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64593B1 - 스테빌라이저 바아 마운팅 장치 - Google Patents

스테빌라이저 바아 마운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64593B1
KR100264593B1 KR1019960063611A KR19960063611A KR100264593B1 KR 100264593 B1 KR100264593 B1 KR 100264593B1 KR 1019960063611 A KR1019960063611 A KR 1019960063611A KR 19960063611 A KR19960063611 A KR 19960063611A KR 100264593 B1 KR100264593 B1 KR 1002645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bilizer bar
rolling
vehicle
strength
hydraulic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636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45428A (ko
Inventor
전용원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10199600636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64593B1/ko
Publication of KR199800454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54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45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4593B1/ko

Links

Landscapes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 선회시에는 롤링에 대한 강성을 증대시키고 평상시에는 롤링에 대한 강성을 최소화시켜, 선회시에는 차체를 롤링으로부터 안정시키고 평상시에는 승차감을 향상시키는 스테빌라이저 바아 마운팅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테빌라이저 바아 마운팅 장치는 차폭 방향으로 설치되는 크로스 맴버의 양측에 차고 방향으로 바퀴를 선회 가능하게 연결시키는 양측 로워 아암, 이 양측 로워 아암에 그 양단이 바퀴가 차고 방향으로 요동하는 롤링에 대한 강성을 갖도록 설치되는 스테빌라이저 바아, 이 스테빌라이저 바아가 롤링에 대하여 갖는 강성을 차량의 운행 상태에 따라 변화시키도록 스테빌라이저 바아의 일단과 로워 아암의 일측 사이에서 스테빌라이저 바아의 일측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어할 수 있도록 링크를 개재하여 설치되는 롤링 강성 변환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스테빌라이저 바아 마운팅 장치
본 발명은 차량용 현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 선회시에는 롤링에 대한 강성을 증대시켜 차체를 롤링으로부터 안정시키고 평상시에는 롤링에 대한 강성을 최소화하여 승차감을 향상시키는 스테빌라이저 바아 마운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현가장치는 노면과 바퀴의 접촉에 따른 충격 및 진동이 차체로 전달되는 것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현가장치에는 불규칙한 거칠기를 갖는 도로를 주행할 때 좌우 바퀴의 수직 방향 이동에 따라 차체가 좌우로 흔들리는 롤링을 방지하기 위하여 장착되는 스테빌라이저 바아를 구비하고 있다.
이 스테빌라이저 바아는 비틀림 저항으로 좌우 바퀴의 고저를 조절하는 것으로서, 마운팅 브라켓트에 의하여 그 양측이 차체에 비틀림력을 가하도록 장착되고, 그 양단은 너클을 차체에 연결시키는 양측 로워 아암의 일측에 결합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스테빌라이저 바아 마운팅 장치는 스테빌라이저 바아 양측을 마운팅 브라켓트로 차체에 고정 장착하므로 차량 선회시에는 롤링에 대한 강성이 부족하여 차체를 롤링으로부터 안정시키기 곤란하고, 평상시에는 롤링에 대한 강성이 과대하여 승차감을 저하시키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들을 고려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 선회시에는 롤링에 대한 강성을 증대시키고 평상시에는 롤링에 대한 강성을 최소화시켜, 선회시에는 차체를 롤링으로부터 안정시키고 평상시에는 승차감을 향상시키는 스테빌라이저 바아 마운팅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를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테빌라이저 바아 마운팅 장치는 차폭 방향으로 설치되는 크로스 맴버의 양측에 차고 방향으로 바퀴를 선회 가능하게 연결시키는 양측 로워 아암, 이 양측 로워 아암에 그 양단이 바퀴가 차고 방향으로 요동하는 롤링에 대한 강성을 갖도록 설치되는 스테빌라이저 바아, 이 스테빌라이저 바아가 롤링에 대하여 갖는 강성을 차량의 운행 상태에 따라 변화시키도록 스테빌라이저 바아의 일단과 로워 아암의 일측 사이에서 스테빌라이저 바아의 일측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어할 수 있도록 링크를 개재하여 설치되는 롤링 강성 변환수단을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스테빌라이저 바아 마운팅 장치는 차량의 운행 상태에 따라 작동되는 롤링 강성 변환수단의 작동력을 링크로 스테빌라이저 바아와 로워 아암으로 전달하면서 스테빌라이저 바아의 롤링에 대한 강성을 제어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성 및 작용을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관련하는 스테빌라이저 바아 마운팅 장치의 정면도.
제2도는 제1도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제3도는 본 발명에 관련하는 스테빌라이저 바아 마운팅 장치의 제어 구성도.
제4도는 본 발명에 관련하는 스테빌라이저 바아 마운팅 장치의 제어 유압 회로도이다.
제1도는 본 발명에 관련하는 스테빌라이저 바아 마운팅 장치의 정면도로서, 스테빌라이저(1)가 차량의 주행 상태에 따라 좌,우측 바퀴(3,5)가 차고 방향으로 요동하는 롤링을 제어할 수 있는 구조를 이루고 있다.
즉, 스테빌라이저 바아(1)는 차폭 방향으로 설치되며, 그 일단은 힌지 구조로 스테빌라이저 링크(7)를 개재하여 일측 로워 아암(9)에 장착되고, 다른 일측은 롤링 강성 변환수단인 링크(11)를 개재하여 로워 아암(13)에 장착되는 구조를 이루고 있다.
그리고 상기 로워 아암(9,13)은 차고 방향으로 선회될 수 있도록 차체(미도시)에 힌지 구조로 장착되어 있다.
환언하면, 도면에서 보아 좌측 바퀴(3)측 스테빌라이저 바아(1)의 선단은 차체에 장착되는 마운팅 브라켓트(15)를 개재하여 차체에 고정 장착되고, 우측 바퀴(5)측 스테빌라이저 바아(1)의 선단은 차량의 운행상태에 따라 롤링에 대한 강성을 제어할 수 있는 구조로 장착되어 있다.
즉, 링크(11)의 일측에 힌지 구조로 장착된 스테빌라이저 바아(1)의 다른 측 선단은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워 아암(13)에 차고 방향으로 설치되는 가이드(15)에서 수직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링크(11)는 차체에 힌지 구조로 장착되어 그 일단은 상기와 같이 스테빌라이저 바아(1)의 선단에 힌지 구조로 결합되고, 다른 일단은 롤링 강성 변환수단의 또 한 요소인 유압 실린더(17)의 피스턴 로드(19)에 힌지 구조로 결합되어, 이 피스턴 로드(19)의 수평 왕복 운동을 스테빌라이저 바아(1) 선단의 수직 왕복 운동으로 변환시킬 수 있는 구조를 이루고 있다.
상기 유압 실린더(17)는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에저유닛(ECU)의 제어 신호를 받아 작동하는 솔레노이드 밸브(21)가 형성하는 유압회로에 의하여 제어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솔레노이드 밸브(21)를 그 출력단에 연결한 전자제어유닛(ECU)은 그 입력단에 차량의 운행상태를 감지하는 감지수단으로 스티어링의 조향각을 감지하는 조향각 센서(23)와 차속을 감지하는 차속 센서(25)가 각각 연결되어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스테빌라이저 바아 마운팅 장치는 스테빌라이저 바아(1)가 차량의 전,후륜 모두에 적용된다면, 전,후륜 모두에 적용될 수 있으며, 본 구성에서는 전,후륜 중 일측만을 도시하고 있을 뿐이다.
전,후륜에 상기와 같은 스테빌라이저 바아 마운팅 장치를 적용할 때, 롤링 강성을 제어할 수 있는 측을 전,후륜의 같은 측에 설치함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2센서(23,25)의 감지신호를 받는 전자제어유닛(ECU)은 솔레노이드 밸브(21)를 제어하여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유압회로를 제어하여 유압 실린더(17)가 작동되게 한다.
즉, 유압 회로는 엔진(미도시)과 함께 구동되는 오일펌프(27)에서 공급되는 유압을 릴리이프 밸브(29)와 감압 밸브(31)로 제어하고, 제어된 유압을 솔레노이드 밸브(21)로 공급하여 전,후륜측에 장착된 유압 실린더(17)를 차량의 운행 상태에 따라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솔레노이드 밸브(21)는 유압 실린더(17)의 일측으로 유압을 공급하고 다른 일측으로 유압을 배출시켜 피스턴 로드(19)를 인출시키거나, 유압 실린더(7)의 상기 다른 일측으로 유압을 공급하고 상기 일측으로 유압을 배출시켜 피스턴 로드(19)를 인입시킬 수 있는 구조를 이루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스테빌라이저 바아 마운팅 장치를 구비한 차량을 운행하게 되면, 조향각 센서(23)와 차속 센서(25)는 차량의 운행상황에 따라 그 감지신호를 전자제어유닛(ECU)의 입력단에 인가시킨다.
이들 감지신호를 받은 전자제어유닛(ECU)은 차량이 선회 상태이냐 평상 상태이냐를 판단하여 이에 적절하도록 솔레노이드 밸브(21)를 제어한다.
즉, 도면에서 보아 좌측으로 선회하느냐 우측으로 선회하느냐에 따라 전자제어유닛(ECU)은 솔레노이드 밸브(21)의 제어 방향을 결정하여 유압 실린더(17)의 피스턴 로드(19)를 인출 또는 인입시킨다.
상기와 같이 인입 또는 인출되는 유압 실린더(17)에 의하여 링크(11)가 가이드(5)상에서 차고 방향으로 승강되면서 이에 힌지 구조로 결합된 스테빌라이저 바아(1)의 일단(도면에서 우측단)을 위치를 승강시킨다.
즉, 좌회전시에는 스테빌라이저 바아(1)의 일단(도면에서 우측단)을 상승시키고, 우회전시에는 스테빌라이저 바아(1)의 일단(도면에서 우측단)을 하강시킨다.
따라서 선회시에는 롤링 강성을 변화시켜 롤링에 대하여 차체를 안정시키고, 평상시에는 스테빌라이저 바아(1)의 우측단(도면에서 보아)이 자유 상태로 되어 롤링에 대한 강성을 최소화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테빌라이저 바아 마운팅 장치는 차량의 운행 상태에 따라 작동되는 롤링 강성 변환수단의 작동력을 링크로 스테빌라이저 바아와 로워 아암으로 전달하면서 스테빌라이저 바아의 롤링에 대한 강성을 제어하여, 차량 선회시에는 롤링에 대한 강성을 증대시키고 평상시에는 롤링에 대한 강성을 최소화시키므로 선회시에는 차체를 롤링으로부터 안정시키고 평상시에는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1)

  1. 차폭 방향으로 설치되는 크로스 맴버의 양측에 차고 방향으로 바퀴를 선회 가능하게 연결시키는 양측 로워 아암과; 상기 양측 로워 아암에 그 양단이 바퀴가 차고 방향으로 요동하는 롤링에 대한 강성을 갖도록 설치되는 스테빌라이저 바아와; 상기 스테빌라이저 바아가 롤링에 대하여 갖는 강성을 차량의 운행 상태에 따라 변화시키도록 하는 롤링 강성 변환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롤링 강성 변환수단은 유압회로에서 일측으로 공급, 배출되고, 다른 일측으로 배출, 공급되는 유압에 의하여 수평 왕복 운동하는 유압 실린더와; 상기 유압 실린더의 피스턴 로드에 힌지로 연결되어 유압 실린더의 수평 왕복 운동을 수직 왕복 운동으로 변환시키도록 차체에 힌지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링크와; 상기 링크의 다른 일측에 힌지로 결합되는 스테빌라이저 바아의 선단이 수직 방향으로 직선 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로워 아암의 일측에 고정된 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빌라이저 바아 마운팅 장치.
KR1019960063611A 1996-12-10 1996-12-10 스테빌라이저 바아 마운팅 장치 KR1002645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3611A KR100264593B1 (ko) 1996-12-10 1996-12-10 스테빌라이저 바아 마운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3611A KR100264593B1 (ko) 1996-12-10 1996-12-10 스테빌라이저 바아 마운팅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5428A KR19980045428A (ko) 1998-09-15
KR100264593B1 true KR100264593B1 (ko) 2000-10-02

Family

ID=194868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63611A KR100264593B1 (ko) 1996-12-10 1996-12-10 스테빌라이저 바아 마운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64593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0341B1 (ko) 2005-12-19 2011-06-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스테빌라이저 바
CN103158484A (zh) * 2011-12-12 2013-06-19 现代自动车株式会社 主动侧倾控制系统
KR101283593B1 (ko) 2011-12-12 2013-07-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액티브 롤 컨트롤 장치
KR101283606B1 (ko) 2011-12-12 2013-07-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액티브 롤 컨트롤 장치
KR101284339B1 (ko) 2011-12-09 2013-07-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액티브 롤 컨트롤 장치용 슬라이딩 유닛
KR101284346B1 (ko) * 2011-12-09 2013-07-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액티브 롤 컨트롤 장치
KR101284340B1 (ko) 2011-12-09 2013-07-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액티브 롤 컨트롤 장치
KR102043598B1 (ko) * 2019-08-06 2019-11-11 여환수 가변형 안티 롤바.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9215A (ko) * 2001-12-14 2003-06-2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롤링 방지장치
KR100839121B1 (ko) * 2007-04-03 2008-06-19 주식회사 만도 차량용 자세 제어 장치 및 그 자세 제어 방법
KR101328713B1 (ko) * 2008-04-11 2013-11-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액티브 롤 컨트롤 장치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0341B1 (ko) 2005-12-19 2011-06-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스테빌라이저 바
KR101284339B1 (ko) 2011-12-09 2013-07-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액티브 롤 컨트롤 장치용 슬라이딩 유닛
KR101284346B1 (ko) * 2011-12-09 2013-07-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액티브 롤 컨트롤 장치
KR101284340B1 (ko) 2011-12-09 2013-07-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액티브 롤 컨트롤 장치
CN103158484A (zh) * 2011-12-12 2013-06-19 现代自动车株式会社 主动侧倾控制系统
KR101283593B1 (ko) 2011-12-12 2013-07-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액티브 롤 컨트롤 장치
KR101283606B1 (ko) 2011-12-12 2013-07-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액티브 롤 컨트롤 장치
CN103158484B (zh) * 2011-12-12 2017-03-01 现代自动车株式会社 主动侧倾控制系统
KR102043598B1 (ko) * 2019-08-06 2019-11-11 여환수 가변형 안티 롤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5428A (ko) 1998-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49328A (en) Roll control system
KR100264593B1 (ko) 스테빌라이저 바아 마운팅 장치
KR950017279A (ko) 자동차의 현가장치
KR19980045430A (ko) 스테빌라이저 바아 마운팅 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H07251622A (ja) 車高調整機能付リーフスプリング式サスペンション
JP3157343B2 (ja) 自動車の4リンク式リヤサスペンション装置
KR20070040213A (ko) 상용 차량의 드래그 링크 길이조절장치
KR101448796B1 (ko) 자동차의 현가장치
KR100931057B1 (ko) 현가장치 통합 제어기
KR0145688B1 (ko) 차량용 스테빌라이저 바아 및 그의 제어방법
KR100394631B1 (ko) 자동차의 조향륜 현가장치
JPH0526526U (ja) スタビライザ制御装置
JP2639940B2 (ja) スタビライザ装置
KR0137236B1 (ko) 동력 조향 장치의 토션바의 비틀림 응력 조절장치
KR19980045431A (ko) 스테빌라이저 바아 마운팅 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20240157753A1 (en) Roll control system and vehicle
KR100599570B1 (ko) 토션빔액슬의 토우각 조절장치
KR19980054114A (ko) 자동차용 쇽업소버의 서스팬션 보정장치
KR20020052595A (ko) 차량 현가장치
JPH0526527U (ja) スタビライザ制御装置
JPH05310023A (ja) 車両用スタビライザ装置
KR100227369B1 (ko) 차량의 리어 서스펜션
KR19980083558A (ko) 자동차의 스태빌라이져 조절장치
KR19980054112A (ko) 자동차의 쇽업소버
KR100349397B1 (ko) 자동차 스티어링 기어의 랙바 이동 제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