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3093Y1 - 자동차용 시트레일 조립기의 소재 이송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시트레일 조립기의 소재 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3093Y1
KR200293093Y1 KR2020020022718U KR20020022718U KR200293093Y1 KR 200293093 Y1 KR200293093 Y1 KR 200293093Y1 KR 2020020022718 U KR2020020022718 U KR 2020020022718U KR 20020022718 U KR20020022718 U KR 20020022718U KR 200293093 Y1 KR200293093 Y1 KR 20029309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llet
work
mounting plate
cylinder
seat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271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경희
Original Assignee
(주) 신형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신형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 신형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202002002271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309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309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3093Y1/ko

Links

Landscapes

  • Automatic Assembly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의 시트레일 조립기에 있어서, 시트레일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이송하고 작업할 소재의 변경에도 신속히 대처할 수 있도록 하려는 것이다.
구성으로는 조립기(1)의 베이스(2) 상부에 이송대(10)를 설치하고, 그 위에 파레트(11)를 연속으로 얹어 이송대(10)를 타고 이송가능토록 하며, 파레트(11)에는 걸림구멍(13)을 구성한 후, 이송대(10)의 하부에는 상기의 파레트(11)를 걸어 이송을 할 수 있도록 베이스(2) 상면에 LM가이드(21)를 설치한 후 그 위에는 실린더가 설치된 설치판(22)을 연속으로 구성하였다.
실린더(23)의 로드(24)는 걸림구멍(13)에 꼭 맞게 삽입될 수 있게 구성하고, 각 설치판(22)은 서보모터와 볼스크류를 이용하여 이송토록 하며, 파레트(11)에는 직각방향으로 각기 다른 종류의 소재를 안착시킬 수 있는 고정가이드(12)(12')를 파레트(11)의 중심으로부터 동일한 거리에 교차되게 설치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소재(5)의 이송에 따른 대기 시간을 절반이상 감축시킬 수 있게 되고, 또한 다른 종류의 소재를 작업할 때 간단하게 작업을 변경할 수 있으므로 작업변경에 따른 시간과 인력을 절감하여 생산능률의 향상을 이룩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시트레일 조립기의 소재 이송장치{Meterial movement device of assembly machine for automobile seat rail}
본 고안은 자동차의 시트레일을 조립하는 조립기에 있어서 소재인 시트레일을 작업공정간 이송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소재가 안착될 수 있는 파레트를 이용하여 소재를 이송하면서 한개의 파레트를 이용하여 여러종류의 소재를 안착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여 한가지 종류의 소재를 작업하다가 다른 종류의 소재를 작업하는 변경작업이 편리하게끔 하려는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자동차의 시트레일은 상부레일과 하부레일 및 그 사이에 삽입되는 베어링으로 구성되고 이들을 조립하여 시트레일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자동조립기를 이용하여 여러가지 공정을 거친 후에야 비로소 조립이 완성된다.
조립기에서 이루어지는 공정을 통상의 조립기를 기준으로 순서별로 살펴보면, 최초에 하부레일과 상부레일을 정위치시킨 다음 소재 시트레일의 크기가 규정치수 이내인지를 검사하는 공정, 양측으로 베어링을 삽입하는 공정, 베어링의 작동범위에 한계를 주도록 상하부 레일의 일측에 엠보싱 작업을 하는 공정, 윤활유를 주입한 후 버니싱(BURNISHING)작업을 하는 공정, 작동력을 측정하는 공정, 타측에 다시 엠보싱을 하는 공정 및 기타 리벳팅공정, 세레이션 볼트 압입공정, 마킹공정, 배출공정 등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공정들이 순서대로 이루어지기 위하여 종래의 조립기는 베이스의 상면에 각 공정의 작업을 하기 위하여 공정별로 소재를 안착시킬 수 있는 안착대를 구성하였고, 안착대에 소재가 하나씩 안착된 상태에서 각 한번의 공정별 작업을 하고 나면 이송이 이루어지는데, 이송작용을 하는 이송장치는 캠과 실린더를 이용하여 승강을 하고 별도의 실린더를 이용하여 전후작동을 하는 이송받침대가 소재를 이송시키는 것으로, 이송받침대가 소재의 하부에 기다리고 있다가 작업이 끝나면 상승을 하면서 각 소재를 동시에 들어올리며, 그후 이송을 하여 소재를 다음 공정의 안착대위까지 이동을 시키고 다시 하강을 하여 안착대에 안착시키며, 마지막으로 후진을 하여 처음의 위치로 복귀후 한공정의 작업이 끝날 때까지 대기를 하는 것이다.
이러한 이송을 위한 공정은 한 공정의 작업을 한 후 이송장치가 상승, 이동 하강을 하는 시간동안 다음의 작업을 하지 못하고 기다려야 하므로, 이러한 종래의 이송장치에 따라 작업을 하면 엄청난 시간의 손실이 있게되므로 생산성이 매우 낮을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본 출원인은 본 고안과 동일자로 출원한 실용신안 출원건을 통하여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한 이송장치를 안출한 바 있다.
상기의 선출원에서 한번의 작업이 끝난 후 곧바로 이송이 이루어지고 서보모터를 이용하여 이송피치를 조절함으로써 여러종류의 소재를 작업할 수 있도록 하였으나, 진행방향으로 다수개의 고정가이드를 배열하고 변경을 하기에는 구성이 복잡하고 파레트의 크기가 과대하게 커지는 문제가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동일자 출원을 더욱 개선하고자 안출한 본 고안은 작업할 소재 시트레일을 안착시키는 파레트를 구성하여 소재가 파레트에 안착된 상태에서 이송 및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하되, 파레트에 두가지 이상의 소재안착구를 구성하여 소재의 변경이 있더라도 별도의 교체작업 없이 파레트를 회전시키는 것만으로 즉시 다른 종류의 소재를 작업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하고, 특히 하나의 파레트를 이용하여 최대한 많은 소재를 작업할 수 있도록 하려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장치가 설치된 조립기의 정면도
도 2는 도 1의 요부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파레트의 평면도
***도면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조립기 2: 베이스
5: 소재 10: 이송대
11: 파레트 12, 12': 고정가이드
13: 걸림구멍 14: 연결편
20: 이송수단 21: LM가이드
22: 설치판 23: 실린더
24: 로드 25: 회전장치
30: 볼스크류하우징 31: 서보모터
32: 볼스크류
본 고안은 소재(시트레일)가 파레트에 안착되어 소재 길이의 직각방향으로 이동을 하면서 여러단계의 공정을 이룩하도록 된 자동차용 시트레일 조립공정에 있어서, 특히 파레트에 고정가이드를 구성시에는 두가지 종류 이상의 소재를 직각방향으로 교차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고정가이드를 구성한 후, 한 방향으로 설치된 고정가이드를 이용하여 작업을 하다가 파레트를 회전시키기만하면 다른 종류의 소재를 작업하는 것이 가능토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을 기준으로 선출원된 이송장치의 기본적인 구성을 살펴보면, 조립기(1)의 베이스(2) 상부 일정높이에 본 고안의 파레트(11)가 얹혀져 이송이 가능한 이송대(10)를 설치하였고, 상기 이송대(10)의 위에서 이송하는 파레트(11)에는 소재(5)를 안착시킬 수 있는 수단, 즉 소재(5)의 양단을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고정가이드(12)를 구성하였다.
파레트(11)에는 하부의 이송수단(20)에 의해 이송을 가능하게 하는 걸림수단으로 걸림구멍(13)을 형성하고, 이송대(10)의 하부에는 상기의 파레트(11)를 걸어 이송을 할 수 있는 이송수단(20)을 구성하는데, 베이스(2) 상면에 직선이송을 가이드할 수 있는 구성으로 LM가이드(21)를 설치한 후 그 위에는 설치판(22)을 연속으로 구성하여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이동가능토록 하며, 각 설치판(22)의 상면에는 실린더(23)를 구성한 후 실린더(23)의 로드(24)는 상기 파레트(11)의 걸림구멍(13)에 꼭 맞게 삽입될 수 있는 형상으로 구성하는 것이다.
그리고 일측의 설치판(22)에는 볼스크류하우징(30)을 구성한 후 서보모터(31)의 동력으로 회전하는 볼스크류(32)를 연결함으로서 서보모터(31)의 작용으로 회전장치(22) 모두가 이동가능토록 하였다.
이러한 기본적 구성에서 본 고안의 요부구성을 살펴보면, 설치판(22)의 상부에 실린더(23)를 설치함에 있어서 회전장치(25)를 구성한 후 회전장치(25)의 상부에 실린더(23)를 설치함으로써 회전장치에 의해 실린더(23)가 회전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러한 회전장치(25)의 구성예로는 회전실린더, 모터와 기어를 이용한 장치 등이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파레트(11)에서는 두가지 종류 이상의 소재 양단이 알맞게 안착될 수 있는 고정가이드(12)(12')를 두개 이상 구성하되, 서로 다른 고정가이드(12)(12')가 직각방향으로 교차되도록 구성함하면서 회전중심, 즉 로드(24)의 중심으로부터 동일한 거리를 가지게 함으로써 일측 방향의 고정가이드(12)에 소재(5)를 안착시킨 후 작업을 하다가 파레트(11)의 방향을 90도 간격으로 회전시키면 다른 방향으로 설치된 다른 종류의 소재를 고정시키는 고정가이드(12')가 처음의 고정가이드(12)가 위치하던 위치에 다다르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4개의 고정가이드(12)(12')를 대칭으로 형성할 경우 파레트(11)의 회전만으로 다른 고정가이드(12')가 작업수단(50)의 아래에 위치토록 할 수 있으나, 도 3과 같이 6개 이상의 고정가이드(12)(12')를 3개씩 배열할 경우 상기 선출원의 작용에와 같이 서보모터(31)의 작용으로 파레트(11)의 이송피치를 조절하면 모든 고정가이드(12)(12')를 사용할 수가 있는 것이다.
도면중 미 설명된 부호 6은 지지대, 7은 프레임이다.
이하 본 고안의 작용을 살펴본다.
본 고안의 조립기(1)는 공지된 것과 같이 소재(5)인 시트레일이 이동을 하면서 여러 단계의 작업공정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진다.
즉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레일을 정위치 시킨 다음 소재의 크기가 규정치수 이내 인지를 검사하는 공정, 양측으로 베어링을 삽입하는 공정, 베어링의 작동범위에 한계를 주도록 상하부레일의 일측에 엠보싱 작업을 하는 공정, 윤활유를 주입한 후 버니싱작업 공정, 작동력을 측정하는 공정, 타측에 다시 엠보싱을 하는 공정, 마킹공정, 배출공정 등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작용이 이루어지는 중에 각 파레트(11)에 소재(5)가 모두 안착된 상태, 즉 연속작업중인 상태를 기준으로 설명을 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파레트(11)의 고정가이드(12)에 소재(5)가 안착된 상태에서 작업수단(50)이 소재(5)에 작업을 가하는데, 이때는 실린더(23)의 로드(24)가 상승하여 파레트(11)의 걸림구멍(13)에 삽입이 된 상태이다.
작업이 완료되면 곧바로 파레트(11)가 이송을 하게 되는데, 서보모터(31)의 작용으로 볼스크류(32)가 회전을 하고 그에 따라 볼스크류하우징(30)이 결합된 회전장치(22)가 이송을 하므로 회전장치(22)에 설치된 실린더(23)가 이송을 하고, 결국 로드(24)에 결합된 파레트(11)가 이송을 하는 것이다.
서보모터(31)가 정해진 회전수 만큼 회전을 하면 파레트(11)는 다음의 작업수단(50)에 정확하게 정지를 하는데, 이러한 정지와 동시에 작업수단(50)이 작업을 시작하며, 작업이 이루어지는 동안 이송장치(20)는 복귀를 한다.
복귀하는 작용을 상세히 살펴보면, 파레트(11)가 정지되는 즉시 실린더(23)의 로드(24)가 하강하여 걸림구멍(13)으로부터 이탈이 되고 이탈과 동시에 서보모터(31)가 역회전을 하여 설치대(22)에 설치된 실린더(23)가 처음의 위치로 복귀되도록하며, 또한 실린더(23)가 작용하여 로드(24)가 다시 다음의 파레트(22)에 형성된 걸림구멍(13)에 삽입되게 하는 것이다.
상기의 상태로 다시 한번의 작업이 끝날 때까지 대기를 한다.
그리고 파레트(11)에 직각방향으로 설치된 다른 고정가이드(12')에 소재를 안착시켜 작업을 할 때는 맨앞의 회전장치(25)를 작동시켜 파레트(11)를 90도 회전시키면 다른 소재(5)의 작업을 할 수가 있는 것이고, 맨앞의 실린더(23)에서 파레트(11)를 회전시켜 주면 다음의 위치에서는 회전된 상태 그대로 파레트(11)가 이송되는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에 의하면, 한번의 작업이 끝난 후 소재(5)가 파레트(11)에 안착된 상태로 곧바로 수평이송을 하므로 이송에 따라 작업수단(50)이 대기하는 시간을 절약할 수가 있는 것이고, 파레트(11)는 이송대(10)에 의하여 정확하고 안정적으로 이송이 가능한 등 선출원에 의한 작용을 얻을 수 있다.
특히 본 고안에서는 파레트(11)에 두개 이상의 고정가이드(12)(12')를 구성하고 서보모터(31) 또는 회전장치(25)를 조절하면 작업의 변경도 신속하고 용이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한가지 종류의 소재를 작업하다가 다른 종류의 소재를 작업할 때 간단한 동작만으로 작업을 변경할 수 있으므로 그러한 작업변경에 따른 시간과 인력을 절감하여 생산능률의 향상을 이룩할 수 있고, 파레트에 6개 이상의 고정가이드를 구성하더라도 서보모터의 조절과 회전장치의 작동으로 모두 사용할 수 있으므로 많은 종류의 소재를 작업할 수 있게 되는 등 자동차 부품산업의 발전에 크게 기여할 수 있는 고안이라 할 수 있다.

Claims (2)

  1. 조립기(1)의 베이스(2) 상부 일정높이에 이송대(10)를 연속 설치하고, 이송대(10)의 위에는 소재(5)를 고정시키는 고정가이드(12)가 구성되고 걸림구멍(13)이 있는 파레트(11)를 연속으로 얹으며,
    그 하단에는 이송수단(20)을 구성하되, 베이스(2) 상면에 LM가이드(21)를 설치한 후 그 위에는 설치판(22)을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하며,
    각 설치판(22)의 상면에는 실린더(23)를 구성한 후 로드(24)가 걸림구멍(13)에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일측의 설치판(22)에는 볼스크류하우징(30)을 구성한 후 서보모터(31)의 동력으로 회전하는 볼스크류(32)를 연결함으로서 서보모터(31)의 작용으로 설치판(22) 모두가 이동가능토록 하고,
    맨앞의 설치판(22)에는 회전장치(25)를 구성한 후 회전장치(25)에 실린더(23)를 설치하여 실린더(23)가 회전할 수 있도록 하며,
    파레트(11)에는 직각방향으로 각기 다른 종류의 소재를 안착시킬 수 있는 고정가이드(12)(12')를 파레트(11)의 중심으로부터 동일한 거리에 교차되게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레일 조립기의 소재 이송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파레트(11)에 설치되는 고정가이드(12)(12')는 직각방향으로 교차하도록 각각 3개 이상을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레일 조립기의 소재 이송장치.
KR2020020022718U 2002-07-30 2002-07-30 자동차용 시트레일 조립기의 소재 이송장치 KR20029309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2718U KR200293093Y1 (ko) 2002-07-30 2002-07-30 자동차용 시트레일 조립기의 소재 이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2718U KR200293093Y1 (ko) 2002-07-30 2002-07-30 자동차용 시트레일 조립기의 소재 이송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3093Y1 true KR200293093Y1 (ko) 2002-10-25

Family

ID=731267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2718U KR200293093Y1 (ko) 2002-07-30 2002-07-30 자동차용 시트레일 조립기의 소재 이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309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7974B1 (ko) 2016-11-30 2017-12-12 (주) 신형테크 자동차 시트레일 자동 조립기용 레일 공급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7974B1 (ko) 2016-11-30 2017-12-12 (주) 신형테크 자동차 시트레일 자동 조립기용 레일 공급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396835B (zh) 一种高精度挂锁自动组装机
KR100579368B1 (ko) 서보 트랜스퍼를 이용한 다 차종 용접장치
JP6070427B2 (ja) 圧入装置
JPH06262456A (ja) 循環式自動組立ワークステーション装置
JP2003251533A (ja) 組付部品の圧入装置
CN211366703U (zh) 适用于多车型生产的车身转载系统
JP3797445B2 (ja) トランスファフィーダのリフト、クランプ装置
KR200293093Y1 (ko) 자동차용 시트레일 조립기의 소재 이송장치
KR100449955B1 (ko) 자동차용 시트레일 조립기의 소재 이송방법 및 장치
US20020094251A1 (en) Linear blind broaching machine
CN102773691A (zh) 发动机缸盖自动拧紧机
KR200293092Y1 (ko) 자동차용 시트레일 조립기의 소재 이송장치
CN107265071B (zh) 一种物料搬运流水线
KR100801113B1 (ko) 자동차 도어 웨더스트립 결합바의 펀칭 및 벤딩 동시성형기
CN208699889U (zh) 一种随行工装板的自动定位装置
KR102017144B1 (ko) 작업물의 방향 전환 수단이 구비된 컨베이어 장치
JP3886396B2 (ja) ワーク位置決め装置
KR200286443Y1 (ko) 자동차용 시트레일 조립기의 소재 이송장치
JP5332790B2 (ja) 曲げ加工装置
JPH02243238A (ja) 多列ワークガイドのガイド巾調整装置
CN114082839B (zh) 一种卷制轴套自动整形翻边机
CN1924144A (zh) 圆头锁眼缝纫机的切布装置
CN217941933U (zh) 一种汽车车门铰链孔口倒角机
CN217393560U (zh) 一种可拆卸定位上料机构及冲切设备
KR200183924Y1 (ko) 차체 부품의 자동 공급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922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