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10653Y1 - 오토 리버스 데크의 레코드 선택장치 - Google Patents

오토 리버스 데크의 레코드 선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10653Y1
KR950010653Y1 KR2019890020584U KR890020584U KR950010653Y1 KR 950010653 Y1 KR950010653 Y1 KR 950010653Y1 KR 2019890020584 U KR2019890020584 U KR 2019890020584U KR 890020584 U KR890020584 U KR 890020584U KR 950010653 Y1 KR950010653 Y1 KR 95001065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ord
deck
arm
cam follower
sel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9002058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12565U (ko
Inventor
배은섭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 주식회사
서주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 주식회사, 서주인 filed Critical 삼성전기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90020584U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10653Y1/ko
Publication of KR91001256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1256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1065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0653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18Driving; Starting; Stopping; Arrangements fo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G11B15/44Speed-changing arrangements; Reversing arrangements; Drive transfer means therefor
    • G11B15/444Speed-changing arrangements; Reversing arrangements; Drive transfer means therefor reversing arrangemen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90Tape-like record carriers

Landscapes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오토 리버스 데크의 레코드 선택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레코드 선택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제2도는 본 고안의 디렉션(Direction)슬라이드 플레이트의 이동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a)는 포터(Forward)모드 상태도.
b)는 리버스(Reverse)모드 상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레코드 선택 아암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a)는 포드모드 상태도이고,
b)는 리버스모드 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대크 4 : 선택기어
6 : 켐플로워 7 : 구동기어
8 : 홈 9 : 디렉션슬라이드플레이트
12,13 : 제1,제2경사턱 14,15,19 : 제1,2,3밴딩돌기
16 : 레코드모드 아암 18,22 : 가이드공
24 : 레코드셀렉션아암
본 고안의 오토리버스 데크의 레코드 선택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테이프의 A면 또는 B면에 대한 녹음 여부를 선택 결정하도록한 오토리버스 데크의 레코드 선택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오토 리버스 데크의 레코드 선택장치는 구동모터와, 이 구동모터에 의해 연동하는 다수개의 레버와 링크들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매우 복잡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간단한 구성으로 녹음 여부를 선탤 결정할 수 있는 오토리버스 데크의 레코드 선택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구동모터와 치합되며 중심축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되는 위치에 캠프로워가 형성된 선택기어와, 상기한 캠플로워가 위치되는 홈이 형성되고 일측에 제1 및 제2경사턱이 형성되어 데크상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는 디렉션 슬라이드 플레이트와, 상기한 제1 및 제2경사턱에 접촉되는 제1 및 제2밴딩돌기와 데크상에 뚫려진 안내공에 삽입되는 제3밴딩돌기를 보유하는 레코드 모드아암과, 상기한 데렉션 슬라이드 플레이트와 함께 연동하고 양측단에 밴딩 형성된 절곡부를 보유하는 리벼스 레코드 세이크티바와, 상기한 제3밴딩돌기가 위치되는 가이드공이 뚫려지고 푸셔가 형성되는 데크상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레코드 선택 아암으로 구성되는 오토리버스 데크의 레코드 선택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본 고안의 레코드 선택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부호(1)는 데크를 나타낸다.
데크(1)에는 포드(Forward) 및 리버스(Reverse)인식 프로텍션 레버(2)(2')가 축(3)(3')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이 프로텍션 레버(2)(2')의 중간지점에는 선택기어(4)가 중심축(5)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선택기어(4)의 중심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된 위치에는 캠플로워(6)이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외부의 대향위치에는 정지부(4a)(4b)가 형성되어 있다. 이 선택기어(4)의 외주에는 구동기어(7)가 치합 가능한 상태로 설치되어 있으며, 기어(4)에는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수개의 캠(C)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캠플로워(6)이 위치되는 홈(8)이 형성된 디렉션 슬라이드 플레이트(9)는 데크(1)상에 형성된 안내돌기(10)이 삽입되는 안내공(11)이 뚫려 있으며, 일측단에는 제1 경사턱(12)와 제2경사턱(13)이 데크(1)과 평행한 상태로 연장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한 제1경사턱(12)와 제2경사턱(13)에 접촉되는 제1밴딩돌기(14)와 제 2밴딩돌기(15)를 보유하는 레코드 모드 아암(16)이 축(17)로 데크(1)상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데크(1)에 뚫려진 가이드공(18)에 위치되는 제3밴딩돌기(19)가 또한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데크(1)상에는 스프링(20)으로 탄력 설치된 리버스 레코드 세이크티바아(21)이 슬라이드 가능하게 되어 있다.
한편 상기한 레코드 모드 아암(16)의 제3밴딩돌기(19)가 삽입 위치하는 가이드공(22)이 뚫려지고, 푸셔(23)가 형성된 레코드 셀렉션 아암(24)는 축(25)에 의해 데크(1)상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도면중 미설명부호 26은 레코드 레버를 지칭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레코드 선택장치는 구동기어(7)이 회전하게 되면 이와 치함되는 상태가 되면서 선택기어(4)가 회전하게 된다.
선택기어(4)의 회전은 제2a, 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렉션 슬라이드 플레이트(9)를 좌우로 이동시키게 된다.
즉, 제2a도의 상태는 FWD모드의 상태로서, 이 상태는 선택기어(4)가 회전함에 따라 캠플로워(6)이 몸(8)의 좌측면에 접촉되어 디렉션 슬라이드 플레이트(9)를 좌측으로 이동시킨 상태이다.
이와 같이 디렉션 슬라이드 플레이트(9)가 좌측으로 이동하게 되면 제1경사턱(12)이 함께 이동하면서 레코드 모드 아암(16)의 제1밴딩돌기(14)를 밀어 레코드 모드 아암(16)은 축(17)을 중심으로 도면에서 보아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러한 회전으로 제3밴딩돌기(19)도 함께 회전하여 가이드공(18)의 윗부분에 위치하게 된다.
레코드 모드 아암(16)의 제3밴딩돌기(19)가 가이드공(18)의 윗부분에 위치할때 제3a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레코드 셀렉션 아암(24)의 가이드공(22)를 따라 이동하게 되므로 레코드 셀렉션 아암(24)는 축(25)를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푸셔(23)가 포드 인식프로 텍션 레버(2)의 끝단부에 위치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포드 인식 프로텍션 레버(2)의 오픈 또는 클로스 여부에 따라 레코드 레버(26)에 의해 녹음 세이프티가 결정된다.
상기한 작용 설명은 포드 모드에서의 녹음 세잇프티 결정상태를 설명한 것이고, 이하에 리버스 모드에서의 녹음세이프티 결정 상태를 설명한다.
제2a도의 상태에서 선택기어(14)가 회전하게 되면 캠플로워(6)이 홈(8)의 우측면에 접촉되면서 회전하게 되므로, 디렉션 슬라이드 플레이트(9)는 우측으로 이동되어 제2b도의 상태로 된다.
이러한 상태로 되면서 디렉션 슬라이드 플레이트(9)가 우측으로 이동할때 제 2경사턱(13)에 의해 레코드 모드 아암(16)의 제2밴딩돌기(15)가 밀려나게 되므로 레코드 모드 아암(16)은 도면에서 보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레코드 모드 아암(16)의 제3밴딩돌기(19)가 데크(1)에 뚫려진 가이드공(18)을 따라 아래쪽으로 내려오게 되는데, 이때 제3밴딩돌기(19)가 레코드 셀력션 아암(24)을 따라 아래쪽으로 내려오게 되므로 축(25)를 중심으로 레코드 셀력션 아암(24)는 반시계 방향의 회전을 하여 제3b도의 상태로 된다.
이러한 상태가 리버스 모드 상태로서 리버스 인식 프로텍션 레버(3)의 오픈 또는 클로스 여부에 따라 레코드 레버(26)에 의해 녹음 세이프티가 결정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레코드 선택장치는 선택기어의 회전에 따른 캠플로워의 위치 변화에 따라 디렉션 슬라이드 플래이트의 위치가 포드 또는 리버스로 결정됨과 아울러 이 디렉션 슬라이드 플레이트의 제1 및 제2경사턱에 의해 레코드 모드 아암의 위치가 결정되고, 이때의 레코드 모드 아암 위치에 따라 레코드 셀력션 아암의 위치가 포드 또는 리버스로 정해지는 구성으로서, 구조가 간단하고 동력전달이 확실하며, 레코드 선택을 정확히 할 수 있다.

Claims (1)

  1. 구동기어(7)과 치합되어 회전하며 캠플로워(6)이 편심설치된 선택기어(4)와 상시한 캠플로워(6)이 위치되는 홈(8)이 형성되고 일측에 제1 및 제2 경사턱(12)(13)이 형성되어 캠플로워(6)의 위치에 따라 좌우 이동하는 디렉션 슬라이드 플레이트(9)와, 상기한 제1및 제2경사턱(12)(13)에 접촉되는 제1 및 제2밴딩돌기(14)(15)와 데크(1)상에 형성된 가이드공(18)에 삽입되는 제3밴딩돌기(19)를 보유하며 축(17)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레코드 모드 아암(16)과, 상기한 제3벤딩돌기(19)가 위치되는 가이드공(22)가 뚫려지고 푸셔(23)이 형성되어 축(25)를 중심으로 레코드 모드 아암(16)에 의해 연동하는 레코드 셀렉션 아암(24)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리버스 데크의 레코드 선택장치.
KR2019890020584U 1989-12-29 1989-12-29 오토 리버스 데크의 레코드 선택장치 KR95001065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20584U KR950010653Y1 (ko) 1989-12-29 1989-12-29 오토 리버스 데크의 레코드 선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20584U KR950010653Y1 (ko) 1989-12-29 1989-12-29 오토 리버스 데크의 레코드 선택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2565U KR910012565U (ko) 1991-07-30
KR950010653Y1 true KR950010653Y1 (ko) 1995-12-23

Family

ID=192946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90020584U KR950010653Y1 (ko) 1989-12-29 1989-12-29 오토 리버스 데크의 레코드 선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10653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2565U (ko) 1991-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54193A (en) Key interlock system for automatic floor mounted transmission shifter
KR900002523Y1 (ko) 터언 시그널 스위치의 캔슬 기구
US20040035235A1 (en) Rack-and-pinion gear mechanism
KR950010653Y1 (ko) 오토 리버스 데크의 레코드 선택장치
EP0865966B1 (en) Turn signal switch
EP0173853B1 (en) Gear mechanism
US6660951B2 (en) Canceling structure of combination switch
US4778955A (en) Limit switch assembly
US4614009A (en) Locking member for an open roof construction for a vehicle
EP1074987B1 (en) Apparatus for transferring a movable body
JP4139317B2 (ja) 車両用方向指示装置
KR940007538Y1 (ko)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의 모드 인식 장치
JP2649800B2 (ja) 磁気デイスクドライブのヘツド送り機構
KR940004374Y1 (ko) 테이프레코더의 자동반전시 플레이 안전장치
KR890000155Y1 (ko) 슬라이딩 플레이트를 이용한 로우딩기어 및 핀치로울러 구동장치
US5880903A (en) Cassette loading device in a video cassette recorder using a pressing member having a gear structure
KR100418673B1 (ko) 자동 변속기의 쉬프트 레버 로킹 장치
US5621585A (en) Reel brake device operated by a tape loading mechanism of magnetic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KR950002681Y1 (ko) 테이프레코더의 헤드 절환장치
KR920004423Y1 (ko) 브이티알의 카세트 하우징 및 핀치아암 구동장치
KR900005915Y1 (ko) 레버를 이용한 광디스크 로딩 및 클램핑 장치
KR920002426Y1 (ko) 톤암의 이동위치 선택장치
KR0118434Y1 (ko) 자동변속기의 회전식 변속레버장치
KR900003679Y1 (ko) 브이티알의 로오딩 스위치 동작장치
KR930002358Y1 (ko) 테이프 구동장치의 주행방향 전환 조작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101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