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76862B1 - 방화셔터용 폐쇄기의 직류전원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방화셔터용 폐쇄기의 직류전원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76862B1
KR100276862B1 KR19980007533A KR19980007533A KR100276862B1 KR 100276862 B1 KR100276862 B1 KR 100276862B1 KR 19980007533 A KR19980007533 A KR 19980007533A KR 19980007533 A KR19980007533 A KR 19980007533A KR 100276862 B1 KR100276862 B1 KR 1002768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utter
power
fire
power supply
transfor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99800075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19324A (ko
Inventor
박영환
Original Assignee
박영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영환 filed Critical 박영환
Priority to KR199800075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76862B1/ko
Publication of KR199800193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93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68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6862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80Safety measures against dropping or unauthorised opening; Braking or immobilising devices; Devices for limiting unrolling
    • E06B9/82Safety measures against dropping or unauthorised opening; Braking or immobilising devices; Devices for limiting unrolling automatic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68Operating devices or mechanisms, e.g. with electric drive
    • E06B2009/6809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화셔터용 폐쇄기의 전원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화재 등의 비상시 건물의 전원(AC 전원)이 차단될 경우 연동 제어기에서 공급되는 24V의 직류전원을 증폭하고 이를 대형 전해 콘덴서에 일정시간 축적하여 매인 솔레노이드에 공급토록 함으로써, 직류전원만으로 방화셔터용 폐쇄기의 동작을 완벽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셔터용 폐쇄기의 직류전원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방화셔터용 폐쇄기의 직류전원 공급장치
본 발명은 방화셔터용 폐쇄기의 전원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화재 등의 비상시 건물의 전원(AC 전원)이 차단될 경우 연동 제어기에서 공급되는 24V의 직류전원을 증폭하고 이를 대형 전해 콘덴서에 일정시간 축적하여 매인 솔레노이드에 공급토록 함으로써, 직류전원만으로 방화셔터용 폐쇄기의 동작을 완벽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셔터용 폐쇄기의 직류전원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범 및 방화용 셔터는 백화점, 호텔, 금융기관, 상가 등 사람의 출입이 많은 건물에 설치되는 것으로, 화재시 셔터가 내려와 화재가 일어난 구역을 봉쇄하고, 그 구역에 있던 사람을 셔터와 함께 설치된 비상문을 통해 빠져 나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1은 종래 방범 및 방화용 셔터의 개략 구성도를 도시한 것으로, 방범 및 방화용 셔터(50)는 열 또는 연기에 의해 동작되는 화재 감지기(60)가 건물에 설치되고, 이 화재 감지기(60)는 셔터(50)를 제어하는 연동 제어기(70)와 연결되며, 상기 연동 제어기(70)는 셔터(50)를 승강시키는 전동 개폐기(80)와 연결되고, 상기 전동 개폐기(80)는 셔터(50)의 승강구간을 제어하기 위해 연동 제어기(70)와 연결된 폐쇄기(9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에서 폐쇄기(90)는 전동 개폐기(80)의 일측 상부에 고정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 셔터(50)의 하강 제어장치는 먼저 화재 감지기(60)가 화재를 감지하여 감지된 신호를 연동 제어기(70)에 보내면 연동 제어기(70)에서 DC 24V를 출력시켜 폐쇄기(90)를 동작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도 1 내지는 도 3에 도시한 바와같이 소형 솔레노이드(91)에 형성된 작동로드(91a)가 당겨져 작동로드(91a)의 단부에 고정된 연결편(92)이 힌지 록 레버(93)를 힌지(93a) 중심으로 회전시켜 스프링 레버(94)의 걸림편(94a)이 상기 힌지 록 레버(93)의 스톱롤(93b)에서 해제됨에 따라 스프링 레버(94)는 스프링(94b)의 반발력에 이해 전진하여 스프링 레버(94)의 일단부에 고정된 푸시편(94c)이 전동 개폐기(80)의 브레이크 레버(81)를 전진시켜 전동 개폐기(80)의 브레이킹이 해제되어 전동 개폐기(80)의 기어축(82)이 회전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전동 개폐기(80)의 브레이킹이 해제됨에 따라 전동 개폐기(80)의 기어축(82)과 체인(83)으로 연결되고, 셔터박스(51)에 권취되어 있는 셔터(50)가 자중에 의해 양 가이드 레일(52)을 따라 하강하여 셔터(50)가 완전히 하강하면, 전동 개폐기(80)에 내장된 스위치(도시하지 않음)의 신호에 따라 폐쇄기(90)를 구성하는 대형 솔레노이드(95)가 작동하여 대형 솔레노이드(95)에 형성된 작동로드(95a)의 단부에 고정된 연결편(96)에 걸림되어 있어 스프링 레버(94)는 후진되어 원위치로 복귀가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스프링 레버(94)의 일단부에 고정된 푸시편(94c)이 원위치 됨에 따라 전동 개폐기(80)의 브레이크 레버(81)가 후진하여 전동 개폐기(80)의 브레이킹이 이루어져 전동 개폐기(80)의 기어축(82) 회전이 정지되어 셔터(50)의 하강이 정상적으로 종료되는 것이다.
도면 중 미설명부호 54는 비상문(53)에 설치된 스프링 경첩이고, 97은 AC 전원차단 및 공급 신호용 리미트 스위치이며, 98은 DC 전원 차단 및 화재경보용 리미트 스위치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셔터(50)의 하강 제어는 전동 개폐기(80)에 설치된 브레이크 레버(81)를 폐쇄기(90)에 설치된 스프링 레버(94)의 전후진 동작에 따라 이루어지게 되는바, 이는 소형 솔레노이드(91)의 동작에 따라 스프링 레버(94)가 전진하여 셔터(50)가 하강하게 되고, 이후 대형 솔레노이드(95)의 동작에 의해 셔터(50)의 하강이 종료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셔터(50)의 하강제어가 정상적으로 작동시에는 별다른 문제점이 없으나, 상기 셔터(50)의 하강 구간을 제어하기 위해 브레이크 레버(81)를 브레이킹 시키는 대형 솔레노이드(95)가 작동하지 않을 경우에는 인명과 직결되는 커다란 문제점이 발생된다.
즉, 화재로 인해 건물 내에 전원(AC)이 차단되는 경우(일반적으로 건물의 화재시에는 첫째, 전기의 누전 등으로 인해 전기가 자연 발생적으로 차단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고, 둘째 전기 누전 등을 이유로 전원을 화재 즉시 임의로 차단시키는 경우가 있다.)에는 셔터(50)의 하강 구간을 제어하는 대형 솔레노이드(95)에는 전원 공급이 차단되어 작동이 안되기 때문에 브레이크 레버(81)의 제어(즉, 전동 개폐기를 브레이킹 시키는 것)가 불가능하여 셔터(50)는 자중에 의해 정해진 구간 이상으로 내려오기 때문에 셔터(50)와 함께 내려온 비상문(53)이 열리지 않게 되어(즉, 셔터와 함께 내려온 비상문을 측면에서 보면 마치 뱀 형상처럼 꾸불꾸불한 형태로 아래로 처져 있게 되어 비상문이 열리지 않게 되는 것이다.) 비상문(53)을 통해 화재 구역에 있는 사람의 탈출 및 구출이 불가능하게 되어 결국 비상문(53)의 기능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는 중대한 결함을 갖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코자 하는 것으로, 소형 솔레노이드에 공급되는 직류 전원을 이용하여 대형 솔레노이드에 증폭된 직류전압을 공급하여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대형 전원과 관계없이 소형 전원만으로 독립적으로 운행되도록 하며, 따라서 종래 처럼 셔터가 정상구간 이상 내려와 셔터와 함께 내려온 비상문이 열리지 않는 경우가 발생되는 일이 없도록 하여, 비상문의 정상 작동(열림 동작)으로 인명의 탈출 및 인명을 안전하게 구출할 수 있도록 전원공급장치를 설계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은 전동 개폐기에 내장된 리미트 스위치의 접점에 따라 연동되어 대형 솔레노이드를 접점시키는 릴레이와;
릴레이가 접점되기 전까지 연동 제어기에서 출력되는 DC 24V의 전압을 일정하게 유지시켜 출력하는 제너 다이오드와;
상기 제너 다이오드를 통한 직류 전원을 입력하여 교류 전원으로 변환하며, 트랜스포머의 스위칭 시간을 설정하는 마이크로 칩과;
상기 마이크로칩에서 변환된 교류전압을 일정 비율로 승압시키기 위한 트랜스포머와;
마이크로 칩의 출력단이 베이스단에 연결되어 상기 트랜스 포머의 입력측을 통과하는 전원의 흐름을 단속하는 스위칭 트랜지스터와;
상기 트랜스 포머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스위칭 트랜지스터가 전원을 차단하는 시간동안 제공되는 전압을 축척하는 콘덴서와;
상기 콘덴서와 병렬로 연결되며 전동 개폐기에 내장된 리미트의 접점에 의해 릴레이가 동작시 스위칭되어 이때까지 콘덴서에 축척된 전압을 대형 솔레노이드에 제공하는 대형 솔레노이드 스위칭 수단으로 구성함이 특징이다.
도 1은 종래의 방범 및 방화용 셔터의 구성도.
도 2는 도 1의 셔터 폐쇄기의 평면도.
도 3은 도 2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방범 및 방화용 셔터의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회로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직류전압 증폭장치 11: 릴레이
12: 마이크로 칩 13: 스위칭 트랜지스터
14: 승압용 변압기 15: 전해 콘덴서
50: 셔터 53: 비상문
60: 화재 감지기 70: 연동 제어기
80: 전동 개폐기 81: 브레이크 레버
90: 폐쇄기 91: 소형 솔레노이드
92, 96: 연결편 93: 레버
94: 스프링 레버 95: 대형 솔레노이드
이하에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리고 본 고안의 설명에서 종래와 동일 또는 동등한 부분은 같은 도면부호로 표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폐쇄기 구성 블록도로써, 소형 솔레노이드(91)에 형성된 작동로드(91a)가 당겨져 작동로드(91a)의 단부에 고정된 연결편(92)이 힌지 록 레버(93)를 힌지(93a) 중심으로 회전시켜 스프링 레버(94)의 걸림편(94a)이 상기 힌지 록 레버(93)의 스톱롤(93b)에서 해제됨에 따라 스프링 레버(94)는 스프링(94b)의 반발력에 이해 전진하여 스프링 레버(94)의 일단부에 고정된 푸시편(94c)이 전동 개폐기(80)의 브레이크 레버(81)를 전진시켜 전동 개폐기(80)의 브레이킹이 해제되어 전동 개폐기(80)의 기어축(82)이 회전 가능한 상태가 되도록 하는 방화 셔터용 폐쇄기에 있어서,
상기 소형 솔레노이드(91)의 우측면에 릴레이(11)와 마이크로 칩(12)과 스위칭 트랜지스터(13)와 승압용 변압기(14) 및 전하를 축적하는 전해 콘덴서(15)로 이루어진 직류전압 증폭장치(10)를 설치한 구성을 갖는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은 연동 제어기(70)에서 공급되는 직류전압을 이용하여 폐쇄기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바, 먼저 연기 또는 기준이상의 열이 감지되면 릴레이(11)를 제어하여 소형 솔레노이드(91)에 직류 24V 전원을 공급하여 소형 솔레노이드의 작동로드(91a)가 후퇴하도록 함으로써, 작동로드(91a)의 단부에 고정된 연결편(92)이 힌지 록 레버(93)를 힌지(93a) 중심으로 회전시켜 대형 솔레노이드(95)의 스프링 레버(94)의 걸림편(94a)이 상기 힌지 록 레버(93)의 스톱롤(93b)에서 해제됨에 따라 스프링 레버(94)는 스프링(94b)의 반발력에 의해 전진하여 스프링 레버(94)의 일단부에 고정된 푸시편(94c)이 전동 개폐기(80)의 브레이크 레버(81)를 전진시키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전동 개폐기(80)의 브레이킹이 해제됨에 따라 전동 개폐기(80)의 기어축(82)과 체인(83)으로 연결되고, 셔터박스(51)에 권취되어 있는 셔터(50)가 자중에 의해 양 가이드 레일(52)을 따라 하강하여 셔터(50)가 완전히 하강하면, 전동 개폐기(80)에 내장된 리미트 스위치(도시하지 않음)가 작동하여 셔터가 필요한 지점까지 내려왔음을 직류전압 증폭장치(10)에 전달한다.
그러면 상기 증폭장치(10)는 연동 제어기에서 제공되는 직류전압을 증폭하고 이를 대형 솔레노이드에 공급하여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동작을 하게 된다.
이하에서 상기 증폭장치(10)의 구체적인 상세구성을 도 5에 도시한 회로도를 참고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시한 바와같이 본 발명의 직류전압 증폭장치(10)는, 전동 개폐기(80)에 내장된 리미트 스위치(84)의 접점에 따라 연동되어 대형 솔레노이드를 접점시키는 릴레이(RL1, 11)와;
릴레이(11)가 접점되기 전까지 연동 제어기(70)에서 출력되는 DC 24V의 전압을 일정하게 유지시켜 출력하는 제너 다이오드(ZD1)와;
상기 제너 다이오드(ZD1)를 통한 직류 전원을 입력하여 교류 전원으로 변환하며, 트랜스포머의 스위칭 시간을 설정하는 마이크로 칩(12)과;
상기 마이크로칩(12)에서 변환된 교류전압을 일정 비율로 승압시키기 위한 트랜스포머(14)와;
마이크로 칩(12)의 출력단이 베이스단에 연결되어 상기 트랜스 포머(14)의 입력측을 통과하는 전원의 흐름을 단속하는 스위칭 트랜지스터(Q1, 13)와;
상기 트랜스 포머(14)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스위칭 트랜지스터(13)가 전원을 차단하는 시간동안 제공되는 전압을 축척하는 전해 콘덴서(C3, 15)와;
상기 콘덴서(15)와 병렬로 연결되며 전동 개폐기(80)에 내장된 리미트 스위치(84)의 접점에 의해 릴레이(11)가 동작시 스위칭되어 이때까지 전해 콘덴서(15)에 축척된 전압을 대형 솔레노이드(95)에 제공하는 대형 솔레노이드 스위칭 수단(16)으로 구성함을 알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하는 본 발명은 소형 솔레노이드(91)가 작동되면 동시에 DC 24V의 전압이 제너다이오드(ZD1)를 통해 제공되어 DC 24V의 일정한 전압을 출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너 다이오드(ZD1)를 통한 직류 전원을 마이크로 칩(12)에서 입력하여 교류 전원으로 변환하며, 트랜스포머(14)의 스위칭 시간을 설정하고, 상기 마이크로 칩(12)에서 변환된 교류전압을 트랜스포머(14)에서 일정 비율로 승압시키기게 된다.
이때 상기 마이크로 칩(12)의 출력단은 베이스단에 연결되어 트랜지스터(13)의 콜렉터단과 에미터단을 통해 상기 트랜스 포머(14)의 입력측을 통과하는 전원의 흐름을 단속하여 교류 전환을 유도한다.
그리고 상기 트랜스 포머(14)의 출력단에는 전해 콘덴서(15)가 연결되어 있는바, 스위칭 트랜지스터(13)가 전원을 차단하는 시간동안 제공되는 전압을 축척하게 되고, 이때 리미트 스위치(84)가 작동하면, 릴레이(11)가 접점되어 이와 동시에 대형 솔레노이드 스위치(16)가 접점 되게 된다.
그러면 이때까지 전해 콘덴서(15)에 축척된 전압을 대형 솔레노이드(95)에 제공하여 대형 솔레노이드(95)에 형성된 작동로드(95a)의 단부에 고정된 연결편(96)에 걸림되어 있어 스프링 레버(94)는 후진되어 원위치로 복귀가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스프링 레버(94)의 일단부에 고정된 푸시편(94c)이 원위치 됨에 따라 전동 개폐기(80)의 브레이크 레버(81)가 후진하여 전동 개폐기(80)의 브레이킹이 이루어져 전동 개폐기(80)의 기어축(82) 회전이 정지되어 셔터(50)의 하강이 정상적으로 종료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을 이용하면 연동 제어기(70)에서 제공되는 직류전압만을 이용하여 폐쇄기를 작동시킬 수 있으므로, 교류전원이 차단시에도 정상적으로 폐쇄기를 작동시킬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화재 등의 비상시 건물의 전원(AC 전원)이 차단될 경우 연동 제어기에서 공급되는 24V의 직류전원을 증폭하여 대형 솔레노이드에 공급토록 함으로써, 연동 제어기에서 제공되는 직류전원만으로 방화셔터용 폐쇄기의 동작을 완벽하게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셔터(50)를 승강시키는 전동 개폐기(80)와, 연동 제어기(70)에서 제공되는 전압으로 유동되어 셔터의 승강구간을 설정하는 폐쇄기(9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방화 셔터용 폐쇄기(90)에 있어서,
    전동 개폐기(80)에 내장된 리미트 스위치(84)의 접점에 따라 연동되어 대형 솔레노이드를 접점시키는 릴레이(11)와;
    상기 릴레이(11)가 접점되기 전까지 연동 제어기(70)에서 출력되는 DC 24V의 전압을 일정하게 유지시켜 출력하는 제너 다이오드(ZD1)와;
    상기 제너 다이오드(ZD1)를 통한 직류 전원을 입력하여 교류 전원으로 변환하며, 트랜스포머의 스위칭 시간을 설정하는 마이크로 칩(12)과;
    상기 마이크로칩(12)에서 변환된 교류전압을 일정 비율로 승압시키기 위한 트랜스포머(14)와;
    마이크로 칩(12)의 출력단이 베이스단에 연결되어 상기 트랜스 포머(14)의 입력측을 통과하는 전원의 흐름을 단속하는 스위칭 트랜지스터(13)와;
    상기 트랜스 포머(14)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스위칭 트랜지스터(13)가 전원을 차단하는 시간동안 제공되는 전압을 축척하는 전해 콘덴서(15)와;
    상기 콘덴서(15)와 병렬로 연결되며 전동 개폐기(80)에 내장된 리미트 스위치(84)의 접점에 의해 릴레이(11)가 동작시 스위칭되어 이때까지 전해 콘덴서(15)에 축척된 전압을 대형 솔레노이드(95)에 제공하는 대형 솔레노이드 스위칭 수단(16)으로 구성되는 직류전원 증폭장치(10)를 폐쇄기(90)에 내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셔터용 폐쇄기의 직류전원 공급장치.
KR19980007533A 1998-03-06 1998-03-06 방화셔터용 폐쇄기의 직류전원 공급장치 KR1002768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9980007533A KR100276862B1 (ko) 1998-03-06 1998-03-06 방화셔터용 폐쇄기의 직류전원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9980007533A KR100276862B1 (ko) 1998-03-06 1998-03-06 방화셔터용 폐쇄기의 직류전원 공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9324A KR19980019324A (ko) 1998-06-05
KR100276862B1 true KR100276862B1 (ko) 2001-01-15

Family

ID=562510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9980007533A KR100276862B1 (ko) 1998-03-06 1998-03-06 방화셔터용 폐쇄기의 직류전원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7686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260174A1 (en) 2016-06-20 2017-12-27 RF-Technologies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a fire damper or smoke evacuation shutter comprising locking mean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87698U (ja) * 1993-05-27 1994-12-22 松下精工株式会社 消音ボックス付送風機のモータスライド機構
KR960031786A (ko) * 1995-02-23 1996-09-17 랄프 홀거 베렌스·마프레드 크네취 전자기 작동식 연료분사 밸브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87698U (ja) * 1993-05-27 1994-12-22 松下精工株式会社 消音ボックス付送風機のモータスライド機構
KR960031786A (ko) * 1995-02-23 1996-09-17 랄프 홀거 베렌스·마프레드 크네취 전자기 작동식 연료분사 밸브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260174A1 (en) 2016-06-20 2017-12-27 RF-Technologies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a fire damper or smoke evacuation shutter comprising locking mea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9324A (ko) 1998-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9013647A (ja) 自重降下式シャッターにおける機械式避難時停止装置
US5850865A (en) Rolling fire door with delayed closing mechanism
KR100276862B1 (ko) 방화셔터용 폐쇄기의 직류전원 공급장치
JP2001220973A (ja) 建築用シャッター
JP4018505B2 (ja) 開閉体制御システム
JP2002081281A (ja) 防火シャッターの手動閉鎖機構
JP4781761B2 (ja) 自動復帰型自動閉鎖装置
KR100703009B1 (ko) 방화셔터 자동폐쇄장치
KR200400290Y1 (ko) 방화셔터 제어장치
JP3735805B2 (ja) シャッターにおける制御装置
KR0136993Y1 (ko) 방화 및 방범용 셔터의 하강 제어장치
KR200281076Y1 (ko) 방화셔터 제어장치
KR100419343B1 (ko) 방화셔터 제어장치
JPH0320478Y2 (ko)
JP4986524B2 (ja) シャッター装置
JP4018506B2 (ja) 開閉体制御システム
JP7267116B2 (ja) シャッター装置
JP4667073B2 (ja) 開閉体制御装置
JP7295727B2 (ja) シャッター
JP7396822B2 (ja) 開閉体装置及び開閉体制御方法
JP3289188B2 (ja) シャッターカーテン降下停止装置
JPH0616138Y2 (ja) 電動シヤツタ−の誤操作保護装置
KR200400289Y1 (ko) 방화셔터용 연동제어기 장치
JPH04166591A (ja) 開閉体の障害物検知装置
JP2001329768A (ja) 自動閉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7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9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1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9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8

Year of fee payment: 1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