌러 짜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시료와 콜렉터 용기 내의 시약이 서로 잘 섞이도록 하기 위해서, 본원에 따른 일체형 채취 및 분배기를 위 아래 방향으로 수회 흔들어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튜브 바디(300)에는 반응에 필요한 시약이 건조 (500) 또는 액상 상태로 수용될 수 있으며, 상기 건조 상태 시약 (500)의 경우 상기 유동로(206)를 통해 토출된 시료와 시약의 혼합물에 용해되어 반응에 사용된다. 액상 시약의 경우 상기 혼합물과 혼합된다. 예를 들어 상기 콜렉터 용기(100) 내에는 완충액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고, 상기 튜브 바디(300) 내에는 반응에 필요한 활성성분의 시약이 건조된 상태로 포함되어 있어, 완충액과 혼합된 시료와 접촉시 반응이 일어나게 된다.
이어서, (d)와 같이 튜브 캡(400)의 드롭 팁(410)을 부러뜨린다. 이어서 (e)와 같이, 토출공(412)을 통해 상기 용액을 토출시킨다. 토출된 용액은 분석용 카트리지 예를 들면 측방이동 분석용 카트리지의 샘플 웰(sample well)(W)에 투입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채취 및 분배기구(A)에 따르면, 시료의 채취, 채취된 시료와 시약과의 반응, 및 반응물의 분배가 하나의 장치로 가능하여 사용상 편의성이 향상되고 제조원가가 절감될 수 있다.
다른 양태에서 본원은 시료의 채취, 반응 및 로딩을 연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방법을 개시한다. 본원에 따른 상기 방법은 상술한 본원의 장치를 이용하여 수행된다.
일 구현예에서 본원에 따른 방법은 예를 들면 상술한 바와 같은 신체에서 외부로 분리된 생물학적 시료를 모세관 현상을 이용하여 채취하는 단계로, 상기 채취에 의해 상기 시료는 소정의 관의 제1 말단에 구비되며 모세관 현상을 유발할 수 있는 제1 관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관의 상기 채취에 사용되지 않는 제2 말단을 포함하는 상기 관의 일부는 반응 용액을 포함하는 연질 재질의 제1 튜브 내에 위치하며; 상기 시료 채취 후에, 상기 제1 튜브를 구부려서 상기 제2 말단을 절단하여 상기 관을 상기 제1 튜브와 연통시키는 단계: 상기 제1 튜브를 눌러서 상기 제1 튜브에 포함된 반응 용액이, 상기 채취된 시료를 포함하는 상기 제1 관을 따라 이동하도록 하여, 이동 중에 상기 채취된 시료와 혼합되고, 상기 혼합물을 제2 튜브로 수집하는 단계; 상기 수집된 혼합물을 상기 제2 튜브에 구비된 제2 관을 통해 목적하는 장치에 로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원에 따른 방법에 사용되는 제2 튜브에는 액상 또는 건조된 상태의 반응 시약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어서, 상기 토출된 혼합물과 반응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는 건조된 상태의 시약이 포함되어 있으며, 이는 상기 채취된 시료와 반응 용액의 혼합물에 용해되어 반응에 사용된다. 액상 시약의 경우 상기 혼합물과 혼합된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튜브에는 완충액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고, 상기 제2 튜브에는 반응에 필요한 활성성분의 시약이 건조된 상태로 포함되어 있어, 완충액과 시료의 혼합물과 접촉시 반응이 일어나게 된다.
본원에 따른 방법은 특히 생물학적 시료에 포함된 특정 성분의 검출을 위한 다양한 장치에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POCT (Point of Care Testing) 장치, 예를 들면 측방이동 스트립을 이용한 시료의 분석에 사용될 수 있다. 측방이동 스트립은 액상 반응물이 측방으로 이동할 수 있는 수단으로 막(membrane)을 포함하며, 상기 막에는 목적하는 표적물 또는 검출하고자 하는 물질에 결합/반응할 수 있는 물질이 결합되어 있는, POCT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는 기술이다. 이러한 스트립에 액상의 반응물을 로딩하면, 로딩된 반응물이 막을 따라 이동을 하고, 이 과정에서 상기 막에 결합된 물질과 반응하여, 반응물 내의 목적하는 성분이 검출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 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 콜렉터부
2: 튜브부
100: 콜렉터 용기
110: 용기 바디
112: 수용공간
120: 결합 단부
122: 개구부
124: 하부 결합부
126: 상부 결합부
128: 제1 끼움 돌부
130: 내경 돌부
200: 채취부
202: 리드부
204: 채취 팁
206: 유동로
206a: 상부 유동로
206b: 하부 유동로
210: 리드 바디
212: 리드봉
214: 제1 절단부
216: 제1 결합부
218: 제2 끼움 돌부
220: 밀폐 단부
230: 제2 결합부
232: 채취봉
234: 벤트 홀
300: 튜브 바디
310: 중공
320: 제2 중공
400: 튜브 캡
410: 드롭 팁
412: 토출공
414: 제2 절단부
500: 건조 시약

Claims (12)

  1. 시료가 채취되는 콜렉터부; 및
    상기 콜렉터부와 연결될 수 있게 구성되며 상기 콜렉터부에서 채취된 시료를 전달받는 튜브부; 를 포함하며,
    상기 콜렉터부는,
    연질로 구성되며 수용공간을 갖는 콜렉터 용기, 및 상기 콜렉터 용기의 하부에 결합되는 채취부를 포함하며,
    상기 채취부는,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콜렉터 용기의 내측으로 수용되는 리드부, 하부에 구비되며 시료가 채취되는 채취 팁, 및 상기 리드부와 채취 팁 내부를 상하로 관통하며 상단이 밀폐된 유동로를 가지며, 상기 리드부는 외력에 의해서 절단될 수 있는 제1 절단부를 가져서 상기 제1 절단부가 절단되면 상기 유동로가 상방향으로 오픈되며,
    상기 튜브부는,
    상하로 관통된 중공을 갖고 상단이 상기 콜렉터 용기의 하부에 연결되는 튜브 바디, 및 상기 튜브 바디의 하단에 결합되는 튜브 캡을 포함하며,
    상기 튜브 캡은, 하방향으로 돌출되는 드롭 팁을 갖고, 상기 드롭 팁에는 상하로 연장되되 하단이 밀폐된 토출공이 형성되며, 상기 드롭 팁은 외력에 의해서 절단될 수 있는 제2 절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채취 및 분배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절단부 및 제2 절단부에는 절단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채취 및 분배기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콜렉터 용기는 연질의 투명 또는 반투명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채취 및 분배기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콜렉터 용기는,
    하방향으로 오픈된 수용공간을 갖는 용기 바디, 및
    상기 용기 바디의 하부에 마련되는 결합 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 단부는,
    하단에 형성되며 상기 수용공간이 하방향으로 오픈되도록 하는 개구부,
    상기 개구부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튜브부의 상단이 고정되도록 하는 하부 결합부, 및
    상기 하부 결합부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채취부가 고정되도록 하는 상부 결합부를 포함하는 일체형 채취 및 분배기구.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결합부는,
    상기 상부 결합부보다 큰 내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채취 및 분배기구.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결합부는 내경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 끼움 돌부를 갖고,
    상기 채취부는 외경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2 끼움 돌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채취 및 분배기구.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결합부는,
    적어도 일 부분의 내경이 상기 튜브부의 상단의 외경과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채취 및 분배기구.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부의 중공의 상단에는 상기 채취부를 수용할 수 있도록, 내부에 관통하는 제2 중공이 형성된 채취부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채취 및 분배기구.
  9. 신체에서 외부로 분리된 생물학적 시료를 모세관 현상을 이용하여 채취하는 제 1 단계로, 상기 채취에 의해 상기 시료는 소정의 관의 제1 말단에 구비되며 모세관 현상을 유발할 수 있는 제1 관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제1 관에서 상기 채취에 사용되지 않는 제2 말단을 포함하는 상기 제1 관의 일부는 제 1 반응 용액을 포함하는 제1 튜브 내에 위치하며,
    상기 시료 채취 후에, 상기 제1 튜브를 구부려서 상기 제2 말단을 절단하여 상기 제1 관을 상기 제1 튜브와 연통시키는 제 2 단계:
    상기 제1 튜브를 눌러서 상기 제1 튜브에 포함된 제 1 반응 용액이, 상기 채취된 시료를 포함하는 상기 제1 관을 따라 이동하도록 하여, 이동 중에 상기 채취된 시료와 혼합되고, 상기 제 1 반응 용액과 상기 채취된 시료의 혼합물은 제2 튜브로 수집되는 제 3 단계; 및
    상기 수집된 혼합물을 상기 제2 튜브에 구비된 제2 관을 통해 분석 장치에 로딩되는 제 4 단계를 포함하는, 시료의 채취, 반응 및 로딩을 연속적으로 하는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단계에서, 제2 튜브에는 건조된 상태의 반응 시약 또는 제2 반응 용액을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혼합물은 상기 제2 튜브에서 상기 건조된 상태의 반응 시약 또는 제2 반응 시약과 혼합되는 것인, 시료의 채취, 반응 및 로딩을 연속적으로 하는 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 장치는 상기 생물학적 시료에 포함된 특정 성분의 검출을 위한 POCT (Point of Care Testing) 장치인, 시료의 채취, 반응 및 로딩을 연속적으로 하는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POCT 장치는 상기 특정 성분의 검출을 위한 물질이 결합된 측방이동 스트립인, 방법.
KR1020170180527A 2017-12-27 2017-12-27 절취부가 구비된 일체형 채취 및 분배기구 및 채취 및 분배 방법 KR1019957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0527A KR101995790B1 (ko) 2017-12-27 2017-12-27 절취부가 구비된 일체형 채취 및 분배기구 및 채취 및 분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0527A KR101995790B1 (ko) 2017-12-27 2017-12-27 절취부가 구비된 일체형 채취 및 분배기구 및 채취 및 분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5790B1 true KR101995790B1 (ko) 2019-07-03

Family

ID=672587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80527A KR101995790B1 (ko) 2017-12-27 2017-12-27 절취부가 구비된 일체형 채취 및 분배기구 및 채취 및 분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579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35020A (en) * 1986-02-26 1990-06-19 Broden Bengt Inge Device for use in the handling of body fluids
JPH08285845A (ja) * 1995-02-15 1996-11-01 Wako Pure Chem Ind Ltd 糞便採取用具
KR101126307B1 (ko) * 2009-02-24 2012-03-23 박정규 채변기
KR101168232B1 (ko) 2011-03-25 2012-07-30 바디텍메드 주식회사 일체형 채취 및 분배기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35020A (en) * 1986-02-26 1990-06-19 Broden Bengt Inge Device for use in the handling of body fluids
JPH08285845A (ja) * 1995-02-15 1996-11-01 Wako Pure Chem Ind Ltd 糞便採取用具
KR101126307B1 (ko) * 2009-02-24 2012-03-23 박정규 채변기
KR101168232B1 (ko) 2011-03-25 2012-07-30 바디텍메드 주식회사 일체형 채취 및 분배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8232B1 (ko) 일체형 채취 및 분배기구
EP1012560B1 (en) Method for collecting samples of liquid specimens for analytical testing
EP1756565B1 (en) Specimen collecting, processing and analytical assembly
RU2741391C2 (ru) Аналитическое устройство
US11026611B2 (en) Rotatable disk-shaped fluid sample collection device
US8376982B2 (en) Extrac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high-sensitivity body fluid testing device
JP5619720B2 (ja) サンプリングおよび分注装置
US5268148A (en) Saliva sampling device and sample adequacy system
US4310488A (en) Sample or reagent container for analyzers
KR101921405B1 (ko) 샘플링 및 어세이 키트, 샘플 홀더 및 방법
US7318359B2 (en) Sampling means and system for testing a sample liquid
JP2011502623A (ja) 経皮体液サンプリング及び前処理装置及び方法
EP2113203A1 (en) Fluid collection device with expresser plug holder
CN112034150A (zh) 样本收集及检测的装置和方法
US20060292036A1 (en) Fluid specimen testing device
EP4012408B1 (en) Sample collection and detection device and method
KR101995790B1 (ko) 절취부가 구비된 일체형 채취 및 분배기구 및 채취 및 분배 방법
KR101889700B1 (ko) 정량 샘플 분주 장치
US20240042449A1 (en) Test device, test method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est device for carrying out a test directed to the detection of an organic structure
GB2051359A (en) A sample or reagent container for automatic analysis apparatus
US20230405576A1 (en) Socket for coupling capillary tip
JPS6319556A (ja) 分析容器
JP2023162456A (ja) 液体採取具、液体採取具の製造方法、及び検査キット
CN114869277A (zh) 全血及指尖血检测装置及检测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