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66392B1 - 핸디라벨러 - Google Patents

핸디라벨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66392B1
KR100266392B1 KR1019980700563A KR19980700563A KR100266392B1 KR 100266392 B1 KR100266392 B1 KR 100266392B1 KR 1019980700563 A KR1019980700563 A KR 1019980700563A KR 19980700563 A KR19980700563 A KR 19980700563A KR 100266392 B1 KR100266392 B1 KR 1002663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bel
manual lever
hook
tip
pri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05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35902A (ko
Inventor
끼요유끼 세끼네
Original Assignee
와다 타까히꼬
가부시기가이샤 신세이 인더스트리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와다 타까히꼬, 가부시기가이샤 신세이 인더스트리즈 filed Critical 와다 타까히꼬
Publication of KR199900359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59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63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639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CLABELLING OR TAGGING MACHINES, APPARATUS, OR PROCESSES
    • B65C11/00Manually-controlled or manually-operable label dispensers, e.g. modified for the application of labels to articles
    • B65C11/02Manually-controlled or manually-operable label dispensers, e.g. modified for the application of labels to articles having printing equipment
    • B65C11/0205Manually-controlled or manually-operable label dispensers, e.g. modified for the application of labels to articles having printing equipment modified for the application of labels to articles
    • B65C11/021Manually-controlled or manually-operable label dispensers, e.g. modified for the application of labels to articles having printing equipment modified for the application of labels to articles label feeding from strips
    • B65C11/0215Labels being adhered to a web
    • B65C11/0236Advancing the web by a cog wheel
    • B65C11/0247Advancing the web by a cog wheel by actuating a handle manu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CLABELLING OR TAGGING MACHINES, APPARATUS, OR PROCESSES
    • B65C11/00Manually-controlled or manually-operable label dispensers, e.g. modified for the application of labels to articles
    • B65C11/02Manually-controlled or manually-operable label dispensers, e.g. modified for the application of labels to articles having printing equip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KSTAMPS; STAMPING OR NUMBERING APPARATUS OR DEVICES
    • B41K3/00Apparatus for stamping articles having integral means for supporting the articles to be stamp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CLABELLING OR TAGGING MACHINES, APPARATUS, OR PROCESSES
    • B65C2210/00Details of manually controlled or manually operable label dispensers
    • B65C2210/0037Printing equipment
    • B65C2210/004Printing equipment using printing heads
    • B65C2210/0045Printing equipment using printing heads mechanically actuated, e.g. by a hand le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CLABELLING OR TAGGING MACHINES, APPARATUS, OR PROCESSES
    • B65C2210/00Details of manually controlled or manually operable label dispensers
    • B65C2210/0072Specific details of different parts
    • B65C2210/0089Specific details of different parts housin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7Surface bonding means and/or assemblymeans with work feeding or handling means
    • Y10T156/1702For plural parts or plural areas of single part
    • Y10T156/1705Lamina transferred to base from adhered flexible web or sheet type carri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7Surface bonding means and/or assemblymeans with work feeding or handling means
    • Y10T156/1702For plural parts or plural areas of single part
    • Y10T156/1705Lamina transferred to base from adhered flexible web or sheet type carrier
    • Y10T156/1707Discrete spaced laminae on adhered carri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7Surface bonding means and/or assemblymeans with work feeding or handling means
    • Y10T156/1788Work traversing type and/or means applying work to wall or static structure
    • Y10T156/1795Implement carried web suppl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8Surface bonding means and/or assembly means with handle or handgrip

Landscapes

  • Labeling Devices (AREA)

Abstract

수동레버(10)의 아암(10c)에는 압동부(10f)가 형성되어 있다. 수동레버(10)에 연동하여 왕복 작동을 하는 레칫 갈고리(17)에는, 압동부(10f)에 밀리는 탄성부(17a)와, 레칫 휠(19)의 톱니에 접촉하는 갈고리부(17b)가 형성되어 있다. 아암(10c, 10d)의 선단에는 인자기(P)가 장치되고, 레칫 휠(19)은 이송 드럼(18)과 일체이다. 수동레버(10)의 파지행정에 있어서, 탄성부(17a)는 휘어지고, 갈고리부(17b)는 치끝을 향하여 접동한다. 갈고리부(17b)가 치끝을 넘는 순간에 수동레버(10)에 대한 저항력이 격감하며, 인자기(P)가 충격적으로 라벨에 당접하고, 인자하도록 되어 있다. 라벨 테이프(12)의 세트시에, 밑뚜껑(14)이 개방된다. 밑뚜껑(14)은 계지부재(15)의 손가락 접촉부(15a)를 밀어당김으로써, 탄성부(15d, 15e)에 비축된 압박력에 의해 확실하게 개방할 수 있다.

Description

핸디 라벨러
핸디 라벨러는, 그 조작을 손으로 행하는 것이므로, 당연히 종래보다 소형이면서 가벼운 것이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최근에는, 슈퍼 등의 대형 양판점 뿐만아니라, 일반 소매점에서도 널리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저비용화가 급선무 되었다. 또한, 폭넓게 사용되어 왔으므로, 핸디 라벨러의 취급방법도 여러 가지가 되어 비교적 아무렇게나 취급되거나 서투른 사람이 취급하는 경우도 많게 되었다. 그 때문에 견고한 것은 물론이고, 어떻게 사용되어도 항상 소정의 인자 농도를 얻을 수 있는 것이 필요하게 되었다. 그러므로, 조작자의 파지조작의 속도에 영향을 받지않고, 항상 소정의 농도로 인자할 수 있도록 한 소위 정압기구가 많이 제안되었고, 그 하나의 예가 특개 평6-171636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 공개공보에 기재된 정압기구는, 파지조작을 행하는 수동레버와, 인자기를 조작하는 아암(수동 아암)을 별개로 하며, 그들 사이에 용수철(충격 용수철)이나 중간부재를 개재시키는 등 구성이 매우 복잡하고, 또한, 수동레버와 아암과의 연동 관계나, 아암에 작용하는 복수의 용수철힘 등에 여러 가지 조건이 필요해지고, 과혹한 사용에도 견딜 수 있도록 제조하는 것이 매우 어려우며, 무엇보다도 비용이 비싸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발명의 목적은, 실용상 문제가 없을 정도로 안정된 인자농도를 얻을 수 있는 극히 구성이 간단한 핸디 라벨러를 제공하는 것이다.
발명의 개시
본발명은, 장척의 대지에 복수의 라벨을 배열하여 가첩부되어 있는 라벨 테이프를 장전하고, 수동 레버의 파지행정에 있어서는 인자기를 정지위치에서 작동시키고 라벨에 당접시켜 인자하고, 그 수동 레버의 해제행정에 있어서는 그 인자기를 정지위치에 복귀시킴과 동시에 이송 드럼을 회전시켜서 그 라벨 테이프를 라벨 1매분을 이송하면서 인자된 라벨을 대지에서 박리시켜 그 일부를 본체에서 외부로 돌출시키도록 한 핸디 라벨러에 있어서, 갈고리부와 상기 수동레버에 밀려서 휘는 탄성부를 갖고, 상기 수동레버의 파지행정에서 이동하고 해제행정에서 복귀하는 레칫 갈고리와, 긴 치면과 짧은 치면으로 구성되는 복수의 레칫 를 갖고, 상기 레칫 갈고리의 이동시에는 긴 치면을 상기 갈고리부가 치끝을 향하여 접동하고 상기 레칫 갈고리의 복귀시에는 짧은 치면이 상기 갈고리부에 밀려서 회전하며 상기 이송 드럼을 회전시키는 레칫 휠을 구비하고, 상기 레칫 갈고리의 이동시에 있어서, 상기 갈고리부가 상기 긴 치면을 접동하고 있는 동안은 상기 탄성부가 상기 수동 레버에 휘어지며 그 탄성력이 상기 수동 레버에 저항력으로 작용하고, 상기 갈고리부가 상기 치끝을 넘는 순간에 그 저항력이 격감하여 상기 수동 레버가 상기 인자기를 상기 라벨에 대하여 충격적으로 당접시키도록 한다. 이에 따라, 수동 레버의 파지 속도에 관계없이, 안정된 인자 농도를 얻을 수 있으며, 핸디 라벨러를 보다 저렴하게, 더구나 가볍고 견고하게 제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테이프상의 대지에 가첩부되어 배열된 복수의 라벨에, 가격, 일자 등의 마크를 각각 인자하고, 인자할 때마다 라벨을 대지에서 박리하여, 물품 또는 그 포장물 등에 첩착시키도록 한 핸디 라벨러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발명에 관계된 핸디 라벨러의 외벽의 한쪽을 제거하여 나 타낸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부품의 일부를 제거하여 나타낸 도 1과 같은 측면 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난 밑뚜껑의 계지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4A는 도 1의 요부 확대도이다.
도 4B는 외벽을 제거하여 나타낸 도 4A의 배면도이다.
도 5A는 수동레버의 파지행정의 도중에 있어서의 도 4A와 같은 측면도이다.
도 5B는 외벽을 제거하여 나타낸 도 5A의 배면도이다.
도 6A는 수동레버의 파지행정의 최종위치에 있어서의 도 5A와 마찬가지의 측면도이다.
도 6B는 외벽을 제거하여 나타낸 도 6A의 배면도이다.
도 7A는 수동레버의 해제행정의 도중에 있어서의 도 4A와 같은 측면도이다.
도 7B는 외벽을 제거하여 나타낸 도 7A의 배면도이다.
도 8은 밑뚜껑를 연 상태의 도 9A와 같은 확대도이다.
도 9A는 도 1의 부분확대도이다.
도 9B는 밑뚜껑를 해제한 순간을 나타낸 도 9A와 같은 확대도이다.
도 9C는 밑뚜껑를 해제한 직후의 상태를 나타낸 도 9A와 같은 확대도이다.
도 10은 도 1에 나타난 인자기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A-A에 따른 요부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0의 B-B에 따른 요부 단면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우선, 본실시예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1은 상기한 바와 같이, 핸디 라벨러의 본체인 하우징을 구성하는 두 개의 외벽중에서 한쪽의 외벽을 제거하여 나타낸 것이다. 따라서, 도 1에서는 다른 한쪽의 외벽1이 나타나있을 뿐이다. 다른 쪽, 도 4B, 도 5B, 도 6B 및 도 7B는 도 1의 배면측에서 외벽1을 제거하여 나타낸 것이며, 그 곳에는 다른 하나의 외벽2의 일부가 나타나 있다. 이들 외벽1, 2는 합성수지제이며, 또 약간 대칭적인 형상을 하고 있고, 상호간에 소정의 공간을 마련하여 축3, 4, 5, 6, 7, 8, 9에 의해 상호 장치되어 있다.
축(4)에는 수동레버(10)가 회전 가능하게 장치되어 있다. 이 수동레버(10)는 분기부(10a)를 경계로 하여 손잡이(10b)와 두 개의 아암(10c, 10d)(아암(10d)은 도 4B, 도 5B, 도 6B, 도 7B참조)으로 나누어져 있고, 전체적으로 포크 형상을 하고 있다. 외벽1, 2와 손잡이(10b)와의 사이에는 압축 용수철(11)이 개재하고, 하우징과 손잡이(10b)를 잡아 쥐면, 손잡이(10b)가 상대적으로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며, 압축 용수철(11)이 압축되도록 되어있다. 그리고, 그 파지조작을 해제하면, 손잡이(10b)가 압축 용수철(11)의 탄력에 의하여 상대적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지만, 그 회전은, 아암(10c, 10d)이 각각 외벽(1, 2)에 두께부로 형성된 스톱퍼(1a, 2a)(스톱퍼(2a)는 도 4B, 도 5B, 도 6B 및 도 7B 참조)에 당접함으로써 정지하게 된다. 또, 아암(10c)에는, 절곡부(10e), 압동부(10f), 긴 구멍(10g)가 형성되어 있고, 다른 한편, 아암(10d)에는 도 4B, 도 5B, 도 6B 및 도 7B에 나타나있듯이 치부(10h), 긴 구멍(10i), 핀(10j)이 형성되어 있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인자전의 라벨 테이프(12)는 장척의 대지(12a)에 복수의 라벨(12b)을 순서대로 가첩부하고 롤형상으로 권취되어 있다. 그러므로, 이와같은 롤형상의 라벨 테이프(12)를 회전 가능하게 장치하는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테이프 취부부재(13)는 합성수지제로서 외벽(1, 2)의 사이에 개재하는 가이드부(13a)와, 외벽(1, 2)를 향하여 돌출해있는 축부(13b)와, 가이드부(13a)에서 외벽(1)을 따라 연신하는 판상의 지지부(13c)와, 그 지지부(13c) 의 선단에 형성된 취부본체부(13d)와, 상기 취부본체부(13d)의 중심에서 외벽(1)을 향하여 구면상에 돌출해 있는 축부(13e)를 갖고 있다. 그리고, 이 취부부재(13)는, 축부(13b)의 한쪽끝을 외벽(1)에 형성된 원통상의 축받이(1b)에 회전 가능하게 탐합시키고, 다른 끝을 마찬가지로 외벽(2)에 형성된 도시하지않은 원통상의 축받이에 탐합시키고 있다. 또한, 외벽(1)에는, 원호상으로 홈(1c)이 형성되며, 그 종단에는 그 홈(1c)의 폭 사이즈 보다 큰 직경의 홈(1d)이 연설되어 있다. 취부 본체부(13d)는 지지부(13c)에서 지면앞을 향해 형성되어 있는 것인데, 볼록부(13e)는, 취부 본체부(13d)의 중심부에 대응하여 지지부(13c)의 외벽(1)에 대향하는 면과, 취부 본체부(13d)의 외벽(2)에 대향하는 면으로 형성되며, 또 홈(1c) 및 (1d)와 같은 것이, 외벽(2)에도 경면대칭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새로운 라벨 테이프(12)를 장치하는 경우에는 홈(1d)(2d)에 들어가 있는 볼록부(13e)를 홈(1c)(2c)로 이동시키고, 그 홈(1c)(2c)으로부터의 저항을 받으면서 테이프 취부부재(13)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리고, 테이프 취부부재(13)을 충분히 회전시킨 상태로 하여, 취부 본체부(13d)에 새로운 라벨 테이프(12)의 롤을 장치한다. 그 후에는 테이프 취부부재(13)을 시계 반대 방향으로 밀고, 홈(1c)에 의한 저항을 받으면서 볼록부(13e)를 접동시키고, 마지막으로 직경의 커다란 홈(1d)(2d)에 탐합시겨 도 1과 같은 취부 완료 상태로 한다.
다음에, 밑뚜껑(14)의 개폐기구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서 알 수 있듯이, 밑뚜껑(14)은 안쪽부(14a)와 양측의 측벽(14b, 14c)이, 합성수지로 일체 성형되어 있고, 또 측벽(14b, 14c)간에는 가이드부(14d)도 일체 성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안쪽부(14a)에는 인자할 때의 받침대(14e)가 설치되며, 측벽(14b, 14c)에는 각각 경사면부(14f, 14g)가 형성되어 있다. 더욱이 경사면부(14f)의 근방에는 계합부(14h)가 형성되어 있다. 또, 도 4A 및 도 4B에서 알 수 있듯이, 측벽(14b, 14c)의 최선단부에는 각각 서로 마주보고 돌출한 가이드부(14i, 14j)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와같은 형상의 밑뚜껑(14)는 측벽(14b, 14c)에 의해 축(5)에 회전 가능하게 취부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와 함께 도 3을 이용하여, 밑뚜껑(14)의 계지부재(15)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 도 2에서는 계지부재(15)의 일부를 단면으로 나타낸다. 이 계지부재(15)는 합성수지제로써, 중앙부에 손가락 접촉부(15a)를 갖고 있고, 그 양측에 대칭적으로 후크부(15b, 15c), 탄성부(15d, 15e), 축부(15f, 15g)를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축부(15f, 15g)를, 외벽(1, 2)에 형성한 도시하지않은 축받이구멍에 회전 가능하도록 탐합시키고 있다. 또, 도 8에 나타나있듯이, 외벽(1)에는 외벽(2)를 향해서 스톱퍼(1e, 1f)가 형성되어 있고, 계지부재(15)의 시계방향의 회전은 탄성부(15e)가 스톱퍼(1e)에 당접함으로써, 또 시계반대 방향으로의 회전은 후크부(15c)가 스톱퍼(1f)에 당접함으로써, 각각 저지되도록 되어있다. 더욱이, 도시하고 있지않지만, 외벽(2)에도, 외벽(1)을 향하여, 스톱퍼(1e, 1f)와 같은 스톱퍼가 대칭적으로 형성되어 있고, 각각 계지부재(15)의 탄성부(15d), 후크부(15b)가 당접하도록 되어있다.
다음에 라벨 테이프(12)의 이송기구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4A 내지 도 7B에서 알 수 있듯이, 축(5)에는 전달부재(16)의 管狀部가 회전 가능하도록 취부되어 있다. 이 전달부재(16)는 합성부재로써, 외벽(1)측에는 부분 톱니바퀴(16a)가 형성되며, 아암(10d)에 형성된 치부(10h)에 교합하고 있다. 또한, 관상부에서는 컷터부(16b)가 하우징 밖으로 돌출해 있고, 더욱이, 외벽(2)측에는 張出部(16c)가 형성되고 그 선단에 마련된 축부(16d)에는 레칫 갈고리(17)가 회전 가능하게 장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레칫 갈고리(17)에는 가요성을 갖는 탄성부(17a)와, 갈고리부(17b)가 형성되어 있고, 탄성부(17a)의 선단은 수동레버(10)의 압동부(10f)에 접접하도록 되어 있다. 이송 드럼(18)은 합성수지로써, 그 주변에는 등간격으로 복수의 핀(18a)이 입설되어 있다. 이 핀(18a)은 주지한 바와 같이, 라벨 테이프(12)에 형성된 펀칭 구멍(피드 컷이라고도 하며, 원공의 경우와 새김눈의 경우가 있는데, 본실시예의 경우는 원공)에 탐합시키기 위한 것이다.
또한, 이 이송 드럼(18)의 주변에는, 핀(18a)의 양측에 링형으로 두 개의 홈이 형성되어 있고, 그 한쪽의 홈(18b)이 도 2에 있어서 점선으로 나타나있다. 더욱이, 이 이송 드럼(18)에는, 외벽(2)에 면하는 측면에, 동심적으로 레칫 휠(19)이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이 레칫 휠(19)에는 긴 치면과 짧은 치면을 갖는 복수의 톱니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한 갈고리부(17b)가 그들 치면에 접하도록 되어있다. 그리고, 이송 드럼(18)의 양측면에는 축부(18c, 18d)가 형성되어 있고, 그들을 밑뚜껑(14)의 양측벽(14b, 14c)에 형성된 축받이 구멍(도시하지않음)에 회전 가능하도록 탐합시키고 있다.
밑뚜껑(14)의 양측벽(14b, 14c)에는 또 라벨 스톱퍼(20)가 회전 가능하게 장치되어 있다. 이 라벨스톱퍼(20)는 전체적으로 축부재로써, 그 중앙부에는, 이송 드럼(18)의 핀(18a)과 마찬가지로, 라벨 테이프(12)에 형성된 도시하지않은 펀칭 구멍에 탐합하는 5개의 후크(20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라벨 테이프(12)의 통로밖인 측벽(14c)측의 단부에도, 역시 5개의 스톱퍼 갈고리(20b)가 형성되어 있다. 도 8에 나타나있는 것처럼, 외벽(1)에는 약간 왼쪽 방향으로 긴 홈(1g)이 형성되어 있고, 그 가운데에 슬라이드 부재(21)가 배치되어 있다. 또, 슬라이드 부재(21)가 홈(1g)에서 이탈하지않도록 하기 위하여, 외벽(1)에 누름부재(22)가 장치되어 있다. 이 슬라이드 부재(21)에는, 도 4B에 나타나있듯이, 긴 구멍(21a)과 라벨 스톱퍼(20)를 향해 계지부(21b)가 형성되어 있고, 긴 구멍(21a)은 아암(10d)의 핀(10j)과 탐합하고, 계지부(21b)는 상기한 5개의 스톱퍼 갈고리(20b)에 계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라벨 테이프(12)의 이송기구에 있어서 가이드부는 극히 중요하다. 테이프취부부재(13)에 형성된 가이드부(13a)와 밑뚜껑(14)에 형성된 가이드부(14d)에 대해서는, 이미 설명했다. 이 실시예에는, 그 밖에도, 모두 합성수지제인 3개의 가이드부재(23, 24, 25)가 마련되어 있다. 가이드부재(23)는, 축부(23a)와 후크부(23b)를 갖고 있으며, 축부(23a)의 양단을 외벽(1, 2)에 형성된 원통형상의 축받이(1h, 2b)에 탐합시키고, 후크부(23b)를 축(9)에 탐합시키고 있다. 가이드부재(24, 25)의 구성은 도 2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가이드부재(24)는 축(4)에 회전가능하게 장치되고, 가이드부재(25)는 외벽(1)에 입설된 축부(1i)에 회전가능하게 장치되어 있다. 또한, 양자는 가이드부재(24)에 설치된 축부(24a)에, 가이드부재(25)에 형성된 구멍을 탐합시키고, 도 2에 나타난 것과 같은 자세를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가이드부재(24)는, 나중에 설명하는 목적 때문에, 두 개의 가이드부재(24b, 24c)를 갖고 있다. 또 이 가이드부재(24)의 새부리형상(嘴狀)의 선단부(24d)는 이송 드럼(18)의 주변에 형성된 홈(18b)에 삽입되어 있다. 더욱이 홈(18b)은 상기한 바와 같이, 두 개 형성되어 있으므로, 선단부(24d)도 실제로는 두 개 형성되어 있지만, 도 2에서는 그들이 중복되어 있으므로, 마치 하나인 것처럼 그려져 있다.
다음에, 인자기구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인자기구는, 잉크롤러 기구와 인자기로 나눌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의 잉크롤러 기구는, 외벽(2)에 마련되어 있는 축부(2c)에 회전 가능하게 장치된 잉크 아암(26)과, 그 잉크 아암(26)의 선단부에 마련되어 있는 축부(26a)에 회전가능하게 장치된 잉크롤러(27)로 구성되어 있다. 잉크 아암(26)은 圖示의 편의상, 도 1 및 도 2에는 이점쇄선으로 나타내고, 축부(2c)는 X 표시로 나타내며, 축부(26a)는 ·표시로 나타낸다. 또한, 이 잉크 아암(26)은 도시하지않은 용수철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습성을 갖고 있는데, 도 1에는, 그 회전을 도시하지않은 스토퍼에 의해 저지되는 상태가 나타나 있다. 다른 한편으로, 잉크 롤러(27)는, 합성수지이며 보빈상으로 형성된 프레임과, 그 것에 부착된 유연성이 있는 잉크 함침체로 구성되어 있고, 도 1에서는 외벽(1, 2)에 면하는 양단부에 형성된 프레임의 플랜지부(27a)와 롤형상의 잉크 함침체(27b)의 외경을 나타내고 있다.
수동레버(10)의 두 개의 아암(10c, 10d)의 사이에는, 인자기(P)가 부착되어 있다. 그 부착방법은, 나사(28, 29)를 각각 긴 구멍(10g, 10i)에 관통시키고, 인자기(P)에 형성된 도시하지않은 암나사에 나합(螺合)시키고 있다. 이 인자기(P)의 구성에 대해서는, 도 10, 도 11, 도 12를 이용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0은, 도 1에 나타나있는 인자기(P)를 좌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다. 인자기(P)의 케이스를 형성하고 있는 것은, 두 개의 측판(30, 31), 상부판(32), 받침대(33)이다. 이 밖에도, 실제로는, 두 개의 측판(30, 31)사이에 다리 역할을 하는 부재 등이 마련되어 있는데, 주지하고 있으므로 생략한다. 그리고, 두 개의 측판(30, 31)에는 대향하는 위치에 약간 같은 크기의 員孔이 뚫어져 있고, 후술하는 슬리브를 축받이하도록 되어 있다. 측판(30)의 원공은, 커버(34)에 의해 막혀있는데, 그 것에는 특히 기술상의 의미는 없다. 또한, 측판(31)에는 나중에 설명하는 목적 때문에 구멍(31a)이 형성되어 있고, 상부판(32)에는 창(32a)이 형성되어 있다.
측판(30, 31)의 대향위치에 마련된 원공에는, 전체적으로 원통형상을 한 슬리브(35)가 회전 가능하게 탐합되어 있고, 슬리브(35)의 내부에는 세트 축(36)이 작동노브(37)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탐합되어 있다. 또, 이 세트 축(36)에는 주변에 6개의 홈(36a)가 링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슬리브(35)는 도 10에 있어서, 그 상하위치에 축 방향으로 뻗은 슬리트(35a, 35b)를 갖고 있고, 그들의 좌단위치에는 그들의 슬리트 폭 보다도 커다란 구멍이 연설되어 있다. 그리고, 그들의 커다란 구멍에는 도 11에 나타나있는 탄성을 갖는 멈춤부재(38)의 선단이 관통하고 있고, 도 10에 있어서 제일 왼쪽에 있는 홈(36a)에 삽입되어 있다. 그에 따라, 멈춤부재(38)는 슬리브(35)가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함과 동시에, 나중의 설명에서 알 수 있듯이 세트 축(36)의 축방향으로의 이동에 대하여 클릭 작용을 하도록 되어있어 홈(36a)과 함께 관절 기구를 구성하고 있다.
도 10에 있어서, 슬리브(35)의 오른쪽 끝에는 링형부(35c)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링형부(35c)는 도 12에서 알 수 있듯이 그 주변에 16개의 오목부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측판(30)에 입설된 축부(30a)에는, 탄성을 갖는 두 개의 아암부을 형성한 멈춤부재(39)가 장치되어 있고, 아암부의 선단을 링형부(35c)의 주변에 압접시키고 있다. 또, 도 10 및 도 12에서 알 수 있듯이, 세트 축(36)에는 핀(40)이 압입되어 있다. 그리고, 이 핀(40)은, 슬리브(35)의 슬리트(35a, 35b)를 관통하고 있다. 그 때문에, 작동노브(37)에 의해 세트축(36)을 회전시키면, 핀(40)과 슬리브(35)가 함께 회전하도록 된다. 따라서, 상기의 링형부(35c)와 멈춤부재(39)는 세트축(36)의 회전위치를 규제하기 위한 관절 기구를 구성하고 있다.
도 10에서 알 수 있듯이, 슬리브(35)의 주변에는 6개의 세트 휠(41)이 회전 가능하게 장치되며, 그 세트 휠(41)에는 각각 인자벨트(42)가 걸려져있다. 이 세트 휠(41)과 인자벨트(42)의 관계는, 각조모두 같으므로, 그 한조에 대해 도 11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세트 휠(41)은 합성수지로써, 외주부에 돌편(41a)이 형성되며, 내주부에는 16개의 절입 홈(41b)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절입 홈(41b)에는, 핀(40)의 선단이 탐합하도록 되어 있다. 절입 홈(41b)의 수는, 링형부(35c)의 오목부의 수와 같으며, 상기의 결합관계에 의해, 절입 홈(41b)과 그 오목부의 각도 위치는 일치하고 있다.
인자벨트(42)는 링형을 하고 있지않으며, 개체로는 띠형을 하고 있어, 그 양단은 주지와 같이, 돌편(41a)의 양측에 형성된 L자형의 홈에 삽입되고, 사용할 때에 이탈되지않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이 인자벨트(42)는 조립상태에서는 받침대(33)에 걸쳐져 있다. 이 때에 인자벨트(42)는 받침대(33)에 의해 소정의 각도로 굴절되어 있으므로, 그간의 마찰력에 의해, 세트 휠(41)은 간단하게는 회전할 수 없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인자벨트(42)의 주변에는 숫자 등의 기호가 배치되어 있는데, 주지와 같이, 그들의 반정도는 인자용 기호이며, 나머지 반은 견출용 기호이다. 그리고, 인자할 때에는, 필요한 인자용 기호를 받침대(33)의 하측에 배열시키게 된다.
다른 한편으로, 도 10에 나타나있듯이, 세트축(36)에는 인디케이터(43)가 장치되어있다. 그 장치방법은 세트축(36)에 대해서 회전 가능하지만, 세트축(36)이 축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함께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이 인디케이터(43)는, 측판(31)의 구멍(31a)을 관통하고, 창(32a)과 6개의 인자벨트(42)의 사이에 연신하여 있고, 선단에는 지표(43a)가 형성되어 있다.
인자기(P)는 이와같은 구성을 하고 있지만, 받침대(33)의 하측에 필요한 인자용의 기호를 배열할 경우는, 다음과 같이 행해진다. 그 설정 조작은 작동노브(37)에 의해 행해지며, 그 확인은 창(32a)에서 육안으로 행해진다. 우선 최초로 기호를 바꾸고싶은 인자벨트(42)를 선택한다. 그 경우에는, 도 10에 있어서 작동노브(37)를 좌우로 조작하게 된다. 도 10에 있어서는, 핀(40)이 가장 오른쪽에 위치하는 세트 휠(41)의 절입 홈(41b)에 탐합되어 있고, 또 지표(43a)가 가장 오른쪽에 위치하는 인자벨트(42)의 위에 있다. 따라서, 이 상태는, 가장 오른쪽에 위치하는 인자벨트(42)의 기호를 선택할 수 있는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오른쪽에서 두 번째의 인자벨트(42)의 기호를 선택하고싶은 경우에는, 작동노브(37)로 세트축(36)을 왼쪽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 조작은, 멈춤부재(38)의 탄성에 항거하여 행해지게 되며, 그 조작에 의해 멈춤부재(38)는 도 10의 위치에 탐합되어 있는 홈(36a)에서 밀려나며, 오른쪽 주변의 홈(36a)에 탐합된다. 그 때, 지표(43a)는 오른쪽에서 두 번째의 인자벨트(42)의 위에 위치하며, 핀(40)이 오른쪽에서 두 번째의 세트 휠(41)의 절입 홈(41b)에 탐합되어 있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 세트축(36)의 왼쪽방향으로의 이동을 정지하면, 오른쪽에서 두 번째의 인자벨트(42)를 선택하게 된다. 그리고, 세트축(36)은 멈춤부재(38)와 홈(36a)의 탐합에 의해 좌우방향으로는 반고정 상태가 된다.
다음에, 오른쪽에서 두 번째의 인자벨트(42)에 있어서, 필요로 하는 기호를 선택하게 된다. 그 경우에는, 작동노브(37)에 의해 세트축(36)을 회전시키면 된다. 세트축(36)을 회전시키면, 핀(40)과 슬리트(35a, 35b)와의 탐합관계에 의해 슬리브(35)가 함께 회전하며, 또 핀(40)과 절입 홈(41b)과의 탐합관계에 의해 오른쪽에서 두 번째의 세트 휠(41)이 함께 회전한다. 이 때 다른 5개의 세트 휠(41)은 이미 설명한 이유에 의해 움직이는 일은 없다. 또 인디케이터(43)도 측판(31)의 구멍(31a)에 탐합하고 있으므로 회전하지않고, 세트축(36)과의 상대각도 위치가 바뀔 뿐이다.
주지와 같이, 인자벨트(42)는, 어느 특정한 인자용의 기호가 받침대(33)의 위치에 있을 때, 그것과 같은 견출용 기호가 지표(43a)의 위치에 오므로, 필요로 하는 견출용 기호가 지표(43a)의 위치에 왔을 때, 세트축(36)의 회전을 정지시키면 된다. 그리고, 그 정지위치는 링형부(35c)와 멈춤부재(39)로 이루어진 관절기구에 의해, 반고정 상태로 된다. 따라서, 선택된 기호가 받침대(33)에 대하여 항상 이상적인 상태에서 정지하고, 모든 인자벨트(42)의 인자기호는 이탈됨이없이 일렬로 배열되게 된다. 이와같이하여 품질이 좋은 인자면을 확실하게 얻을 수 있다.
여기서, 인자기구에 대한 설명을 마치고, 마지막으로, 라벨(12b)을 포장물 등에 첩부할 때에 불가결한 구성을 설명해 둔다. 이 구성은 극히 간단해서, 축(6)에 회전 가능하게 장치된 첩착롤러(44)가 그 역할을 하고 있다. 이 첩착롤러(44)의 형상은 주지하므로, 상세한 형상을 명시하고 있지않지만, 단면형상은 일정하지않고 라벨(12b)과의 접촉면은 가능한한 적으면서 비교적 커다란 접촉압을 균등하게 얻을 수 있도록 고안되어 있다. 또한 각 그림에 있어서는, 이 첩착롤러(44)와 상기한 계지부재(15)가 작동상 간섭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양자는 간섭하지않고, 독자적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배치되어 있다.
다음에, 라벨 테이프(12)의 세트 조작과 인자·첩착조작에 대해서 순차적으로 설명한다. 라벨 테이프(12)를 사용상태로 세트하기 위해서는, 밑뚜껑(14)을 열어야만한다. 그 개방 조작을 도 9A 및 9C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9A는 밑뚜껑(14)의 폐쇄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상태에 있어서는, 밑뚜껑(14)은 측벽(14b)에 의해 계지부재(15)의 탄성부(15d)를 휘게하고 있다. 바꾸어 말하면, 밑뚜껑(14)은 탄성부(15d)에 의해 개방 방향으로 밀려나게 된다. 그러나, 측벽(14b)에 형성된 계합부(14h)를, 계지부재(15)의 후크부(15b)가 계지하고 있으므로, 이 폐쇄상태가 유지된다. 이 때 마찬가지로, 밑뚜껑(14)의 측벽(14c)도 계지부재(15)의 탄성부(15e)를 휘게한 상태로 하고, 도시하지 않았지만 계합부가 계지부재(15)의 후크부(15c)에 계지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계지부재(15)의 손가락 접촉부(15a)를 밀어넣으면, 계지부재(15)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그 때문에 밑뚜껑(14)에 대한 탄성부(15d, 15e)의 압박력은 점점 커지게 된다. 그리고, 드디어 후크부(15b, 15c)에 의한 계지가 해제되면, 밑뚜껑(14)은 밀려나게되며, 축(5)의 주변에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한다.
그 계지가 해제된 순간이 도 9B에 나타나 있으며, 밑뚜껑(14)이 회전을 개시한 직후의 상태가 도 9C에 나타나 있다. 이와같이 하여 계지가 해제되므로 핸디 라벨러가 어떠한 위치에 있더라도, 예를들면 밑뚜껑(14)을 위로 하고 있어도, 단지 계지가 해제되는 것 뿐만 아니라, 밑뚜껑(14)이 확실하게 밀려나게 된다. 그와 같이 하여 밑뚜껑(14)이 열린 상태가 도 8에 나타나 있다.
다음에 롤형상의 라벨 테이프(12)를 세트하는데, 도 8에서는 이미 테이프 취부부재(13)가 취부된 상태가 나타나 있다. 이와같은 상태로 세트하는 조작에 대해서는 이미 설명했으므로 여기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이와같은 도 8의 상태에서, 라벨 테이프(12)의 선단을 아래로 지나게 하는 방법은 두가지가 있다. 라벨 테이프(12)의 선단을 실시예의 경우에는 대지(12a)의 상측에 라벨(12b)이 가첩부되어 있으므로(바깥 권취), 도시한 바와 같이 똑바로 하측으로 늘어뜨리면 되지만, 대지(12a)의 하측에 라벨(12b)이 가첩부되어 있는(안쪽권취) 경우에는, 도 2에 있어서, 라벨 테이프(12)의 테이프 취부부(13)에 대한 취부의 방향을 반대로 하여 테이프 취부부재(13)의 가이드부(13a)와 가이드부재(24)의 가이드부(24c)에 따르도록 하여 아래쪽으로 늘어뜨리게 된다.
도 8의 상태로 하고나서 밑뚜껑(14)을 닫게 된다. 이 때, 도 9C에 나타낸 위치에서 밑뚜껑(14)을 더욱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밑뚜껑(14)의 측벽(14b, 14c)은 계지부재(15)의 탄성부(15d, 15e)를 밀어 계지부재(15)를 시계방향 반대 방향으로 밀려고 하지만, 다른 한편으로 경사면부(14f, 14g)가 후크부(15b, 15c)의 배부를 밀고, 캠 작용에 의해, 탄성부(15d, 15e)의 탄성력을 강화시키는 방향, 즉 계지부재(15)에 시계방향으로의 힘을 부여하게 된다. 이와같이 하여, 탄성부(15d, 15e)를 충분히 휘게한 다음, 두 개의 계합부(14h)(다른 한쪽의 계합부는 도시되어 있지않음)가 후크부(15b, 15c)를 넘게되면, 후크부(15b, 15c)가 계합부의 배후에 삽입되며, 도 9A의 폐쇄상태가 된다.
다음에, 그 후의 라벨 테이프(12)의 조작을 도 2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2는, 이미 사용가능한 상태가 되어 있는데, 라벨 테이프(12)의 선단이 이 도면에서 아직 받침대(14e)의 좌단에서 밑으로 늘어뜨린 상태를 상정한다. 그와같은 상태에서, 우선, 늘어뜨린 부분의 라벨(12b)을 제거한다. 그리고, 대지(12a)의 선단을 이송 드럼(18)과 가이드부(14d)의 사이에 끼우고, 대지(12a)에 형성되어 있는 펀칭구멍의 적어도 하나를 핀(18a)에 탐합시킨다. 그리고, 수동레버(10)의 파지조작을 반복하면, 그 때마다 이송 드럼(18)이 시계방향 반대로 회전하며, 대지(12a)의 선단을 권취해 간다. 더욱이, 이 이송 드럼(18)의 회전 작동은, 사용할 때의 작동과 완전히 같게 행해지므로 나중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대지(12a)의 선단은, 이와같이하여 이송 드럼(18)과 가이드부재(25)의 사이를 진행해가면, 가이드부재(24)의 선단부(24d)에서 핀(18a)과의 탐합이 해제되며, 가이드부재(24)의 가이드부(24b)와 가이드부재(25)의 사이를 진행해 가고, 전달부재(16)의 커터부(16b)에 따르도록 하여, 다시 아래쪽으로 내려오게 된다. 이와같이하여 받침대(14e)에서 없어지며, 더구나 라벨 테이프(12)에 형성된 펀칭구멍이 라벨 스톱퍼(20)의 후크(20a)에 탐합한 상태가 도 2에 나타난 상태이다. 더욱이 이 상태에서 대지(12a)의 선단을 손으로 잡고, 왼쪽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처럼 하여 비틀면, 대지(12a)는 커터부(16b)에 의해 절단되도록 되어 있다.
다음에, 주로, 도 1, 및 도 4A 내지 도 7B를 이용하여, 본실시예의 인자·첩착 조작에 대해 설명한다. 더욱이, 도 4A 내지 도 7B에 있어서, 도 4A, 5A, 6A 및 7A는 도 1과 같은 방향에서 본 도면이고, 도 4B, 5B, 6B, 및 7B는 도 1의 배면측에서 본 도면이다. 또한 도 1 및 도 4A 및 도 4B는 정지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우선, 이 정지 상태에 있어서, 본체(외벽1, 2)와 수동레버(10)를 잡고, 압축 용수철(11)에 항거하여 양자를 꽉잡는다. 그렇게하면, 수동레버(10)는 도 4B에 있어서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리고, 수동레버(10)의 아암(10d)에 형성된 치부(10h)와의 맞물림에 의해 전달부재(16)가 축(5)의 주변에 시계방향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기 시작한다. 또한, 이와같은 아암(10d)의 시계방향으로의 회전에 따라 슬라이드부재(21)는 왼쪽방향으로 슬라이드하고, 계지부(21b)가 스톱퍼 갈고리(20b)에서 퇴피한다.
전달부재(16)가 이와같이하여 도 4B에 있어서의 시계방향 반대로 회전을 개시한다고 하는 것은, 도 4A에 있어서는 시계방향으로 회전을 개시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도 4A에 있어서, 전달부재(16)가 시계방향으로 회전을 개시하면, 레칫 갈고리(17)가 오른쪽 방향으로 이동하고, 그 갈고리부(17b)가 레칫 휠(19)에 형성되어 있는 치가 긴 치면을 치끝으로 향하여 접동해 가게 된다. 한편, 동시에 그 과정에서, 아암(10c)은 시계방향 반대로 회전해 가므로, 압동부(10f)가 레칫 갈고리(17)의 탄성부(17a)의 선단을 눌러 내리게 된다. 그 때문에 탄성부(17a)가 휘어지며, 그 탄성력이 아암(10c)의 회전에 저항력으로 작용한다. 더구나, 이 저항력은 서서히 커져간다.
다른 한편, 이와같은 파지행정에 있어서, 인자기(P)는, 아암(10c, 10d)의 회전에 따라, 하강해 간다. 그리고, 우선, 각 인자벨트(42)의 인자면이 잉크롤러(27)의 잉크함침체(27b)에 접촉한다. 그 직후에 인자기(P)에 있어서의 측판(30, 31)의 받침대(33)측의 단부에서 그것에 계속되는 측부가 순번으로 잉크롤러(27)의 플랜지부(27a)에 접촉하고, 잉크롤러(27)를 누르게 된다. 그 때문에 잉크롤러(27)를 지지하고 있는 잉크 아암(26)(도 1 참조)이, 도시하지않은 용수철에 항거하여 시계방향 반대로 회전한다. 이 때에 잉크롤러(27)는 상기의 인자면을 회전시켜, 잉크의 부착을 확실한 것으로 하여, 인자면의 궤적밖으로 퇴피시킨다. 이 때의 상태가 도 5 A 및 도 5B에 나타나 있다.
도 5A 및 도 5B의 상태에서 파지행정이 더욱 진행되어 가면, 레칫 갈고리(17)의 갈고리부(17b)가 치끝을 넘는다. 이 때 갈고리부(17b)는 탄성부(17a)의 강한 탄성력에 의해, 다음의 치가 긴 치면에 급속하게 낙하한다. 또한, 이 낙하에 의해, 아암(10c), 즉 수동레버(10)에 대한 저항력이 격감하여 다음의 수동레버(10)에의 파지조작에 탄력이 붙게 되므로, 인자기(P)는 하강 속도를 순간적으로 가속화하고, 받침대(14e)에 재치된 라벨(12b)에 충격적으로 당접하고, 인자를 행한다. 따라서, 파지조작이 서서히 행해진 경우에도, 양호한 인자농도로 인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때의 상태가 도 6A 및 도 6B에 나타나 있다.
이와같이 인자가 행해진 후에, 파지조작을 해제하면, 수동레버(10)는 해제행정에 들어간다. 그러면, 도 6B에 있어서 아암(10d)이 시계방향 반대로 회전을 개시하기 때문에 인자기(P)는 상승하기 시작하고, 전달부재(16)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기 시작하며, 고, 슬라이드 부재(21)는, 오른쪽 방향으로 이동을 개시한다. 또한, 전달부재(16)의 회전은 도 6A에 있어서는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므로, 레칫 갈고리(17)는 도 6A에 있어서는 왼쪽으로 이동을 개시한다. 이 때, 아암(10c)도 시계방향으로 회전을 개시하고 있으므로, 탄성부(17a)의 선단은 별로 저항을 받지않고 압동부(10f)를 접동한다. 그리고, 레칫 갈고리(17)의 갈고리부(17b)가 파지행정에서 치끝을 타고넘은 레칫 휠(19)의 치가 짧은 치면에 접촉하고, 그것을 밀고있는 도중의 상태가 도 7A 및 도 7B에 나타나 있다.
이와같이하여, 도 7B에 있어서는, 이송 드럼(18)은, 시계방향으로의 회전 도중에 있다. 또한, 대지(12a)가 이송 드럼(18)에 의해 견인됨으로써, 라벨 스톱퍼(20)도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며, 슬라이드 부재(21)의 계지부(21b)가 스톱퍼 갈고리(20b)의 궤적안에, 바로 침입하려고하는 상태에 있다. 더욱이, 라벨 테이프(12)가 이송되어 받침대(14e)의 선단에서 급격하게 대지(12a)가 방향을 바꾸기때문에, 가첩부되어 있던 인자종료의 라벨(12b)이 자기의 강성으로 대지(12a)에서 박리되고, 가이드부(14i, 14j)의 위를 첩착롤러(44)의 하방으로 진행하려고 하는 상태에 있다.
이 상태에서 이송 드럼(18)이 더욱 회전하고, 전체의 작동이 정지된 상태가 도 4B에 나타나는 정지 상태이다. 이 때, 라벨 스톱퍼(20)는 그 스톱퍼 갈고리(20b)가 슬라이드 부재(21)의 계지부(21b)에 계지되어 회전할 수 없고, 다른 한편으로, 이송 드럼(18)은 역전할 수 없으므로, 대지(12a)는 라벨 스톱퍼(20)와 이송 드럼(18)의 사이에서 이완하지않고, 소정의 긴장도를 유지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라벨(12b)의 물품 또는 그 포장물에의 첩착시에도 대지(12a)의 망동이 없고, 다음의 인자에 즈음하여, 라벨(12b)의 바른 위치에 인자할 수 있으면서 동시에 글자가 뭉개지는 일이 없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도 4A 및 도 4B는, 본래, 사용전의 상태로서 나타낸 것이므로 그곳에는 인자후에, 더욱이 첩착롤러(44)의 하방으로 이송된 라벨(12b)이 나타나 있지않다. 이 때, 도 7의 상태에서 더욱 이송된 인자종료 라벨(12b)은 대지(12a)에서 거의 박리한 상태에 있지만, 아직 후단이 대지(12a)에 접해 있으며, 박리된 부분은 가이드부(14i, 14j)의 위에 있다. 그 상태가 도 2에 나타나 있다. 따라서, 포장물 등에 인자된 라벨(12b)을 첩착하는 경우에는 도 2에 있어서, 이대로 하방으로 움직여서 포장물 등에 압접하여, 라벨러 전체를 오른쪽 방향으로 끌면 된다. 그 때, 첩착롤러(44)가 라벨(12b)의 인자면을 굴러가서 확실하게 첩착하게 된다.
또한, 본실시예에 있어서는, 이송 드럼(18)과 레칫 휠(19)이 합성수지의 일체 성형으로 제작되어 있는 것으로 설명하였는데, 이들을 별부재로서 제작하고 일체화해도 좋으며, 또 적절한 연결부재를 개재시켜 연동하도록 해도 무방하다.
이상과 같이, 본발명에 관한 핸디 라벨러는, 누가 조작하더라도 라벨에 소정 농도의 선명한 인자를 행할 수 있으며, 가벼우면서도 견고하고 사용하기 쉬우므로, 대형 양판점 뿐만아니라 일반의 소매점에서 이용하기에 적합하다.

Claims (1)

  1. 장척의 대지에 복수의 라벨을 배열하여 가첩부되어 있는 라벨 테이프를 장전하고, 수동 레버의 파지행정에 있어서는 인자기를 정지위치에서 작동시키고 라벨에 당접시켜 인자하고, 그 수동 레버의 해제행정에 있어서는 그 인자기를 정지위치에 복귀시킴과 동시에 이송 드럼을 회전시켜서 그 라벨 테이프를 라벨 1매분을 이송하면서, 인자된 라벨을 대지에서 박리하여 그 일부를 본체에서 외부로 돌출시키도록 한 핸디 라벨러에 있어서, 갈고리부와 상기 수동레버에 밀려서 휘는 탄성부를 갖고있어 상기 수동레버의 파지행정에서 이동하고 해제행정에서 복귀하는 레칫 갈고리와, 긴 치면과 짧은 치면으로 구성되는 복수의 레칫 치를 갖고있어 상기 레칫 갈고리의 이동시에는 긴 치면을 상기 갈고리부가 치끝을 향하여 접동하고 상기 레칫 갈고리의 복귀시에는 짧은 치면이 상기 갈고리부에 밀려서 회전하며 상기 이송 드럼을 회전시키는 레칫 휠을 구비하고, 상기 레칫 갈고리의 이동시에 있어서, 상기 갈고리부가 상기 긴 치면을 접동하고 있는 동안은 상기 탄성부가 상기 수동 레버에 휘어지며 그 탄성력이 상기 수동 레버에 저항력으로 작용하고, 상기 갈고리부가 상기 치끝을 넘는 순간에 그 저항력이 격감하여 상기 수동 레버가 상기 인자기를 상기 라벨에 대하여 충격적으로 당접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 핸디 라벨러.
KR1019980700563A 1996-07-10 1997-07-04 핸디라벨러 KR10026639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180807 1996-07-10
JP18080796A JP3822934B2 (ja) 1996-07-10 1996-07-10 ハンドラベラ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5902A KR19990035902A (ko) 1999-05-25
KR100266392B1 true KR100266392B1 (ko) 2000-10-02

Family

ID=160897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0563A KR100266392B1 (ko) 1996-07-10 1997-07-04 핸디라벨러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5900108A (ko)
EP (1) EP0852204B1 (ko)
JP (1) JP3822934B2 (ko)
KR (1) KR100266392B1 (ko)
CN (1) CN1075456C (ko)
DE (1) DE69722759T2 (ko)
HK (1) HK1015332A1 (ko)
MY (1) MY114979A (ko)
PL (1) PL186954B1 (ko)
TW (1) TW379188B (ko)
WO (1) WO199800134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9127A (ko) 2020-10-14 2022-04-21 주식회사 미리디 박스형 롤스티커 디스펜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16415A (ja) * 1998-07-01 2000-01-18 Towa Seiko Kk 印字体付きラベル貼着機
JP2003095523A (ja) * 2001-09-27 2003-04-03 Saitoo:Kk 粘着テープ等の繰り出し装置及び該繰り出し装置を備えた便座シート収納キャビネット
CN100368264C (zh) * 2002-12-10 2008-02-13 摩登思标签制品(北京)有限公司 贴标签机
WO2007099394A2 (en) * 2005-09-15 2007-09-07 Kabushiki Kaisha Sato Label application device
CN1955077B (zh) * 2005-10-26 2011-05-11 (株)摩登思 一种贴标签机用的打印字盒及其贴标签机
US7900674B2 (en) * 2007-05-08 2011-03-08 Open Data S.R.L. Labeling machine
US20110020577A1 (en) * 2009-07-21 2011-01-27 Applied Results LLC Label dispensing apparatus, label for use therein and method for dispensing a label
IT1396267B1 (it) * 2009-10-06 2012-11-16 Open Data S R L Etichettatrice.
JP5523139B2 (ja) 2010-02-23 2014-06-18 サトー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携帯式ラベル貼付け機におけるプラテン開放機構
CN102785808B (zh) * 2012-08-31 2014-05-21 株洲南车时代电气股份有限公司 一种标签粘贴装置
CN105129174B (zh) * 2015-07-20 2017-05-31 安徽无为冠雄建材机械有限公司 一种贴标机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9420B2 (ja) * 1975-09-05 1984-03-02 (株) サト−研究所 ハンドラベラ−における定圧機構
US4075944A (en) * 1976-04-30 1978-02-28 Primark Corporation Self-indexing label marking gun
JPS54137300A (en) * 1978-04-18 1979-10-24 Sato Kenkyusho Portable price tag printer
GB1597017A (en) * 1978-05-23 1981-09-03 Norprint Ltd Apparatus for printing and dispensing labels
DE3017555C2 (de) * 1980-05-08 1986-04-30 Klaus Dieter 6932 Hirschhorn Hermann Handetikettiergerät
JPS6032086B2 (ja) * 1982-07-08 1985-07-26 バブコツク日立株式会社 流動層装置
DE3843068A1 (de) * 1988-12-21 1990-06-28 Esselte Meto Int Gmbh Vorrichtung zum zufuehren eines etikettenbandes
DE4141298A1 (de) * 1991-12-14 1993-06-17 Esselte Meto Int Gmbh Farbrollenhalterung fuer ein handetikettiergeraet
US5254206A (en) * 1992-01-31 1993-10-19 Wing Donald B Hand-held labeling device
US5525184A (en) * 1993-01-04 1996-06-11 Monarch Marking Systems, Inc. Label dispenser with selectable dispense modes including an on-demand mode
JP3396063B2 (ja) * 1993-06-30 2003-04-14 株式会社新盛インダストリーズ ハンドラベラー
US5486259A (en) * 1994-01-05 1996-01-23 Monarch Marking Systems, Inc. Labeler with adjustable roll mounting mean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9127A (ko) 2020-10-14 2022-04-21 주식회사 미리디 박스형 롤스티커 디스펜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1998001345A1 (fr) 1998-01-15
MY114979A (en) 2003-02-28
EP0852204A1 (en) 1998-07-08
DE69722759T2 (de) 2004-04-22
HK1015332A1 (en) 1999-10-15
CN1075456C (zh) 2001-11-28
CN1197435A (zh) 1998-10-28
US5900108A (en) 1999-05-04
TW379188B (en) 2000-01-11
JPH1024915A (ja) 1998-01-27
EP0852204B1 (en) 2003-06-11
JP3822934B2 (ja) 2006-09-20
PL325468A1 (en) 1998-07-20
PL186954B1 (pl) 2004-04-30
EP0852204A4 (en) 2001-01-24
DE69722759D1 (de) 2003-07-17
KR19990035902A (ko) 1999-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66392B1 (ko) 핸디라벨러
JP3878722B2 (ja) 手持ち式ラベラー
EP2036845B1 (en) Mounting assembly and method of loading and/or unloading rolls
US4440592A (en) Portable type label applying apparatus
US8579001B2 (en) Tape feeding device and tape applicator
US5868893A (en) Label printing apparatus and method
EP0032679B1 (en) Label printing and applying apparatus
US4339209A (en) Manually operated typing device
US4668326A (en) Hand-held labeler
US6170395B1 (en) Label stamper with a guide channel for receiving the side edge of a tape
JPS596776B2 (ja) 感圧式ラベルのプリント貼付装置
JP7341802B2 (ja) テープカッター
US4131504A (en) Hand labeller
GB2059384A (en) Label printing apparatus
EP0096764B1 (en) Portable label applying machine
US4119033A (en) Ink roller device for printing head of hand labeler
JP3771327B2 (ja) 印字器
US20060213620A1 (en) Label affixing machine having label roll core holding mechanism
JPH1024947A (ja) ハンドラベラーにおける底蓋の開閉機構
EP0858950B1 (en) Hand-held labeller
US4785735A (en) Label printing and applying apparatus
CN216001911U (zh) 打印胶辊装置及打印机
EP0133932A1 (en) Automatic label winder
KR930006123Y1 (ko) 접착테이프 절단장치
CA1088372A (en) Constant printing pressure mechanism for portable label printing and applying machine, or the lik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51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