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2523Y1 - 터언 시그널 스위치의 캔슬 기구 - Google Patents

터언 시그널 스위치의 캔슬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2523Y1
KR900002523Y1 KR2019870003306U KR870003306U KR900002523Y1 KR 900002523 Y1 KR900002523 Y1 KR 900002523Y1 KR 2019870003306 U KR2019870003306 U KR 2019870003306U KR 870003306 U KR870003306 U KR 870003306U KR 900002523 Y1 KR900002523 Y1 KR 90000252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
switch
spring
drive body
canc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7000330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01318U (ko
Inventor
다까시 마에다
Original Assignee
알프스덴기 가부시기 가이샤
가다오까 가쓰다로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프스덴기 가부시기 가이샤, 가다오까 가쓰다로오 filed Critical 알프스덴기 가부시기 가이샤
Publication of KR88000131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131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252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2523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3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change of drive direction
    • B60Q1/4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change of drive direction having mechanical, electric or electronic automatic return to inoperative position
    • B60Q1/4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change of drive direction having mechanical, electric or electronic automatic return to inoperative position having mechanical automatic return to inoperative position due to steering-wheel position, e.g. with roller wheel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sms For Operating Contacts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터언 시그널 스위치의 캔슬 기구
제 1 도 내지 제7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관한 것으로, 제 1 도는 터언 시그널 스위치의 요부의 분해 사시도.
제 2 도는 커버에 캠체를 조립한 상태를 나타낸 이면도.
제 3 도, 제 4 도, 제 5 도, 제 6 도, 제 7 도는 각각 터언 시그널 스위치의 동작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제 8 도 내지 제 12 도는 종래의 터언 시그널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 제 8 도는 요부의 분해 사시도.
제 9 도, 제 10도, 제 11도, 제 12 도는 각각의 동작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케이스 2 : 스위치구동체
3 : 조작레버 4 : 커버
5 : 계지캠 7 : 막힌구멍
7a : 안내홈 11 : 구동체
12 : 스프링 13 : 캠(캠부)
16 : 스티어링 축 17 : 캔슬 캠
17a : 돌기 18 : 캠체
18a : 계합구멍 19 : 캠체
19a : 제1외돌기 19b : 제2의 돌기
19c : 계지핀 20 : 가느다란 선형상 스프링
21 : 안내구멍 22 : 대피구멍
23 : 핀
본 고안은 자동차등에 터언 시그널 스위치(방향지시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조작레버를 중립위치에 자동복귀 시키기 위한 캔슬기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터언 시그널 스위치는 여러가지 제공되고 있은, 그 일례를 제 8 도 내지 제 12 도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제 8 도는 터언 스그널 스위치의 요부를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동도면에서 1은 도시하지 않으 스티어링 커버에 설치된 케이스, 2는 케이스(1)의 요부(1a)내에 수납된 스위치구동체, 3은 그 스위치구도체(2)에 연결된 상기 케이스(1)로부터 돌출된 조작레버, 4는 상기 요부(1a)를 덮고 케이스(1)에 부착되는 커버이다.
스위치구동체(2)의 상면에는 평명이 3각형 형상의 계지캠(5)과 층이지게 들어간 형상의 요(凹)홈(6)이 설치되고, 또 주면 2개소에 막힌 구멍(7)(도면에서는 한쪽을 생략함)이 천설되어 있다. 8은 상기 홈(6)내에 전, 후진이 자유롭게 수납되는 캠판이고, 그 캠판(8)은 비교적 탄발력이 큰 한쌍의 스프링(9)에 의하여 전진방향으로 힘을 받음과 동시에, 스위치구동체(2)에 나사로 고정되고 한쌍의 압압판(10)에 의하여 홈(6)으로부터 탈락이 방지되도록 되어 있다.
11은 상기 막힌구멍(7)내에 접동이 자유롭게 감합되는구동체이고, 이들 구동체(11)는 스프링(12)의 탄발력에 의하여 바깥쪽으로 힘이 작용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케이스(1)의 내벽에는 한쌍의 돌출된 캠(13)이 형성되어 있고, 이들 캠(13)의 캠면을 상기 구동체(11)가 접동하도록 되어있다. 또 14는 상면에 한쌍의 돌기(14a)와 하면에 하난의 계지핀(14b)을가지는 캠체이고, 이 캠체(14)는 양단을 상기 커버(4)에 고정된 인장 스프링(15)에 의하여 앞쪽으로 힘을 받고 있다. 또한 그 캠체(14)의 돌기(14a)는 커버(4)에 뚫린 원호 형상의 안내구멍(4a)에 삽입되고, 계지핀(14b)은 상기계지캠(5)의 돌출형상의 캠면과 당접하도록 되어 있다.
제 9 도 내지 제 12 도는 이러한 터언 시그널 스위치를 스티어링 장칭 설치한 나타낸 평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있어서, 16은스티어링축, 17은 스티어링축(160과 일체로 회전하고 180도 대향위치에 두개의 돌기(17a)를 가지는 캔슬캠이고, 상기 케이스(1)는 그전면이 상기 캔슬캠(17)과 대향하도록 스티어링 장치에 설치된다.
제 9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작레버(30가 중립위치에 있는 경우, 캠체(14)는 하면의 계지핀(14b)이 계지캠(5)의 정상부와 당접하므로서 인장스프링(15)에 대향하여 후퇴하고 캔슬캠(17)의 양돌기(17a)의 회전궤적 밖에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이와같은 상태에서 스티어린휘일(도시생략)을 회전시켜도, 캔슬캠(17)의 돌기(17a)는 캠체(14)에 당접하지 않고, 스위치구동체(2) 및 조작레버(3)는 중립위치에 유지된다.
다음에 제 10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작레버(3)를 중립위치로부터 예를들면 화살표(A)방향을 회전시키면, 도면에서 위쪽의 구동체(이하, 설명의 편의상 도면의 위쪽의 구동체를 11a, 도면의 아래쪽의 구동체를 11b로 표시함)(11a)가 캠(13)의 정상부를 타고넘기 때문에, 스위치구동체(2) 및 조작레버(3)는 해당위치에서 록되고, 스위치구동체(2)에 의하여 예를들면 좌측방향 회전용 스위치(도시행략)가 동작한다.
또, 이 스위치구동체(2)의 회전에 의하여 계지 캠(5)과 캠판(14)의 상대위치가 변동하기 때문에, 캠체(14)는 인장스프링(15)(제8도 참조)에 의하여 힘이 작용하여 계지핀(14b)이 계지캠(5)의 정상부로부터 경사부로 이행하여, 케이스(1)의 전면측을 돌출한다.
이 상태로부터 제 11 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스티어링 휘일이 원위치로 역회전(화살표 B방향을 회전)하면, 그 기턴 동작중에 돌출상태에 있는 캠체(14)는 캠슬캠(17)의 어느 한쪽의 돌기(17a)의 당접한다. 그러면 캠체(14)는 도면중 아래쪽의 돌기(14a)를 지점으로 하여 화살표(C)방향으로 회전하여 캠프(8)을 구동시킨다. 즉, 캠판(8)은 비교적 탄발력이 강한 스프링(9)을 거쳐 스위치구동체(2)에 연결되어 있기때문에, 캠판(8)과 스위치구동체(2) 및 조작레버(3)는 일체가되어 도면중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제 9 도에 나타낸 중립위치로 자동 복귀되어 소위 캔슬동작이 행해진다.
한편 제 9 도에 나타낸 상태로부터 운전자가 조작레버(3)를 고정시킨채 스티어링 휘일이 리턴동작에 들어가면, 즉 캐스터 효과에 의하여 스티어링 휘일이 중립위칠 복귀할때도 예를들면 좌회전용의 깜빡이를 점멸시켜두고 싶은 경우, 제 12 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캠체(14)는 상기한 바와 마찬가지로 리턴 동작하는 캔슬캠(17)의 어느 한쪽의 돌기(17a)에 당접하여 화살표(B)방향으로 회전한다. 이 경우, 조작레버(3) 및 스위치구동체(2)는 운전자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캠체(14)로 부터 캠판(8)에 작용하는 힘은 도면중 아래쪽의 스프링(9)이 축소되므로 흡수되어서, 상기한 조작레버(3)의 캔슬동작은 행해지지 않는다. 그리고 탠슬캠(17)이 제 12 도의 화살표(C)방향을 다시 회전되어 스티어링 휘일이 중립위치로 복귀하면, 캔슬캠(17)의 돌기(17a) 는 캠체(14)로부터 떨어져나가고, 운전자가 조작레버(3)로부터 손을 놓아도 그 조작레버(3)는 제 10 도의 상태에 록 된체로 있게 된다.
이와 같이 터언 시그널 스위치에는 한방향으로 록된 조작레버(3)를 스티어링 휘일의 리턴시에 중립위치로 자동복귀시키기 위한 캔슬기구가 구비되어 있으나, 그 캔슬기구에는, 조작레버(3)를 록상태에 고정된 그대로 캠체(14)가 캔슬캠(17)과 계탈(係脫)되는 안전기능이 필요하다.
그러므로 상기한 종래예에 있어서는, 이는 실현하기 위하여 캠판(8)을 비교적 탄발력이 강한 스프링(9)을 거쳐 스위치 구동체(2)에 연결하는 기구를 채용하고 있으나, 스프링(9)의 탄발력을 고정밀도로 관리하는 것은 대단히 곤란하믈, 스프링(9)의 탄발력의 불균일에 의하여 캔슬동작에 지장을 주는 일이 있었다. 즉 예를들면 스프링(9)의 탄발력이 지나치게 강하면 조작레버(3)를 고정시킨채 캔슬동작이 행해질때에, 캠판(8)에 작용하는 캠체(14)의 힘을 스프링(9)으로 흡수할 수가 없어 캠판(8) 또는 캠체(14)에 무리한 힘이 작용하여 이들이 파손될 염려가 있고, 반대로 스프링(9)의 탄발력이 너무 약하면, 캔슬시에도 스프링(9)이 바람직하지 않게 축소되어 캠체(14)의 힘이 스위치 구동체(2)까지 전달되지 아니하여 캔슬동작이 불확실하게 될 염려가 있었다.
또, 이와같이 스프링(9)을 필요로하는 종래의 캔슬기구에 있어서는 많은 부품수가 필요하기 때문에 가격이 비싸지고, 또한 비교적 탄발력이 큰 스프링(9)을 압축상탤 캠판(8)과 스위치구동체(2)사이에 조립하지 않으면 않되기 때문에, 조립작업이 번잡하다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고 확실한 캔슬동작이 실현될수 있음과 동시에, 저렴한 값으로 조립성이 좋은 터언 시그널 스위치의 캔슬기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본 고안의 목적은, 조작레버에 연동하여 회전하는 스위치 구동체와, 그 스위치구동체에 스프링을 개제시켜 설치된 구동체와, 그 구동체와 협동하여 상기 조작레버를 제 1 및 제 2 의 동작위치 및 중립위치의 3위치에 록 가능한 캠체와, 스티어링 축에 설치된 돌기에 의하여 구동되는 캠체를 구비하고, 제1및 제2의 동작위치에 록 된 상기 조작레버를, 상기 캠체에 의하여 중립위치에 자동복귀하도록된 터언 시그널 스위치의 캔슬기구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구동체에 상기 구동체를 상기 스프링에 대항하여 이동가능한 슬라이더를 설치하고, 그 슬라이더가 상기 캠체에 의하여 구동되도록 구성하므로서 달성된다.
즉, 상기와 같은 터언 시그널 스위치와 캔슬 기구에 의하면 캔슬캠의 돌기에 의하여 동작하는 캠체의 힘은 슬라이더를 거쳐 이것과 계합하는 구동체에 전달되기 때문에, 그 구동체와 캠부와의 계합에 의하여 록되어 있는 스위치 구동체 및 조작레버는 확실하게 중립위치에 자동복귀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제 1 도 내지 제 7 도에 따라 설명한다.
제 1 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에에 의한 터언 시그널 스위치 요부의 분해 사시도, 제 2 도는 그 터언 시그널스위치에 구비되는 커버에 캠체에 조립한 상태를 나타낸 이면도, 제 3 도는 그 터언 시그널 스위치를 스티어링 장치에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제 8 도 내지 제 12 도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동일부호로 표시되어 있다. 이들도면에 있어서, 18은 한쌍의 계합구멍(18a)을 가지는 슬라이더이고, 슬라이더(18)는 그 설편(18b)이 스위치 구동체(2)의 요부(2a)내에 들어간 상태에서 스위치 구동체(2)의 상면에 올라놓아져 있다.
슬라이더(18)의 계합구멍(18a)에는 구동체(11)에 돌출설치된 필(23)이 각각 삽입되어있고, 이들핀(23)은 막힌구멍(7)의 상부에 형성된 안내홈(7a)을 따라 이동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들안내홈(7a)은 스위치 구동체(2)와 레버(3)와의 연결부분으로부터 대략 방사상으로 뻗어있고, 한편 슬라이더(18)의 양 계합구멍(18a)은 안내홈(7a)과 일부에서 중접되도록 본 실시에서는 L자 형상을 형성되어 있다.
19는 캠체이고, 이 켐체(19)의 상면에는 전후방향을 소정의 간격을 두고 제1의 돌기(19a)와 제2의 돌기(19b)가 설치되고, 또 하면에는 제1의 돌기(19a)와 동축이되게 계합핀(19c)이 설치되어 있다. 20은 캠체(19)에 삽입되는 가느다란 선형상 스프링, 21은 직선형상의 안내구멍, 22는 부채꼴모양의 대피구멍이고, 이들 안내구멍(21)과 대피구멍(22)은 커버(4)의 상면에 연속되어 천설되어 있다.
제 2 도로부터 명백한 바와같이 캠체(19)의 제 1 의 돌기(19a)는 안내구멍(21)내에, 제2의돌기(19B)는 대피구멍(22)내에 각각 위치하고, 양단을 커버(4)에 계지한 가느다란 선형상 스프링(20)의 탄발력에 의하여, 캠체(19)는 케이스(1)의 전면측을 부세되어 있다.
또한, 기타의 구성은 앞서 설명한 종래의 터언 시그널 스위치와 기본적으로 같으므로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다음에 이 실시예의 동작을 제 3도 내지 제7도에 나타낸 평면도에 따라 설명한다.
먼저, 제3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조작레버(3)가 중립위치에 있는 경우, 캠체(19)는 하면의 계지핀(19c)이 계지캠(5)의 정상부와 당접하기 때문에 가느다란 선형상 스프링(20)에 대항하여 후퇴하고, 스티어링축(16)과 일체로 회전하는 캔슬캠(19)의 양돌기(17a)는 캠체(19)와 맞닿지 않는다. 따라서 이러한 상태에서 스티어링 휘일을 회전시켜도 캠체(19)는 조작되지 않고, 조작레버(3) 및 스위치 구동체(2는, 양구동체(11)가 케이스(1)내벽에 형성된 캠(13)의 골부분에 당접하게 되어 중립위치가 유지된다.
다음에 제 4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조작레버(3)를 중립위치로부터 예를들면 화살표(A)방향을 회동하면, 도면중 위쪽의 구동체(11a)가 스프링(12)에 대항하여 캠(13)의 정상부를 타고넘어 다른쪽의 골부분으로 이행하여, 스위치 구동체(2) 및 조작레버(3)는 해당위치에서 록된다. 또한, 스위치구동체(2)가 이와같이 회동하면 그 스위치 구동체(2)의 아래쪽에 배치한 스위치(도시생략)가 온동작되고 예를들면 좌회전용 깜박이가 점멸한다. 한편, 스위치 구동체(2)가 상기와 같이 회동하면, 스위치 구동체(2)에 설치된 계지캠(5)과 커버(4)에 규제된 캠체(19)와의 상대위치가 변동하기 때문에 캠체(19)의 게지핀(19c)이 계지캠(5)의 정상부로부터 골부분으로 이행하고, 캠체(19)는 가느다란 선형상 스프링(20)(제1도 및 제2도 참조)의 탄발력에 의하여 케이스(1)의 전면측으로 부터 일부가 돌출한다.
또한 이상태에서, 제5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스티어링 축(16)이 조작레버(3)와 동일방향(화살표 A방향)으로 더 회전하면 캔슬캠(17)의 어느 한쪽의 돌기(17a)가 캠체(19)의 돌출부분과 충돌하여 닿게되어 이것을 구동시키거나 이경우, 캠체(1b)는 대피구멍(22)의 도면중 위쪽의 경사면에 따라 각각 이동하기 때문에, 캠체(19)는 슬라이더(18)와 당접하는 일없이 후퇴하고, 스위치 구동체(2) 및 조작레버(3)는 제 4 도에 나타낸 록 상태로 유지된다.
제 4 도에 나타낸 상태로부터 스팅린 휘일이 캐스터 효과에 의하여 원위치로 복귀하면, 즉 제 6 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스티어링축(16)이 화살표(B)방향으로 회전하면 그 리턴 동작중에 캔슬캠(17)의 어느 한쪽의 돌기(17a)가 캠체(19)의 돌출부분과 충돌하여 이것을 구동시킨다. 이경우, 캠체(19)의 제1의 돌기(19a)는 안내구멍(21)을 제2돌기(19b)는 대피구멍(22)의 도면중 아래쪽의 경사면에 따라 각각 이동하기 때문에, 캠체(19)는 슬라이더(18)와 당접되어 이것을 도면에서 아래쪽(화살표 D방향)으로 슬라이드 시킨다. 그리고, 이와같이 슬라이더(18)가 화살표(D)방향을 이동하면, 도면에서 위쪽의 구동체(11a)에 설치된 핀(23)이 슬라이더(18)의 계합구멍(18a)의 단부에 당접하여 이동하기 때문에, 그 구동체(11a)는 스프링(12)에 대항하여 막힌구멍(7)내로 후퇴하고 이에 의하여 구동체(11a)의 선단이 캠(13)으로부터 떨어져나가 스위치 구동체(2) 및 조작레버(3)는 제3도에 나타낸 중립위치로 자동복귀한다. 또, 이 스위치구동체(2)의 복귀에 의하여, 계지핀(19c)은 다시 계지캠(5)의 정상부로 이동하기 때문에, 캠체(19)는 가느다란 선형상 스프링(20)에 대항하여 케이스 내로 들어가고, 캠체(19)와 캔슬캠(17)의 돌기(17a)와의 계합은 해제된다.
한편, 제4도에 나타낸 상태로부터 운전자가 조작레버(3)를 고정한채 스티어링 휘일이 리턴 동작으로 들어가면, 즉, 개스터 효과에 의하여 스티어링축(16)이 제4도에 화살표(B)방향으로 회전하면, 캠체(19)는 캔슬캠(17)의 어느 한쪽의 돌기(17a)에 의하여 먼저 제6도에 나타낸 위치를 이동하여 슬라이더(18)를 화살표(D)방햐응로구동하고, 구동체(11a)가 막힌구멍(7)내로 후퇴한다. 여기서, 스위치구동체(2) 및조작레버(3)는 운전자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캠체(19)의 제 1 및 제2의돌기(19a, 19b)는 안내구멍(21)과 대피구멍(22)의 도면중 아래쪽의 경사면을 각각 따라 제7도에 나타낸 위치까지 후퇴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캔슬 동작중에 도면중 아래쪽의 구동에(11b)에 설치된 핀(23)은, L자 형상의 계합구멍(18)이 안내홈(7a)과 직교하는 부분을 이행하기 때문에 구동체(11b)는 거의 이동하지 아니하며 구동체(11b)의 이동에 기인하는 부할 저감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그리고, 캔스캠(17)의 돌기(17a)가 캠체(19)를 통과하면 캠체(19)는 가느다란 선형상 스프링(20)에 의하여 제4도의 돌출상태로 복귀하고, 또 슬라이더(18와 구동체(11)도 스프링(12)에 의하여 제4도의 상태로 복귀하여 스위치 구동체(2)와 조작레버(3)의 록 상태는 유지된다.
이상은 조작레버(3)를 화살표(A)방향으로 회동시켜 예를들면 좌회전용의 깜빡이르 점멸시키는 경우에 대한 설명이었으나, 조작레버(3)를 이와는 반대로 회동시켜 예를 들면 우회전용의 깜빡이를 점멸시키는 경우는 도면중 아래쪽의 구동체(11b)가 캠(13)을 타고 넘어 록되고, 그후는 상기와 동일한 동작이 행해진다. 단 이경우, 캔슬시의 캠체(19)는, 제1및 제2의돌기(19a, 19b)가 각각 안내구멍(21)과 대피구멍(22)의 도면중 위쪽의 경사면을따라 이동하고, 슬라이더(18)는 화살표(D)와 반대방햐응로 이동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일실시예에서는 캔슬캠(17)에 의하여 구동되는 캠체(19)의 힘을 슬라이더(18)를 거쳐구동체(11)에 직접전달할수가 있기 때문에, 구동체(11)와 캠(13)과의 계탈이 확실하게 행해짐과 동시에, 조작레버(3)를 고정한채 캔슬동작이 행해졌을 경우에는, 캔슬캠(170 및 캠체(19) 혹은 슬라이더 등에 작용하는 부하를 스프링(12)이 축소되므로서 흡수할 수있고 확실한 캔슬동작을 실현할 수 있다. 또, 슬라이더(18)와 구동체(11) 및 스프링(12)을 각각 스위치 구동에(2) 블럭화한 상태를 이들을 케이스(1)에 조립하여 넣을수가 있기 때문에, 조립작업중에 구동체(11)가 탈락되는 것을 방지할수가 있다.
또, 조작레버(3)를 고정한채 캔슬동작이 행해질때, 캠체(19)는 제1의돌기(19a)가 안내구멍(21)을 제2의 돌기(19b)가 대피구멍(22)의 어느한쪽의 경사면을 각각 이동하기 때문에, 이 경우의 슬라이더(18)의 이동량을 억제할수가 있고 캔슬캠(17) 및 캠체(19) 혹은 슬라이더(18)등에 작용하는 부하를 저감할수가 있다. 또한, 이와같이 캠체(19)의 이동 범위가 종래에 비하여 작기 때문에, 캠체(19)를 부시하는 탄성수단으로서 저렴한 값의 가느다란 선형상 스프링(29)을 사용할수가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본고안에 의하면 캠체에 연동하여 구동되는 슬라이더에 의하여 구동체를 동작 시키도록 하였기 때문에, 캔슬동작이 확실하고, 값이싸고 또한 조립작업성이 좋은 터언 시그널 스위치의 캔슬기구를 제공할수가 있다.

Claims (1)

  1. 조작레버에 연동하여 회전하는 스위치 구동체와, 그 스위치 구동체에 스프링을 개재시켜 설치된 구동체와, 그 구동체와 협동하여 상기 조작레버를 제1 및 제2의 동작위치 및 중립위치의 3위치에 록 가능한 캠부와, 스티어링축에 설치된 돌기에 의하여 구동되는 캠체등을 구비하고, 제1 및 제2의 동작위치에 록된 상기 조작레버를 상기 캠체에 의하여 중립위치로 자동복귀 되도록한 터언 시그널 스위치의 캔슬기구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구동체에 상기 구동체를 상기 스프링에 대항하여 이동 가능한 슬라이더를 설치하고, 그 슬라이더가 상기 캠체에 의하여 구동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언 시그널 스위치의 캔슬기구.
KR2019870003306U 1986-06-16 1987-03-16 터언 시그널 스위치의 캔슬 기구 KR900002523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6-90550 1986-06-16
JP1986090550U JPH079310Y2 (ja) 1986-06-16 1986-06-16 タ−ンシグナルスイツチのキヤンセル機構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1318U KR880001318U (ko) 1988-03-15
KR900002523Y1 true KR900002523Y1 (ko) 1990-03-30

Family

ID=140015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70003306U KR900002523Y1 (ko) 1986-06-16 1987-03-16 터언 시그널 스위치의 캔슬 기구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4739131A (ko)
JP (1) JPH079310Y2 (ko)
KR (1) KR900002523Y1 (ko)
DE (1) DE371035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615034A1 (fr) * 1987-05-07 1988-11-10 Jaeger Commutateur electrique pour l'alimentation des indicateurs de changement de direction d'un vehicule automobile
JPH048033Y2 (ko) * 1987-08-12 1992-03-02
US4855543A (en) * 1988-09-23 1989-08-08 Emhart Industries, Inc. Manually operated electromechanical switch
JPH0621789Y2 (ja) * 1989-02-22 1994-06-08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ターンシグナルスイッチのセルフキャンセル装置
JPH086672Y2 (ja) * 1990-03-29 1996-02-28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の回動伝達装置
US5313028A (en) * 1992-07-02 1994-05-17 Itt Corporation Turn signal cancel mechanism
US5385067A (en) * 1993-09-13 1995-01-31 United Technologies Automotive, Inc. Turn signal cancellation mechanism
US5744769A (en) * 1993-09-13 1998-04-28 United Technologies Automotive, Inc. Electrical switch for use in an automotive vehicle
US5575177A (en) * 1993-09-13 1996-11-19 United Technologies Automotive, Inc. Turn signal cancellation mechanism
JP2585025Y2 (ja) * 1993-09-28 1998-11-11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ターンシグナルのキャンセル装置
JPH10203234A (ja) * 1997-01-20 1998-08-04 Tokai Rika Co Ltd ターンシグナルキャンセル機構
FR2758652B1 (fr) * 1997-01-23 1999-04-09 Magneti Marelli France Commutateur indexe pour clignotants, avec indexage perfectionne
FR2780925B1 (fr) * 1998-07-13 2000-09-29 Valeo Electronique Commutateur de clignotants avec un dispositif de rappel a echappement
FR2783347B1 (fr) 1998-09-16 2001-08-17 Sc2N Sa Commutateur electrique pour l'alimentation des indicateurs de changement de direction d'un vehicule automobile
JP3854427B2 (ja) * 1999-06-16 2006-12-06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ターンシグナルスイッチ装置
JP4139027B2 (ja) * 1999-11-18 2008-08-27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ターンシグナルのキャンセル装置
DE10037586C2 (de) * 2000-08-02 2003-06-18 Valeo Schalter & Sensoren Gmbh Rückstellvorrichtung für einen Blinkerschalter in Kraftfahrzeugen
FR2873966B1 (fr) * 2004-08-04 2007-01-12 Sc2N Sa Systeme de retour automatique d'indicateur de changement de direction bas cout
JP2008162591A (ja) * 2008-03-28 2008-07-17 Tokai Rika Co Ltd 車両用方向指示装置
JP5138022B2 (ja) * 2010-11-18 2013-02-06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キャンセルカム構造及び回転コネクタ装置
JP6786357B2 (ja) * 2016-10-31 2020-11-18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方向指示機構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14566A (en) * 1973-01-12 1975-10-21 Int Harvester Co Turn signal and hazard warning switch
GB1508427A (en) * 1974-07-17 1978-04-26 Lucas Electrical Ltd Direction indicator switch
JPS58176039U (ja) * 1982-05-20 1983-11-25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タ−ンシグナルのセルフキヤンセル装置
JPS6139648U (ja) * 1984-08-16 1986-03-13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車両用方向指示操作レバ−の戻し装置
JPS62137244A (ja) * 1985-12-11 1987-06-20 Toyo Denso Co Ltd 車両用タ−ンシグナルのオ−トリタ−ン装置
JPS62137243A (ja) * 1985-12-11 1987-06-20 Toyo Denso Co Ltd 車両用タ−ンシグナルのオ−トリタ−ン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3710356C2 (ko) 1989-03-30
JPS62202714U (ko) 1987-12-24
DE3710356A1 (de) 1988-01-07
US4739131A (en) 1988-04-19
KR880001318U (ko) 1988-03-15
JPH079310Y2 (ja) 1995-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00002523Y1 (ko) 터언 시그널 스위치의 캔슬 기구
CA2309067C (en) Shift mechanism for motor vehicle transmissions
US4854193A (en) Key interlock system for automatic floor mounted transmission shifter
JP3495259B2 (ja) 車両用レバースイッチの構造
JPH01257630A (ja) 自動変速機の操作装置
US5385067A (en) Turn signal cancellation mechanism
EP1764812B1 (en) In-vehicle knob switch device
US6194676B1 (en) Turn signal switch device
US6781072B2 (en) Construction of on-vehicle lever switch
DE10233956A1 (de) Multifunktions-Hebelschalter
EP0865966B1 (en) Turn signal switch
DE202013011683U1 (de) Kfz-Lenkstockschalter
US5216399A (en) Automatic cancelling device for blinkers
US6186022B1 (en) Turn signal cancellation mechanism
WO2003012809A1 (de) Sicherheitsschalteinrichtung für elektrisch gesteuerte maschinen
US5555973A (en) Slide switch device
JP4229503B2 (ja) 車両用自動変速機の変速操作装置
JP4139317B2 (ja) 車両用方向指示装置
EP0778176B1 (en) Cancellation device for turn signal switch
JPH0322035Y2 (ko)
KR950010653Y1 (ko) 오토 리버스 데크의 레코드 선택장치
JP4284121B2 (ja) ターンシグナルスイッチ装置
RU2083387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дистанционного управления многоступенчатой передачей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JPH0326603Y2 (ko)
JPH0233533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3031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