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7144B1 - 작업물의 방향 전환 수단이 구비된 컨베이어 장치 - Google Patents

작업물의 방향 전환 수단이 구비된 컨베이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7144B1
KR102017144B1 KR1020190029650A KR20190029650A KR102017144B1 KR 102017144 B1 KR102017144 B1 KR 102017144B1 KR 1020190029650 A KR1020190029650 A KR 1020190029650A KR 20190029650 A KR20190029650 A KR 20190029650A KR 102017144 B1 KR102017144 B1 KR 1020171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long hole
guide surface
coupled
guide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96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광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양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양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양지
Priority to KR10201900296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714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71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71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22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 B65G47/24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orientating the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5/00Mechanical convey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35/06Mechanical convey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prising a load-carrier moving along a path, e.g. a closed path, and adapted to be engaged by any one of a series of traction elements spaced along the pa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3/00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 B65G43/08Control devices operated by article or material being fed, conveyed or discharg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c Assembl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정 길이의 폐회로를 이루며 지면으로부터 일정 수직 높이를 가지며 배치되는 가이드레일(11) 및 가동체인(13)이 마련되는 이동가이드부(10); 상호 간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대향하며 가이드레일(11)의 좌우 각각에 일정 수직높이를 가지며 결합되는 제1, 2지지대(21, 22), 상호 대향하며 제1, 2지지대(21, 22) 각각에 설치되는 제1, 2가동실린더(23, 24), 상단 부위에 일정각도로 경사진 제1가이드면(251)이 형성되어 제1가동실린더(23)와 연결되는 제1로드(25), 상단 부위에 제1가이드면(251)과 반대방향으로 일정각도로 경사진 제2가이드면(261)이 형성되어 제2가동실린더(24)와 연결되는 제2로드(26)가 구비되는 복수 개의 방향전환부(20); 하측 부위는 고정구(15)에 결합되고 일정 수직높이로 돌출되는 상단 부위에는 제3, 4가이드면(311, 312)이 구비되는 제1몸체(31), 제1몸체(31)의 상측 부위를 통해 회동 가능하게 삽입되되 상측의 외면 부위 좌우 각각에는 제3, 4가이드면(311, 312)에 접하는 제1, 2휠(331, 332)이 마련되는 제2몸체(33), 제2몸체(33)의 상단 부위에 결합되는 거치대(35)가 구비되는 지그부(30);를 포함하는 작업물의 방향 전환 기능이 구비된 컨베이어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작업물의 방향 전환 수단이 구비된 컨베이어 장치{Conveyor apparatus having device of direction conversion for workpiece}
본 발명은 컨베이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가이드레일 중간 중간에 방향전환수단을 마련하여, 작업물이 안치되어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지그부를 일정 각도만큼씩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작업성을 증진시킬 수 있음은 물론 불량률을 최소화하는 것이 가능한 컨베이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또는 전자제품 등은 각종 사출부품이나 금속부품 등이 장착되거나 조립되어 이루어지는데, 이러한 부품의 제작이나 조립과정에서 부품의 표면에 달라붙는 이물질 등을 제거하거나 또는 부품의 표면에 코팅이나 도장작업을 연속하여 수행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부품들은 컨베이어와 같은 연속 이송장치를 이용하여 부품에 대한 해당 작업이 필요한 위치까지 부품을 이동시키고 있는데, 부품에 대한 작업의 종류에 따라 부품의 일면과 타면을 따로 분리하여 작업을 수행해야 경우가 많다. 때문에, 현장에서는 작업자들이 작업의 종류에 따라 컨베이어를 따라 이동하는 부품을 일일이 회전시켜가며 작업을 수행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수작업에 의한 부품의 회전은 작업성 자체를 감소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수작업에 의해 부품을 회전시키는 경우 그 회전의 정확도가 떨어질 수밖에 없는데, 부품이 컨베이어를 따라 일정 속도로 연속하여 이동한다는 점을 감안하면 이들 문제는 더욱 심각해지는바 이에 대한 적절한 대처 방안이 필요하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713163호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컨베이어를 따라 이동하는 부품과 같은 작업물을 필요에 따라 방향을 임의로 전환시킬 수 있는 기능이 구비되는 컨베이어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일정 길이의 폐회로를 이루며 지면으로부터 일정 수직 높이를 가지며 배치되는 가이드레일(11), 가이드레일(11)의 중앙 부위에서 직하방으로 일정거리 떨어져 위치하며 가이드레일(11)을 따라 무한궤도 운동하는 가동체인(13), 상호 간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 개로 이루어지되 각각의 하단 부위는 가동체인(13)에 결합되고 각각의 상단 부위는 가이드레일(11)의 중앙 부위로 돌출되는 고정구(15)가 마련되는 이동가이드부(10); 상호 간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대향하며 가이드레일(11)의 좌우 각각에 일정 수직높이를 가지며 결합되는 제1, 2지지대(21, 22), 상호 대향하며 제1, 2지지대(21, 22) 각각에 설치되는 제1, 2가동실린더(23, 24), 상단 부위에 일정각도로 경사진 제1가이드면(251)이 형성되어 제1가동실린더(23)와 연결되는 제1로드(25), 상단 부위에 제1가이드면(251)과 반대방향으로 일정각도로 경사진 제2가이드면(261)이 형성되어 제2가동실린더(24)와 연결되는 제2로드(26)가 구비되어 상호 간에 일정거리 떨어져 이동가이드부(10)를 따라 설치되는 복수 개의 방향전환부(20); 하측 부위가 고정구(15)에 결합되어 일정 수직 높이로 돌출되는 제1몸체(31), 제1몸체(31)의 상단 일측부위에
Figure 112019064297147-pat00014
형상으로 마련되어 일단부위에서 급격하게 하향한 다음 연장되는 타측부위로 갈수록 완만하게 상승하도록 굴곡지는 제3가이드면(311), 제3가이드면(311)과 대향하며 제1몸체(31)의 상단 타측부위에
Figure 112019064297147-pat00015
형상으로 마련되되 제3가이드면(311)의 타단부위와 연결되는 일단부위에서 급격하게 하향한 다음 제3가이드면(311)의 일단부위와 연결되는 타측부위에서 완만하게 상승하도록 굴곡지는 제4가이드면(312), 제1몸체(31)의 상측 부위를 통해 회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제2몸체(33), 제2몸체(33) 상측의 외면 일측부위에 마련되어 제3가이드면(311)과 접하는 제1휠(331), 제1휠(331)과 대향하며 제2몸체(33) 상측의 외면 타측부위에 마련되어 제4가이드면(312)과 접하는 제2휠(332), 제2몸체(33)의 상단 부위에 결합되는 거치대(35)가 구비되는 지그부(30);를 포함하는 것을 그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몸체(31)의 하부 일측에는 제1장공(313)이 형성되고; 상기 제2몸체(33)의 하부 일측 및 타측 각각에는 제1장공(313)에 대응하는 제2장공(333) 및 제3장공(334)이 형성되며; 상기 제1장공(313)이 형성되는 제1몸체(31)의 하측 부위에는 걸림쇄(316) 및 탄성체(319) 각각이 구비되는 설치단(315)이 마련되되, 상기 걸림쇄(316)의 일단 부위는 제1장공(313)과 제2장공(333) 또는 제1장공(313)과 제3장공(334) 중의 어느 하나에 삽입되고 연장되는 타단 부위는 설치단(315)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탄성체(319)의 일측 부위는 상기 걸림쇄(316)의 타측 부위에 결합되고 타측 부위는 설치단(315)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대(21) 일측 부위에는 작동스위치(27)가 마련되되, 상기 작동스위치(27)의 일측 부위는 이동하는 상기 지그부(30)와 접할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레일(11) 중앙 부위로 돌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작업물이 안치되어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지그부 및 지그부에 안치된 작업물을 일정각도만큼씩 회전시키는 방향전환부를 가이드레일 곳곳에 배치하여, 작업 현장에 따라 작업물의 일면 및 타면 각각이 정확하게 작업자를 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수작업으로 인한 작업성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회전의 부정확도에 기인한 불량률을 현저히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 장치의 개략적인 사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 장치에 있어 방향전환부의 개략적인 사시 구성도.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 장치에 있어 지그부의 개략적인 결합 구성도.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 장치에 있어 지그부 하측의 개략적인 단면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 장치에 있어 방향전환부 및 지그부 상호 간의 개략적인 작동 구성도.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은데,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술함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과 직접적인 관련성이 없거나,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사항에 대해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 장치의 개략적인 사시 구성도로서, 본 발명은 이동가이드부(10), 방향전환부(20), 지그부(30)를 포함하는 컨베이어 장치를 제안함에 그 특징이 있다. 이하 이들 각 구성을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이동가이드부(10)는 작업 대상물로서의 부품(이하 작업물) 이동을 가이드하는 수단으로, 가이드레일(11), 가동체인(13), 고정구(1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가이드레일(11)은 작업장의 여러 지점을 연속하여 거치도록 일정 길이의 폐회로로 이루어지며, 지면으로부터 일정 수직 높이를 가지며 배치된다.
가동체인(13)은 가이드레일(11)의 중앙 부위에서 직하방으로 일정거리 떨어져 위치한 상태로 가이드레일(11)을 따라 배치된다. 가동체인(13)은 미도시된 구동수단에 의해 가이드레일(11)을 따라 무한궤도 운동한다. 구동수단은 모터로 이루어질 수 있다.
고정구(15)는 상호 간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 개로 이루어지며, 각각의 하단 부위는 가동체인(13)에 결합되고, 각가의 상단 부위는 가이드레일(11)의 중앙 부위로 돌출된다. 이에 따라, 가동체인(13)이 이동하면 각 고정구(15)는 가동체인(13)과 함께 이동한다.
도4에 있어 도면부호 17은 롤러이다. 롤러(17)는 고정구(15) 좌우에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며, 고정구(15)가 가동체인(13)과 함께 이동할 때 좌우 가이드레일(11) 내면 사이에서 고정구(15)가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보조한다.
방향전환부(20)는 지그부(30)에 안치되는 작업물의 방향을 전환시키는 수단으로, 상호 간에 일정거리 떨어져 이동가이드부(10)를 따라 설치되는 복수 개로 이루어진다. 방향전환부(20) 각각은 도 2에 개시된 것과 같이 제1, 2지지대(21, 22), 제1, 2가동실린더(23, 24), 제1, 2로드(25, 26)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1, 2지지대(21, 22) 각각은 상호 간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대향하며, 가이드레일(11)의 좌우 각각에 일정 수직높이를 가지며 결합된다. 제1, 2가동실린더(23, 24) 각각은 제1, 2지지대(21, 22) 각각의 내면 하측 부위에 설치되어 상호 대향한다. 제1, 2가동실린더 각각은 공압으로 작동될 수 있다.
제1로드(25)는 제1가동실린더(23)와 연결되며, 그 상단 부위에는 도면과 같이 일정각도로 경사진 제1가이드면(251)이 형성된다. 제2로드(25)는 제2가동실린더(24)와 연결되며, 그 상단 부위에는 제2가이드면(261)이 형성된다. 이때, 제2가이드면(261)은 도면과 같이 제1가이드면(251)과 반대방향으로 일정각도 경사져 형성된다.
제1지지대(21)의 일측 부위에는 작동스위치(27)가 마련될 수 있다. 작동스위치(27)는 제1, 2가동실린더(23, 24) 각각을 동시에 작동시키는 수단으로, 그 일측 부위는 도면과 같이 가이드레일(11)의 중앙 부위로 돌출된다. 후술할 지그부(30)가 방향전환부(20)로 접근하면서 작동스위치(27)와 접하면 제1, 2가동실린더(23, 24) 각각이 일정시간 동안 작동한다.
지그부(30)는 작업물의 거치를 위한 수단으로, 도 3a 및 도 3b 각각에 개시된 것과 같이 제1, 2몸체(31, 33) 및 거치대(35)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제1몸체(31)는 그 하측 부위가 고정구(15)에 결합되고, 개구된 상측 부위는 일정 수직높이로 돌출된다.
제1몸체(31)의 상단 부위에는 제3, 4가이드면(311, 312)이 형성된다. 제1가이드면(311)은 제1몸체(31)의 상단 일측부위에
Figure 112019064297147-pat00003
형상을 이루며 마련되며, 일단부위에서 급격하게 하향한 다음 연장되는 타측부위에 완만하게 상승하도록 굴곡진다. 제2가이드면(312)은 제1가이드면(311)과 대향하며, 제1몸체(31)의 상단 타측 부위에
Figure 112019064297147-pat00016
형상을 이루며 마련된다. 제2가이드면(312) 역시, 그 일단부위에서 급격하게 하향한 다음 연장되는 타측부위에 완만하게 상승하도록 굴곡진다.
이때, 제3, 4가이드면(311, 312) 부위만을 따로 발췌해서 펼쳐 놓은 도 3a의 확대도와 같이, 제3가이드면(311)의 일단부위는 제4가이드면(312)의 타단부위와 연결되고, 제3가이드면(311)의 타단부위는 제4가이드면(312)의 일단부위와 연결된다. 즉, 제3, 4가이드면(311, 321)은 서로 연속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그 경계면에서는 반대방향으로 급격하게 변화하는 기울기를 가진다.
제2몸체(33)는 제1몸체(31)의 상측 부위를 통해 회동 가능하게 삽입된다. 제2몸체(33)의 상측 외면 부위에 있어 좌우 각각에는 제1, 2휠(331, 332)이 마련된다. 제1, 2휠(331, 332) 각각은 제2몸체(33)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제3, 4가이드면(311, 312) 각각에 있어 오목부에 위치하며 각 가이드면과 접한다.
이때, 제1몸체(31)에 삽입된 제2몸체(33)의 회전 정도는 걸림쇄(316) 및 탄성체(318)에 의해 180° 범위 내에서 제어될 수 있다. 이를 위한 구체적인 구성을 상세하게 살펴본다.
제1몸체(31)의 하부 일측 부위에는 제1장공(313)이 형성되며, 제2몸체(33)의 하부 일측 및 타측 부위 각각에는 제1장공(313)에 대응하는 제2, 3장공(333, 334)이 형성된다. 제2, 3장공(333, 334) 각각은 상호 대향하는 지점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장공(313)이 형성되는 제1몸체(31)의 하측 부위에는 설치단(315)이 마련된다. 설치단(315)은 도면과 같이 제1몸체(31)의 외면에 직교하며 방사형으로 일정 길이 돌출되는 판상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설치단(315)에는 걸림쇄(316) 및 탄성체(319)가 마련된다.
걸림쇄(315)는 그 일단 부위가 제1장공(313)과 제2장공(333) 또는 제1장공(313)과 제3장공(334) 중의 어느 하나에 삽입되고(도 3b에서는 전자 조합에 삽입), 그 타단 부위는 설치단(315)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탄성체(319)의 일측 부위는 걸림쇄(316)의 타측 부위에 결합되고, 그 타측 부위는 설치단(315)에 고정된다.
도면부호 318은 걸림쇄(316)를 설치단(315)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결합핀이다. 그리고, 도면부호 317은 걸림쇄(316)의 일단 부위에 마련되는 걸림단이다.
이럴 경우, 제2몸체(33)는 걸림쇄(316) 및 탄성체(319)의 작용으로 인해 일방향(도면에서 시계방향)으로 180° 범위 내에서 회전하는 구성으로 제어될 수 있으며, 제2몸체(33)가 타방향(도면에서 시계반대방향)으로 역회전하는 것은 걸림단(317)에 의해 방지된다.
거치대(35)는 부품고정지그(J)가 결합되는 부분으로, 제2몸체(33)의 상단 부위에 결합된다. 부품고정지그(J)는 작업물의 크기나 형상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거치대(35)는 별도의 체결볼트에 의해 제2몸체(33)와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개략적인 작동을 전술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본다.
부품고정지그(J)의 하측 부위를 지그부(30)의 거치대(35)에 결합한 다음 컨베이어 장치를 작동시킨다. 컨베이어 장치가 작동되면, 부품고정지그(J)는 지그부(30)와 함께 가동체인(13)과 함께 이동하며, 작업물을 부품고정지그(J)에 안치하면 부품고정지그(J)의 일면은 일방향을 향한 상태로 가이드레일(11)을 따라 이동하면서 방향전환부(20)에 접근한다(도 1의 우측 부품고정지그(J)에 있어 ① 참조).
지그부(30)가 방향전환부(20)에 접근하면서 작동스위치(27)를 일방향(지그부의 전진 방향)으로 밀면(도 2의 ② 참조), 제1, 2가동실린더(23, 24) 각각이 작동한다. 제1, 2가동실린더(23, 24)가 작동하면, 제1, 2로드(25, 26) 각각이 수직 상방으로 승강하면서 제1, 2가이드면(251, 261) 각각이 지그부(30)의 제1, 2휠(331, 332)과 접하게 된다(도 4의 ③ 참조).
제1, 2가이드면(251, 261) 각각이 지그부(30)의 제1, 2휠(331, 332)과 접한 상태에서 제1, 2로드(25, 26)가 더 승강하게 되면(도 4의 ④ 참조), 제2몸체(33)의 제3, 4가이드면(311, 312) 각각에 접하고 있던 제1, 2휠(331, 332)은 제3, 4가이드면(311, 312)과 분리되며 제2몸체(33)는 일정 수직 높이 상승한다. 이때, 걸림쇄(315)의 걸림단(316)은 제1장공(313)과 제2장공(333)에 삽입된 상태이며, 제2몸체(33)의 승강 과정에서 제2장공(333)과 걸림단(316) 사이의 간섭현상은 발생하지 않는다.
일정시간 이후 제1, 2가동실린더(23, 24) 각각의 작동이 중지되면, 제2몸체(33)에 있어 제1, 2휠(331, 332) 각각은 제1, 2가이드면(251, 261)과 접한 상태로 일정 수직 높이만큼 승강한 다음 하강한다(도 4의 ⑤ 참조). 이때, 방향전환부(30) 인근에 위치하는 작업자가 부품고정지그(J)를 일방향으로 살짝 돌려준다(도 3b 및 도 4 각각의 ⑥ 참조).
걸림쇄(316)의 걸림단(317)은 제2몸체(33)가 타방향으로 역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수단이므로, 제2몸체(33)가 일방향으로 회전하면 걸림쇄(316)는 탄성체(319)를 압축하면서 결합핀(318)을 기점으로 일정 각도만큼 후퇴한다. 즉, 걸림단(317)에 의한 간섭 현상은 발생하지 않는다.
한편, 제1, 2휠(331, 332) 각각은 제1, 2가이드면(251, 261)과 접한 상태를 이루며, 제1, 2가이드면(251, 261) 각각은 서로 반대 방향으로 경사져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작업자에 의해 제2몸체(33)가 일방향으로 살짝 돌려지면 제1, 2휠(331, 332) 각각은 회전하면서 제1, 2가이드면(251, 261)을 따라 하방으로 이동한 다음(도 2의 ⑦ 참조), 제2몸체(33)의 제2, 1가이드면(312, 311) 각각에 진입한다.
즉, 제2몸체(33)의 제1, 2휠(331, 332) 각각은 방향전환부(20)에 접근하기 전에는 제1몸체(31)의 제1, 2가이드면(311, 312) 각각에 접하며 안치된 상태였으나, 방향전환부(20)를 지나면서 제1, 2휠(331, 332) 각각은 제1, 2가이드면(311, 312)과 분리된 다음 제2, 1가이드면(312, 311) 각각으로 진입하여 안치되도록 바뀌게 된다.
한편, 제2, 1가이드면(312, 311) 각각은
Figure 112019026630405-pat00005
Figure 112019026630405-pat00006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제1, 2휠(331, 332) 각각이 제1, 2가이드면(311, 312) 각각의 일단 부위를 지나 제2몸체(33)의 제2, 1가이드면(312, 311) 각각의 타단 부위로 진입하면, 제1, 2휠(331, 332) 각각은 제2, 1가이드면(312, 311) 각각을 따라 자연스럽게 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제2몸체(33)는 일정 각도 회전하게 된다(도 3b의 ⑧ 참조).
제2몸체(33)가 일정 각도 회전하면서 제2몸체(33)의 제3장공(334) 일측 부위가 걸림단(317)과 만나게 되면 걸림쇄(316)는 탄성체(319)의 복원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하게 되고, 최종적으로 제3장공(334) 타측 부위가 걸림단(317)에 접하게 되면(이때, 걸림단(317)은 제1장공(313)과 제3장공(334) 각각과 접한 상태), 제2몸체(33)의 회전은 중지되고 제1, 2휠(331, 332) 각각은 제2, 1가이드면(312, 311) 각각의 오목부에 위치하며 안정적으로 밀착된다.
즉, 지그부(30)는 가동체인(13)에 의해 가이드레일(11)을 따라 이동하면서 방향전환부(20)를 거치면서 지그부(30)의 제2몸체(33)는 일정 각도만큼(180°) 회전하게 되고, 부품고정지그(J)의 타면이 일방향을 향한(일면은 타방향을 향함) 상태로 가이드레일(11)을 따라 이동한다(도 1의 좌측 부품고정지그(J) 참조). 이때, 부품고정지그(J)의 역회전은 걸림단에 의해 방지된다.
부품고정지그(J)의 타면이 일방향을 향한 상태로 작업자에게 접근하면 작업자는 부품고정지그(J)에 거치된 작업물의 일면에 대하여 세정이나 도장 등과 같은 작업을 수행하고, 해당 작업이 완료된 작업물은 지그부(30)와 함께 가이드레일(11)을 따라 이동하고, 이후 만나게 되는 방향전환부(20)에서 전술한 과정이 다시 반복되면 방향이 다시 바뀌게 되고, 이에 따라 필요한 다른 작업을 연속하여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한정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이며,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 다양한 방법으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으며, 나아가 개시된 기술적 사상에 기초하여 별도의 기술적 특징이 부가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10 : 이동가이드부 11 : 가이드레일
13 : 가동체인 15 : 고정구
20 : 방향전환부 21, 22 : 제1, 2지지대
23, 24 : 제1, 2가동실린더 25, 26 : 제1, 2로드
251, 261 : 제1, 2가이드면 27 : 작동스위치
30 : 지그부 31, 33 : 제1, 2몸체
311, 312 : 제3, 4가이드면 313, 333, 334 : 제1, 2, 3장공
315 : 설치단 316 : 걸림쇄
319 : 탄성체 331, 332 : 제1, 2휠
35 : 거치대

Claims (3)

  1. 일정 길이의 폐회로를 이루며 지면으로부터 일정 수직 높이를 가지며 배치되는 가이드레일(11), 가이드레일(11)의 중앙 부위에서 직하방으로 일정거리 떨어져 위치하며 가이드레일(11)을 따라 무한궤도 운동하는 가동체인(13), 상호 간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 개로 이루어지되 각각의 하단 부위는 가동체인(13)에 결합되고 각각의 상단 부위는 가이드레일(11)의 중앙 부위로 돌출되는 고정구(15)가 마련되는 이동가이드부(10);
    상호 간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대향하며 가이드레일(11)의 좌우 각각에 일정 수직높이를 가지며 결합되는 제1, 2지지대(21, 22), 상호 대향하며 제1, 2지지대(21, 22) 각각에 설치되는 제1, 2가동실린더(23, 24), 상단 부위에 일정각도로 경사진 제1가이드면(251)이 형성되어 제1가동실린더(23)와 연결되는 제1로드(25), 상단 부위에 제1가이드면(251)과 반대방향으로 일정각도로 경사진 제2가이드면(261)이 형성되어 제2가동실린더(24)와 연결되는 제2로드(26)가 구비되어 상호 간에 일정거리 떨어져 이동가이드부(10)를 따라 설치되는 복수 개의 방향전환부(20);
    하측 부위가 고정구(15)에 결합되어 일정 수직 높이로 돌출되는 제1몸체(31), 제1몸체(31)의 상단 일측부위에
    Figure 112019064297147-pat00017
    형상으로 마련되어 일단부위에서 급격하게 하향한 다음 연장되는 타측부위로 갈수록 완만하게 상승하도록 굴곡지는 제3가이드면(311), 제3가이드면(311)과 대향하며 제1몸체(31)의 상단 타측부위에
    Figure 112019064297147-pat00018
    형상으로 마련되되 제3가이드면(311)의 타단부위와 연결되는 일단부위에서 급격하게 하향한 다음 제3가이드면(311)의 일단부위와 연결되는 타측부위에서 완만하게 상승하도록 굴곡지는 제4가이드면(312), 제1몸체(31)의 상측 부위를 통해 회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제2몸체(33), 제2몸체(33) 상측의 외면 일측부위에 마련되어 제3가이드면(311)과 접하는 제1휠(331), 제1휠(331)과 대향하며 제2몸체(33) 상측의 외면 타측부위에 마련되어 제4가이드면(312)과 접하는 제2휠(332), 제2몸체(33)의 상단 부위에 결합되는 거치대(35)가 구비되는 지그부(30);를
    포함하는 작업물의 방향 전환 기능이 구비된 컨베이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몸체(31)의 하부 일측에는 제1장공(313)이 형성되고; 상기 제2몸체(33)의 하부 일측 및 타측 각각에는 제1장공(313)에 대응하는 제2장공(333) 및 제3장공(334)이 형성되며; 상기 제1장공(313)이 형성되는 제1몸체(31)의 하측 부위에는 걸림쇄(316) 및 탄성체(319) 각각이 구비되는 설치단(315)이 마련되되, 상기 걸림쇄(316)의 일단 부위는 제1장공(313)과 제2장공(333) 또는 제1장공(313)과 제3장공(334) 중의 어느 하나에 삽입되고 연장되는 타단 부위는 설치단(315)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탄성체(319)의 일측 부위는 상기 걸림쇄(316)의 타측 부위에 결합되고 타측 부위는 설치단(315)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물의 방향 전환 기능이 구비된 컨베이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대(21) 일측 부위에는 작동스위치(27)가 마련되되, 상기 작동스위치(27)의 일측 부위는 이동하는 상기 지그부(30)와 접할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레일(11) 중앙 부위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물의 방향 전환 기능이 구비된 컨베이어 장치.
KR1020190029650A 2019-03-15 2019-03-15 작업물의 방향 전환 수단이 구비된 컨베이어 장치 KR1020171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9650A KR102017144B1 (ko) 2019-03-15 2019-03-15 작업물의 방향 전환 수단이 구비된 컨베이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9650A KR102017144B1 (ko) 2019-03-15 2019-03-15 작업물의 방향 전환 수단이 구비된 컨베이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7144B1 true KR102017144B1 (ko) 2019-09-02

Family

ID=679511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9650A KR102017144B1 (ko) 2019-03-15 2019-03-15 작업물의 방향 전환 수단이 구비된 컨베이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714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897013A (zh) * 2021-01-25 2021-06-04 莫康康 一种精准度高的产品输送用间歇性导向机构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2358Y1 (ko) * 1989-03-13 1993-05-06 다나신 덴기 가부시끼 가이샤 테이프 구동장치의 주행방향 전환 조작기구
KR20110073901A (ko) * 2009-12-24 2011-06-30 임하배 조리용기의 이송장치
KR20140010387A (ko) * 2011-01-26 2014-01-24 푸드메이트 비.브이. 개선된 가축성 구속 수단을 구비하는 고기 가공 장치
KR101713163B1 (ko) 2016-06-14 2017-03-07 김재석 벨트 컨베이어 상의 포대 90도 회전장치
JP6195951B1 (ja) * 2016-04-05 2017-09-13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ワーク反転装置の反転不良検知装置及び方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2358Y1 (ko) * 1989-03-13 1993-05-06 다나신 덴기 가부시끼 가이샤 테이프 구동장치의 주행방향 전환 조작기구
KR20110073901A (ko) * 2009-12-24 2011-06-30 임하배 조리용기의 이송장치
KR20140010387A (ko) * 2011-01-26 2014-01-24 푸드메이트 비.브이. 개선된 가축성 구속 수단을 구비하는 고기 가공 장치
JP6195951B1 (ja) * 2016-04-05 2017-09-13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ワーク反転装置の反転不良検知装置及び方法
KR101713163B1 (ko) 2016-06-14 2017-03-07 김재석 벨트 컨베이어 상의 포대 90도 회전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897013A (zh) * 2021-01-25 2021-06-04 莫康康 一种精准度高的产品输送用间歇性导向机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206976A1 (de) Xy-tisch für ein lineares transportsystem
KR102017144B1 (ko) 작업물의 방향 전환 수단이 구비된 컨베이어 장치
DE3500742A1 (de) Anlage fuer den zusammenbau und insbesondere das heften von kraftfahrzeug-karrosserien
KR101648977B1 (ko) 특장차 적재함의 플로어 프레임 조립용 지그 장치
DE102013206875A1 (de) Anlage für das Behandeln von Werkstücken
JP2002021139A (ja) シンクの取付け装置
KR101446576B1 (ko) 싱글암 트랜스퍼로봇
DE10162301A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Reinigen von Formen, Werkzeugen, Form- und Werkzeugträgern
CN211916825U (zh) 一种横臂关节机械手
DE102019006264B4 (de) Förderanlage zum Transportieren von Gegenständen im Karosseriebau der Kfz-Industrie, Verfahren zum Transportieren von mehrachsigen Robotern und Bauteilen sowie Verwendung eines Drehtisches und eines Magazins oder Haltebahnhofs für Roboter im Zusammenhang mit derartigen Fördervorrichtungen und Steuerung zum Durchführen eines derartigen Verfahrens
CN208775769U (zh) 省空间气动翻转机
US4295555A (en) Limit switch assembly manufacturing machine
US4787128A (en) Modularly expandable integrated process machine system and rotary indexing mechanism therefor
US6298979B1 (en) Workpiece transfer apparatus with overhead actuator
CN209936318U (zh) 一种储液器自动压装机
DE202005003364U1 (de) Vorrichtung zum Entnehmen und Beladen eines Gegenstandes
CN208358805U (zh) 一种智能机械手装置
CN104843446A (zh) 一种基于多车型的搬运装备
CN108115434B (zh) 行星轮系夹紧机构
CN114405719B (zh) 一种汽车车身加工的喷涂机器人
CN220975525U (zh) 板状元件精定位工装及多工位转盘
CN220519538U (zh) 一种码垛机器人的限位导轨装置
KR200293093Y1 (ko) 자동차용 시트레일 조립기의 소재 이송장치
DE4140687A1 (de) Roboter-antriebsvorrichtung nach dem kartesischen prinzip fuer mehrachsige, raeumlich angeordnete transportsysteme, insbesondere fuer nc-linearachsen
JP3886396B2 (ja) ワーク位置決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