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74586B1 - 열 교환기 - Google Patents

열 교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74586B1
KR100274586B1 KR1019980017937A KR19980017937A KR100274586B1 KR 100274586 B1 KR100274586 B1 KR 100274586B1 KR 1019980017937 A KR1019980017937 A KR 1019980017937A KR 19980017937 A KR19980017937 A KR 19980017937A KR 100274586 B1 KR100274586 B1 KR 1002745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t
flat tube
tube
heat exchanger
header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79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87174A (ko
Inventor
소이치 가토
다카시 스기타
Original Assignee
오타 유다카
가부시키가이샤 젝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타 유다카, 가부시키가이샤 젝셀 filed Critical 오타 유다카
Publication of KR199800871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871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45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4586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9/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plate-like or laminated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1/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 F28D1/02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 F28D1/03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plate-like or laminated conduits
    • F28D1/0391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plate-like or laminated conduits a single plate being bent to form one or more condu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9/00Casings; Header boxes; 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Auxiliary members within cas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21/00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F28D1/00 - F28D20/00
    • F28D2021/0019Other heat exchanger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Heat exchang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8D2021/008Other heat exchanger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Heat exchang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vehicles
    • F28D2021/0084Condens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Abstract

브레징시트를 가공하여 성형된 편평튜브로서, 편평튜브(4)의 서로 대향하는 편평부(11a, 11b)의 각각에 편평튜브의 긴 길이방향을 따라서 다른쪽의 편평부의 내면과 연계하는 비트(12a∼12c)를 형성한다. 이 비드(12a∼12c)의 편평부 표면에 형성되는 홈폭을 편평튜브(4)의 끝부에 있어서 최소로하며, 편평튜브(4)의 끝부를 평탄하게 한다. 핀(5)의 끝부를 편평튜브(4)의 끝부에 형성되는 평탄부(15)(A의 영역)에 접합한다. 헤더파이프의 삽입공에 삽입하는 편평튜브 끝부의 보강을 확보하면서, 헤더파이프와 편평튜브의 납땜을 양호하게 시행할 수가 있다. 편평튜브의 끝부에 비드를 형성하면서 평탄도를 확보하는 구성에 있어서 헤더파이프와 편평튜브의 연계부에 있어서 땜납재의 양호한 수납율을 실현시킨다.

Description

열 교환기
이 발명은 냉각사이클의 일부를 구성하는 열 교환기에 관한 특히 한짝의 헤더파이프를 복수의 편평튜브로서 연통하며 헤더파이프와 편평튜브의 접합을 헤더파이프에 편평튜브를 삽입납땜을 하는 것을 실현하도록 한 열 교환기에 관한 것이다.
한짝의 헤더파이프를 복수의 편평튜브로서 연통하는 구성의 열 교환기는 고압냉매를 냉각하는 콘덴서등으로 사용되고 있으나, 그와 같은 것으로서는 예컨대 특개평 8-145591호 공보에 나타난 구성이 공지되어 있다. 이것은 헤더파이프에 형성된 튜브 삽입공에 편평튜브의 끝부를 삽입하여 납땜하는 접합구조를 전제로하며 편평튜브의 끝부를 분할 형성하여 튜브의 중간에 옆가장자리(측연)와 동일한 납땜자리를 형성하고 헤더파이프의 삽입공도 이 편평튜브의 끝부형상에 맞추어서 형성하며 따라서 편평튜브 자체의 납땜성을 향상하려고 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발명의 경우 편평튜브의 끝부 옆가장자리의 맞춘부분에서 납땜이 확실하게 시행된다고 하는 견해에 의거하여 측연의 구조를 끝부 중간에도 형성하려고 하는 것이나, 편평튜브 자체의 납땜도 되는 것으로서 편평튜브와 헤더파이프의 납땜도 양호하게 시행할 필요가 있다. 특히 편평튜브의 옆가장자리의 납땜이 양호하면 열 교환 매체가 튜브에서 누설되는 일은 없기 때문에 편평튜브내의 각 비드에 납땜불량이 있다고 해도 별로 문제가 되지 않으며, 그것보다 헤더파이프와 편평튜브간의 납땜상태가 문제되어서, 이 헤더파이프와 편평튜브간에 납땜불량이 발생하면 열 교환 매체의 누설이 염려되어 열 교환기로서는 치명적인 불량요소가 된다. 따라서 헤더파이프와 편평튜브간의 납땜불량을 해소하는 것이 우선적인 과제라고 하겠다.
이와같은 관점에서 상기의 종래기술을 보면 편평튜브의 끝부 중앙부를 끝가장자리와 같은 형상으로 하여 이것에 맞추어서 헤더파이프의 삽입공을 복잡한 형상으로 하는 경우에는 다수의 편평튜브를 헤더파이프의 삽입공에 삽입하는 경우의 조립부착 작업의 능률저하가 염려되는 점에 더하여 삽입공의 형상이 복잡하기 때문에 헤더파이프와 편평튜브간에 균일한 틈새가 형성하기 어렵게 되어서, 땜납재의 수납률의 악화가 염려된다.
따라서 헤더파이프에 삽입된 편평튜브의 끝부나 튜브삽입공의 형상은 가급적 단순한 것이 바람직하다. 출원인은 앞에서 편평튜브의 끝부를 평탄하게 하며 이에 맞추어서 튜브삽입공도 가급적 직선상의 변을 가지고 형성하고 헤더파이프와 편평튜브의 양호한 납땜을 확보하도록 한 접합구조에 대하여 제안하고 있다.
이것은 도 7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편평튜브(α)를 한 장의 브레징시트를 긴 방향을 따라서 절곡부분을 형성하도록 반으로 접어서 대치하는 양쪽 가장자리를 납땜하여 열 교환 매체 통로를 형성하도록 한 것으로서 핀(β)과 연계하는 편평튜브(α)의 편평부에 비드(γ)를 긴 방향을 따라 연설(延設)하며 이 비드(γ)를 대향하는 편평부의 내면에 연계되므로서 편평튜브(α)의 내압성능이나 강도를 높이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다. 그리고 특히 헤더파이프(δ)의 삽입공(ε)에 삽입하는 편평튜브(α)의 끝부에는 비드(γ)를 형성하지 않고, 편평튜브(α)의 끝부를 플랫으로 형성하여 삽입공(ε)도 이것에 맞추어서 간단한 모양으로 형성한 점에 특징이 있다.
이러한 구성에 대하여서는, 헤더파이프와 편평튜브의 양호한 납땜이 확보되지만 삽입공(ε)에 삽입하는 편평튜브(α)의 끝부에 비드가 형성되어 있지 않으므로서, 이 부분의 보강을 생각할 필요가 있다. 이 경우에 단지 보강하는 것 만의 관점에서 상기 비드(γ)를 연장하여 끝부에도 형성하는 경우에는 상기한 종래기술과 동일하게 헤더파이프(δ)의 삽입공(ε)을 편평튜브(α)의 끝부의 표면형상에 맞추어서 복잡한 모양으로 하지 않으면 안되어서 헤더파이프(δ)와 편평튜브(α)의 납땜 불량을 쉽게 유발하게 된다.
그리하여 이 발명에 있어서는 브레징시트를 가공하여 성형되는 편평튜브에 있어서 편평튜브의 삽입공에 삽입하는 끝부의 강도를 확보하면서 헤더파이프와 편평튜브의 납땜이 양호하게 시행되는 열 교환기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하고 있다.
특히 편평튜브의 끝부에 있어서 비드를 형성함과 아울러 평탄도를 확보하는 구성을 실현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헤더파이프와 편평튜브의 연계부에 있어서 땜납재의 양호한 수납률이 실현되지 않으면 의의가 없으며, 이점을 고려하여 어떻게 열 교환기를 구축할 것인가가 중요한 과제로 되어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이 발명에 관한 열 교환기는, 한짝의 헤더파이프와 이 한짝의 헤더파이프를 연통하는 복수의 편평튜브와, 상기 편평튜브간에 배치되는 핀을 갖추어 상기 편평튜브의 끝부를 상기 헤더파이프에 형성되는 삽입공에 삽입하여 납땜하는 구성의 것에 있어서, 상기 편평튜브를 구성하는데 대향하는 편평부에 다른 편평부 내면과 연계하는 비드 또는 상기 대향하는 양쪽 편평부의 내면에서 돌출하여 서로 연계하는 비드를 긴방향을 따라서 형성하며, 상기 비드의 편평부 표면에 형성되는 홈폭을 상기 편평튜브 끝부에 있어서 최초로하고 상기 편평튜브의 단부를 평탄하게 하며 상기 핀 끝부를 상기 편평튜브 끝부에 형성되는 평탄부분에 배치하여 납땜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편평튜브의 끝부에 있어서는 비드에 의하여 보강됨과 아울러 비드의 편평부 표면에 형성되는 홈이 없어지고 평탄한 면이 되며 헤더파이프의 삽입공을 단순한 형상으로 할 수가 있고 편평튜브의 삽입을 용이하게 함과 동시에 삽입공과 편평튜브 사이에 틈새를 균일하게 형성하여 땜납재의 양호한 수납률을 실현할 수 있어서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가 쉽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같은 구성의 경우에는 편평튜브 끝부에 비드를 그대로 남기면서 홈폭을 최소로하여 평탄하게 하고 있으므로, 홈벽의 맞대어 맞추는 부분에 모세관상의 줄이 형성되며 헤더파이프와 편평튜브의 접합부분에 존재하는 땜납재가 납땜시에 이 줄을 통하여 유동하고 헤더파이프와 편평튜브의 연계부분에서 땜납재가 부족하여 납땜불량을 유발하는 일이 염려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하면 핀의 끝부를 상기 편평튜브의 끝부에 형성되는 평탄부분에 연계하여 납땜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홈벽의 맞춤부분에 핀이 연계되어서 이 줄을 흘러나가려고 하는 땜납재를 가로막을 수가 있으며 헤더파이프와 편평튜브의 연계부분의 땜납재가 과도하게 유동하는 일은 없어진다. 따라서 핀이 연계부분은 헤더파이프와 편평튜브의 접합위치에서 가급적 가까운 쪽이 바람직하며, 또 평탄부분에 핀의 연계부분을 연계만하면 되는 것으로서, 핀의 연계부분은 1개소에 한정하지 않고 2개소 이상으로 하여도 좋다.
또 편평부에 형성되는 비드는 편평튜브의 전장에 거처서 연속하여 설치하는 것이라도 강도나 내압성능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범위에서 불연속적으로(단편적으로)복수로 설치하는 것도 좋다. 후자의 경우에 있어서도 본 발명은 홈폭을 최소로 한 부분이 헤더파이프와 편평튜브의 연계부분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는 구성이 전제가 된다.
상기의 편평튜브는 대향하는 편평부의 각각에 비드를 형성하며 이 비드에 의하여 형성되는 편평부 표면의 홈폭을 편평튜브의 끝부에 있어서 최소로 하는 편평튜브의 끝부를 평탄케하는 구성이나 이와 같은 구성은 브레징시트를 가지고 가공하여 일체로 형성하면 좋다.
편평튜브는 한 장의 브레징시트에 비드나 접합자리를 프레스 가공하여 이것을 절반으로 접어서 구성하는 것이라도 2장의 브레징시트의 각각에 비드나 접합자리를 프레스 가공으로 형성하고, 이 2장의 브레징시트를 맞대어 맞추어서 구성하는 것이라도 좋다. 또 끝부의 평탄부분에 형성되는 비드는 브레징시트에 비드를 형성할때에 동시에 비드를 압축하여 홈폭을 최소로 되도록 해도 균일한 홈폭의 비드를 형성한 후에 별도 공정에 의하여 비드를 압축하여 홈폭을 최소 되도록 해도 좋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열 교환기의 전체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2는 도 1에 관한 열 교환기의 편평튜브의 평면도를 나타내며 도 2(b)와 도2(a)의 양단부를 확대한 확대도.
도 3은 도 2에 나타낸 편평튜브의 단면 또는 단면이며, 도 3(a)와 도2(b)의 3A-3A선으로 절단한 단면도.
도 3(b)는 도2(b)의 3B-3B선으로 절단한 단면도.
도 3(c)는 도2(b)의 3C-3C선에서 본 단면도.
도 4는 도 1에 관한 열 교환기의 일부를 확대한 사시도이며, 편평튜브의 끝부가 헤더파이프의 삽입공에 삽입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 것.
도 5는 열 교환기의 편평튜브의 끝부가 헤더파이프의 삽입공에 삽입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윗쪽 및 옆쪽에서 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관한 열 교환기의 일부를 확대한 사시도이며 다른 편평튜브를 사용한 경우를 나타낸 것.
도 7은 열 교환기의 편평튜브의 단부가 헤더파이프의 삽입공에 삽입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본 출원인에 의하여 앞서 제안된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이하 이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의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에 있어서 열 교환기(1)는 예컨대 차량용 공조장치의 냉각사이클의 일부를 구성하는 콘덴서로서 사용되며 한짝의 헤더파이프(2, 3)와 이 한짝의 헤더파이프(2, 3)를 연통하는 복수의 편평튜브(4)와, 이 편평튜브(4)사이에 삽입접합된 코루게이트상의 핀(5)을 가지고 있으며, 통상의 것에 있어서는 헤더파이프(2, 3)가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에 뻗도록 배치되고, 지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흐르는 공기가 핀(5) 사이를 통과하도록 되어 있다.
헤더파이프(2, 3)는 땜납재를 피복한 알루미재를 통상으로 형성하여 헤더본체를 구성하며, 이 헤더본체의 양끝 개구부를 두껑체(6)에 의하여 폐새하여 되는 것으로서, 편평튜브(4)를 삽입하는 튜브삽입공(7)이 긴 방향을 따라서 다수 정렬하여 형성되고 있으며, 본 구성예에 있어서는 한쪽의 헤더파이프(2)에 열 교환 매체가 유입하는 입구부(8)가 다른쪽의 헤더파이프(3)에 열 교환 매체를 유출하는 출구부(9)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헤더파이프(2, 3)는 압출성형에 의하며 혹은 기성의 파이프상 부재를 소정길이로 절단하는 등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헤더파이프(3, 4)는 도시생략된 간막이 플레이트에 의하여 내부가 복수의 유로실로 간막이 되어서, 입구부(8)에서 출구부(9)에 이르는 열 교환 매체 유로를 형성하도록 되어 있다.
또 10은 적층된 편평튜브(4)와 핀(5)에 의하여 구성된 열 교환부의 적층방향의 양 끝에 있어서 배치됨과 동시에 헤더파이프(2, 3)간에 고정되는 엔드 플레이트이다. 또 상기한 헤더파이프(2, 3)는 편평튜브(4)를 삽입하는 다수의 튜브삽입공을 형성한 공지모양의 튜브삽입 플레이트와, 이것과는 별체의 공지모양 플레이트를 맞대어 맞추어서 통상의 헤더본체를 구성하는 것이라도 좋다.
따라서 입구부(8)에서 유입된 냉매는 헤더파이프(2)의 최상류쪽의 유로실에 들어가며 이 유로실에서 편평튜브(4)를 통하여 헤더파이프(3)에 이르고, 이후 헤더파이프 사이를 상이하는 편평튜브(4)를 통하여 흐르기를 계속하여 최종적으로 헤더파이프(3)의 최하류쪽의 유로실에 이르고 거기에서 출구부(9)를 통하여 유출된다. 따라서 콘덴서(1)에 유입되는 냉매는, 냉각사이클의 압축기로서 압축된 고온 고압 냉매이며, 편평튜브(4)를 통과할 때에 핀(5)간을 통과하는 공기와 열 교환하므로서 열을 방출하며 저온고압의 냉매로 된다.
편평튜브(4)는 알루미늄제의 브레징시트를 프레스 가공하여 형성되는 것으로서, 특히 도 2 및 도 3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전체를 긴방향을 따라서 절곡부(18)를 형성하여 절반으로 꺽어서 대향하는 편평부(11a, 11b)에 긴 길이방향으로 연설된 비드(12a, 12b, 12c)가 형성되어 있다. 또 각각의 편평부(11a, 11b)의 옆가장 자리에 접합자리(19a, 19b)를 형성하며, 이 접합자리(19a, 19b)를 서로 접합하므로서 편평튜브내에 한쪽의 개구끝에서 다른쪽 개구끝을 걸쳐서 열 교환 매체 통로를 구성하고 있다.
비드는 각각 편평부(11a, 11b)에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서, 한쪽의 편평부(11a)에 형성되는 비드(12b)와 다른쪽의 편평부(11b)에 형성되는 비드(12a, 12c)를 어긋나게 하여 형성하며 본 구성예에서는, 한쪽 편평부(11a)에 조성된 비드(12b)를 중앙의 1개소에 형성하고 다른쪽의 편평부(11b)에 형성되는 비드(12a, 12c)를 중앙으로 치우친 양옆의 2개소에 형성하도록 했다. 각 비드(12a, 12b, 12c)는 그 비드가 형성된 편평군에서 다른쪽의 편평부를 향하여 돌출형성되고, 그 선단이 다른쪽의 편평부의 내면에 연계하여 납땜되어 있으며 본 구성예에서는, 편평튜브내의 열 교환매체 통로가 3개의 비드(12a, 12b, 12c)에 의하여 유로면적의 거의 같은 4개의 분로로 분할되어 있다. 여기서 비드는 대향하는 양쪽의 편평부에서 서로 돌출하여 연계하도록 해도 좋다.
각각의 비드(12a, 12b, 12c)는 브레징시트를 프레스 가공하여 형성되는 것으로서, 편평부 표면에 소정폭의 홈(13a, 13b, 13c)가 형성된 것이다. 비드를 형성한 것에 의하여 구성되는 이 홈(13a, 13b, 13c)는 편평튜브(4)의 양끝부에 있어서 홈폭이 거의 없어지도록 비드자체가 옆쪽에서 눌려 찌그러뜨리고 대치하는 홈벽을 맞대어 맞춘것으로 되어 있으며 편평튜브(4)의 끝부표면을 맞대어 맞춘부분에 형성되는 줄(14a, 14b, 14c)를 제하고, 튜브끝에서 소정의 범위에 걸쳐서 평탄하게 형성되어 있다. 이 편평튜브(4)의 평탄부(15)는 본 구성에 있어서는 헤더파이프(2, 3)의 삽입공(7)과 삽입하는 부분에만 형성된 것으로 되어 있으나, 편평튜브(4)의 양 끝부 이외의 부분에 형성되도록 해도 좋다.
편평튜브(4)의 삽입공(7)은 편평튜브(4)의 외형형상에 맞추어서 형성되어 있는 것이며, 특히 도 5에 나타낸 것 같이 헤더파이프(2)의 표면을 바깥쪽에서 프레스 가공하므로서 안쪽에 버어링(16)을 형성하며 편평튜브(4)를 삽입공(7)에 용이하게 도입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 편평튜브(4)의 양끝에는 절곡부분의 개구 끝 각부를 눌려 찌그러 뜨린 오목한점(17)을 형성하며, 편평튜브(4)의 삽입공(7)의 삽입을 더욱 용이한 것으로 하고 있다.
헤더파이프(2, 3)에 삽입되는 편평튜브(4)는, 삽입공(7)에 오목한점(17)이 걸쳐지지 않도록 삽입시킴과 아울러 평탄부(15)가 외부에 소정길이(A)가 남겨지도록 삽입되어 있으며, 이 A의 영역에서 핀(5)의 끝부가 연계되어서 납땜하도록 되어 있다. A의 영역과 연계하는 핀(5)의 부분은 핀의 접는부분, 또는 핀의 접는부분에 일치할때는 핀의 끝이 각각 연계부분이 되며, 평탄부(15)에 형성되는 줄(14a∼14c)을 지나가도록 적어도 1개소 납땜되어 있다.
이와같은 핀과 평탄부의 연계부분은 편평튜브의 상하양쪽의 평탄부에 각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상하 어느 하나의 평탄부에 핀 끝부가 연계되도록 해도 좋다. 따라서 치추(A)는 핀 피치나 핀(5)의 끝부형상을 고려하여 핀(5)과 평탄부(15)의 접촉이 확보되는 치수에 미리 조절된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열 교환기(1)의 성형은 미리 만들어진 편평튜브(4), 헤더파이프(2, 3) 핀(5) 등을 준비하여 헤더파이프(2, 3)의 삽입공(7)에 편평튜브(4)의 끝부를 삽입하고, 편평튜브(4) 사이에 핀(5)을 개재하고, 엔드플레이트(10)를 적층방향 양 끝에 있어서 헤더파이프간에 부착하며, 전체를 지그에 의하여 고정하고, 이상태에서 로중 납땜하면 좋다. 이 로중 납땜에 의하여, 편평튜브(4)의 서로 연계하는 접합자리(19a, 19b)나 비드(12a∼12c)와 내면 연계부분 편평튜브(4)와 핀(5)의 연계부분등이 납땜되고, 이와 아울러 헤더파이프(2, 3)의 삽입공(7)에 형성되는 버어링(16)과 편평튜브(4)의 평탄부(15)의 사이에 땜납재가 건느진다. 평탄부(15)에는 홈벽을 맞대어 맞추어서 형성되는 길(14a∼14c)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모세관 현상에 의하여 바링(16)과 평탄부(15) 사이의 땜납재가 이 줄(14a∼14c)에 인도되어서 홈폭이 크게되는 부위를 향하여 유동할려고 하나 평탄부(15)에는 핀(5)의 끝부가 연계되어 있으므로 길(14a∼14c)을 흐르는 땜납재가 이 핀(5)에 의하여 가로 막혀지며, 다량의 땜납재가 유동하는 것을 억제하여 바링(16)과 평탄부(15) 사이의 납땜불량을 억제할 수 있다.
또 상기 구성에서는 한 장의 브레징시트를 가지고 편평튜브(4)를 성형하는 구성을 나타냈으나, 2장의 브레징시트를 맞대어 맞추어서 편평튜브(4)를 구성하는 열교환기에도 이용할 수 있어서 동일한 작용효과를 얻어짐은 말할 나위가 없다. 또 상기 구성에 있어서는 편평부에 형성되는 비드를 대향하는 편평부의 내면과 연계하는 경우를 나타냈으나,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향하는 양쪽의 편평부의 내면에서 돌출하는 비드(12a, 12b, 12c)끼리를 서로 연계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또한 상기 구성에 있어서 편평튜브(4)의 전장에 걸쳐서 비드(12a∼12c)를 형성한 경우를 나타냈으나, 불연속(단편적)에 비드를 형성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삽입공(7)에 삽입하는 편평튜브(4)의 끝부에 있어서 홈벽을 맞대어 맞추어서 평탄부를 형성함과 아울러 평탄부에 핀의 끝부를 접합하도록 하는 구성으로 하면, 동일한 작업효과를 어어진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이 발명에 의하면 편평튜브의 서로 대향하는 편평부의 각각에 다른쪽 편평부 내면과 연계하는 비드를 긴방향을 따라서 형성하며 상기 비드에 의하여 형성되는 편평부 표면의 홈을 상기 편평튜브의 끝부에 있어서 홈폭을 최소로하여 편평튜브의 끝부를 평탄한 면으로하고, 이 평탄한 면에 핀 끝부를 배치하여 납땜을 하도록 했으므로 편평튜브의 끝부에 있어서도 비드를 배치하므로서 강도를 높일수가 있으며, 그와 동시에 헤더파이프와 편평튜브의 땜납재가 홈폭을 최소로 한 홈벽의 합친부분을 통하여 유동하는 것을 핀에 의하여 가로막아서, 헤더파이프와 편평튜브의 접합부분에서 땜납재의 양호한 수납률을 확보하여 불량을 없게할 수가 있다.
또 편평튜브를 브레징시트로서 구성하도록 하면, 생산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가 있음과 아울러 헤더파이프의 삽입공에 삽입하는 편평튜브 끝부의 가공도 용이하게 되며 비드의 형상이나 핀피치의 관계에서 가공의 변경도 용이한 것으로 된다.

Claims (9)

  1. 열 교환기에 있어서, 한짝의 헤더파이프와; 이 한짝의 헤더파이프를 연통하는 복수의 편평튜브와; 상기 편평튜브 사이에 배치되는 핀을 갖추며, 상기 편평튜브의 대향하는 편평부에 상기 튜브의 긴 길이방향을 따라서 안쪽에 돌출하며 이로서 이 편평부의 표면에 홈을 형성하는 비드가 형성되고, 상기 비드의 편평부 표면에 형성되는 홈폭을 상기 편평튜브의 끝부에 있어서 최소로 하는 것으로서 상기 편평튜브의 끝부를 평탄케 하며, 상기 편평튜브의 끝부를 상기 헤더파이프에 형성되는 삽입공에 삽입하여 납땜함과 아울러, 상기 핀의 끝부를 상기 편평튜브의 끝부에 형성되는 평탄부분에 연계시켜서 납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 교환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편평튜브는 한 장의 시트의 긴 길이방향으로 뻗는 양쪽 가장자리에 접합자리를 형성하고, 이 시트를 긴 길이방향을 축으로 하여 반(2개)으로 접고 상기 옆 가장자리 끼리를 겹쳐 맞추어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 교환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편평부에 형성되는 비드는, 상기 튜브의 끝부에 형성되는 평탄부분 이외는 홈폭이 크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 교환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헤더파이프에 형성되는 삽입공은, 그 주연(周緣)에 상기 헤더파이프의 안쪽에 돌출하는 버어링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 교환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편평튜브의 상기 삽입공에 삽입하는 삽입끝에는, 상기 편평튜브의 절곡부분의 각부에서 두께방향으로 찌그러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 교환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편평부에 형성되는 비드는 대향하는 편평부의 내면과 연계하도록 상기 튜브의 안쪽에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 교환기.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비드는 대향하는 한쪽의 편평부에 형성되는 비드와 다른쪽의 편평부에 형성되는 비드가 튜브폭 방향으로 교호히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 교환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편평부에 형성되는 비드는 대향하는 편평부에 형성되는 비드와 서로 연계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 교환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편평튜브는 땜납재가 피복된 브레징시트를 가공하여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 교환기.
KR1019980017937A 1997-05-19 1998-05-19 열 교환기 KR10027458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7-144662 1997-05-19
JP9144662A JPH10318695A (ja) 1997-05-19 1997-05-19 熱交換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87174A KR19980087174A (ko) 1998-12-05
KR100274586B1 true KR100274586B1 (ko) 2000-12-15

Family

ID=153673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7937A KR100274586B1 (ko) 1997-05-19 1998-05-19 열 교환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865243A (ko)
EP (1) EP0880002B1 (ko)
JP (1) JPH10318695A (ko)
KR (1) KR100274586B1 (ko)
CN (1) CN1203355A (ko)
DE (1) DE69809121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12268B2 (ja) * 1997-08-08 2001-09-25 株式会社ゼクセルヴァレオクライメートコントロール 熱交換器用チューブとその製造方法
US6209202B1 (en) 1999-08-02 2001-04-03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Folded tube for a heat exchanger and method of making same
US6729388B2 (en) * 2000-01-28 2004-05-04 Behr Gmbh & Co. Charge air cooler, especially for motor vehicles
JP2003034115A (ja) * 2001-07-23 2003-02-04 Mitsubishi Heavy Ind Ltd 自動車用空調ダクト
DE10201511A1 (de) * 2002-01-17 2003-07-31 Behr Gmbh & Co Geschweißtes Mehrkammerrohr
KR20050030490A (ko) * 2003-09-26 2005-03-30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열교환기
DE10347068A1 (de) * 2003-10-09 2005-05-12 Behr Industrietech Gmbh & Co Vorrichtung zum Austausch von Wärme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derartigen Vorrichtung
US20050155750A1 (en) * 2004-01-20 2005-07-21 Mitchell Paul L. Brazed plate fin heat exchanger
WO2005073662A1 (de) * 2004-01-28 2005-08-11 Behr Gmbh & Co. Kg Wärmetauscher, insbesondere flachrohr-verdampfer für eine kraftfahrzeug-klimaanlage
US7306028B2 (en) * 2005-06-23 2007-12-11 Thermal Corp. Modular heat sink
FR2891901B1 (fr) * 2005-10-06 2014-03-14 Air Liquide Procede de vaporisation et/ou de condensation dans un echangeur de chaleur
US8671921B2 (en) * 2007-08-30 2014-03-18 Modine Manufacturing Company Exhaust gas recirculation system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US20090087604A1 (en) * 2007-09-27 2009-04-02 Graeme Stewart Extruded tube for use in heat exchanger
WO2010106757A1 (ja) * 2009-03-17 2010-09-23 日本軽金属株式会社 コルゲートフィン式熱交換器の排水構造
KR101354839B1 (ko) * 2009-06-26 2014-01-22 가부시키가이샤 씨케이유 열교환기
US9683789B2 (en) * 2009-11-24 2017-06-20 Air To Air Sweden Ab Method of producing multiple channels for use in a device for exchange of solutes or heat between fluid flows
JP5620685B2 (ja) * 2010-02-02 2014-11-05 国立大学法人東京大学 熱交換器
CN101871735A (zh) * 2010-06-12 2010-10-27 艾欧史密斯(中国)热水器有限公司 一种适于热泵热水器的微通道换热器及其制造方法
CN102261710A (zh) * 2011-06-23 2011-11-30 董耀云 机站用分离式热管空调器
KR20130064936A (ko) * 2011-12-09 2013-06-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열교환기
CN103206877A (zh) * 2013-03-28 2013-07-17 尚小女 热交换器
JP6209078B2 (ja) * 2013-12-20 2017-10-04 株式会社ティラド ヘッダプレートレス型熱交換器
CN104101235A (zh) * 2014-07-31 2014-10-15 洛阳明远石化技术有限公司 管板式换热器
CN104633694B (zh) * 2015-02-03 2017-06-06 上海齐耀热能工程有限公司 全搪玻璃通道的板式空气预热器
WO2017121256A1 (zh) * 2016-01-11 2017-07-20 芜湖美的厨卫电器制造有限公司 换热器和热水器
CN105486125B (zh) * 2016-01-11 2018-03-06 芜湖美的厨卫电器制造有限公司 换热器和热水器
CN105423803A (zh) * 2016-01-12 2016-03-23 扬州英谛车材实业有限公司 扁管加凸包不扩口炉焊式水箱
WO2019142541A1 (ja) 2018-01-19 2019-07-25 株式会社デンソー 熱交換器
JP6801697B2 (ja) 2018-01-19 2020-12-16 株式会社デンソー 熱交換器
WO2020213023A1 (ja) * 2019-04-15 2020-10-22 三菱電機株式会社 熱交換器及び空気調和機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394311A (en) * 1919-07-22 1921-10-18 Frederick F Lang Radiator-core
GB247935A (en) * 1925-02-20 1926-07-29 Chausson Usines Sa Improvements in radiator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US5271151A (en) * 1990-04-23 1993-12-21 Wallis Bernard J Method of making a high pressure condenser
US5186250A (en) * 1990-05-11 1993-02-16 Showa Aluminum Kabushiki Kaisha Tube for heat exchangers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tube
JPH0545082A (ja) * 1991-08-12 1993-02-23 Showa Alum Corp 熱交換器用チユーブ
JP3146442B2 (ja) * 1992-11-27 2001-03-19 株式会社ゼクセルヴァレオクライメートコントロール 熱交換器用チューブ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5409057A (en) * 1993-01-22 1995-04-25 Packless Metal Hose, Inc. Heat exchange element
JP3095624B2 (ja) * 1994-07-19 2000-10-10 株式会社ボッシュオートモーティブシステム 積層型熱交換器の偏平チューブのろう付け方法
JPH08145591A (ja) 1994-11-24 1996-06-07 Zexel Corp 熱交換器
JPH08200977A (ja) * 1995-01-27 1996-08-09 Zexel Corp 熱交換器用偏平チューブ及びその製造方法
JPH09329397A (ja) * 1996-06-06 1997-12-22 Zexel Corp 熱交換器
KR100261006B1 (ko) * 1996-07-03 2000-07-01 오타 유다카 열교환기용 편평튜우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03355A (zh) 1998-12-30
EP0880002A3 (en) 1999-08-04
DE69809121D1 (de) 2002-12-12
EP0880002B1 (en) 2002-11-06
KR19980087174A (ko) 1998-12-05
JPH10318695A (ja) 1998-12-04
EP0880002A2 (en) 1998-11-25
US5865243A (en) 1999-02-02
DE69809121T2 (de) 2003-07-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74586B1 (ko) 열 교환기
US7044208B2 (en) Heat exchanger
EP0947796B1 (en) Lamination type heat exchanger with pipe joint
US5946940A (en) Tank aggregate body of receiver tank
US5036914A (en) Vehicle-loaded parallel flow type heat exchanger
US6176303B1 (en) Heat exchang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header tank
WO1998025093A1 (fr) Echangeur de chaleur
US6513585B2 (en) Header-less vehicle radiator
US6675883B1 (en) Manifold for heat exchanger
KR100254329B1 (ko) 열교환기
JPH0989477A (ja) 熱交換器の製造方法
EP0805330B1 (en) Heat exchanger enabling leak test of chambers in tank separated by single partition
JP4272055B2 (ja) 熱交換器
JPH0435742Y2 (ko)
JP3316082B2 (ja) 熱交換器のヘッダタンク
CN220356134U (zh) 热交换器
JP4214582B2 (ja) 積層型蒸発器
JP2000220990A (ja) 熱交換器
JPH0719784A (ja) 熱交換器
JPH11351784A (ja) 熱交換器
JP3804151B2 (ja) 積層型熱交換器
JPH11264675A (ja) 並設一体型熱交換器
KR0165225B1 (ko) 열교환기 및 그 제조 방법
JPH05318097A (ja) 熱交換器
JPH1047881A (ja) 積層型熱交換器の偏平チューブ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906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