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66945B1 - 복합파이프의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복합파이프의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66945B1
KR100266945B1 KR1019980016004A KR19980016004A KR100266945B1 KR 100266945 B1 KR100266945 B1 KR 100266945B1 KR 1019980016004 A KR1019980016004 A KR 1019980016004A KR 19980016004 A KR19980016004 A KR 19980016004A KR 100266945 B1 KR100266945 B1 KR 1002669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metal
metal pipe
inner plastic
plastic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60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06415A (ko
Inventor
이명형
박삼우
Original Assignee
박삼우
하이프라정밀공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19970067065A external-priority patent/KR19990048392A/ko
Application filed by 박삼우, 하이프라정밀공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박삼우
Priority to KR10199800160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66945B1/ko
Priority to CN98123118A priority patent/CN1108917C/zh
Priority to JP10349206A priority patent/JP2995626B2/ja
Publication of KR199900064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64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69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694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1/00Manufacture of metal sheets, metal wire, metal rods, metal tubes by drawing
    • B21C1/16Metal drawing by machines or apparatus in which the drawing action is effected by other means than drums, e.g. by a longitudinally-moved carriage pulling or pushing the work or stock for making metal sheets, bars, or tubes
    • B21C1/22Metal drawing by machines or apparatus in which the drawing action is effected by other means than drums, e.g. by a longitudinally-moved carriage pulling or pushing the work or stock for making metal sheets, bars, or tubes specially adapted for making tubular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00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 B21D5/06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by drawing procedure making use of dies or forming-rollers, e.g. making profiles
    • B21D5/10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by drawing procedure making use of dies or forming-rollers, e.g. making profiles for making tubes
    • B21D5/12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by drawing procedure making use of dies or forming-rollers, e.g. making profiles for making tubes making use of forming-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01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 B29C48/0021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combined with joining, lining or lamin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3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extruded material at extrusion
    • B29C48/09Articles with cross-sections having partially or fully enclosed cavities, e.g. pipes or chan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Rigid Pipes And Flexible Pi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합파이프(Composite pipe)의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플라스틱파이프와 금속파이프를 기밀하게 접합시킬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압출기에 의하여 성형된 내부플라스틱파이프의 주연에 금속파이프를 성형하기 위하여 공급되는 금속띠를 다이에 형성된 안내홈에 의하여 점차적으로 굽어지면서 단면이 원형으로 되어 내부플라스틱파이프의 주연에 금속파이프가 성형되도록 하는 금속파이프 성형수단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금속파이프의 성형수단에 의하여 내부플라스틱파이프의 주연에 금속파이프가 성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금속띠의 양측단면을 맞대기 용접수단에 의하여 맞대기 용접하며, 상기 용접수단에 의하여 금속띠의 양측단면을 맞대기 용접한 상태에서는 성형된 금속파이프가 내부플라스틱파이프의 주면에 밀착되도록 하기 위하여 금속파이프를 인발함으로서 연신되어 금속파이프의 내경이 작아짐에 따라 금속파이프가 내부플라스틱파이프에 밀착되도록 하는 금속관 인발수단과, 상기 인발수단에 의하여 금속파이프가 내부플라스틱파이프에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금속파이프의 외주면에 외부플라스틱파이프를 압출기에 의하여 성형하는 외부플라스틱파이프 성형수단으로 이루어짐으로 인하여 내부플라스틱파이프의 주연에 성형되는 금속파이프가 밀착되도록 함으로서 복합파이프를 제조함에 있어서 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복합파이프의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본 발명은 복합파이프(Composite pipe)의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플라스틱파이프와 금속파이프를 기밀하게 접합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복합파이프는 플라스틱파이프와 금속파이프가 2층 또는 3층의 구조로 이루어진 파이프를 의미한다.
종래의 복합파이프 제조시스템을 도1의 제조시스템 블록도에 의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내부플라스틱파이프를 성형하는 성형장치를 보면, 압출기에 의하여 플라스틱을 압출하여 내부플라스틱파이프(Ip)로 성형하는 플라스틱파이프 성형수단(1)과, 상기 플라스틱파이프 성형수단(1)에 의하여 얻어진 내부플라스틱파이프(Ip)를 냉각기에 의하여 냉각하는 냉각수단(2)과, 상기 냉각수단(2)에 의하여 냉각된 내부플라스틱파이프(Ip)를 인발기에 의하여 당겨주는 인발수단(3)과, 상기 인발수단(3)에 의하여 당겨진 내부플라스틱파이프(Ip)를 권취기에 의하여 권취롤에 감아주는 권취수단(4)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권취수단(4)에 의하여 권취롤에 감겨진 내부플라스틱파이프(Ip)를 파이프성형기에 공급하는 플라스틱파이프 공급수단(5)과, 상기 플라스틱파이프 공급수단(5)에 의하여 내부플라스틱파이프(Ip)를 공급할 때 외부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공급함과 더불어, 상기 내부플라스틱파이프(Ip)의 외부에 감싸여져 금속파이프(Mp)가 성형되도록 하기 위하여 권취롤에 감겨진 금속띠(Ms)를 풀어 파이프성형기에 공급하는 금속띠 공급수단(6)과, 상기 금속띠 공급수단(6)에 의하여 공급되는 금속띠(Ms)를 롤(R)에 의하여 점차적으로 굽어지면서 원형이 되도록 하는 금속띠 굽힘수단(7)과, 상기 금속띠 굽힘수단(7)에 의하여 점차적으로 굽혀저 파이프형태를 이루면서 내부플라스틱파이프(Ip)의 주연에 금속파이프(Mp)가 성형되도록 하는 금속파이프 성형수단(8)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상기 금속파이프(Mp)의 성형수단(8)에 의하여 내부플라스틱파이프(Ip)의 주연에 금속파이프(Mp)가 성형되는데, 이때 내부플라스틱파이프(Ip)위에 성형되는 금속파이프(Mp)가 밀착되도록 금속띠(Ms)의 양측단면을 맞대기 용접하기가 용이하도록 금속띠(Ms)의 양측단면을 슬릿터로 절삭하는 절삭수단(9)과, 상기 절삭수단(9)에 의하여 절삭된 금속띠(Ms)의 양측단면을 맞대기 한 후 맞대기 한 부분을 용접하는 맞대기 용접수단(10)과, 상기 용접수단(10)에 의하여 성형된 금속파이프(Mp)위에 압출기에 의하여 외부플라스틱파이프(Op)를 압출기에 의하여 성형하는 외부플라스틱파이프 성형수단(11)과, 상기 외부플라스틱파이프 성형수단(11)에 의하여 얻어진 복합파이프(Cp)를 권취롤에 권취하는 복합파이프 권취수단(12)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복합파이프(Cp)는 내부플라스틱파이프(Ip)와, 금속파이프(Mp)와, 외부플라스틱파이프(Op)로 이루어진 3층 구조를 갖춘 것이다.
이와 같은 종래의 복합파이프(C)의 제조시스템은 도3과 같이 금속파이프(Mp)를 성형하기 위하여 금속띠(Ms)가 롤(R)에 의하여 차차로 굽혀지면서 금속파이프가 성형되는데, 이때 성형된 금속파이프(Mp)가 롤(R)에 의하여 내부플라스틱파이프(Ip)의 외면에 밀착되도록 하였으나, 밀착상태가 완벽하지 못한 문제와 이로 인하여 금속파이프(Mp)의 외면에 외부플라스틱파이프(Op)의 성형이 원만하지 못하기 때문에 복합파이프(Cp)의 상품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금속파이프(Mp)을 성형할 때 금속띠(Ms)의 양측단면을 맞대기하여 맞대기 용접을 하는데, 이때 맞대기가 잘 되도록 하기 위하여 금속띠(Ms)의 양단을 슬릿터에 의하여 절삭작업을 해야 하는 절삭수단이 필요로 하고, 또한 절삭에 의하여 발생된 칩으로 인하여 금속파이프(Mp)위에 외부플라스틱파이프(Op)를 성형시 외부플라스틱파이프(Op)가 완전하게 밀착되지 못하기 때문에 불량품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압출기에 의하여 성형된 내부플라스틱파이프의 주연에 금속파이프를 성형하기 위하여 공급되는 금속띠를 다이에 형성된 안내홈에 의하여 점차적으로 굽어지면서 단면이 원형이 되어 내부 플라스틱파이프의 주연에 금속파이프가 성형되도록 하는 금속파이프 성형수단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금속파이프의 성형수단에 의하여 내부플라스틱파이프의 주연에 금속파이프가 성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금속띠의 양측단면을 맞대기 용접수단에 의하여 맞대기 용접하며, 상기 용접수단에 의하여 금속띠의 양단면을 맞대기 용접한 상태에서는 성형된 금속파이프가 내부플라스틱파이프의 주면에 밀착되도록 하기위하여 금속파이프를 인발함으로서 금속파이프내경이 작아짐에 따라 금속파이프가 내부플라스틱파이프에 밀착되도록 하는 금속파이프 인발수단과, 상기 인발수단에 의하여 금속파이프가 내부플라스틱파이프에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금속파이프의 외주면에 외부플라스틱파이프를 압출기에 의하여 성형하는 외부플라스틱파이프 성형수단으로 이루어짐으로 인하여, 플라스틱파이프와 금속파이프가 밀착되도록 함으로서 복합파이프를 제조함에 있어서 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구조를 간단히 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목적을 이루고자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복합파이프의 제조방법은 압출기에 의하여 성형된 내부플라스틱파이프의 주연에 금속파이프를 성형하기 위하여 공급되는 금속띠를 다이에 형성된 안내홈에 의하여 점차적으로 굽어지면서 단면이 원형이 되어 내부플라스틱파이프의 주연에 금속파이프가 성형되도록 하는 금속파이프 성형단계과, 상기 금속파이프의 성형단계에 의하여 내부플라스틱파이프의 주연에 금속파이프가 성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금속띠의 양측단면을 맞대기 용접하는 용접단계와, 상기 용접단계에 의하여 금속띠의 양단면을 맞대기 용접한 상태에서는 성형된 금속파이프가 내부플라스틱파이프의 주면에 밀착되도록 하기 위하여 금속파이프를 인발함으로서 금속파이프의 내경이 작아짐에 따라 금속파이프가 내부플라스틱파이프의 외경에 밀착되도록 하는 금속관 인발단계와, 상기 인발단계에 의하여 금속파이프가 내부플라스틱파이프에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금속파이프의 외주면에 외부플라스틱파이프를 압출기에 의하여 성형하는 외부플라스틱파이프 성형단계로 이루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서, 내부플라스틱파이프에 금속파이프가 밀착이 잘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제1도는 종래 복합파이프의 제조시스템의 블록도.
제2도는 복합파이프의 종단면도.
제3도는 종래 복합파이프의 제조시스템 중 금속파이프 성형시스템의 평면도.
제4a,b,c도는 제3도의 A-A선, B-B선, C-C선 단면도.
제5도는 본 발명 복합파이프의 제조시스템의 블록도.
제6도는 본 발명 금속파이프를 성형하는 다이의 종단면도.
제7a,b,c도는 제6도의 A-A선, B-B선, C-C선 단면도.
제8도는 본 발명 금속파이프의 성형과정에 금속띠의 양측단면의 맞대기 부분을 가압롤로 고르게 하는 상태의 정면도.
제9도 인발수단의 안내다이를 절단한 종단면도.
제10도는 제9도의 점선내 확대도.
제11도는 본 발명에서 금속파이프를 인발하는 인발부재의 사시도.
제12도는 제9도의 A-A 선 단면도.
제13도는 안내다이에 형성된 급유홈과 세척홈을 보인 단면도.
제14도는 본 발명 복합파이프 제조방법의 플로우챠트.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7 : 금속파이프 성형수단 108 : 용접수단
109 : 금속파이프 인발수단 202 : 안내다이
203, 204, 205 : 인발부재 206 : 지지부재
208, 209 : 호형 안내면 Ip : 내부플라스틱파이프
Ms : 금속띠 Mp : 금속파이프
Op : 외부플라스틱파이프 PR : 가압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중 도5의 블록도에 의하여 제조장치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압출기에 의하여 플라스틱을 압출하여 내부플라스틱파이프(Ip)를 성형하는 내부플라스틱파이프 성형수단(101)에 의하여 성형되는데, 상기 성형수단(101)에 의하여 성형된 내부플라스틱파이프(Ip)는 후술하는 금속파이프(Mp)의 산화 및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공기를 차단하는 물질로서 가교된(Cross-Linked) 폴리에틸렌과 고밀도 폴리에틸렌 중 하나로 성형된다.
상기 내부플라스틱파이프 성형수단(101)에 의하여 얻어진 내부플라스틱파이프(Ip)를 냉각기에 의하여 냉각하는 냉각수단(102)과, 상기 냉각수단(102)에 의하여 냉각된 내부플라스틱파이프(Ip)를 인발기에 의하여 당겨주는 인발수단(103)과, 상기 인발수단(103)에 의하여 당겨진 내부플라스틱파이프(Ip)를 권취기에 의하여 권취롤에 감아주는 권취수단(104)으로 구성되어진다.
이와 같이 권취수단(104)에 의하여 권취롤에 감겨진 내부플라스틱파이프(Ip)를 파이프성형기에 공급하는 내부플라스틱파이프 공급수단(105)과, 상기 내부플라스틱파이프 공급수단에 의하여 내부플라스틱파이프(Ip)를 공급할 때 외부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공급함과 더불어 상기 내부플라스틱파이프(Ip)의 외부에 감싸여저 금속파이프(Mp)가 성형되도록 하기 위하여 권취롤에 감겨진 금속띠(Ms)를 풀어 파이프성형기에 공급하는데, 상기 금속띠(Ms)는 알루미늄판인데 상기 금속띠(Ms)를 공급하는 금속띠 공급수단(106)으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금속띠 공급수단(106)에 의하여 공급되는 금속띠(Ms)를 다이(D)에 형성된 안내홈(201)에 의하여 점차적으로 굽어지면서 단면이 원형이 되어 내부플라스틱파이프(Ip)의 주연에 금속파이프(Mp)가 성형되도록 하는 금속파이프 성형수단(107)으로 구성되어진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금속파이프(Mp)의 성형수단(107)에 의하여 내부플라스틱파이프(Ip)의 주연에 금속파이프(Mp)가 성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금속띠(Ms)의 양측단면을 맞대어 놓고 용접기에 의하여 맞대기 부분을 용접하는 맞대기 용접수단(108)으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용접수단(108)에 의하여 금속띠(Ms)의 양단면을 맞대기 용접한 상태에서는 성형된 금속파이프(Mp)는 내부플라스틱파이프(Ip)의 주면에 밀착된 상태가 아니다.
따라서, 금속파이프(Mp)가 내부플라스틱파이프(Ip)에 밀착되도록 하기 위하여 금속파이프(Mp)를 인발함으로서 금속파이프(Mp)가 연신되어 내경이 작아짐에 따라 금속파이프(Mp)가 내부플라스틱파이프(Ip)의 외경에 밀착되도록 하는 금속관 인발수단(109)으로 구성되어진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인발수단에 의하여 금속파이프(Mp)가 내부플라스틱파이프(Ip)의 외경에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금속파이프(Mp)의 외주면에 외부플라스틱파이프(Op)를 압출기에 의하여 성형하는 외부플라스틱파이프 성형수단(110)과, 상기 외부플라스틱파이프 성형수단(110)에 의하여 성형된 복합파이프(Cp)를 권취롤에 권취하는 복합파이프 권취수단(111)으로 구성되어진 것이다.
상기 외부플라스틱파이프(Op)는 가교된 폴리에틸렌과 고밀도 폴리에틸레 중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한다.
그리고, 상기 금속파이프성형수단(107)에 의하여 내부플라스틱파이프(Ip)위에 금속파이프(Mp)가 성형되도록 하는 금속띠(Ms)의 양측단면이 맞대기 된 부분를 나란하게 하여 용접이 용이하도록 맞대기 부분을 가압롤(PR)로 압력을 가하였다.
그리고, 금속파이프(Mp)를 내부플라스틱파이프(Ip)에 밀착되게 성형시키기 위하여 금속파이프(Mp)가 안내다이(202)를 통과하도록 당겨주는 인발수단(109)은 다음과 같다.
즉, 상기 인발수단(109)은 도6과 같이 다이(D)를 통과하여 성형되어 용접수단(108)에 의하여 용접되어진 금속파이프(Mp)가 도9와 같이 안내다이(202)를 통과하는데, 상기 안내다이(202)의 통과는 캐터필러에 의하여 당겨지면서 상기 안내다이(202)내에 장착된 인발부재를 통과하면서 연신된다.
상기 인발부재는 안내다이(202)내에 제1인발부재(203)와, 제2인발부재(204)와, 제3인발부재(205)가 차례로 설치되어져 있으며, 상기 인발부재의 안내홈을 통과하면서 금속파이프가 연신되어 내부플라스틱파이프에 밀착되면서 복합파이프의 성형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인발부재는 제1인발부재(203)에 형성된 인발홈(203')의 직경(D1)보다 제2인발부재(204)에 형성된 인발홈(204')의 직경(D2)이 더 작고, 또한 상기 제2인발부재(204)에 형성된 인발홈(204')의 직경(D2)보다 제3인발부재(205)에 형성된 인발홈(205')의 직경(D3)이 작게 구성되었다.
그리고, 상기 안내다이(202)에 장착되는 제1인발부재(203)와, 제2인발부재(204)와, 제3인발부재(205)는 외주연에 안내다이(202)에 장착된 지지부재(206)에 결합되는 돌출부(203"),(204"),(205")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인발부재는 내부플라스틱파이프(Ip)의 외부에 형성된 금속파이프(Mp)가 통과되도록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인발부재에 형성된 인발홈은 통과하는 금속파이프(Mp)와 적절한 마찰이 발생되도록 하기 위하여 인발홈의 면이 매끄러운 표면을 갖도록 탄소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재(206)는 안내다이(202)에 장착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고정볼트(207)에 의해 고정되어져 있다.
그리고, 도10과 같이 상기 제1인발부재(203)와, 제2인발부재(204)와, 제3인발부재(205)의 전면에는 금속파이프(Mp)의 원활한 이동을 위하여 호형의 안내면(208)이 형성되고, 상기 안내다이(202)에도 금속파이프(Mp)가 원활하게 이동되도록 안내면(209)이 형성되어져 있다.
그리고, 도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파이프(Mp)가 안내다이(202)에 장착된 인발부재를 통과할 때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급유펌프(210)에 의하여 공급되는 인발유를 금속파이프(Mp)의 표면에 공급하여 주는 급유홈(210')이 안내다이(202)에 형성되고, 상기 급유홈(210')에는 이동되는 금속파이프(Mp)가 원활히 이동되도록 호형의 안내면(211)이 구성되어져 있다.
그리고, 성형된 금속파이프(Mp)에 묻은 인발유를 제거하기 위하여 세척펌프(212)에 의하여 공급되는 세척수를 공급하여 주는 세척홈(213)이 안내다이(202)에 구성되어져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복합파이프의 제조장치에 의한 본 발명의 제조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4는 본 발명의 복합파이프의 제조방법에 대한 플로우챠트로서, S는 단계(STEP)를 표시한다.
압출기에 의하여 플라스틱을 압출하여 내부플라스틱파이프(Ip)를 성형하는 내부플라스틱파이프 성형수단(101)에 의하여 성형된 내부플라스틱파이프(Ip)를 냉각수단(102)인 냉각기로 냉각하고, 상기와 같이 냉각된 내부플라스틱파이프(Ip)를 인발수단(103)인 인발기에 의하여 당겨 권취수단(104)인 권취기에 의하여 권취롤에 감아주는 권취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에 있어서, 먼저, 내부플라스틱파이프 공급단계(S1)은 권취롤에 권취된 내부플라스틱파이프(Ip)를 풀어 금속파이프 성형수단(107) 까지 이동시켜 주는 것이다.
그리고, 금속띠 공급단계(S2)는 롤에 감겨진 금속띠(Ms)를 풀어 금속파이프성형수단(107) 까지 이동시켜 주는 것이다.
그리고, 금속파이프 성형단계(S3)는 상기와 같이 공급된 내부플라스틱파이프(Ip)가 도6과 같이 금속파이프 성형수단인 다이(D)내를 통과시킴과, 더불어 금속띠공급단계(S2)에 따라 공급된 금속띠(Ms)가 다이(D)에 형성된 안내홈(201)에 의하여 점차적으로 굽어지면서 단면이 원형이 되어 내부플라스틱파이프(Ip)의 주연에 금속파이프(Mp)가 성형되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금속파이프 용접단계(S4)는 상기 금속파이프(Mp)의 성형수단(107)에 의하여 내부플라스틱파이프(Ip)의 주연에 금속파이프(Mp)가 성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금속띠(Ms)의 양단면을 맞대어 놓고 용접기에 의하여 맞대기 부분을 용접하느 것이다.
그리고, 금속파이프 인발단계(S5)는 금속파이프 성형단계(S3)에 의하여 성형된 금속파이프(Mp)는 내부플라스틱파이프(Ip)의 주면에 밀착된 상태가 아니다.
따라서, 금속파이프(Mp)가 내부플라스틱파이프(Ip)에 밀착되도록 하기 위하여 금속파이프(Mp)를 인발함으로서 금속파이프(Mp)의 내경이 작아짐에 따라 금속파이프(Mp)가 내부플라스틱파이프(Ip)에 밀착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금속파이프 인발단계(S5)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6과 같이 다이(D)를 통과하여 성형되어 용접수단(108)에 의하여 용접되어진 금속파이프(Mp)가 도9와 같이 안내다이(202)를 통과하는데, 상기 안내다이(202)의 통과는 캐터필러에 의하여 당겨지면서 상기 안내다이(201)내에 장착된 인발부재를 통과한다.
상기 인발부재는 제1인발부재(203)와, 제2인발부재(204)와, 제3인발부재(205)가 차례로 설치되어져 있으며, 상기 인발부재를 차례로 통과하면서 금속파이프가 내부플라스틱파이프에 밀착되면서 복합파이프의 성형이 이루어지는데, 이때 인발부재를 차례로 통과할 때 금속파이프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급유펌프의 가동으로 인발유가 급유홈을 통하여 금속파이프의 외면에 분사되기 때문에 성형되는 금속파이프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상기 인발부재는 제1인발부재(203)에 형성된 인발홈(203')의 직경(D1)보다 제2인발부재(204)에 형성된 인발홈(204')의 직경(D2)이 더 작고, 또한 상기 인발부재(204)에 형성된 인발홈(204')의 직경(D2)보다 제3인발부재(205)에 형성된 인발홈(205')의 직경(D3)이 작게 구성되어졌기 때문에 상기 금속파이프(Mp)가 상기 제1인발부재(203)와 제2인발부재(204)와 제3인발부재(204)를 통과하면서 연신되어 금속파이프(Mp)의 내경이 작아지면서 내부플라스틱파이프(Ip)의 주면에 밀착되는 것이다.
그리고, 세척단계(S6)는 상기 금속파이프 인발단계(S5)에서 공급되어 묻은 인발유를 제거하는 것으로서, 성형된 금속파이프(Mp)에 묻은 인발유가 세척펌프(212)에 의하여 공급되는 세척수가 세척홈(213)을 통하여 공급됨으로서 세척하는 것이다.
그리고, 외부플라스틱파이프 성형단계(S7)는 상기 인발단계에 의하여 금속파이프(Mp)가 내부플라스틱파이프(Ip)에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금속파이프(Mp)의 외주면에 플라스틱을 압출기에 의하여 압출하여 성형하는 외부플라스틱파이프(Op)가 성형되어 복합파이프(Cp)가 성형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성형된 복합파이프(Cp)는 가열로를 통과하면서 접착제(A)가 용융되어 플라스틱파이프와 금속파이프와의 접합이 긴밀하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그리고, 복합파이프 권취단계(S8)는 상기 외부플라스틱파이프 성형수단(110)에 의하여 성형된 복합파이프(Cp)를 권취롤에 권취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복합파이프는 권취단계에 의하여 롤에 권취되거나 절단수단에 의하여 일정 길이로 절단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복합파이프의 제조장치에 의하면 구조가 간단할 뿐만 아니라 금속파이프와 플라스틱파이프와의 밀착이 잘 되기 때문에 기밀하게 접착시킬 수 있다.
따라서, 성형된 복합파이프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매우 뛰어난 효과가 있고, 제조장치가 간단하게 구성됨으로서 제조장치의 원가를 낮출 수 있으며, 또한 제조장치의 설치가 용이하고 간단하게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하여 제조된 복합파이프는 제조가 용이하고 간단하여 생산성을 향상할 수 있고 제품의 불량을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4)

  1. 압출기에 의하여 성형되어 롤에 권취된 내부플라스틱파이프(Ip)와 롤에 감겨진 금속띠(Ms)를 금속파이프 성형기에 공급하는 공급수단과, 상기 공급수단에 의하여 공급된 금속띠(Ms)가 다이(D)에 의하여 공급된 내부플라스틱파이프(Ip)를 감싸면서 금속파이프(Mp)가 성형되도록 하는 금속파이프 성형수단에 있어서, 상기 금속파이프 성형수단에 의하여 금속파이프(Mp)가 성형되도록 금속띠(Ms)의 양측단면을 용접기에 의하여 용접하여 주는 용접수단과, 상기 용접수단에 의하여 성형된 금속파이프(Mp)가 내부플라스틱파이프(Ip)의 주면에 밀착되게 하기 위하여 인발부재(202)를 통과하도록 캐터필러로 당겨 금속파이프(Mp)가 연신되도록 하는 금속파이프 인발수단과, 상기 금속파이프 인발수단에 의하여 성형된 금속파이프(Mp)가 당겨지면서 연신되어 내부플라스틱파이프(Ip)에 밀착된 상태에서 금속파이프(Mp)위에 외부플라스틱파이프(Op)가 압출기에 의하여 성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파이프 제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파이프 성형수단에 의하여 금속파이프(Mp)가 성형될 때 금속띠(Ms)의 양측단면이 맞대기가 잘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맞대기 부분을 눌러주는 가압롤(PR)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파이프 제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파이프 인발수단은 안내다이(202)내에 제1인발부재(203)와, 제2인발부재(204)와, 제3인발부재(205)가 차례로 설치되고, 상기 제1인발부재(203)에 형성된 인발홈(203')의 직경(D1)보다 제2인발부재(204)에 형성된 인발홈(204')의 직경(D2)이 더 작고, 또한 상기 제2인발부재(204)에 형성된 인발홈(204')의 직경(D2)보다 제3인발부재(205)에 형성된 인발홈(205')의 직경(D3)이 작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파이프 제조장치.
  4. 압출기에 의하여 성형되어 롤에 권취된 내부플라스틱파이프(Ip)와 롤에 감겨진 금속띠(Ms)를 금속파이프 성형기에 공급하는 공급단계와, 상기 공급단계에 의하여 공급된 금속띠(Ms)가 다이(D)에 의하여 공급된 내부플라스틱파이프(Ip)를 감싸면서 금속파이프(Mp)가 성형되도록 하는 금속파이프 성형단계에 있어서, 상기 금속파이프 성형단계에 의하여 금속파이프(Mp)가 성형되도록 금속띠(Ms)의 양측단면을 용접기에 의하여 용접하여 주는 용접단계와, 상기 용접단계에 의하여 성형된 금속파이프(Mp)가 내부플라스틱파이프(Ip)의 주면에 밀착되게 하기 위하여 인발부재(202)를 통과하도록 캐터필러로 당겨 금속파이프(Mp)가 연신되도록 하는 금속파이프 인발단계와, 상기 금속파이프 인발단계에 의하여 성형된 금속파이프(Mp)가 당겨지면서 연신되어 내부플라스틱파이프(Ip)에 밀착된 상태에서 금속파이프(Mp)위에 외부플라스틱파이프(Op)가 압출기에 의하여 성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파이프 제조방법.
KR1019980016004A 1997-12-09 1998-05-04 복합파이프의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02669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6004A KR100266945B1 (ko) 1997-12-09 1998-05-04 복합파이프의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CN98123118A CN1108917C (zh) 1997-12-09 1998-12-07 复合管制造设备及制造工艺
JP10349206A JP2995626B2 (ja) 1997-12-09 1998-12-09 複合パイプの製造装置及び製造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7065A KR19990048392A (ko) 1997-12-09 1997-12-09 복합파이프의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9970067065 1997-12-09
KR97-67065 1997-12-09
KR1019980016004A KR100266945B1 (ko) 1997-12-09 1998-05-04 복합파이프의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6415A KR19990006415A (ko) 1999-01-25
KR100266945B1 true KR100266945B1 (ko) 2000-09-15

Family

ID=266332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6004A KR100266945B1 (ko) 1997-12-09 1998-05-04 복합파이프의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995626B2 (ko)
KR (1) KR100266945B1 (ko)
CN (1) CN1108917C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9076B1 (ko) 2007-01-12 2008-01-28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레이저 용접을 이용한 이종파이프의 접합방법
KR102149363B1 (ko) * 2019-12-16 2020-08-28 조재훈 복합관 압착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15173A (ja) * 1999-10-14 2001-04-24 Kinki Kankyo Kosan Kk 廃棄物を用いたセメント焼成用補助燃料組成物
KR20030004242A (ko) * 2002-12-05 2003-01-14 박진하 개선된 복합파이프 제조방법 및 그 장치
CN100427291C (zh) * 2005-01-17 2008-10-22 上海逸安实业有限公司 包覆有包覆材料层的复合型材的制造方法及其专用模具
JP4575192B2 (ja) * 2005-02-24 2010-11-04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複合管の製造方法
CN102873127A (zh) * 2012-10-17 2013-01-16 夏雨 一种复合层金属管道的制备方法
CN109225756A (zh) * 2018-11-05 2019-01-18 福建亚通新材料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复合管保护层涂覆生产线
CN110756615A (zh) * 2019-10-09 2020-02-07 南京晨光复合管工程有限公司 一种拉拔式内衬管成型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9076B1 (ko) 2007-01-12 2008-01-28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레이저 용접을 이용한 이종파이프의 접합방법
KR102149363B1 (ko) * 2019-12-16 2020-08-28 조재훈 복합관 압착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6415A (ko) 1999-01-25
CN1108917C (zh) 2003-05-21
CN1219466A (zh) 1999-06-16
JPH11245277A (ja) 1999-09-14
JP2995626B2 (ja) 1999-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9500196A (ja) スチールストリップによって補強されたプラスチック排水管を作成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機器ならびにスチールによって補強されたプラスチック排水管
KR100266945B1 (ko) 복합파이프의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JP4357261B2 (ja) 導管及びその製造方法
JP2742330B2 (ja) 電気融着継手
US387407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soft metal sheaths for electrical wires
US6588456B2 (en) Pressure-resistant hose using polyethylene fabrics
CN1140399C (zh) 铝塑复合管的制作方法及铝管定径对缝装置
JPH07302519A (ja) 光ファイバ複合架空電線及び二重管製造方法
KR20000066508A (ko) 복합파이프의 제조장치에 있어서 접합장치
KR200255824Y1 (ko) 나선형 홈을 맨드렐 세그멘트 표면에 갖는 코일 권취기
JP2938899B2 (ja) 合成樹脂管の製造方法及びその製造装置
JP2603981B2 (ja) 光ファイバユニット入りアルミニウム管の製造方法
JPH06280070A (ja) メタルコルゲートシースケーブルの製造方法
JPH07178816A (ja) 既設管路の修理に用いるインサート樹脂管およびその修理工法
JP4842053B2 (ja) 管路の内張り材の製造方法
KR19990048392A (ko) 복합파이프의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JP2006187879A (ja) 長尺ゴム製品連続加硫法
KR960016301B1 (ko) 주름관제작용 2중박육관의 제조방법과 그 장치
KR100740259B1 (ko) 하수관 연결용 발열부재와 이를 이용한 연결구 및 그제조장치
CN105817747A (zh) 一种强化钢塑复合管材成型环缝氩弧焊接机
KR200327860Y1 (ko) 돌출과 암 플랜지를 이용한 합성수지관 연결구
GB2364014A (en) Hose assembly
JPS59174337A (ja) ゴムホ−スの製造方法
JP3560383B2 (ja) 多重巻金属管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装置
SU749674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изготовлени термопластичных труб,плакированных тканью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pub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63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