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63096B1 - 자재차륜의 방향변향장치 - Google Patents

자재차륜의 방향변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63096B1
KR100263096B1 KR1019950027539A KR19950027539A KR100263096B1 KR 100263096 B1 KR100263096 B1 KR 100263096B1 KR 1019950027539 A KR1019950027539 A KR 1019950027539A KR 19950027539 A KR19950027539 A KR 19950027539A KR 100263096 B1 KR100263096 B1 KR 1002630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veling vehicle
wheel
floor
vehicle
material wh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275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13913A (ko
Inventor
미사오 야마하타
히로미츠 기미노
다카히로 아카이
Original Assignee
후쿠나가 다카시
가부시키가이샤 쯔바기모도체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쿠나가 다카시, 가부시키가이샤 쯔바기모도체인 filed Critical 후쿠나가 다카시
Publication of KR9600139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39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30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309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33/00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 B60B33/006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characterised by details of the swivel mechanis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33/00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 B60B33/0078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characterised by details of the wheel braking mechanism
    • B60B33/0089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characterised by details of the wheel braking mechanism acting on the floor

Abstract

주행차가 왕복주행하는 영역의 양 끝단중, 한쪽의 끝단부에 있어서, 주행차가 직진주행으로 부터 후진주행으로 옮길 때에, 그대로 곧바로 되돌아갈 수 있도록 하는 자재차륜의 방향변향장치를 제공한다.
방향변향장치(20)는, 자재차륜(21)에 지지되어 바닥(G)을 주행하는 주행차(23)를 바닥에서 밀어올리는 밀어올림수단(25)을 가지며, 자재차륜을 주행차에 한 끝단이 수평축(30)으로 축지지되고 자유단이 주행차가 밀어올려졌을 때 주행차로 부터 아래방향으로 떨어지는 경사이동판(26)을 구비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주행차는, 직진주행으로 부터 후진주행으로 옮길 때에, 밀어올림수단에 의하여 바닥에서 밀어올려진다. 그러면 경사이동판이 수평축을 중심으로 하여 아래쪽으로 기울고, 자재차륜의 차륜이 자중에 의하여 경사 이동판의 하단쪽으로 회전하여 이동함으로 방향이 바뀐다.
그 후, 주행차를 하강시키면, 자재차륜은 방향이 바뀐 상태로 주행차를 지지하여 주행차를 좌우로 흔들리는 일 없이 후진주행 안내를 한다.

Description

자재차륜의 방향변향장치
제 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인 방향변향장치의 정면도로서, 제 2도중의 1-1선 화살표방향에서 본 단면도,
제 2도는 제 1도의 평면도로서, 제 1 도중의 2-2선 화살표방향에서 본 단면도,
제 3도는 방향변향장치가 장착된 주행차의 평면도,
제 4도는 다른 실시예인 방향변향장치의 정면도로서, 제 5도중의 4-4선 화살표방향에서 본 단면도,
제 5도는 제 4도의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120 : 방향변향장치 21, 121 : 자재차륜
22, 122 : 차륜 23 : 주행차
24 : 구동륜 25, 125 : 밀어올림수단
26 : 경사이동판 27, 127 : 피스톤
28, 128 : 돌출부 29, 129 : 원추오목부
30 : 수평축 31 : 바닥판
32 : 스톱퍼축 34, 134 : 베어링
35, 135 : 차륜지지프레임 140 : 변향스프링
141 : 회전축부 142 : 회전안내판
143 : 빠짐방지판 W : 두루마리종이
G : 바닥
본 발명은, 주행차가 왕복주행하는 영역의 양 끝단중, 한쪽의 끝단부에 있어서, 주행차가 직진주행으로 부터 후진주행으로 옮길때에, 그대로 곧바로 후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자재차륜(自在車輪)의 방향변향(向)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자재차륜(이른바, 캐스터)은, 차륜의 방향을 자유롭게 바꿀수 있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주행방향이 바뀌는 일이 많은 주행차에 설치되어 있다.
이 경우, 차륜의 방향을 바꾸기 위한 회전중심점은, 차륜의 차축 위치와 다른 위치에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자재차륜은, 주행차가 직진주행으로 부터 후진주행으로 옮길 때에, 차륜의 방향이 바뀜에 따라서 주행차를 좌우로 흔들리게 한다고 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 예컨대, 주행차가 두리마리종이 반송차인 경우, 두루마리종이 반송차가 윤전기(輪轉機)에 접근하여 정지하고, 윤전기에 두루마리종이를 옮겨 싣고 나서 그대로 곧바로 후진주행으로 옮길 때에, 자재차륜은 두루마리종이 반송차를 진동시켜 윤전기에 접촉시킴으로서, 두루마리종이 반송차와 윤전기에 손상을 준다고 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첫째로, 자재차륜에 지지되어 바닥을 주행하는 주행차를 상기 바닥에서 밀어올리는 밀어올림수단을 가지며, 상기 자재차륜을 상기 주행차에 한 끝단이 수평축에 축지지되고 자유단이 상기 주행차가 밀어 올려졌을 때 상기 주행차로 부터 아래 방향으로 떨어지는 경사이동판에 구비된 자재차륜의 방향변향장치에 의하여,
둘째로, 자재차륜에 지지되어 바닥을 주행하는 주행차를 상기 바닥에서 밀어올리는 밀어올림수단과, 상기 자재차륜과 상기 주행차에 팽팽하게 설치되고 상기 주행차가 밀어올려졌을 때 상기 자재차륜의 방향을 약 180도 바꾸는 방향변향스프링을 구비한 자재차륜의 방향변향장치에 의하여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였다.
첫째, 둘째의 방향변향장치는, 주행차가 왕복주행하는 영역의 양 끝단중, 한쪽의 끝단부에 있어서만, 주행차가 좌우로 흔들리는 일 없이 후진 주행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이다.
첫째의 방향변향장치의 작용을 설명한다.
주행차는, 직진주행으로 부터 후진주행으로 옮길 때에, 밀어올림수단에 의하여 바닥에서 밀어올려진다.
주행차가 밀어올려짐에 따라서 경사이동판은, 자중과 자재차륜의 무게에 의하여 주행차에서 떨어져 아래쪽으로 기울고, 수평축에 의하여 주행차에 매달린 상태로 된다.
주행차는, 자재차륜의 차륜이 바닥에서 떨어지는 높이까지 밀어올려진다.
자재차륜의 차륜은, 바닥에서 떨어지면, 자중에 의하여 경사이동판의 하단쪽으로 회전하여 이동하여 방향이 바뀐다.
그 후, 주행차를 하강시키면, 자재차륜은 바닥에 접촉하고, 경사이동판이 주행차에 접촉한 시점에서, 주행차는 바닥에 지지한 상태로 된다.
이와 같이 하여, 자재차륜의 방향이 바뀜으로써, 주행차는 좌우로 흔들리는 일 없이 후진주행을 할 수 있다.
둘째의 방향변향장치의 작용을 설명한다.
주행하여 본 주행차의 자재차륜은, 변향스프링을 견인한 위치에 있다.
밀어올림수단에 의해 주행차가 밀어올려지고, 자제차륜이 바닥에서 떨어진다.
자재차륜은, 바닥에서 떨어지면 회전자재의 상태로 되고, 변향스프링에 견인되어서 약 180도 방향이 바뀐다.
그 후, 주행차를 하강시키면 자제차륜은 바닥에 접촉하여 주행차는 바닥에 지지한 상태로 된다.
이와 같이 하여, 자제차륜의 방향이 바뀜으로써, 주행차는 좌우로 흔들리는 일 없이 후진주행을 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제 1도 내지 제 5도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먼저, 자재차륜(21)의 차륜(22)의 자중을 이용하여 자재차륜(21)의 방향을 바꾸는 방향변향장치(20)를 제 1도 내지 제 3도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이 방향변향장치(20)는 , 주행차(23)가 왕복주행하는 영역의 양 끝단중, 한쪽의 끝단부에 있어서만, 주행차(23)가 좌우로 흔들리는 일 없이, 후진주행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이다.
자재차량(21)이 설치된 주행차(23)는, 제 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두루마루종이(W)를 윤전기(도시생략)의 근처까지 반송하는 대차로서, 구동륜(24, 24)을 가지고 있다.
구동륜(24)은, 주행차(23)에 구동력을 줌과 동시에, 도시하지 않은 모터에 의하여 방향이 바뀌어 주행차(23)의 방향을 바꿀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방향변향장치(20)는, 자재차륜(21)에 지지되어 바닥(G)을 주행하는 주행차(23)를 바닥(G)에서 밀어올리는 밀어올림수단(25)과, 주행차(23)가 밀어올려졌을 때 주행차(23)로 부터 아래방향으로 이탈하는 경사이동판(26)으로 구성되어 있다.
밀어올림수단(25)은, 유압실린더로서, 피스톤(27)의 선단에는, 바닥(G)에 돌출된 원추형상의 돌출부(28)에 걸어맞춤하는 원추오목부(29)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밀어올림수단(25)을 바닥(G)에, 돌출부(28)를 주행차(23)에 형성하여도 좋다.
또, 돌추부(28)와 원추오목부(29)는 반드시 필요하지는 않다.
경사이동판(26)은, 수평축(30)에 의하여 주행차(23)의 바닥판(31)으로 기울어져 움직이기가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스톱퍼축(32)에 의하여 기울기가 제한되어 있다.
경사 이동판(26)의 아래면에는, 자재차륜(21)이 설치되어 있다.
자재차륜(21)은, 경사이동판(26)에 베어링(34)을 개재하여 회전가능하게 부착된 차륜지지프레임(35)과, 차륜지지프레임(35)에 부착된 차륜(22)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종래의 자재차륜은, 경사이동판의 부분이 주행차의 바닥판에 고정적으로 부착되어 있다.
다음에, 동작을 설명한다.
주행차(23)는, 직진주행으로 부터 후진주행으로 옮길 때에, 밀어올림 수단(25)에 의하여 바닥(G)에서 밀어올려진다. 주행차(23)는 돌출부(28)와 원추오목부(29)와의 결어맞춤에 의하여 바닥(G)에 위치 결정된다.
주행차(23)가 밀어올려짐에 따라 경사이동판(26)은, 이 경사이동판(26)의 자중과 자재차륜(21)에 무게에 의해 주행차(23)로 부터 이탈하여 아래쪽으로 기울고, 수평축(30)에 이하여 주행차(23)에 매달린 상태로 된다.
주행차(23)는, 차륜(22)이 바닥(G)에서 떨어지는 높이까지 밀어올려진다.
차륜(22)은, 바닥(G)에서 떨어지면, 가상선의 위치로부터 자중에 의하여 경사이동판(26)의 하단쪽으로 회전하여 실선의 위치로 이동함으로써, 방향이 바뀐다.
그후, 주행차(23)를 하강시키면, 차륜(22)은 바닥(G)에 접촉하여 경사 이동판(26)이 주행차(23)의 바닥판(31)에 접촉한 시점에서, 주행차(23)는 바닥(G)에 지지한 상태로 된다.
이와 같이 하여, 자재차륜(21)의 방향이 바뀜으로써, 주행차(23)는 좌우로 흔들리는 일 없이, 후진주행을 할 수 있고, 윤전기에 접촉하는 것과 같은 일이 없다.
다음에 스프링(140)의 견인력에 의하여 자재차륜(121)의 방향을 바꾸는 방향변향장치(120)를 제 4도, 제 5도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이 방향변향장치(120)도, 주행차(23)가 왕복주행하는 영역의 양 끝단중, 한쪽의 끝단부에 있어서만, 주행차(23)가 좌우로 흔들리는 일 없이, 후진주행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이다.
방향변향장치(120)는, 자재차륜(121)에 지지되어 바닥(G)을 주행하는 주행차(23)를 바닥(G)에서 밀어올리는 밀어올림수단(125)과, 자재차륜(121)의 방향을 약 180도 바꾸는 방향변향스프링(140)으로 구성되어 있다.
밀어올림수단(125)은, 유압실린더로서, 피스톤(127)의 선단에는, 바닥(G)에 돌출 설치된 원추형상의 돌출부(128)에 걸어맞춤하는 원추오목부(129)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밀어올림수단(125)을 바닥(G)에, 돌출부(128)를 주행차(23)에 형성하여도 좋다.
또, 돌출부(128)와 원추오목부(129)는 반드시 필요하지는 않다.
자제차륜(121)은, 주행차(23)의 바닥판(3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차륜지지프레임(135)과, 차륜지지프레임(135)에 부착된 차륜(122)으로 구성되어 있다.
차륜지지프레임(135)은, 회전축부(141)가 바닥판(31)에 설치된 회전안내판(142)에 베어링(134)으로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회전축부(141)의 상단에 부착된 빠짐방지판(143)에 의하여 방지되어 있다.
빠짐방지판(143)과 바닥판(31)과의 사이에는 변향스프링(140)이 설치되어 있다.
변향스프링(140)은 차륜(122)의 방향을 바꾸기 쉽게 하기 위하여, 주행차(23)의 주행방향(제 5도중, 화살표 A방향)에 대하여 비스듬히 설치되어 있다.
다음에 동작을 설명한다.
주행하여 온 주행차(23)의 자재차륜(121)의 차륜(122)은, 변향스프링(140)을 견인한 가상선으로 나타낸 위치에 있다.
밀어올림수단(125)에 의하여, 차륜(122)이 바닥(G)에서 떨어지는 높이까지 주행차(23)를 밀어올린다. 주행차(23)는, 돌출부(128)와 원추오목부(129)와의 걸어맞춤에 의하여 바닥(G)에 위치결정된다.
차륜(122)은, 바닥(G)에서 떨어지면 회전이 자유로운 상태로 되고, 변향스프링(140)에 견인되어 실선으로 나타낸 위치로 약 180도 방향이 바뀐다.
그 후, 주행차(23)를 하강시키면, 차륜(122)은 바닥(G)에 접촉하여 주행차(23)는 바닥(G)에 지지한 상태로 된다.
이와 같이 하여, 자재차륜(121)의 방향이 바뀜으로써, 주행차(23)는 좌우로 흔들리는 일 없이 후진주행을 할 수 있고, 윤전기에 접촉하는 것과 같은 일이 없다.
청구항 1의 자재차륜의 방향변향장치는, 밀어올림수단에 의하여 주행차를 밀어올려 자재차륜을 바닥에서 떨어뜨리고 방향변향을 자유롭게 함과 동시에, 경사이동판을 자중에 의하여 바닥쪽으로 기울게 하고, 그 기운 경사이동판상에 자재차륜은 자중에 의하여 경사이동판의 자유단쪽으로 회전이동 시켜서, 자재차륜의 방향을 약 180도 변향다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주행차가 왕복주행하는 영역의 양 끝단중, 한쪽의 끝단부에 있어서만, 주행차를 곧바로 전진 안내한 후, 그대로 곧바로 후퇴 안내할 수 있어 주행방향전환에 따른 주행차의 가로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2의 자재차륜의 방향변환장치는, 밀어올림수단에 의하여 주행차를 밀어올려 자재차륜을 바닥에서 떨어뜨려 방향변향을 자유롭게 하고, 방향변향스프링에 의하여 약 180도 수평회전시켜서, 자재차륜의 방향이 약 180도 변향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주행차가 왕복주행하는 영역의 양 끝단중, 한 쪽의 끝단부에 있어서만, 주행차를 곧바로 후퇴 안내할 수 있어 주행방향전환에 따른 주행차의 가로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2)

  1. 자재차륜(21)에 지지되어 바닥(G)을 주행하는 주행차(23)를 상기 바닥(G)에서 밀어올리는 밀어올림수단(25)을 가지며, 상기 자재차륜(21)을 상기 주행차(23)에 한 끝단이 수평축(30)으로 축지지되고 자유단이 상기 주행차(23)가 밀어올려졌을 때 상기 주행차(23)로 부터 아래방향으로 떨어지는 경사이동판(26)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재차륜의 방향변향장치.
  2. 자재차륜(121)에 지지되어 바닥(G)을 주행하는 주행차(23)를 상기 바닥(G)에서 밀어올리는 밀어올림수단(125)과, 상기 자재차륜(121)과 상기 주행차(23)에 팽팽하게 설치되고 상기 주행차(23)가 밀어올려졌을 때 상기 자재차륜(121)의 방향을 약 180도 바꾸는 방향변향스프링(140)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재차륜의 방향변향장치.
KR1019950027539A 1994-10-27 1995-08-30 자재차륜의 방향변향장치 KR10026309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286112A JP2951219B2 (ja) 1994-10-27 1994-10-27 自在車輪の向き変向装置
JP94-286112 1994-10-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3913A KR960013913A (ko) 1996-05-22
KR100263096B1 true KR100263096B1 (ko) 2000-08-01

Family

ID=177000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27539A KR100263096B1 (ko) 1994-10-27 1995-08-30 자재차륜의 방향변향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951219B2 (ko)
KR (1) KR10026309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272670A (zh) * 2016-04-08 2017-10-20 中国国际海运集装箱(集团)股份有限公司 用于拉丝车间烘干炉的agv系统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5952A (ko) * 2002-05-02 2003-11-07 최정규 침구류 자동 살균세척 장치
JP6352868B2 (ja) * 2015-08-18 2018-07-04 株式会社栃木屋 キャスタ
CN108296839A (zh) * 2018-02-05 2018-07-20 贵阳锐航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新型高效率打孔装置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58504U (ko) * 1985-03-26 1986-10-01
JPS6328507U (ko) * 1986-08-11 1988-02-25
JPS63255102A (ja) * 1987-04-14 1988-10-21 Toshiba Corp 従動車輪装置
JPH0160099U (ko) * 1987-10-14 1989-04-17
JPH05254305A (ja) * 1992-03-10 1993-10-05 Hanmaa Kiyasutaa Kk キャスター
JP3030670B2 (ja) * 1992-03-10 2000-04-10 ハンマーキャスター株式会社 キャスター
JP3905927B2 (ja) * 1992-07-08 2007-04-18 株式会社三洋物産 パチンコ玉発射装置
JP2758825B2 (ja) * 1994-02-22 1998-05-28 山形日本電気株式会社 自動搬送台車
JP3104404U (ja) * 2004-04-02 2004-09-16 有限会社金沢大学ティ・エル・オー リハビリテーション・福祉のための自立用具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272670A (zh) * 2016-04-08 2017-10-20 中国国际海运集装箱(集团)股份有限公司 用于拉丝车间烘干炉的agv系统
CN107272670B (zh) * 2016-04-08 2020-09-04 中国国际海运集装箱(集团)股份有限公司 用于拉丝车间烘干炉的agv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8118904A (ja) 1996-05-14
JP2951219B2 (ja) 1999-09-20
KR960013913A (ko) 1996-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064325A (en) Driverless vehicle shuttle
CN1094858C (zh) 自动引导式车辆
KR100263096B1 (ko) 자재차륜의 방향변향장치
JPS6019012Y2 (ja) 摩擦駆動台車の速度制御装置
JP2004249895A (ja) 無人搬送車
US4389942A (en) Switch for a carriage of a two track suspension railroad
JPH082407A (ja) 床コンベヤ
JPS6019014Y2 (ja) 移送台車の速度制御装置
JP2936971B2 (ja) 自走台車装置
JPH11240304A (ja) 車輪取付け部がスライドする自在車輪
KR940005534Y1 (ko) 벨트를 이용한 4륜 조향 장치
JP3469953B2 (ja) クローラ式走行装置
KR100432024B1 (ko) 차량 조향장치의 조타각 조절장치
KR100693229B1 (ko) 후륜 조향장치
JPH0618175U (ja) クローラ装置のトラックフレーム構造
KR930006251Y1 (ko) 소형무인운반차용 조향 및 구동장치
JPH0455064Y2 (ko)
JPH0452243Y2 (ko)
JPS6127325Y2 (ko)
JP2647749B2 (ja) 作業車の旋回装置
CN108689146A (zh) 新型自动进出料翻板装置
JP3000522B2 (ja) 誘導式運搬車
JP2001212670A (ja) 簡易自動溶接機
JPS6089082U (ja) 小型原動機付自動車の後退装置
JPH0424164A (ja) レール走行台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