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77196B1 - 광학적 정보기록 재생장치에 있어서의 트랙 시크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광학적 정보기록 재생장치에 있어서의 트랙 시크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77196B1
KR100277196B1 KR1019940032772A KR19940032772A KR100277196B1 KR 100277196 B1 KR100277196 B1 KR 100277196B1 KR 1019940032772 A KR1019940032772 A KR 1019940032772A KR 19940032772 A KR19940032772 A KR 19940032772A KR 100277196 B1 KR100277196 B1 KR 1002771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ck
information recording
optical
optical head
light be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327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20474A (ko
Inventor
고이찌 야마사끼
가즈오 노다
겐조 요시하라
Original Assignee
오까다 마사하루
가부시키가이샤 닛본콘럭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까다 마사하루, 가부시키가이샤 닛본콘럭스 filed Critical 오까다 마사하루
Publication of KR9500204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204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71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7196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11B7/085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into, or out of, its operative position or across tracks, otherwise than during the transducing operation, e.g. for adjustment or preliminary positioning or track change or selection
    • G11B7/08505Methods for track change, selection or preliminary positioning by moving the head
    • G11B7/08541Methods for track change, selection or preliminary positioning by moving the head involving track counting to determine posit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11B7/085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into, or out of, its operative position or across tracks, otherwise than during the transducing operation, e.g. for adjustment or preliminary positioning or track change or selection
    • G11B7/0857Arrangements for mechanically moving the whole head
    • G11B7/08582Sled-type positioners
    • G11B7/08588Sled-type positioners with position sensing by means of an auxiliary system using an external scale

Landscapes

  • Moving Of The Head For Recording And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AREA)
  • Moving Of Head For Track Selection And Changing (AREA)

Abstract

광카드와 같은 광학식 정보기록매체를 사용한 광학적 정보기록 재생장치로서, 정보기록매체상의 흠집이나 먼지등에 의해서 트랙 횡단수의 검지/계수에러가 있었던 경우 이것을 수정하여 확실한 시크동작을 실행할 수 있도록 하고, 광빔 주사속도를 가변속해도 시크동작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시크시간을 단축하기 위해, 기록매체에 대한 광학헤드의 상대적위치를 위치검출기에 의해서 검출하고, 이것에 따라 광빔의 소정거리의 이동에 대응해서 검출신호를 발생하고, 이 검출신호에 따라서 상기 이동거리 사이에 있어서 수광신호에 따라 계수된 트랙 횡단수와 상기 이동거리에 대응하는 소정의 기준값을 비교조합하고, 그 오차에 대응한 트랙 횡단수 보정데이타를 발생하여 트랙횡단수의 계수값을 수정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장치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광빔을 안정하고 고속으로 시크동작을 하도록 할 수 있고, 또한 트랙 시크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Description

광학적 정보기록 재생장치에 있어서의 트랙 시크방법 및 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1실시예에 관한 광학적 정보기록 재생장치의 구성요소중 광 카드와 광학헤드 구동부의 부분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분해사시도.
제2도는 동실시예에 관한 광학적 정보기록 재생장치의 구성요소중 트랙 시크제어에 관련된 부분의 1예를 도시한 전기적 블록도.
제3도는 제2도에 의한 트랙 시크 제어동작예를 도시한 타이밍도.
제4도는 종래의 트랙 시크 제어예를 도시한 타이밍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광 카드 2 : 광학헤드
4 : 가이드트랙 5 : 데이타트랙
11 : 리니어 스케일 12 : 리니어 스케일 센서
14 : 광학헤드 반송용 모터코일 21 : 제어부
27 : 포토디텍터 30 : OR게이트
31 : 구간 카운터 32 : 비교기
33 : 보정펄스발생기 34 : 토탈 카운터
본 발명은 광 카드와 같은 광학식 정보기록매체를 사용한 광학적 정보기록 재생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광 빔이 조사되고 있는 현재 트랙위치를 차례로 추종 인식하거나 상기 광빔을 바라는 목표 트랙에 위치결정하기 하기 위한 트랙 시크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광을 이용해서 정보를 고밀도로 기록 또는 재생하는 광학적 정보 기록매체로서 광 디스크나 광 카드등이 종래부터 알려져 있다. 이 광학적 정보기록매체로서는 정보를 기록 또는 재생하는 처리를 실행할 때의 가이드를 위해 광학적으로 검지 가능한 여러개의 가이드트랙이 마련되어 있고, 이들 가이드 트랙 사이가 데이터 트랙으로 되어 있어 그곳에 데이터가 기록된다. 정보는 미소하게 촛점맞춤된 광빔을 이 데이터 트랙영역에 조사하고, 1∼3㎛정도의 크기의 피트의 형태로 기록된다. 각 데이터 트랙에는 각각 트랙번호가 정의되어 있다.
광학적 정보기록매체상에 광빔이 조사되어 있는 현재의 트랙번호의 위치에서 새로운 트랙번호상으로 광빔을 이동해서 정보를 기록 또는 재생하기 위해서는 광빔을 가이드 트랙을 횡단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목표로 하는 트랙번호로 위치결정해야 한다. 광빔이 가이드 트랙을 횡단할 때, 그 반사광을 포토 디텍터로 수광하여 전기신호로 변환한다. 이 전기적 수광신호를 증폭 및 정형해서 가이드 트랙 횡단에 응답하는 가이드 트랙 횡단 검지신호를 얻는다. 이 가이드 트랙 횡단 검지신호를 계수하는 것에 의해, 광빔이 현재위치하고 있는 트랙을 추적해서 인식할 수 있고, 이것을 피드백 값으로서 사용해서 목표의 트랙번호 근방까지 광빔을 이동하는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이 일련의 동작을 트랙 시크라 한다. 이러한 트랙 시크 기술의 종래예로서는 예를 들며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소화 56-134364호나 일본국 특허 공개공보소화 62-154273호에 개시된 것등이 있고, 또 그 밖에 다수의 선행기술이 공지이다.
그런데, 광학적 정보기록매체에 흠집이나 먼지가 부착된 경우, 광빔이 가이드 트랙을 횡단했을 때에 가이드 트랙 횡단을 나타내는 적정한 레벨의 수광신호를 얻을 수 없어, 트랙횡단 검지신호에 에러가 발생하고 목표로 하는 트랙번호의 위치에서 광빔이 크게 어긋나 버리는 일이 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종래 기술로서는 일본국 특허공고공보 평성 4-50676호에 개지된 것이 알려져 있다.
이 종래기술의 개요를 제4도의 타이밍도로 설명한다. 제4(a)도의 실선은 검출된 가이드 트랙 횡단신호를 나타내고, 점선은 검출될 가이드 트랙 횡단신호가 검지되지 않은 것을 나타낸다. (b)도는 부가되는 의사신호를 나타내고, (c)도는 (a)도와 (b)도의 가산에 의해서 얻어지는 수정완료된 트랙 횡단신호를 나타낸다. 광빔을 일정 속도 또는 일정 가속도로 가이드 트랙 횡단방향으로 이동시키고, 1개의 가이드 트랙 횡단신호가 검출된 후 어떤 설정된 시간내에 다음의 가이드 트랙 횡단신호가 검출되지 않았을 경우에는 광학적 정보기록매체상에 흠집이나 먼지가 부착되어 있다고 간주하고 결락한 가이드 트랙 횡단신호 대신에 (b)도의 의사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a)도의 가이드 트랙 횡단신호와 (b)도의 의사신호를 가산한 (c)도의 신호를 새로운 가이드 트랙 횡단신호로서 계수하면, 목표의 트랙신호의 대략 근방으로 광빔을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의 어떤 설정시간이라는 것은 인접하는 가이드 트랙 횡단신호의 시간차를 가미한 신호이고, 제4도의 T3에서는 T3 = T1 + (T1-T2) 이다. 광빔 주사속도 변화에 어느정도 대처하려고 하고 있다.
그러나, 광학적 정보기록매체상의 흠집이나 먼지가 크면 여러개의 가이드 트랙에 걸치는 일이 있고, 그 곳에서 광빔의 주사속도가 가속 또는 감속하고 있는 경우는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에서는 적정하게 대처할 수 없었다. 즉, 상기와 같은 종래의 트랙 시크 기술에서는 어떤 설정된 시간내에 트랙 횡단신호가 결락했을 때 의사신호를 발생하는 방식이므로, 이 설정시간을 상기와 같이 전회의 시간을 고려해서 수정할 수 있는 것은 트랙 횡단신호가 1개 결락한 경우에만 한정되고, 여러개의 트랙 횡단신호가 연속해서 결락한 경우는 동일한 설정시간을 반복해서 의사신호를 연속적으로 발생할 수밖에 없다. 그러나, 그곳에서 광빔의 주사속도가 가속 또는 감속하고있는 경우는 동일한 설정시간에서는 실제의 트랙횡단에 대응하지 않는 것으로 되어 의사신호의 수에 에러가 발생하고, 이것을 가산수정한 트랙 횡단신호의 수가 실상의 수와 크게 달라지게 되어 광빔을 목표의 트랙번호에 접근시킬 수 없게될 우려가 있었다. 또 특히 광빔이 가속에서 감속으로 바뀌기 전후의 시점에서 광학적 정보기록매체상에 큰 흠집이나 먼지가 있으면, 추가되는 의사신호의 수에 오차가 생기기 쉬워 트랙 시크에 큰 문제가 발생한다.
또, 트랙 시크에 필요한 시간을 짧게하기 위해서는 광빔을 일정속도 또는 일정 가속도로 이동/주사시키는 것이 아니라 필요에 따라서 최적 속도로 적절히 변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점에서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에서는 상술한 이유에 의해 신뢰성이 결여되므로, 트랙 시크시에 있어서의 광빔의 주사속도를 임의로 가변속하는데는 적합하지 않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점을 감안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광학적 정보기록매체상에 큰 흠집이나 먼지가 부착되는 등의 이유에 의해 수광신호에 따라서 얻어지는 트랙 횡단 검지신호가 부정확하게 된 경우라도 에러를 일으키는 일 없이 광빔이 현재 위치하는 트랙위치를 추종 인식하고, 이것에 의해 바라는 목표 트랙의 근방에 확실하게 도달시킬수 있도록 하고 또한 광빔의 주사속도를 임으로 가변속해도 에러없이 트랙 시크할 수 있도록 한 것에 의해, 트랙 시크 시간의 단축을 달성할 수 있도록 한 광학적 정보기록 재생장치의 트랙 시크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여러개의 트랙이 형성된 광학식 정보기록매체에 대해서 상기 트랙을 횡단하는 방향으로 광빔을 주사하고, 그 반사광의 수광신호에 따라서 상기 광빔에 의한 트랙 횡단수를 계수하는 것에 의해, 상기 광빔이 위치하고 있는 트랙을 판단하도록 한 광학적 정보 기록 재생장치에 있어서의 트랙 시크방법에 있어서 상기 광빔을 발사하는 광학헤드의 상기 정보기록매체에 대한 상대적 위치를 위치검출기에 의해서 검출하고, 이것에 따라서 상기 광빔의 주사를 위해 상기 광학헤드가 소정 거리 이동하는 것에 대응해서 검출신호를 발생하는 제1의 스텝, 상기 검출신호에 따라서 상기 광학헤드가 소정거리 이동하는 동안에 있어서 상기 수광신호에 따라서 계수된 트랙 횡단수와 상기 이동 거리에 대응하는 소정의 기준값을 비교조합(照合)하고, 그 오차에 대응한 트랙 횡단수 보정데이타를 발생하는 제2의 스텝 및 이 트랙 횡단수 보정데이타에 의해서 상기 트랙 횡단수의 계수값을 수정하는 제3의 스텝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에 관한 광학적 정보기록 재생장치에 있어서의 트랙 시크장치는 여러개의 트랙이 형성된 광학식 정보기록매체에 대해서 광빔을 조사하고 그 반사광을 수광하는 광학헤드, 상기 광학헤드를 상기 정보기록매체에 대해서 상기 트랙을 횡단하는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이동하는 반송수단, 트랙 시크시에 있어서 상기 광학헤드의 수광신호에 따라서 상기 광빔에 의한 트랙 횡단수를 검지하고 이것을 피드백값으로 해서 바라는 목표 트랙의 근방에 위치결정하도록 상기 반송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수단, 상기 정보기록매체에 대한 상기 광학헤드의 상대적 이동량을 검출하는 위치검출수단 및 상기 위치검출수단의 출력에 따라서 상기 광학헤드가 소정 거리 이동하는 구간에 있어서 검지된 상기 트랙 횡단수와 상기 구간에 대응하는 소정의 기준값을 비교조합하고 그 오차에 대응하는 트랙 횡단수 보정데이타를 발생하는 보정수단을 구비하고, 이 트랙 횡단수 보정데이타에 의해서 상기 제어수단에 있어서의 피드백값을 수정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트랙 시크방법에 의하면, 정보기록매체에 대한 광학헤드의 상대적 위치를 위치검출기에 의해서 검출하고, 이것에 따라서 상기 광빔의 주사를 위해 상기 광학헤드가 소정 거리 이동하는 것에 대응해서 검출신호를 발생한다. 이 검출신호에 따라서 광학헤드가 소정 거리 이동하는 동안에 있어서 수광신호에 따라 계수된 트랙 횡단수와 상기 이동거리에 대응하는 소정의 기준값을 비교조합하고, 그 오차에 대응한 트랙 횡단수 보정데이타를 발생한다. 이 트랙 횡단수 보정데이타에 의해서 트랙 횡단수의 계수값을 수정하는 것에 의해 광 빔이 현재 위치하고 있는 트랙을 정확하게 추종해서 판단할 수 있다.
광 빔을 주사할 때의 광학헤드의 실제의 이동거리를 위치검출기에 의해서 검출하고 있으므로, 항상 소정의 이동거리를 기준으로 해서 수광신호에 따른 트랙 횡단수의 계수값의 오차판정을 정확하게 실행 할 수 있다. 따라서, 광학적 정보기록매체상에 큰 흠집이나 먼지가 부착되는 등의 이유에 의해서 수광신호에 따라 얻어지는 트랙 횡단 검지신호가 부정확하게 된 경우라도 에러를 일으키는 일 없이 광빔이 현재 위치하는 트랙 위치를 추종 인식하고, 이것에 의해 바라는 목표 트랙의 근방에 확실하게 도달시킬 수 있게 된다.
또, 이동거리에 대응하는 기준값은 광빔의 주사속도(광학헤드의 이동속도)가 임으로 가속 또는 감속 변동해도 그 영향을 받지 않으므로, 광 빔의 주사속도를 임의로 가변속해도 상기와 같이 에러가 없는 트랙 시크를 실행할 수 있고, 따라서 트랙 시크 시간의 단축을 달성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트랙 시크장치에 의하면, 광학헤드의 수광신호에 따라 광빔에 의한 트랙 횡단수를 검지하고, 이것을 피드백값으로 해서 바라는 목표 트랙의 근방에 위치결정하도록 제어하는 제어수단에 있어서의 상기 피드백값을 상기와 마찬가지의 트랙 횡단수 보정데이타에 의해서 수정하도록 했으므로, 상기와 마찬가지로 작용하여 동일한 효과를 얻는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음에서는 광학적 정보기록매체로서 광카드(1)을 사용한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1실시예에 관한 광학적 정보기록 재생장치의 구성요소중 광카드(1)과 광학헤드 구동부(10)의 부분에 대하여 그 분해사시도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광카드(1)은 공지의 구성의 것을 사용해도 좋고, 이것은 물론 휴대 가능한 것이고, 광학적 정보기록 재생장치의 본체에 대해서 착탈 가능하다. 라이트/리드를 위한 광학헤드(2)를 포함하는 광학헤드 구동부(10)은 상기 기록재생장치의 케이스(도시하지 않음)내에 수납되어 있고, 상기 프레임에 마련된 삽입구(도시하지 않음)에 광카드(1)을 삽입하면 도시하지 않은 카드 반송기구에 의해서 광카드(1)을 X방향으로 자동 반송하고, 광학헤드(2)에 의해서 라이트 또는 리드되는 위치까지 광카드(1)을 끌어당긴다.
광카드(1)은 그 기부(基部)가 플라스틱등의 경량경질의 재료로 이루어져 있고, 그 표면의 소정의 영역에 미디어부(정보기록영역)(3)이 형성되어 있다. 미디어부(정보기록영역)(3)에 있어서는 일부 절단해서 도시한 바와 같이 카드 반송방향X를 따라서 연장한 소정폭의 가이드 트랙(4)를 소정 간격으로 여러개 반복 배치해서 이루어지고, 각 가이드 트랙(4) 사이에 데이터 트랙(5)가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 트랙(4)는 광학적으로 검지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고, 예를 들면 사진인쇄법에 의해서 비교적 밝은 소정의 반사율로 데이터 트랙(5)를 형성하는데 비해서, 가이드 트랙(4)는 비교적 어두운 반사율로 형성한다. 데이터 트랙(5)에 있어서는 바라는 정보를 「피트」라 불리는 원형의 구멍 형식으로 기록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공지도어 있는 바와 같이 「피트」는 적절히 포커싱한 라이트용 레이저빔 스폿을 조사하는 것에 의해서 형성된다. 그리고, 데이터 트랙(5)에 있어서의 데이터의 리드는 데이터 트랙(5)에 조사된 레이저의 반사율이 「피트」의 부분에서 감소하는 것을 검지하는 것에 의해 실행된다. 광카드(1)의 미디어부(정보기록영역)(3)에 있어서는 라이트용 레이저에 반응하는 소정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기록층이 배치되고, 그 위를 리드/라이트 레이저광을 투과시키는 보호층이 덮고 있다.
광학헤드 구동부(10)은 광학헤드(2), 상기 광학헤드(2)의 하우징측에 고정된 리니어 스케일(11), 기록재생장치의 베이스 프레임(도시하지 않음)측에 고정된 리니어 스케일 센서(12), 광학헤드(2)의 하우징의 양측에 고정된 한쌍의 광학헤드 반송용 모터코일(14) 및 기록재생장치의 베이스 프레임측에 고정된 한쌍의 요크(15)를 포함하고 있다. 광학헤드 반송용 모터코일(14)와 요크(15)에 의해서 광학헤드(2)를 반송하기 위한 전기 리니어 모터가 구성되어 있고, 이것에 의해서 광학헤드(2)를 Y방향으로 (광카드(1)의 트랙(4),(5)를 횡단하는 방향으로)이동한다. 리니어 스케일(11)과 리니어 스케일 센서(12)는 광학헤드(2)의 Y방향 이동량을 검출하기 위한 리니어 위치검출기를 구성하고 있다.
또한, 이 예에서는 광학헤드(2)를 Y방향으로 이동한다고 하고 있지만, 광학헤드(2)는 고정시키고 광카드(1)을 Y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해도 좋은 것은 물론이고, 요컨대 광학헤드(2)가 광카드(1)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Y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되어 있으면 좋다. 광카드(1)쪽을 Y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경우는 상기 리니어 위치검출기와 등가의 수단에 의해서 광카드(1)의 Y방향 이동량을 검출하도록 하는 것은 물론이다.
광학헤드(2)는 레이저광을 발생하는 레이저원(23)(제2도), 이 레이저광을 광빔 스폿으로 촛점맞춤하여 대물렌즈(13)을 거쳐서 광카드(1)상에 레이저 광빔(6)의 미소 스폿을 조사하기 위한 발광용 광학계, 광카드(1)로 부터의 레이저 반사광을 대물렌즈(13)을 거쳐서 페치하고 수광소자(제2도의 포토디텍터(27)로 안내하는 수광용 광학계, 그들에 관련하는 기기등을 하우징내에 일체적으로 조립해서 이루어지는 것이다. 대물렌즈(13)은 공지와 같은 트랙킹 코일(16)의 여자구동에 따라서 Y방향으로 미소 이동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이것에 의해 레이저광빔(6)의 광카드(1)상의 스폿위치를 미세 조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제1도에서는 편의상 대물렌즈(13) 및 트랙킹 코일(16)의 부분을 빼내어 도시하고 있지만, 이들도 광학헤드(2)의 하우징내에 수납되어 있는 것은 물론이다.
트랙 시크 동작에는 퍼점프제어에 의한 것과 니어점프제어에 의한 것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퍼점프제어는 광빔을 비교적 다수의 트랙을 횡단해서 바라는 목표트랙까지 이동시키는 제어이고, 광학헤드 반송용 모트(14,15)에 의해서 광학헤드(2)를 Y방향으로 이동하는(광학헤드(2)에 따라서 광빔을 Y방향으로 주사하는)것에 의해 실행된다. 니어점프제어는 광빔을 1 또는 수트랙만큼 횡단해서 이동시키는 제어이고, 광학헤드(2)는 움직이지 않고 트랙킹코일(16)의 구동에 의해서 대물렌즈(13)을 Y방향으로 미소 이동시키는(광빔만을 미소 주사하는)것에 의해 실행된다. 트랙 시크 동작에 있어서 레이저 광빔(6)의 스폿위치를 바라는 목표 트랙까지 이동시키는 경우는 통상은 우선 퍼점프제어에 의해서 광학헤드(2) 전체를 바라는 목표 트랙까지 또는 그 근방까지 이동시키고, 그 후 니어점프제어에 의해서 광빔만을 바라는 목표트랙에 정밀하게 위치결정한다.
또한, 트랙킹 코일(16)은 니어점프제어 이외의 서보 트랙킹 제어에도 사용되지만, 그 점에 대해서는 특별히 설명하지 않는다. 서보 트랙킹 제어라는 것은 목적의 데이터 트랙에서 정보의 리드 또는 라이트를 실행하고 있는 도중에 항상 광빔이 그 목적의 데이터 트랙에 정밀하게 위치결정되도록 추종 서보 제어를 실행하는 것이다.
제2도는 본 발명의 1실시예에 관한 광학적 정보기록 재생장치의 구성요소중 트랙킹 제어에 관련하는 제어 시스템의 전기적 블록도이다. 동일도면에 따라서 이하 본 발명의 트랙킹 제어 시스템을 설명한다.
제어부(21)은 시스템 전체를 제어하는 것이다. 제어부(21)에서 인가되는 신호에 따라서 레이저 구동회로(22)가 레이저 구동신호를 출력하고, 이것에 따라서 레이저원(23)에서 레리저 광빔이 발사된다. 또, 제어부(21)에서 인가되는 신호에 따라서 트랙킹 코일 구동회로(24)가 트랙킹 코일 구동신호를 출력하고, 이것에 따라서 트랙킹 코일(16)이 구동된다. 또, 제어부(21)에서 인가되는 신호에 따라서 광학헤드 반송용 모터구동회로(25)가 모터구동신호M을 출력하고, 이것에 따라서 광학헤드 반송용 모터코일(14)가 구동되고 광학헤드(2)가 이동된다.
리니어 스케일 센서(12)는 예를 들면 포토 인터럽터등으로 이루어지는 광학식 센서이고, 리니어 스케일(11)에 마련된 광학식 눈금에 응답해서 위치검출신호를 출력한다. 이 리니어 스케일 센서(12)에서 출력되는 위치검출신호는 파형정형회로(26)에서 증폭정형되고, 그 출력신호는 리니어 스케일 검출신호D로서 제어부(21)에 입력된다. 리니어 스케일(11)의 움직임은 광학헤드(2)의 이동에 연동하고 있기 때문에 리니어 스케일 검출신호D는 광학헤드(2)의 Y방향의 이동량에 대응하고 있다. 예를 들면 리니어 스케일 검출신호D는 일정한 이동량에 대응하여 1펄스를 발생시키는 증분 펄스열로 이루어진다. 제3도의 D는 증분 펄스열로 이루어지는 리니어 스케일 검출신호D의 1예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물론 광학헤드(2)의 Y방향의 이동량을 검출하기 위한 센서는 이와 같은 광학식 리니어 센서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어떠한 형식의 위치센서를 사용해도 좋은 것이고, 또 증분 펄스 발생형의 센서에 한정되지 않고 절대센서를 사용해도 좋은 것이다.
포토디텍터(27)은 광카드(1)로 부터의 레이저빔 반사광을 수광해서 전기신호로 변환하여 증폭기(28)에 입력한다. 이 출력은 파형정형회로(29)에 입력된다. 파형정형회로(29)는 가이드 트랙(4)로 부터의 반사광의 수광레벨에 응답해서 소정의 파형정형처리를 실행하는 것이고, 그 출력은 가이드 트랙 횡단검지신호 TD이다. 가이드 트랙 횡단검지신호TD는 제3도는 TD로 예시하는 바와 같은 광학헤드(2)가 1개의 가이드 트랙(4)를 횡단할때마다 1펄스를 발생시키는 신호이다. 또한, 증폭기(28)의 출력 신호는 또 정보피트의 인식이나 그 밖의 목적을 위채 적절히 처리되어 제어부(21)에 인가되도록 되어 있지만, 이 점은 공지이므로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파형정형회로(29)에서 출력된 가이드 트랙 횡단검지신호TD는 OR게이트(30)에 입력됨과 동시에 구간카운터(31)의 카운트입력에 입력된다. 이것에 의해 광학헤드(2)에 의해서 검지된 가이드 트랙 횡단수가 구간카운터(31)에 의해 카운트된다. 구간카운터(31)의 계수값 출력은 카운트값 데이터Na로서 비교기(32)로 송출된다. 카운터(31)은 제어부(21)에서 클리어신호C가 인가되었을 때 클리어되고, 그 카운트값 데이터Na가 0으로 리세트된다.
비교기(32) 이외의 입력에는 트랙 시크 개시시에 제어부(21)에서 소정의 기준값Nb가 입력되어 초기세트된다. 비교기(32)는 제어부(21)에서 비교명령신호COM이 인가되었을 때 양 입력에 인가되는 데이터 Na와 Nb가 값을 소정의 비교조건에 따라서 비교한다. 카운트값 데이터Na가 기준값Nb를 기준으로 하는 소정의 규정 범위내에 경우는 보정데이타 Nc를 출력하지 않지만, 범위내에 있지 않을 경우는 그 오차에 따른 수치로 이루어지는 보정데이타Nc를 보정펄스발생기(33)으로 송출한다.
비교명령신호COM은 리니어 스케일 검출신호D에 따라 일정한 이동량마다 발생되는 것이고, 예를 들면 제3도의 COM으로 예시하는 바와 같이 리니어 스케일 검출신호D의 위치펄스 발생타이밍에 대응해서 발생한다. 또, 카운터(31)에 대한 클리어신호C도 리니어 스케일 검출신호D에 따라 일정한 이동량마다 발생되는 것이고, 예를 들면 제3도의 C로 예시하는 바와 같이 트랙 시크 개시시에 발생됨과 동시에 이후는 비교명령신호COM의 타이밍보다 약간 지연해서 반복 발생된다. 따라서, 비교명령신호COM이 인가되었을 때의 구간 카운터(31)의 카운트값 데이타Na는 광학헤드(2)가 일정 거리만큼 이동하는 동안에 광학헤드(2)에 의해서 검지된 가이드 트랙 횡단수를 나타낸다. 이것에 대해서 비교기(32)에 부여되는 기준값Nb는 광학헤드(2)가 상기 일정 거리만큼 이동하는 동안에 실제로 존해하는 가이드 트랙수를 나타낸다. 따라서, Na가 Nb의 소정의 규정 범위내에 있으면 광학헤드(2)가 상기 일정거리만큼 이동하는 동안에 광학헤드(2)에 의한 트랙검지미스가 없었던 것을 의미한다. Na가 Nb의 소정의 규정 범위내에 있지 않으면 광학헤드(2)에 의한 트랙검지미스(드롭 아우트 또는 여분의 검지)가 있었던 것을 의미한다.
보정펄스발생기(33)은 보정데이타Nc가 입력되면 그 수에 대응하는 수의 펄스를 발생하고, 보정펄스Pc로서 OR게이트(30)에 입력한다. 동시에 Na와 Nb의 대소관계에 따라서 가산모드를 지정하는 신호ADD를 토탈 카운터(34)에 대해서 부여한다.
토탈 카운터(34)는 제어부(21)에서 트랙 시크 개시시에 카운트 프리세트 입력에 목표 카운트값 데이터T가 부여되고 또한 감산모드 지정신호SUB가 인가된다. 카운트 프리세트에 부여되는 목표 카운트값 데이탔는 광학헤드(2)가 현재위치 트랙에서 목표트랙까지 이동할 때 필요한 트랙 가이드 횡단수를 지시하는 카운트값 데이터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트랙 시크 개시시의 초기상태로서는 목표 카운트값T가 토탈 카운터(34)에 프리세트되고, 그 카운트 모드는 감산모드로 설정된다. 토탈 카운터(34)의 카운트 입력에는 OR게이트(30)의 출력이 인가되고, 이후는 이 OR게이트(30)의 출력펄스를 감산 카운트하거나 또는 상기 가산모드 지정신호ADD가 인가되었을 때에 한해서 가산 카운트한다.
광학헤드(2)의 이동에 따라서 가이드 트랙 횡단검지신호TD가 발생할 때, 토탈 카운터(34)는 초기설정된 감산모드에서 동작하고, OR게이트(30)을 거쳐서 인가되는 가이드 트랙 횡단검지신호TD의 펄스를 감산 카운트한다. 보정펄스Pc가 발생할 때는 토탈 카운터(34)는 통상은 감산모드이지만, 상기 가산모드 지정신호 ADD에 따라서 가산모드로 되어 OR게이트(30)을 거쳐서 인가되는 보정펄스Pc를 감산 또는 가산 카운트한다. 즉, 일정한 이동거리에 대응하는 1측정구간에 있어서의 가이드 트랙 횡단검지수Na가 기준값Nb에 따른 규정값보다 적은 경우는 감산모드를 지시하고, 그 차Nc에 대응하는 수의 보정펄스Pc를 감산한다. 이것은 결락한 가이드 트랙 횡단검지신호를 보상하기 위함이다. 반대로 1측정구간에 있어서의 가이드 트랙 횡단검지수 Na가 기준값Nb에 따른 규정값보다 많은 경우는 가산모드를 지시하고, 그 차Nc에 대응하는 수의 보정펄스Pc를 가산한다. 이것은 여분으로 감산한 가이드 트랙 횡단검지수를 가산해서 보상하기 위함이다.
토탈 카운터(34)의 카운트값이 0으로 되면, 0카운트 도달검출신호T0으로 출력하고 제어부(21)로 송출한다. 0카운트 도달신호T0이 발생된 것은 광학헤드(2)가 목표 트랙에 도달한 것을 의미하고, 이것에 따라서 제어부(21)은 광학헤드 반송용 모터구동회로(25)로의 구동명령신호를 오프로 하고 모터를 정지시킨다. 모터구동신호M이 0으로 되면 광학헤드(2)의 이동이 정지한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의 비교기(32)에서의 비교동작조건의 1예의 대해서 다음에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광학헤드(2)의 이동에 따라 리니어 스케일 센서(12)로부터 검출신호D가 검출되고 또한 광학헤드(2)에 의한 가이드 트랙(4)의 횡단검지에 따라서 가이드 트랙 횡단검지신호TD가 얻어진다. 리니어 스케일 검출신호D에 따라 상기 광학헤드(2)가 일정 거리만큼 이동하는 것이 검지되면, 비교명령신호COM이 인가되고 구간 카운터(31)의 카운트값 데이터Na와 기준값Nb가 비교된다. 기준값Nb는 광카드(1)상의 가이드 트랙(4)의 피치와 리니어 스케일 검출신호D로 검출하는 일정거리(예를 들면 리니어 스케일(11)의 눈금의 1피치)의 상호관계에 따라서 결정되는 값이다. 정상인 경우는 Na=Nb 또는 Na=Nb-1이다. 그러나, 노이즈가 혼입되거나 광카드(1)상에 흠집 또는 먼지가 부착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카운트값 데이터Na는 정상인 값으로 되지 않고 Na>Nb 또는 Na<Nb-1로 되기도 한다.
상기한 것을 고려해서, 비교기(31)에 있어서의 통상의 비교동작 조건으로는 다음의 4개의 등식 또는 부등식중 어느쪽이 성립하는지 성립하지 않는지를 판정하고, 이것에 따른 처리를 실행한다.
통상의 비교조건식(1)…
Na=Nb, Na=Nb-1
통상의 비교조건식(2)…
Na>Nb, Na<Nb-1
상기 비교조건식(1) 즉 Na=Nb 또는 Na=Nb-1이 성립하고 있는 경우는 Na는 규정 범위내라 판정하고 보정데이타Nc는 발생하지 않는다.
상기 비교조건식(2) 즉 Na>Nb 또는 Na<Nb-1이 성립하고 있는 경우는 Na는 규정 범위외라 판정하고 보정데이타Nc를 발생한다. 이 경우 예를 들면 Nc=Nb-Na를 보정데이타Nc로서 발생한다.
즉, Na>Nb의 경우는 검지한 트랙 횡단수Na가 정상의 경우보다 Na-Nb개 많으므로, 그 차 Nc=Nb-Na(부의 값)을 나타내는 보정데이타Nc를 발생한다. 보정펄스발생기(33)에서는 보정데이타Nc의 부의 부호에 따라서 가산모드 지정신호ADD를 발생하고 또한 보정데이타Nc의 절대값에 대응하는 수의 보정펄스Pc를 발생한다. 이것에 의해 토탈 카운터(34)에서는 Na-Nb개의 펄스를 가산 카운트하는 보정을 실행한다. 즉, 토탈 카운터(34)에 의해 많이 감산된 분만큼을 보상해 주는 것이다.
한편, Na<Nb-1의 경우는 검지한 트랙 횡단수Na가 정상의 경우보다 Nb-Na개 적으므로, 그 차 Nc=Nb-Na(정의 값)을 나타내는 보정데이타Nc를 발생한다. 보정펄스발생기(33)에서는 보정데이타Nc의 절대값에 대응하는 수의 보정펄스Pc를 발생한다. 이 경우, 보정데이타Nc는 정의 부호이므로, 가산모드 지정신호ADD는 발생되지 않는다. 이것에 의해 토탈 카운터(34)로 Nc=Nb-Na개의 펄스를 감산 카운트하는 보정을 샐행한다. 즉, 토탈카운터(34)로 감산하고 있지 않았던 분만큼을 또 감산하는 보상을 실행한다. 또한, Na=Nb 또는 Na=Nb-1일 때는 정상이라고 간주하고 토탈 카운터(34)의 카운트 보정을 하지 않는다. 단, 이 실시예에서는 광학헤드(2)가 이동을 개시한 후 최초의 리니어 스케일 검출신호가 검지될 때까지의 동안은 가이드 트랙 횡단검지신호의 카운트값Na가 다음의 초기비교조건을 만족시키는지 아닌지를 판정하고,
초기비교조건식…
0 ≤Na ≤Nb
이것이 성립하면 정상이라고 간주한다. 이것은 이 예에서는 리니어 센서 검출신호D의 증분 펄스에 대응해서 비교명령신호COM 및 클리어신호C를 발생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최초에 발생되는 비교명령신호COM이 헤드(2)의 일정한 이동거리에 대응하고 있지 않기 때문이다.
다음에 상기 구성에 있어서의 일련의 동작예를 제3도의 타이밍도에 도시한 각 스텝에 따라서 설명한다.
또한, 설명의 편의상 제3도의 예에서는 Nb=「9」라 가정한다. 즉, 구간 카운터(31)의 카운트값 데이터Na가 「8」이나 「9」인 경우가 정상이고, 「10」이상 및 「7」이하인 경우는 규격값 범위외인 것으로 한다. 단, 광학헤드(2)가 이동을 개시한 후 최초의 리니어 스케일 검출신호D의 펄스가 검지될 때 까지의 동안에는 가이드 트랙 횡단검지신호TD의 카운트값Na가 0∼9개의 범위이면 정상이라고 간주한다. 또, 광학헤드(2)가 목표 트랙으로 이동하는데 필요한 가이드 트랙 횡단검지신호의 수, 즉 목표 트랙 횡단수T를 「48」이라 가정한다. 제3도의 Tx는 토탈 카운터(34)의 카운트값을 나타내고 있고, 그 초기값은 T=48이라는 것이 표시되어 있다.
또, 광학헤드(2)의 반송용 모터의 구동은 가감속 제어에 의해서 실행하는 예를 도시한다. 제3도의 M은 모터구동신호M의 1예를 나타내고 있고, 이것은 속도명령값을 나타내고 있다. 도면에 도시된 특성은 트랙 시크 개시부터 목표 트랙의 대략 절반의 공정까지는 가속제어를 실행하고, 그것 이후는 감속제어를 실행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은 가속/감속제어는 트랙 시크에 필요로 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므로 유리하다.
또한, 스텝2∼8의 전환은 리니어 스케일 검출신호D의 펄스타이밍에 의해서 제어된다. 또, 처리시스템의 전환이나 제어용의 각종 신호의 발생등은 모두 제어부(21)의 제어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스텝 1]
트랙 시크 개시명령이 인가되면, 우선 소정의 초기화처리를 실행한다. 즉, 토탈 카운터(34)의 프리세트 입력에 목표 트랙 횡단수T=48의 데이터가 입력되고 프리세트된다. 또, 감산모드 지정신호SUB가 토탈 카운터(34)에 입력되고 상기 카운터가 감산모드에서 동작하는 상태로 설정된다. 또, 구간 카운터(31)의 카운트내용을 클리어신호C에 의해서 0으로 리세트한다. 또, 비교기(32)에는 기준값 데이터Nb=9가 인가되고 프리세트된다. 물론 제어부(21)로 부터의 구동신호에 의해서 레이저 구동회로(22)가 구동되어 레이저원(23)이 점등되고 광카드(1)에 레이저 광빔이 조사된다. 이 초기화처리의 종료후 다음의 스텝 2로 이행한다.
[스텝 2]
스텝 2가 되면, 광학헤드 반송용 모터구동회로(25)를 거쳐서 광학헤드 반송용 모터코일(14)에 모터구동신호M을 인가하고, 광학헤드(2)를 Y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개시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처음에는 모터구동신호M (속도명령값)이 서서히 증대하여 가속 제어가 이루어진다. 광학헤드(2)가 이동함에 따라서 광카드(1)상을 광빔이 가이드 트랙(4)를 횡단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정상이면 광빔이 1개의 가이드 트랙(4)를 횡단할 때마다 가이드 트랙 횡단검지신호TD의 1펄스가 파형정형회로(29)로부터 출력한다.
제3도의 예에 있어서는 스텝 2에서 가이드 트랙 횡단검지신호TD가 2펄스 도래한 시점에서 리니어 스케일 검출신호D가 얻어지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그 동안에 토탈 카운터(34)는 2펄스분의 가이드 트랙 횡단검지신호TD를 OR게이트(30)을 거쳐서 받아들여 이것을 감산 카운트하여 그 카운트값Tx는 48-2=46으로 된다. 한편, 구간 카운터(31)은 2펄스분의 가이드 트랙 횡단검지신호TD를 가산하고, 그 카운트값 데이터는 Na=2로 된다.
리니어 스케일 검출신호D의 도래에 응답해서 비교명령신호COM이 발생되어 비교기(32)에서 Na와 Nb의 비교를 실행한다. 스텝 2에 있어서는 최초의 리니어 스케일 검출신호D를 검출하므로, 상기 초기비교조건식이 적용된다. 따라서, 이 예에 있어서의 Nb=9, Na=2의 상태는 정상이라고 간주되어 보정동작은 실행되지 않는다.
[스텝 3]
상기 리니어 스케일 검출신호D의 도래에 따른 비교처리 후, 스텝 3으로 전환하여 먼저 클리어신호C를 구간 카운터(31)로 송출하고 카운트값 데이터Na를 0으로 한다. 이것에 의해 구간 카운터(31)은 가이드 트랙 횡단검지신호TD의 카운트를 0부터 개시한다.
제3도의 예에 있어서는 스텝 3에서 가이드트랙 횡단검지신호TD가 8펄스 도래한 시점에서 리니어 스케일 검출신호D가 얻어지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그 동안 토탈 카운터(34)는 8펄스분의 가이드 트랙 횡단검지신호TD를 OR게이트(30)을 거쳐서 받아들여 이것을 감산 카운트하여 그 카운트Tx는 46-8=38로 된다. 한편, 구간 카운터(31)은 8펄스분의 가이드트랙 횡단검지신호TD를 가산하고, 그 카운트값 데이터는 Na=8로 된다.
리니어 스케일 검출신호D의 도래에 응답해서 비교명령신호COM이 발생되어 비교기(32)에서 Na와 Nb의 비교를 실행한다. 스텝 3에 있어서는 상기 통상의 비교조건식이 적용된다. 이 경우 Nb=9, Na=8이기 때문에 상기 통사의 비교조건식(1)을 만족하므로, 가이드 트랙 횡단검지동작은 정상적으로 실행되었다고 간주하여 보정동작은 실행되지 않는다.
[스텝 4]
상기 리니어 스케일 검출신호D의 도래에 따른 비교처리 후, 스텝 4로 전환하여 상기와 마찬가지로 구간 카운터(31)은 가이드 트랙 횡단검지신호TD의 카운트를 재차 0부터 개시한다.
제3도의 예에 있어서는 스텝 4에서 가이드 트랙 횡단검지신호TD가 3펄스 도래한 시점에서 리니어 스케일 검출신호D가 얻어지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즉, 본래 검지되어야 했던 6개의 펄스TD′(도면에서는 점선으로 표시)가 가이드 트랙 횡단검지신호TD로부터 결락한 예가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그 동안 토탈 카운터(34)는 3펄스분의 가이드 트랙 횡단검지신호TD를 OR게이트(30)을 거쳐서 받아들여 이것을 감산 카운트하고, 그 카운트값Tx는 38-3=35로 된다. 한편, 구간 카운터(31)은 3펄스분의 가이드 트랙 횡단검지신호TD를 가산하고, 그 카운트값 데이터는 Na=3로 된다.
리니어 스케일 검출신호D의 도래에, 응답해서 비교명령신호COM이 발생되어 비교기(32)에서 Na와 Nb의 비교를 실행한다. 스텝 4에 있어서는 상기 통상의 비교조건식이 적용된다. 이 경우 Nb=9, Na=3이므로 상기 통상의 비교조건식(2)중 Na<Nb-1을 만족한다. 따라서 도래한 가이드 트랙 횡단검지신호TD의 수「3」은 이상이라고 간주되어 다음과 같이 보정동작이 실행된다.
즉, 비교기(32)는 보정데이타Nc로서 Nc=Nb-Na=9-3=6을 보정펄스발생기(33)으로 송출한다. 보정펄스발생기(33)은 보정데이타Nc를 받으면 즉시 6개의 보정펄스Pc를 발생하지만, 단 가산모드 지정신호ADD는 발생하지 않는다. 이것에 의해, 토탈 카운터(34)에서는 또 6펄스를 감산하여 그 카운트값Tx는 35-6=29로 된다. 이렇게 해서 결락한 6개의 가이드 트랙 횡단검지펄스를 보충해서 감산 카운트하는 보상이 이루어진다.
[스텝 5]
상기 리니어 스케일 검출신호D의 도래에 따른 비교처리 후, 스텝 5로 전환하여 상기와 마찬가지로 구간 카운터(31)은 가이드 트랙 횡단검지신호TD의 카운트를 재차 0부터 개시한다.
제3도의 예에서는 스텝 5의 과정에서 광학헤드(2)는 목표 이동 거리의 대략 절반에 도달하고, 모터구동신호M이 감속모드로 전환된다.
또, 제3도의 예에 있어서는 이 스텝 5에서 가이드 트랙 횡단검지신호TD가 11펄스 도래한 시점에서 리니어 스케일 검출신호D가 얻어지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그 동안 토탈 카운터(34)는 11펄스를 감산 카운트하여 그 카운트값Tx는 29-11=18로 된다. 한편, 구간 카운터(31)은 11펄스분의 가이드 트랙 횡단검지신호TD를 가산하여 그 카운트값 데이터는 Na=11로 된다. 비교기(32)에서는 Nb=9, Na=11이므로 상기 통상의 비교조건식(2)중 Na>Nb를 만족한다. 따라서 도래한 가이드 트랙 횡단검지신호TD의 수「11」은 이상이라고 간주되어 다음과 같이 보정동작이 실행된다.
즉, 비교기(32)는 보정데이타Nc로서 Nc=Nb-Na=9-11=-2를 보정펄스발생기(33)으로 송출한다. 보정펄스발생기(33)은 보정데이타Nc를 받으면 즉시 2개의 보정펄스Pc를 발생하고 또한 Nc의 부호가 부이므로 가산모드 지정신호ADD를 발생한다. 이것에 의해, 토탈 카운터(34)에서는 2펄스를 가산하여 그 카운트값Tx는 18+2=20으로 된다. 이렇게 해서 이 스텝의 동작으로 토탈 카운터(34)는 결국 가감산합계 9개 감산한 것이 된다. 가산모드 지정신호ADD는 즉시 소거되고 토탈 카운터(34)는 감산 모드 지정상태로 되돌아 간다.
[스텝 6]
상기 리니어 스케일 검출신호D의 도래에 따른 비교처리 후, 스텝 6으로 전환하여 상기와 마찬가지로 구간 카운터(31)은 가이드 트랙 횡단검지신호TD의 카운트를 재차 0부터 개시한다.
제3도의 예에서는 이 스텝 6에서 가이드 트랙 횡단검지신호TD가 8펄스 도래한 시점에서 리니어 스케일 검출신호D가 얻어지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스텝 3과 마찬가지로 정상시의 제어동작이 실행되고, 결국 토탈 카운터(34)의 카운트값Tx는 20-8=12로 된다.
[스텝 7]
상기 리니어 스케일 검출신호D의 도래에 따른 비교처리 후, 스텝 7로 전환하여 상기와 마찬가지로 구간 카운터(31)은 가이드 트랙 횡단검지신호TD의 카운트를 재차 0부터 개시한다.
제3도의 예에서는 이 스텝 7에서 가이드트랙 횡단검지신호TD가 9펄스 도래한 시점에서 리니어 스케일 검출신호D가 얻어지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스텝 3과 마찬가지로 정상시의 제어동작이 실행되고, 결국 토탈 카운터(34)의 카운트값Tx는 12-9=3으로 된다.
[스텝 8]
상기 리니어 스케일 검출신호D의 도래에 따른 비교처리 후, 스텝 8로 전환하여 상기와 마찬가지로 구간 카운터(31)은 가이드트랙 횡단검지신호TD의 카운트를 재차 0부터 개산한다.
이 스텝 8에서는 가이드 트랙 횡단검지신호TD가 3펄스 도래한 시점에서 토탈 카운터(34)의 카운트값Tx는 3-3=0으로 되고, 0카운트 도달검출신호T0이 출력된다. 이것에 따라서 제어부(21)은 광학헤드 반송용 모터구동회로(25)로의 구동명령신호를 오프로 하고 모터를 정지시킨다. 모터구동신호M이 0으로 되면 광학헤드(2)의 이동이 정지한다. 이렇게 해서 광학헤드(2)가 목표 트랙 근방에 위치결정된다.
이상까지의 처리가 퍼점프제어에 의한 트랙 시크 처리이고, 광학헤드(2)는 목표 트랙 근방에 위치결정된다. 퍼점프제어에 의한 트랙 시크가 종료한 후 이번에는 목표 트랙으로의 광빔의 정밀한 위치결정이 실행된다. 즉, 광빔이 현재 위치하고 있는 트랙번호의 리드르 실행하고, 만일 광빔이 목표의 트랙번호에 위치하고 있지 않다면 이번에는 광학헤드(2)를 이동시키는 것이 아니라 트랙킹 코일(16)을 구동해서 대물렌즈(13)을 이동하고, 광빔을 가이드 트랙(4)를 횡단하는 방향으로 미세 조정 이동하여 상기 광빔이 목표 트랙상에 오도록 제어한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광학헤드(2)의 일정 이동거리에 대응하는 1구간내에서의 트랙 횡단수를 규정하는 규정 범위값으로 해서 1개의 기준값Nb 뿐만 아니라 그것보다 1적은 값 Nb-1도 포함하도록 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특히 목표 트랙이 정보기록영역(미디어부3)의 끝부에 있는 경우에 광학헤드(2)의 오버랩을 방지할 수 있다. 즉, 광학헤드(2)의 광빔을 정보기록영역으로부터 어긋나게 하지 않고 목표의 트랙번호의 위치나 또는 그의 앞에서 정지시킬 수 있다.
즉, 기준값으로서 어떤 범위(실시예에서는 Nb와 Nb-1의 범위)를 설정하는 것에 의해, 그 범위내이면 보정하지 않도록 하는 것에 의해서 가이드트랙 간격의 배수가 위치검출신호에 의해 확정되는 1보정 구간의 거리와 반드시 정확하게는 일치하지 않는 것에 의한 1보정 구간내에 정상적인 트랙 횡단수의 편차에 대처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트랙 횡단수의 검지와 계수가 정상적으로 실행되고 있는 경우라도 그 트랙 횡단수는 Nb 또는 Nb-1중 어느쪽인가로 치우치게 되는 일이 있으므로, 그것에 대처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이 기준값에 어떤 범위를 갖게하는 한편, 그 범위에서 벗어난 경우는 보정데이타Nc를 구하기 위한 연산에 있어서는 그 기준범위의 상한값(Nb)을 기준으로 해서 트랙 횡단수 카운트값Na와의 차를 구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조금 많은 보정이 실행되게 된다. 즉, 실제로는 보정데이타로서 Nc=(Nb-1)-Na를 사용한 보정을 실행해도 좋은 것을 Nc=Nb-Na의 보정 즉 1만큼 여분을 두고 보상하는 보정이 실행되게 된다. 이것에 의해서 목표 트랙의 약간 앞에서 정지하는 일은 일어날 수 있지만, 목표 트랙을 지나쳐간 후 정지하는 일은 일어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목표 트랙이 정보기록영역(미디어부(3))의 끝부에 있는 경우는 목표의 트랙을 지나쳐간 후 정지하는 일은 일어나지 않고 목표대로 트랙위치나 또는 그의 약간 앞에서 정지시킬 수 있어, 광학헤드(2)의 오버런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광빔이 광카드(1)의 정보기록영역(미디어부(3))으로부터 벗어나서 트랙 시크 불능으로 되는 사태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트랙 시크할 때 광학헤드(2)를 이동하도록 하였지만, 광카드(1)쪽을 이동하도록 해도 좋고, 또는 광학헤드(2)와 광카드(1)의 쌍방을 상대적으로 이동하도록 해도 좋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보정펄스Pc를 OR게이트(30)을 거쳐서 토탈 카운터(34)에 입력해서 보정하는 방법을 취하고 있지만, 구체적인 보정연산의 알고리즘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가이드 트랙 횡단검지신호TD를 토탈 카운터(34)에 입력하지 않고, 구간 카운터(31)의 카운트값을 토탈 카운터(34)의 카운트값에서 연산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고, 그와 같은 경우는 구간 카운터(31)의 카운트값 데이터Na에 대해서 보정데이타Nc를 가산(또는 감산)한 결과를 토탈 카운터(34)의 카운트값에서 감산하도록 해도 좋다.
또, 토탈 카운터(34)에 초기시에 목표 트랙까지의 가이드 트랙 횡단수T를 입력하고, 감산동작에 의해서 이 토탈 카운터(34)의 카운트값Tx가 0으로 될 때까지 광학헤드(2)를 이동하도록 하였지만, 제어법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 것은 물론이다. 예를 들면 토탈 카운터(34)를 초기시에 0으로 클리어하고, 가이드 트랙 횡단검지신호TD 및 보정데이타Nc에 따라서 가산동작시키고(물론 보정데이타Nc의 값에 따라서는 감산동작), 상기 토탈 카운터(34)의 카운트값이 목표 트랙까지의 가이드트랙 횡단수T와 일치할 때까지 광학헤드(2)를 이동하도록 해도 좋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1회분의 보정구간에 대응하는 광학헤드 이동거리는 리니어 스케일 센서(12)의 증분 펄스의 발생간격에 대응하고 있고 어느 구간에서도 일정하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적절히 가변으로 해도 좋다. 그 경우는 그 구간마다의 이동거리에 대응해서 기준값Nb의 값을 적절히 변화하는 것은 물론이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1회분의 보정구간을 확정하기 위한 비교명령신호COM은 리니어 스케일 센서(12)의 증분 펄스의 1펄스의 대응해서 발생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수펄스에 대응해서 발생하도록 해도 좋다. 또, 위치검출수단으로서 절대형 위치검출기를 사용한 경우는 광학헤드 이동량을 나타내는 절대위치 검출신호가 1회분의 보정구간에 대응하는 이동량만큼 변화한 것을 연산등에 의해서 검출하고, 이것에 따라 비교명령신호COM을 발생하도록 하는 것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2도 및 제3도는 회로수단을 사용해서 구성을 설명하였지만,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사용해서 회로수단의 일부를 임의로 분담시키고 그 기능을 달성할 수 있다는 것은 명백하다.
이상 설명한 실시예에서는 정보기록매체로서 광카드(1)을 사용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고 있지만, 광학적 정보기록 디스크등 그밖의 정보기록매체에도 본 발명을 이용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정보기록매체상의 흠집이나 먼지등에 의해서 수광신호에 따른 트랙 횡단수의 검지/계수에 결함/에러가 존재하는 경우라도 위치검출기의 검출신호에 따라서 광학헤드가 소정 거리 이동할 때마다 이것을 수정하는 처리를 실행하므로, 광빔을 안정하고 또한 고속으로 시크동작을 하게 한다는 큰 효과를 얻는다. 또, 광빔과 정보기록매체와의 상대속도의 변화가 있어도 그 영향을 받지 않고 확실하게 시크동작을 실행할 수 있으므로, 광빔의 주사속도 즉 광학헤드의 이동속도를 최적하게 가속/감속 제어하는 것에 의해 트랙 시크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Claims (8)

  1. 여러개의 트랙이 형성된 광학식 정보기록매체에 대해서 상기 트랙을 횡단하는 방향으로 광빔을 주사하고 그 반사광의 수광신호에 따라 상기 광빔에 의한 트랙 횡단수를 계수하는 것에 의해, 상기 광빔이 위치하고 있는 트랙을 판단하도록 한 광학적 정보기록 재생장치에 있어서의 트랙 시크방법에 있어서, 상기 광빔을 발사하는 광학헤드의 상기 정보기록매체에 대한 상대적 위치를 위치검출기에 의해서 검출하고, 이것에 따라 상기 광빔의 주사를 위해 상기 광학헤드가 소정 거리 이동하는데 대응해서 검출신호를 발생하는 제1의 스텝, 상기 검출신호에 따라서 상기 광학헤드가 소정 거리 이동하는 동안에 있어서 상기 수광신호에 따라 계수된 트랙 횡단수와 상기 이동 거리에 대응하는 소정의 기준값을 비교 조합하고, 그 오차에 대응한 트랙 횡단수 보정데이타를 발생하는 제2의 스텝 및 이 트랙 횡단수 보정데이타에 의해서 상기 트랙 횡단수의 계수값을 수정하는 제3의 스텝을 구비한 광학적 정보기록 재생장치에 있어서의 트랙 시크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의 스텝에 있어서 상기 기준값은 소정의 범위를 갖고 있고, 상기 수광신호에 따라 계수된 트랙 횡단수가 이 기준값의 범위내에 있지 않을 때 그 오차에 대응한 트랙 횡단수 보정데이타를 발생하도록 한 광학적 정보기록 재생장치에 있어서의 트랙 시크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값의 범위에 있어서의 상한값과 상기 트랙 횡단수의 계수값을 연산하는 것에 의해, 상기 오차에 대응한 트랙 횡단수 보정 데이타를 얻도록 한 광학적 정보기록 재생장치에 있어서의 트랙 시크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의 스텝에 있어서, 상기 트랙 횡단수 보정데이타에 대응하는 수의 보정펄스를 발생하고, 이 보정펄스를 상기 트랙 횡단수의 계수값에 대해서 가산 또는 감산하는 것에 의해, 그 수정을 실행하도록 한 광학적 정보기록 재생장치에 있어서의 트랙 시크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헤드가 소정 거리 이동할 때마다 상기 위치검출신호를 반복 발생하고, 이것에 따라서 헤드가 소정 거리 이동할 때마다 상기 수정을 실행하도록 한 광학적 정보기록 재생장치에 있어서의 트랙 시크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식 정보기록매체는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여러개의 데이터 트랙과 각 데이터 트랙 사이에 배열된 가이드 트랙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광빔이 가이드 트랙을 횡단한 것을 검지하는 것에 따라 트랙 횡단수의 계수를 실행하는 광학적 정보기록 재생장치에 있어서의 트랙 시크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식 정보기록매체는 광카드인 광학적 정보기록 재생장치에 있어서의 트랙 시크방법.
  8. 여러개의 트랙이 형성된 광학식 정보기록매체의 대해서 광빔을 조사하고 그 반사광을 수광하는 광학헤드, 상기 광학헤드를 상기 정보기록매체에 대해서 상기 트랙을 횡단하는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이동하는 반송수단, 트랙 시크시에 있어서 상기 광학헤드의 수광신호에 따라 상기 광빔이 의한 트랙 횡단수를 검지하고, 이것을 피드백값으로 해서 바라는 목표 트랙의 근방에 위치결정하도록 상기 반송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수단, 상기 정보기록매체에 대한 상기 광학헤드의 상대적 이동량을 검출하는 위치검출수단 및 상기 위치검출수단의 출력에 따라 상기 광학헤드가 소정 거리 이동하는 구간에 있어서 검지된 상기 트랙 횡단수와 상기 구간에 대응하는 소정의 기준값을 비교조합하고, 그 오차에 대응하는 트랙 횡단수 보정데이타를 발생하는 보정수단을 구비하고, 이 트랙 횡단수 보정데이타에 의해서 상기 제어수단에 있어서의 피드백값을 수정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적 정보기록 재생장치에 있어서의 트랙 시크장치.
KR1019940032772A 1993-12-10 1994-12-05 광학적 정보기록 재생장치에 있어서의 트랙 시크방법 및 장치 KR10027719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340921A JP2928849B2 (ja) 1993-12-10 1993-12-10 光学的情報記録再生装置におけるトラックシーク方法及び装置
JP93-340921 1993-12-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0474A KR950020474A (ko) 1995-07-24
KR100277196B1 true KR100277196B1 (ko) 2001-01-15

Family

ID=183415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32772A KR100277196B1 (ko) 1993-12-10 1994-12-05 광학적 정보기록 재생장치에 있어서의 트랙 시크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5515349A (ko)
EP (1) EP0657877B1 (ko)
JP (1) JP2928849B2 (ko)
KR (1) KR100277196B1 (ko)
CN (1) CN1052324C (ko)
AU (1) AU671048B2 (ko)
CA (1) CA2137220C (ko)
DE (1) DE69416096T2 (ko)
TW (1) TW27361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96686A (en) * 1994-09-01 1998-08-18 Kabushiki Kaisha Toshiba Track jump control apparatus for disc reproducing system
JPH0877574A (ja) * 1994-09-08 1996-03-22 Canon Inc 情報記録再生装置
NL1002671C2 (nl) * 1996-03-21 1997-09-23 Hollandse Signaalapparaten Bv Lees/schrijfinrichting voor optische media.
KR100563682B1 (ko) * 1998-08-21 2006-06-19 엘지전자 주식회사 편심디스크의 트랙이동방법
JP2000123501A (ja) * 1998-10-14 2000-04-28 Alps Electric Co Ltd ディスク装置におけるヘッド制御装置
JP2002251750A (ja) 2001-02-27 2002-09-0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フィード制御量の補正方法
KR20030084399A (ko) * 2002-04-26 2003-11-01 삼성전기주식회사 광 디스크의 트랙 편차 보정방법
TWI342015B (en) * 2007-01-05 2011-05-11 Quanta Storage Inc Device and method for compensating signal in a light-scribe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85015A (en) * 1979-12-10 1981-08-18 Sperry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locating a movable servo controlled member during position signal drop-out
KR940002001B1 (ko) * 1985-03-22 1994-03-12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찌세이사꾸쇼 액세스 방법과 그 정보 검색장치
DE3618137A1 (de) * 1985-05-31 1986-12-11 Hitachi, Ltd., Tokio/Tokyo Bildplatten-zugriffsverfahren und bildplattenspeicher
JPH0664864B2 (ja) * 1985-12-26 1994-08-22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トラツクカウンタ
JP2557896B2 (ja) * 1987-07-31 1996-11-27 株式会社東芝 ディスク装置
JPH0652573B2 (ja) * 1988-05-13 1994-07-06 シャープ株式会社 光カード記録再生装置
JPH0450676A (ja) * 1990-06-12 1992-02-19 Kansai Electric Power Co Inc:The 電子制御基坂の診断装置
JP2539539B2 (ja) * 1990-09-18 1996-10-0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光情報記憶装置
KR920006926A (ko) * 1990-09-29 1992-04-28 정용문 광디스크 구동장치의 트랙편심 보정 방법 및 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928849B2 (ja) 1999-08-03
KR950020474A (ko) 1995-07-24
EP0657877A1 (en) 1995-06-14
CN1052324C (zh) 2000-05-10
AU671048B2 (en) 1996-08-08
JPH07169067A (ja) 1995-07-04
TW273617B (ko) 1996-04-01
DE69416096T2 (de) 1999-07-08
CA2137220C (en) 1998-05-26
CN1122502A (zh) 1996-05-15
AU8029294A (en) 1995-07-27
DE69416096D1 (de) 1999-03-04
US5515349A (en) 1996-05-07
CA2137220A1 (en) 1995-06-11
EP0657877B1 (en) 1999-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37757A (en) Optical recording/reproducing device
EP0588385B1 (en)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of optical card
KR100277196B1 (ko) 광학적 정보기록 재생장치에 있어서의 트랙 시크방법 및 장치
US4982393A (en) Information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provided with means for detecting abnormality of tracking servo
EP0536737B1 (en) Information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for optical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US5115421A (en) Optical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US5293365A (en) Track control circuit for optical card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US5105072A (en) Optical information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having stopping position deviation and correction circuitry relative to movement in the track direction
JP2854131B2 (ja) 光ビームがデータトラックから離れたことを検知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光ビームがデータトラックから離れたことを検知するための検知回路
KR0176545B1 (ko) 광디스크 시스템의 광픽업 이동거리 제어방법
EP0716420B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with means for outputting signal representing relative position between head and medium
EP1581936B1 (en) Device for playing optical discs
US5737282A (en) Optical disk apparatus and track access control method utilizing positioned shift between scanning beams
US5350910A (en) Optical card processing apparatus with means for determining a relative position between head and card
JP2685637B2 (ja) 光学的情報記録再生装置
KR910700520A (ko) 광학식 픽업
JP2741961B2 (ja) 光学的情報記録再生装置
JP3552130B2 (ja) 光デイスク記録再生装置
JP3959724B2 (ja) 光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
JPH10255414A (ja) 情報記録再生装置
KR19980061669A (ko) 광디스크 플레이어의 피드 이송 장치
JPS6213749B2 (ko)
JP2001118259A (ja) 光学的情報記録再生装置
JPH0198169A (ja) トラック検索装置
JPS59116944A (ja) 光学式記録再生装置のランダムアクセス方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92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