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64051B1 - 머리카락 모세포 활성화제 및 머리카락 모세포 활성화방법 - Google Patents

머리카락 모세포 활성화제 및 머리카락 모세포 활성화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64051B1
KR100264051B1 KR1019970701286A KR19970701286A KR100264051B1 KR 100264051 B1 KR100264051 B1 KR 100264051B1 KR 1019970701286 A KR1019970701286 A KR 1019970701286A KR 19970701286 A KR19970701286 A KR 19970701286A KR 100264051 B1 KR100264051 B1 KR 1002640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ir
derivatives
composition
extract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7012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705372A (ko
Inventor
다께오 와타나베
타다시 요네노
미츄오 하타나까
에이사꾸 다까하시
후미히꼬 기무라
타다히꼬 치바
Original Assignee
아라끼 타다시, 고다마 순이치론
쿠레하 카가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라끼 타다시, 고다마 순이치론, 쿠레하 카가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라끼 타다시, 고다마 순이치론
Publication of KR9707053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7053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40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405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7/00Preparations for affecting hair growth

Abstract

혈행촉진제와, 세포부활제를 포함하는 머리카락 모세포에 적용해야 하는 조성물(A)과; 단당류, 2당류 및 올리고당류에서 선택된 1종류 이상의 성분과, 수용성 고분자에서 선택된 1종류 이상의 성분을 포함하고, 상기 조성물(A)과는 시간을 두고 머리카락 모세포에 적용해야 하는 조성물(B)로 이루어지는 머리카락 모세포 화성화제. 다른 타입의 복수의 조성물을 조합시키는 동시에, 이들 다른 조성물(A) 및 조성물(B)을 시간을 두고 머리카락 모세포에 적용함으로써, 헤어 싸이클의 휴지기가 성장기로 전환되는 작용(휴지기타파)에 의거한 머리카락 모세포 활성(발모 내지 육모)이 가능하게 된다.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머리카락 모세포 활성화제 및 머리카락 모세포 활성화방법
[기술분야]
본 발명은, 머리카락 모세포 활성화제 및 머리카락 모세포 활성화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사람을 비롯한 동물(여러가지 애완용 동물, 밍크등)에 있어서, 생체내(in vivo), 및 시험관 내(in vitro)에서의 머리카락 모세포 활성화(머리카락 모세포의 분열촉진)에 적용 가능하다.
[배경기술]
생체내에 있어서 머리카락 모세포 활성화(내지 발모·육모)에 관해서는, 종래부터 수많은 육모제, 양모제(대개는 조성물)가 제안되어 있다(예를들면, 특공평6-4521~4524호, 특공평6-4526~4528호등).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
이들 종래의 육모제 내지는 양모제에 있어서, 탈모방지와 육모촉진에 어느 정도의 효과를 발휘하기는 하였으나, 그 효과의 정도는 반드시 만족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이것은, 예를들면 남성형 탈모의 원인으로서는, 성 호르몬의 부조화, 혈행의 부전, 머리카락 모세포 활성의 저하 등 여러 가지 원인이 복잡하게 얽혀져 있기 때문으로 생각되고 있다. 따라서, 보다 효과적인 육모·발모처방제가 더 요구되고 있는 것이 현재의 상황이다.
또한, 종래의 육모·양모제에 있어서는, 헤어싸이클의 휴지기를 성장기로 전환시키는 작용(휴지기 타파), 즉 발모효과를 증명한 예는 드물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한 머리카락 모세포 활성화제 내지 머리카락 모세포 활성화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헤어싸이클의 휴지기를 성장기로 전환시키는 작용(휴지기 타파)에 의거한 발모를 가능하게 한 머리카락 모세포 활성화제 내지 머리카락 모세포 활성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본 발명자는 연구결과, 토닉제(액상성분으로서 알콜을 포함하는 제제)로서 적당한 조성을 가지는 조성물(A)과, 로션제(액상성분으로서 수성용매를 포함하는 제제)로서 적당한 조성을 가지는 다른 조성물(B)로 이루어지는 다른 타입으이 복수 조성물을 조합시키는 동시에, 이들 다른 조성물(A 및 B)을 시간을 두고 머리카락 모세포에 적용하는 것이, 즉, 다른 자극을 머리카락 모세포에 반복해서 가하는 것이, 상기 목적의 달성에 대한히 효과적인 것을 발견했다.
본 발명의 머리카락 모세포 활성제는 상기 발견에 의한 것이고, 보다 상세하게는, 혈행 촉진제와, 세포 부활제를 포함하는, 머리카락 모세포에 적용해야 하는 조성물(A)과; 주요한 유효성분으로서, 단당류, 2당류 및 올리고당류에서 선택된 1종류 이상의 성분과, 수용성 고분자를 포함하고, 상기 조성물(A)과는 시간을 두고 머리카락 모세포에 적용해야 하는 조성물(B)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또한, 혈행촉진제와, 세포부활제를 포함하는 조성물(A)을 머리카락 모세포에 적용하고;
상기 조성물(A)의 머리카락 모세포로의 적용에서 1~36시간후에, 또한, 주요한 유효성분으로서, 수용성 고분자와, 단당류, 2당류 및 올리고당류에서 선택된 1종류이상의 성분을 포함하는 조성물(B)을, 머리카락 모세포에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리카락 모세포 활성화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또한, 주요한 유효성분으로서, 수용성 고분자와, 단당류, 2당류 및 올리고당류에서 뽑아낸 1종류 이상의 성분을 포함하는 조성물(B)을 머리카락 모세포에 적용하고;
상기 조성물(B)의 머리카락 모세포로의 적용에서 1~36시간후에, 또한 혈행촉진제와, 세포부활제를 포함하는 조성물(A)을, 머리카락 모세포에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리카락 모세포 화성화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서, [머리카락 모세포에 적용한다(apply)]란, 상기한 조성물(A 내지 B)을, 생체내 및 시험관내의 머리카락 모세포에 물리적으로 접촉시키는 것을 말한다. 이 물리적 접촉을 위한 수단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즉, 직접도포, 산포 내지 분무; 피복(표피, 진피), 피하조직 등의 다른 부위를 통해서 침투 내지 확산에 의거한 물리적 접촉 등의, 공지의 수단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는, [머리카락 모세포의 활성화(activation)]란, 머리카락 모세포의 세포분열을 촉진하는 것(내지는 그 세포분열 촉진에 의거한 발모·육모)을 말한다. 이 활성화는, 머리카락 모세포로의 조성물(A 내지 B)의 적용에 따라 머리카락 모세포에 직접적으로 생기는 것이어도 좋고, 또한 머리카락 모세포에 인접한 머리카락세포 혈관(예를들어, 머리카락 끝부분에 분포하는 머리카락세포 혈관)의 확장에 의거한 혈행의 촉진 등에 따라서 간접적으로 생기는 것, 혹은 이들 조합의 어느것이어도 좋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기재에 있어서는, 성분의 양비를 나타내는[%] 또는 [부]는, 특별히 알리지 않는한 질량기준(즉, [질량%] 또는 [질량부])으로 한다.
[머리카락 모세포 활성화제]
본 발명의 머리카락 모세포 활성화제는, 상기와 같이, 토닉제로서 적당한 성분을 포함하는 조성물(A)과; 로션제로서 적당한 성분을 포함하고, 조성물(A)과는 시간을 두고 머리카락 모세포에 적용해야 하는 조성물(B)로 이루어진다.
이들 조성물(A 및 B)은, 서로 머리카락 모세포에 적용하는 것이 발모·육모촉진 효율의 면에서 바람직하다. 머리카락 모세포에 적용해야 하는 순서는, 조성물(A 및 B)의 어느것이 먼저라도 좋다. (즉, A→B→A→···, 또는 B→A→B→···의 어느것이라도 좋다).
이들 조성물(A)의 머리카락 모세포로의 적용의 시점과, 조성물(B)의 머리카락 모세포로의 적용의 시점과의 사이의 시간간격의 길이는, 1~36시간정도(또한, 2~20시간 정도)인 것이 좋다.
[조성물 A]
헤어토닉제로서 적당한 조건을 갖는 조성물(A)은, 혈행촉진제와, 세포부활제를 포함한다. 이 조성물(A)은, 주로 육모촉진 작용을 갖는다. 즉, 그 조성물(A)은, 주로 헤어싸이클이 성장기에 있는 모근의 대사를 높이고, 탈모를 방지하고, 육모를 촉진시키는 작용을 갖는다. 조성물(A)은, 피복자극제, 보습제, 항염증제 등의 다른 성분을 더 함유하고 있는 것이 좋다.
[혈행촉진제]
혈행촉진제는, 주로 머리카락 모세포에 영양을 주는 기능을 갖는[머리카락 끝부분(毛乳頭)]으로의 혈행을 촉진(내지는, 머리카락 끝부분에 있어서 머리카락 세포 혈관을 확장)하는 성분이고, 필요에 따라서 2종류 이상 사용해도 좋다.
상기 혈행촉진제는, 공지의 혈행촉진제, 예를들어, 월년초엑기스(내지 스웰티노겐), 히녹티올, 비타민E유도체 (본명세서에 있어서는, [비타민E] 자체를 포함하는 취지로 이용한다) 마늘 엑기스, 세파란틴, 염화칼프로늄, 미녹시딜, 토우키엑기스, 인삼엑기스, 겐티아나엑기스, 아세틸콜린 등의 화합물 내지 조성물에서, 1종류 이상을 적당하게 선택해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혈행촉진제는, 조성물(A) 전체의 질량의 기준으로서, 0.1~4%정도(더욱 바람직하게는 0.25~1.0% 정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혈행촉진제로서, 2종류이상의 성분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그것들의 [합계량]을 말한다 ; 이하의 조성물(A 내지 B)을 구성하는 다른 성분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한다).
[피부자극제]
피부(내지 국소) 자극제는, 조성물(A)이 적용된 부위를 자극하는 기능을 갖는 성분이고, 필요에 따라서 2종류 이상 사용해도 좋다.
상기 피부자극제는, 공지의 피부(국소)자극제, 예를들어, 1(L)-멘틀, 고추 정기, 박하유, 칸타리스정기, 니코친산벤질, 쇼우쿄우정기, 노닐산 바닐아미드, 캠플 등의 화합물 내지 조성물에서, 1종류 이상을 적당하게 선택해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는, 조성물(A)을 구성하는 다른 성분과의 상승 효과의 면에서는, 상기한 가운데서도, 1-멘틀, 고추정기, 및 박하유에서 1종류 이상을 선택해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피부자극제는, 조성물(A) 전체의 질량을 기준으로서, 0.01~4% 정도(더욱 바람직하게는 0.025~1.0% 정도)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세포부활제]
세포부활제는, 머리카락 모세포를 부활하는 기능을 갖는 성분이고, 필요에 따라서 2종류 이상 사용해도 좋다.
상기 세포부활제는, 공지의 세포부활제, 예를들어, D-팬트테닐알콜 유도체(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D-팬트테닐알콜] 자체를 포함하는 취지로 이용한다), 프라센터넥기스, 감광소(photosensitizing dye) 301호, 비오틴, 펜타데칸산 글리세리드 등의 화합물 내지 조성물에서 1종류 이상을 적당하게 선택해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조성물(A)을 구성하는 다른 성분과의 상승효과의 면에서는, 상기한 가운데서도, D-펜트테닐알콜 유도체(예를들어, D-펜트테닐알콜, 및/또는 D-펜트테닐에틸에테르), 및 프라센터엑기스에서 1종류 이상을 선택해서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세포부활제는, 조성물(A) 전체의 질량을 기준으로서, 0.5~5% 정도(더욱 바람직하게는, 0.1~1% 정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습제]
보습제는, 피부, 모발에 수분을 주고, 건조를 방지하는 목적으로 이용되는 흡수성이 높은 수용성 물질이고, 필요에 따라서 2종류 이상 사용해도 좋다.
상기 보습제는, 공지의 보습제, 예를들어,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히알론산(히알론산염을 포함하는 취지로 이용한다). 피롤리돈카르본산 나트륨, 미니사사니식엑기스 등의 화합물 내지 조성물에서, 1종류 이상을 적당하게 선택해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조성물(A)을 구성하는 다른 성분과의 상승효과의 면에서는, 상기한 가운데서도, 글리세린, 프로피렌글리콜, 및 히알론산에서 1종류 이상을 선택해서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습제는, 조성물(A) 전체의 질량을 기준으로, 0.05~5%정도(더욱 바람직하게는 1~3% 정도)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항염증제]
항염증제(내지 소염제)는, 항염증작용을 갖는 성분이고, 필요에 따라서 2종류 이상 사용해도 좋다.
상기 항염증제는, 공지의 항염증제, 예를들면, 글리틸리틴산 유도체([글리틸리틴산] 자체를 포함하는 취지로 사용한다. 예를들어, 글리틸리틴산 디칼륨, 글리틸레틴산이다), 감초엑기스, 칼베녹소론니나트륨, 과이아즈렌, 염산디펜히드라민, 자근엑기스, 에이지츠엑기스 등의 화합물 내지 조성물에서, 1종류 이상을 적당하게 선택해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는, 조성물(A)을 구성하는 다른 성분과의 상승 효과의 면에서는, 상기한 가운데서도, 글리틸리틴산 유도체(특히, 글리틸리틴산 디칼륨), 및 감초엑기스에서 1종류 이상을 선택해서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항염증제는, 조성물(A) 전체의 질량을 기준으로, 0.05~3% 정도(더욱 바람직하게는 0.1~2% 정도)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성물(A) 성분의 적당한 조합]
본 발명에서는, 특히, 이하와 같은 성분의 조합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혈행촉진제〉 히녹티올 + 비타민 E 니코티네이트
〈피부자극제〉 박하유
〈세포부활제〉 D-팬트테닐알콜
〈보습제〉 글리세린 + 프로필렌글리콜
〈항염증제〉 글리틸리틴산디칼륨
[다른 성분]
조성물(B)과의 조합의 효과를 보다 증강하는 점에서는, 상기 성분에 더해서 조성물(A)에, 후술하는 [단당류, 2당류 및 올리고당류]에서 선택한 1종류이상의 성분(예를들어, 트레할로스), 및/또는 수용성 고분자(예를들어, 폴리비닐피롤리돈)를 더 함유시키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와같은 양태에 있어서는, 조성물(A)전체의 질량을 기준으로, [단당류, 2종류 및 올리고당류]를 0.5~10%정도(더욱 바람직하게는, 0.5~2% 정도)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조성물(A)에, 살균제와 영양제 등의 성분을 포함시킬 수 있다.
[조성물 B]
로션제로서 적당한 성분을 함유하는 조성물(B)은, 주요한 유효성분으로서, [단당류, 2당류 및 올리고당류]에서 선택한 1종류 이상의 성분과, 수용성 고분자에서 뽑아낸 1종류 이상의 성분을 포함한다. 이 조성물(B)은, 주로, 휴지기 타파작용을 갖는다. 즉, 조성물(B)은, 주로, 헤어싸이클이 휴지기에 있는 모근의 대사를 높이고, 헤어싸이클을 성장기로 전환시키는 작용을 갖는다.
[단당·2당류·올리고당]
상기 [올리고당]으로서는, 9분자 이하의 단당이 축합된 다당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단당, 2당류 내지 올리고당]으로서는, 공지의 단당, 2당류 내지 올리고당, 예를들어, 포도당, 키시로즈, 과당, 갈락토즈, 만노즈, 아라비노즈 등의 단당류; 설탕, 유당, 파라티노즈, 말토즈, 세로비오즈, 트레할로스 등의 2당류; 라피노즈 등의 3당류; 프럭토 올리고당류, 이소말토 올리고당류, 키시로 올리고당류, 덱스트린류, 시클로덱스트린류(α-, β-, 또는 γ-시클로덱스트린, 글코스단위=6~9개) 등의 올리고당류등에서, 1종류 이상을 적당하게 선택해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들 당류는, 1종류만을 사용해도 좋고, 또한 2종류 이상을 혼합해서 이용해도 좋다. 또한, 이들 당류에 이성체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그 이상체의 단독 혹은 이상체 끼리의 혼합물의 어느것이나 사용할 수 있다. 이들 당류는 공지의 방법(문헌기재의 방법)에 따라서 조제해서 이용해도 좋고, 또한, 시판하는 당류를(필요에 따라서 정제한 후에)이용해도 좋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조성물(B)을 구성하는 다른 성분과의 상승효과의 면에서는, 상기한 가운데서도, 트레할로스, 및 시클로덱스트린에서 1종류 이상을 선택해서 이용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상기[단량, 2당류 내지 올리고당]은, 조성물(B)전체의 중량을 기준으로, 0.5~20% 정도(바람직하게는 1.0~10%정도)이용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수용성 고분자]
상기 수용성 고분자로서는, 다당류(10분자 이상의 단당이 축합된 다당화합물을 말한다), 및/또는 합성 고분자가 적당하게 이용된다. 수용성 고분자는, 필요에 따라서 2종류 이상 사용해도 좋다.
상기 다당류로서는, 메틸셀룰로즈, CMC (카르복시메틸셀룰로즈)유도체, 알긴산 유도체, 타마린드종자다당, 키토산 등의 천연물 내지 그 유도체 등에서, 1종류 이상을 선택해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합성 고분자로서는 폴리비닐 알콜, 폴리비닐피롤리돈 등의 합성 고분자 내지 그 유도체등에서, 1종류 이상을 선택해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조성물(B)을 구성하는 다른 성분과의 상승 효과의 면에서는, 상기한 수용성 고분자 중에서도, 알긴산 유도체, CMC 유도체, 타마린드종자 다당(타마린드 껌), 키토산, 폴리비닐알콜, 및 폴리비닐피롤리돈에서 1종류 이상을 선택해서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다당류 내지 수용성 고분자]는, 조성물(B)전체의 중량을 기준으로 0.1~10% 정도(바람직하게는, 0.5~5%정도)이용하는 것이 좋다.
[조성물(B) 성분의 적당한 조합]
본 발명에 있어서는, 특히, 이하와 같은 성분의 조합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당·2당류·올리고당〉 〈다당·수용성고분자〉
트레할로스 타마린드 껌
트레할로스 키토산
트레할로스 CMC-Na
트레할로스 알긴산나트륨
트레할로스 폴리비닐알콜
트레할로스 폴리비닐피롤리돈
트레할로스 폴리비닐알콜
알긴산 프로필렌글리콜 에스테르
[다른 성분]
상기한 바와 같이, 조성물(B)은, 2당류 내지 올리고당류에서 선택한 1종류 이상의 성분과, 다당류 내지 수용성 고분자에서 선택한 1종류 이상의 성분을 적어도 포함하는데, 필요에 따라서, 다른 성분을 더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한 조성물(A)과의 조합 효과를 보다 증강하는 점에서는, 상기 성분에 더해서 조성물(B)에, 혈행촉진제(예를들어, 월년초엑기스)를 더 함유시키는 것이 좋다. 이와같은 예에 있어서는, 조성물(B)전체의 중량을 기준으로 혈행촉진제를 0.1~3% 정도(또는, 0.25~2% 정도) 이용하는 것이 좋다.
[제형]
상기한 조성물(A 내지 B)은, 수용액, 수성현탁액, 유액, 크림, 겔, 에어졸 등의 임의의 제형으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한데, 조성물(A)은 토닉제로 사용하는 것이 좋다. 한편, 조성물(B)은 로션제의 제형으로 사용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서는, [토닉제]란, 50(중량)% 이상의 알콜을 포함하는 용매중에, 각 성분을 용해 또는 미세균 등에 분산시켜 이루어지는 외용액상 제제를 말한다. 그 알콜의 함유량은, 모든 용매의 중량을 기준으로, 60% 이상(또는 6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같은 토닉제의 외관은 통상적으로는 아주 깨끗하다.
상기 토닉제를 구성하는 알콜로서는, 공지의 알콜성 수산기를 가지는 액상성분을 단독 혹은 2종류 이상의 혼합물의 상태로 특별히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지만, 안정성 내지 휘발성의 점에서는, 모든 알콜의 중량을 기준으로, 에탄올(C2H5OH)을 40% 이상(또는 60% 이상) 포함하는 것이 좋다.
한편, 상기[로션제]란, 수성 용매중에 각 성분을 용해 또는 미세균 등에 분산시켜서 이루어지는 외용액상 제제를 말한다. 이와같은 로션제의 외관은, 용액상태([콜로이드용액]을 포함하는 취지로 이용한다), 유액상태, 현탁액상태 등의 어느것이어도 좋다.
상기 로션제를 구성하는 [수성용액]중의 물의 함유량은, 모든 수성용매의 중량을 기준으로, 90% 이상(또는 95% 이상)인 것이 좋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제형을 유지 보존하기 위해서, 필요에 따라서, 다른 공지의 성분을 더 가해도 좋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 공지의 첨가제, 예를들어, 항산화제, 방부제, 착색제, 안정화제, 용해보조제, 점도조정제, 청량화제, 향료 등을 더 가해도 좋다.
이하, 살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는데, 본 발명은 이들에 의해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이하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하기의 성분으로 시판품을 이용했다.
히녹티올 : (주)관동화학제
비타민E 니코티네이트 : (주)화광순약제
박하유 : (주)일흥제약제
글리틸리틴산 디칼륨 : (주)산양국책 펄프제
D-팬트테닐알콜 : (주)화광순약제
염산피리독신(비타민B6) : (주)화광순약제
메틸파라벤(보존제) : (주)동경화성제
타마린드 껌 : (주)대일본제약제의 글리로이드 3S(상표)
α, α-트레할로스(TRH) : 시그마(Sigma)사제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즈(HPC) : 일국(L)타입, (주)일본조달제, Lot.
No. HE-341
월년초엑기스 : 월년초 추출리퀴드, (주)환희제약제
키토산 : (주)소율수산화학공업제의 키토산PSH(상표)
알긴산 나트륨 : (주)화광순약제
카르복시메틸셀룰로즈 나트륨염(CMC-Na) : (주)제일공업제약제
폴리비닐 알콜(PVA) : (주)클라레제의 포발117
폴리비닐피롤리돈(PVP) : (주)화광순약제 공업제의 폴리비닐피롤리돈(K-90)
알긴산프로필렌글리콜 에스테르(PGA) : (주)기문 후드케미컬제, LFM
[실시예]
표 1 및 표 2에 나타낸 각 성분을 혼합하고, 조성물(A)을 토닉제의 제형으로 조제하고(T-1~4, T-F, 및 T-M), 조성물(B)을 로션제의 제형으로 조제했다.(L-1~8)
[표 1]
Figure kpo00001
[표 2]
Figure kpo00002
상기한 조성물(A 및 B)을 사용하여 헤어 싸이클의 휴지기에 있는 C3H 마우스의 베어낸 머리카락의 뒷부분을 이용한 발모시험에 의해, 머리카락 모세포 활성화효과(발모효과)를 평가했다. 구체적으로는, 이하와 같이 했다.
[발모효과시험(마우스)]
각 시험구(조성물A와 B와의 조합)당, 각 10두의 C3H/NeH 마우스(수컷, 8주령)의 등부분의 피부를 전기 이발기계(송하전공사제, 상품명; 내쇼날 스키컬비 캇트 ER552HP, 세리믹칼)으로 잘라서 제모(크기; 2.5cm×5.5cm 정도)하고, 그 등부의 피부가 휴지기인 것(피복이 핑크색)을 확인했다. 이 실험계에서는, 제모한 피부는, 약제 미도포, 물 및 알콜도포에서는, 약 14주간 발모가 전혀 보이지 않는다.
상기와 같이 해서 제모한 마우스 등부분 피부의 좌측 반정도로, 상기 표 1에 나타낸 토닉제(T), 및 표 2에 나타낸 로션제(L)의 각 조성물을, 하기 표 3에 나타낸 조합으로 손가락 끝을 이용해서 시간을 두고 서로 도포했다.
상기한 각 조성물의 도포는, 상기 제모의 다음날부터 개시했다. 각 조성물의 도포량은, 1회 도포에 있어서 1두당, 0.1ml을 사용했다. 그 도포는, 하기 표 3의 [시험번호 1~5]에 대해서는, 아침 도포(오전 10시), [시험 번호 6~12]에 대해서는 저녁 도포(오후 4시)를 각각 행하고, 어느것이나 도포의 회수는 1일당 1회로 했다. 한편, [시험번호 13~30]에 대해서는, 아침 도포 및 저녁 도포의 쌍방을 행하고, 도포의 회수는, T 또는 L조성물에 대해서, 각각 1일당 1회로 했다.
그 도포 개시후, 42일째(도포회수 42회, 또는 84회)에, 발모부분의 면적을 측정, 발모면적율(발모부분의 면적/도포한 전면적)을 계산하고, 상기한 각 조성물 도포의 효과를 판정했다. 얻어진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상기 발모부분의 면적은, 이하와 같은 방법으로 측정했다.
〈발모부분의 면적측정법〉
가로 12.5mm, 세로 27.5mm의 1.0mm 씩의 틀을 이용해서, 발모부분의 면적을 측정했다.
[표 3]
Figure kpo00003
하기 표 3에 나타낸것과 같이, 조성물(A)(토닉제) 및 조성물(B)(로션제)을 시간을 두고, 생체 내의 머리카락 모세포(마우스 뒷부분)에 적용함으로써, 현저한 발모효과가 인정되었다. 상기 실험은 헤어 싸이클의 휴지기에 있는 마우스를 사용해서 행한 것이기 때문에, 상기에서 인정된 발모 효과는, 헤어 싸이클의 휴지기가 성장기로 전환된 작용(휴지기 타파)에 기인하는 머리카락 모세포 활성화에 의거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사람에게 실용시험]
남성형 탈모증의 피험자 7명의 두피(주로, 탈모부분)에, 아침(오전 7시)에 상기 도 1(표 1)의 [T-4]를, 저녁(오후 9시)에 상기 도 1[표 1]의 [L-2]를 각각 0.5~1.0ml 도포했다. 그 도포는, 상기 [아침 및 밤]을 1세트로 주에 5 내지 6회(세트) 행했다. 그 도포의 기간은, 5~9개월로 했다.
평가항목은, ① 비듬방지효과, ② 탈모방지효과, ③ 증모감, 및 ④ 발모효과의 4항목으로 했다. 이들 4항목에 대해서는, 어느것이나 같은 관찰자가 눈으로 관찰하는 것에 의해 판정했다. 판단기준은 이하 대로 했다.
◎ ········· 뚜렷한 효과 있음
○ ········· 효과 있음
― ········· 눈에 띄는 변화 없음
상기에 의해 얻어진 평가 결과를, 표 4에 나타낸다.
[표 4]
Figure kpo00004
하기 표 4에 나타낸 것처럼, 조성물(A)(토닉제) 및 조성물(B)(로션제)을 시간을 두고, 생체내의 머리카락 모세포(사람의 두부)에 적용함으로써, 현저한 발모효과 내지 탈모방지 효과가 인정되었다.
[발명의 효과]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시간을 두고 머리카락 모세포에 적용해야만 하는 2종류의 조성물, 즉, 혈행촉진제와, 세포부활제를 포함하는 조성물(A)과; 주된 유효성분으로서, 단당류, 2당류 및 올리고당류에서 선택된 1종류 이상의 성분과, 수용성 고분자에서 선택된 1종류 이상의 성분을 포함하는 조성물(B)로 이루어지는 머리카락 모세포 활성화제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또한, 상기 조성물(A 및 B)중 어느것이든 한쪽을 머리카락 모세포에 적용하고, 그 적용후에서 1~36시간후에, 또한, 상기 조성물(A 및 B)중 다른쪽을 머리카락 모세포에 적용하는 머리카락 모세포 활성화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한 바와같이 다른 타입의 복수의 조성물을 조합시키는 동시에, 이들의 다른 조성물(A 및 B)을 시간을 두고 머리카락 모세포에 적용함으로써, 헤어 싸이클의 휴지기가 성장기로 전환되는 작용(휴지기 타파)에 의거한 머리카락 모세포 활성화(발모 내지 육모)가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머리카락 모세포 활성화제 내지 머리카락 모세포 활성화 방법은, 생체내 또는 시험관내 어느쪽이든 사용가능하다. 생체내에 있어서는, 사람을 포함하는 동물(예를들어, 밍크 등의 모피용 동물의 발모·육모, 애완용동물의 탈모예방등)의 머리카락 모세포 활성화에 사용가능하다.

Claims (8)

  1. 월년초엑기스(내지 스웰티노겐), 히녹티올, 비타민E 및 비타민E 유도체, 마늘 엑기스, 세파란틴, 염화칼프로늄, 미녹시딜, 토우키엑기스, 인삼엑기스, 겐티아나엑기스, 아세틸콜린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혈행촉진제와, D-펜트테닐알콜 및 그 유도체, 프라센터엑기스, 감광소(Photosensitizing dye) 301호, 비오틴, 펜타데칸산 클리세리드, 인삼엑기스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세포부활제를 포함하는 머리카락 모세포에 적용해야 하는 조성물(A)과; 유효성분으로서, 포도당, 키시로즈, 과당, 칼락로즈, 만노즈, 아라비노즈, 설탕, 유당, 파라티노즈, 말토즈, 세로비오즈, 트레할로스, 라피노즈, 프럭토 올리 고당류, 이소말토 올리고당류, 키시로 올리고당류, 덱스트린류, 시클로덱스트린류(α-,β-, 또는 γ-시클로덱스트린, 글로스단위=6~9개)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당 성분과, 메틸셀롤로즈 CMC(카르복시메틸셀롤로즈)유도체, 히드록시프로필셀롤로즈, 알긴산 유도체, 타마린드종자다당, 키토산 및 그 유도체, 폴리비닐 알콜 및 그 유도체, 폴리비닐피롤리돈 및 그 유도체로 구성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수용성 고분자 성분을 포함하고, 상기 조성물(A)과는 시간 간격을 두고 머리카락 모세포에 적용해야하는 조성물(B)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리카락 모세포 활성화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A)가 토닉제의 제형을 가지고, 상기 조성물을(B)가 로션의 제형을 가지는 머리카락 모세포 활성화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 간격을 조성물(A)의 적용 후 1~36시간에 조성물(B)가 적용되는 간격임을 특징으로 하는 머리카락 모세포 활성화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간격은 조성물(B)의 적용 후 1~36시간에 조성물(A)가 적용되는 간격임을 특징으로 하는 머리카락 모세포 활성화제.
  5. 월년초엑기스(내지 스웰티노겐), 히녹티올, 비타민E 및 비타민E 유도체, 마늘 엑기스, 세파란틴, 염화칼프로늄, 미녹시딜, 토우키엑기스, 인삼엑기스, 겐티아나엑기스, 아세틸콜린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형행촉진제와, D-펜트테닐알콜 및 그 유도체, 프라센터엑기스, 감광소(Photosensitizing dye) 301호, 비오틴, 펜타데칸산 클리세리드, 인삼엑기스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세포부활제를 포함하는 머리카락 모세포에 적용해야 하는 조성물(A)과; 유효성분으로서, 포도당, 키시로즈, 과당, 칼락로즈, 만노즈, 아라비노즈, 설탕, 유당, 파라티노즈, 말토즈, 세로비오즈, 트레할로스, 라피노즈, 프럭토 올리 고당류, 이소말토 올리고당류, 키시로 올리고당류, 덱스트린류, 시클로덱스트린류(α-,β-, 또는 γ-시클로덱스트린, 글로스단위=6~9개)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당 성분과, 메틸셀롤로즈 CMC(카르복시메틸셀롤로즈)유도체, 히드록시프로필셀롤로즈, 알긴산 유도체, 타마린드종자다당, 키토산 및 그 유도체, 폴리비닐 알콜 및 그 유도체, 폴리비닐피롤리돈 및 그 유도체로 구성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수용성 고분자 성분을 포함하는 조성물(B).
  6. 유효성분으로, 포도당, 키시로즈, 과당, 갈락토즈, 만노즈, 아라비노즈, 설탕, 유당, 파라티노즈, 말토즈, 세로비오즈, 트레할로스, 라피노즈, 프록토, 올리고당류, 이소말토 올리고당류, 키시로 올리고당류, 덱스트린류, 시클로덱스트린류(α-,β-, 또는 γ-시클로덱스트린, 글로스단위=6~9개)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당 성분과, 메틸셀롤로즈 CMC(카르복시메틸셀롤로즈)유도체, 히드록시프로필셀롤로즈, 알긴산 유도체, 타마린드종자다당, 키토산 및 그 유도체, 폴리비닐 알콜 및 그 유도체, 폴리비닐피롤리돈 및 그 유도체로 구성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수용성 고분자 성분을 포함하는 조성물(B)와 상호 작용하여 발모 또는 육모를 촉진하는 것을 특징으로8 하는, 월년초엑기스(내지 스웰티노겐), 히녹티올, 비타민E 및 비타민E 유도체, 마늘 엑기스, 세파란틴, 염화칼프로늄, 미녹시딜, 토우키엑기스, 인삼엑기스, 겐티아나엑기스, 아세틸콜린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형행촉진제와, D-펜트테닐알콜 및 그 유도체, 프라센터엑기스, 감광소(Photosensitizing dye) 301호, 비오틴, 펜타데칸산 클리세리드, 인삼엑기스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세포부활제를 포함하는 머리카락 모세포에 적용해야 하는 조성물(A).
  7. 조성물(A)와 (B)가 각각 다른 제형을 갖는 별도의 조성물 제제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항의 모세포 활성화제의 제조방법.
  8. 포도당, 키시로즈, 과당, 갈락토즈, 만노즈, 아라비노즈, 설탕, 유당, 파라티노즈, 말토즈, 세로비오즈, 트레할로스, 라피노즈, 프럭토 올리고당류, 이소말토 올리고당류, 키시로 올리고당류, 덱스트린류, 시클로덱스트린류(α-,β-, 또는 γ-시클로덱스트린, 글로스단위=6~9개)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당 성분과, 메틸셀롤로즈 CMC(카르복시메틸셀롤로즈)유도체, 히드록시프로필셀롤로즈, 알긴산 유도체, 타마린드종자다당, 키토산 및 그 유도체, 폴리비닐 알콜 및 그 유도체, 폴리비닐피롤리돈 및 그 유도체로 구성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수용성 고분자 성분을 포함하는, 머리카락의 성장 사이클에 있어서 휴지기를 성장기로 전환시키는 조성물(B).
KR1019970701286A 1994-09-06 1995-09-05 머리카락 모세포 활성화제 및 머리카락 모세포 활성화방법 KR10026405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12515/1994 1994-09-06
JP6212515A JP2971749B2 (ja) 1994-09-06 1994-09-06 毛母細胞活性化剤および毛母細胞活性化方法
PCT/JP1995/001765 WO1996007393A1 (fr) 1994-09-06 1995-09-05 Activateur de cellule mere de cheveux et procede d'activation de cellule mere de cheveux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705372A KR970705372A (ko) 1997-10-09
KR100264051B1 true KR100264051B1 (ko) 2000-08-16

Family

ID=166239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701286A KR100264051B1 (ko) 1994-09-06 1995-09-05 머리카락 모세포 활성화제 및 머리카락 모세포 활성화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EP (1) EP0779069A4 (ko)
JP (1) JP2971749B2 (ko)
KR (1) KR100264051B1 (ko)
CN (1) CN1157561A (ko)
AU (1) AU3973595A (ko)
CA (1) CA2199075A1 (ko)
WO (1) WO1996007393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8820A (ko) * 2002-08-27 2004-03-04 조용희 발모제 조성물
KR20180123997A (ko) * 2018-10-31 2018-11-20 김현수 발모·육모용 외용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94371B2 (ja) * 1994-09-07 2004-11-24 第一製薬株式会社 毛髪用組成物
JPH10203933A (ja) * 1997-01-27 1998-08-04 Kao Corp 養毛・育毛料
JPH11152207A (ja) * 1997-11-20 1999-06-08 Shiseido Co Ltd 化粧料
GB9820631D0 (en) * 1998-09-22 1998-11-18 Unilever Plc Hair treatment composition, method and use
JP2002179523A (ja) * 2000-12-15 2002-06-26 Ichimaru Pharcos Co Ltd ブタ胎盤抽出物を含有する化粧料組成物
JP2002187812A (ja) * 2000-12-20 2002-07-05 Ichimaru Pharcos Co Ltd ウマ胎盤抽出物を含有する化粧料組成物
JP5635226B2 (ja) * 2006-01-24 2014-12-03 株式会社林原 毛乳頭細胞増殖促進剤
JP2010222306A (ja) * 2009-03-24 2010-10-07 Pias Arise Kk 皮膚外用組成物
JP7011135B2 (ja) * 2016-02-19 2022-02-10 佳秀工業株式会社 血管内皮増殖因子産生促進剤の製造方法及び発毛剤の製造方法、並びに血管内皮増殖因子産生促進剤及び発毛剤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711841A1 (de) * 1987-04-08 1988-10-27 Henkel Kgaa Haarregenerierende zubereitungen
JPH0717834A (ja) * 1993-06-29 1995-01-20 Aderans Co Ltd 頭髪の育毛促進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8820A (ko) * 2002-08-27 2004-03-04 조용희 발모제 조성물
KR20180123997A (ko) * 2018-10-31 2018-11-20 김현수 발모·육모용 외용 조성물
KR102093040B1 (ko) 2018-10-31 2020-05-22 김현수 발모·육모용 외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779069A4 (en) 1999-03-24
CN1157561A (zh) 1997-08-20
JP2971749B2 (ja) 1999-11-08
EP0779069A1 (en) 1997-06-18
KR970705372A (ko) 1997-10-09
JPH0873321A (ja) 1996-03-19
CA2199075A1 (en) 1996-03-14
AU3973595A (en) 1996-03-27
WO1996007393A1 (fr) 1996-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64051B1 (ko) 머리카락 모세포 활성화제 및 머리카락 모세포 활성화방법
US20030199584A1 (en) Reduction of hair growth
JPH04963B2 (ko)
JP2884428B2 (ja) 洗浄組成物
JP4032246B2 (ja) 白髪防止・改善剤
JP3045590B2 (ja) 養毛化粧料
JPH01299209A (ja) 化粧品組成物
JP3707902B2 (ja) 毛母細胞活性化剤
JP3707903B2 (ja) 毛母細胞活性化増強剤
JPH07116012B2 (ja) 化粧品組成物
JP6996775B2 (ja) 個体の毛髪の成長を促進する、毛髪の抜けを予防する、または個体の毛包幹細胞の生成を促進する薬物の調製における組成物の用途
JPS63135316A (ja) アルキレンジアミノキナゾリン誘導体に基づく毛髪の生長を誘発及び刺激し且つ脱毛を抑制するための組成物
JP3640727B2 (ja) 重ね塗り式発毛剤及び、発毛方法
US5985841A (en) Deoxyglucopyranoside compounds for inducing/stimulating hair growth and/or retarding hair loss
KR100499564B1 (ko) 모발의 재생방법 및 발모제 조성물
JPH0899861A (ja) 皮膚外用剤
JP2774071B2 (ja) 養毛化粧料
KR102386651B1 (ko) 티플락스티닌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탈모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H107529A (ja) 発毛剤
CN112043624B (zh) 用于防止脱发并使头发增粗的组合物及其制备方法
JP2001131029A (ja) 発毛促進剤
JP2001131030A (ja) 発毛促進剤
JP2804834B2 (ja) 育毛剤及びそれを含有する養毛化粧料
JP3337845B2 (ja) 養毛料組成物
FR2854066A1 (fr) Composition cosmetique pour stimuler la croissance des cheveux et/ou diminuer leur chute et favoriser leur repousse, et produit capillaire incluant cette composi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