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290Y1 - 방화셔터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방화셔터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290Y1
KR200400290Y1 KR20-2005-0024400U KR20050024400U KR200400290Y1 KR 200400290 Y1 KR200400290 Y1 KR 200400290Y1 KR 20050024400 U KR20050024400 U KR 20050024400U KR 200400290 Y1 KR200400290 Y1 KR 20040029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utter
fire
power
state
fire preven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440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연구
Original Assignee
강연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연구 filed Critical 강연구
Priority to KR20-2005-002440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29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029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90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A62C2/24Operating or controlling mechanisms
    • A62C2/241Operating or controlling mechanisms having mechanical actuators and heat sensitive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E04B1/94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against fir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80Safety measures against dropping or unauthorised opening; Braking or immobilising devices; Devices for limiting unrolling
    • E06B9/82Safety measures against dropping or unauthorised opening; Braking or immobilising devices; Devices for limiting unrolling automat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연감지기의 작동과 연동하여 방화셔터를 미리 정해진 위치까지 1차로 하강시킨 채로 유지시킨 상태에서 열감지기의 작동과 연동하여 방화셔터의 완전 폐쇄시킴으로써 방화셔터의 완전 폐쇄까지의 시간을 안전 측면에서 가장 효율적으로 운용할 수 있도록 한 방화셔터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방화셔터, 상기 방화셔터가 감기는 권취수단, 상기 방화셔터의 개폐 동력을 발생시키는 동력발생수단, 상기 동력발생수단에서 발생된 동력을 상기 권취수단에 전달하는 동력전달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방화셔터의 하강 중에 상기 방화셔터를 일시 정지시킨 후에 재하강시키도록 된 방화셔터 제어장치에 있어서, 열기가 미리 정해진 기준치 이상인 경우에 작동하여 소정의 동작 전력을 제공하는 열감지 수단 및 상기 동력발생수단에 상기 동작 전력을 제공하여 상기 방화셔터의 재하강을 수행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방화셔터 제어장치{fire-proof shutter control apparatus}
본 고안은 방화셔터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방화셔터의 폐쇄를 연감지기 및 열감지기의 동작 상태와 연동하여 제어함으로써 안전성을 극대화시킨 방화셔터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백화점, 호텔, 금융기관, 상가 등 사람의 출입이 많은 건물이나 지하철역 구내 등에 설치되는 방범 및 방화용 셔터(이하, 간단히 "셔터"라고도 한다)는 화재시에 폐쇄되어 화재가 일어난 구역을 봉쇄함으로써 화염이나 유독 가스가 다른 구역으로 전이되는 것을 방지하는데 사용된다. 그런데, 화재가 감지된 즉시 셔터를 완전 폐쇄시키는 경우에는 화재 구역에 위치한 사람이 대피할 수 있는 시간적인 여유가 확보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반면에 전술한 대피 시간이 경과한 후에야 비로소 셔터를 폐쇄시키는 경우에는 이 시간 동안 화염이나 유독 가스가 다른 구역으로 전이되어 다른 구역에 있는 사람이나 물건이 손상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출원인은 이러한 문제점을 종합적으로 감안하여 화재가 발생한 즉시, 구체적으로 연감지기가 작동한 즉시 셔터를 사람들이 대피할 수 있는 정도까지 1차 하강시킨 상태에서 화재 구역에 있는 사람들이 대피할 수 있도록 사전 설정된 시간동안 정지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사전 설정 시간이 경과한 후에 2차 하강을 수행하여 셔터를 완전 폐쇄시키는 기술을 2001년 특허출원 제75243호(출원일: 2001. 11. 30)로 출원하여 특허번호 제419343호로 특허등록받은 바 있다.
그러나 전술한 본 출원인의 선행특허에 따르면, 방화셔터의 1차 하강상태에서의 머무름(정지)이 무조건 타이머에 의해 정해진 시간동안 자동적으로 유지되기 때문에 여러 케이스를 종합적으로 감안하여 상기 머무름 시간을 설정한다 하더라도 장래에 발생할 수 있는 모든 케이스를 다 대비할 수는 없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머무름 시간이 부족한 경우에는 사람이 화재 구역에서 미처 빠져나오기 전에 방화셔터가 완전 폐쇄되는 치명적인 문제를 야기할 수가 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연감지기의 작동과 연동하여 방화셔터를 미리 정해진 위치까지 1차로 하강시킨 채로 유지시킨 상태에서 열감지기의 작동과 연동하여 방화셔터의 완전 폐쇄시킴으로써 방화셔터의 완전 폐쇄까지의 시간을 안전 측면에서 가장 효율적으로 운용할 수 있도록 한 방화셔터 제어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방화셔터, 상기 방화셔터가 감기는 권취수단, 상기 방화셔터의 개폐 동력을 발생시키는 동력발생수단, 상기 동력발생수단에서 발생된 동력을 상기 권취수단에 전달하는 동력전달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방화셔터의 하강 중에 상기 방화셔터를 일시 정지시킨 후에 재하강시키도록 된 방화셔터 제어장치에 있어서, 열기가 미리 정해진 기준치 이상인 경우에 작동하여 소정의 동작 전력을 제공하는 열감지 수단 및 상기 동력발생수단에 상기 동작 전력을 제공하여 상기 방화셔터의 재하강을 수행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방화셔터 제어장치의 바람직한 실 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제어장치가 구현될 수 있는 방화셔터의 설치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인 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셔터(10)는 건물의 통로에 설치되는데, 통로의 천장에는 셔터 박스(30)가 설치되고, 통로의 양측벽에는 셔터(10)의 승강을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20)이 설치되어 있다. 셔터(10)는 셔터 박스(30) 내에 설치된 권취 드럼(미도시)에 감겨짐으로써 개방되고, 권취 드럼에서 자중에 의해 하강됨으로써 폐쇄된다. 셔터(10)의 하부에는 폐쇄시에도 사람이 출입할 수 있도록 하는 비상문(12)이 설치되어 있다.
셔터 박스(30)에는 또한 셔터(10)에 개방 동력을 제공하는 전동 개폐기(40)가 설치되어 있는데, 이러한 전동 개폐기(40)의 기어축(44)에는 체인(80)이 연결되어 있다. 전동 개폐기(40)에는 셔터(10)의 자중에 의한 하강을 방지하는 브레이크 레버(42)가 구비되어 있고, 이러한 브레이크 레버(42)는 평상시(이하, 간단히 "상시"라 한다)에는 브레이킹 상태를 유지하다가 전동 개폐기(40) 위에 설치된 폐쇄기(100)의 레버 조작봉(141)에 의해 앞으로 밀리게 되면 브레이킹 해제 상태로 된다.
도면에서 미설명 부호 60은 화재의 발생을 감지하는 연감지기 및 열감지기와 같은 화재 감지기를 나타내고, 70은 연동 제어기를 나타내는 바, 화재가 발생한 경우에 화재 감지기(60)의 연감지기 및 열감지기가 연동 제어기(70)에 감지 신호를 보내고, 연동 제어기(70)는 다시 폐쇄기(100)에 제어 신호를 보내며, 이에 따라 레버조작봉(141)이 브레이크 레버(42)를 밀게 됨으로써 셔터(10)를 폐쇄시키게 된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폐쇄기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인 사시도이고, 도 3a 및 도 3b는 각각 셔터 중간 정지 상태 및 셔터 재하강 상태에서 폐쇄기의 내부 동작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인 평면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폐쇄기(100)는 하우징(110)에 내장되는데, 이러한 하우징(110)의 길이 방향을 가로질러 브레이크레버 조작기구(140)가 설치된다.
브레이크레버 조작기구(140)는 일측 단부가 하우징(110)의 일측벽(112)에 형성된 통공을 경유하여 외부로 노출되어 있고 타측 단부에는 후술하는 캠에 당접하는 캠접편(145)이 형성된 레버 조작봉(141) 및 이러한 레버조작봉(141)에 상시 후퇴시키고자 하는 힘을 작용하는 압축 스프링(142)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한편, 하우징(110)의 후방에는 레버 조작봉(141)에 전진력을 제공하는 폐쇄기 모터(120)와 폐쇄기 모터(120)의 회전속도를 적절한 비율로 감소시키는 감속기(124)가 설치되며, 이러한 감속기(124)의 축에 캠(130)이 장착되어 캠접편(145)을 강제 전진시키게 된다.
하우징(110)의 적소에는 브레이크레버 조작기구(140)의 작동에 관여하는 솔레노이드(150)가 설치되는데, 이러한 솔레노이드(150)의 가동철편(151)은 하우징(110)의 바닥에 설치된 힌지축(161)에 고정되어 회동하는 링크편(160)의 일단에 연결되어 있다. 링크편(160)의 상부에는 걸고리편(163)이 마련되어 있다. 한편, 레버 조작봉(141)의 적소에는 걸쇠(144)가 마련되어 있는데, 레버 조작봉(141)의 전진에 따라 걸쇠(144)가 인장 스프링(162)에 의해 상시 걸림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걸고리편(163)에 걸려서 후진이 제지된 채로 있게 된다. 이 상태에서, 솔레노이드(150)가 동작하여 그 가동철편(151)이 앞으로 당겨지면 걸고리편(163)이 힌지축(161)을 중심으로 뒤로 젖혀져서 걸림 해제 상태로 되고, 이에 따라 걸쇠(144)의 제지 상태가 해제되어 레버조작봉(141)이 후진할 수 있는 상태로 된다.
하우징(110)에는 또한 그 접점이 각각 폐쇄기 모터(120)와 솔레노이드(150)의 전력 라인 상에 설치되어 온/오프되는 스위치, 예를 들어 마이크로 스위치(170),(180)가 상하로 한 쌍이 설치되어 있으며, 레버 조작봉(141)의 적소에는 이러한 마이크로 스위치(170),(180)의 접점조작레버(172)를 동작시키는 스위치레버 조작편(143)이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레버 조작봉(141)이 전진 또는 후진함에 따라 스위치레버 조작편(143)이 마이크로 스위치(170),(180)의 접점조작레버(172)와 접촉 또는 접촉 해제되고, 이에 따라 마이크로 스위치(170),(180)의 접점이 온 또는 오프되게 된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방화셔터 제어장치의 기구적인 동작을 살펴보면, 최초 도3a의 상태에서 폐쇄기 모터(120)가 동작함에 따라 캠(130)이 회전하여 레버 조작봉(141)을 전진시키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전진 과정에서 스위치레버 조작편(143)이 마이크로 스위치(170),(180)의 접점조작레버(172)와 접촉함으로써 마이크로 스위치(170),(180)의 접점이 상시 상태와는 반대로 온 또는 오프된다. 한편, 레버 조작봉(141)의 전진 과정에서 그 선단이 브레이크 레버(42)를 밀게 되고 이에 따라 브레이크 레버(42)의 브레이킹 상태가 해제됨으로써 셔터(10)가 자중에 의해 하강하게 되는데, 레버 조작봉(141)이 이렇게 전진된 상태에서는 걸쇠(144)가 걸고리편(163)에 걸려서 후진이 제지되기 때문에 비록 폐쇄기 모터(120)가 더 회전하여 캠(130)이 캠접편(145)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더라도 레버 조작봉(141)은 전진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솔레노이드(150)가 동작하여 가동철편(151)이 앞으로 당겨지면 링크편(160)이 힌지축(161)을 중심으로 회동함으로써 걸고리편(163)이 뒤로 제쳐지게 되며, 이에 따라 걸쇠(144)의 제지 상태가 해제됨으로써 압축 스프링(142)의 복원력에 의해 레버 조작봉(141)이 후진하게 된다.
도 4는 본 고안의 방화셔터 제어장치에서 중간 정지 위치 감지 기구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방화셔터 제어장치에서 중간 정지 위치 감지 기구는 크게 리드 스위치(190)와 리드 스위치(190)를 온/오프 동작시키는 영구자석(192)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리드 스위치(190)는 바람직하게는 권취 드럼축이 설치된 지지판(90)에 장착되고, 영구자석(192)은 체인(80)의 연결핀 사이의 미리 정해진 위치, 즉 시험 운전을 통해 결정된 위치에 장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체인(80)이 회전하여 영구자석(192)이 리드 스위치(190)와 교우하게 되면 리드 스위치(190)에서 감지 신호가 출력되고, 이에 따라 셔터(10)의 중간 정지 동작이 이루어진다.
도 5는 본 고안의 방화셔터 제어장치의 전기적인 회로 구성도인 바, 편의상 기구적인 구성과는 다른 참조 번호를 부여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방화셔터 제어장치의 전기적인 구성은 크게 폐쇄기 모터(M), 솔레노이드(Sol), 리드 스위치(Rsw), 다수의 릴레이와 회로소자로 이루어진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연감지기에 의해 1차적으로 공급되는 직류 24[V]의 전원선에 직렬로 하한용 리밋 스위치(Lswb)가 설치되고, 하한용 리밋 스위치(Lswb)의 후단에는 총 6개의 가지가 병렬로 연결되어 있다.
제1가지(b1)는 제1릴레이의 상시 온형(이하, "b형"이라 한다) 제1접점(R11b)과 폐쇄기 모터(M) 및 필요에 따라 수동 조작으로 온되는 푸시버튼 스위치(PBsw)가 직렬 연결되어 이루어지는데, 제1릴레이의 b형제1접점(R11b)의 양단에는 제2릴레이의 상시 오프형(이하, "a형"이라 한다) 제1접점(R21a)이 연결되고, 폐쇄기 모터(M)의 양단에는 폐쇄기 모터(M)의 잔여 회전 전류 공급용 콘덴서(C1)가 연결되어 있으며, 푸시버튼 스위치(PBsw)의 양단에는 전술한 마이크로 스위치(170; 도 5 및 도 6에서는 참조 부호를 Mswb로 부여한다)가 연결되어 이루어진다. 이 마이크로 스위치(Mswb)는 b형, 즉 상시 온 상태를 유지하다가 레버 조작봉(141)과의 접촉에 의해 비로소 오프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제2가지(b2)는 리드 스위치(Rsw)와 제1릴레이 코일(R1y)이 직렬로 연결되어 이루어지는데, 이에 더하여 리드 스위치(Rsw)의 양단에는 제1릴레이의 a형제1접점(R11a)이 병렬로 연결되어 있다.
제3가지(b3)는 열에 의해 온/오프 작동되는 열감지기(본 도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스위치로 도시하고 있다)(Tsw), 제2릴레이 코일(R2y) 및 제3릴레이의 a형제1접점(R31a)이 직렬로 연결되어 이루어진다. 제4가지(b4)는 제3릴레이코일(R3y)로 이루어진다.
제5가지(b5)는 저항(R1), 제3릴레이의 a형제2접점(R32a) 및 콘덴서(C2)가 직렬로 연결되어 이루어진다. 제6가지(b6)는 제1릴레이의 a형제2접점(R12a), 제2릴레이의 b형제2접점(R22b), 솔레노이드(Sol) 및 전술한 마이크로 스위치(180; 도 5 및 도 6에서는 참조 부호를 Mswa로 부여한다)가 직렬로 연결되어 이루어진다. 이 마이크로 스위치(Mswa)는 a형, 즉 상시 오프 상태를 유지하다가 레버 조작봉(141)과의 접촉에 의해 비로소 온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제5가지(b5)의 제3릴레이의 제2a형접점(R32a)과 콘덴서(C2)의 접속점 및 제6가지(b6)의 제2릴레이의 b형제2접점(R22b)과 솔레노이드(Sol)의 접속점에는 제3릴레이의 b형접점(R3b)가 연결되어 있다.
도 6은 본 고안의 방화셔터 제어장치에서 각부의 동작 관계를 보인 타이밍도이다. 먼저, 도 6(ㄱ)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재가 발생하여 화재 감지기(60)의 연감지기가 작동하게 되면 연동 제어기(70)로부터 도 5의 회로에 DC 24V의 전원이 인가되는데, 이와 동시에 도 6(ㅋ)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3릴레이 코일(R3y)이 여자되어 그 a형접점(R3a)이 온 상태로 됨으로써 콘덴서(C3)가 충전되는 반면에, 그 b형접점(R3b)은 오프 상태로 된다.
한편, 하한 리밋 스위치(Lswb), 제1릴레이의 b형제1접점(R11b) 및 b형 마이크로 스위치(Mswb)는 상시 온되어 있기 때문에 이들 회로 소자를 경유하여 도 6 (ㄴ)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폐쇄기 모터(M)에 전류가 흘러서 레버 조작봉(141)이 전진하게 된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레버 조작봉(141)에 의해 브레이크 레버(42)가 밀리게 되어 브레이크 레버(42)의 브레이킹 상태가 해제되고, 이에 따라 셔터(10)가 자중에 의해 하강하게 된다. 다른 한편, 레버 조작봉(141)이 더 전진을 하게 되면 스위치레버 조작편(143)이 b형 마이크로 스위치(Mswb)의 접점조작 레버(172)를 누르게 되고, 이에 따라 도 6 (ㄷ)에 도시한 바와 같이 b형 마이크로 스위치(Mswb)가 오프 상태로 되어 폐쇄기 모터(M)의 구동이 중지되는 반면에, 도 6(ㄹ)에 도시한 바와 같이 a형 마이크로 스위치(Mswa)는 온 상태로 된다.
다음으로, 이렇게 셔터(10)가 하강하는 중에 도 6(ㅁ)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체인(80)에 장착된 영구자석(192)에 의해 리드 스위치(Rsw)가 온되면, 도 6(ㅂ)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릴레이 코일(R1y)이 여자되어 a형제1접점(R11a) 및 a형제2접점(R12a)이 온 상태로 되는 반면에 그 b형제1접점(R11b)은 오프 상태로 된다. 따라서, 이후 체인(8)의 계속 감김에 의해 리드 스위치(Rsw)가 다시 오프 상태가 되더라도 a형제1접점(R11a)에 의해 제1릴레이 코일(R1y)이 여자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더욱이, 제1릴레이의 a형제2접점(R12a)이 온 상태가 됨에 따라 도6(ㅅ)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6가지(b6)를 통해 솔레노이드(Sol)에 전류가 흐르게 되어 걸고리편(163)이 뒤로 제쳐지게 되고, 이에 따라 걸쇠(144)의 제지 상태가 해제되어 레버 조작봉(141)이 후진하게 되며, 이에 따라 a형 및 b형 마이크로 스위치Mswa),(Mswb)가 다시 상시 상태로 됨으로써 솔레노이드(Sol)에 흐르는 전류도 차단되고, 이와 함께 브레이크 레버(42)가 브레이킹 상태로 복귀함으로써 셔터(10)가 정지된 상태로 있게 된다.
이 상태에서 도 6의 (ㅇ)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임의의 시간이 경과한 후에 화재 감지기(60)의 열감지기(Tsw)가 작동하게 되면, 도 6(ㅈ)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릴레이 코일(R2y)이 여자된다. 이렇게 제2릴레이 코일(R2y)이 여자됨과 동시에 그 a형제1접점(R21a)이 온 상태로 되어 폐쇄기 모터(M)가 재구동되고, 이에 따라 레버 조작봉(141)이 다시 전진하여 브레이크 레버(42)의 브레이킹 상태를 해제함으로써 셔터(10)가 재하강하게 된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제2릴레이의 a형제2접점(R22b)은 오프 상태로 되는데, 이렇게 함으로써 솔레노이드(Sol)의 원치 않는 재작동이 방지된다. 한편, 셔터(10)가 재하강하는 도중에 하한 리밋 스위치(Lswb)와 접촉하는 즉시 하한 리밋 스위치(Lswb)는 오프 상태로 되고, 이에 따라 도 5의 회로에 공급되던 전원이 차단되고, 모든 회로 소자는 상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러나 마무리 동작으로 콘덴서(C3)의 충전 전하에 의해 솔레노이드(Sol)가 동작하여 걸쇠(144)의 구속을 해제함으로써 레버 작동봉(141)이 후퇴하게 되고, 이에 따라 셔터(10)의 과도한 하강으로 인해 셔터(10)가 파손되는 것이 방지되게 된다.
본 고안의 방화셔터 제어장치는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가 있다. 예를 들어,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1차 정지 위치 감지 수단을 리드 스위치와 영구자석으로 하여 설명을 진행하였지만,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직접 접촉식의 마이크로 스위치 등을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나아가, 열감지기(Tsw)를 포함하는 화재 감지기(60)는 실제의 적용예에 있어서는 연동 제어기(70)에 설치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방화셔터 제어장치에 따르면, 방화셔터의 1차하강후 정지상태에서 완전 폐쇄 상태로의 이행을 화염의 도래 여부를 가장 정확하게 알려주는 열감지기의 동작 상태와 연동하여 제어하기 때문에 화염이 다른 구역으로 전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최대한의 시간을 화재 구역에 있는 사람들이 화재 구역으로부터 대피할 수 있는 시간으로 제공할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화재 발생시의 안전도가 크게 향상되는 효과가 발휘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제어장치가 적용될 수 있는 방화셔터의 설치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인 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폐쇄기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인 사시도,
도 3a 및 도 3b는 각각 셔터 중간 정지 상태 및 셔터 재하강 상태에서 폐쇄기의 내부 동작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인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방화셔터 제어장치에 적용될 수 있는 중간 정지 위치 감지 기구의 개략 구성도,
도 5는 본 고안의 방화셔터 제어장치의 전기적인 회로 구성도,
도 6은 본 고안의 방화셔터 제어장치에서 각부의 동작 관계를 보인 타이밍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셔터, 12: 비상문,
20: 가이드 레일, 30: 셔터 박스,
40: 전동 개폐기, 42: 브레이크 레버,
44: 기어축, 60: 화재 감지기,
70: 연동 제어기, 80: 체인,
90: 지지판, 100: 폐쇄기,
110: 하우징, 112: 하우징 측벽,
120: 폐쇄기 모터, 124: 감속기,
130: 캠, 140: 브레이크레버 조작기구,
141: 레버 조작봉, 142: 압축 스프링,
143: 스위치레버 조작편, 144: 걸쇠,
145: 캠접편, 150: 솔레노이드,
151: 가동철편, 160: 링크편,
161; 힌지축, 162: 인장 스프링,
163: 걸고리편, 170: 마이크로 스위치,
172: 접점조작 레버, 180: 마이크로 스위치,
190: 리드 스위치, 192: 영구자석,
Lswb: 하한 리밋 스위치, M: 폐쇄기 모터,
Sol: 솔레노이드, Tsw: 열감지기,
R1y: 제1릴레이 코일, R11a, R11b, R12a: 제1릴레이 접점,
R2y: 제2릴레이 코일, R21a. R22b: 제2릴레이 접점,
R3y: 제3릴레이 코일, R3a, R3b: 제3릴레이 접점,
Rsw: 리드 스위치, D: 다이오드,
R1: 저항, C1, C2: 콘덴서,
Mswa, Mswb: 마이크로 스위치, PBsw: 푸시버튼 스위치

Claims (1)

  1. 방화셔터, 상기 방화셔터가 감기는 권취수단, 상기 방화셔터의 개폐 동력을 발생시키는 동력발생수단, 상기 동력발생수단에서 발생된 동력을 상기 권취수단에 전달하는 동력전달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방화셔터의 하강 중에 상기 방화셔터를 일시 정지시킨 후에 재하강시키도록 된 방화셔터 제어장치에 있어서,
    열기가 미리 정해진 기준치 이상인 경우에 작동하여 소정의 동작 전력을 제공하는 열감지 수단 및
    상기 동력발생수단에 상기 동작 전력을 제공하여 상기 방화셔터의 재하강을 수행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셔터 제어장치.
KR20-2005-0024400U 2005-08-24 2005-08-24 방화셔터 제어장치 KR20040029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4400U KR200400290Y1 (ko) 2005-08-24 2005-08-24 방화셔터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4400U KR200400290Y1 (ko) 2005-08-24 2005-08-24 방화셔터 제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90Y1 true KR200400290Y1 (ko) 2005-11-04

Family

ID=437013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4400U KR200400290Y1 (ko) 2005-08-24 2005-08-24 방화셔터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29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4016B1 (ko) 2006-07-25 2007-08-06 유창경 자동방화셔터 제어시스템
KR100890659B1 (ko) * 2007-07-03 2009-03-26 황정란 자동방화셔터용 리미트 스위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4016B1 (ko) 2006-07-25 2007-08-06 유창경 자동방화셔터 제어시스템
KR100890659B1 (ko) * 2007-07-03 2009-03-26 황정란 자동방화셔터용 리미트 스위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11213B1 (ko) 방화 셔터용 자동 폐쇄기
JP5095335B2 (ja) 開閉装置
KR200400290Y1 (ko) 방화셔터 제어장치
JP4986528B2 (ja) シャッター装置
JP3579402B2 (ja) 開閉体装置および開閉体の閉鎖方法
JP4781761B2 (ja) 自動復帰型自動閉鎖装置
KR200281076Y1 (ko) 방화셔터 제어장치
KR100419343B1 (ko) 방화셔터 제어장치
JP2002081281A (ja) 防火シャッターの手動閉鎖機構
JP2006328636A (ja) 扉の自動閉鎖装置、及びそれを備える自動ドア装置
KR100703009B1 (ko) 방화셔터 자동폐쇄장치
KR200408337Y1 (ko) 방화 셔터용 자동 폐쇄기
JP2004150096A (ja) 開閉体制御システム
JP3735805B2 (ja) シャッターにおける制御装置
JP3438595B2 (ja) 開閉体の制御システム
JP2001254580A (ja) 自重降下式シャッター装置
KR200400289Y1 (ko) 방화셔터용 연동제어기 장치
KR0136993Y1 (ko) 방화 및 방범용 셔터의 하강 제어장치
JP4986524B2 (ja) シャッター装置
JP5558769B2 (ja) 開閉体装置
KR0130518Y1 (ko) 방화샤터의 폐쇄장치
JP4861726B2 (ja) シャッターを備える設備
JP2006328783A (ja) 扉の自動閉鎖/開放装置、及びそれを備える自動ドア装置
JPH0510157Y2 (ko)
KR100276862B1 (ko) 방화셔터용 폐쇄기의 직류전원 공급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