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71717B1 - 클럭 주파수 체배 장치를 포함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데이터 전송 장치 - Google Patents

클럭 주파수 체배 장치를 포함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데이터 전송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71717B1
KR100271717B1 KR1019970081272A KR19970081272A KR100271717B1 KR 100271717 B1 KR100271717 B1 KR 100271717B1 KR 1019970081272 A KR1019970081272 A KR 1019970081272A KR 19970081272 A KR19970081272 A KR 19970081272A KR 100271717 B1 KR100271717 B1 KR 1002717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ock
data
frequency
phase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812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61018A (ko
Inventor
이석규
Original Assignee
김영환
현대전자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환, 현대전자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환
Priority to KR10199700812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71717B1/ko
Priority to TW087121392A priority patent/TW412724B/zh
Priority to US09/222,188 priority patent/US6160426A/en
Publication of KR199900610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610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17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17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5/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data conversion without changing the order or content of the data handled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LAUTOMATIC CONTROL, STARTING, SYNCHRONISATION OR STABILISATION OF GENERATORS OF ELECTRONIC OSCILLATIONS OR PULSES
    • H03L7/00Automatic control of frequency or phase; Synchronis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processing data by operating upon the order or content of the data handled
    • G06F7/60Methods or arrangements for performing computations using a digital non-denominational number representation, i.e. number representation without radix; Computing devices using combinations of denominational and non-denominational quantity representations, e.g. using difunction pulse trains, STEELE computers, phase computers
    • G06F7/68Methods or arrangements for performing computations using a digital non-denominational number representation, i.e. number representation without radix; Computing devices using combinations of denominational and non-denominational quantity representations, e.g. using difunction pulse trains, STEELE computers, phase computers using pulse rate multipliers or dividers pulse rate multipliers or dividers per s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9/00Digital stores in which the information is moved stepwise, e.g. shift regist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5/00Details of stores covered by group G11C11/00
    • G11C5/06Arrangements for interconnecting storage elements electrically, e.g. by wiring
    • G11C5/066Means for reducing external access-lines for a semiconductor memory clip, e.g. by multiplexing at least address and data signal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10Input/output [I/O] data interface arrangements, e.g. I/O data control circuits, I/O data buffers
    • G11C7/1078Data input circuits, e.g. write amplifiers, data input buffers, data input registers, data input level conversion circui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10Input/output [I/O] data interface arrangements, e.g. I/O data control circuits, I/O data buffers
    • G11C7/1078Data input circuits, e.g. write amplifiers, data input buffers, data input registers, data input level conversion circuits
    • G11C7/1084Data input buffers, e.g. comprising level conversion circuits, circuits for adapting load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10Input/output [I/O] data interface arrangements, e.g. I/O data control circuits, I/O data buffers
    • G11C7/1078Data input circuits, e.g. write amplifiers, data input buffers, data input registers, data input level conversion circuits
    • G11C7/1087Data input latch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22Read-write [R-W] timing or clocking circuits; Read-write [R-W] control signal generators or management 
    • G11C7/222Clock generating, synchronizing or distributing circuits within memory device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LAUTOMATIC CONTROL, STARTING, SYNCHRONISATION OR STABILISATION OF GENERATORS OF ELECTRONIC OSCILLATIONS OR PULSES
    • H03L7/00Automatic control of frequency or phase; Synchronisation
    • H03L7/06Automatic control of frequency or phase; Synchronisation using a reference signal applied to a frequency- or phase-locked loop
    • H03L7/16Indirect frequency synthesis, i.e. generating a desired one of a number of predetermined frequencies using a frequency- or phase-locked loop
    • H03L7/18Indirect frequency synthesis, i.e. generating a desired one of a number of predetermined frequencies using a frequency- or phase-locked loop using a frequency divider or counter in the loo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Synchronisation In Digital Transmission Systems (AREA)
  • Dram (AREA)
  • Manipulation Of Pul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도체 메모리에서 클럭에 동기하여 동작하는 디램에 관한 것으로, 특히 디램의 내부 회로내에 클럭을 데이터의 최상 경로와 그외 경로로 구분하여 클럭 주파수를 체배함으로써, 발신 클럭을 최상 경로에 사용하고 체배된 클럭은 그외 경로에 사용하여, 내부의 데이터 전달 비율을 향상시켜서 빠른 데이터 전달을 구현할 수 있도록, 클럭을 발생시키는 클럭 제너레이터(10)와, 상기 클럭 제너레이터(10)로부터 발생된 발신 클럭에 동기되어 데이터, 어드레스, 명령어 등을 직렬로 수신하는 데이터 입력 버퍼(20); 상기 데이터 입력 버퍼(20)를 통하여 수신된 데이터를 데이터 패킷으로 합쳐서 메모리(50)에 병렬로 전달하는 데이터 시프트 레지스터(30) 및; 상기 클럭 제너레이터(10)에서 발생된 발신 클럭 주파수를 체배하여 데이터 시프트 레지스터(30)에서 발생된 발신 클럭 주파수를 체배하여 데이터 시프트 레지스터(30)로 입력하는 클럭 주파수 체배기(40)로 구비한, 클럭 주파수 체배 장치를 포함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데이터 전송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클럭 주파수 체배 장치를 포함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데이터 전송 장치
본 발명은 반도체 메모리에서 클럭에 동기하여 동작하는 디램에 관한 것으로, 특히 디램의 내부 회로내에 클럭을 데이터의 최상 경로와 그 외 경로로 구분하여 클럭 주파수를 체배함으로써, 발신 클럭을 최상 경로에 사용하고 체배된 클럭은 그외 경로에 사용하여, 내부의 데이터 전달 비율을 향상시켜서 빠른 데이터 전달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한, 클럭 주파수 체배 장치를 포함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데이터 전송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램버스(rambus) 디램은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에서 들어오는 데이터, 어드레스, 명령어를, 내부 클럭 제너레이터(1)에서 만든 클럭이 각각의 블록에 데이터 버퍼 제어 및 래치하는데 사용된다.
즉, 직렬 입력 데이터를 데이터 입력 버퍼(2)에서 클럭에 동기시켜 데이터를 수신하여 데이터 시프트 레지스터(3)를 거쳐 데이터 패킷(packet) 단위로 메모리(4)에 전달하게 된다.
이때, 실제 최상 경로(critical path)와 그 외 경로(non-critical path)를 같은 클럭 위상(clock phase)을 가지고 사용하게 된다.
따라서, 디램의 내부 동작을 1개의 클럭 위상에 공유하여 구동시킴으로써, 데이터의 전달 속도 및 전달 비율을 저하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시키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디램의 내부 회로 내에 클럭을 데이터의 최상 경로와 그 외 경로로 구분하여 클럭 주파수를 체배함으로써, 발신 클럭을 최상 경로에 사용하고 체배된 클릭은 그 외 경로에 사용하여, 내부의 데이터 전달 비율을 향상시켜서 빠른 데이터 전달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한, 클럭 주파수 체배 장치를 포함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데이터 전송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제1도는 일반적인 디램의 데이터 전송장치의 블록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클럭 주파수 체배기를 포함하는 디램의 데이터 전송장치의 블록도.
제3도는 제2도의 클럭 주파수 체배기의 실시 예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클럭 제너레이터 20 : 데이터 입력 버퍼
30 : 데이터 시프트 레지스터 40 : 클럭 주파수 체배기
50 : 메모리 41 : 위상 동기 루프 회로
42 : 이진 카운터 41A : 위상 주파수 검출기
41B : 충전 펌프 41C : 저역 통과 필터
41D : 전압 제어 발진기 41E : 주파수 분할기
DF1-DF3 : 디-플립플롭 11-13 : 인버터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발신 클럭을 발생시키는 클럭 제너레이터(10)와; 상기 클럭 제너레이터(10)로부터 발생된 발신 클럭에 동기되어 데이터, 어드레스, 명령어 등을 직렬로 수신하는 데이터 입력 버퍼(20)와; 상기 데이터 입력 버퍼(20)를 통하여 수신된 데이터를 데이터 패킷으로 합쳐서 메모리(50)에 병렬로 전달하는 데이터 시프트 레지스터(30); 및 상기 클럭 제너레이터(10)에서 발생된 발신 클럭 주파수를 체배하여 데이터 시프트 레지스터(30)로 입력하는 클럭 주파수 체배기(40)로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발명은 디램의 내부 동작을 최상 경로와 그 외 경로로 구분하여서 디램 내부의 클럭 위상을 체배하여 각각 다른 클럭 위상을 갖고 데이터를 래치하여 데이터 전달 비율을 높였다.
본 발명에 따른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데이터 입력 버퍼(20)를 통하여 각각의 데이터, 어드레스, 명령어가 직렬(serial)로 수신된 후, 데이터 시프트 레지스터(30)에 의해 데이터 패킷(packet)으로 합쳐져 메모리(50) 코어(core)에 병렬(parallel)로 전달된다.
이때, 각각의 블록을 최상 경로(critical path)와 그 외 경로(non-critical path)로 구분하여서, 클럭 주파수 체배기(40)에서 나온 발신 클럭(original clock) 주파수를 체배한 클럭과, 클럭 제너레이터(10)에서 나온 발신 클럭을 사용하여서 각각의 데이터 흐름을 빠르게 진행할 수 있게 된다.
제3도는 위상 동기 루프(Phase Locked Loop 이하 PLL 이라 칭함) 회로(41)와 이진 카운터(42)를 이용한 클럭 주파수 체배기(40)의 일실시 예시도이다.
상기 위상 동기 루프(PLL) 회로(41)는, 내부 클럭과 피드백 클럭의 위상을 비교 검출하여 업/다운 디지털 신호를 출력하는 위상 주파수 검출기(41A)와; 상기 위상 주파수 검출기(41A)로부터 출력된 업/다운 디지털 신호의 액티브 구간의 길이에 따라 아날로그로 변화된 신호를 출력하는 충전 폄프(41B)와; 상기 충전 펌프(41B)로부터 출력된 아날로그 신호의 낮은 대역 성분을 필터링하는 저역 통과 필터(41C)와; 상기 저역 통과 필터(41C)를 통하여 필터링된 신호에 의해 제어된 전압으로 발진 주파수를 변화시키는 전압 제어 발진기(41D); 및 상기 전압 제어 발진기(41D)로부틴 발진되어 출력된 주파수를 16배 감소시켜 상기 위상 주파수 검출기(41A)의 입력으로 피드백시키는 주파수 분할기(41E)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이진 카운터(42)는, 상기 위상 동기 루프 회로(41)의 전압 제어 발진기(41A)로부터 발진되어 출력된 주파수를 체배하여 체배 클럭을 만드는 디-플립플롭(DF1-DF3)과; 상기 디-플립플롭(DF1-DF3)의 출력을 반전시켜 상기 디-플립플롭(DF1-DF3)의 데이터 입력 단자로 각각 피드백 입력시키는 인버터(I1-I3)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와 같이 위상 동기 루프 회로(41)와 이진 카운터(42)로 구성된 클럭 주파수 체배기(40)의 동작을 살퍼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위상 주파수 검출기(41A)는 내부 클럭과 피드백 클럭(CLK/16)의 위상을 비교하여 디지털 출력 업/다운(Up/Down)신호를 출력한다.
이 업/다운 신호의 액티브(active) 구간의 길이에 따라 충전 펌프(41B)의 출력이 아날로그 신호로 변화되어 출력된다.
이 신호는 저역 통과 필터(41C)에서 필터링되어 전압 제어 발진기(41D)를 제어하게 된다.
결국, 상기 전압 제어 발진기(41D)의 주파수가 상기 충전 펌프(41B)의 출력신호에 의해 제어된다.
주파수 분할기(41E)에 의해 상기 전압 제어 발진기(41D)로부터 출력되는 출력 신호의 주파수는 16배 감소되어, 다시 위상 주파수 검출기(41A)의 입력으로 피드백된다.
한편, 이진 카운터(42)는 위상 동기(Phase locking)가 일어났을 때 원하는 신호들을 갖게 된다.
즉, 상기 위상 동기 루프(PLL) 회로(41)에 의해 기준 주파수 클럭과 피드백 클럭의 위상이 일치하면, 그 때 사용자가 원하는 Clk * 16의 클럭이 만들어진다.
이를 3개의 디-플립플롭(DF1-DF3)의 입력 클럭으로 사용하여 각각의 경로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Clk * 16, C1k * 8, Clk * 4, Clk * 2의 체배 클럭들을 만들게 된다.
상기와 같이 발신 클럭(original clock) 주파수를 체배한 클럭과, 클럭 제너레이터(10)에서 나온 발신 클럭을 사용하여서 각각의 데이터 흐름을 빠르게 진행할 수 있게 됨으로써, 칩 내부의 데이터 전달 비율을 증가시키게 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디램의 내부 회로내에 클럭을 데이터의 최상 경로와 그 외 경로로 구분하여 클럭 주파수를 체배함으로써, 발신 클럭을 최상 경로에 사용하여 안정된 동작을 구현하고, 체배된 클럭은 그 외 경로에 사용하여 빠른 데이터 흐름을 만족시키도록 구현한다.
따라서, 내부의 데이터 전달 비율을 향상시켜서 안정되고 빠른 데이터 전달을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예시의 목적을 위해 게시된 것이며,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 등이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등은 이하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Claims (3)

  1. 발신 클럭을 발생시키는 클럭 제너레이터와; 상기 클럭 제너레이터로부터 발생된 발신 클럭에 동기 되어 데이터, 어드레스, 명령어 등을 직렬로 수신하는 데이터 입력 버퍼와; 상기 데이터 입력 버퍼를 통하여 수신된 데이터를 데이터 패킷으로 합쳐서 메모리에 병렬로 전달하는 데이터 시프트 레지스터; 및 상기 클럭 제너레이터에서 발생된 발신 클럭 주파수를 체배하여 데이터 시프트 레지스터로 입력하는 클럭 주파수 체배 장치를 포함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데이터 전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클럭 주파수 체배 장치는, 입력되는 기준 주파수 클럭과 위상 동기시킨 클럭을 출력하는 위상 동기 루프 회로와; 상기 위상 동기 루프 회로에 의해 기준 주파수 클럭과 피드백 클럭의 위상이 일치할 경우, 체배 클럭을 생성하는 이진 카운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럭 주파수 체배 장치를 포함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데이터 전송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 동기 루프 회로는, 내부 클럭과 피드백 클럭의 위상을 비교 검출하여 업/다운 디지털 신호를 출력하는 위상 주파수 검출기와; 상기 위상 주파수 검출기로부터 출력된 업/다운 디지털 신호의 액티브 구간의 길이에 따라 아날로그로 변화된 신호를 출력하는 충전 펌프와; 상기 충전 펌프로부터 출력된 아날로그 신호를 낮은 대역 성분을 필터링하는 저역 통과 필터와; 상기 저역 통과 필터를 통하여 필터링된 신호에 의해 제어된 전압으로 발진주파수를 변화시키는 전압 제어 발진기; 및 상기 전압 제어 발진기로부터 발진되어 출력된 주파수를 감소시켜 상기 위상 주파수 검출기의 입력으로 피드백시키는 주파수 분할기를 포함하여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클럭 주파수 체배 장치를 포함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데이터 전송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진 카운터는, 상기 위상 동기 루프 회로의 전압 제어 발진기로부터 발진되어 출력된 주파수를 체배하여 복수개의 체배 클럭을 만드는 복수개의 디-플립플롭과; 상기 디-플립플롭의 출력을 반선시켜 상기 디-플립플롭의 데이터 입력 단자로 각각 피드백 입력시키는 인버터를 포함하여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클럭 주파수 체배 장치를 포함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데이터 전송장치.
KR1019970081272A 1997-12-31 1997-12-31 클럭 주파수 체배 장치를 포함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데이터 전송 장치 KR1002717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81272A KR100271717B1 (ko) 1997-12-31 1997-12-31 클럭 주파수 체배 장치를 포함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데이터 전송 장치
TW087121392A TW412724B (en) 1997-12-31 1998-12-22 Clock frequency multiplying apparatus
US09/222,188 US6160426A (en) 1997-12-31 1998-12-29 Semiconductor memory device having clock frequency multiply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81272A KR100271717B1 (ko) 1997-12-31 1997-12-31 클럭 주파수 체배 장치를 포함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데이터 전송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1018A KR19990061018A (ko) 1999-07-26
KR100271717B1 true KR100271717B1 (ko) 2000-11-15

Family

ID=195305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81272A KR100271717B1 (ko) 1997-12-31 1997-12-31 클럭 주파수 체배 장치를 포함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데이터 전송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6160426A (ko)
KR (1) KR100271717B1 (ko)
TW (1) TW41272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45274B2 (en) * 2001-01-24 2005-01-18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Communication port control module for lighting systems
US6809567B1 (en) * 2001-04-09 2004-10-26 Silicon Image System and method for multiple-phase clock generation
KR100385228B1 (ko) * 2001-04-18 2003-05-27 삼성전자주식회사 불휘발성 메모리를 프로그램하는 방법 및 장치
KR100663329B1 (ko) * 2004-09-24 2007-01-02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주파수 체배기
KR102647421B1 (ko) * 2016-10-06 2024-03-14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반도체장치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33064A (en) * 1987-04-27 1992-07-21 Hitachi, Ltd. Data processing system generating clock signal from an input clock, phase locked to the input clock and used for clocking logic devices
US5537660A (en) * 1992-04-17 1996-07-16 Intel Corporation Microcontroller having selectable bus timing modes based on primary and secondary clocks for controlling the exchange of data with memory
US5548285A (en) * 1994-07-18 1996-08-20 Motorola, Inc. Circuit and method of indicating data hold-time
US5778237A (en) * 1995-01-10 1998-07-07 Hitachi, Ltd. Data processor and single-chip microcomputer with changing clock frequency and operating voltage
US5777500A (en) * 1996-01-16 1998-07-07 Cyrix Corporation Multiple clock source generation with independently adjustable duty cycles
JPH11122117A (ja) * 1997-10-15 1999-04-30 Sony Corp シリアル・パラレル変換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160426A (en) 2000-12-12
KR19990061018A (ko) 1999-07-26
TW412724B (en) 2000-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90755B1 (en) Phase-locked loop circuitry for programmable logic devices
US7945803B2 (en) Clock generation for multiple clock domains
JP4063001B2 (ja) 多相クロック生成回路
EP1575170A1 (en) Highly configurable pll architecture for programmable logic device
JP2007215213A (ja) 多相クロックを生成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US5490182A (en) Phase-locked loop circuit having ring oscillator
US8471607B1 (en) High-speed frequency divider architecture
KR0138220B1 (ko) 위상동기루프회로의 클럭지연보상 및 듀티제어 장치
JPS62230118A (ja) デジタル位相同期ル−プ回路
KR100271717B1 (ko) 클럭 주파수 체배 장치를 포함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데이터 전송 장치
US6477657B1 (en) Circuit for I/O clock generation
US20030042506A1 (en) Multi-service processor clocking system
JP2007053685A (ja) 半導体集積回路装置
US8355478B1 (en) Circuit for aligning clock to parallel data
US6359948B1 (en) Phase-locked loop circuit with reduced jitter
KR20020031032A (ko) Pll 회로와 분주 방법
KR100769690B1 (ko) 주파수 전압 변환기 기반의 클럭 생성 장치 및 주파수 전압변환기 기반의 클럭 생성 장치를 이용한 인터페이스 장치
JPS63293620A (ja) ディジタル情報処理システム
JP3527593B2 (ja) フェーズド・ロックド・ループ回路
JP2004525548A (ja) 精密位相生成装置
JPH1056362A (ja) ディジタル信号処理集積回路
JPH0741229Y2 (ja) Amiクロック作成回路
JPH04225408A (ja) 情報処理装置
KR19980013886A (ko) 클럭 발생장치
JPH05344111A (ja) クロック制御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72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0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