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70795B1 - 격자판배열체 - Google Patents

격자판배열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70795B1
KR100270795B1 KR1019960703816A KR19960703816A KR100270795B1 KR 100270795 B1 KR100270795 B1 KR 100270795B1 KR 1019960703816 A KR1019960703816 A KR 1019960703816A KR 19960703816 A KR19960703816 A KR 19960703816A KR 100270795 B1 KR100270795 B1 KR 1002707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ating
plate
carrier
wall
latt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7038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700853A (ko
Inventor
크라우스 엥글라엔더
Original Assignee
폰 베델 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폰 베델 칼 filed Critical 폰 베델 칼
Publication of KR9707008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7008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07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0795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B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GENERAL; OPEN SINTERING OR LIKE APPARATUS
    • F27B21/00Open or uncovered sintering apparatus; Other heat-treatment apparatus of like construction
    • F27B21/02Sintering grates or tab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15/00Handling or treating discharged material; Supports or receiving chambers therefor
    • F27D15/02Cooling
    • F27D15/0206Cooling with means to convey the charge
    • F27D15/0213Cooling with means to convey the charge comprising a cooling grate
    • F27D15/022Cooling with means to convey the charge comprising a cooling grate grate plates

Abstract

본 발명은 다수의 격자판(2)이 나란한 배열상태로 격자캐리어(1)상에 놓여질 수 있으며 각각 격자판과 격자캐리어를 결합시키는 각각의 클램핑장치(11)에 의해 격자캐리어에 고정될 수 있는 단계격자용 격자판배열체에 관한 것이다. 이 배열제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장치(11)는 격자판쪽의 단부(14)가 격자판(2)의 전방단부벽(3)의 개구(15)를 통하여 결합되고 이 단부에 전방단부벽측으로부터 작용가능만 클램핑수단(16)이 제공되며 격자캐리어쪽의 단부에는 격자캐리어에 힘을 전달하도록 접속하는 정착수단(13)이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클램핑요소(12)를 구비한다.
이 배열체는 격자판들이 격자의 상부측에 장착되거나 분해될 수 있게 하므로 장착작업이 산업적건강과 반전기준의 관점으로 보아 보다 합리적이고 양호한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Description

격자판배열체
이런 종류의 격자들은 격자위에 쌓여 송풍구가 제공된 격자면을 통해 냉각공기 또는 그외의 가스를 공급받는 푸석푸석하고 부피가 큰 재료를 냉각시키거나 그외의 처리를 하는 작용을 한다.
격자캐리어상에 측방으로 나란한 상태로 배열된 격자판은 1열의 격자열을 형성하며, 전체 단계격자는 종방향으로 연속하여 앞뒤로 배열된 다수열의 격자들을 포함하는데, 각 열의 격자판들은 전방으로 인접하는 후속열의 격자판과 비늘형상으로 겹친다. 소위 푸셔격자의 형태의 단계격자들의 경우에는 격자상에 배치된 부피가 큰 재료가 주기적으로 격자를 가로질러 전방으로 운반되도록 각 열의 격자들은 종방향으로 진동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 격자판들위에 제공된 전방단부벽들은 한단계의 각각의 후방경계를 형성한다. “측방으로 나란한”, “종방향으로 연속하여 앞뒤로”, “전방으로”등의 상기 정의한 참고용어는 격자 및 각각의 격자판들과 관련한 다음의 설명에서 동일한 의미로 사용된다.
개방격자판들과 폐쇄격자판들사이에는 차이점이 있다. 개방격자판들은 기본적으로 격자면을 형성하며 송풍구가 제공된 커버벽과 그위에 배열된 전방단부벽으로 구성된다. 폐쇄격자판의 경우에는 전방단부벽은 부가적으로 후방벽과, 측벽과, 급기용 개구가 제공된 바닥벽을 구비하는 박스형 구조이다.
운반되지 않는 고정된 단계격자들의 경우, 한 단계의 격자판들에 제공된 전방단부벽은 격자저항과 재료통과율에 영향을 주는 좋지 않은 갭이 대체로 방지되도록 후속열의 격자들의 상부측에 지지될 수 있다. 대조적으로 푸셔격자들의 경우는 그 위치에서의 마모를 방지하기 위해 서로에 대하여 이동가능한 격자열의 상부측과 단부벽사이에 소위 푸셔갭이 제공되어야 한다. 격자저항과 격자를 통해 우연히 떨어지는 재료의 양은 그중에서도 정확히 그리고 가능한 근접하게 보정된 갭에 따라서 달라진다. 그러므로 매우 높은 기계적 및 열적 부하하에서도 푸셔갭이 가능한 변하지 않고 유지되는 방식으로 격자판들을 해당 격자캐리어에 고정하는 것은 상당히 중요한 것이다.
격자판들은 격자판과 결합하는 한편 격자캐리어와 접촉하며 격자판을 격자캐리어상에 고정하는 클램핑장치에 의해 격자캐리어에 고정될 수 있다. 이런 클램핑장치들은 특히 푸셔격자의 경우에 격자판들이 들리는 것을 방지하여 푸셔갭의 크기의 좋지않은 증가와 격자저항 및 재료통과율의 조절되지 않은 변화를 방지하여야 한다.
독일특허명세서 No 952 785는 푸셔격자로서 작용하고 커버벽파 전방단부벽으로 구성되는 개방격자판을 사용하는 단계격자를 설명한다. 이 클램핑장치는 격자 판쪽의 단부가 격자판의 하측에 배치된 후크와 결합하는 한편 격자캐리어쪽의 단부가 격자캐리어벽에 형성된 개구를 통과하여 그 단부에 나사결합될 수 있는 스크류 너트에 의해 고정되는 타이앵커를 구비한다. 제1도와 관련하여 제5도 및 제6도는 격자판의 조립이 극히 어렵다는 것을 쉽게 나타낸다. 각각의 격자판의 이 타이앵커는 격자판의 후크속에 끼워지고 격자캐리어벽의 개구를 통과한 후 접근이 어려운 위치에서 너트 및 록크너트에 의해 고정되어야 한다. 조립작업은 특히 하부로부터 실시되어야 하는, 즉 “머리위”에서 실시되어야 하는 것에 의해 더욱 어렵게 된다. 이에 덧붙여 특히 이미 사용중인 설비에서의 수리작업을 다룰때 동작부위가 매우 더럽고 그리고 설비가 정지된 직후 동작부위가 역시 매우 뜨거우므로 조립자가 건강손상을 입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경과하여야 할 냉각시간동안 기다릴 필요가 있고 청소작업을 하여야 하는 것이다. 또 다른 결점은 격자판의 하측에 배치된 후 크가 별도의 작업에서 일반적으로 주조된 격자판에 고정되어야 하도록 일반적으로 주조가 불가능하다는 것이다.
간행물 “Zement-Kalk-Gips”, No 4/1992(45th annual edition)의 페이지 171ff, 특히 제4도는 폐쇄격자판용의 격자판배열체를 설명한다. 1열의 격자판들은 횡단로드 또는 횡단바에 나사결합되며, 격자판들의 측벽에는 개구가 제공되며, 횡단로드 또는 횡단바는 격자캐리어쪽의 단부가 격자캐리어바닥벽의 개구를 통과하여 그 단부에 나사결합될 수 있는 너트에 의해 고정되는 후크형 타이앵커에 의해 결합된다. 이 격자판배열제에서도 타이앵커가 연결되어야 하는 횡단로드 또는 횡단바가 보기 힘든 접근불가능한 위치에 있기 때문에 조립이 어렵게 되므로 조립작업에는 아주 많은 경험을 필요로 한다. 또한 여기에는 조립작업이 머리위에서 실시되어야 하고, 특히 이미 사용중인 설비에서 수리작업을 할 때는 뜨겁고 더러운 작업 조건하에서 수리작업이 수행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 다른 결점은 적당만 단면크기의 이런 횡단로드 또는 횡단바의 굽힘 강도가 일반적으로 격자판이 들리는 것을 확실하게 보호하는데 불충분하다는 것이다.
본 발명은 특허청구의 범위 제1항에서 설명한 종류의 단계격자용 격자판배열체에 관한 것이다.
제1도는 격자판이 장착되고 1편의 타이앵커형태의 클램핑장치를 갖는 박스형 격자캐리어의 개략단면도이고,
제2도는 클램핑장치가 클램핑요소와 정착수단으로 구성되는 제1도에 상당하는 도면이고,
제3도는 하방으로 개방된 격자판을 갖는 제2도에 상당하는 도면이고,
제4도는 각 경우에 바닥벽이 클램핑장치부분이 되며 폐쇄격자판을 갖는 계단형구조로 겹치는 2열의 격자의 단면도이며,
제5도는 측부사이에 삽입될 수 있는 박판부에 의해 실제격자면이 형성되는 대체로 제4도에 도시한 것같은 격자판의 상세부의 사시도이며,
제6도는 격자판구조의 상세부를 갖는 대체로 제5도에 도시한 것같은 두개의 격자판의 사시도이며,
제7도는 선 VII-VII을 따라서 취한 대체로 제6도에 도시한 것같은 격자판배열체의 단면도이며,
제8도는 대체로 제7도에 도시한 것같은 구조의 한 격자열의 평면도이며,
제9도는 격자판과 격자캐리어를 일체로 접속하며, 격자판의 측부사이에 삽입될 수 있는 박판부에 의해 실제격자면이 형성되는 한 격자열을 형성하는 격자비임배열체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목적은 조립을 공지의 구성에 비하여 상당히 개량시키고 단순화시키는 특허청구의 범위 제1항에 제시한 종류의 안전하고 신뢰할만한 격자판배열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목적은 제1항에 기술한 특징에 의해 달성된다.
클램핑장치는 격자판쪽의 단부가 격자판의 전방단부벽의 개구를 통하여 결합되고 이 단부에는 전방단부벽측으로부터 작용가능한 클램핑수단이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클램핑요소를 구비한다. 생각되는 클램핑요소는 예를들어 쐐기 또는 테이퍼요소, 편심토글, 스크류요소등이다. 격자캐리어쪽의 클램핑요소의 단부에는 특정 구체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는 바와 같이 격자캐리어에 힘을 전달하도록 접속하는 적절한 정착수단이 제공된다.
격자판이 격자캐리어에 맞추어진 후에 작업자는 위로부터, 즉 격자의 상부측으로부터 클램핑요소를 조일 수 있다. 그 결과 작업자는 공지의 구성에서 보다 상당히 양호한 작업조건을 가지므로 작업자는 조립작업을 보다 신속하고 보다 정확히 실시할 수 있다. 이런 합리적인 효과이외에도 클램핑수단을 조이는 작업을 특히 머리위의 피곤한 위치에서 더 이상 실시할 필요가 없으므로 산업적건강과 안전기준의 유지면에서 조립자의 상당한 이점을 부여한다. 격자의 기능은 시험결과가 보여 주는 바와 같이 단부벽을 지나 돌출하는 클램핑장치의 부분에 의해 결코 나쁘게 손상되지 않는다. 또한 클램핑수단과 상호작용하는 격자판쪽의 단부를 격자판의 단부벽에 카운터싱크상태로 쉽게 배치할 수 있다. 이런 종류의 격자판들은 그후 앞뒤로 배치된 격자판들이 서로 직접 지탱하게 되는 평격자용으로 쉽게 사용될 수 있다.
클램핑요소는 원칙적으로 격자판의 단부벽과 격자캐리어사이에서 펴져 이 경우에 격자판을 격자캐리어에 대하여 전방으로 적절한 접촉면으로 조이는 가압 또는 스프레더요소가 되거나, 격자판을 격자캐리어에 대하여 후방으로 적절한 접촉면으로 당기는 인장장치가 될 수 있다.
클램핑장치로서 많은 다른 설계형상을 생각할 수 있다. 특히 단순한 설계형상에 있어서, 예를들어 현재기술 상태에 따른 타이앵커의 경우에서처럼 클램핑요소와 정착수단이 일체화되며, 그외의 설계형상에 있어서는 특정구체예를 참고하여 앞으로 제시하는 바와 같이 정착수단은 클램핑요소에 힘전달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는 별개의 구성요소형태를 갖는다.
인장장치형태의 클램핑요소를 사용할 때, 정착수단은 바람직하게도 격자캐리어에 제공된 지지엣지의 뒤측과 결합하는 적어도 하나의 후크를 구비한다. 실제의 클램핑요소는 바람직하게도 격자판쪽의 단부에 제공된 스크류헤드에 의해 조여질 수 있는 단순하고 값싼 스크류볼트이거나 그 단부에 나사결합될 수 있는 스크류너트이다.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에 따르면 폐쇄격자판의 경우에는 격자판의 하측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는 바닥판은 클램핑장치부분이며, 이는 격자판의 하측에 종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며 격자판쪽의 단부에 적어도 하나의 클램핑요소가 제공되는 한편 격자캐리어쪽의 단부에 정착수단이 제공되는 별개의 구성요소이다. 바닥판은 박스형의 격자판의 측벽과 일체로 되어 대략 U형단면의 구성요소를 형성하며,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는 격자판자체에 측벽들이 배치되고 측벽에 제공된 종방향가이드에 종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바닥판이 장착된다. 특히 간단한 구성에서는 측벽 및 단부벽의 내측에 배치된 가이드바에 하부로부터 바닥판이 밀봉상태로 가해질 수 있다.
또 다른 구체예는 바닥판이 격자캐리어쪽의 단부에서 후크를 가지는 한편 격자판쪽의 단부에서 인장장치의 힘전달접속을 위한 플랜지를 갖는다. 특히 간단한 구체예에서 바닥판자체가 격자캐리어쪽의 단부에서 후크형상으로 굽어진다.
근래의 격자구성에 있어서 격자캐리어는 격자판의 종방향에 대하여 횡단방향으로 배치된 전후방캐리어벽을 갖는 대제로 박스형이며, 이런 상태에서 정착수단은 각각 전방격자캐리어벽과 결합한다. 조립된 상태에서 격자판은 적어도 전방격자캐리어벽에 위치하고 후방벽에 의해 후방격자캐리어벽에 대하여 가압된다. 격자판의 후방벽과 한편으로는 후방격자캐리어벽에는 바람직하게는 격자판을 적어도 높이방향으로 지지하는 상호작용형상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체예에 있어서, 이들 형상들은 격자판의 종방향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연장되어 예를들어 열팽창의 결과로서의 격자판의 횡방향이동은 허용하면서 격자판이 격자캐리어로부터 들리는 것을 방지하는 안내형상의 형태를 갖는다. 이 경우 클램핑장치는 바람직하게는 격자판들이 격자캐리어에 확실하게 고정지지되어 큰 힘을 수반하지 않고 여전히 횡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하는 정도까지만 조여진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예는 클램핑요소가 조여졌을 때 격자판이 격자캐리어에 조여지는 방식으로 안내형상이 쐐기형단면형상으로 상호작용하는 작용면을 갖는다. 이와 마찬가지로 예를들어 박스형 격자캐리어의 상부엣지와 결함하는 후크와 그 상부엣지도 역시 쐐기형방식으로 상호작용하며 클램핑요소가 조여졌을 때 후크와 함께 격자판을 하방으로 조이는 작용면을 갖는다.
일정한 조임력을 보장하기 위해,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제예는 클램핑요소가 스프링요소에 의해 단부벽 또는 격자캐리어에 지지된다. 이렇게 하여 조임력이 스프링요소의 스프링특성에 따라서 결정되는 범위로 유지된다. 인장장치형태의 클램핑요소의 경우에 스프링요소는 바람직하게는 전방단부벽측과 클램핑요소사이에 배치되며, 바람직한 구조에 있어서 스프링요소는 탄성재로 구성되어 스페이서에 의해 단부벽에 지탱하며 인장장치가 통과하여 결합하게 되는 단부판이다. 단부판의 휨정도는 조임력에 대한 측정치로서 역시 조립시에 쉽게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예에 있어서는 단부판의 폭은 적어도 격자판의 폭에 상당하며, 단부판에는 인장장치가 통과할 수 있도록 높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롯이 연장된다. 이런 구조는 단부판을 높이방향으로 조정할 수 있게 하여 단부판의 하측엣지와 그 아래에 배치된 격자판의 상부측사이에 형성된 푸셔갭을 조정할 수 있게 한다. 단부판을 수직방향으로 용이하게 이동시키기 위해서 바람직하게는 단부판과 단부벽에 높이방향으로 연장되고 단부판이 경사운동하지 못하게 하는 상호작용안내 형상이 제공된다.
이미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이점은 격자판의 조립 및 분해가 쉽다는 것에 있다. 따라서 특히 각각의 손상 및 파손된 격자판을 저렴하게 분해하고 새로운 격자판으로 교체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술한 간행물 “Zement-Kalk-Gips”의 경우에서처럼 1열의 격자판들이 함께 조여져 다발 또는 배열체를 형성함에 의한 이점을 잃지 않기 위해, 본 발명에 따라서 각 경우에 각각의 인접한 격자판들, 즉 예를들어 두개, 세개 또는 작은 그룹의 병렬배치된 격자판들만이 서로 연결된다. 따라서 각각의 격자판을 교체하기 위해서는 몇개의 다른 격자판에 대한 측방접속만을 해제하고 새로운 격자판이 제자리에 맞추어진 후에 개조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구조는 각각의 인접한 격자판들을 연결하기 위한 수단이 격자판에 각각 공통되는 바닥판에 의해 형성된다. 이 바닥판은 예를들어 해당 그룹의 격자판들과 대략 클립형상으로 결합하여 횡방향으로 함께 연결할 수 있다.
예를들어 EP 0 549 816 A1에 따라서 측부사이에 앞뒤로 삽입될 수 있는 박판부에 의해 실제격자면이 형성되는 격자판을 사용할 때 마찬가지로 각각의 격자판들을 측방에서 연결하기 위한 수단은 그 격자판들에 각각 공통되는 박판부에 의해 형성된다. 박판부는 결국 측방에서 서로 연결될 격자판과 클립형으로 결합하는 구조이다. 만일 다수의 격자판들을 각각 덮는 박판부가 벽돌쌓기방식으로 서로에 대하여 열에서 이동된다면 특히 바람직한 구조가 제공된다. 본 배열체는 격자들의 1열의 격자판이 서로 조여져 다발 또는 배열체를 형성하게 하는 한편 각각의 격자판 또는 격자판그룹이 전체조립체를 해체할 필요없이 다른 격자판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게 한다.
제1도는 원래 알려진 방식으로 급기덕트 또는 급기로의 형태로 되어 격자의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격자캐리어(1)를 나타낸다. 다수의 격자판(2)이 격자캐리어(1)상에 나란한 상태로 배열되어 격자열을 형성한다. 이 격자판(2)들은 소위 밀폐격자판이라 하는데, 즉 본 구체예에서는 단부벽(3)과, 바닥벽(4)과, 제1도에는 일측 벽만이 도시된 측벽(5)들을 갖는다. 격자판(2)은 격자캐리어(1)의 후방벽에 의해 후방이 폐쇄된다. 하측에서 격자판(2)들은 바닥벽(4)에 의해 덮이지 않은 후방부 위에 의해 공기수용 격자캐리어(1)와 연통된다. 실제의 격자면을 형성하는 격자판(2)의 커버 또는 상부벽(6)에는 공지의 방식이므로 여기서 상세히 도시하지 않은 송풍구, 바람직하게는 비스듬하게 전방으로 기울어진 송풍슬롯이 제공된다.
격자판(2)은 그 측벽(5)이 격자캐리어(1)의 전방벽(7)에 지지되는데, 바닥벽(4)의 후방엣지(8)는 전방벽(7)의 상부엣지(21)에 밀봉상태로 놓여진다. 상부벽(6)의 후방엣지(9)는 격자캐리어(1)의 후방벽(10)의 상부엣지(18)에 밀봉상태로 놓여진다.
격자판(2)을 격자캐리어(1)에 고정하기 위해, 클램핑요소(12)와 정착수단(13)을 구비하는 클램핑장치(11)가 제공된다. 제1도에 도시한 구체예에 있어서, 클램핑요소(12)와 정착수단(13)이 일체화되어 일체구성요소를 형성한다. 클램핑요소(12)는 스크류핀 또는 볼트이다. 즉, 격자판쪽의 단부(14)가 격자판(2)의 전방단부벽의 개구(15)를 통하여 연장되고 격자판쪽의 단부(14)에 스크류너트(16)가 나사결합될 수 있는 외부나사로 제공된다. 정착수단(13)은 격자캐리어쪽의 스크류핀 또는 볼트의 단부에 제공되는 후크(17)에 의해 형성되는데, 이 후크(17)는 격자캐리어(1)의 전방벽(7)의 상부엣지(21)의 뒤에 결합된다.
격자판(2)을 조립하기 위해 격자판이 격자캐리어(1)상에 놓여지고 아직 조여지지 않은 상태의 클램핑장치(11)가 전방벽(7)에 헐렁하게 매달려진다. 후크(17)는 스크류너트(16)를 조임으로써 전방벽(7)에 대하여 당겨지는데, 이 경우 격자판(2)은 후방으로 밀려 후방벽(10)에 지탱된다.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벽(10)의 상부엣지(18)와 한편으로는 격자캐리어의 후방단부, 즉 상부벽(6)의 후방엣지(9)에는 상호작용하는 구조가 제공되어 격자판(2)이 격자캐리어(1)에 대해 횡단이동하게 하는 한편 격자판(2)이 들리는 것을 방지한다. 도시한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상호작용구조는, 각기 쐐기형 단면형상으로 상호작용하며 클램핑장치(11)가 조여졌을 때 격자판(2)이 격자캐리어(1)에 고정되는 힘이 발생되는 작용면(19), (20)이 형성된다.
이와 마찬가지로 전방벽(7)의 상부엣지(21)와 한편으로는 클램핑장치(11)의 후크(17)에는 각기 쐐기방식으로 상호작용하고 클램핑장치(11)가 조여졌을 때 격자판(2)을 격자캐리어(1)에 고정하는 힘을 발생하는 상호 작용면(22, 23)이 제공된다.
클램핑요소(12)의 클램핑수단, 즉 스크류핀 또는 볼트의 나사에 나사결합될 수 있는 스크류너트(16)는 이미 전술한 바와 같이 격자판(2)이 바람직한 작용상태하에서 격자캐리어(1)에 조립될 수 있도록 격자의 상부측으로부터 다룰 수 있다.
제2도는 기본적으로 클램핑장치(211)의 구조에서만 제1도에 도시한 것과 다른 구체예를 나타낸다. 이 경우 스크류핀 또는 볼트 형태의 클램핑요소(212)와 후크(217)형태의 정착수단(213)은 별개의 구성요소로 되어 있다. 클램핑요소 또는 스크류볼트(212)는 그 격자판쪽의 단부(214)가 격자판(202)의 전방단부벽(203)의 개구(215)를 통하여 돌출하며 그 단부는 스크류헤드(216)를 가진다. 격자캐리어쪽의 스크류볼트(212)의 단부(225)에는 후크(217)의 나사구멍속에 나사결합될 수 있는 외부나사가 제공된다.
스크류볼트(212)를 조임으로써 후크(217)가 전방벽(207)에 대하여 당겨지고 격자판(202)은 그 후방엣지(209)가 격자캐리어(201)의 후방벽(210)에 대하여 가압된다.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한 구체예는 격자판을 갖춘 밀폐된 근래의 구조인데, 냉각공기가 거의 격자캐리어의 공기안내통로 또는 덕트에 의해 공급되고, 격자판들이 밀봉되게 취부된다.
제3도는 제2도에 도시된 것과 다르게 격자판(302)이 개방격자판이다. 즉, 격자캐리어(301)에 대해 밀봉되지 않게 바닥벽을 갖지 않는다. 이 경우 냉각공기는 공지된 바와 같이 각각의 다수의 격자열들 또는 전체격자에 공통되는 에어챔버에 의해 격자판(303)에 공급된다. 측벽도 개방된 격자판의 경우에는 보통 생략된다. 이 경우 제3도에 파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가능한 후방벽(310) 높이까지 연장되는 전방벽(307)은 격자판(302)을 직접 지지하며 클램핑장치(311)는 전방벽(307)에 제공된 개구를 통해 결합된다.
클램핑장치(311)는 여기서 재차 설명할 필요없도록 제2도에 도시된 클램핑장치(211)에 모든 상세부가 대응된다.
제4도는 각 열이 격자캐리어와 그위에 배열된 격자판을 갖는 두개의 격자열을 나타낸다. 제4도의 우측에 도시한 배열체(A)는 예를들어 고정된 격자열인 반면에 좌측에 도시한 배열체(B)는 푸셔격자의 가동열이다. 그외의 면에서 양 배열체는 동일하다.
격자열을 형성하는 다수의 격자판(402)은 공기안내통로 또는 덕트형태의 격자캐리어(401)에 나란한 상태로 장착된다. 격자판(402)은 상부벽 또는 커버벽(406)과, 전방단부벽(403)과, 제4도에 하나만 도시된 측벽(405)들과, 후방벽(426)과, 바닥벽(404)을 갖는 폐쇄격자판이다.
특히 유사한 구성을 갖는 제5도의 격자판에 관해서도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 바닥벽(404)은 각각 측벽(405)과 단부벽(403)의 내측에 제공된 가이드바(427) 및 (428)에 대해 하부로부터 가해지는 별개의 구성요소이며, 상술한 별개의 구성요소는 그 후방단부엣지가 상기 내측에 배치된 지지돌출단에 대해 지탱된다(제5도의 지지돌출단(545)을 참조).
바닥벽(404)은 동시에 격자판(402)을 격자캐리어(401)에 고정시키는 클램핑장치(411)를 갖추며, 이 클램핑장치(411)는 클램핑요소로서 작용하고 바닥벽(404)과 상호작용하는 스크류핀 또는 볼트를 구비한다. 전방단부벽(403)의 개구(415)를 통하여 연장되는 격자판쪽의 단부(414)에서 스크류볼트는 스크류헤드(416)를 갖는 반면에 격자캐리어쪽의 단부(425)에서 스크류나사(429)를 갖는다. 상부측에서 바닥판(404)은 바닥판에 수직한 플랜지(430)를 가지며 그 플랜지의 나사구멍속으로 스크류볼트(412)가 나사결합될 수 있다. 격자캐리어쪽의 단부(431)에서 바닥판(404)은 하방으로 굽어져, 격자캐리어(401)의 전방벽(407)의 상부엣지(421)와 결합하는 후크(417)를 형성한다.
바닥벽(404)은 격자판(402)이 그 후방벽(426)에서 격자캐리어(401)의 후방벽(410)에 대해 가압되도록 스크류볼트(412)를 조음으로써 격자캐리어(401)의 전방벽에 대해 당겨진다.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방벽(410)의 상부엣지(418)와 한편으로 격자판(402)의 후방벽(426)에 상호작용안내형상이 제공되어 격자판(402)이 격자캐리어(401)상에서 횡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되지만 격자판(402)이 들리는 것이 방지된다.
제1도 내지 제3도의 경우에서처럼 후크(417)와 한편으로 격자캐쿼어의 전방벽(407)의 상부엣지(421)에는 쐐기방식으로 상호작용하며 스크류볼트(412)가 조여졌을 때 격자캐리어에 대하여 바닥벽(404)을 하방으로 당기며 측벽의 내측에 배치된 지지돌출단(제5도의 지지돌출단(545)을 참조)에 의해 격자판(404)에 전달되는 힘을 발생하는 작용면이 제공된다.
제4도에 역시 도시한 바와 같이 스크류볼트(412)의 스크류헤드(416)와 격자판(402)의 전방단부벽(403)사이에는 각각의 단부판(432)이 배치된다. 단부판(432)에는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며 스크류볼트(412)와 결합하는 슬롯(433)이 제공된다. 단부판(432)의 폭은 단부벽(403)의 폭에 상당하는 한편 단부판의 높이는 적어도 대략 단부벽의 높이에 상당한다.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 후속단의 상부측에 대한 푸셔갭(434)은 단부판(432)의 수직변위에 의해 정확히 보정될 수 있다.
측벽(405)의 개구(435)가 스크류에 의해 나란하게 배열된 각각의 격자판(402)들이 서로연결되게 유도한다.
제5도는 대체로 제4도에 도시된 것같은 격자판(502)이 도시되어 있다. 제4도에서 개략적으로만 도시된 상부벽 또는 커버벽(406)이 제5도의 구체예에서는 측벽(505)의 내측에 구비된 안내홈(544)속에 연속적으로 삽입되는 각각의 판 또는 박판부(535)로 교체되며, 이 판 또는 박판부(535)가 박판부 사이에 송풍슬롯을 갖추면서 배열된다. 마지막 판 또는 박판부(여기서는 도시되지 않음)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격자판을 전방으로 폐쇄하며 격자판에 견고히 연결된다.
제4도의 구체예처럼 바닥벽(504)이 각각 측벽(505)과 전방단부벽(503)의 내측에 제공된 각각의 가이드바(527, 528)에 대해 하부로 작용되되, 분리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바닥판(504)의 전방단부(531)가 측벽(505)의 내측에 배치된 지지노즈부(545)에 위치되어 있어, 바닥벽(504)에 의해 격자판이 하부로 당겨질 수 있게 된다.
제4도에 도시된 것과 동일하게, 바닥벽(504)의 단부(531)측에 격자캐리어의 전방벽의 상부엣지의 뒤쪽과 결합하도록 된 후크(517)가 제공된다. 바닥벽(504)의 상부축에 나사구멍(536)을 갖춘 플랜지(530)가 배치되어 있어, 상기 나사구멍(536)을 통해 스크류핀 또는 볼트 등이 나사결합될 수 있다. 스크류핀 또는 볼트는 외측으로부터 직접 나사헤드에 의해 또는 단부벽(503)에 대해 단부판(532)을 개재함으로써 지탱될 수 있다.
상기 단부판(532)에 수직방향으로 연장되어 이미 전술한 바와 같은 방식으로 수직방향으로 확장된 슬롯(533)이 제공되어, 단부판(532)이 수직으로 이동될 수 있게 된다. 단부판(532)에 또한 단부판(532)이 경사운동을 수반하지 않고 수직이동하도록 간격을 두고 단부(503)에 대하여 지탱하는 방식으로 수직방향으로 연장되어 격자판(502)의 단부(503)에 제공된 대응하는 안내부(538)와 상호작용하는 측방안내단(537)이 제공된다. 이렇게 단부판(532)의 수직이동에 의해 후속단의 상부측에 정확히 평행하고 정확히 보정된 푸셔갭을 조정할 수 있다.
한 열의 모든 격자판들이 함께 고정되어 다발을 형성함에 의해 각각의 격자판들을 쉽게 조립 및 분해하는 이점을 잃지 않기 위해서는 각각의 경우에 나란한 상태로 배열된 각각의 격자판들 또는 나란한 상태로 배열된 작은 그룹의 격자판들만이 서로 연결된다. 이것은 측벽의 개구(435)를 통해 끼워지는 핀 또는 볼트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은 이미 제4도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런 핀 또는 볼트들은 접근하기 힘든 위치에 끼워져야 하며 이미 전술한 이점을 수반함을 쉽게 알 수 있다. 제6도는 나란한 상태로 배열되며 제5도를 참고로 설명한 격자판(502)에 상당하는 두개의 동일한 격자판(602)을 나타낸다. 별개의 구성요소형태의 바닥벽(604)은 나란히 배열된 두개의 격자판(602)을 덮기에 충분만 폭을 갖는다. 제6도 및 제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닥벽(604)은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앙홈(638)과 두개의 측방단차(639)를 갖는다. 중앙홈은 서로에 대해 측방으로 지탱하는 두개의 격자판(602)의 서로 지탱하는 두개의 측벽(605)의 폭에 상당하는 폭을 갖는다. 측방단차(639)는 측벽(605)의 폭에 상당하는 폭(b)을 갖는다. 바닥벽(604)은 제7도에 도시한 방식으로 나란히 배열된 두개의 격자판(602)에 하부로부터 끼워지는데, 이 경우 중앙홈(638)은 두개의 격자판의 서로 지탱하는 두개의 측벽(605)와 결합하여, 이들을 서로 결합시킨다.
이렇게 각가의 격자판을 분해하기 위해서는 분해될 격자판을 상방으로 들어올리고 이를 새로운 격자판으로 교체하기 위해 격자판과 공통바닥판에 의해 격자판에 연결된 격자판의 클램핑장치를 해제하면 된다.
제6도에 도시한 종류의 측방으로 나란히 배열된 두 개 이상의 격자판을 서로 연결하는 그외의 가능한 방법은 각각의 판 또는 박판부(635)가 두 개 이상의 격자판을 덮어 클립방식으로 서로 연결하는 판 또는 박판부로 교체되게 한다. 제6도는 나란한 상태로 배열된 두개의 격자판을 덮기에 충분한 폭을 갖는 이중판 또는 박판부(640)를 도시한다. 판 또는 박판부(635)와 마찬가지로 박판부(640)는 실제의 격자면을 형성하며 측벽(605)의 상부엣지에 위치하는 상부판 또는 커버판(641)과, 두개의 격자판(602)의 각 측벽(605)사이에서 하방으로 돌출하며 각각 후속의 이중판 또는 박판부의 상부판 또는 커버판아래에 결합하는 두개의 돌출부(642)로 구성된다. 돌출부(642)에는 측벽(605)의 내측에 제공된 안내홈(644)속으로 결합하는 막대부(643)가 측방으로 배치된다. 이중부(640)의 돌출부(642)는 두개의 인접한 격자판(602)의 서로 지탱하는 두개의 측벽(605)을 둘러싸서 함께 지지한다. 그러므로 격자판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이와 관련된 이중판 또는 박판부가 제거되어야 하며 해당 클램핑장치가 해제된다.
각각의 격자판을 분해하기 위해 전체 조립체가 헤제되어야 할 필요없이 한열의 격자판이 서로 연결되어 유니트를 형성하도록 제8도에 도시한 배열체가 제공된다. 제8도는 나란한 상태로 배열된 다수의 격자판(802)을 갖는 격자열을 도시한 것이다. 제6도 및 제7도의 구체예에서처럼 실제의 격자면은 이중판 또는 박판부(840)와 측방엣지에서의 각각의 판 또는 박판부(835)에 의해 형성된다. 연속하여 앞뒤로 배열된 박판부열(11-15)은 벽돌쌓기방식으로 각각의 박판부(835)의 폭만큼 서로에 대하여 측방으로 이동된다. 이렇게 하여 한 열의 모든 격자판(802)을 함께 고정하는 복합조립체가 만들어진다.
제9도는 공기안내통로 또는 덕트형태의 격자캐리어(901)가 바닥벽(904)과 측벽(905)과 결합하여 일체의 구성요소를 형성하는 격자열구조를 나타낸다. 이 구조는 후방커버벽(906)과 다수의 박판부(935)가 두개의 측벽(905)사이에 삽입됨에 의해 완성되어 작동격자비임 또는 배열체를 만든다. 제9도의 좌측에 도시된 박스가 격자판(902)의 기능을 수행하며, 측벽(905)의 내측에 구비된 수직 안내홈속으로 끼워지는 폐쇄판들(935, 906)에 의해 전방단부벽(903)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방단부벽(903′)이 측벽(905)의 전방단부면에 대해 작용할 수 있고, 클램핑장치(911)에 의해 신속하게 조여질 수 있다. 도시한 구체예에 있어서 클램핑장치(911)가 제1도에 도시된 클램핑장치(11)과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다. 즉, 스크류너트(916)와 나사결합될 수 있는 스크류나사산을 갖는 스크류핀 또는 볼트로 구성되고, 이 스크류핀 또는 볼트의 자유단부가 전방단부벽(903′)의 개구를 통과하게 된다. 또한, 상기 스크류핀 또는 볼트의 후방단부가 후크형상으로 굽어져 격자캐리어(901)의 전방벽(907)의 뒤쪽에 결합된다.

Claims (27)

  1. 다수의 격자판이 나란한 배열상태로 격자캐리어상에 놓여질 수 있으며 각각 격자판과 격자캐리어를 결합시키는 각각의 클램핑장치에 의해 격자캐리어에 고정될 수 있는 단계격자용 격자판배열체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장치(11)가 적어도 하나의 클램핑부(12)를 갖추되, 이 클램핑부(12)가 격자판(2)의 전방단부벽(3)에 형성된 개구(15)를 통하여 결합되고, 전방단부벽(3)측으로부터 작용가능한 클램핑수단(16)이 제공되며, 격자캐리어(1)쪽의 단부에 힘전달이 되게 격자캐리어(1)에 연결되는 정착수단(13)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자판배열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착수단(13)이 클램핑부(12)와 일제화되어 하나의 구성요소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자판배열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착수단(213)이 클램핑부(212)에 힘을 전달하도록 연결될 수 있는 별개의 구성요소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자판배열체.
  4.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인장장치의 형태인 클램핑부(12)를 사용할 때 정착수단(13)이 격자캐리어(1)에 제공된 지지엣지(21)의 뒤에 결합하는 적어도 하나의 후크(17)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자판배열체.
  5.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부(12, 212)가 격자판쪽의 단부에 배치된 스크류헤드(216) 또는 격자판쪽의 단부에 나사결합될 수 있는 스크류너트(16)를 갖는 스크류볼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자판배열체.
  6.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장치(411)가 격자판(402)의 하측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고 종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며 격자판쪽의 단부가 적어도 하나의 클램핑부(412)에 연결되며 격자캐리어쪽의 단부(431)에 정착수단(417)이 제공된 바닥벽(404)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자판배열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격자판(402)이 측벽(405)을 가지며, 이 측벽(405)에 제공된 종방향가이드(427)에 종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바닥벽(404)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자판배열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벽(404)이 측벽(405)과 단부벽(403)의 내측에 배치된 가이드바(427, 428)에 하부로부터 밀봉상태로 가해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자판배열체.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벽(504)이 격자캐리어쪽의 단부에서 후크(517)를 갖춤과 더불어, 격자판쪽의 단부부위에서 인장장치의 힘전달을 위해 결합되는 플랜지(530)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자판배열체.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벽(404)이 격자캐리어쪽의 단부에서 후크형상으로 굽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자판배열체.
  11. 제1항 내지 제3항, 제7항 내지 제10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격자캐리어가 격자판의 종방향에 대해 횡단방향으로 배치되는 전후방 격자캐리어벽과, 이 전후방 격자캐리어벽에 격자판이 놓이게 되어 형성된 박스형상이면서 상기 정착수단(13)이 각각 전방격자캐리어벽(7)과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자판배열체.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격자판이 조립된 상태에서 전방캐리어벽에 위치되고 후방단부(9)가 후방격자캐리어벽(10)에 가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자판배열체.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격자판(2)의 후방단부(9)와 격자캐리어(1)의 후방격자캐리어벽(10)의 형상이 격자판(2)과 격자캐리어(1)의 위치를 정확하게 결정되도록 된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자판배열체.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격자판(2)의 후방단부(9)와 격자캐리어(1)의 후방격자캐리어벽(10)의 형상이 격자판(2)의 종방향에 대해 횡단방향으로 연장되어 격자판(2)이 횡단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서, 격자판(2)이 격자캐리어(1)로부터 들리는 것이 방지되는 가이드형상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자판배열체.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형상이 클램핑부(12)가 조여졌을 때 격자판(2)이 격자캐리어(1)쪽으로 당겨지는 방식이면서, 쐐기형단면형상으로 상호작용하는 작용면(19, 20)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자판배열체.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정착수단은 후크형태인데, 상기 후크(17)가 전방격자캐리어벽(7)의 상부엣지의 뒤쪽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자판배열체.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17)와 전방격자캐리어벽(7)의 상부엣지(21)가 클램핑부(12)를 조였을 때, 후크(17)가 격자캐리어(1)쪽으로 당겨지는 방식이면서, 쐐기형단면형상으로 상호작용하는 작용면(22, 23)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자판배열체.
  18. 제1항 내지 제3항, 제7항 내지 제10항, 제12항 내지 제17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단부벽측의 단부판(432)이 나란하게 연결되는 또다른 격자판(402)에 대해 높이를 조정할 수 있으며, 이 단부판(432)이 격자판(402)위에 지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자판배열체.
  19. 제1항 내지 제3항, 제7항 내지 제10항, 제12항 내지 제17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부가 스프링수단에 의해 단부벽에 지지되거나 격자캐리어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자판배열체.
  20. 제19항에 있어서, 인장장치의 형태인 클램핑부(512)의 경우, 스프링수단(532)이 탄성재로 구성되어 측방안내단(537)에 의해 단부벽(503)에 지탱하는 단부판(53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자판배열체.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단부판(532)의 폭이 격자판(502)의 폭에 상당하며, 단부판(532)에 텐숀부가 통과되도록 높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롯(533)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자판배열체.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단부판(532)과 단부벽(503)에 높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측방안내단(537)과 안내부(538)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자판배열체.
  23. 제1항 내지 제3항, 제7항 내지 제10항, 제12항 내지 제17항, 제19항 내지 제22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나란한 상태로 배열되어 격자열을 형성하는 격자판들이 서로 연결될 수 있는데, 하나의 격자열을 형성하는 격자판의 각각의 인접격자판(602)을 연결하기 위한 수단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자판배열체.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인접격자판(602)을 연결하기 위한 수단이 각각 격자판들을 공통적으로 사용하는 바닥벽(604)이 구비되며, 이 바닥벽(604)에 의해 형성된 별개의 구성요소이며, 이 바닥벽(604)이 격자판상에 종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자판배열체.
  25. 제23항에 있어서, 측부사이에 연속하여 앞뒤로 삽입되어 그들사이에 각각의 송풍슬롯을 남기는 다수의 박판부에 의해 실제 격자면이 형성되는 격자판을 갖는데, 각각의 격자판(602)을 서로 연결하기 위한 수단은 각각 상기 격자판에 공통인 다수의 박판부(640)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자판배열체.
  26. 제25항에 있어서, 다수의 격자판(602)을 덮는 상기 박판부(640)가 측방으로 상호 이동되는 상태로 각각 열(11-15)들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자판배열체.
  27. 제1항의 격자판배열체에 있어서, 상기 박판부(935)가 단부벽(903′)에 의해 홀딩되고, 이 단부벽(903′)이 격자판(902)의 단부에 꼭 맞게 됨과 더불어 클램핑부(911)에 의해서 클램핑되며, 이 클램핑부(911)가 상기 단부벽(903′)에 형성된 개구를 통과하게 되며 단부벽(903′)의 단부에 작용되는 클램핑수단(916)이 구비되고 이 클램핑수단(916)이 격자캐리어(901)의 타단부에 의해 조여지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자판배열체.
KR1019960703816A 1994-11-17 1995-11-15 격자판배열체 KR1002707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P4441009.3 1994-11-17
DE4441009A DE4441009C2 (de) 1994-11-17 1994-11-17 Rostplattenanordnung
PCT/EP1995/004495 WO1996016306A1 (de) 1994-11-17 1995-11-15 Rostplattenanordnu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700853A KR970700853A (ko) 1997-02-12
KR100270795B1 true KR100270795B1 (ko) 2000-12-01

Family

ID=65335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703816A KR100270795B1 (ko) 1994-11-17 1995-11-15 격자판배열체

Country Status (19)

Country Link
US (1) US5862906A (ko)
EP (1) EP0740766B1 (ko)
JP (1) JP3109524B2 (ko)
KR (1) KR100270795B1 (ko)
CN (1) CN1099018C (ko)
AT (1) ATE190393T1 (ko)
AU (1) AU692324B2 (ko)
BR (1) BR9506616A (ko)
CA (1) CA2180367A1 (ko)
CZ (1) CZ292127B6 (ko)
DE (2) DE4441009C2 (ko)
DK (1) DK0740766T3 (ko)
ES (1) ES2144641T3 (ko)
HU (1) HU219944B (ko)
PL (1) PL179002B1 (ko)
RU (1) RU2129693C1 (ko)
TR (1) TR199501452A2 (ko)
TW (1) TW324779B (ko)
WO (1) WO199601630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475079B (en) * 1994-05-24 2002-02-01 Semiconductor Energy Lab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DE19622636A1 (de) * 1996-06-05 1997-12-11 Krupp Polysius Ag Rostplatte sowi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Rostplatte
DE19633969A1 (de) * 1996-08-22 1998-02-26 Karl Von Wedel Schüttgutrost
DE19752023A1 (de) * 1997-11-24 1999-05-27 Krupp Polysius Ag Rost
US8928967B2 (en) 1998-04-08 2015-01-06 Qualcomm Mems Technologies, Inc. Method and device for modulating light
WO1999052006A2 (en) 1998-04-08 1999-10-14 Etalon, Inc. Interferometric modulation of radiation
US6442755B1 (en) * 1998-07-07 2002-08-27 United Video Properties, Inc. Electronic program guide using markup language
JP3699308B2 (ja) * 1999-04-02 2005-09-28 京セラミタ株式会社 電磁クラッチ
EP1305239A4 (en) * 2000-07-05 2008-08-13 Foster Randall Mark FASTENING AND METHOD FOR ATTACHING LATHES OF A CONVEYOR
DE10133973B4 (de) * 2001-07-17 2004-12-30 Michael Janzer Rost und Verfahren zum Aufbau eines Rostes bestehend aus untereinander formschlüssig verbundenen Lamellenkörpern
US7406519B2 (en) * 2001-11-13 2008-07-29 Microsoft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locking resources in a distributed environment
DE10305113A1 (de) * 2003-02-07 2004-08-19 Polysius Ag Belüftungselement für einen Kühler
DE102004040048A1 (de) * 2004-08-18 2006-02-23 Ikn Gmbh Rostplattenanordnung für Stufenroste
DE102004045927A1 (de) * 2004-09-22 2006-03-30 Heike Gerking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Vermeidung von Verformungen unter Wärmeeinwirkung an Lamellenrostplatten
US7583429B2 (en) 2004-09-27 2009-09-01 Idc, Llc Ornamental display device
US7916980B2 (en) 2006-01-13 2011-03-29 Qualcomm Mems Technologies, Inc. Interconnect structure for MEMS device
DE102007019530C5 (de) * 2007-04-25 2018-01-04 Alite Gmbh Verfahren und Einrichtung zum Kühlen einer auf einem Förderrost liegenden Schüttgutschicht
DE102008056468B3 (de) * 2008-11-04 2010-04-29 Fuguma Gmbh Maschinenbau Und Kraftwerkstechnik Rostplattenschubrost für Verbrennungsanlagen
DE102009009285B4 (de) 2009-02-17 2013-11-28 Ikn Gmbh Rostplattenanordnung
ES2544833T3 (es) 2012-03-28 2015-09-04 Alite Gmbh Elemento de rejilla para un enfriador de rejilla
JP6030927B2 (ja) * 2012-11-15 2016-11-24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基板作業システム、基板搬送装置および基板作業装置
DK3112786T4 (da) 2015-07-03 2021-04-26 Alite Gmbh Klinkerindløbsfordeling for en cementklinkerkøler
CN105466220B (zh) * 2015-12-29 2017-07-11 中冶华天工程技术有限公司 液压缸上支座固定系统
PL232801B1 (pl) 2017-03-14 2019-07-31 Pellasx Spolka Z Ograniczona Odpowiedzialnoscia Spolka Komandytowa Ruszt komory paleniskowej palnika do spalania pelletów, agropelletów i innych podobnego typu paliw stałych
CN108730959B (zh) * 2018-08-20 2024-01-30 湖南鑫迪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燃烧机
EP3828152B1 (en) 2019-11-29 2022-06-29 Alite GmbH Clinker inlet distribution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431799A (en) * 1945-11-08 1947-12-02 Fuller Co Cooler having overlapping replaceable grates
GB867221A (en) * 1956-12-04 1961-05-03 Enoch Hollins Improvements relating to troughs for endless conveyors employed in mining operations
US3255867A (en) * 1964-02-11 1966-06-14 Kenneth M Allen Pusher conveyors
GB1566382A (en) * 1977-03-09 1980-04-30 Peters Ag Claudius Grate plate
DE7710129U1 (de) * 1977-03-31 1977-07-14 Claudius Peters Ag, 2000 Hamburg Rostplatte mit verschleissteil
US4170183A (en) * 1977-10-20 1979-10-09 Energy Generation, Inc. Incinerating method and apparatus having selective, controlled movement of materials during combustion
CH637198A5 (de) * 1979-03-14 1983-07-15 Widmer & Ernst Ag Feuerungsrost fuer verbrennungsoefen.
DE2930406A1 (de) * 1979-07-26 1981-02-12 Krupp Polysius Ag Schubrost
FR2543116B1 (fr) * 1983-03-24 1985-07-26 Gatx Fuller Sa Plaque pour transporteur du type oscillant et transporteur correspondant
DE3605010C2 (de) * 1986-02-18 1994-09-22 Westfalia Becorit Ind Tech Antriebsrahmen für einen Kettenkratzförderer, insbesondere für den Einsatz in Bergbaubetrieben
DE3734043A1 (de) * 1987-10-08 1989-04-20 Kloeckner Humboldt Deutz Ag Rostkuehler zum kuehlen von heissem schuettgut
US5165525A (en) * 1991-08-26 1992-11-24 Quaeck Manfred W Liquid-tight reciprocating floor construction
ES2097172T5 (es) * 1991-09-09 2000-10-16 Abrasion Eng Co Ltd Elemento de parrilla para la construccion de un emparrillado.
FR2694376B1 (fr) * 1992-07-31 1994-09-30 A3C Metal Barreau pour grille d'incinération d'ordures ménagères.
US5415271A (en) * 1994-09-12 1995-05-16 Foster; Raymond K. Reciprocating floor conveyor with overlay, protective plat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9018C (zh) 2003-01-15
CA2180367A1 (en) 1996-05-30
CZ292127B6 (cs) 2003-08-13
TW324779B (en) 1998-01-11
DE4441009A1 (de) 1996-05-23
JPH09511567A (ja) 1997-11-18
CZ204096A3 (en) 1996-11-13
US5862906A (en) 1999-01-26
HU219944B (hu) 2001-09-28
EP0740766B1 (de) 2000-03-08
WO1996016306A1 (de) 1996-05-30
DE4441009C2 (de) 2001-03-29
TR199501452A2 (tr) 1996-07-21
PL315621A1 (en) 1996-11-25
RU2129693C1 (ru) 1999-04-27
DE59507962D1 (de) 2000-04-13
AU3928895A (en) 1996-06-17
ES2144641T3 (es) 2000-06-16
JP3109524B2 (ja) 2000-11-20
ATE190393T1 (de) 2000-03-15
HUT74654A (en) 1997-01-28
AU692324B2 (en) 1998-06-04
DK0740766T3 (da) 2000-07-31
EP0740766A1 (de) 1996-11-06
KR970700853A (ko) 1997-02-12
CN1138895A (zh) 1996-12-25
BR9506616A (pt) 1997-09-16
MX9602574A (es) 1998-10-31
PL179002B1 (en) 2000-07-31
HU9601876D0 (en) 1996-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70795B1 (ko) 격자판배열체
KR100479429B1 (ko) 미립자로 된 재료용 냉각기
US7377498B2 (en) Device in process engineering column
RU96115923A (ru) Плитчатое колосниковое устройство
US5263573A (en) Drive connector for reciprocating conveyor
JP2009007734A (ja) 綜絖軸のための軸連結デバイス
FI92522C (fi) Voimalaitos, jossa polttoaine poltetaan leijupedissä
KR101365550B1 (ko) 연소 화격자 스패닝 장치
US4428329A (en) Steam generator support structure
US3375795A (en) Panelized furnace roof
RU2670844C9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крепления рельса для рельсовых транспортных средств
EP0738380A1 (de) Rostplatte für den schubrost eines kühlers
US3961588A (en) Thrust grate with a series of overlapping rows of plates
MXPA96002574A (en) Parri plate arrangement
US4332279A (en) Connecting rod between the heddle frame of a weaving machine and the heddle frame actuating device of the shed-forming machine which controls same
JP2022062697A (ja) 隣接した火格子バーを共に保持する方法、ならびに火格子バーの配置
US11338466B2 (en) Arrangement for replacing a saw chain on a motor saw
CN212403227U (zh) 一种具有快速拆卸摄像头安装结构的门机象鼻梁头部平台
RU2044979C1 (ru) Колосниковая решетка
KR930021961A (ko) 케이싱 볼트를 프리스트레싱하는 방법과 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
SU1531918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нат жени шпалерной проволоки
SU1505602A1 (ru) Грохот
JPS5835852B2 (ja) Alcパネル製品相互のスペ−ス拡開方法並びにその装置
KR19990020452U (ko) 라셀기의 바늘 고정구
PL186028B1 (pl) Zespół grupowego mocowania i napinania pił w pilarce ramowej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7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9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