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2358Y1 - 테이프 구동장치의 주행방향 전환 조작기구 - Google Patents

테이프 구동장치의 주행방향 전환 조작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2358Y1
KR930002358Y1 KR2019890013351U KR890013351U KR930002358Y1 KR 930002358 Y1 KR930002358 Y1 KR 930002358Y1 KR 2019890013351 U KR2019890013351 U KR 2019890013351U KR 890013351 U KR890013351 U KR 890013351U KR 930002358 Y1 KR930002358 Y1 KR 93000235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caught
cam
drive gear
t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9001335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18046U (ko
Inventor
도시오 요시무라
Original Assignee
다나신 덴기 가부시끼 가이샤
다나까 신사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2019890002797U external-priority patent/KR920008563Y1/ko
Priority claimed from JP1989050408U external-priority patent/JPH02105248U/ja
Application filed by 다나신 덴기 가부시끼 가이샤, 다나까 신사꾸 filed Critical 다나신 덴기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to KR2019890013351U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2358Y1/ko
Publication of KR90001804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804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235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2358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18Driving; Starting; Stopping; Arrangements fo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G11B15/44Speed-changing arrangements; Reversing arrangements; Drive transfer means therefor
    • G11B15/444Speed-changing arrangements; Reversing arrangements; Drive transfer means therefor reversing arrangemen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18Driving; Starting; Stopping; Arrangements fo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G11B15/44Speed-changing arrangements; Reversing arrangements; Drive transfer means therefor
    • G11B15/442Control thereof

Landscapes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테이프 구동장치의 주행방향 전환 조작기구
제1도는 본 고안의 테이프 구동장치의 주행방향 전환 조작기구를 구비한 테이프 레코더장치의 정지상태의 평면도.
제2도는 제1도에 도시한 테이프 구동장치의 주행방향 전환 조작기구 부분의 확대평면도.
제3도 및 제4도는 종래의 테이프 구동장치의 주행방향 전환조작기구의 평면도.
제5도는 본 고안의 특징부분인 피걸림부를 설치한 캠부 및 보조피걸림부를 구비한 구동기어와 걸림레버(걸림톱)과의 관계를 도시적으로 도시한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4 : 구동기어 48 : 캠
48a, 48b : 피걸리부 49 : 걸림레버
55a, 55b : 보조피걸림부
본 고안은 테이프 주행방향을 전환할때 어떠한 조작상황하에 있어서도 복수회에 걸쳐서 연속전환이 되는 일이 없도록 간단한 구성으로 오동작 방지의 대책을 강구한 테이프 구동장치의 주행방향 전환조자기구에 관한 것이다.
소위 오토리버스 장치 부설의 테이프 구동장치에서는 수동조작에 의하여서도 테이프의 주행방향을 전환할 수가 있는 주행방향 전환 조작기구가 설치되어 있다.
제3도 및 제4도는 종래기구의 일예(특공소 63-14415호 공보)를 도시한 것으로서, 2개의 피걸림부(1a,1b)를 설치한 캠부(2)를 가진 구동기어(3)의 일방의 피걸림부(1a)에 회동가능한 제1의 걸림레버(4)의 걸림톱(걸림쇠 5)를 스프링(6)에 의하여 항시 걸리게 하고 있다.
또한, 캠부(2)를 끼워 걸림레버(4)와 반대측 위치에는 회동가능한 제2의 걸림레버(7)가 배치되고, 이 제2의 걸림레버(7)도 스프링(8)에 의하여 항상 캠부(2) 방향에 탄성지지되어 있다.
테이프의 주행방향을 수동으로 전환하기 위한 전환조작레버(9)에는 제1, 제2톱부(10, 11)가 설치되고 제2톱부(11)에서 제2의 걸림레버(7)의 캠부(2)의 방향으로의 회동을 금지하고 있다.
구동기어(3)의 편심위치에는 핀(12)이 돌설되고 이 핀(12)에 슬라이드판(13의 장홈(14)을 걸어맞추고 있다.
한쌍의 릴 받이기어(15a, 15b)간에는 중간기어(16a, 16b)가 배치되어 있다. 각 중간기어(16a, 16b)는 상호 교합하고 있는 한쌍의 전달기어(17a, 17b)의 각각에 맞물리고 다시 각 릴받이기어(15a, 15b) 방향에 스르링(18)으로 탄정지지 되어 있다. 그리고 슬라이드판(13)에 의하여 일방의 중간기어(16d)를 일방의 릴받이(15a)에서 이간시키고, 또는 타방의 중간기어(16b)를 타방의 릴받이기어(15b)에서 이간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더우기, 슬라이드판(13)은, 핀(12)과 장홈(14)과의 걸어맞춤에 의하여 구동기어(3)가 반회전할때마다 좌방향, 또는 우방향에 슬라이드 동작하여 모터(16b)를 통하여 일방의 릴받이기어(15a)에서 타방 릴받이 기어(15b)에서, 또는 그 반대로 전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동기어(3)는 한쌍의 결치부(19a, 19b)를 가지고, 보통은 어딘가의 일방의 결치부(제3도에서는 19a)를 일방의 전달기어(17a)와 일체의 소기어(20)에 대향시키고 있다. 그리고 구동기어(3)는 핀(12)과 장홈(14)과의 걸어맞춤에 의하여 일방향으로의 회전력이 부가되어 있지만, 제1의 걸림레버(4)에 의하여 그 회전이 금지되고 있는 것이다.
그리하여, 테이프의 주행방향을 전환하고져 할 때는 전환조작레버(9)를 압입하면 된다. 그리하면 우선 제2의 걸림레버(7)가 전환조작레버(9)에 추종하여 캠부(2)에 선단부분을 맞붙게 하고, 계속하여 전환조작레버(9)의 제1톱부(10)로 제1의 걸림레버(4)를 캠부(2)에서 이간되는 방향으로 회동시킨다.
이겅에 의하여 제1의 걸림레버(4)의 걸림톱(5)이 제4도와 같이 캠부(2)의 제1의 피걸림부(1a)에서 벗어나면 구동기어(3)가 약간 회전하여 소기어(20)에 맞물린다. 그리하여 도시없는 모터의 회전력이 소기어(20)를 통하여 구동기어(3)에 전달되고, 구동기어(3)의 반회전에 의하여 슬라이드판(13)이 슬라이드 동작하여 테이프의 주행방향이 전환한다.
이때, 전환조작레버(9)를 계속 밀고 있으면, 제1의 걸림레버(4)의 걸림톱(5)은 어느 쪽의 피걸림부(1a, 1b)에서도 벗어난 상태에서 구동기어(3)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기능을 상실하고 있지만, 그 때는 제1의 피걸림부(1a)가 제2의 걸림레버(7)에 당접하고 있으므로 구동기어(3)가 회전을 계속하는 폐단은 없다.
이와같이 종래 기구에서는 어떠한 조작이 이루어지더라도 테이프의 주행방향이 복수회에 걸쳐서 연속적으로 전환되어 버리는 오동작을, 제2의 걸림레버(7)를 설치하므로서 방지하였다.
종래 기구에서는 제1의 걸림레버(4)와는 별도로 제2의 걸림레버(7)를 설치하므로서, 어떠한 조작이 되더라도 테이프의 주행방향이 연속적으로 전환되는 오동작을 방지하고 있지만, 이 구성에서는 제1, 제2의 걸림레버(4, 7)의 동작타이밍을 고정밀도로 설정하는 것이 필요하기 때문에 각 부품의 사이즈의 정밀도는 물론이요 부품 상호간의 착설위치 관계도 지극히 고정밀도로 설정하지 않으면 안되었다.
그 결과 특히 조립공정에 있어서 저코스트와를 도모하기 어려웠고 더우기 제2의 걸림레버(7)을 별도로 설치하여야만 하는 점에서도 저코스트화가 곤란하였다.
본 고안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조립 정밀도를 그다지 고도로 힘이 없이 더구나 간단한 구성으로 어떠한 조작상황하에 있어서도 오동작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고, 저코스트화를 도모할 수 있는 테이프 구동장치의 주행방향 전환조작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은 상호 180° 이격시킨 2개의 피걸림부를 설치한 캠부를 구비하여 테이프 주행방향의 전환에 관여하는 구동기의 회전을 회동자재하게 설치시킨 걸림레버의 걸림톱에 의해 상기 일방의 피걸림부로의 걸림과 그 해제에 의해 제어하는 테이프 구동장치의 주행방향전환조작 기주에 있어서, 상기 구동기어의 상기 피 걸림부의 근방위치에 피걸림부에서 빠진 걸림톱과 걸어맞춰지는 보조피걸림부를 180° 회전한때 통상은 회동복귀하고 있는 걸림레버의 걸림톱에 타방의 피걸림부가 걸리게 하는 것으로 상기 구동기어의 회전이 저지되는데, 상기 걸림레버의 회동복귀가 지연된 경우에는 상기 걸림톱에 보조피걸림부가 걸려져 구동기어의 회전이 저지된다.
이 결과, 구동기어의 피걸림부의 근방에 보조피걸림부를 설치하는 간단한 구성으로, 구동기의 180°씩의 회전동작의 확실화를 기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의 테이프 구동장치의 주행방향 전환 조작기구를 구비한 테이프 레코더장치의 정지상태의 평면도이고, 동 도면 중 21은 기판으로서, 그 상면은 테이프 구동용 모터(22)와 각 한쌍의 릴 받이(23a, 23b) 및 캡스턴축(24a, 24b)이 각각 배치되어 있다. 테이프 구동용 모터(22)의 회전력은 기어식 회전전달기구(25)를 통하여 각 릴받이(23a, 23b)에, 벨트식 회전전달기구(도시생략)을 통하여 각 캡스턴 축(24a, 24b)에 각각 전달된다.
기어식 회전전달기구(25)는 테이프 구동용 모터(22)의 회전축에 고정된 제1기어(26)와, 이 제1기어(26)와 맞물리는 제2기어(27)와, 이 제2기어(27)와 동축 일체회전하는 제3기어(28)와, 이 제3기어(28)와 맞물리는 제4기어(29)와, 이 제4기어(29)와 맞물리는 제5기어(30)와, 이 제5기어(30)와 맞물리는 제7기어(32)와, 각 릴받이(23a, 23b)와 동축일체 회전하는 저속회전용 릴기어(34a, 34b) 및 고속회전용 릴기어(35a, 35b)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플레이 조작시, 제8시기어(32)와 일방(제1도에서 하방)의 릴받이(32a)측의 저속회전용 릴기어(34a)가 후술하는 저속회전용 전환기어(40)를 통하여 맞물리는 상태 및 제6기어(31)와 타방(제1도 증상방)를 통하여 맞물리는 상태로 택일적으로 전환되고, 각 릴받이(23a, 23b)기 저속(통상속도)으로 회전되도록 되어 있다.
또 빠른 이송(F. F) 조작시 또는 되감기(REW)조작시, 제7기어(32)와 일방의 릴받이(23a) 측의 고속회전용 릴 기어(35a)가 고속회전용 전환기어(도시생략)를 통하여 맞물린상태 및 제5기어(30)와 타방의 릴받이(23b)측의 고속회전용 릴기어(35b)가 상기 고속회전용 전환기어를 통재하여 맞물리는 상태로 택일적으로 전환하고, 각 릴 받이(23a)(23b)가 고속으로 회전되게 되어 있다.
기판(21)의 상면에는 헤드찰설판(36)이 화살표 A, B방향(제1도에서 좌우방향))에 이동가능하게 장착되어 있으며, 헤드착설판(36)의 기단측(제1도에서 우단측) 상면에는 자기헤드(37)가 착설되어 있다. 이 자기헤드(37)는 플레이 조작시 헤드착설판(36)이 활살표 A방향으로 이동하여 플레이 위치에 도달하므로서, 도시하지 않은 테이프 카세트의 테이프에 접촉한다.
헤드착설판(36)은 제1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헤드 복귀용 스프링(38)에 의하여 자기헤드(37)가 테이프에서 이간되는 방향, 측 화살표 B방향으로 탄성지지되어 있다. 헤드착설판(36)의 선단측(제1도중 좌단측) 하면에는 제1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지지부재(39)를 통하여 저속회전용 전환기어(40)가 회전가능하고, 헤드착설판(36)의 이동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제1도에서 화살표 C, D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지지부재(39)는 합성수지제이며, 판형태의 본체(39a)의 중앙상면에 단축(短軸) 원통부(39b)를 일체로 돌설함과 함께, 이 원통부(39b)의 외주면 양측부(제1도에서 상하측부)에 가는 지각(支脚)편(39c)(39d)를 일체로 돌설하고, 또한 원통부(39b)의 외주면 일측부(제1도중 좌측부)에 발탈(拔脫) 방지편(39e)을 일체로 돌설하여서 된 것이다. 그리고, 원통부(39b)가 헤드착설판(36)의 제1의 장공(長孔:36a)에, 또 지각편(39c)(39d)의 선단이 헤드착설판(36)의 제2 제3의 장공(36b, 36c)에 이동가능하게 각각 끼워맞추게 있다.
본체(39a)와 발탈방지편(39e)으로 헤드착설판(36)의 일부가 끼워둔 상태에 있고, 발탈 방지편(39e)은 지각편(39c, 39d)과 함께 헤드착설판(36)의 상면측에 위치하여 이동플레이트(41)의 가이드공(42)내에 다다르게 하고 있다.
이동 플레이트(41)는 기판(21)의 상면에 헤드착설판(36)의 이동방향과 직교하는 방향(화살표 C, D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이동플레이트(41)에 설치된 계합공(43)내에는 걸치기어로된 구동기어(44)의 상면에 편심하여 돌설된 계합핀(45)이 걸어맞춰져 있다.
구동기어(44)는 주위방향에 180° 편위하여 2개의 결치부(44a, 44b)를 형성하여서 된 것으로서, 기판(21)의 하면에 회전가능하게 축지되어 있다. 구동기어(44)는 제1의 캠기어(46) 후술하는 걸림레버(49)에 의해 결치부(44a) 또는 (44b)를 대치하도록 걸리며 걸림레버의 걸림해제로 제1의 캠기어에 맞물리는 것이다. 이 제1의 캠기어(46)는 기어식 회전전달기구(25)의 제4기어(29)와 동축일체 회전가능한 소경기어(47)에 맞물려 있다.
그리고 구동기어(44)가 초기상태 (제1도의 상태)에서 시계방향으로 약 180°회전하므로서 이동플레이트(41)가 화살표 D방향으로 이동하고, 다시 구동기어(44)가 시계방향으로 대략 180°회전하므로서 이동플레이트(41)가 화살표 C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동플레이트(41)가 초기상태 (제1도의 상태)에 있어서 헤드착설판(36)이 화살표 A방향으로 이동하여 플레이 위치에 도달하는데 따라, 지지부재(39)의 지각편(39c)의 선단이 이동플레이트(41)의 가이드공(42)의 경사연부(42a)에서 가이드연부(42b)에 겊쳐서 미끄럼 접합하므로서, 이 지지부재(39)와 일체로 저속회전용 전환기어(40)가 화살표 C방향에 이동하여 이 기어(40)가 기어식 회전전달기구(25)의 제6기어 (31)와 타방이 릴 받이(23b)측의 저속회전용 릴기어(34b)와에 맞물린다.
또 이동플레이트(41)가 화살표 D방향으로 이동된 위치에 있을 때는 헤드착설판(36)이 플레이위치를 향하여 이동함에 따라 지지부재(36)의 지각편(39d)의 선단이 이동플레이트(41)의 가이드공(42)의 경사연부(42c)에서 가이드연부(42d)에 걸쳐서 미끄럼접합 하므로서 이 지지부재(39)와 일체로 저속회전용 전환기어(40)가 화살표 D방향으로 이동하여 이 기어(40)가 기어식 회전전달기구(25)의 제8기어(33)와 일방의 릴받이(23a)측의 저속회전용 릴기어(34a)에 맞물린다.
헤드착설판(36)이 화살표 A방향으로 이동하여 플레이 위치에 있을 때, 이동플레이트(41)가 일방향 (화살표C방향)으로 이동하면, 도시하진 않은 일방의 핀치롤러가 일방의 캡스턴축(24a)에서 이간하고, 도시하지 않은 타방의 핀치롤러가 타방의 캡스턴 축(24b)에 압착한다. 또 헤드착설판(36)이 플레이 위치에 있어, 이동플레이트(41)가 타방향 (화살표 D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일방의 핀치롤러가 일방의 캡스턴축(24a)에 압착하고, 상기 타방의 핀치롤러가 타방의 캡스턴축(24b)에서 이간한다.
구동기어(44)의 하면에는 제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180° 편위한 위치에 피걸림부(48a,48b)를 가진 캠부(48)가 설치되어 있다. 이 피걸림부(48a,48b)에 걸림레버(49)의 일단의 걸림톱(49a)이 택일적으로 맞붙고, 이 맞붙음에 의해 결치부(44a) 또는 (44b)가 제1의 캠기어에 대치하여 구동기어(44)의 회전이 저지된다.
걸림레버(49)는 그 대략 중간부가 착설축(50)에 의하여 기판(21)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걸림레버(49)의 타단은 트리거 아암(제1도 참조, 51)을 통하여 가동판(52)에 걸어맞춰져 있다. 이 가동판(52)은 헤드착설판(36)과 동일방향 (화살표 A, B방향)으로 슬라이드 하는 것으로서, 이 젝트용 전자석(53)의 프런져(53a)에 연결되어 있다.
이 이젝트용 전자석(53)은 기판(21)의 상면에 설치되어 있으며, 그리고 이젝트용 전자석(53)을 온하면 상기 프런져(53a)와 일체로 가동판(52)이 화살표 B방향으로 이동하므로서 트리거아암(51)을 통하여 걸림레버(49)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하고, 그 걸림톱(49a)이 구동기어(44의 캠부(48)의 피걸림부(48) 또는 48b)에서 벗어나서 이 구동기어(44)에 대한 회전규제가 해제된다. 가동판(52)은 복귀스프링(54)에 의하여 화살표 A방향으로 탄성지지되어 있다.
구동기어(44)에는 제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피걸림부(48a, 48b)보다 외주측에 위치하여 상호 180°편위하여 각 피걸림부(48a, 48b)와 원주 방향으로 약간 떨어진 위치에 한쌍의 보조피걸림부(55a, 55)가 돌설되어 있다.
그리고 만일 걸림레버(49)가 시계방향에 복귀되지 못하고, 그 걸림톱(49a)이 피 걸림부(48a) 또는 (48b)에 맛붙게 하지않는 상태가 되었을때 이 걸림톱(49a)이 보조피걸림부(55a) 또는 (55b)에 맞붙게 하므로서 구동기어(44)의 회전이 확실하게 저지되도록 되어 있다.
이 구동기어(44)와 걸림레버(49)의 관계에 대해 제5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테이프위 구동방향을 전환하게 걸림레버(49)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시키년, 제5도(a)에 도시한 걸림레버(49)의 선단의 걸림톱(49a)이 캠부(48)의 일방의 피걸림부(48a)에서 빠져서 그 걸림이 해제된다. 그러면 그동기어(44)는 이 구동기어(44)의 약간의 회전에 의해서 제5도(b)에 도시한 구동기어(44)는 제1의 캠기어(46)에 치합하고, 제1의 캠기어(46)로부터의 회전력을 받아서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때 걸림레버(49)는 후술하는 플레이용 전자석(59)의 오프동작에 수반하여 스프링(57)의 힘을 받아서 탄성복귀하고, 걸림톱(49a)을 상기 캠부(48)의 캠면에 압착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구동기어(44)가 약 180°회전하면, 제5도(c)에 도시한 캠부(48)에 설치된 타방의 피걸림부(48b)가 걸림톱(49a)에 맞닿게 걸어맞춰지며, 구동기어(44)의 회전이 정지된다. 이 걸림톱(49a)에 의한 걸림부재(48b)의 걸림시에는 구동기어(44)의 결치부(46a)가 제1의 캠기어(46)에 대치한 상태에 있으며, 구동기어(44)의 회전구동력이 차단되게 된다.
이것에 대해서, 상기 구동기어(44)의 회전시에 걸림레버(49)의 시계방향으로의 회동복귀가 지연되며, 걸림톱(49a)이 캠부(48)의 캠면에 접촉하기 이전에 구동기어(44)가 180° 가까이 회전하면, 이 상태에서는 캠부(48)의 피걸림부(48b)가 걸림톱(49a)에 맞닿아서 걸어맞춰지지는 않는다.
그러나, 걸림톱(49a)이 보조피걸림부(55a, 55b)의 회전궤적상에 위치하기 때문에 제5도(d)에 도시한 구동기어(44)가 180°회전하기 이전에 보조피걸림부(55b)가 걸림톱(49a)에 맞닿아 걸어 맞춰진다. 이 걸림톱(49a)에 의한 보조피걸림부(55b)의 걸림시에도, 구동기어(44)의 결치부(44a)의 제1의 캠기어(46)에 대치한 상태가 되며, 구동기어(44)의 회전이 정지된다.
그후 걸림레버(49)가 시계방향으로 회동복귀하면, 걸림톱(49a)은 보조피걸림부(55b)로 부터 벗어나서 캠부(48)의 캠면에 맞닿고, 상기 이동플레이트(41)로부터의 힘을 받아서 구동기어(44)가 회전하는 것으로 피걸림부(48b)가 걸림톱(49a)에 맞닿게 걸어맞춰진다.
이렇게 해서 구동기어(44)의 회전이 걸림레버(49)의 복귀의 타이밍에 구속되지 않고, 피걸림부(48a, 48b) 또는 보조피걸림부(55a, 55b)로의 걸림톱(49a)의 맞닿아 걸리는 것에 의해 확실히 저지되며, 구동기어(44)는 180°씩 안정하고 확실히 회전하게 된다.
또한 걸림레버(49)의 스프링 괘지부(49b)와 디텍트레버(56)의 일단의 스프링 괘지부(56a)와의 사이에는 스프링(57)이 개장되어 있다. 이 디텍트레버(56는 기판(21)에 헤드착설판(36)과 동일방향(화살표 A, B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이 디텍트레버(56)는 타단과 대략 중간부에 제1걸림돌편(56b)과 제2걸림돌편(56c)를 가지고 있다. 스프링(57)에 의하여 대텍트레버(56)는 화살표 A방향에 탄성지지되어 있다.
디텍트레버(56)의 제1걸림돌편(56b)은 아마추어(58)의 일단걸림부(58a)에 맞붙게 걸려져 있다. 그리고 플레이용 전자석(59)이 오프인때 디텍트레버(56)는 스프링(57)의 탄성지지력으로 화살표 A방향으로 슬라이드하여 그 제2걸림돌편(56c)이 요동아암(60)의 일단의 돌기(60a)에 맞붙어 이것을 누른다.
또 플레이용 전자석(59)이 온하면 아마추어(58)가 시계방향으로 회동하므로서 디텍트레버(56)는 스프링(57)의 탄성지지력에 항거하여 화살표 B방향으로 슬라이드하고 그 제2의 걸림돌편(56c)은 요동아암(60)의 돌기(60a)를 누르지 않는다.
요동아암(60)은 그 대략 중간부가 착설축(61)에 의하여 회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 요동아암(60)의 양단부측의 당접면(60b, 일단부측만도시)에는 양릴받이(23a, 23b)와, 이것에 대응하는 마찰 클리치기구의 마찰판(64)에 돌설된 핀(64a)이 맞붙는다. 요동하암(60)에는 캠 미끄럼 접합 돌출부(60c)가 돌설되어 있다. 이 캠 미끄럼접합돌출부(60c)는 제1의 캠기어(46)에 설치된 제1 캠(46a)과 제2캠(46b)에 미끄럼 접합한다.
그리고 릴받이(23a 또는 23b)가 회전하고 있는 사이 일방의 마찰판(64)이 회전력을 받아서 일방의 핀(64a 또는 타방의 핀)을 요도아암(60)의 당접면(60b)에 맞붙게 하므로 요동아암(60)은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탄성지지되어서, 그 미끄럼 접합돌축부(60c)가 제1캠(46a)에 압접된다. 그리고 테이프 엔드에 도달하여 릴 받이(23a 또는 23b)의 부하가 소정값 이상이 되면 릴받이(23a 또는 23b)의정지에 따라 마찰판(64)의 회전력이 소실하고, 요동아암(60)에 대한 반시계방향으로의 회동력이 작용하지 않게 된다.
이것에 의하여 제1캠(46a)의 작용으로 요동아암(60)이 시계방향으로 회동된 후에 제2캠(46b)의 작용으로 요동아암(60)은 다시 시계방향으로 회동된다. 이 요동아암(60)의 시계방향으로의 회동에 수반하여, 그 돌기 (60a)가 걸림레버(49)의 일단의 경사면(49c)을 누르므로서 이 걸림레버(49)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되고, 그 걸림톱(49a)이 구동기어(44)의 피걸림부(48a 또는 48b)에서 벗어난다.
다음의 동작을 설명한다.
(오토리버스 동작)
예를들면 일방의 릴받이(23a)측에서 타방의 릴받이(23b)측에 테이프를 권취하면서 플레이 동작을 하고있는 상태에서는 타방의 마찰판(64)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있으므로 그 핀(64a)이 요동아암(60)의 타방의 당접면(60b)을 누르고 반시계 방향에 회동한다. 이것에 의하여 요동아암(60)은, 반시계 방향으로의 회동력이 부여되고 있기 때문에 마찰판(64)이 회동하고 있는 한 요동아암(60)의 캠 미끄럼접합돌출부(60c)가 기어식 회전전달기구(25)의 소경기어(47)와 맞물리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제1의 캠기어(46)의 제1 캠(46a)에 항상 맞붙은 상태로 되어있다.
그리고 일받의 릴받이(23a) 측에서 타방의 릴받이(23b)측에 테이프가 전부권취되어서 테이프엔드에 도달하면 마찰판(64)도 릴받이(23b)와 함게 정지한다. 이것에 의하여 요동아암(60)에 대한 반시계 방향으로의 회동력이 부여되지 않게된다. 그 때문에 요동아암(60)은 회동하는데 제1의 캠기어(46)의 제1캠(46a)의 작용으로 시계방향으로 회동되고, 제1 캠(46a)의 중심에서 가장 먼위치에 캠 미끄럼접합 돌출부(60c)가 미끄럼 접합위치한 상태로 요동아암(60)은 정지한다.
그리고 회전하는 제1캠기어(46)의 제2 캠(46b)이 제1캠(46a)과 캠 미끄럼 접합돌출부(60c)의 사이에 끼어도는 상태가 되기 때문에 요동아암(60)은 다시 시계방향으로 크게 회동한다. 이 요동아암(60)의 회동에 의하여, 그 돌기(60a)가 걸림레버(49)의 경사면(49c)을 누르다. 이것에 의하여 걸림레버(49)는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되어서, 그 걸림톱(49a)이 구동기어(44)의 캠부(48)의 일방의 피걸림부(48a)에서 벗어난다. 이것에 의하여 구동기어(44)에 대한 회전규제가 해제된다.
여기서 이동플레이트(41)의 계합공(43)과 구동기어 (44)의 계합핀(45)과의 걸어맞춤에 의하여 구동기어(44)에는 시계방향의 회전력이 부여되어 있다. 그러나, 걸림레버(49)의 걸림톱(49a)이 구동기(44)의 캠부(48)의 피걸림부(48a 또는 48b)에 맞붙게 걸어맞춰져 있으므로서 이 구동기어 (44)의 시계방향으로의 회전은 저지되어 있다.
이와같이 회전이 저지되어 있던 구동기어(44)는 상술한 바와같은 걸림레버(49)의 걸림톱(49a)이, 일방의 피걸림부(49a)에서 벗어나므로서, 제1의 캠기어(46)에 맞물리게 되기까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리고 제1의 캠기어(46)에 맞물림후에는 이 제1의 캠기어(46)의 회전력에 의하여 구동기어(44)가시 계방향에 약 180˚회전하고, 그 회전에 따라서, 그 계합핀(45)과 계합공(43)을 통하여 연결된 이동플레이트(41)가 화살표 D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이동플레이트(41)의 화살표 D방향으로의 이동에 따라서 도시하지 않은 헤드체널 전환 스위치가 전환됨과 함께 이동플레이트(41)의 가이드공(42)의 가이드연부(42b)에 가이드되어서 지지부재(39)와 일체로 저속회전용 전환기어(40)가 화살표 D방향에 이동하고 기어식 회전전달기구(25)의 제8기어(33)와 일방의 릴 받이(23a)측의 저속회전용 릴기어(34a)에 맞물리고, 이 일방의 릴받이(23a)가 저속으로 반시계방향에 회전된다.
또 이동플레이트(41)가 화살표 D방향에 이동하므로서, 일방의 판치롤러가 테이프를 통하여 일방의 캡스턴축(24aF)에 접촉하고, 타방의 핀칠로러가 타바의 캡스턴축(24b)에서 이간된다. 이것에 의하여 테이프의 주행방향이 반전하여 타방의 릴받이(23b)측에 테이프가 권취되어 플레이동작이 행해진다.
이 플레이동작에 따라 회전하는 일방이 마찰판(64)의 핀(64a)이 요동아암(60)의 일방의 당접면(60b)을 누르므로서 요동아암(50)에 반시계방향의 회전력이 부여되어서, 재차 그 캠 미끄럼접합 돌출부(60c)가 제1의 캠기어(46)의 제1캠(46a)에 접촉함과 함께 걸림레버(49)가 복귀스프링(54)의 탄성지지력에 의하여 시계방향에 회동하여 걸림톱(49a)이 구동기어(44)의 캠부(48)의 타방의 피걸림부(48b)에 맞붙으므로서, 이 구동기어(44)는 재차회전구제 된다.
이후 테이프 엔드에 도달할때마다, 상기 동작을 반복하여 오토리버스 동작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메뉴얼 리버스 동작)
예를들면 일방의 릴받이(23a)측에서 타방의 릴받이(23b)측에 테이프를 권취하면서 플레이 동작하고 있을때에 도시없는 메뉴얼 테이프 주행방향 전환 스위치를 온하면, 그때가지 온이었던 플레이용 전자석(59)은 오프가 된 후에 다시 이 플레이용 전자석(59)과 이젝트용 전자석(53)이 동시에 온이 된다. 그러면 그 프런져(53a)와 함께 가동판(52)이 복귀스프링(54)의 탄성지지력에 항거하여 화살표 B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이동에 수반하여 트리거아암(51)을 통하여 걸림레버(49)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하고, 그 걸림톱(49a)이 구동기어(44)의 일방의 피걸림부(48a)에서 벗어난다. 이에따라 구동기어(44)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제1의 캠기어(46)와 맞물리고 이 제1의 캠기어(46)에 의하여 이 구동기어(44)가 시계방향에 대략 180˚회전한다. 이 구동기어(44)의 회전에 수반하여 이동플레이트(42)가 화살표 D방향에 이동하고, 상술한 오토리버스 동작과 동일하게 일방의 릴받이(23a)가 테이프 구동용 모터(22)의 회전력에 의하여 시계방향에 회전됨과 동시에 일방의 핀치롤러가 일방의 캡스턴축(24a)에 접촉하고, 타방의 핀치롤러가 타방의 캡스턴축(24b)에서 이간하여 타방의 릴받이(23b)측에서 일방의 릴받이(23a)측에 테이프가 권취되면서 플레이동작, 즉 메뉴얼에 의한 리버스동작이 이루어진다.
상술한 바와같은 오토리버스 동작시 또는 메뉴얼 리버스 동작시에 있어서, 걸림레버(49)가 반시계 방향에 회동되어서, 그 걸림톱(49a)이 구동기어(44)의 캠(48)의 피걸림부(48a) 또는 (48b)에서 벗어남으로서 구동기어(44)가 180˚회전 할때까지의 사이에 걸림레버(49)의 회동복귀가 늦어져서 그 걸림톱(49a)이 캠(48)의 피걸림부(48a) 또는 (48b)에 거리지않는 위치에 이를때 이럭림톱(48a) 보조걸림부(55a) 또는 (55b)에 걸리므로서, 그 이상의 구동기어(44)의 회전이 저지된다. 따라서, 어떠한 조작상 황하에 있어서도, 테이프의 주행방향 전환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는 오동작이 방지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구동기어 캠의 양피걸림부 근방에 위치하여 보조피걸림부를 설치하므로서 종래의 기구에 있어서의 제2의 걸림레버를 배제할 수 있어 구성이 간단하게 된다.
또한, 보조피걸림부는 구동기어와 일테로 형성되므로 제작이 간단하며 부품점수의 삭감에 따라 생산단가가 절감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상호 180°이격되어 2개의 피걸림부(48a, 18b)를 설치한 캠부(48)를 보유하고 있는 구동기어(44)의 일방의 피걸림부에 회동자재하게 설치된 걸림레버(49)의 걸림톱(49a)을 걸리므로서 상기 구동기어(44)의 회전을 저지하고, 이 걸림을 해제하므로서 상기 구동기어(44)를 180°회전시켜서 테이프의 주행방향을 전환하는 테이프 레코더의 주행방향 전환조작기구에 있어서, 상기 걸림레버(49)의 상기 걸림톱(49a)이 상기 각 피걸림부(48a, 48b)에서 빠졌을때 이 걸림톱(49a)을 걸리게 해서 상기 구동기어(44)의 과잉한 회전을 저지하고, 2개의 보조 피걸림부(55a, 55b)를 상기 구동기어(44)의 각 피걸림부(48a, 48b)의 근방위치에 서로 180°이격시켜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테이프 레코더의 주행방향 전환조작기구.
KR2019890013351U 1989-03-13 1989-09-09 테이프 구동장치의 주행방향 전환 조작기구 KR93000235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13351U KR930002358Y1 (ko) 1989-03-13 1989-09-09 테이프 구동장치의 주행방향 전환 조작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02797U KR920008563Y1 (ko) 1989-03-13 1989-03-13 테이프 레코더 장치
JP1989050408U JPH02105248U (ko) 1989-04-28 1989-04-28
JP1-50408 1989-04-28
KR2019890013351U KR930002358Y1 (ko) 1989-03-13 1989-09-09 테이프 구동장치의 주행방향 전환 조작기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90002797U Division KR920008563Y1 (ko) 1989-03-13 1989-03-13 테이프 레코더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8046U KR900018046U (ko) 1990-10-05
KR930002358Y1 true KR930002358Y1 (ko) 1993-05-06

Family

ID=702218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90013351U KR930002358Y1 (ko) 1989-03-13 1989-09-09 테이프 구동장치의 주행방향 전환 조작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235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7144B1 (ko) * 2019-03-15 2019-09-02 주식회사 양지 작업물의 방향 전환 수단이 구비된 컨베이어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7144B1 (ko) * 2019-03-15 2019-09-02 주식회사 양지 작업물의 방향 전환 수단이 구비된 컨베이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8046U (ko) 1990-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40006393B1 (ko) 자기 기록 재생 장치
US4131922A (en) Operation device of tape recorder
US5050022A (en) Cassette loading apparatus having driving gears
KR930002358Y1 (ko) 테이프 구동장치의 주행방향 전환 조작기구
USRE36570E (en) Automatic mode changeover mechanism for a tape recorder
US4591932A (en) Auto-reverse mechanism for tape recorders
KR930006210Y1 (ko) 테이프 레코더의 리버스장치
US5031471A (en) Sequence control mechanism employing gear mechanism
US4612591A (en) Cassette tape recorder with rotary actuated ejection
KR860000916B1 (ko) 테이프 종단검출장지
US5132863A (en) Cassette eject mechanism of tape player
EP0179643B1 (en) Magnetic tape players
JPH0743791Y2 (ja) テープレコーダ装置
KR930009651B1 (ko) 오토리버스식 기록재생장치
JPH0614299Y2 (ja) オートリバース式テープレコーダの回転伝達経路切換機構
KR860001255B1 (ko) 테이프 레코오더
US4788607A (en) Tape winding end detecting device of tape recorder
KR910001555Y1 (ko) 테이프 주행장치의 자동 정지장치
KR930006206Y1 (ko) 테이프 구동장치의 고속이송기구
KR920000442Y1 (ko) 테이프 구동장치의 주행방향 전환 조작기구
KR920008563Y1 (ko) 테이프 레코더 장치
US4597024A (en) Tape recorder having soft-touch control of an erase head
KR870001474Y1 (ko) 비데오 데크의 급속 귀환 장치
KR100194445B1 (ko) 테이프 레코더의 모드 전환 기구
JPS5822267Y2 (ja) テ−プレコ−ダ−の制御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106 Division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306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