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70424B1 - 조리기구의 핸들부착장치 - Google Patents

조리기구의 핸들부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70424B1
KR100270424B1 KR1019930006358A KR930006358A KR100270424B1 KR 100270424 B1 KR100270424 B1 KR 100270424B1 KR 1019930006358 A KR1019930006358 A KR 1019930006358A KR 930006358 A KR930006358 A KR 930006358A KR 100270424 B1 KR100270424 B1 KR 1002704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piece
cookware
fixing
attachment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063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21139A (ko
Inventor
피쉬바하 볼프강
Original Assignee
바움 가르텐 롤프
하인리히 바움가르텐 카게 스페지알파브릭 퓌르베쉬라그테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움 가르텐 롤프, 하인리히 바움가르텐 카게 스페지알파브릭 퓌르베쉬라그테일 filed Critical 바움 가르텐 롤프
Publication of KR9300211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211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04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042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5/00Devices for fastening or gripping kitchen utensils or crockery
    • A47J45/06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 A47J45/07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of detachable typ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16/00Miscellaneous hardware, e.g. bushing, carpet fastener, caster, door closer, panel hanger, attachable or adjunct handle, hinge, window sash balance
    • Y10S16/24Handle fastening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815Disassembling
    • Y10T29/49822Disassembling by applying force

Abstract

조리포트(cooking pot), 프라이팬(frying pan) 등에 분리식 접속구성요소(separate connecting element) 없이 마찰에 의해 형성할 수 있는 고정식으로 핸들(handle)을 부착시킬 수 있다.
여기서 고정핸들은 조리기구상의 견고한 고정구성요소에서 이탈시킬 수 있다.
분리공구가 핸들부착장치의 적합한 개구를 통하여 서로 대향한 2개의 고정편의 두 표면사이에서 작동시킬 수 있으며, 분리공구에 의해 핸들의 인출없는 분리(jerk-free release)를 행할 수 있다.
통상의 스크루드라이버를 분리공구로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조리기구의 핸들부착장치
제1도는 이 발명에 의한 중공사이드핸들(hollow side handle)의 핸들부착장치가 조립상태에 있는 저면도.
제2도는 제1도와 동일하나 하나의 암(arm)이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저면도.
제3도는 하나의 암(arm)을 분리시킬 때 제1도의 핸들부착장치의 측면도.
제4도는 제3도의 부분“A”의 확대도.
제5도는 이 발명에 의한 삽설할 수 있는 사이드핸들(insertable side handle)의 핸들부착장치의 다른 실시예로서 조립상태의 저면도.
제6도는 제5도와 동일하나 하나의 암(arm)이 분리상태에 있는 저면도.
제7도는 하나의 암(arm)을 분리시킬 때 제5도의 핸들부착장치의 측면도.
제8도는 제7도의 부분“B”의 확대도.
제9도는 제8도의 부분“C”의 확대도.
제10도는 제9도와 동일하나 또 다른 실시예의 부분확대도.
제11도는 이 발명에 의한 삽설할 수 있는 핸들의 또 다른 핸들부착장치를 분리중에 있을 때의 측면도.
제12도는 제11도의 부분“D”의 확대도.
제13도는 제12도의 구조의 저면도.
제14도는 제12도의 부분“E”의 확대도.
제15도는 제12도와 동일하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확대도.
제16도는 제15도의 구조의 저면도.
제17도는 제15도의 부분“F”의 확대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1′, 1″: 조리기구(cooking utensil)
2, 2′, 2″: 핸들(handle) 23 : 캐비티(cavity)
3, 3′, 3″: 분리공구 24, 24′, 24″: 하측면(underside)
15′,16″, 25, 26′, 26″ : 리세스
11, 11′, 11″: 고정구성요소(anchoring element)
11b, 25a, 15a′, 15a″, 26a′, 26″: 인접대향면
11a : 플레이트면 12, 12′: 원통형벽
13 : 저면 14 : 상부에지(top edge)
26a′1, 26a″1, 26a′2, 26a″2 : 표면
27″: 지지편 15a, 15a″: 면
31, 31′, 31″: 블레이드(blade)
32, 32′, 32″, 33″: 방향(화살표) 17″: 에지(edge)
21, 21′, 21″: 핸들편(handle piece) 22, 22′: 암(arm)
이 발명은 제1 고정편(first fastening piece)으로 작동하며, 견고하게 고정된 고정구성요소에 의해 조리기구에 접속되고, 또 제2 고정편으로 작동하는 핸들(handle)과, 그 고정구성요소와 핸들사이에 구성되며 그 핸들이 그 고정구성요소에 비교적 용이하게 작동되나 그 고정구성요소에서 대단히 어렵게 이탈되도록 하는 기능구성요소(function element)를 포함하는 조리 포트(cooking pot) 또는 프라이팬(frying pan) 등 조리기구의 마찰에 의해 형성할 수 있는 고정식 핸들부착장치(frictional and possibly form-locking handle attachemnt)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핸들부착장치는 제조업자에 의해 신속하게 그리고 쉽게 생산할 수 있고 사용중에 별로 헐겁게 되지 않는 이점이 있다.
이 핸들부착장치는 일반적으로 장기간에 걸쳐 기능적 작용을 가진다.
이 핸들부착장치는 이들의 핸들이 조리포트 또는 프라이팬에 접속될 때, 특히 중공사이드핸들(hollow side handle), 삽설할 수 있는 사이드핸들(insertable side handles) 및 삽설할 수 있는 스트레이트 핸들(straight handle)에 사용된다.
이들의 핸들전체는 그 조리기구상에 리벳(rivet) 또는 용접을 시킨 고정구성요소와 핸들사이에 스프링형상의 구조부품 등의 헐거운 기능구성요소(loose function element)가 조립된 후에 그 핸들을 분리할 수 없게 하거나 또는 그 핸들부착장치가 순마찰식 접속(pure frictional connection)을 할 때 큰 인출력(pull-off force)으로만 그 핸들을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통상적이다.
그러나, 이 경우 시간이 지남에 따라 그 핸들부착장치가 헐겁게 되어 더 이상 기능적인 작동을 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핸들이 약간 헐거울 때라도 그 핸들을 계속해서 고정시켜 형성할 수 있는 고정부분(form-locking part)을 그 접속에 포함시킬 경우 더 좋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견고한 핸들부착장치(rigid handle attachment)가 항상 효과적인 것만은 아니다.
그 핸들을 다시 분리시켜야 할 경우가 많다.
이와 같이 그 조리기구는 부착시킨 핸들을 폐기하지 않고서는 더 이상 유용하게 사용할 수 없다.
역으로, 핸들이 고장날 경우에도 그 조리기구는 유용하게 사용할 수도 있다.
따라서, 핸들만을 교환하여야 한다.
헐거운 핸들을 가진 조리기구의 사용은 비실용적이다.
조립할 때 정확하지 않은 접속이 되면, 그 부품을 또다시 큰 힘으로 분리시켜야 한다.
그 필요한 분리공구가 약간 견고하며 비교적 영향받기 쉬운 조리기구에 필요로 하는 큰 분리력(separation force)을 천천히 그리고 연속해서 충분하게 발생할 수 없기 때문에 그 결과 손상을 입는 것은 필수적이었다.
따라서, 이 발명의 목적은 위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한 타입의 핸들부착장치에 있어서 그 결점을 극복하여 그 접속하는 구조의 부품을 손상시킴이 없이 그 핸들부착장치를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그 분리력(separation forces)은 인출없이(jerk-free) 가할 수 있다.
추가로 구조적인 부품이 필요 없으며, 그 배열장치를 쉽게 그리고 염가로 제작할 수 있고, 구조가 간단한 분리공구로 작동시킬 수 있다.
이 발명에 의해 이 목적은 서로 대향하여 있고, 서로간에 평행하거나 약간 경사지게 형성하며, 서로간에 약간 간격을 두며, 핸들을 착탈하는데 필요한 방향에 수직으로 형성하는 리세스(recess)내 두 인접대향면(two adjacent facing surfaces)이 그 분리공구에 의해 이들의 인접면에 그 핸들부착장치를 이탈시키는 한 쌍의 힘을 가할 수 있게 하여 분리공구에 의해 외측에서 접근시킬 수 있게 고정편의 영역내 그 핸들부착장치의 하측면상에 형성된 리세스(recess)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종래의 위 결점은 그 핸들부착장치를 쉽게 설치시킬 수 있으나 힘을 드려야만 이탈시킬 수 있는 종래의 공지된 핸들부착장치의 이점을 상실하지 않고 기대 이상의 간단한 방법으로 극복할 수 있다.
그 외에, 그 핸들부착장치가 충분히 기능적인 작동을 하는 한 사용자가 그 핸들을 좀처럼 이탈시킬 수 없기 때문에 조작 중에 그 핸들부착장치의 파괴가 발생하지 않는다.
그러나, 이 경우가 아닐 때, 그 조리기구에서 그 핸들을 분리시키기 위해서는 그 어떤 기술적인 지식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분리공구로서 효과가 큰 레버(예로서 스크루드라이버)를 사용할 수 있게 이들의 표면이 서로 간격을 둘 때 그 분리는 간단하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스크루드라이버가 어느 가정에서나 있어, 필요로 하는 토크(torqure)를 충분히 주의 있게 가하는데 별로 특별한 기술을 필요로 하지 않아 그 핸들부착장치를 서서히 그리고 일정하게 이탈시켜 구조적인 부품의 손상을 피하게 된다.
그 분리공구의 리세스가 배치되어 있어 그 포트(pot)의 벽과 레버의 직접적인 결착을 피하게 된다.
따라서, 이와 관련된 손상은 피할 수 있다.
그 리세스가 슬롯(slot)형상 또는 그루브(groove)형상을 가질 경우 그 구조에 따라 유리하게 할 수 있다.
각각의 구조적인 부품의 제작에 사용된 절삭 또는 압출다이(die)상에서 약간의 변경을 제외하고는 제작 및 조립시의 두 경우에 그 어떤 추가적인 조작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이 발명은 여러 가지의 방법으로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핸들편(handle prece)과 2개의 암(arm)을 가지며, 그 고정구성요소가 두 개의 암(슬롯형상리세스가 그 암 각각에 구성되어 있음)의 캐비티(cavity)내에 수납되어 있는 중공사이드핸들(hollow side handle)로 그 핸들을 구성할 수 있고; 핸들편과 2개의 암(arm)을 가지며, 그 조리기구상에 고정된 고정구성요소로서 작동하며 이들의 암(각각의 슬롯형상의 리세스가 그 핸들의 암영역에서 그 고정구성요소에 구성되고 그루브형상리세스가 각 암에 구성됨)을 포위하는 박판금 슬리브(sheet metal sleeve)에 설정시키는 삽설할 수 있는 사이드핸들(insertable side handle)로 그 핸들을 구성할 수 있으며; 또 핸들편을 구비하고 그 핸들편과 일체로 구성된 지지편(holding piece)을 가지며 그 고정구성요소(그 루브형상리세스가 고정구성요소의 에지(edge) 및/또는 지지편에 구성되어 그 리세스가 그 고정구성요소에만 구성됨)로서 작동하는 박판금 슬리브에 설정시키는 삽설할 수 있는 스트레이트 핸들(straight insertable handle)로서 그 핸들을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 발명은 특별한 분리공구를 필요로 함이 없이 이와 같은 타입의 일체의 핸들부착장치에 사용할 수 있다.
각각의 경우, 약간의 힘만을 사용하여 이미 이탈된 핸들부착장치를 최종적으로 분리시키기 위하여 그 분리공구는 레버로서 사용 후 그 축을 중심으로 하여 추가회전을 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그 분리공구에 의해 결착하는 핸들편상의 표면이 단상(steplike)으로 오프셋(offset)될 때 특히 이 발명은 효과적이다.
그러나, 이 표면이 평편할 때, 즉 다른 고정편상에 그 대응되는 표면에 대하여 약간 경사질 때, 대부분의 경우 이 발명은 만족스럽게 된다.
이 발명은 그 분리를 더 간단하게 할 수 있게 그 분리공구를 조정할 수 있다.
그 발명의 첨부도면에 나타낸 실시예에 따라 아래에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1도 내지 제4도에 나타낸 제1 실시예에서, 조리기구(1)가 핸들편(handle piece)(21)과 두 개의 암(arm)(22)을 가진 중공사이드핸들(hollow side handle)로서 핸들(2)에 접속되어 있다.
각각의 암(22)은 하나의 캐비티(cavity)(23)를 가져 그 조리기구(1)에 고정할 수 있게 부착된 고정구성요소(anchoring element)(11)를 수납한다.
여기서, 그 고정구성요소(11)는 특히 제3도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저항스폿용접(resistance spot welding)등에 의해 그 조리기구(1)의 원통형벽(cylindrical wall)(12)에 고정시킨 바(bar) 또는 구부린 금속제스트립(strip)이다.
제3도에서는 그 조리기구(1)의 상부에지(top edge)(14)와 저면(13)을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각각의 암(22)과 고정구성요소(11)사이에 있는 도시생략을 한 기능구성요소(function element)는 그 핸들(2)이 그 고정구성요소(11)상에서 쉽게 작동할 수 있으나, 역으로 이들의 고정구성요소를 쉽게 분리시킬 수 없다.
이와 같은 기능구성요소로서 일반적으로 스프링특성을 가진 부품으로 여러 가지의 구성으로 하여 시판되고 있으며,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지되어 있다.
이 발명에서는 기능구성요소로서 스프링이 적합하며, 공지의 구성이므로 도면에서 그 표시를 생략한다.
그 기능구성요소는 고정구성요소와 핸들사이에 구성되어 있고, 그 기능구성요소에 의해 핸들이 고정구성요소에 수동으로 쉽게 압압시킬 수 있으나, 분리공구에 의해서만 그 고정구성요소에서 분리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들의 부품은 이 발명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리세스 또는 개구(25)가 각각의 암(22)내에서 그 핸들(2)의 하측면(underside)(24)에 형성되고 있고 캐비티(23)내로 개방되어 있으며 제1도 및 제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슬롯형상을 형성하고 있다.
제4도는 그 리세스(25)를 통하여 그 고정구성요소(11)로부터 그 핸들(2)의 분리가 분리공구(3)에 의해 어떻게 행하여지는지를 명백하게 나타낸 것이다.
그 고정구성요소(11)는 그 원통형벽(12)에 용접된 플레이트(plate)(11a)를 가지며, 그 플레이트면(11b) 즉, 인접대향면은 분리공구(3)의 블레이드(blade)(31)의 접합면(abutment)으로 작동되어 그 원통형 벽(12)의 면을 사용하지 않는다.
그 플레이트면(11b)에 대향방향으로 향해 있는 길이방향 형성면(longitudinally extending surface) 즉, 인접대향면(25a)에 의해 그 블레이드(31)가 들어가도록 리세스(25)가 설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그 분리공구(3)는 방향(화살표)(32)으로 나타낸 회전방향으로 작동시킬 때, 그 핸들부착장치에 분리토그(releasing torque)를 가할 수 있다.
제1도 내지 제4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분리공구(3)에 의한 핸들(2)의 분리를 더 자세하게 아래에 설명한다.
제1도의 중공사이드핸들의 핸들부착장치의 조립상태에서 분리공구(3)의 블레이드(31)를 리세스(25)를 통해 플레이트면(11b)에 접합 또는 접촉시켜 시계방향(32)으로 분리공구(3)를 회전시키면 제2도에서와 같이 핸들(2)이 그 조리기구(1)에서 분리된다.
이와 같이 그 블레이드(31)를 플레이트면(11b)에 접촉시켜 제3도의 화살표방향(32)으로 회전시킴으로써 핸들(2)이 조리기구(1)에서 분리되다.
제5도 내지 제10도에 나타낸 제2 실시예는 핸들편(21′)과, 2개의 경질의 중공의 암(arms)(22′)을 가진 삽설할 수 있는 사이드핸들(side handle)로서 핸들(2′)에 접속된 조리기구(1′)를 나타낸다.
모든 부분은 여기서 하나의 프라임부호(′)를 가진 부호와 동이하나 동일부호는 각 부분의 경우 제1 실시예의 부분과 동일하거나 그 대응되는 부호가 사용된다.
그 고정구성요소(11′)는 모든 측면에서 암(22′)의 일부를 포위하며 그 조리기구(1′)의 원통형벽(12′)에 고정할 수 있게 접속시킨 박판금 슬리브(sheet-metal sleeve)이다.
간격을 둔 리세스(15′)가 그 고정구성요소(11′)에서 암(22′)의 영역내에 있는 핸들부착장치의 하측면(24′)상에 구성되어 있고, 각각 슬롯형상을 형성하며, 그루브형상(groove-shape)을 형성한 암(arms)(22′)내에서 리세스(16′)와 각각 결합되어 있다.
리세스(15′)내의 면(15a′) 즉, 인접대향면과 리세스(26′)내의 면(26a′) 즉, 인접대향면의 대응되는 2개의 면(15a′)(26a′) 즉, 인접대향면(제9도와 제10도)은 그 핸들부착장치의 분리에 적합한 토크(torque)를 발생시키기 위하여 분리공구(3′)의 블레이드(31′)의 접합면으로 구성되어 있으나, 방향(화살표)(32′)으로 나타낸 공구회전방향은 제1 실시예와 반대방향이다.
제9도와 제10도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그 면(26a′) 즉, 인접대향면이 제9도의 실시예에서는 평편하고 경사진 표면(26a′1)을 가지나 제10도의 실시예에서는 단상의 오프셋된 표면(26a′2)을 가져 그 면(26a′) 즉, 인접대향면을 서로 다르게 구성할 수 있다.
또 다른 구성을 생각할 수도 있다.
제5도 내지 제10도에 명백하게 나타낸 바와 같이, 분리공구(3′)에 의해 핸들(2′)을 분리시키는 구체적 설명을 아래에 기재한다.
핸들(2′), 고정구성요소(11′) 및 조리기구(1′)의 원통형 벽(12′)의 일체로 되게 구성된 조리기구(1′)의 핸들부착장치(제5도)에서, 핸들(2′)을 고정구성요소(11′)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하여 우선 스크루드라이버(3′)의 블레이드(31′)는 슬롯형상리세스(15′)를 통하여 인접대향면(26′) 중 평편한 경상인접대향면(26a′1) 또는 단상인접대향면(26a′2)에 삽입에 의해 접촉 또는 접합시키고(제7도)(제9,10도), 그 다음 반시계방향의 화살표(32″)방향으로 스크루드라이버(3′)에 힘을 가하여 핸들(2′)을 점진적으로 분리하도록 한다(제6도).
이와 같이 2개의 리세스(15′)를 통하여 스크루드라이버(3′)를 레버의 작동방식으로 그 경사인접대향면(26a′1) 또는 단상인접대향면(26a′2)상에서 반시계방향으로 힘을 가함으로 고정구성요소(11′)에서 분리되어 그 핸들을 분리시킨다.
제11도 내지 제17도에 나타낸 제3 실시예의 조리기구(1″)는 핸들(2″)에 접속되어 있어, 그 핸들(2″)은 삽설할 수 있는 핸들로서, 핸들편(21″)과 그 핸들편(21″)에 일체로 구성된 지지편(holding piece)(27″)을 가진다.
모든 부분은 여기서 2개의 프라임부호(″)를 가진 숫자로 나타내며, 각각의 부분의 경우 위 두 실시예에서의 부분과 동일하며 또 대응된다.
박판금 슬리브(11″)는 고정구성요소로서 사용되고, 전체측면상에서 지지편(27″)을 포위하며, 조리기구(1″)의 원통형벽(12″)에 고정할 수 있게 접속되어 있다.
슬롯형상의 리세스(16″)는 핸들(2″)과 대향한 고정구성요소(11″)의 에지(edge)(17″)에 구성되어 있고, 그루브형상의 리세스(26″)는 핸들(2″)의 지지편(27″)내에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상태는 제2 실시예와 거의 대응되어 있어, 여기서도 면(15a″) 즉, 인접대향면과 면(26a″) 즉, 인접대향면은 분리공구(3″)의 블레이드(31″)에 의해 가한분리모멘트(release moment)를 전달하는데 사용된다.
따라서, 그 면(26a″) 즉, 인접대향면은 제14도에 나타낸 평편한 표면(26a″1) 또는 제17도에 나타낸 단상의 표면(26a″2)과 동일하게 구성시킬 수 있다.
제11도는 그 삽설할 수 있는 핸들을 두 단계로 그 조리기구(1″)에서 분리시킬 수 있음을 나타낸 것이다.
제1 및 제2 실시예에서와 같이, 그 핸들(2″)의 하측면은 부호 24″로 나타낸다.
분리공구(3″)에 의한 핸들(2″)의 분리를 아래에 자세하게 설명한다.
분리공구(3″)의 블레이드(3″)를 리세스(16″)를 통해 인접대향면(26a″) 중 평편한 표면(26a″1) 또는 단상의 표면(26a″2)에 삽입에 의해 접촉 또는 접합시켜 우선, 분리공구(3″)를 화살표 방향(32″)으로 회전시키고, 그 다음 화살표 방향(33″)으로 회전시킨다(대시-점선으로 나타낸 위치).
이와 같이 2단계로 회전시켜 조리기구(1″)에서 핸들(2″)이 분리된다.
이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나, 이 발명의 범위 내에서 여러 부분의 재배열을 포함하며 여러 가지로 변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Claims (8)

  1. 제1 고정편으로 작동하는 핸들(2,2′,2″)이 조리기구(1,1′,1″)에 견고하게 접속되고 제2 고정편으로 형성하는 고정구성요소(11,11′,11″)에 의해 그 조리기구(1,1′,1″)에 접속되고, 기능구성요소가 고정구성요소(11,11′,11″)와 핸들(2,2′,2″)사이에 구성되어 그 기능구성요소에 의해 핸들(2,2′,2″)이 고정구성요소(11,11′,11″)에 수동으로 용이하게 압압시킬 수 있으나, 분리공구에 의해서만 그 고정구성요소에서 분리시킬 수 있는 조리포트 또는 프라이팬 등 조리기구(1,1′,1″)의 핸들부착장치에 있어서, 리세스(25,15′,26′,16″,26″)를 핸들부착장치의 하측면(under side)(24,24′,24″)에 구성시켜, 이들의 고정편의 동일영역 내에서 서로 평행하거나 약간만 경사지게 형성하며 간격을 두어 핸들(2,2′,2″)을 압압(pushing on) 또는 분리시키는데 필요로 하는 방향(32,32′,32″)에 수직으로 형성된 리세스(25,15′,26′,16″,26″)의 2개의 인접대향면(neighbouring facing surfaces)(11b,25a,15a′,26a′,15a″,26a″)을 외부로부터 분리공구(3,3′,3″)에 접근할 수 있게 하여, 핸들부착장치를 분리시키는 한 쌍의 힘을 분리공구(3,3′,3″)에 의해 그 인접대향면(11b,25a,15a′,26a′,15a″,26a″)에 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그 인접대향면(11b,25a,15a′,26a′,15a″,26a″)은 레버비(leverage)가 큰 스크루드라이버로서 레버를 분리공구로 사용할 수 있도록 서로 간격을 두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구의 핸들부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리세스(25,15′)는 슬롯형상(slot-shape)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구의 핸들부착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리세스(26′,16″,26″)는 그루브형상(groove shape)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구의 핸들부착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핸들(2)은 핸들편(21)과 2개의 암(arms)(22)을 가진 중공사이드핸들(hollow side handle)로 구성되며, 고정구성요소(11)는 2개의 암(arm)(22)의 캐비티(cavities)(23)내에 수납되고, 슬롯형상의 리세스(25)는 각각의 암(arm)(22)내에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구의 핸들부착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핸들(2′)은 핸들편(21′)과 2개의 암(arms)(22′)을 가진 삽설할 수 있는 사이드핸들로 구성되고, 고정구성요소(11′)로서 작동하며 조리기구(1′)에 고정할 수 있고 그 암(arm)(22′)을 포위하는 박판금 슬리브(sheet-metal sleeve)에 설정시키며, 각각의 슬롯형상의 리세스(15′)는 핸들(2′)의 암(arm)(22′) 영역의 고정구성요소(11′)내에 구성되고, 각각의 그루브형상의 리세스(26′)는 각각의 암(arm)(22′)내에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구의 핸들부착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핸들(2″)은 핸들편(21″)과, 그 핸들편(21″)과 일체로 되게 구성한 지지편(holding piece)(27″)으로 이루어진 삽설할 수 있는 스트레이트 핸들(straight insertable handle)로 구성시키며, 그 삽설할 수 있는 스트레이트 핸들은 고정구성요소(11″)로서 조리기구(1″)에 고정시킨 박판금 슬리브에 설정시키며, 그루브형상의 리세스(16″,26″)는 고정구성요소(11′)의 에지(17″)와 지지편(27″)에 구성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구의 핸들부착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분리공구(3′,3″)에 의해 결착하는 핸들편(21′,21″)상에 위치한 표면(26a′2,26a″2)은 단상(steplike)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구의 핸들부착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분리공구(3′,3″)에 의해 결착하는 핸들편(21′,21″)상에 위치한 표면(26a′1,26a″1)은 평면형상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구의 핸들부착장치.
KR1019930006358A 1992-04-24 1993-04-15 조리기구의 핸들부착장치 KR1002704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G92-05573.7 1992-04-24
DE9205573U DE9205573U1 (ko) 1992-04-24 1992-04-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21139A KR930021139A (ko) 1993-11-22
KR100270424B1 true KR100270424B1 (ko) 2000-12-01

Family

ID=68788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06358A KR100270424B1 (ko) 1992-04-24 1993-04-15 조리기구의 핸들부착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5353475A (ko)
EP (1) EP0566777B1 (ko)
JP (1) JPH067259A (ko)
KR (1) KR100270424B1 (ko)
DE (2) DE9205573U1 (ko)
ES (1) ES2072675T3 (ko)
MX (1) MX9302391A (ko)
TR (1) TR26956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60081A (en) * 1995-12-05 1996-10-01 Yen; Jung C. Joining sleeve assembly for joining metal cookware with a cookware handle
US6216339B1 (en) * 1998-05-08 2001-04-17 3Com Corporation Tool-actuated ejector mechanism for extracting electronic modular components
US6363926B1 (en) * 1999-08-13 2002-04-02 Weber-Stephen Products Co. Handle for a barbecue grill
US9873363B2 (en) * 2015-04-27 2018-01-23 Velcro BVBA Securing seat trim covers to foam cushion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05414U (ja) * 1982-12-30 1984-07-16 株式会社ルビ− なべ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1912A (en) * 1902-04-03 1902-10-21 Martin Steudner Tool-dismounting instrument.
US1606833A (en) * 1923-02-12 1926-11-16 Aluminum Goods Mfg Co Handle for culinary utensils
US1577708A (en) * 1923-10-06 1926-03-23 Ernest W Gallenkamp Sectional joint
US2551850A (en) * 1945-10-06 1951-05-08 Bert A Quinn Sash lift
US2501940A (en) * 1946-11-12 1950-03-28 Hibbard Hurl Detachable utensil handle
US2608712A (en) * 1948-11-01 1952-09-02 Shelby Metal Products Company Drawer pull
AT222283B (ko) * 1960-06-14 1962-07-10 Heinrich Baumgarten Eisen- Und Blechwarenfabrik
US3487495A (en) * 1967-04-26 1970-01-06 Nagel Chase Mfg Co Caster assembly
US3812756A (en) * 1970-02-11 1974-05-28 M Wenger Positive lock self-retained fastener
DE2340723C2 (de) * 1973-08-11 1982-11-04 Heinrich Baumgarten Eisen- und Blechwarenfabrik, 5908 Neunkirchen Geschirrstielgriff
DE2553308C3 (de) * 1975-11-27 1982-03-11 Gebr. Dingerkus, 5952 Attendorn Stielgriff für einen Topf o.dgl.
FR2444441A1 (fr) * 1978-12-22 1980-07-18 Seb Sa Dispositif pour la fixation d'une poignee a un recipient culinaire
GB2071548B (en) * 1980-03-14 1984-11-14 Baumgarten Eisen Blechwarenfab Projection welded supporting bracket for side handles of utensils
DE3204641C2 (de) * 1982-02-10 1985-09-19 Heinrich Baumgarten KG, Spezialfabrik für Beschlagteile, 5908 Neunkirchen Griffbefestigung für einen hohlen, aus Metallblechen geformten Aufsteckgriff
DE8517666U1 (de) * 1985-06-18 1985-08-14 Heinrich Baumgarten KG, Spezialfabrik für Beschlagteile, 5908 Neunkirchen Geschirrgriff für die Befestigung an Bolzen
DE8604562U1 (de) * 1986-02-20 1986-09-25 Gebr. Dingerkus, 5952 Attendorn Vorrichtung zur Verbindung eines Stielgriffes mit einem Topf od. dgl.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05414U (ja) * 1982-12-30 1984-07-16 株式会社ルビ− なべ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21139A (ko) 1993-11-22
TR26956A (tr) 1994-09-12
US5353475A (en) 1994-10-11
ES2072675T3 (es) 1995-07-16
JPH067259A (ja) 1994-01-18
DE59202354D1 (de) 1995-06-29
MX9302391A (es) 1993-11-30
EP0566777A1 (de) 1993-10-27
DE9205573U1 (ko) 1992-07-23
EP0566777B1 (de) 1995-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4221255A (ja) フロントガラスワイパーアームに対するワイパーブレード固定用コネクタ
KR100270424B1 (ko) 조리기구의 핸들부착장치
WO2000021422A1 (en) Separable coupling between a handle and pots and pans
RU2720395C2 (ru) Ручка для кухонной емкости и соответству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крепления к такой емкости
US4019221A (en) Pan handle
US2180598A (en) Receptacle holder
US2323863A (en) Bean slicer
EP3091290B1 (fr) Boîtier de support pour des moyens de commande et d'affichage pour un appareil électroménager
JP4375872B2 (ja) 水栓用ハンドル
US3107937A (en) Hand grip for soil-working implements
JP2718890B2 (ja) 着脱自在なバーなどの固定具
JP2580196Y2 (ja) へ ら
JPS6219296Y2 (ko)
JPH0352419Y2 (ko)
JPS635651Y2 (ko)
JP3559342B2 (ja) 浴槽用エプロンの取付構造
JPH068321Y2 (ja) 筒状物のクランプ装置
JPH073522Y2 (ja) ランプ受け金具
JPS6217961Y2 (ko)
EP0985834B1 (fr) Dispositif de fixation d'au moins une pièce sur une autre pièce, en forme de plaque
JPH0422714Y2 (ko)
JPH0142958Y2 (ko)
EP0318371B1 (fr) Pince élastique à insérer dans un joint pour la fixation automatique et démontable d'objets divers, notamment de couvre-joints
JPS6312550Y2 (ko)
FR2585091A1 (fr) Dispositif de fix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