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68522B1 - 턴 시그널 스위치 - Google Patents

턴 시그널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68522B1
KR100268522B1 KR1019980009581A KR19980009581A KR100268522B1 KR 100268522 B1 KR100268522 B1 KR 100268522B1 KR 1019980009581 A KR1019980009581 A KR 1019980009581A KR 19980009581 A KR19980009581 A KR 19980009581A KR 100268522 B1 KR100268522 B1 KR 1002685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lever member
operating
operating lever
neutral 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095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80483A (ko
Inventor
히로시 하야가와
아츠오 다카하시
Original Assignee
가타오카 마사타카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타오카 마사타카,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타오카 마사타카
Publication of KR199800804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804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85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852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3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change of drive direction
    • B60Q1/4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change of drive direction having mechanical, electric or electronic automatic return to inoperative position
    • B60Q1/4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change of drive direction having mechanical, electric or electronic automatic return to inoperative position having mechanical automatic return to inoperative position due to steering-wheel position, e.g. with roller wheel control
    • B60Q1/425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change of drive direction having mechanical, electric or electronic automatic return to inoperative position having mechanical automatic return to inoperative position due to steering-wheel position, e.g. with roller wheel control using a latching element for resetting a switching el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5/00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 H01H25/04Operating part movable angularly in more than one plane, e.g. joystic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 Switches With Compound Operations (AREA)
  • Mechanisms For Operating Contacts (AREA)
  • Rotary Switch, Piano Key Switch, And Lever Switc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작레버의 동작 위치에서의 록유지력을 저하시키지 않고 캔슬동작시에 조작레버를 중립위치로 확실하게 자동복귀시키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조작레버(3)를 제 1 및 제 2케이스(1, 2)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제 1케이스(1)에 형성한 캠면(9)과 조작레버(3)에 설치한 구동체(18)의 협동에 의하여 조작레버(3)를 좌우의 동작위치와 중립위치의 3위치에 유지한다. 제 2케이스(2)의 내저면에 제 1 및 제 2지지축(10, 11)을 세워 설치하고, 제 1지지축(10)에 제 1레버부재(6)를 회전 자유롭게 축지지함과 동시에 제 1레버부재(6)의 선단에 세워 설치한 지지축(6b)에 제 2레버 부재(7)를 회전 자유롭게 축지지한다. 제 2레버부재(7)에 제 1 및 제 2긴구멍(7a, 7b)을 형성하고, 양 긴구멍(7a, 7b)을 지지축(6b)과 제 2지지축(11)에 끼워 맞춤과 동시에 제 2레버부재(7)를 양 긴 구멍(7a, 7b)의 길이 방향으로 가세하는 비틀림 코일스프링(8)을 설치한다. 그리고 조작레버(3)가 좌회전하거나 우회전하는 위치로 회동조작되었을 때 제 2레버부재(7)를 비틀림 코일스프링(8)의 가세력으로 캔슬돌기(20)의 회전궤적내로 진출시키고, 이 캔슬돌기(20)로 제 2레버부재(7)를 회전시킴과 동시에 제 2레버부재(7)에 연동하여 제 1레버부재(6)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제 1레버부재(6)로 조작레버(3)를 중립위치로 자동복귀시킨다.

Description

턴 시그널 스위치
본 발명은 자동차의 스티어링컬럼등에 부설되어 방향지시기로서 이용되는 턴 시그널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기 턴 시그널 스위치에 구비되는 조작레버를 중립위치로 자동복귀시키는 캔슬기구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턴 시그널 스위치는 스티어링 칼럼등에 일체화된 하우징에 조작레버의 기단측을 회동가능하게 지지하고, 이 조작레버의 선단측을 중립위치로부터 좌우 어느 한쪽의 방향지시 위치로 회전 조작함으로써 좌회전 또는 우회전용 램프를 점멸동작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턴 시그널 스위치에서는 조작레버를 좌우의 방향지시 위치와 중립위치의 3위치로 유지하기 위하여 하우징측의 내면에 캠부를 설치함과 동시에 조작레버측에 이 캠부에 걸어맞추는 구동체가 스프링을 개재하여 설치되어 있고, 또 조작레버를 좌우 어느 한 방향지시 위치로 회전조작한 상태에서 핸들이 지시방향과는 반대방향으로 회전조작되었을 때 조작레버를 중립위치로 자동복귀시키기 위한 캔슬기구가 부설되어 있다.
종래부터 이와 같은 턴 시그널 스위치의 캔슬기구로서 하우징에 캔슬레버를 회전하고 전후진 가능하게 지지하며, 이 캔슬 레버의 일단에 설치한 돌기를 조작레버측에 설치한 캠홀에 걸어맞춤과 동시에 캔슬레버의 타단을 하우징으로부터 돌출하는 방향으로 탄성가세하는 스프링부재를 설치한 것이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이 개략 구성된 턴 시그널 스위치에서는 조작레버가 중립위치에 있을 때 상기 조작레버는 구동체가 하우징에 설치된 캠부의 중앙과 걸어 맞춤으로써 중립위치에 로크되어 있다. 이 경우, 캔슬레버는 돌기가 캠홀의 산부와 걸어맞춤으로써 후퇴되어 있고, 캔슬레버의 선단은 핸들에 연동하여 회전하는 로우터에 설치된 캔슬돌기의 회전궤적외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이 상태에서 핸들이 회전조작되어도 캔슬돌기는 캔슬레버에 당접하지 않는다.
한편, 조작레버를 중립위치에서 좌우 어느 한쪽의 방향으로 회전 조작하면, 상기 조작레버는 구동체가 캠부의 중앙에서 좌우 어느한쪽의 록부로 이행함으로써 방향지시위치에 록되고, 그에 따라 좌 또는 우회전용 램프가 점멸동작된다. 이 경우, 캔슬레버는 돌기가 캠홀의 산부로부터 골짜기부로 이행하는 것에 의해 스프링 부재에 가세되어 전진하고, 상기 캔슬레버의 선단이 캔슬돌기의 회전궤적내에 돌출하기 때문에 이 상태에서 핸들이 지시방향과는 반대방향으로 회전조작되면, 그 리턴동작중에 캔슬 레버가 캔슬돌기에 당접하여 회전한다. 그 결과, 캔슬레버의 돌기가 캠홀의 단부에 당접하여 이것을 압압하기 때문에 구동체가 캠부의 록부로부터 벗어나 중앙의 안정위치로 이행하고, 조작레버는 지시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 중립위치로 자동복귀한다.
그런데 상기한 종래의 턴 시그널 스위치에서는 캔슬돌기에 의하여 회전동작되는 캔슬레버로부터의 구동력에 의항 방향지시 위치에 록된 조작레버를 중립위치로 자동복귀하도록 구성하고 있으나, 조작레버가 진동등에 의하여 원하지 않게 중립위치로 복귀하지 않도록 조작레버를 방향지시위치로 록하는 유지력이 비교적 크게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이것에 따라 캔슬레버에도 조작레버를 해제하기 위하여 큰 구동력이 필요하게 된다. 한편, 캔슬레버는 핸들에 연동하여 회전하는 캔슬돌기에 의하여 동작되는 것이기 때문에 캔슬돌기가 캔슬레버의 선단에 당접하는 각도범위에는 스스로 한계가 있어 한정된 당접각도로 캔슬레버의 후단측을 크게 회동변위시켜 해제력을 발생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캔슬레버에 발생하는 구동력과 캔슬레버의 회동변위량과는 서로 상반하는 관계에 있고, 예를 들어 캔슬레버의 회동지지점을 후단측에 근접시키면, 캔슬레버의 후단측에 발생하는 구동력은 커지나, 캔슬레버의 회동변위량은 작아지고, 이것과는 반대로 캔슬레버의 회동지지점을 선단측에 근접시키면, 캔슬레버의 회동변위량은 커지나, 캔슬레버의 후단측에 발생하는 구동력은 작아진다. 이와 같은 이유에서 캔슬레버의 구동력이 저하하는데 어느 정도의 희생을 치르고, 캔슬레버의 회동변위량이 커지도록 회동지지점 위치를 설정하고 있으나, 이 경우, 캔슬레버의 구동력의 저하에 따라 조작레버의 록유지력을 작게 하지 않으면 안되기 때문에 조작레버가 오동작할 염려가 있었다. 한편, 록유지력을 작게 할 수 없을 경우에는 캔슬레버와 캔슬돌기사이에서 마모나 절손등을 일으켜 캔슬기능이 만족되지 않는다는 문제가 있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턴 시그널 스위치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상기 턴 시그널 스위치에 구비되는 제 1케이스에 조작레버를 조립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상기 턴 시그널 스위치의 횡단면도,
도 4는 상기 턴 시그널 스위치의 종단면도,
도 5는 상기 턴 시그널 스위치에 구비되는 회동부재의 정면도,
도 6은 상기 턴 시그널 스위치의 캔슬동작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1레버부재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제 1케이스 2 : 제 2케이스
3 : 조작레버 4 : 회동부재
4d : 캠부 4e : 구동부
5 : 리턴 스프링 6 : 제 1레버부재
6b : 지지축 6c : 휘어짐부
7 : 제 2레버부재 7a : 제 1긴구멍
7b : 제 2긴구멍 7c : 당접부
7d : 캠부 8 : 비틀림 코일스프링
9 : 캠면 10 : 제 1지지축
11 : 제 2지지축 12 : 제 1투공
13 : 제 2투공 17 : 홀더
18 : 구동체 20 : 캔슬돌기
본 발명은 하우징에 지지축을 개재하여 회전자유롭게 축지지된 제 1레버부재와 이들 하우징 및 제 1레버부재에 각각 긴구멍을 개재하여 회전 자유롭게 축지지된 제 2레버부재와의 2부재로 캔슬레버를 구성하고, 제 2레버 부재의 선단을 캔슬돌기에 의하여 회전동작함과 동시에 상기 제 2레버부재에 연동하여 제 1레버부재를 회전함으로써 조작레버를 중립위치로 자동복귀시키는 것으로 한다. 이와 같이 2부재로 캔슬레버를 구성하면, 제 1 및 제 2레버부재의 각각의 지렛대 비를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기 때문에 제 1레버부재에 필요로 하는 구동력과 회동변위량을 모두 크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턴 시그널 스위치에서는 캠부를 가지는 하우징과, 이 하우징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된 조작레버와, 상기 캠부와 협동하여 상기 조작레버를 제 1 및 제 2동작위치와 중립위치의 3위치로 유지하는 구동체와, 상기 하우징에 지지축을 개재하여 회전 자유롭게 축지지되고, 상기 조작레버를 제 1 및 제 2동작 위치로부터 중립위치로 복귀시키는 제 1레버부재와, 이 제 1레버부재 및 상기 하우징에 각각 긴구멍을 개재하여 회전 자유롭게 축지지된 제 2레버부재와, 이 제 2레버부재를 상기 각 긴구멍의 길이방향으로 탄성가세하는 스프링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조작레버가 중립위치에 있을 때 상기 조작레버에 의하여 상기 제 2레버부재를 핸들에 연동하여 회전하는 캔슬돌기의 회전궤적밖으로 후퇴시키고, 상기 조작레버가 제 1 또는 제 2동작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 2레버부재를 상기 스프링부재의 가세력으로 상기 캔슬돌기의 회전궤적내로 진출시키도록 구성하였다.
또 상기 조작레버에 제 1레버부재와 접속이탈 가능한 걸어맞춤부를 가지는 회동부재를 설치하고, 이 회동부재를 리턴 스프링에 의하여 센터위치로 자동복귀하도록 가세하면, 운전자가 동작위치에 있는 조작레버를 누른 상태에서 캔슬동작이 행하여져도 제 1레버부재의 회전은 회동부재가 리턴 스프링에 저항하여 회동함으로써 흡수되기 때문에 양 레버나 걸어맞춤부를 포함하는 동력전달계의 구성부품이 파손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상기 제 1레버부재는 그 회전방향으로 변형가능한 휘어짐부를 형성하면, 운전자가 동작위치에 있는 조작레버를 누른 상태에서 캔슬동작이 행하여져도 제 1레버부재의 휘어짐부가 변형하기 때문에 상기한 회동부재와 리턴 스프링을 이용하지 않고 동일한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실시예)
실시예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 1은 실시예에 관한 턴 시그널 스위치의 분해사시도, 도 2는 상기 턴 시그널 스위치에 구비되는 제 1케이스에 조작레버를 조립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상기 턴 시그널 스위치의 횡단면도, 도 4는 상기 턴 시그널 스위치의 종단면도, 도 5는 상기 턴 시그널 스위치에 구비되는 회동부재의 정면도, 도 6은 상기 턴 시그널 스위치의 캔슬동작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관한 턴 시그널 스위치는 서로 접합·일체화되어 하우징을 이루는 제 1 및 제 2케이스(1, 2)와, 이들 양 케이스(1, 2)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조작레버(3)와, 이 조작레버(3)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회동부재(4)와, 이 회동부재(4)를 센터위치로 자동복귀하게 하는 리턴 스프링(5)과, 제 2케이스(2)의 상면에 얹어 놓여진 제 1 및 제 2레버부재(6, 7)와 이 제 2레버부재(7)를 제 2케이스(2)로부터 돌출하는 방향으로 탄성 가세하는 비틀림 코일스프링(8)으로 주로 구성되어 있고, 제 1 및 제 2케이스(1, 2)는 도시 생략한 칼럼커버나 콤비네이션 스위치등의 스테이터부재에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도 2 내지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케이스(1)의 내부에는 V자상의 캠면(9)이 형성되어 있고, 이 캠면(9)은 중앙의 골짜기부(9a)와 양측에 위치하는 돌기상의 록부(9b)를 가지고 있다. 제 1케이스(1)와 제 2케이스(2)는 스냅 결합등의 수단을 이용하여 일체화되고, 이들 양 케이스(1, 2)에는 조작레버(3)의 회동지지점이 되는 구멍(1a, 2a)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제 2케이스(2)의 내저면에는 제 1지지축(10)과 제 2지지축(11)이 소정간격을 두고 세워 설치되어 있고, 제 1지지축(10)에 제 1레버부재(6)가 회전자유롭게 축 지지되어 있다. 제 1레버부재(6)에는 제 1투공(12)과 제 2투공(13)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이들 양 투공(12, 13)간에 제 1지지축(10)에 끼워 맞춰지는 구멍(6a)이 형성되어 있다. 또 제 1레버부재(6)의 선단에는 지지축(6b)이 세워 설치되어 있고, 이 지지축(6b)에 제 2레버부재(7)가 회전 자유롭게 축지지되어 있다.
제 2레버부재(7)에는 지지축(6)에 끼워 맞춰지는 제 1긴구멍(7a)과 상기 제 2지지축(11)에 끼워 맞춰지는 제 2긴구멍(7b)이 형성되어 있고, 이들 양 긴구멍(7a, 7b)의 길이방향은 동일선상에 설정되어 있다. 또 제 2레버부재(7)의 전후 양쪽 끝에는 당접부(7c)와 캠부(7d)가 각각 세워 설치되어 있고, 캠부(7d)의 횡단면 형상은 반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 2레버부재(7)에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8)의 한쪽이 아암이 걸어 맞춰져 있고, 이 비틀림 코일 스프링(8)에 의하여 제 2레버부재(7)는 양 긴구멍(7a, 7b)의 길이방향으로 탄성가세되어 있다. 비틀림 코일 스프링(8)의 감김부는 제 2케이스(2)의 내저면에 세워 설치된 보스(2b)에 삽입되어 있고, 다른쪽 아암은 제 2케이스(2)의 측벽에 걸어 멈춰져 있다. 또한 제 2케이스(2)의 내저면에는 제 2레버부재(7)의 저면에 당접하는 단부(2c)와 리브(2d)가 형성되어 있고, 이들 단부(2c)와 리브(2d)에 의하여 제 2케이스(2)와 제 2레버부재(7)간의 접촉저항이 저감되어 있다.
제 2케이스(2)의 저면에는 프린트기판(14)이 설치되어 있고, 이 프린트 기판(14)상을 슬라이딩하는 한쌍의 슬라이더 받이체(15, 16)가 제 2케이스(2)의 내저면측으로 노출하고 있다. 한쪽의 슬라이더 받이체(15)는 제 2케이스(2)의 폭방향으로 이동가능하며, 조작레버(3)의 좌회전 또는 우회전방향으로의 회동조작에 의하여 구동되고, 도시 생략한 좌회전 또는 우회전용 램프의 점멸동작을 행한다. 다른쪽의 슬라이더 받이체(16)는 제 2케이스(2)의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며, 조작레버(3)의 위쪽으로의 요동조작에 의하여 구동되고, 도시 생략한 빔용 램프의 점멸동작을 행한다. 이들 양 슬라이더 받이체(15, 16)에는 프린트 기판(14)에 형성된 고정 접점과 접촉이탈하는 가동접점(모두 도시 생략)이 설치되어 있다.
조작 레버(3)에는 홀더(17)가 설치되어 있고, 홀더(17)의 상하 양면에는 상기 양 구멍(1a, 2a)에 끼워 맞춰지는 지지축(17a, 17b)이 돌출 설치되어 있다. 조작레버(3)와 홀더(17)는 양 구멍(1a, 2a)(양 지지축 17a, 17b)을 연결하는 직선을 회전축으로하여 수평방향으로 일체적으로 회전하나, 도시 생략한 빔 구동기구에 의하여 조작레버(3)를 홀더(17)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소정각도 만큼 요동할 수 있게 연결되어 있다. 이 홀더(17)의 상면에는 한쌍의 스프링 받이부(17c, 17d)가 형성되어 있고, 홀더(17)의 전면에는 통 모양부(17e)가 형성되어 있다. 이 통모양부(17e)의 내부에는 구동체(18)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유지되어 있고, 이 구동체(18)의 선단은 도시 생략한 스프링에 의하여 제 1케이스(1)의 캠면(9)에 항시 압접하고 있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통 모양부(17e)에는 회동부재(4)에 형성한 통체(4a)가 삽입되어 있고, 회동부재(4)는 통 모양부(17e)를 가이드면으로 하여 홀더(17)에 회전 가능하게 유지되어 있다. 이 회동부재(4)의 상부에는 한 쌍의 스프링 받이부(4b, 4c)가 형성되어 있고, 통체(4a)에 감긴 리턴 스프링(5)의 양 아암을 이들 양 스프링 받이부(4b, 4c)와 홀더(17)의 양스프링 받이부(17c, 17d)에 각각 걸어 멈춤으로써 회동부재(4)는 센서위치 방향으로 항시 가세되어 있다. 또 통체(4a)의 하부 선단에는 횡단면 형상이 반원형의 캠부(4d)가 밑으로 느려뜨려 설치되어 있고, 이 캠부(4d)는 제 2레버부재(7)의 캠부(7d)와 대향하고 있다. 또한 회동부재(4)의 아래쪽 끝에는 제 1레버부재(6)의 제 2투공(13)내에 이르는 구동부(4e)가 밑으로 느려뜨려 설치되어 있고, 이 구동부(4e)에는 상기한 한쪽의 슬라이더 받이체(15)와 걸어 맞추는 돌기(4f)가 밑으로 느려뜨려 설치되어 있다. 또한 조작 레버(3)의 아래쪽 끝에는 돌기(19)가 형성되어 있고, 이 돌기(19)는 상기한 다른쪽 슬라이더 받이체(16)와 걸어 맞추고 있다(도 2참조).
다음에 상기와 같이 구성된 턴 시그널 스위치의 동작을 주로 도 6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레버(3)가 중립위치에 있는 경우, 구동체(18)의 선단은 캠면(9)의 중앙의 골짜기부(9a)와 당접하고, 도시 생략한 스프링의 탄성에 의하여 해당 위치에 안정적으로 유지되어 있다. 이때 도 6(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동부재(4)의 캠부(4d)와 제 2레버부재(7)의 캠부(7d)는 각각의 정점에서 당접하고 있고, 제 2레버부재(7)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8)의 가세력에 저항하여 후퇴하고 있다. 따라서 제 2레버부재(7)의 당접부(7c)는 핸들에 연동하여 회전하는 로우터에 설치된 캔슬돌기(20)의 회동궤적 밖으로 위치하고 있고, 이 상태에서 핸들을 회전하여도 캔슬 돌기(20)는 제 2레버부재(7)의 당접부(7c)에 당접하지 않고 조작레버(3)는 중립위치로 유지된다.
조작레버(3)를 이 중립위치에서 도 3의 화살표 A 또는 B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회동하면, 구동체(18)의 선단은 캠면(9)의 경사면을 타고 넘어 록부(9b)에 걸어 멈춰지고, 이들 록부(9b)에 의하여 해당 위치에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예를 들어 조작레버(3)를 도 3의 화살표 B방향으로 회동하면, 조작레버(3)에 연동하여 회동부재(4)가 회전하고, 도 6의 해칭으로 나타내는 캠부(4d)와 구동부(4e)는 동도(a)에서 (b)에 나타내는 위치로 변위한다. 그 결과, 회동부재(4)의 캠부(4d)가 제 2레버부재(7)의 캠부(7d)의 정점에서 벗어나 제 2레버부재(7)는 비틀림 코일스프링(8)의 탄성력을 받아 양 긴구멍(7a, 7b)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진하고, 당접부(7c)가 캔슬 돌기(20)의 회동궤적내로 진출한다. 또 조작레버(3)의 화살표 B방향으로의 회동에 따라 회동부재(4)의 아래쪽 끝에 설치한 돌기(4f)가 슬라이더 받이체(15)를 수평방향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슬라이더 받이체(15)에 의하여 접점의 변환이 행하여지고, 도시 생략한 우회전용 램프가 점멸동작한다.
도 6(b)에 나타내는 우회전 상태에서 핸들이 역방향(동도의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조작되면, 그 리턴 동작중에 캔슬 돌기(20)가 제 2레버부재(7)의 당접부(7c)에 부딪치게 된다. 그 결과, 제 2레버부재(7)가 제 2지지축(11)을 중심으로 동도의 시계회전방향으로 회전하고, 그것에 따라 제 1긴구멍(7a)에 걸어 맞추는 지지축(6b)을 가지는 제 1레버부재(6)가 제 1지지축(10)을 중심으로 시계 회전방향으로 회전하기 때문에 제 1레버부재(6)의 제 2투공(13)은 동도의 위쪽으로 회동변위한다. 이로써 제 2투공(13)의 둘레 가장자리가 회동부재(4)의 구동부(4e)를 위쪽으로 압압하기 때문에 구동체(18)는 캠면(9)의 록부(9b)로부터 벗어나 중앙의 골짜기부(9a)로 이행하고, 조작레버(3)와 제 1 및 제 2레버부재(6, 7)는 도 6(a)에 나타내는 중립위치로 자동복귀한다. 여기서 지지축(6b)과 제 2지지축(11)간의 거리를 L1, 당접부(7c)와 제 2지지축(11)간의 거리를 L2, 지지축(6b)과 제 1지지축(10)간의 거리를 L3, 제 1지지축(10)과 구동부(4e)간의 거리를 L4, 구동부(4e)와 구멍(2a)(조작 레버(3)의 회전중심)간의 거리를 L5, 지지축(17a)(구멍 (2a))과 록부(9b)간의 거리를 L6(도 3참조)으로 하면, 캔슬비(Pi)(캔슬돌기(20)에서 발생하는 힘을 1로 하였을 때의 캠면(9)의 록부(9b)에 생기는 구동력의 비)는
Pi = (L2/L1)×(L3/L4)×(L5/L6)
으로서 표시된다.
또 도 6(b)에 나타내는 우회전 상태에서 조작레버(3)를 누르면서 핸들이 역방향으로 회전 조작되면, 상기한 바와 같이 제 2투공(13)의 둘레 가장자리는 회동부재(4)의 구동부(4e)를 압압하나, 조작레버(3)는 눌려져 있기 때문에 자동복귀하지 않고, 이 경우는 회동부재(4)가 리턴 스프링(5)에 저항하여 통모양부(17c)의 둘레면을 회전한다. 그리고 캔슬돌기(20)가 제 2레버부재(7)의 당접부(7c)를 통과하면, 회동부재(4)는 리턴스프링(5)에 의하여 홀더(17)의 센터위치로 자동복귀하기 때문에 다시 도 6(b)에 나타내는 우회전 상태로 유지된다. 이와같이 캔슬동작에 따르는 제 1레버부재(6)의 회전이 회동부재(4)의 회전에 의하여 흡수되기 때문에 양 레버(5, 6)나 구동부(4e)를 포함하는 동력전달계의 구성부품의 파손이 방지된다.
또한 도 6(b)에 나타내는 우회전 상태에서 핸들이 더욱 우회전 방향으로 회전조작되면, 캔슬돌기(20)는 동도의 화살표와 역방향에서 제 2레버부재(7)의 당접부(7c)에 당접하고, 제 2레버부재(7)와 제 1레버부재(6)는 상기한 캔슬동작시와 반대로 반시계 회전방향으로 회전한다. 이 경우, 제 2레버부재(7)의 캠부(7d)는 회동부재(4)의 캠부(4d)의 둘레면을 원활하게 회전 슬라이딩하고, 제 1레버부재(6)는 제 2투공(13)의 둘레 가장자리가 구동부(4e)로부터 분리되는 방향으로 회동변위하기 때문에 조작레버(3)는 중립위치로 복귀하지 않고 우회전 위치로 유지된다.
도 7은 제 1레버부재(6)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제 1레버부재(6)의 제 1투공(12)의 주위에는 두께가 얇은 휘어짐부(6c)가 형성되어 있다. 이 휘어짐부(6c)는 제 1레버부재(6)에 과도의 회전력이 작용하였을 때 동도의 화살표 방향으로 변형한다. 이와 같이 제 1레버부재(6)에 휘어짐부(6c)를 형성하면, 상기 실시예에서 이용한 회동부재(4)와 리턴 스프링(5)을 생략하여도 동작위치에 있는 조작레버(3)를 누른 상태에서 캔슬 동작을 행할 수 있다. 즉 좌회전 또는 우회전 위치에 있는 조작레버(3)를 누르면서 핸들이 역방향으로 회전 조작된 경우, 제 1레버부재(6)의 제 2투공(13)의 둘레 가장자리가 회동부재(4)의 구동부(4e)를 압압한 시점에서 휘어짐부(6c)가 변형함으로써 구동부(4e)에 그것이상의 압압력이 작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형태로 실시되고, 이하에 기재되는 효과를 갖는다.
캠부를 가지는 하우징과, 이 하우징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된 조작레버와 상기 캠부와 협동하여 상기 조작레버를 제 1 및 제 2동작위치와 중립위치의 3위치로 유지하는 구동체와, 상기 하우징에 지지축을 개재하여 회전 자유롭게 축지지되고, 상기 조작레버를 제 1 및 제 2동작위치에서 중립위치로 복귀시키는 제 1레버부재와, 이 제 1레버부재 및 상기 하우징에 각각 긴구멍을 개재하여 회전자유롭게 축지지된 제 2레버부재와, 이 제 2레버부재를 상기 각 긴구멍의 길이방향으로 탄성가세하는 스프링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조작레버가 중립위치에 있을 때 상기 조작레버에 의하여 상기 제 2레버부재를 핸들에 연동하여 회전하는 캔슬돌기의 회전궤적밖으로 후퇴시키고, 상기 조작레버가 제 1 또는 제 2동작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 2레버부재를 상기 스프링부재의 가세력으로 상기 캔슬 돌기의 회전궤적내로 진출시키도록 구성하면, 제 1 및 제 2레버부재의 각각의 지렛대 비를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기 때문에 제 1레버부재에 필요로 하는 구동력과 회동변위량을 모두 크게 할 수 있다.
또 상기 조작레버에 제 1레버부재와 접속 이탈가능한 걸어맞춤부를 가지는 회동부재를 설치하고, 이 회동부재를 리턴 스프링에 의하여 센터위치로 자동복귀하도록 가세하면, 운전자가 동작위치에 있는 조작레버를 누른 상태로 캔슬동작이 행하여져도 제 1레버부재의 회전은 회동부재가 리턴 스프링에 저항하여 회동함으로써 흡수되기 때문에 양 레버나 걸어맞춤부를 포함하는 동력전달계의 구성부품이 파손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상기 제 1레버부재에 그 회전방향으로 변형가능한 휘어짐부를 형성하면, 운전자가 동작위치에 있는 조작레버를 누른 상태에서 캔슬동작이 행하여져도 제 1레버부재의 휘어짐부가 변형하기 때문에 상기한 회동부재와 리턴 스프링을 이용하지 않고 동일한 효과를 가질 수 있다.

Claims (3)

  1. 캠부를 가지는 하우징과 이 하우징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된 조작레버와, 상기 캠부와 협동하여 상기 조작레버를 제 1 및 제 2 동작위치와 중립위치의 3위치로 유지하는 구동체와, 상기 하우징에 지지축을 개재하여 회전자유롭게 축지지되고, 상기 조작레버를 제 1 및 제 2동작위치에서 중립위치로 복귀시키는 제 1레버부재와, 이 제 1레버부재 및 상기 하우징에 각각 긴 구멍을 개재하여 회전자유롭게 축지지된 제 2레버부재와 이 제 2레버부재를 상기 각 긴구멍의 길이방향으로 탄성가세하는 스프링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조작레버가 중립위치에 있을 때 상기 조작레버에 의하여 상기 제 2레버부재를 핸들에 연동하여 회전하는 캔슬돌기의 회전궤적밖으로 후퇴시키고, 상기 조작레버가 제 1 또는 제 2동작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 2레버부재를 상기 스프링부재의 가세력으로 상기 캔슬돌기의 회전궤적내로 진출시키도록 구성한 턴 시그널 스위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레버에 상기 제 1레버부재와 접속 이탈가능한 걸어맞춤부를 가지는 회동부재가 설치되고, 이 회동부재가 리턴 스프링에 의하여 센터위치로 자동복귀하도록 가세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턴 시그널 스위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레버부재에 그 회전방향으로 변형가능한 휘어짐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턴 시그널 스위치.
KR1019980009581A 1997-03-21 1998-03-20 턴 시그널 스위치 KR10026852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068273A JPH10269901A (ja) 1997-03-21 1997-03-21 ターンシグナルスイッチ
JP9-068273 1997-03-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80483A KR19980080483A (ko) 1998-11-25
KR100268522B1 true KR100268522B1 (ko) 2000-10-16

Family

ID=133689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09581A KR100268522B1 (ko) 1997-03-21 1998-03-20 턴 시그널 스위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949040A (ko)
EP (1) EP0865966B1 (ko)
JP (1) JPH10269901A (ko)
KR (1) KR100268522B1 (ko)
DE (1) DE69807276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84542B2 (ja) * 1998-07-28 2006-06-14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ターンシグナルスイッチ
JP3854427B2 (ja) 1999-06-16 2006-12-06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ターンシグナルスイッチ装置
JP2001229767A (ja) * 2000-02-15 2001-08-24 Alps Electric Co Ltd スイッチ装置
JP3921909B2 (ja) * 2000-02-17 2007-05-30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レバースイッチ及びこれを用いた複合スイッチ
JP2003127762A (ja) 2001-10-19 2003-05-08 Alps Electric Co Ltd ターンシグナルスイッチ装置
JP4652356B2 (ja) * 2007-02-26 2011-03-16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ターンシグナルスイッチ装置
US7518071B2 (en) * 2007-07-26 2009-04-14 Grote Industries, Inc. Turn signal self cancellation system
KR101359282B1 (ko) 2011-02-25 2014-02-05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턴 시그널 스위치 장치
US11352046B2 (en) * 2017-07-12 2022-06-07 Ka Group Ag Lever assembly for a steering column of a vehicle
JP6722722B2 (ja) * 2018-06-26 2020-07-1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運転支援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76039U (ja) * 1982-05-20 1983-11-25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タ−ンシグナルのセルフキヤンセル装置
JPH048033Y2 (ko) * 1987-08-12 1992-03-02
FR2622161B1 (fr) * 1987-10-21 1990-03-23 Jaeger Perfectionnements aux commutateurs electriques pour l'alimentation des indicateurs de changement de direction d'un vehicule automobile
JPH0638756Y2 (ja) * 1989-09-09 1994-10-12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ウインカー用オートキヤンセル装置
US5313028A (en) * 1992-07-02 1994-05-17 Itt Corporation Turn signal cancel mechanism
US5575177A (en) * 1993-09-13 1996-11-19 United Technologies Automotive, Inc. Turn signal cancellation mechanism
US5385067A (en) * 1993-09-13 1995-01-31 United Technologies Automotive, Inc. Turn signal cancellation mechanism
US5708243A (en) * 1996-12-16 1998-01-13 United Technologies Automotive, Inc. Multi-position, multi-directional electric switch mechanis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807276T2 (de) 2002-12-19
DE69807276D1 (de) 2002-09-26
US5949040A (en) 1999-09-07
EP0865966A2 (en) 1998-09-23
KR19980080483A (ko) 1998-11-25
JPH10269901A (ja) 1998-10-09
EP0865966A3 (en) 1999-08-18
EP0865966B1 (en) 2002-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68522B1 (ko) 턴 시그널 스위치
KR900002523Y1 (ko) 터언 시그널 스위치의 캔슬 기구
JP3784542B2 (ja) ターンシグナルスイッチ
KR102165848B1 (ko) 리모트 쉬프트 레버 스위칭 유니트
US20060185463A1 (en) Turn signal switch device
US7622687B2 (en) Turn signal switch device
US5050411A (en) Shift lever locking device for automatic transmission of column type
JP5811462B2 (ja) ターンシグナルスイッチ装置
US6194676B1 (en) Turn signal switch device
KR100493641B1 (ko) 턴시그날 스위치장치
US6781072B2 (en) Construction of on-vehicle lever switch
JP4106062B2 (ja) ターンシグナルスイッチ
JP2008192417A (ja) ターンシグナルスイッチ装置
JPH09132081A (ja) ターンシグナルスイッチのキャンセル装置
JP4284121B2 (ja) ターンシグナルスイッチ装置
JP4230349B2 (ja) ターンシグナルスイッチ装置
JP2001006495A (ja) ターンシグナルスイッチ装置
JP2001006494A (ja) ストークスイッチ装置
JP4238090B2 (ja) ターンシグナルスイッチ装置
JPH035713Y2 (ko)
JPS6310358Y2 (ko)
JP2009140709A (ja) ターンシグナルスイッチ装置
JP2009143376A (ja) ターンシグナルスイッチ装置
JPS5845729B2 (ja) 変速操作装置のミスシフト防止機構
JP2000268446A (ja) テープレコーダ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8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7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9

Year of fee payment: 1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