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19343B1 - 방화셔터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방화셔터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19343B1
KR100419343B1 KR10-2001-0075243A KR20010075243A KR100419343B1 KR 100419343 B1 KR100419343 B1 KR 100419343B1 KR 20010075243 A KR20010075243 A KR 20010075243A KR 100419343 B1 KR100419343 B1 KR 1004193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utter
fire
switch
power
fire preven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52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44487A (ko
Inventor
강연구
Original Assignee
강연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연구 filed Critical 강연구
Priority to KR10-2001-00752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19343B1/ko
Publication of KR200300444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44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93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9343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68Operating devices or mechanisms, e.g. with electric driv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68Operating devices or mechanisms, e.g. with electric drive
    • E06B2009/6809Control
    • E06B2009/6818Control using 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셔터를 1차 하강시킨 후 원하는 위치에 정확하게 정지시킬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최초 설치시나 기존의 방화셔터에 설치시에 설치 작업을 간편히 하고 설치 시간도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한 방화셔터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방화셔터, 상기 방화셔터가 감기는 권취수단, 상기 방화셔터의 개폐 동력을 발생시키는 동력발생수단, 상기 동력발생수단에서 발생된 동력을 상기 권취수단에 전달하는 동력전달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방화셔터의 하강 중에 상기 방화셔터를 소정 시간동안 일시 정지시킨 후에 재하강시키도록 된 방화셔터 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방화셔터의 상기 일시 정지 높이와 관련하여 상기 동력전달수단의 미리 정해진 위치에 장착되는 스위치수단; 상기 스위치수단을 온/오프시키는 스위치 조작수단 및 상기 스위치수단이 미리 정해진 상태로 동작하는 경우에 상기 방화셔터가 상기 일시 정지 동작을 하도록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구성에서, 상기 동력전달수단은 체인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스위치 수단은 리드 스위치로 이루어지며, 상기 스위치 조작수단은 영구자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Description

방화셔터 제어장치{fireproof shutter control apparatus}
본 발명은 방화셔터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셔터 폐쇄 과정에서 하강 중인 셔터를 일정한 높이에서 일시적으로 정지시킬 수 있도록 한 방화셔터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백화점, 호텔, 금융기관, 상가 등 사람의 출입이 많은 건물에 설치되는 방범 및 방화용 셔터(이하, 간단히 "셔터"라고도 한다)는 화재시에 폐쇄되어 화재가 일어난 구역을 봉쇄함으로써 화염이나 유독 가스가 다른 구역으로 전이되는 것을 방지하는데 사용된다. 이러한 셔터에 비상문이 설치된 장치가 실용신안등록공보 제136993호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전술한 비상문은 실제 화재가 발생한 상태에서는 자욱한 연기로 인해 대피자가 이를 찾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셔터가 정상 위치보다 더 아래로 하강될 경우 비상문의 개방이 곤란해 질 수 있다.
이러한 비상문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화재가 감지된 후 대피자가 대피할 수 있도록 설정된 소정 시간이 경과된 후에 셔터를 하강시키는 방안이 있을 수 있는 바, 이 경우에는 지체된 시간 동안 화염이나 유독 가스가 완전 개방된 셔터 공간을 경유하여 타구역으로 번져 나감으로써 오히려 더 많은 인명과 재산의 피해를 초래할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소정 시간 동안 셔터를 하강시킨 후 일시적으로 정지시키는 기술이 예컨대 1999년 특허공개공보 제69254호로 제안되어 있다. 본 특허공개공보에 개시된 방화셔터 제어장치에 따르면, 연동 제어기가 화재발생 감지신호를 제공받은 시점에 방재실로 화재 발생 신호를 전송하게 되는데, 이에 연동하여 셔터가 제 1 타이머에 의해 미리 정해진 시간동안 자중에 의해 1차 하강된 후 정지되고 이어서 제2 타이머에 의해 미리 정해진 시간동안 정지 상태를 유지한 후에 다시 자중에 의해 재하강되어 완전히 폐쇄되게 된다.
그러나, 전술한 방화셔터 제어장치에 있어서는 셔터의 1차 하강을 제어하는 요소가 시간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초기 원하는 위치에 정지하도록 1차 하강 시간을 설정하였다 하더라도 셔터의 크기, 셔터 설치시의 오차, 셔터와 가이드 레일 사이의 마찰력의 상이함 등에 의해 셔터의 1차 하강 후의 정지 위치가 세월이 지날수록 변화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셔터가 예를 들어 초기 설정 위치보다 아래에서 1차 정지하게 되면 셔터가 대피자의 머리에 부딪혀서 대피자가 부상을 입을 수 있고, 이와 반대로 초기 설정 위치보다 높은데서 정지하게 되면 화염이나 유독 가스의 차단 효과가 상실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시간에 의해 셔터의 1차 하강 위치를 제어하는 장치에 있어서는, 예를 들어 셔터가 다수인 경우에 개개의 셔터에 대해 2개씩의 타이머를 설치해야 하기 때문에 배관 배선 작업에 어려움이 있으며, 나아가 개개의 셔터의 구조에 따라 하강 시간을 달리 설정해 주어야 하기 때문에 설치 시간과 시험 운전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셔터를 1차 하강시킨 후 원하는 위치에 정확하게 정지시킬 수 있도록 한 방화셔터 제어장치를 제공함에 그 주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최초 설치시나 기존의 방화셔터에 설치시에 설치 작업을 간편히 하고 설치 시간도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한 방화셔터 제어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방화셔터, 상기 방화셔터가 감기는 권취수단, 상기 방화셔터의 개폐 동력을 발생시키는 동력발생수단, 상기 동력발생수단에서 발생된 동력을 상기 권취수단에 전달하는 동력전달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방화셔터의 하강 중에 상기 방화셔터를 소정 시간동안 일시 정지시킨 후에 재하강시키도록 된 방화셔터 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방화셔터의 상기 일시 정지 높이와 관련하여 상기 동력전달수단의 미리 정해진 위치에 장착되는 스위치수단; 상기 스위치수단을 온/오프시키는 스위치 조작수단 및 상기 스위치수단이 미리 정해진 상태로 동작하는 경우에 상기 방화셔터가 상기 일시 정지 동작을 하도록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구성에서, 상기 동력전달수단은 체인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스위치 수단은 리드 스위치로 이루어지며, 상기 스위치 조작수단은 영구자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어장치가 적용될 수 있는 방화셔터의 설치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인 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폐쇄기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인 사시도,
도 3a 및 도 3b는 각각 셔터 중간 정지 상태 및 셔터 재하강 상태에서 폐쇄기의 내부 동작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방화셔터 제어장치에서 중간 정지 위치 감지 기구의 개략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방화셔터 제어장치의 전기적인 회로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방화셔터 제어장치에서 각부의 동작 관계를 보인 타이밍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셔터, 12: 비상문,
20: 가이드 레일, 30: 셔터 박스,
40: 전동 개폐기, 42: 브레이크 레버,
44: 기어축, 60: 화재 감지기,
70: 연동 제어기, 80: 체인,
90: 지지판,
100: 폐쇄기, 110: 하우징,
112: 하우징 측벽, 120: 폐쇄기 모터,
124: 감속기, 130: 캠,
140: 브레이크레버 조작기구, 141: 레버 조작봉,
142: 압축 스프링, 143: 스위치레버 조작편,
144: 걸쇠, 145: 캠접편,
150: 솔레노이드, 151: 가동철편,
160: 링크편, 161; 힌지축,
162: 인장 스프링, 163: 걸고리편,
170: 마이크로 스위치, 172: 접점조작 레버,
180: 마이크로 스위치,
190: 리드 스위치, 192: 영구자석,
Lswb: 하한 리밋 스위치,
M: 폐쇄기 모터, Sol: 솔레노이드,
R1y: 제1릴레이 코일, R11a, R11b, R12a: 제1릴레이 접점,
R2y: 제2릴레이 코일, R21a. R22b: 제2릴레이 접점,
R3y: 제3릴레이 코일, R3a, R3b: 제3릴레이 접점,
Rsw: 리드 스위치, ZD: 제너다이오드,
SCR: 실리콘 제어 정류기, VR: 가변 저항,
D: 다이오드, R1 - R3: 저항,
C1 - C3: 콘덴서, T: 타이머,
Mswa, Mswb: 마이크로 스위치, PBsw: 푸시버튼 스위치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방화셔터 제어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어장치가 구현될 수 있는 방화셔터의 설치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인 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셔터(10)는 건물의 통로에 설치되는데, 통로의 천장에는 셔터 박스(30)가 설치되고, 통로의 양측벽에는 셔터(10)의 승강을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20)이 설치되어 있다. 셔터(10)는 셔터 박스(30) 내에 설치된 권취 드럼(미도시)에 감겨짐으로써 개방되고, 권취 드럼에서 자중에 의해 하강됨으로써 폐쇄된다. 셔터(10)의 하부에는 폐쇄시에도 사람이 출입할 수 있도록 하는 비상문(12)이 설치되어 있다.
셔터 박스(30)에는 또한 셔터(10)에 개방 동력을 제공하는 전동 개폐기(40)가 설치되어 있는데, 이러한 전동 개폐기(40)의 기어축(44)에는 체인(80)이 연결되어 있다. 전동 개폐기(40)에는 셔터(10)의 자중에 의한 하강을 방지하는 브레이크 레버(42)가 구비되어 있고, 이러한 브레이크 레버(42)는 평상시(이하, 간단히 "상시"라 한다)에는 브레이킹 상태를 유지하다가 전동 개폐기(40) 위에 설치된 폐쇄기(100)의 레버 조작봉(141)에 의해 앞으로 밀리게 되면 브레이킹 해제 상태로 된다.
도면에서 미설명 부호 60은 화재의 발생을 감지하는 연감지기 또는 열감지기와 같은 화재 감지기를 나타내고, 70은 연동 제어기를 나타내는 바, 화재가 발생한 경우에 화재 감지기(60)가 연동 제어기(70)에 감지 신호를 보내고, 연동 제어기(70)는 다시 폐쇄기(100)에 제어 신호를 보내며, 이에 따라 레버조작봉(141)이 브레이크 레버(42)를 밀게 됨으로써 셔터(10)를 폐쇄시키게 된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폐쇄기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인 사시도이고, 도 3a 및 도 3b는 각각 셔터 중간 정지 상태 및 셔터 재하강 상태에서 폐쇄기의 내부 동작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인 평면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폐쇄기(100)는 하우징(110)에 내장되는데, 이러한 하우징(110)의 길이 방향을 가로질러 브레이크레버 조작기구(140)가 설치된다.
브레이크레버 조작기구(140)는 일측 단부가 하우징(110)의 일측벽(112)에 형성된 통공을 경유하여 외부로 노출되어 있고 타측 단부에는 후술하는 캠에 당접하는 캠접편(145)이 형성된 레버 조작봉(141)과 레버조작봉(141)을 상시 후퇴시키고자 하는 힘을 작용하는 압축 스프링(142)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한편, 하우징(110)의 후방에는 레버 조작봉(141)에 전진력을 제공하는 폐쇄기 모터(120)와 폐쇄기 모터(120)의 회전 속도를 적절한 비율로 감소시키는 감속기(124)가 설치되며, 이러한 감속기(124)의 축에 캠(130)이 장착되어 캠접편(145)을 강제 전진시키게 된다.
하우징(110)의 적소에는 브레이크레버 조작기구(140)의 작동에 관여하는 솔레노이드(150)가 설치되는데, 이러한 솔레노이드(150)의 가동철편(151)은 하우징(110)의 바닥에 설치된 힌지축(161)에 고정되어 회동하는 링크편(160)의 일단에 연결되어 있다. 링크편(160)의 상부에는 걸고리편(163)이 마련되어 있다.
한편, 레버 조작봉(141)의 적소에는 걸쇠(144)가 마련되어 있는데, 레버 조작봉(141)의 전진에 따라 걸쇠(144)가 인장 스프링(162)에 의해 상시 걸림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걸고리편(163)에 걸려서 후진이 제지된 채로 있게 된다. 이 상태에서, 솔레노이드(150)가 동작하여 그 가동철편(151)이 앞으로 당겨지면 걸고리편(163)이 힌지축(161)을 중심으로 뒤로 제쳐져서 걸림 해제 상태로 되고, 이에 따라 걸쇠(144)의 제지 상태가 해제되어 레버조작봉(141)이 후진할 수 있는 상태로 된다.
하우징(110)에는 또한 그 접점이 각각 폐쇄기 모터(120)와 솔레노이드(150)의 전력 라인 상에 설치되어 온/오프되는 스위치, 예를 들어 마이크로 스위치(170),(180)가 상하로 한 쌍이 설치되어 있으며, 레버 조작봉(141)의 적소에는 이러한 마이크로 스위치(170),(180)의 접점조작레버(172)를 동작시키는 스위치레버 조작편(143)이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레버 조작봉(141)이 전진 또는 후진함에 따라 스위치레버 조작편(143)이 마이크로 스위치(170),(180)의 접점조작레버(172)와 접촉 또는 접촉 해제되고, 이에 따라 마이크로 스위치(170),(180)의 접점이 온 또는 오프되게 된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방화셔터 제어장치의 기구적인 동작을 살펴보면, 최초 도3a의 상태에서 폐쇄기 모터(120)가 동작함에 따라 캠(130)이 회전하여 레버 조작봉(141)을 전진시키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전진 과정에서 스위치레버 조작편(143)이 마이크로 스위치(170),(180)의 접점조작레버(172)와 접촉함으로써 마이크로 스위치(170),(180)의 접점이 상시 상태와는 반대로 온 또는 오프된다.
한편, 레버 조작봉(141)의 전진 과정에서 그 선단이 브레이크 레버(42)를 밀게 되고 이에 따라 브레이크 레버(42)의 브레이킹 상태가 해제되고 셔터(10)가 자중에 의해 하강하게 되는데, 레버 조작봉(141)이 이렇게 전진된 상태에서는걸쇠(144)가 걸고리편(163)에 걸려서 후진이 제지되기 때문에 비록 폐쇄기 모터(120)가 더 회전하여 캠(130)이 캠접편(145)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더라도 레버 조작봉(141)은 전진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솔레노이드(150)가 동작하여 가동철편(151)이 앞으로 당겨지면 링크편(160)이 힌지축(161)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걸고리편(163)이 뒤로 제쳐지게 되며, 이에 따라 걸쇠(144)의 제지 상태가 해제됨으로써 압축 스프링(142)의 복원력에 의해 레버 조작봉(141)이 후진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방화셔터 제어장치에서 중간 정지 위치 감지 기구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방화셔터 제어장치에서 중간 정지 위치 감지 기구는 크게 리드 스위치(190)와 리드 스위치(190)를 온/오프 동작시키는 영구자석(192)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리드 스위치(190)는 바람직하게는 권취 드럼축이 설치된 지지판(90)에 장착되고, 영구자석(192)은 체인(80)의 연결핀 사이의 미리 정해진 위치, 즉 시험 운전을 통해 결정된 위치에 장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체인(80)이 회전하여 영구자석(192)이 리드 스위치(190)와 교우하게 되면 리드 스위치(190)에서 감지 신호가 출력되고, 이에 따라 셔터(10)의 중간 정지 동작이 이루어진다.
도 5는 본 발명의 방화셔터 제어장치의 전기적인 회로 구성도인 바, 편의상 기구적인 구성과는 다른 참조 번호를 부여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방화셔터 제어장치의 전기적인 구성은 크게 폐쇄기 모터(M), 솔레노이드(Sol), 타이머(T), 리드 스위치(Rsw), 다수의 릴레이와 회로소자로 이루어진다. 이를 보다상세히 설명하면, 직류 24[V]의 전원선에 직렬로 하한용 리밋 스위치(Lswb)가 설치되고, 하한용 리밋 스위치(Lswb)의 후단에는 총 6개의 가지가 병렬로 연결되어 있다.
제1가지(b1)는 제1릴레이의 상시 온형(이하, "b형"이라 한다) 제1접점(R11b)과 폐쇄기 모터(M) 및 필요에 따라 수동 조작으로 온되는 푸시버튼 스위치(PBsw)가 직렬 연결되어 이루어지는데, 제1릴레이의 b형제1접점(R11b)의 양단에는 제2릴레이의 상시 오프형(이하, "a형"이라 한다) 제1접점(R21a)이 연결되고, 폐쇄기 모터(M)의 양단에는 폐쇄기 모터(M)의 잔여 회전 전류 공급용 콘덴서(C1)가 연결되어 있으며, 푸시버튼 스위치(PBsw)의 양단에는 전술한 마이크로 스위치(170; 도 5 및 도 6에서는 참조 부호를 Mswb로 부여한다)가 연결되어 이루어진다. 이 마이크로 스위치(Mswb)는 b형, 즉 상시 온 상태를 유지하다가 레버 조작봉(141)과의 접촉에 의해 비로소 오프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제2가지(b2)는 리드 스위치(Rsw)와 제1릴레이 코일(R1y)이 직렬로 연결되어 이루어지는데, 이에 더하여 리드 스위치(Rsw)의 양단에는 제1릴레이의 a형제1접점(R11a)이 병렬로 연결되며, 제1릴레이 코일(R1y)의 양단에는 타이머(T)를 구성하는 정지 시간 조정용 가변저항(VR)과 저항(R1) 및 콘덴서(C2)가 직렬로 연결되어 있다.
제3가지(b3)는 제2릴레이 코일(R2y)과 실리콘 제어 정류기(SCR)가 연결되며, 실리콘 제어 정류기(SCR)의 게이트에는 저항(R2)과 제너다이오드(ZD)가 연결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저항(R2)의 일단과 제너다이오드(ZD)의 애노드가 실리콘 제어정류기(SCR)의 게이트에 연결되고, 저항(R2)의 타단은 접지되며 제너다이오드(ZD)의 캐소드는 저항(R1)과 콘덴서(C2)의 접점에 연결되어 있다. 미설명 부호 D는 보호용 다이오드이다. 제4가지(b4)는 제3릴레이코일(R3y)로 이루어진다.
제5가지(b5)는 저항(R3), 제3릴레이의 a형접점(R3a) 및 콘덴서(C3)가 직렬로 연결되어 이루어진다.
제6가지(b6)는 제1릴레이의 a형제2접점(R12a), 제2릴레이의 b형제2접점(R22b), 솔레노이드(Sol) 및 전술한 마이크로 스위치(180; 도 5 및 도 6에서는 참조 부호를 Mswa로 부여한다)가 연결되어 이루어진다. 이 마이크로 스위치(Mswa)는 a형, 즉 상시 오프 상태를 유지하다가 레버 조작봉(141)과의 접촉에 의해 비로소 온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방화셔터 제어장치에서 각부의 동작 관계를 보인 타이밍도이다. 먼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재 감지기(60)에서 화재 신호가 감지되면 이 신호가 연동 제어기(70)에 인가되어 도 5의 회로에 전원이 인가되는데, 이와 동시에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3릴레이 코일(R3y)이 여자되어 그 a형접점(R3a)이 온 상태로 됨으로써 콘덴서(C3)가 충전되는 반면에, 그 b형접점(R3b)은 오프 상태로 된다.
한편, 하한 리밋 스위치(Lswb), 제1릴레이의 b형제1접점(R11b) 및 b형 마이크로 스위치(Mswb)는 상시 온되어 있기 때문에 이들 회로 소자를 경유하여 도 6 (??)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폐쇄기 모터(M)에 전류가 흘러서 레버 조작봉(141)이 전진하게 된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레버 조작봉(141)에 의해 브레이크 레버(42)가밀리게 되어 브레이크 레버(42)의 브레이킹 상태가 해제되고, 이에 따라 셔터(10)가 자중에 의해 하강하게 된다.
한편, 레버 조작봉(141)이 더 전진을 하게 되면 스위치레버 조작편(143)이 b형 마이크로 스위치(Mswb)의 접점조작레버(172)를 누르게 되고, 이에 따라 도 6 (??)에 도시한 바와 같이 b형 마이크로 스위치(Mswb)가 오프 상태로 되어 폐쇄기 모터(M)의 구동이 중지되는 반면에,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a형 마이크로 스위치(Mswa)는 온 상태로 된다.
다음으로, 이렇게 셔터(10)가 하강하는 중에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체인(80)에 장착된 영구자석(192)에 의해 리드 스위치(Rsw)가 온되면,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릴레이 코일(R1y)이 여자되어 a형제1접점(R11a) 및 a형제2접점(R12a)이 온 상태로 되는 반면에 그 b형제1접점(R11b)은 오프 상태로 된다. 따라서, 이후 체인(8)의 계속 감김에 의해 리드 스위치(Rsw)가 다시 오프 상태가 되더라도 a형제1접점(R11a)에 의해 제1릴레이 코일(R1y)이 여자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더욱이, 제1릴레이의 a형제2접점(R12a)이 온 상태가 됨에 따라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6가지(b6)를 통해 솔레노이드(Sol)에 전류가 흐르게 되어 걸고리편(163)이 뒤로 제쳐지게 되고, 이에 따라 걸쇠(144)의 제지 상태가 해제되어 레버 조작봉(141)이 후진하게 되며, 이에 따라 a형 및 b형 마이크로 스위치(Mswa),(Mswb)의 상태는 다시 상시 상태로 된다. 결과적으로, 솔레노이드(Sol)에 흐르는 전류도 차단된다.
한편, 제1릴레이 코일(R1y)이 여자됨과 동시에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타이머(T)가 동작하게 되는데, 구체적으로 가변저항(VR) 및 저항(R1)을 통한 콘덴서(C2)의 충전 전압 값이 제너다이오드(ZD)의 항복 전압보다 높게 되는 시점에 실리콘 제어 정류기(SCR)가 도통되어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릴레이 코일(R2y)이 여자된다.
이렇게 제2릴레이 코일(R2y)이 여자됨과 동시에 그 a형제1접점(R21a)이 온 상태로 되어 폐쇄기 모터(M)가 재구동되고, 이에 따라 레버 조작봉(141)이 다시 전진하여 브레이크 레버(42)의 브레이킹 상태를 해제함으로써 셔터(10)가 재하강하게 된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제2릴레이의 a형제2접점(R22b)은 오프 상태로 되는데, 이렇게 함으로써 솔레노이드(Sol)의 원치 않는 재작동이 방지된다.
한편, 셔터(10)가 재하강하는 도중에 하한 리밋 스위치(Lswb)와 접촉하는 즉시 하한 리밋 스위치(Lswb)는 오프 상태로 되고, 이에 따라 도 5의 회로에 공급되던 전원이 차단되고, 모든 회로 소자는 상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러나, 마무리 동작으로 콘덴서(C3)의 충전 전하에 의해 솔레노이드(Sol)가 동작하여 걸쇠(144)의 구속을 해제함으로써 레버 작동봉(141)이 후퇴하게 되고, 이에 따라 셔터(10)의 과도한 하강으로 인해 셔터(10)가 파손되는 것이 방지되게 된다.
본 발명의 방화셔터 제어장치는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가 있다. 예를 들어,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1차 정지 위치 감지 수단을 리드 스위치와 영구자석으로 하여 설명을 진행하였지만,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직접 접촉식의 마이크로 스위치 등을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방화셔터 제어장치에 따르면, 미리 정해진 일정한 높이에서 방화셔터를 일시 정지시킬 수 있기 때문에 대피자의 안전을 증진시킬 수 있고, 또한 1차 정지 동작을 위치 요소에 의해 제어하기 때문에 이를 감지하는 센서의 설치 작업과 시운전 작업을 쉽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방화셔터, 상기 방화셔터가 감기는 권취수단, 상기 방화셔터의 개폐 동력을 발생시키는 동력발생수단, 상기 동력발생수단에서 발생된 동력을 상기 권취수단에 전달하는 동력전달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방화셔터의 하강 중에 상기 방화셔터를 소정 시간동안 일시 정지시킨 후에 재하강시키도록 된 방화셔터 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방화셔터의 상기 일시 정지 높이와 관련하여 상기 동력전달수단의 미리 정해진 위치에 장착되는 스위치수단;
    상기 스위치수단을 온/오프시키는 스위치 조작수단 및
    상기 스위치수단이 미리 정해진 상태로 동작하는 경우에 상기 방화셔터가 상기 일시 정지 동작을 하도록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셔터 제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수단은 체인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스위치수단은 리드 스위치로 이루어지며,
    상기 스위치 조작수단은 영구자석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셔터 제어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스위치수단이 일회 미리정해진 상태로 동작한 이후에는 상기 일시 정지 동작을 수행하지 않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셔터 제어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코일과 상기 코일에 대한 자기 유지 접점으로 기능하는 상시 개방 접점을 구비하는 릴레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코일은 상기 스위치수단과 직렬로 연결되고, 상기 상시 개방 접점은 상기 스위치수단의 양단에 병렬로 연결되어 있어서 상기 코일이 여자된 후에는 상기 상시 개방 접점을 통해 전원을 공급받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셔터 제어장치.
KR10-2001-0075243A 2001-11-30 2001-11-30 방화셔터 제어장치 KR1004193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5243A KR100419343B1 (ko) 2001-11-30 2001-11-30 방화셔터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5243A KR100419343B1 (ko) 2001-11-30 2001-11-30 방화셔터 제어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7433U Division KR200281076Y1 (ko) 2002-03-13 2002-03-13 방화셔터 제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4487A KR20030044487A (ko) 2003-06-09
KR100419343B1 true KR100419343B1 (ko) 2004-02-19

Family

ID=295722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5243A KR100419343B1 (ko) 2001-11-30 2001-11-30 방화셔터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1934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1213B1 (ko) * 2005-11-16 2007-04-27 이한수 방화 셔터용 자동 폐쇄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6920B1 (ko) * 2011-03-18 2013-09-10 (주)리츠엔 방화셔터 자동폐쇄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1213B1 (ko) * 2005-11-16 2007-04-27 이한수 방화 셔터용 자동 폐쇄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4487A (ko) 2003-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11213B1 (ko) 방화 셔터용 자동 폐쇄기
KR100419343B1 (ko) 방화셔터 제어장치
KR200281076Y1 (ko) 방화셔터 제어장치
KR200400290Y1 (ko) 방화셔터 제어장치
JP2008031714A (ja) シャッター装置
JP4781761B2 (ja) 自動復帰型自動閉鎖装置
JP2002081281A (ja) 防火シャッターの手動閉鎖機構
KR200408337Y1 (ko) 방화 셔터용 자동 폐쇄기
JP3735805B2 (ja) シャッターにおける制御装置
KR100703009B1 (ko) 방화셔터 자동폐쇄장치
JP2004150096A (ja) 開閉体制御システム
JP2001254580A (ja) 自重降下式シャッター装置
JP3409179B2 (ja) 自重降下シャッターの安全装置
KR200400289Y1 (ko) 방화셔터용 연동제어기 장치
JP2005076366A (ja) 自動閉鎖装置
KR0136993Y1 (ko) 방화 및 방범용 셔터의 하강 제어장치
JP4037314B2 (ja) 防災用開閉装置
JPH0328486A (ja) 電動シャッターのブレーキ開放装置
JP2003176679A (ja) 自重降下シャッターの安全装置
JP4861726B2 (ja) シャッターを備える設備
JP2001329768A (ja) 自動閉鎖装置
KR0130518Y1 (ko) 방화샤터의 폐쇄장치
KR100276862B1 (ko) 방화셔터용 폐쇄기의 직류전원 공급장치
JP2006328783A (ja) 扉の自動閉鎖/開放装置、及びそれを備える自動ドア装置
JP2008025238A (ja) シャッター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0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6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