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61060B1 - 크롤러 타입 크레인의 셀프 핸들링 장치 - Google Patents

크롤러 타입 크레인의 셀프 핸들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61060B1
KR100261060B1 KR1019970077001A KR19970077001A KR100261060B1 KR 100261060 B1 KR100261060 B1 KR 100261060B1 KR 1019970077001 A KR1019970077001 A KR 1019970077001A KR 19970077001 A KR19970077001 A KR 19970077001A KR 100261060 B1 KR100261060 B1 KR 1002610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awler
boom
crane
gantry
win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770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56968A (ko
Inventor
이정덕
Original Assignee
추호석
대우중공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추호석, 대우중공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추호석
Priority to KR10199700770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61060B1/ko
Publication of KR199900569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569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10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10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62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23/72Counterweights or supports for balancing lifting couples
    • B66C23/78Supports, e.g. outriggers, for mobile c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18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 B66C23/36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mounted on road or rail vehicles; Manually-movable jib-cranes for use in workshops; Floating cranes
    • B66C23/42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mounted on road or rail vehicles; Manually-movable jib-cranes for use in workshops; Floating cranes with jibs of adjustable configuration, e.g. fold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700/00Cranes
    • B66C2700/03Cranes with arms or jibs; Multiple cranes
    • B66C2700/0321Travelling cranes
    • B66C2700/0357Cranes on road or off-road vehicles, on trailers or towed vehicles; Cranes on wheels or crane-trucks
    • B66C2700/0378Construction details related to the travelling, to the supporting of the crane or to the blocking of the axles; Outriggers; Coupling of the travelling mechamism to the crane mechanis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ib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크롤러 타입 크레인의 셀프 핸들링 장치에 관한 것으로, 크레인(1)의 하단 붐(2)을 권상 혹은 권하하기위한 붐 윈치(3)가 크레인(1)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하단 붐(2)의 부하를 주로 권상 혹은 권하하게 되는 매인 윈치(4)가 크레인(1) 상부 중앙에 설치되며, 상기 매인 윈치(4)의 일측에 매인 윈치(4)를 보조하게 되는 보조 윈치(5)가 설치되고, 상기 크레인(1)의 수직방향으로 A 프레임(6a)과 이 A 프레임(6a)에 경사지게 연결된 프런트 프레임(6b)이 각각 설치되며, 상기 프런트 프레임(6b)을 지지하는 갠트리 실린더(6c)가 프런트 프레임(6b)의 일측에 고정되도록 된 갠트리(6)가 설치되는 한편, 상기 하단 붐(2)의 선단에 하단 붐(2)이 과도하게 권상되는 것을 제어할 수 있는 붐 정지용 백스톱(7)이 설치되고, 상기 하단 붐(2)의 일측에 크롤러(8)를 분해하기 위한 크롤러 제거용 제1 쉬브(9)와 제2 쉬브(10)가 각각 설치됨과 더불어 이들에 연결되는 크롤러 제거용 와이어 로프(11)가 설치되며, 상기 갠트리(6)의 상부에 갠트리 쉬브(12)가 구비되어 이 갠트리 쉬브(12)에 붐 와이어 로프(13) 및 카운터웨이트 제거용 와이어 로프(14)가 설치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크레인의 카운터웨이트와 하부의 크롤러를 다른 장비의 사용없이 자체적으로 손쉽게 분해 및 조립할 수 있게 됨으로써, 운송비 및 제반 비용절감에 기여함과 더불어 작업자의 분해 및 조립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크롤러 타입 크레인의 셀프 핸들링 장치(An apparatus for self-handling of a crawler type the crane)
본 발명은 래티스 크롤러 크레인에 설치된 셀프 핸들링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크롤러 크레인에 설치된 카운터웨이트나 하부의 크롤러를 별도의 크레인이나 지게차를 사용하지 않고도 손쉽게 자체적으로 분해 및 조립할 수 있도록하여 비용을 절감함과 더불어 작업자의 작업성을 향상시켜 장비의 효율 및 생산성을 향상시켜 줄 수 있도록 된 크롤러 타입 크레인의 셀프 핸들링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크레인이란 무거운 물체를 들어올려 위치를 옮기거나 위치를 바꾸어주는데 사용하는 기기로서, 무거운 물체를 들어올리기 위해서는 크레인의 부움 반대쪽에 소정의 무게를 갖는 카운터 웨이트를 설치해 주어야만 무거은 물체를 들어올 때 크레인이 안정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크레인의 주행장치는 여러 가지 가혹한 조건에서 주행하는 데 성능과 안전에 관계되는 장치가 결합된 것으로, 타이어 타입과 크롤러 타입으로 크게 구분되고, 상기 타이어 타입과 크롤러 타입은 그 구조면에서 각각의 특성을 갖고 있으나 기능면에서는 모두 동일한 역할을 하며, 특히 상기 크롤러 타입은 궤도에 의하여 차체가 지지되도록 된 것이다.
그런데, 상기 크레인의 일종인 래티스 크롤러 크레인중 대부분 중/대형으로 이뤄진 장비의 이동시에는 크레인 자체의 하중이 도로교통법상의 규정을 초과하게 되고, 이에 따라 크레인 차체의 일부분을 분리한 후 그 하중을 규정에 맞추고 이동해야 하는 것이다.
즉, 상기의 규정을 맞추기 위해 대부분은 먼저 카운터웨이트를 분리하게 되지만, 이렇게 하고도 하중이 초과되면 하부의 주행체인 크롤러를 분해하여 규정을 맞춘 다음에 주행하여야 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와 같이 래티스 크롤러 크레인의 경우에는 자주 카운터웨이트와 크롤러를 분해하여야 하기 때문에 그 분해 및 조립이 용이하여야 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의 카운터웨이트나 크롤러를 분해하기 위해서는 또다른 크레인이나 지게차등과 같은 별도의 장비들이 필요하기 때문에, 운송비용이 증가되는 결점이 생겨나고 또한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됨에 따라 작업자의 작업성 및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크롤러 크레인에 설치된 카운터웨이트나 하부의 크롤러를 별도의 크레인이나 지게차를 사용하지 않고도 손쉽게 자체적으로 분해 및 조립할 수 있도록하여 비용을 절감함과 더불어 작업자의 작업성을 향상시켜 장비의 효율 및 생산성을 향상시켜 줄 수 있도록 된 크롤러 타입 크레인의 셀프 핸들링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크레인의 하단 붐을 권상 혹은 권하하기위한 붐 윈치와, 상기 하단 붐의 부하를 주로 권상 혹은 권하하게 되는 매인 윈치, 이 매인 윈치의 일측에 설치되어 매인 윈치를 보조하게 되는 보조 윈치, 크레인의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A 프래임과 이 A 프래임에 경사지게 연결된 프런트 프레임 및 이 프런트 프레임을 지지하는 갠트리 실린더 등이 구비된 갠트리로 이루어진 구조이다.
그리고, 상기 하단 붐의 선단에 붐 정지용 백스톱이 설치되어 하단 붐이 과도하게 권상되는 것을 제어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또한, 상기 하단 붐의 일측에 크롤러를 분해하기 위한 크롤러 제거용 제1 쉬브와 제2 쉬브가 각각 설치됨과 더불어 이들에 연결되는 크롤러 제거용 와이어 로프가 설치된 구조이다.
한편, 상기 갠트리의 상부에 갠트리 쉬브가 구비되어 이 갠트리 쉬브에 붐 와이어 로프 및 카운터웨이트 제거용 와이어 로프가 설치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셀프 핸들링 장치에 의해 크롤러 크레인의 카운터웨이트와 하부의 크롤러를 다른 장비의 사용없이 자체적으로 손쉽게 분해 및 조립할 수 있게 되어, 운송비 및 제반 비용절감에 기여함과 더불어 작업자의 분해 및 조립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크롤러 타입 크레인의 셀프 핸들링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도 1의 셀프 핸들링 장치의 작동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략도,
도 3은 카운터웨이트를 제거하기 위해 작동되는 셀프 핸들링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략도,
도 4는 셀프 핸들링 장치에 의해 카운터웨이트가 제거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략도,
도 5는 크롤러를 제거하기 위해 작동되는 셀프 핸들링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략도,
도 6는 셀프 핸들링 장치에 의해 크롤러를 제거하기 위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략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크레인 2 : 하단 붐
3 : 붐 윈치 4 : 매인 윈치
5 : 보조 윈치 6 : 갠트리
6a : A 프레임 6b : 프런트 프레임
6c : 갠트리 실린더 7 : 붐 정지용 백스톱
8 : 크롤러 9 : 크롤러 제거용 제1 쉬브
10 : 크롤러 제거용 제2 쉬브 11 : 크롤러 제거용 와이어 로프
12 : 갠트리 쉬브 13 : 붐 와이어 로프
14 : 카운터웨이트 제거용 와이어 로프 15 : 카운터웨이트
16 : 장비 실린더 17 : 고정부
18 : 주행용 프레임
이하 본 발명은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도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크롤러 타입 크레인의 셀프 핸들링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2는 도 1의 셀프 핸들링 장치의 작동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도로서, 크레인(1)의 하단 붐(2)을 권상 혹은 권하하기위한 붐 윈치(3)가 크레인(1)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하단 붐(2)의 부하를 주로 권상 혹은 권하하게 되는 매인 윈치(4)가 크레인(1) 상부 중앙에 설치되며, 상기 매인 윈치(4)의 일측에 매인 윈치(4)를 보조하게 되는 보조 윈치(5)가 설치되고, 상기 크레인(1)의 수직방향으로 A 프레임(6a)과 이 A 프레임(6a)에 경사지게 연결된 프런트 프레임(6b)이 각각 설치되며, 상기 프런트 프레임(6b)을 지지하는 갠트리 실린더(6c)가 프런트 프레임(6b)의 일측에 고정되도록 된 갠트리(6)가 설치되는 한편, 상기 하단 붐(2)의 선단에 하단 붐(2)이 과도하게 권상되는 것을 제어할 수 있는 붐 정지용 백스톱(7)이 설치되고, 상기 하단 붐(2)의 일측에 크롤러(8)를 분해하기 위한 크롤러 제거용 제1 쉬브(9)와 제2 쉬브(10)가 각각 설치됨과 더불어 이들에 연결되는 크롤러 제거용 와이어 로프(11)가 설치되며, 상기 갠트리(6)의 상부에 갠트리 쉬브(12)가 구비되어 이 갠트리 쉬브(12)에 붐 와이어 로프(13) 및 카운터웨이트 제거용 와이어 로프(14)가 설치될 수 있도록 된 구조이다.
그리고, 상기의 셀프 핸들링 장치를 이용하여 크레인(1)의 카운터웨이트(15)를 분해하는 구조는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선 상기 갠트리 실린더(6c)를 작동시켜 갠트리(6)를 권상시키고, 상기 붐 와이어 로프(13)를 상기 붐 윈치(3)로부터 갠트리 쉬브(12)를 거쳐 상기 하단 붐(2)에 연결설치시킨 후, 상기 붐 윈치(3)를 동작시켜 와이어 로프를 윈치에 감게 되면 상기 하단 붐(2)이 기상하게 되며, 상기 하단 붐(2)의 과도한 기상을 막아주기 위하여 하단 붐(2)의 측부에 상기 백스톱(7)이 설치되어 하단 붐(2)을 지지하고, 이에 따라 백스톱(7)에 지지되는 하단 붐(2)이 최대로 기상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갠트리 실린더(6c)를 약간 낮추고 상기 갠트리 쉬브(12)에 상기 카운터웨이트 제거용 와이어 로프(14)를 통과시켜 카운터웨이트(15)에 걸어준 후 카운터웨이트(15)를 분리하고, 상기 갠트리 실린더(6c)를 이용하여 갠트리(6)를 낮추면 갠트리(6)의 A 프레임(6a)이 축소되면서 갠트리(6)가 줄어들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카운터웨이트(15)가 지상에 안착되도록 된 것이다.
한편, 상기의 셀프 핸들링 장치를 이용하여 크레인(1)의 하부 주행체인 크롤러(8)를 분해하는 구조는 도 5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선 상기 카운터웨이트(15)의 분리와 마찬가지로 상기 갠트리(6)를 권상시킴과 더불어 상기 하단 붐(2)을 기상시킨 상태에서, 크레인(1) 하부의 장비 실린더(16)를 상승시켜 크레인(1)이 지면으로부터 떠있는 상태를 만들고, 상기 매인 윈치(4)에서 크롤러 제거용 와이어 로프(11)를 상기 하단 붐(2)의 크롤러 제거용 제1 쉬브(9)와 제2 쉬브(10)를 거쳐 크레인(1)의 크롤러(8)에 고정시키며, 상기 크롤러 제거용 와이어 로프(11)를 상기 보조 윈치(5)로부터 또다른 크롤러 제거용 와이어 로프(11)의 와이어 고정부(17)에 연결시키는 것이다.
그런 다음, 상기 보조 윈치(5)를 감아주면서 매인 윈치(4)를 감게 되면, 수평방향으로 분력이 발생되어 크롤러(8)가 크레인(1) 하단부의 주행용 프레임(18)에서 탈거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보조 윈치(5)와 매인 윈치(4)의 크롤러 제거용 와이어 로프(11)를 풀어주게 되면, 분리된 크롤러(8)가 지상에 놓이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갠트리(6)를 이용한 셀프 핸들링 장치에 의해 크롤러 타입의 크레인(1)에 설치된 카운터웨이트(15)나 크롤러(8)를 자체적으로 손쉽게 분해 및 조립할 수 있게 되어, 보다 빠른 시간에 장비의 하중을 도로교통법의 규제에 맞추어줌으로써 운송비가 최소화되고, 또한 다른 장비의 도움을 받지 않고 작업이 수행되어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크롤러 타입 크레인의 셀프 핸들링 장치에 의하면, 크롤러 크레인의 카운터웨이트와 하부의 크롤러를 다른 장비의 사용없이 자체적으로 손쉽게 분해 및 조립할 수 있게 되어, 운송비 및 제반 비용절감에 기여함과 더불어 작업자의 분해 및 조립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크레인(1)의 상부 선회체 후단 일측에 피봇연결된 프런트 프레임(6b)과, 상기 프런트 프레임(6b)에 연결되어 신축작동하면서 상기 프런트 프레임(6b)을 기동시키는 갠트리실린더(6c)와, 상부 선단에서 상기 프런트 프레임(6b)의 상부선단과 연결되어 상기 프런트 프레임(6b)와 함께 링크운동을 하도록 되어 있으며, 그 프런트 프레임(6b)와의 연결부에 갠트리쉬브(17)가 구비된 A프레임(6b)으로 이루어진 캔트리(6)와, 상기 크레인(1)의 붐(2)을 후방에서 지지하는 붐 정지용 백스톱(7)과, 상기 갠트리쉬브(17)에 지지되게 하여 선단을 상기 붐(2)의 상간에 연결한 로우프(13)를 권취하거나 풀어서 상기 붐(2)을 기동시키는 붐 윈치(3)로 이루어진 붐기동장치;와,
    상기 갠트리쉬브(17)에 걸려서 지지되면서 한쪽 선단은 카운터웨이트에 걸어 고정된 로프(14)를 감거나 풀어서 카운터웨이터를 탈거하거나, 상기 붐(2)에 구비된 복수개의 쉬브(9,10)에 걸려 지지되면서 한쪽 선단은 크롤러(8)에 걸어 고정된 로프(11)를 감거나 풀어줌으로써 상기 크롤러(8)를 크레인 하부 주행용 프레임(18)로부터 탈거시키는 메이원치(4);와,
    크레인(1)의 하부 주행용 프레임(18) 양쪽에 각각 구비되어 신장작동할 때 크레인(1)을 지면으로부터 들어올리는 장비실린더(16);와,
    상기 메인윈치(4)에서 연장되어 크롤러(8)에 걸림고정된 로프(11)와 연결된 로프(11)를 감아서 상기 크롤러(8)에 수평분력을 작용시킴으로써 크롤러(8)를 하부 주행용 프레임(18)으로부터 분리탈거시키는 보조윈치(5)로 이루어진 크롤러 타입 크레인의 셀프 핸들링 장치.
KR1019970077001A 1997-12-29 1997-12-29 크롤러 타입 크레인의 셀프 핸들링 장치 KR1002610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7001A KR100261060B1 (ko) 1997-12-29 1997-12-29 크롤러 타입 크레인의 셀프 핸들링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7001A KR100261060B1 (ko) 1997-12-29 1997-12-29 크롤러 타입 크레인의 셀프 핸들링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6968A KR19990056968A (ko) 1999-07-15
KR100261060B1 true KR100261060B1 (ko) 2000-07-01

Family

ID=195294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77001A KR100261060B1 (ko) 1997-12-29 1997-12-29 크롤러 타입 크레인의 셀프 핸들링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6106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6714B1 (ko) * 2019-06-28 2020-08-21 주식회사 코아스 다단식 붐대의 안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6968A (ko) 1999-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81060A (en) Ring supported mobile tower crane
CN214879790U (zh) 一种动臂塔式起重机
WO2016058266A1 (zh) 一种可防暴风并可利用机构设计倾倒转移的港口移动吊机
KR100261060B1 (ko) 크롤러 타입 크레인의 셀프 핸들링 장치
JP4822395B2 (ja) 自走式クレーンの荷重吊り上げ装置
JPS6241192A (ja) カウンタバランスクレ−ン
US416500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installation of the support element of a crane
CN104709833A (zh) 一种新型变幅副臂走绳方式的履带式起重机
CN216038321U (zh) 一种大吨位桅杆吊起重机
CN212101728U (zh) 一种双钢丝绳缠绕的冶金专用起重机
US3547277A (en) Double jib gantry crane
CN220702990U (zh) 一种混凝土槽型梁吊装装置
CN220926075U (zh) 一种用于pc装配式建筑的门式起重机
CN204625037U (zh) 新型变幅副臂走绳方式的履带式起重机
CN220376198U (zh) 一种塔机辅助起升系统
CN205187694U (zh) 一种新型塔吊设备
CN217947356U (zh) 一种吊装用起重机构
CN212198274U (zh) 一种微型吊车
CN212954009U (zh) 一种新型塔机平衡重自卸装置
CN210735931U (zh) 一种对重后置的无机房乘客电梯
JP2736832B2 (ja) 履帯式クレーン作業機
CN103466476B (zh) 塔式起重机
CN219341516U (zh) 一种新型双梁桥式起重机
JP2736833B2 (ja) 履帯式クレーン作業機
KR950005069Y1 (ko) 트럭의 리프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