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99564B1 - 모발의 재생방법 및 발모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모발의 재생방법 및 발모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99564B1
KR100499564B1 KR10-2003-0019436A KR20030019436A KR100499564B1 KR 100499564 B1 KR100499564 B1 KR 100499564B1 KR 20030019436 A KR20030019436 A KR 20030019436A KR 100499564 B1 KR100499564 B1 KR 1004995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ir
follicles
composition
scalp
grow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194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84393A (ko
Inventor
신석봉
Original Assignee
신석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석봉 filed Critical 신석봉
Priority to KR10-2003-00194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99564B1/ko
Priority to PCT/KR2004/000280 priority patent/WO2004084849A1/en
Publication of KR200400843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43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95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956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7/00Preparations for affecting hair grow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Dermatolog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지기 상태에 있는 모발의 재생방법 및 그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주성분인 베타 글루칸의 면역력 증강작용에 의해 위축된 모낭을 활성화시키고 활성화된 모낭에 영양원으로 당류를 동시에 공급함으로서 모낭이 재생되고, 재생된 모낭의 활발한 세포 분열작용에 의해 분비되는 피지가 두피에서 과산화지질로 축적되는 것을 항산화제에 의해 방지함으로서 모주기(hair cycle)의 휴지기를 성장기로 전환시키는 휴지기 타파작용에 의한 모발의 재생방법과 확실한 탈모방지 및 발모효과가 기대되고 두피에 대해 부작용이 없는 우수한 발모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모발의 재생방법 및 발모제 조성물{A method and composition for hair revival}
본 발명은 휴지기 상태에 있는 모발의 재생방법 및 그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베타 글루칸의 면역력 증강작용을 이용하여 탈모현상으로 인해 위축되어있는 모낭을 활성화시키고 활성화된 모낭에 영양원으로서 당류를 공급함으로서 모낭이 재생되고, 재생된 모낭의 활발한 세포 분열작용에 의해 분비되는 피지가 두피에서 과산화지질로 축적되는 것을 항산화제에 의해 방지함으로서 모주기(hair cycle)의 휴지기를 성장기로 전환시키는 휴지기 타파작용에 의한 모발의 재생방법과 탈모방지는 물론 확실한 발모효과를 갖고 더욱 인체에 부작용이 없는 발모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두피로부터 모발이 빠지는 탈모증은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해 발생되는 것으로, 유전적인 체질이나 남성 호르몬의 작용과 같은 내적인 요인 또는 일상생활에서의 정신적인 스트레스, 두피에서의 과산화지질의 축적과 같은 외적인 요인이 있으며 이러한 요인들이 복잡하게 관여하여 탈모증상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최근에는 남성형 탈모뿐만 아니라 여성들의 비만성 탈모를 비롯하여 젊은 층에서의 탈모가 점차 확산되어가는 추세에 있으며, 이러한 탈모현상을 개선하기위해 많은 종류의 모발성장 또는 육모제가 시판되고 있다.
시판중인 모발성장 또는 육모제에 사용되는 주요 성분으로는 두피에 충분한 혈액을 순환시키기 위한 염화카프로니움, 미녹시딜 및 각종 식물의 추출물 등의 혈관 확장제나 모유두(毛乳頭)에 부착하여 모발을 탈락시키는 남성 호르몬의 작용을 억제하기위한 에스트로겐, 에스트라지올, 프로게스테론 등의 여성 호르몬제 또는 펜타데칸산, 휘나스테리드 등의 남성 호르몬 활성화 억제제가 있다. 예를 들면, 미국의 식품의약국(FDA)로부터 탈모치료제로 허가를 받은 약물은 두 종류로서 바르는 치료제인 미녹시딜은 혈관 확장작용에 의해 그리고, 경구용인 프로페시아는 피나스테라이드를 주제로 한 남성 호르몬의 활성화 억제작용에 의해 탈모방지 효과가 우수한 제제로 많이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전술한 대부분의 모발성장, 육모제들은 탈모의 방지에는 어느 정도의 효과를 나타내지만 발모와 관련된 효과는 반드시 만족할만한 것이 아니었다. 즉 이들 제제는 모근이 활성화 되어있는 부위에서만 효과를 나타내므로 탈모방지 효과는 상당하지만 휴지기 상태의 모발의 재생 즉 발모효과는 미미하여서, 이미 탈모가 진행되어버려 모낭이 위축된 대머리에는 전혀 효과가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머리털은 성장기→퇴행기→휴지기→성장기라고 하는 모주기(hair cycle)를 반복하는 것으로 탈모증은 휴지기가 길고 성장기가 짧은 상태를 말하고 휴지기가 길어지면 모낭이 위축되어 현재까지는 모발재생이 거의 불가능한 것이라고 믿고 있었으며, 바로 이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이 본 발명의 기술과제이다. 현재 시판되고있는 제제는 대부분 성장기 머리털의 탈모방지 효과만을 기대하는 것인 반면 본 발명은 오랜 기간의 휴지기로 위축되어 있는 모낭을 재생시켜 상기한 모주기중에서 휴지기를 성장기로 전환시키는 방법에 의해 탈모방지는 물론 모발의 재생을 가능하게 하고 더욱 인체에 부작용이 없는 발모제를 개발하고자 함에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이 있는 것이다.
삭제
두피의 하나 또는 몇 개의 영역에서 모발이 돌연 없어지는 원형 탈모증의 경우에는 면역계의 변조에 의해 모낭이 임파구에 의해 공격을 받아 발육상태가 갑자기 중단되면서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와 관련하여 일부 과학자들은 대머리를 원형 탈모와 같은 `자가면역질환`의 하나로 보고 있으며 남성 호르몬(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 DHT)이 면역반응을 일으켜 모근을 파괴시킨다는 설을 제시하고 있다. 즉, 탈모증상이 나타난 사람들의 경우 체내에서 백혈구가 모낭을 제거해야 하는 외부 단백질로 인식하면서 자기항체를 생성하여 모낭을 공격하게 된다는 것이다. 자기항체가 생성되면 흉선이 위축되어 면역계의 기능이 약화되고 그 결과의 하나로 모낭이 위축되면서 머리카락이 가늘어지고 조밀성이 감소하면서 빠져나가게 된다는 것이다. 일본공개특허공보 2002-080494호에 의하면 대두(大豆)로부터 추출한 펩타이드가 갖는 면역력 증강작용이 항암제 사용에 따른 부작용으로 인해 발생하는 탈모의 방지에 우수한 효과가 있다고 보고하고 있다. 또한 탈모현상을 일으키는 주요 원인의 하나로 피지의 역할도 강조되고 있다. 성장기에 있는 모낭으로부터 두피로 분비된 피지는 활성산소나 자외선조사에 의해 두피 층에 과산화지질을 생성하면서 굳어지는 성질이 있어서, 굳어진 피지가 모공을 막아버리므로 모발의 정상적인 성장을 방해하거나 세포구성물의 괴사를 가져와 탈모를 촉진하게 된다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연구결과에 기초하면서 종래기술의 결점을 해소하고 또한 현재까지 공지된바가 없는 새로운 모발의 재생방법을 제시함과 동시에 이를 입증하기 위한 일련의 시험을 행하였다. 다시 말하면 본 발명은 탈모현상을 면역질환의 관점에서 보고 이의 해결방법으로서 면역력 증강에 의한 `자가면역중화효과(autoimmune neutralization effect)`를 발휘하는 방법에 의해 일반적인 탈모환자는 물론 모낭이 매우 축소화 되어 매끈매끈한 대머리의 모낭까지도 활성화시키고 활성화된 모낭에 영양원으로서 당류를 동시에 공급함으로서 모낭이 재생되고, 재생된 모낭의 활발한 세포 분열작용에 의해 분비되는 피지가 두피에서 과산화지질로 축적되는 것을 항산화제를 이용하여 방지함으로서 모주기의 휴지기가 성장기로 전환되는 휴지기 타파작용에 의해 탈모방지는 물론 확실한 발모효과를 얻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의 모발 재생방법에 대한 메커니즘을 도1과 함께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서의 모발 재생요소를 나타낸 것으로, 본 발명의 모발 재생방법에 대한 메커니즘은 모주기(hair cycle)중에서 휴지기에 있는 모낭에 면역력을 증가시키는 BRM(Biological Response Modifier, 생물학적 반응 조절물질)의 `자가면역중화효과`에 의해 모낭을 활성화시키고 활성화된 모낭에 영양소로서 당류를 동시에 공급함으로서 모낭이 재생되고, 재생된 모낭의 활발한 세포 분열작용에 의해 분비되는 피지가 두피에서 과산화지질로 축적되는 것을 항산화제에 의해 방지함으로서 모주기가 성장기로 전환되면서 모발이 재생되는 것에 기인한다.
일반적으로 면역을 활성화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암과 같은 난치병을 치료하려는 방법을 면역요법이라고 하며 이에 사용하는 것으로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합성된 화학물질이 아닌 천연물 소재로서 면역력을 증가시키는 BRM은 면역계를 자극하여 숙주의 생물학적 반응을 변화시키므로 여러 가지 생리학적 효과를 나타내는 물질로서 특히 화학적 항암 치료제와 병용해서 각종 암 환자의 치료에 이용되고 있다. 여기에는 버섯류에서 추출한 다당류(polysaccharide)로 크레스틴(krestin), 렌티난(lentinan), 베타 글루칸(β glucan) 및 AHCC(Active Hexose Correlated Compounds)등이 알려져 있다. 특히 AHCC는 여러 종류의 암 환자에게 경구 투여하여 면역력 증강에 의한 암 치료는 물론 부작용이 없고 더욱 항암제 투여에 의해 일어나는 구토, 탈모, 통증 등의 부작용을 경감시키는 특징이 있어 각종 암 환자에 대한 면역증강 보조요법으로 사용되고 있다.본 발명에 따른 모발의 재생방법은 탈모가 상당히 진행된 대머리 상태의 모발을 재생하는 방법으로, 장기간 휴지기 상태에 있는 모낭세포는 암 환자에서 암세포로 인해 면역기능이 약화된 정상세포와 유사한 성질을 갖는 것으로 보고, 면역력 증강작용을 갖는 BRM을 두피에 직접 도포함으로서 '자가면역중화효과' 에 의한 모낭을 활성화시키는 방법이다.
본 발명에 따른 모발 재생방법에서는 BRM 중에서 베타 글루칸을 면역계의 활성을 촉진하는 물질로 선정하고, 상기 BRM을 일반 탈모증 환자를 포함하여 모낭이 축소화 되어 매끈매끈한 민 대머리에 대한 임상시험을 실시하여 탈모방지효과는 물론 지금까지 기대하지 못했던 민 대머리에서까지도 모발의 재생효과를 얻게 되었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발모제 조성물은 주성분으로서(a) 면역 증강작용에 의해 모낭을 활성화 시키는 베타 글루칸 0.01~20중량%와 (b) 활성화된 모낭으로 영양소를 공급하는 당류로서, 글루코스, 키실로스, 만노스, 아라비노스 등의 단당류 및 말토스, 슈크로스, 셀로비오스, 트레할로스 등의 2당류로부터 선정된 1종 이상을 0.1∼20중량% (c) 모낭의 세포분열 촉진작용에 의해 분비되는 피지가 두피에서 과산화지질로 축적되는 것을 방지하는 항산화제로서 플라보노이드, 탄닌산, 몰식자산, 카테킨, 에비카테킨 및 루틴 등의 식물성 포리페놀류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0.1~20중량%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휴지기 상태의 모낭세포를 활성화시키는 작용을 하는 베타 글루칸은 인체에 대한 독성이 없기 때문에 그 배합량이 한정되어 있지 않고 광범위하게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베타 글루칸의 함량이 0.01중량% 이하가 되면 모낭세포를 활성화 시키지 못하고, 20중량% 이상이 되면 효과에 있어서 큰 차이는 없으나 경제적으로 불리한 단점이 있기 때문에 베타 글루칸의 함량은 제제의 전체 양 대비 0.01~20중량%의 범위 내에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0.01~10중량%의 범위 내로 하는 것이 보다 효과적이다.
또한 당류 및 항산화제는 1종 또는 2종 이상이 배합되며,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각각의 효과 면에서 제제의 전체 양 대비 0.1∼2O중량%의 범위 내에서 사용하는 것이 적당하고, 바람직하게는 0.1∼10중량%의 범위 내로 하는것이 보다 효과적이다.본 발명에 따른 발모제 조성물의 나머지 성분으로서 상기의 베타 글루칸, 당류 및 항산화제를 희석, 용해시키는 용제를 포함한다. 용제는 정제수, 저급알콜류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사용하며, 저급 알콜류는 에탄올 또는 i-프로판올이 바람직하며, 용제의 양은 본 발명의 주성분인 베타 글루칸, 당류 및 항산화제의 양을 제외한 나머지 양으로서 구체적으로는 40∼99.79 중량%를 사용한다.
본 발명의 발모제 조성물에는 이들 주요성분 이외에도 필요에 따라 통상 모발성장 및 육모효과를 기대하는 화장료에 배합되는 각종 공지의 재료를 함유 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항균제, 청량제, 보습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있다. 항균제로서는 예로, 히노키치올, 키토산, 포리이진, 안식향산소다, 파라벤류 등이 있다. 청량제로서는 예로, 맨톨 등이 있다. 보습제로서는 예로,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1, 3-부틸렌글리콜, 솔비톨, 만니톨, 폴리에틸렌글리콜 등의 다가알콜류등이 있고 사용 시에는 단독 또는 혼합물로서 이용할 수가 있다. 또한 첨가제로서는, 예를 들어 유지류, 계면활성제, 알콜류, 지방산류, 산화방지제, 색소, 향료, 자외선흡수제, 킬레이트제, pH 조정제, 완충제 등이 있고 그 배합량은 적당히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발모제 조성물은 전기한 주요성분을 함유하는 것으로 헤어토닉, 헤어로숀, 헤어크림, 샴푸, 린스 등의 모발이나 두피에 사용하는 각종 화장료의 형태로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발모제 조성물은 두피에 직접 도포 또는 산포하는 등의 경피투여에 의해 사용된다. 투여량은 연령이나 개인차 또는 그 제형이나 형태에 따라 적절히 결정되어야 하지만 일반의 성인에 대한 투여량은 1 일 2회, 1회 1-2 ml을 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하기예에 의하여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1-3] 발모제 조성물의 조제
다음 표 1에 나타낸 성분 및 배합조성을 이용하여 각 성분을 가온 용해하여 가용화 시킨 본 발명의 헤어토닉형 발모제를 조제하였다.
〈표 1〉
[시험예 1] 사람에 의한 발모효과 시험
남성 및 여성의 각종 탈모증 환자 40명을 종류, 정도를 각 그룹이 유사하도록 4개 그룹으로 나누고, 실시예 1 내지 3에서 조제한 발모제를 사용한 그룹과 비교예로 50%의 에탄올만을 사용한 그룹의 검체를 이용하여 임상시험을 하고 유효성을 평가하였다. 두피로의 투여는 1일 2회, 매일 6개월간 시행하고 육모상태를 6개월 후에 평가하였다.판정기준은1. 높은 효과 있음-신생모가 보인다(경모,硬毛).2. 중간정도의 효과 있음-신생모가 보인다(솜털,軟毛).3. 약간 효과 있음-탈모의 수가 감소한다.4. 효과 없음-전혀 변화가 보이지 않는다.로 평가하였으며, 시험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표 2〉
표 2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발모제는 어느 것도 대조군 보다 개선율이 높게 나타났다. 전체적으로는 40~70%의 모발이 재생되는 효과를 보여주고 있으며, 베타 글루칸의 함유량이 비교적 많은 실시예 1에서 가장 좋은 효과를 얻었다. 한편 상기 시험예 1과는 별도로 본 발명에 따른 모발 재생방법을 검증하기 위하여 40대에서 60대 후반에 이르기까지 모낭이 위축되어 두피가 매끈매끈한 민 대머리성 탈모증 환자 중에서 10명을 선정하고 실시예 1의 조성물을 이용하여 시험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시험을 진행하였다. 1개월 또는 2개월째부터 솜털을 비롯한 강모의 신생모가 나타나기 시작하여 6개월째에는 8명의 환자들에게서 모발 재생효과가 확인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발모제는 베타 글루칸이 갖는 면역력 증강작용에 의해 위축된 모낭을 활성화시키고 활성화된 모낭에 영양원으로서의 당류를 동시에 공급함으로서 모낭이 재생되어 모주기의 휴지기를 성장기로 전환시키는 방법에 의해 모발이 재생되는 것을 알 수 있었고, 결과적으로 탈모증환자에 대한 탈모방지 및 발모에 우수한 개선효과를 확인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발모제 조성물은 본 시험에서의 6개월간의 사용기간 중에 어느 그룹에서도 약제가 원인으로 되는 두피의 피부이상과 같은 부작용은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베타 글루칸의 면역력 증강작용에 의해 위축된 모낭을 활성화시키고 활성화된 모낭에 영양원으로서 당류를 동시에 공급함으로서 모낭이 재생되고 재생된 모낭의 활발한 세포분열작용에 의해 분비되는 피지가 두피에서 과산화지질로 축적되는 것을 항산화제를 이용하여 방지함으로서 모주기의 휴지기를 성장기로 전환시키는 휴지기 타파작용에 의해 확실한 탈모방지 및 발모효과가 기대되고 두피에 대해 부작용이 없는 우수한 발모제로 이용할 수 있다.
도 1은 모주기상의 휴지기에 있는 모발의 재생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Claims (7)

  1. 삭제
  2. 삭제
  3. 베타 글루칸 0.01~20 중량%와 글루코스, 키실로스, 만노스, 아라비노스, 말토스, 슈크로스, 셀로비오스 및 트레할로스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당 성분 0.1~20 중량%, 플라보노이드, 탄닌산, 몰식자산, 카테킨 및 에피카테킨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항산화제 0.1~20 중량% 및 나머지가 정제수, 정제수, 에탄올, 이소프로판올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모제 조성물.
  4. 삭제
  5. 삭제
  6. 제 3항에 있어서, 베타 글루칸 1중량부에 대해, 하나 이상의 당 성분을 1.0~10.0 중량%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모제 조성물.
  7. 제 3항에 있어서, 베타 글루칸 1중량부에 대해, 항산화제를 1.0~10.0 중량%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모제 조성물.
KR10-2003-0019436A 2003-03-28 2003-03-28 모발의 재생방법 및 발모제 조성물 KR1004995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9436A KR100499564B1 (ko) 2003-03-28 2003-03-28 모발의 재생방법 및 발모제 조성물
PCT/KR2004/000280 WO2004084849A1 (en) 2003-03-28 2004-02-12 A method and composition for hair reviv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9436A KR100499564B1 (ko) 2003-03-28 2003-03-28 모발의 재생방법 및 발모제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4393A KR20040084393A (ko) 2004-10-06
KR100499564B1 true KR100499564B1 (ko) 2005-07-07

Family

ID=330955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9436A KR100499564B1 (ko) 2003-03-28 2003-03-28 모발의 재생방법 및 발모제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499564B1 (ko)
WO (1) WO200408484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833454A1 (en) * 2004-12-06 2007-09-19 Sederma S.A.S. Cosmetic or dermatological compositions of saccharose substitutes
KR100796904B1 (ko) * 2006-05-04 2008-01-22 신석봉 안정화된 비타민 c 또는 비타민 c 유도체의 복합체를함유하는 발모제 조성물
ITMI20070555A1 (it) * 2007-03-21 2007-06-20 Giuliani Spa Composizione provvista di attivita' di inibizione sulla 5 alfa-reduttasi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595209A3 (en) * 1992-10-23 1996-07-17 R I T A Corp An Illinois Corp Cosmetic composition
AUPP489798A0 (en) * 1998-07-28 1998-08-20 Mediko Pty Ltd Hair growth/maintenance compositions and methods
DE19911057C2 (de) * 1999-03-12 2001-01-25 Cognis Deutschland Gmbh Haarkosmetische Zubereitungen
KR100283848B1 (ko) * 1999-03-19 2001-02-15 서경배 안정화된 효소 또는 단백질을 제조하는 방법 및 이에 의해 제공되는 안정화 효소 또는 단백질을 함유하는 외용제 조성물
FR2811884B1 (fr) * 2000-07-21 2003-01-31 Oreal Utilisation en cosmetique de betainates d'amidon et composition les comprenant associes a au moins un agent benefique pour les matieres keratiniqu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4084849A1 (en) 2004-10-07
KR20040084393A (ko) 2004-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605405T3 (es) Composiciones que contienen agentes antiacné y su uso
JP5635226B2 (ja) 毛乳頭細胞増殖促進剤
CN109846773A (zh) 一种可抑制脂溢性脱发的头皮用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JP5025253B2 (ja) 基礎化粧品用配合剤及び基礎化粧品
EP1197205A2 (en) Composition for improving cooling sensation effects
JP3563089B2 (ja) 皮膚外用剤
WO2011082235A2 (en) Methods for stimulating growth and preventing loss of human hair
US20070154432A1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hair growth
SK13642002A3 (sk) Kozmetický prípravok a spôsob kozmetického ošetrenia
FR2744017A1 (fr) Associations de lipides peroxydes et de composes organosiliciques, compositions cosmetiques et dermatologiques les contenant et leurs applications notamment pour le traitement de l'alopecie
KR101698922B1 (ko) 발모 및 육모 촉진용 조성물
JPH09194334A (ja) 養毛・育毛剤
AU2002334785B2 (en) Combinatorial anti-acne compositions
KR20070108037A (ko) 안정화된 비타민 c 또는 비타민 c 유도체의 복합체를함유하는 발모제 조성물
KR100499564B1 (ko) 모발의 재생방법 및 발모제 조성물
JP2003081861A (ja) 養毛料
EP0779069A1 (en) Hair mother cell activator and method of activating hair mother cell
KR20130042944A (ko) 발모 및 육모 촉진용 조성물
KR20000053859A (ko) 자연산 상황버섯 추출물을 함유하는 발모제 조성물 및이의 제조방법
JP6834084B2 (ja) ゲンチオピクロシドを含まないゲンチアナ抽出物
EP3595627B1 (fr) Association d'extraits aqueux de cresson et de capucine et d'atp dans le traitement de l'alopecie
KR101921246B1 (ko) 탈모 방지 및 양모를 위한 헤어 필러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JPH1179948A (ja) 養毛剤及び毛髪用化粧料、並びに皮脂分泌抑制用皮膚外用剤
JPH11302133A (ja) 頭皮頭髪用化粧料
KR102373929B1 (ko) 천연물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천연 샴푸 및 에센스 제형의 두피케어용 화장품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26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