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72102B1 - 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화상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72102B1
KR100272102B1 KR1019970041184A KR19970041184A KR100272102B1 KR 100272102 B1 KR100272102 B1 KR 100272102B1 KR 1019970041184 A KR1019970041184 A KR 1019970041184A KR 19970041184 A KR19970041184 A KR 19970041184A KR 100272102 B1 KR100272102 B1 KR 1002721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upply
power
unit
control signal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411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18091A (ko
Inventor
김용근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700411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72102B1/ko
Publication of KR199900180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80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21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21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10/00Energy efficient computing, e.g. low power processors, power management or thermal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 Power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는, 전체 시스템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며, 호스트 컴퓨터로부터의 인쇄 명령이나 인쇄 데이터의 입력에 따라 전원 제어 신호 및 클락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어부와, 소정의 구동 신호에 따라 인쇄를 수행하는 기구부와, 제어부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의해 기구부를 구동시키는 구동 신호를 발생시키는 기구 구동부와, 제어부 및 기구 구동부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부, 및 제어부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입력받아 전원 공급부로부터 기구 구동부로의 전원 공급을 스위칭하되, 전원 제어 신호 및 클락 신호의 발생시에는 전원 공급부로부터 기구 구동부로의 전원 공급을 오프 상태에서 온 상태로 절환시키는 전원 공급 스위칭부를 포함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 이에 따르면, 내부 전원이 오프 상태에서도 인쇄 명령 및 데이터가 수신됨에 따라 자동으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제어 가능하므로, 사용 대기 시간동안 전원을 공급할 필요가 없으며, 따라서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화상 형성 장치{Image forming apparatus}
본 발명은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전원이 오프되어 있는 상태에서 인쇄 명령 및 데이터가 수신되면 전원이 공급되어 인쇄 동작이 수행되도록 전원을 제어할 수 있는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화상 형성 장치는 전송된 인쇄 명령 및 데이터에 따라 기록 매체 상에 문자나 화상을 재현해 내는 장치이다. 이러한 화상 형성 장치는 일반적으로 컴퓨터에 연결되어 있으며, 이 컴퓨터로부터 인쇄 명령 및 인쇄 데이터를 전송 받는다.
도 1에는 컴퓨터와 일반적인 화상 형성 장치와의 연결 관계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화상 형성 장치(100)는 컴퓨터(10)의 병렬 포트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경우에, 컴퓨터(10)는 일정 시간동안 사용되지 않는 경우 모뎀(Modem)(11), 네트워크(12) 등과 같은 장치들을 통한 데이터 입력에 대비하여 전원 제어를 수행한다. 예를 들면, 모뎀(11) 또는 네트워크(12)를 통하여 데이터를 입력받기 위해 동작해야 하는 장치들을 제외한 나머지 장치들에 대해서는 전원 공급을 차단한다. 한편, 입력받은 데이터를 인쇄 할 경우에, 화상 형성 장치(100)는 항상 인쇄 가능한 대기 상태를 유지하여야 하여야 하므로, 화상 형성 장치(100) 내부의 전원 공급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도 2에는 도 1에서와 같이 컴퓨터에 연결되어 있는 종래 화상 형성 장치(20)의 시스템 구성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종래의 화상 형성 장치(20)는 컴퓨터(10)로부터의 인쇄 명령 및 데이터를 입력받아 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제어부(21)와, 이 제어부(21)로부터 제어 신호를 입력받아서 각종 구동 신호를 발생시키는 기구 구동부(22)와, 그 구동 신호에 따른 기구적 메커니즘에 의해 인쇄를 수행하는 기구부(23)와, 외부로부터의 전원을 입력받아 제어부(21) 및 기구 구동부(22)로 시스템 전원을 각각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2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화상 형성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컴퓨터로부터 인쇄 명령 및 데이터가 수신되면, 제어부(21) 내의 중앙 처리 장치(미도시)에서는 수신된 인쇄 명령에 따라 인쇄 과정이 완료되도록 각종 제어 신호를 발생한다. 이와 같은 제어 신호는 기구 구동부(22)에 입력되며, 기구 구동부(22)에서는 기구부(23) 내의 각종 모터(미도시) 등이 구동되도록 하는 구동 신호를 출력하고, 이 구동 신호에 의해 기구적 메커니즘에 따라 인쇄가 이루어진다. 한편, 전원 공급부(24)에서는 제어부(21)로는 5V 의 전원을 공급하고, 기구 구동부(22)로는 24V 의 전원을 공급함으로써, 인쇄 명령 및 데이터의 수신에 따라 항상 인쇄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의 화상 형성 장치는 사용 대기 중에도 전원이 항상 공급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불필요한 전력 소모가 발생된다. 이와 같은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사용 대기 중에 화상 형성 장치가 오프 상태가 되도록 하고,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만 오프 상태에서 온 상태로 전환하여야 한다. 그러나, 인쇄 작업을 하고자 할 경우 및 인쇄 작업이 종료된 때마다 그와 같은 온/오프 상태의 절환을 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수반되며, 특히 컴퓨터와 화상 형성 장치와의 거리가 비교적 멀리 떨어져 있는 경우에는 이러한 온/오프 절환을 수시로 하기가 용이하지 않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인쇄 대기를 위한 전원 오프 상태 중에서 인쇄 명령 및 데이터가 입력됨에 따라 전원이 공급되어 인쇄가 이루어지도록 전원 공급이 제어되는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화상 형성 장치와 컴퓨터와의 상호 관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 보인 도면.
도 2는 종래의 화상 형성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시스템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 보인 블록도.
도 4는 도 3의 화상 형성 장치의 전원 공급 스위칭부의 회로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에 의한 전원 제어 동작 과정을 보여주는 플로우 챠트.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0...제어부 310...기구부
320...기구 구동부 330...전원 공급부
340...전원 공급 스위칭부 341...D 플립플롭
342...BJT 343...P MOS FET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는, 전체 시스템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며, 호스트 컴퓨터로부터의 인쇄 명령이나 인쇄 데이터의 입력에 따라 전원 제어 신호 및 클락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어부와, 소정의 구동 신호에 따라 인쇄를 수행하는 기구부와, 상기 제어부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의해 상기 기구부를 구동시키는 구동 신호를 발생시키는 기구 구동부와, 상기 제어부 및 기구 구동부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부, 및 상기 제어부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전원 공급부로부터 상기 기구 구동부로의 전원 공급을 스위칭하되, 상기 전원 제어 신호 및 클락 신호의 발생시에는 상기 전원 공급부로부터 상기 기구 구동부로의 전원 공급을 오프 상태에서 온 상태로 절환시키는 전원 공급 스위칭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원 공급 스위칭부는, 상기 제어부로부터의 전원 제어 신호 및 클락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전원 제어 신호를 상기 클락 신호에 동시시킨 후에 출력하는 플립 플롭과, 상기 플립 플롭으로부터의 출력 신호에 따라 온/오프 되는 제1 트랜지스터, 및 상기 제1 트랜지스터의 온/오프에 따라 상기 전원 공급부로부터 상기 기구 구동부로의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제2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에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구성이 블록 형태로 도시되어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는 전체 시스템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300)와, 소정의 구동 신호에 따라 인쇄를 수행한는 기구부(310)와, 제어부(300)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의해 기구부(310)를 구동시키는 구동 신호를 발생시키는 기구 구동부(320)와, 제어부(300) 및 기구 구동부(32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부(330), 및 제어부(300)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입력받아 전원 공급부(330)로부터 기구 구동부(320)로의 전원 공급을 스위칭하는 전원 공급 스위칭부(340)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300)는 전체적인 제어를 수행하며, 내부 전원의 온/오프 상태를 절환시키는 토글 스위치(SW)(301)와, 이 토글 스위치(SW)(301)의 입력, 또는 인쇄 명령 및 데이터의 입력에 따라 발생되는 전원 제어 신호를 출력시키는 전원 제어 신호 출력 단자(PMS)와, 클락 신호를 출력시키는 클락 신호 출력 단자(CLK)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기구부(310)는 기구 구동부((320)로부터의 구동 신호에 따른 기구적 메커니즘에 의해 인쇄가 수행되도록 한다. 상기 기구 구동부(320)는 제어부(300)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의해 기구부(310)를 구동시킨다. 상기 전원 공급부(330)는 제어부(300)로는 5V, 기구 구동부(330)로는 24V의 전원을 각각 공급한다. 그리고, 상기 전원 공급 스위칭부(340)는 제어부(300)로부터의 전원 제어 신호와 클락 신호를 입력받아서 전원 공급부(330)로부터 기구 구동부(320)로의 전원 공급을 스위칭한다.
한편, 도 4에는 상기 전원 공급 스위칭부(340)의 회로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전원 공급 스위칭부(340)는 플립플롭(341), 제1 트랜지스터(342) 및 제2 트랜지스터(343)에 의해 회로가 구성된다.
상기 플립플롭(341)은 D 플립플롭으로서 제어부(300)로부터의 전원 제어 신호 및 클락 신호를 입력받는다. 그리고, 이 클락 신호에 동기되어 상기 전원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제1 트랜지스터(342)로는 바이폴러 접합 트랜지스터(Bipolar Junction transitor;이하 BJT라 한다)를 사용하며, 이 BJT(342)의 베이스 단자는 D 플립플롭(341)의 출력 단자와 연결되어 있어서 상기 플립플롭(341)으로부터의 출력 신호(Q)에 따라 온(on) 또는 오프(off)된다. 제2 트랜지스터(343)로는 P채널 MOS FET(Metal-Oxide Semiconductor FET)를 사용하며, BJT(342)가 온 되면, 전원 공급부(330)로부터 기구 구동부(320)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고, BJT(342)가 오프되면, 전원 공급부(330)로부터 기구 구동부(320)로 전원이 공급되지 않도록 한다. 이러한 스위칭 동작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P채널 MOS FET(343)의 드레인 단자는 전원 공급부(340)에 연결되도록 하며, 소스 단자는 기구 구동부(320)에 연결되도록 하며, 게이트 단자는 드레인 단자 및 BJT(342)의 컬렉터 단자에 분지 되어 연결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P채널 MOS FET(343)의 바이어스를 위해 게이트 단자와 드레인 단자 사이, 및 BJT(342)의 컬렉터 단자사이에 각각 소정의 저항값들을 갖는 저항기(R2, R3)가 삽입되어 있으며, 상기 D 플립플롭(341)의 출력단(Q)과 BJT(342)의 베이스 입력 단자 사이에도 소정의 저항값을 갖는 저항기(R1)가 삽입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화상 형성 장치의 전원 제어 동작을 도 5와 도 6에 도시된 플로우 챠트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어부(300)에서는 토글 스위치(SW)(301)에 의한 입력이 발생하였는지를 판별한다(단계 500). 이 판별에서, 토글 스위치(301)에 의한 입력이 발생되지 않았으면 계속하여 발생되었는지를 확인한다. 그리고, 토글 스위치(301)에 의한 입력이 발생되었으면, 현재의 내부 전원 상태가 오프 상태인지를 판별한다(단계 510). 상기 토글 스위치(301)는 화상 형성 장치의 내부 전원 상태를 온 상태에서 오프 상태로, 또는 오프 상태에서 온 상태로 절환시키기 위한 스위치이므로, 현재의 내부 전원 상태가 오프 상태이면 온 상태로 절환되도록 하는 전원 제어 신호가 발생되며, 현재의 내부 전원 상태가 오프 상태가 아니면 오프 상태로 절환되도록 하는 전원 제어 신호가 발생된다. 따라서, 상기 단계 510에서의 판별 결과, 현재의 내부 전원 상태가 오프 상태이면, 제어부(300)는 전원 제어 신호 출력 단자(PMS)로 하이(High) 신호를 출력한다(단계 520). 그리고, 클락 신호 출력 단자(CLK)로 클락 신호를 출력한다(단계 530). 그러면, D 플립플롭(341)에서는 클락 신호에 동기되어 하이 상태인 전원 제어 신호를 Q 출력 단자로 출력시킨다. 이 하이 상태의 전원 제어 신호는 BJT(342)의 베이스 단자에 입력되어, BJT(342)를 온(On) 시킨다. 이 BJT (342)가 온 되면, P MOS FET(343)가 바이어스 되므로, 전원 공급부(330)로부터의 24V 전원이 상기 P MOS FET(343)의 드레인 단자(D)와 소스 단자(S)를 통하여 기구 구동부(320)로 공급된다. 이와 같은 과정에 의해, 내부 전원이 온 상태로 절환된다. 화상 형성 장치의 내부 전원이 온 상태로 절환되면, 제어부(300)에서는 정상 전원 제어 모드로 들어가서 정상적으로 각 구성 요소들에 대한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한다(단계 540). 한편, 상기 단계 510에서 현재의 내부 전원이 오프 상태가 아니면, 즉 온 상태이면 제어부(300)는 전원 제어 스위칭 모드로 들어가서 소정의 프로그램에 따른 전원 제어를 수행한다(단계 550).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 제어 스위칭 모드로 들어가면, 제어부(300)는 전원 제어 신호 출력 단자(PMS)로 로우(Low) 신호를 출력한다(단계 600). 그리고, 클락 신호 출력 단자(CLK)로 클락 신호를 출력한다(단계 601). 그러면, D 플립플롭(341)에서는 클락 신호에 동기되어 로우 상태인 전원 제어 신호를 Q 출력 단자로 출력시킨다. 이 로우 상태의 전원 제어 신호는 BJT(342)의 베이스 단자에 입력되어, BJT(342)를 오프(Off) 시킨다. 이 BJT (342)가 오프되면, P MOS FET(343)가 바이어스 되지 못하므로, 상기 P MOS FET(343)의 드레인 단자(D)와 소스 단자(S)를 통한 전원 공급이 중단된다. 이와 같은 과정에 의해, 화상 형성 장치의 내부 전원이 오프 상태로 된 후, 제어부(300)에서는 토글 스위치(301)에 의한 입력이 발생되었는지를 판별한다(단계 602). 이 판별에서 토글 스위치(301)에 의한 입력이 발생된 경우에는, 전원 제어 신호 출력 단자(PMS)로 하이(High) 신호를 출력한다(단계 603). 그리고, 클락 신호 출력 단자(CLK)로 클락 신호를 출력한다(단계 604). 그러면, 하이 상태의 전원 제어 신호 및 클락 신호를 입력받은 전원 공급 스위칭부(340)의 동작에 의해 화상 형성 장치의 내부 전원은 온 상태로 절환되며, 제어부(300)에서는 정상 전원 제어 모드로 들어가서 정상적으로 각 구성 요소들에 대한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한다(단계 605).
한편, 상기 단계 602에서의 판별 결과, 토글 스위치에 의한 입력이 발생되지 않은 경우에는 인쇄 명령 및 데이터가 수신되었는지를 판별한다(단계 606). 이 판별 결과, 인쇄 명령 및 데이터가 수신되지 않았으면, 상기 단계 602의 판별부터 다시 한다. 그리고, 인쇄 명령 및 데이터가 수신되었으면, 수신된 인쇄 명령에 따라 상기 데이터를 인쇄하기 위해서 내부 전원을 온 상태로 절환시킨다. 즉, 제어부(300)의 전원 제어 신호 출력 단자(PMS)로 하이(High) 신호를 출력한다(단계 607). 그리고, 클락 신호 출력 단자(CLK)로 클락 신호를 출력한다(단계 608). 그러면, D 플립플롭(341)에서는 클락 신호에 동기되어 하이 상태인 전원 제어 신호를 Q 출력 단자로 출력시킨다. 이 하이 상태의 전원 제어 신호는 BJT(342)의 베이스 단자에 입력되어, BJT(342)를 온(On) 시킨다. 이 BJT (342)가 온 되면, P MOS FET(343)가 바이어스 되므로, 전원 공급부(330)로부터의 24V 전원이 상기 P MOS FET(343)의 드레인 단자(D)와 소스 단자(S)를 통하여 기구 구동부(320)로 공급된다. 이와 같은 과정에 의해, 내부 전원이 온 상태가 되면 인쇄가 수행된다. 인쇄가 수행되는 중에, 상기 제어부(300)는 인쇄 데이터를 출력하는 한편, 인쇄의 종료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609). 이 판별 결과, 인쇄가 종료되지 않았으면, 계속하여 인쇄 종료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인쇄가 종료되었으면, 프로그램 진행이 단계 600으로 귀환되며, 이하 전술된 동작 과정이 반복된다.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는 내부 전원이 오프된 상태에서도 인쇄 명령 및 데이터가 수신됨에 따라 자동으로 전원이 공급되므로, 사용 대기 시간동안 전원을 공급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으며 효율적인 전원 관리를 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Claims (5)

  1. 전체 시스템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며, 호스트 컴퓨터로부터의 인쇄 명령이나 인쇄 데이터의 입력에 따라 전원 제어 신호 및 클락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어부;
    소정의 구동 신호에 따라 인쇄를 수행하는 기구부;
    상기 제어부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의해 상기 기구부를 구동시키는 구동 신호를 발생시키는 기구 구동부;
    상기 제어부 및 기구 구동부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부; 및
    상기 제어부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전원 공급부로부터 상기 기구 구동부로의 전원 공급을 스위칭하되, 상기 전원 제어 신호 및 클락 신호의 발생시에는 상기 전원 공급부로부터 상기 기구 구동부로의 전원 공급을 오프 상태에서 온 상태로 절환시키는 전원 공급 스위칭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공급 스위칭부는,
    상기 제어부로부터의 전원 제어 신호 및 클락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전원 제어 신호를 상기 클락 신호에 동시시킨 후에 출력하는 플립 플롭;
    상기 플립 플롭으로부터의 출력 신호에 따라 온/오프 되는 제1 트랜지스터; 및
    상기 제1 트랜지스터의 온/오프에 따라 상기 전원 공급부로부터 상기 기구 구동부로의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제2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트랜지스터는,
    드레인 단자가 상기 전원 공급부에 연결되어 있고, 소스 단자는 상기 기구 구동부에 연결되어 있으며, 게이트 단자는 상기 드레인 단자 및 상기 제1 트랜지스터의 컬렉터 단자에 분지 되어 연결되어 있되, 상기 게이트 단자와 상기 드레인 단자와의 사이에 제1 저항기가 삽입되어 있고 상기 제1 트랜지스터와의 사이에는 제2 저항기가 삽입되어 있는 P MOS FET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상 형성 장치의 전원 공급 온/오프 상태를 절환시키는 토글 스위치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토글 스위치에 의한 입력이 발생되면, 내부 전원 상태가 오프 상태인 경우에는 내부 전원 상태를 온 상태로 절환시키는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고, 내부 전원 상태가 온 상태인 경우에는 내부 상태를 오프 상태로 절환시키는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KR1019970041184A 1997-08-26 1997-08-26 화상형성장치 KR1002721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1184A KR100272102B1 (ko) 1997-08-26 1997-08-26 화상형성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1184A KR100272102B1 (ko) 1997-08-26 1997-08-26 화상형성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8091A KR19990018091A (ko) 1999-03-15
KR100272102B1 true KR100272102B1 (ko) 2000-11-15

Family

ID=195186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41184A KR100272102B1 (ko) 1997-08-26 1997-08-26 화상형성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7210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7858A (ko) * 2001-08-23 2003-03-04 엠텍비젼 주식회사 대기모드에서의 전력소모를 감소시키는 휴대용 전자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50167U (ko) * 1996-01-08 1997-08-12 호스트 컴퓨터를 이용한 프린터 자동 전원 제어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50167U (ko) * 1996-01-08 1997-08-12 호스트 컴퓨터를 이용한 프린터 자동 전원 제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8091A (ko) 1999-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70071352A (ko) 제어 액세스를 구비한 이미지 구성장치
KR100272102B1 (ko) 화상형성장치
JPH10171959A (ja) Pcカード装置
JP3012378B2 (ja) プリンタのインターフェイス回路
JPH07168655A (ja) 直列通信ポートと光通信ポートの切換制御装置およびその駆動方法
JPH08137591A (ja) データ信号入力回路および印刷装置
KR0184471B1 (ko) 프린터 전원 온/오프 회로
KR100303484B1 (ko) 전원 절전회로
KR100380009B1 (ko) 전자 기기의 전원 제어 장치
JP2008220099A (ja) 電源装置及びこれを有する機器
JPH1049257A (ja) 情報処理装置
JPS60174023A (ja) 電源供給装置
JP2006211499A (ja) 画像形成システム
JP2001253146A (ja) 印刷処理装置
JPS63246268A (ja) プリンタ用電源回路装置
JPH0520767B2 (ko)
JPH05298044A (ja) データ処理装置
KR200155048Y1 (ko) 프린터
JPS6183082A (ja) 印字装置における自己印字制御方法
JPH0655812A (ja) プリンタ装置
JPS6359613A (ja) 電子計算機の自動電源制御方式
JP2006256004A (ja) 画像形成装置
JPH03203453A (ja) ファクシミリ装置
JPH0553681A (ja) クロツク信号切り換え装置
JPH01116715A (ja) 電源制御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3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0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