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60239B1 - 염색된 텍스타일 섬유의 내표백성을 개선하는 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생성물 - Google Patents
염색된 텍스타일 섬유의 내표백성을 개선하는 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생성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260239B1 KR100260239B1 KR1019940003602A KR19940003602A KR100260239B1 KR 100260239 B1 KR100260239 B1 KR 100260239B1 KR 1019940003602 A KR1019940003602 A KR 1019940003602A KR 19940003602 A KR19940003602 A KR 19940003602A KR 100260239 B1 KR100260239 B1 KR 10026023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cid
- fibers
- textile fibers
- textile
- monomer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1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06M15/37—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15/59—Polyamides; Polyimide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3/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3/322—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D06M13/325—Amines
- D06M13/332—Di- or polyamine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P—DYEING OR PRINTING TEXTILES;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 D06P1/00—General processes of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general processes of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yes,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mployed
- D06P1/44—General processes of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general processes of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yes,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mployed using insoluble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g. binders
- D06P1/52—General processes of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general processes of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yes,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mployed using insoluble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g. binders using compositions containing synthetic macromolecular substances
- D06P1/5264—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involving only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D06P1/5278—Polyamides; Polyimides; Polylactames; Polyalkyleneimine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P—DYEING OR PRINTING TEXTILES;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 D06P1/00—General processes of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general processes of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yes,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mployed
- D06P1/44—General processes of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general processes of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yes,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mployed using insoluble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g. binders
- D06P1/64—General processes of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general processes of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yes,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mployed using insoluble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g. binders using compositions containing low-molecular-weight organic compounds without sulfate or sulfonate groups
- D06P1/642—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D06P1/6426—Heterocyclic compoun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Treatments For Attaching Organic Compounds To Fibrous Goods (AREA)
- Coloring (AREA)
- Chemical Or Physical Treatment Of Fi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표백성을 개선하기 위해 염색된 텍스타일 섬유를 처리하는 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생성물에 관한 것으로, 비휘발성 중합체염 형성 용액을 가하고, 다 관능성 단량체를 상기 염색된 텍스타일 섬유에 가하는 단계로 구성되고, 상기 염은 일차 아민과 카르복실산을 반응시킴에 의해 형성되고 각각의 상기 단량체의 분자량은 1000 이하이고 텍스타일 섬유를 200 ℃ 까지 건조시켜서 상기 텍스타일 섬유상에 비수용성이고 비휘발성인 중합체 염 필름을 형성하여 표백에 노출되는 환경에 의해 야기되는 탈색으로부터 염색된 텍스타일 섬유를 보호하여 색이 변색되는 것을 개선하는 것을 특징으로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특히 염소 표백용액으로부터의 화학적인 침입에 의한 색깔 바램을 방지하고, 색채견뢰도를 개선시키기 위하여 염색된 텍스타일 섬유 상에서 폴리아민 및 폴리카르복시산 유래의 비휘발성 중합체 염에 관한 것이다.
중합체 피복은 광범위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텍스타일 섬유에 사용되어 왔다.
방추가공 성질을 부여하고, 수축을 방지하며, 색소의 고정을 위하여 멜라민-포름알데히드, 우레아-포름알데히드, 티오우레아-포름알데히드 및 페닐-포름알데히드 수지가 셀룰로오스 섬유에 가해질 수 있다는 것은 공지되어 있다. 또한, 상기 수지는 염색된 셀룰로오스 텍스타일이 염소용액에 노출될 때 그 색깔이 바래지는 것을 방지한다는 것이 발견되었다. Landolt, 미합중국 특허 제 2,373,191호에는 수축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언급된 수지중의 하나로 처리되고 경화된 면과 같은 염색된 섬유를 염소용액내에서 처리되는 모와 같은 섬유와 함께 결합시키는 방법을 기술하고 있다. 상기 섬유 혼합물에 염소용액을 연속적으로 가해도 염색된 면섬유를 탈색시키지 않아야 한다. 최근, 포름알데히드는 작업현장에서 위험한 화학품으로서 주시되고 있는바, 그 사용이 격심하게 제한되고 있다. 우레아-포름알데히드 타입 수지의 다른 결점은 처리된 섬유에 황변 및 뻣뻣함을 부여한다는 것이다.
다수의 공지된 방법은 모섬유와 몇가지 타입의 중합체 막의 혼방물 및 모에 영구적인 압력 또는 항 수축성을 제공한다. 예를 들면, Intermacom A.G.의 영국 특허 제 1,259,082호는 텍스타일 섬유 상에서 폴리아미드 막을 원장소(In situ)에서 형성하는 것을 기술하고 있다. 상기 원장소에서의 막형성은 디아민 및 이산 염소 또는 이산 에스테르를 사용하는 계면 중합화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또는, Coe의 미합중국 특허 제 2,890,097호에서처럼 폴리아미드 유화액 또는 용액이 텍스타일 섬유에 가해진 후 경화될 수 있다. 상기 방법들은 최종 생성물에 거친 감촉을 부여하기 쉽고, 염색된 텍스타일 섬유에 표백 저항성을 부여한다는 증거도 없으므로, 카펫트 처리에 사용하는데 있어서 제한되어 왔다.
텍스타일 마루 덮개, 특히 폴리아미드 파일 카펫트는 다양한 보호 처리에 초점을 맞춰져 왔다. 얼룩을 방지하기 위하여 설폰화된 페놀-포름알데히드 축합 생성물, 스티렌-말레무수물 공중합체 및 메트아크릴산 중합체 및 공중합체가 폴리아미드 섬유에 가해져 왔으며, “얼룩 방지제”기술로 표현되고 있다. 오존 보호는 폴리아미드 섬유를 N,N'-이중치환된 티오우레아, 폴리티오우레아, 에폭시드와 아민의 반응으로 생성된 하나 이상의 3차 아민 및 유기 아인산염으로 피복시킴으로써 수득되어 왔다. 또한, 막 형성 염화폴리비닐과 불수용성 유기 포스페이트 에스테르의 조합물이 폴리아미드 섬유에 사용되어 방염성을 제공하여 왔다.
앞서 언급된 처리의 유용성에도 불구하고, 표백에 의한 탈색으로부터 마루덮개를 보호할 때, 중요한 결점이 남게 된다. 상기 문제점은 가구, 설비, 비품 및 빌딩의 내부를 소독하는데 표백용액을 정규적으로 사용하는 건강관리 시설에서 특히 만연되고 있다. 0.05중량%의 하이포클로라이트 나트륨 용액과 같은 농도의 묽은 표백용액을 한 번 엎지르기만 해도 카펫트의 한 부분을 망쳐놓을 수 있다.
표백에 의해 탈색될 수 있는 위험을 제거하기 위한 하나의 접근으로서 용액염색된 섬유를 제공해왔다. 따라서, 상기 염료가 스피닝 직전에 중합체 용해물에 혼입된다. 착색제는 섬유의 단면에 걸쳐 고루 분산된다. 나중에 섬유가 표백에 노출된다면, 표면에 있는 염료만이 영향을 받을 것이며, 섬유전체의 색상이 상당히 감소하지 않을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용액염색된 섬유는 몇가지 단점을 가지고 있는데, 상기가 생산시 더 비싸다는 것이다. 또한, 용액염색된 섬유는 제조방법에 추가의 복잡한 단계를 도입하고 있다. 섬유 각각의 색깔의 큰 목록은 염색되지 않은 섬유의 단일 목록보다 어느 정도 잘 유지되어 나중에 원하는 색깔로 염색될 수 있어야 한다. 패턴화가 바람직하다면, 카펫트에 둘 이상의 다른 색깔의 실로 장식하거나 기본 색깔위에 특정 패턴을 프린트해야 한다. 첫 번째 방법은 값이 상당히 비싸다. 섬유의 표면에 단지 가하기만 하는 덧 프린트된 패턴이 전형적으로 사용되기는 하지만, 표백의 침식을 받기 쉽다.
표백 침식의 문제외에도, 많은 염색된 텍스타일 섬유, 특히 마루 덮개에 결합된 염색된 텍스타일 섬유는 습윤 크로킹(crocking)에 민감하다. 상기 문제는 샴퓨잉(shampooing)중에 자주 직면하게 되는데, 기계적인 교반 및 세제가 배합된 경우에 심각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중 하나는 염소표백에 의한 변색을 방지하는 경제적으로 염색된 텍스타일 섬유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섬유가 염색된 후에 적용되거나 그 위에 프린트된 패턴을 가지는 텍스타일에 적용될 수 있는 표백방지성을 가하기 위한 처리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포름알데히드를 포함하지 않거나, 변색되지 않거나 또는 텍스타일 섬유의 면에 역으로 손상주지 않는 표백방지성을 가하기 위한 처리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특히 습윤 크로킹과 샴퓨잉에 관련하여 염색된 텍스타일 섬유의 색채견뢰도를 개선시킬 수 있는 처리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따라서 염색된 텍스타일 섬유를 처리하는 방법은 비휘발성인 중합체 염 형성, 다관능성 단량체 용액을 염색된 텍스타일 섬유에 가하는 단계와 단량체를 중합시키기에 충분한 온도와 텍스타일 섬유의 연화온도 이하의 온도에서 텍스타일 섬유를 건조시키는 단계 및 텍스타일 섬유상에 불수용성인 비휘발성 중합체 염 막을 형성하는 단계로 제공된다. 상기 방법에 따라 제조되는 텍스타일 생성물은 본 발명의 범주내에 또한 포함된다.
본 발명은 패딩, 담그기 또는 분무와 같은 종래기술에 의해 처리용액을 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처리용액은 수성이며, 이로 인해 유기용매의 방출을 피할 수 있다. 처리 용액은 이미 놓여진 카펫트와 주위온도에서 균형을 유지하게 하는 비휘발성 중합체 염에 가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성과 실시예는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고, 이하에 서술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염색을 변색시키는 것으로 알려진 염소표백에 의한 화학침식으로부터 보호되고, 색채견뢰도가 개선된 염색 텍스타일 섬유를 제공하는 것이다. 손상에 노출되는 가장 공통적인 경로는 하이포클로라이트 나트륨을 함유하는 소독제 또는 세정 용액이 카펫트상에 흩뿌려질 때 발생된다. 나일론이나 폴리아미드 섬유는 바닥덮개를 위한 면재료로써 가장 많이 사용되며, 또한 본 발명의 초점이 된다.
처리방법을 평가하는 중요한 기준은 텍스타일 섬유가 염소표백 용액에 노출될 때에 변색으로부터 보호되는 정도이다. 소독목적을 위해서, 병해방제센터는 카운터 탑과 같은 무공성 표면에 대해서는 하이포클로라이트 나트륨의 0.05% 용액, 그라우트와 같은 다공성 표면에 대해서는 0.5% 용액을 추천하고 있다. 하이포클로라이트 나트륨은 일반적으로 여기에서는 염소표백 또는 표백으로 언급되어진다. 표백용액을 흩뜨리면 수시간 또는 수일동안 카펫트상에 방치된채로 잔류될 수 있으며, 임의의 보호처리시 변형되어진다.
더욱이, 보호처리방법은 지속적이고, 밟고 지나가는 것과 여러번 세탁하는 것에 견딜 수 있으며, 또한 색채견뢰도를 개선시킬 수 있어야 한다. 온수추출과 같은 “습식”기술에 의한 카펫트 세척과 관련하여, 처리용액은 불수용성이라는 사실이 중요하다. 보호처리방법은 텍스타일 섬유의 물리적 특성상에 최소한의 손상을 주어야 한다. 그러므로 상기 처리방법은 섬유가 광택이 없어지거나 노래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섬유에 거친 핸드를 주지 않아야 한다.
증대된 환경의식은 보호 처리법에 사용될 수 있는 좋은 단량체와 중합체 그리고 용매를 제한하고 있다. 예를 들면, 포름알데히드를 함유하는 수지와 특히 향료를 함유한 유기용매는 바람직하지 않다. 저독성 유기용매를 사용하는 처리법은 방출 조절이 요구될 때 제조비용을 증가시킬 수 있다.
내 표백 처리는 천연 및 합성 텍스타일 섬유 둘다에 적용할 수 있다. 그 결과, 예컨대 다음 재료에 의해 제조된 섬유들은 이러한 방법에 따라 효과적으로 처리될 수 있다;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폴리올레핀, 아크릴 및 면과 레이온과 같은 셀룰로오스 섬유. 처리방법은 폴리아미드 섬유, 특히 나일론 6 및 나일론 6,6에 특히 유용하다.
“섬유”라는 단어는 폭넓은 의미로 사용되며, 원료섬유와 필라멘트 둘 다 포함하는 의미이다. 섬유들이 최초로 염색된 섬유만큼 길게 텍스타일 생성물로 성형되기 전 또는 후에 처리될 것인지 아닌지는 본 발명에서 중요한 문제가 아니다. 따라서, 섬유는 원료섬유, 필라멘트, 얀, 직조되거나 비직조된 직물의 형태로 처리되거나 터프팅(tufting)이나 점착(adhesion)에 의해 지지체에 점착될 수 있다.
제조상 관점에서는 텍스타일 생성물로 생성된후, 대부분의 섬유들이 염색되기 때문에, 내 표백처리는 일반적으로 직물 또는 마루 덮개 생성물에 가해질 것이다.
본 처리방법은 염소표백에 의해 변색가능한 어떤 염료가 사용될 때, 텍스타일 섬유를 채색하는데 사용되어진다. 염료는 예를 들어, 화학반응, 이온결합 또는 결합제에 의해 텍스타일 섬유의 표면에 고착된다. 순간처리에 의해 보호되어지는 염료유형의 대표적인 예로는 산 염료, 염기성 염료, 양이온 염료, 직접 염료, 분산 염료, 섬유반응 염료, 금속화 염료, 예비 금속화 염료 및 배트 염료가 있다.
하이포클로라이트 이온에 의해 특히 공격받을 수 있는 각각의 이들 카테고리내 염료 부류는 산 염료 및 섬유반응 염료이다. 섬유의 특정 유형에 적절한 염료의 선택은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들에 의해 바람직스럽게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얀 염색, 레인지(range) 염색, 젯트(jet) 염색, 용액 염색이나 그밖에 다른 종래의 기법과 같은 특정 텍스타일 생성물에 염료를 사용하는 것은 통상적인 문제이다. 잉크젯트 프린팅, 스크린 프린팅 또는 그라비어 프린팅에 의한 것과 겹쳐 프린트되어지며, 용액 염색된 합성섬유로 제조된 것을 포함하며, 기본칼라를 함유하는 텍스타일 생성물들은 내 표백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처리되어진다. 텍스타일 섬유에 내 표백성을 부가하는 방법이 섬유 표면상에 비휘발성 중합체 염 막을 형성하는 것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특정염료나 염색기법은 중요하다고 간주되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섬유상에 보호막을 형성하기 위하여 단량체 용액을 가하고 단량체가 반응하도록 함으로써 텍스타일 섬유에 내 표백성이 부가된다. 단량체는 비휘발성염 막을 형성하기 위하여 반응되는 관능성 말단기(end groups)를 함유하는 비교적 낮은 분자량 “중합체” 또는 올리고머를 포함한다. 단량체는 적어도 이관능성인 것이 요구되고, 중합체 비휘발성 염 막을 형성하는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부탄 테트라카르복시산과 디아민의 배합물과 같은 고관능성 단량체는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중합체 염을 형성하기 위해 반응에 사용된 디아민은 이산 또는 이산 클로라이드의 에스테르 1몰을 2몰의 디아민과 반응시킴으로써 만들어지는 낮은 분자량의 “중합성”디아민이다. 예를 들어, 아디프산, 글루타르산 또는 숙신산의 메틸에스테르 1몰은 낮은 분자량 폴리아미드, 디아민을 형성하기 위해 헥사메틸렌 디아민 2몰과 반응될 수 있다. “중합성”디아민은 헥사메틸렌 디아민보다 실질적으로 휘발성이 적으므로 건강을 위협하지 않는다. “중합성”디아민은 아미드 결합을 형성하기 위해 이산 에스테르에 공유결합된 디아민을 함유하며, 폴리아미드를 형성하지 않는 조건하에서 디아민과 이산을 반응시킴으로써 섬유상에 형성된 중합체 염 막과 구분된다.
중합체 염을 형성하는데 사용되는 단량체는 바람직스럽기로는 수용성이며, 또는 수용액내에 쉽게 유화되거나 분산된다. 1000 이하의 분자량을 가진 단량체가 바람직스러우며, 750 이하의 분자량을 가진 단량체가 가장 바람직스럽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유용한 하나의 중요한 단량체 그룹은 C2-C20폴리아민 및 폴리카르복시산의 배합물이다. 예를 들어, 적합한 폴리아민은 에틸렌디아민, 헥사 메틸렌디아민, 1,8-옥탄디아민 및 피페라진을 포함한다. 또한 적절한 폴리카르복시산은 예를 들어 탄산, 옥살산, 글루타르산, 아디프산, 피멜산, 수베르산, 아젤라산, 세바스산, 도데칸디오산, 이소프탈산, 부탄 테트라카르복시산 및 테레프탈산을 포함한다. 특히 유용한 것은 디아민과 이산의 배합물이며, 가장 바람직스러운 것은 헥사메틸렌 디아민 및 아디프산의 배합물이다. 디아민과 이염기산을 반응시켜서 형성된 중합체는 AABB형 중합체 염으로서 언급될 것이다.
또다른 종류의 단량체는 AB형 중합체 염을 형성하는 C2-C20아미노산이다. 상기 형태의 단량체의 예로는 6-아미노헥사노산, 아미노운데코노산, 2-피롤리딘카르복시산, 글리신, 시스틴, 아스파라진, 글루타민, 리신, 아르기닌, 티로신 및 아미노도데코노산이 있다. 또한 유용한 단량체의 범위내에는 상기 아미노산들로부터 형성된 락탐이 있으며, 여기서 락탐이 아미노산염을 형성하기 위해 물 존재하에서 가열된다면 특히 가능한 것은 ε-카프롤락탐이다.
처리용액은 2 내지 30wt%, 바람직스럽기로는 5 내지 20wt%의 총 단량체 농도를 갖는다. 용매 자체는 바람직스럽기로는, 주변온도에서 단량체와 용액을 형성하는 능력에 기초하여 선택된다. 그러나 텍스타일 섬유 자체는 용매내에서 용해되지 않거나 용매에 의해 가소화되지 않는다는 것이 중요하다. 용매로는 수성 또는 Cl-C8알콜이 바람직스럽다. 기타 극성 용매 및 유기 용매가 사용될 수 있지만, 독성이나 방출시 다른 제한 등의 문제로 인해 그 사용은 덜 바람직하다.
처리용액은 원료섬유, 필라멘트, 얀, 직물의 형태로 될 수 있는 염색된 텍스타일 섬유에 가해지거나 지지체에 부착된다. 액체 용액으로 텍스타일 섬유를 적시기 위한 많은 통상적인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패딩, 분무, 욕조내함침 등에 의해 카펫트를 쌓아올리는데 처리용액을 사용할 수 있다. 처리용액은 이미 설치된 카펫트에 가해질 수 있고, 심지어 완전히 적시기 위하여 기계적으로 진탕시킴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습윤 정도는 대개 지지체를 포함하지 않는 텍스타일 섬유의 건조 중량기준부 대략 5 내지 50wt% 처리용액이다. 습윤정도는 텍스타일 섬유 중량의 약 25% 정도가 일반적이다.
텍스타일 섬유에 가해지는 처리용액의 양은 섬유중량당 단량체 고체의 중량퍼센트로 편리하게 측정될 수 있고, 반응될 때 이것은 섬유상의 중합체 염 막의 중량 퍼센트를 나타낸다. 적어도 어느 정도의 보호를 주는 적용의 하한은 섬유 중량당 고체 약 1중량% 정도이다. 가해지는 단량체의 양은 역효과 및 텍스타일 섬유의 매팅이 관찰될때까지 증가시킬 수 있다. 실제로 보호 효과대 비용증가가 감소하는 전환점은 섬유중량당 약 l0wt%의 단량체 고체가 수득된 후이다. 보다 바람직스럽기로는 처리용액을 가함으로써 텍스타일 섬유 당 단량체 고체 2 내지 7wt%가 얻어질 수 있다.
공정의 다음단계는 텍스타일 섬유상에 보호성이고 비휘발성인 중합체 염 막을 형성하도록 하기 위해 단량체를 반응시키는 것이다. 처리용액은 적어도 20℃의 주위조건하에서 반응하게 된다. 그러나 설치된 카펫트에 처리용액을 가하는 경우에 있어서, 이것은 보호를 실현할 수 있는 방법이다. 부가적으로 설치된 카펫트를 처리할 때에 처리용액에 대한 용매를 고려하는 것이 중요하다. 인간의 건강, 안전성 및 환경문제 등을 고려할 때, 단량체가 반응하기 시작할 때 사용후 용매가 증발하기 때문에 수용액이 바람직스럽다.
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들은 처리용액의 pH가 단량체를 용해시키고, 유화시키거나 분산시키도록 조절될 필요가 있음을 인식할 것이다. 예를 들어 시스틴, 아르기닌 및 아스파라진과 같은 아미노산은 pH 11-12의 수용액에서 더 쉽게 분산된다. 처리용액이 텍스타일 섬유에 가해진 후 시트르산과 같은 산이 pH를 낮추며, 단량체를 침전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표백 침식에 대해 보호하는데 있어서, pH 6-8, 바람직하게는 pH 7에서 처리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임이 밝혀졌기 때문에 처리용액의 pH는 중성으로 되돌아가는 것이 바람직스럽다. 이러한 점에서 시트르산 나트륨과 같은 버퍼는 중성 pH를 유지하는데 유용하며, 시트르산과 함께 첨가될 수도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살리실산은 처리용액에 첨가되고, 처리된 텍스타일의 내 표백성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밝혀졌다. 특정 이론에 매달리지 않더라도 산의 -OH기는 하이포클로라이트 이온과의 반응에 참여하는 것으로 간주된다. 다른 페놀 화합물과 달리, 살리실산은 텍스타일 섬유의 황변을 일으키는 것으로 나타나지는 않는다. 처리용액의 pH는 사용하기에 앞서 살리실산을 용해시키기 위해 11-12로 조정될 수 있다. 텍스타일 섬유의 중량당 살리실산 0.1 내지 7wt%, 바람직하게 살리실산 0.5 내지 5.0wt%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헥사메틸렌 디아민 2몰과 이염기 에스테르 1몰을 함유하는“중합성”디아민과 같은 단량체는 중성의 pH에서 살리실산을 분산시키는데 유화제로서 작용할 수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결과적으로, “중합성” 디아민 또는 다른 유화제를 함유하는 처리용액과 살리실산은 텍스타일 섬유에 용액을 가하기 전에 중화될 수 있었다.
모든 단량체를 단일 처리용액내에서 텍스타일 섬유에 인가하는 것이 바람직한 반면에, 본 발명은 그렇게 제한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면, 디아민 용액은 먼저 텍스타일 섬유에 가해질 수 있으며, 이산을 함유하는 두 번째 용액에 가하거나 또는 그 반대로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하나이상의 단량체를 함유하는 처리 용액의 pH는 처리용액이 텍스타일 섬유에 가해진 후 조정된다.
보호성이고 비휘발성인 중합체 염 막의 내성은 처리용액을 고온에서 반응시킴으로써 증가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술로 장식한 파일 카펫트 형태의 폴리아미드섬유는 오븐내에서 섬유의 연화점 온도까지 가열될 수 있다. 따라서, 100℃에서 부터 섬유의 연화온도까지의 반응온도가 이용될 수도 있다, 전형적으로 텍스타일 섬유는 100℃ 내지 200℃, 바람직하기로는 120℃ 내지 160℃의 온도에 노출된다. 상기 노출시간은 용매를 증발시키고, 반응을 완성시키는데 필요한 시간으로 결정된다.
상기 처리가 저온에서 수행될 때, 특히 반응이 주위조건에서 발생할 때 섬유표면상의 비휘발성 중합체 염의 구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상기 처리용액내에 촉매가 이용될 수 있다. 정상적인 카펫트 세척시에 보호막이 씻겨져 버리면, 내 표백성이 손실될 수도 있으므로, 불수용성 막이 텍스타일 섬유상에 형성될 정도로 반응이 진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정 이론에 매달리지 않고, 상기 텍스타일 섬유상에 형성된 비휘발성 중합체염 막은 표백용액에 넣어지는 일차 아민 관능가를 제공할 것으로 생각된다. 특히, 비휘발성 중합체 염 막의 아미노 질소는 표백용액의 하이포클로라이트 이온과 반응한다.
텍스타일 섬유의 특성을 개선하는데 사용된 추가의 화합물은 비휘발성 중합체염 형성을 방해하지 않는 한 오랫동안 처리용액속에 포함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안티-소일링(anti-soiling)과 방수성을 제공하는 플루오로카본 중합체와 설폰화 페놀을 함유하는 축합물과 같은 얼룩 방지제가 이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다음의 실시예를 참고로 하면 더욱 이해하기 쉽지만, 그에 의해 부당하게 제한되지 않는다. 그 밖에 다른 지시가 없다면, 모든 부분과 백분율은 중량에 대한 것이다.
[실시예 1]
먼저 금속화된 표준 산염료로 염색된 소재, 루프 파일, 나일론 6,6 카펫트의 26 oz/yd2를 8중량%의 헥사메틸렌디아민과 8중량%의 아디프산을 함유하는 균질한 수용액을 파일위에 분무함으로써 전처리하였다. 습윤 정도는 나일론 면섬유의 건조중량기준부 약 25중량%이다. 그리고나서 상기 카펫트를 7분 주기동안 275℉의 건조온도로 보낸다. 상기와 같이 처리된 카펫트는 모양에 있어서 현저한 변화를 나타내지 않는다. 그리고나서 상기 처리된 카펫트와 처리되지 않은 대조군을 0.5% 하이포클로라이트 나트륨 용액(다공성 표면에 대한 살균목적을 위한 병해방제센터에서 권장하는 농도)으로 24시간 주기동안 넣은 후, 상기 카펫트를 물로 세척하고 건조시킨다. 상기와 같이 처리된 카펫트는 처리되지 않은 대조군 샘플과 육안으로 비교했을 때 처리된 카펫트가 색 손실에 대해 우수한 저항력을 갖고 있음이 분명히 나타난다.
[실시예 2]
상기 카펫트가 나일론 6,6 컷 파일(cut pile)로 염색된 28o2/yd2소재라는 것을 제외하고는 모든 면에서 실시예 1의 과정을 반복한다. 실시예 1과 동일한 결과가 얻어졌다.
[실시예 3]
나일론 6,6으로 염색된 26oz/yd2카펫트소재가 처리용액이 가해지기 전에 실시예 1과 유사한 산 염료를 이용한 패턴으로 또한 겹쳐 프린트된 것을 제외하고 모든 면에서 실시예 1의 과정을 반복한다. 실시예 1과 동일한 결과가 얻어졌다.
[실시예 4]
카펫트가 용액염색된 나일론 6,6 섬유로 제조되고, 용액처리를 하기전에 패턴으로 겹쳐 프린트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모든 면에서 실시예 1의 과정을 반복한다.
겹쳐 프린트된 패턴 및 처리된 카펫트와 대조군 카펫트 모두상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용액염색된 색상상에서, 실시예 1과 동일한 결과가 얻어졌다.
[실시예 5]
카펫트가 카프롤락탐 10중량% 및 요소 10중량%의 균질용액으로 처리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모든 면에서 실시예 1의 과정을 반복한다. 실시예 1의 결과와 동일한 결과가 얻어졌다.
[실시예 6]
부탄테트라카르복시산이 아디프산으로 치환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모든 면에서 실시예 1의 과정을 반복한다. 실시예 1의 결과와 유사한 결과가 얻어졌다.
[실시예 7]
처리된 카펫트를 하이포클로라이트 용액에 노출되기 전에 5년간 모조의류 착용 및 세척상태에 사용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모든 면에서 실시예 2의 과정을 반복한다. 실시예 1의 결과와 유사한 결과가 얻어졌다.
[실시예 8]
처리된 샘플이 공기건조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모든 면에서 실시예 2를 반복한다. 처리되지 않은 대조군에 대해 샘플을 육안으로 비교했을 때, 처리된 샘플에 있어서 색손실의 감소를 나타냈으나, 처리되지 않은 대조군에서와 같이 현저하지는 않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에 따라 처리하고, 상업용 세척용액 또는 용수를 거친 염색된 텍스타일 섬유의 향상된 색채견뢰도를 나타낸다.
[실시예 9]
처리되거나 처리되지 않은 대조군 샘플 모두를 Service Master 회사의 제품인 섬유 후레쉬(Fiber Fresh)의 5% 용액으로 세척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모든 면에서 실시예 3을 반복한다. 이때 샘플은 테스트 직물 주식회사(Test Fabrics, Inc.)의 다중섬유 테스트 조각으로 덮는다. 테스트 조각을 1/4 인치 플렉시글라스(Plexiglas)로 차례대로 덮고, 100℉인 오븐에 넣었다. 5파운드의 원통형 중량이 플렉시글라스상에 가해진다. 샘플을 오븐내에 18시간동안 넣고, 그 후에 다중섬유 테스트 조각으로 블리딩하는 염료를 5포인트 AATCC 회색 규모로 점차 변화시킨다. 처리된 샘플은 4.0의 통과율(passing rating)을 보이는 반면, 처리되지 않은 대조군은 3.0의 실패율(failing rating)을 나타낸다.
[실시예 10]
실시예 4의 카펫트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모든 면에서 실시예 9를 반복한다. 동일한 결과가 겹쳐 프린트된 패턴상에서 얻어진다.
[실시예 11]
처리되지 않은 대조군 및 처리된 샘플 모두를 15분동안 비이커내 탈이온수에 넣은 것을 제외하고는 모든 면에서 실시예 3을 반복한다. 다음에, 샘플을 탈수시키고, 잔류물의 양이 카펫트의 본래 건조증량의 2.5배 내지 3배에 이를때까지 흔든다(shaking). 샘플을 다중섬유 테스트 조각으로 덮고, 1/4인치의 플렉시글라스로 덮고, 100℉의 오븐에 넣는다. 5파운드의 원통형 중량이 플렉시글라스에 가해진다. 샘플은 18시간동안 오븐내에 넣어두고, 그 이후에 다중섬유 테스트 조각으로 블리딩하는 염료를 5포인트 AATCC 회색 규모로 점차 변화시킨다. 처리된 샘플은 4.5의 통과율을 보이는 반면, 처리되지 않은 대조군은 3.5의 실패율을 나타낸다.
[실시예 12]
실시예 4의 카펫트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1을 반복한다. 겹쳐 프린트된 패턴상에서 유사한 결과가 얻어졌다.
다음 청구범위에서는 여러 대안적인 실시예 및 변형이 포함되어 있다.
Claims (20)
- 비휘발성인 중합체 염 형성 다관능성 단량체 용액을 염색된 텍스타일 섬유에 가하고, 상기 텍스타일 섬유를 20 내지 200℃의 온도에서 건조시키고, 상기 단량체들을 축합하지 않으면서 상기 텍스타일 섬유상에 불수용성이고, 비휘발성인 중합체 염 막을 형성하는 단계들로 구성되며, 상기 염은 일차 아민과 카르복시산의 반응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각 단량체의 분자량은 1,00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 표백성을 개선하기 위해, 염색된 합성 텍스타일 섬유를 처리하는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액은 물 및 C1-C8알콜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용매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텍스타일 섬유의 중량기준부 1 내지 10 중량% 단량체 고체를 수득하기 위해 상기 용액이 상기 텍스타일 섬유에 가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텍스타일 섬유는 산 염료 또는 분산 염료로 염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용액이 수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텍스타일 섬유가 나일론 6,6 및 나일론 6 섬유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되고, 상기 섬유는 카펫트 형태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텍스타일 섬유가 100 내지 200℃의 온도에서 건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텍스타일 섬유의 중량기준부 1 내지 10중량% 단량체 고체를 수득하기 위해 비 휘발성인 중합체 염 형성 다관능성 단량체 수용액을 염색된 텍스타일 섬유에 가하고, 상기 텍스타일 섬유를 20 내지 200℃의 온도에서 건조시키고, 상기 단량체들을 축합하지 않으면서 상기 텍스타일 섬유상에 불수용성인 비휘발성 중합체 염 막을 형성하는 단계로 구성되고, 상기 각 단량체가 750 이하의 분자량을 갖는다면, (a)폴리아민 및 폴리카르복시산의 배합물: (b)아미노산; 및 (c)락탐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 표백성을 개선하기 위해 폴리아미드 및 폴리에스테르 섬유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염색된 텍스타일 섬유를 처리하는 방법.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단량체는 아미드 결합을 포함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텍스타일 섬유는 나일론 6,6 및 나일론 6 섬유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되고, 상기 섬유는 카펫트 형태로 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단량체는 (i)탄산, 옥살산, 글루타르산, 아디프산, 피멜산, 수베르산, 아젤라산 세바스산, 도데칸디오산, 이소프탈산 및 테레프탈산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디카르복시산; 및 에틸렌디아민, 헥사메틸렌디아민, 1,8-옥탄디아민, 데카메틸렌디아민, 피페라진 및 상기 디아민 2몰과 상기 디카르복시산의 이산 에스테르 또는 이산 클로라이드 유도체 1몰의 축합물인 올리고머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디아민의 배합물; (ii)6-아미노헥사노산, 아미노운데카노산, 아미노도데카노산, 글리신, 시스틴, 아스파라진, 글루타민, 리신, 아르기닌, 티로신 및 2-피롤리딘카르복시산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아미노산; 및 (iii)상기 아미노산의 락탐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단량체는 (a)디아민 2몰과 이산 에스테르 또는 이산 클로라이드 1몰의 축합물이고 2개의 아미드 결합을 갖는 디아민 올리고머 및 (b)디카르복시산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텍스타일 섬유는 나일론 6,6 및 나일론 6 섬유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되고, 상기 섬유는 산 염료로 염색되며, 상기 섬유는 카펫트 형태로 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디아민 올리고머는 아디프산, 글루타르산 및 숙신산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이산 메틸 에스테르 1몰과 헥사메틸렌 디아민 2몰의 축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텍스타일 섬유는 120 내지 160℃의 온도에서 건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단량체는 (i)헥사메틸렌디아민과 아디프산의 배합물 및 (ii)ε-카프롤락탐 및 6-아미노헥사노산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용액은 살리실산으로 구성되고, 상기 텍스타일 섬유의 중량기준부 0.1 내지 7 중량%의 살리실산을 수득하기 위해 상기 용액이 상기 텍스타일 섬유에 가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텍스타일 섬유의 중량기준부 1 내지 10중량% 단량체 고체를 수득하기 위해 비휘발성인 중합체 염 형성 다관능성 단량체 수용액을 염색된 폴리아미드 텍스타일 섬유에 가하고, 상기 텍스타일 섬유를 20 내지 200℃의 온도에서 건조시키고, 상기 단량체들을 축합하지 않으면서 상기 텍스타일 섬유상에 불수용성인 비휘발성 중합체 염 막을 형성하는 단계들로 구성되고, 상기 염은 일차 아민과 카르복시산의 반응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각 단량체의 분자량은 1,00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의 내 표백성 카펫트.
-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각 단량체가 750 이하의 분자량을 가지고, (a)디아민 및 이산의 배합물, (b)아미노산; 및 (c)락탐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되고, 상기 텍스타일 섬유는 120℃ 내지 160℃의 온도에서 건조되며, 상기 텍스타일 섬유의 중량기준부 2 내지 7 중량% 단량체 고체를 수득하기 위해 상기 용액을 상기 텍스타일 섬유에 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 표백성 카펫트.
-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단량체는 아미드 결합을 포함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 표백성 카펫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US2191293A | 1993-02-24 | 1993-02-24 | |
US08/021,912 | 1993-02-24 | ||
US8/021,912 | 1993-02-24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40019917A KR940019917A (ko) | 1994-09-15 |
KR100260239B1 true KR100260239B1 (ko) | 2000-07-01 |
Family
ID=218068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40003602A KR100260239B1 (ko) | 1993-02-24 | 1994-02-24 | 염색된 텍스타일 섬유의 내표백성을 개선하는 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생성물 |
Country Status (10)
Country | Link |
---|---|
EP (1) | EP0612880B1 (ko) |
JP (1) | JP3828162B2 (ko) |
KR (1) | KR100260239B1 (ko) |
AT (1) | ATE171739T1 (ko) |
AU (1) | AU672080B2 (ko) |
CA (1) | CA2116299A1 (ko) |
DE (1) | DE69413577T2 (ko) |
DK (1) | DK0612880T3 (ko) |
MX (1) | MX9401412A (ko) |
NZ (1) | NZ250969A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131883A (ja) * | 1999-10-29 | 2001-05-15 | Milliken Japan Kk | 着色された漂白剤耐久性のパイルファブリック及び前記パイルファブリックを具備するフロアマット物品 |
FR2853903B1 (fr) † | 2003-04-16 | 2005-05-27 | Saint Gobain Isover | Composition d'encollage de fibres minerales renfermant un polyacide carboxylique et une polyamine, procede de preparation, et produits resultants |
DE102004024509B4 (de) * | 2004-05-18 | 2006-06-08 | Henkel Kgaa | Verfahren und Zubereitungen zur Restrukturierung von Haaren |
DE102004024506A1 (de) * | 2004-05-18 | 2005-12-15 | Henkel Kgaa | Verfahren zur Restrukturierung keratinischer Fasern |
DE102004024511A1 (de) * | 2004-05-18 | 2005-12-15 | Henkel Kgaa | Verwendung von Polysulfiden zur Farbstabilisierung |
US20080271259A1 (en) * | 2007-05-04 | 2008-11-06 | Daike Wang | Solid cleaning composition for imparting bleach resistance to textiles cleaned therewith |
CN106498721B (zh) * | 2016-12-15 | 2019-02-05 | 武汉纺织大学 | 一种改善浆料浸透效率的方法 |
Family Cites Familie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FR865151A (fr) * | 1939-06-05 | 1941-05-15 | Du Pont | Procédé d'imprégnation de fils ou de tissus |
US3537808A (en) * | 1961-02-17 | 1970-11-03 | Rohm & Haas | Method of depositing polymers on fibrous products |
DE3330120A1 (de) * | 1982-08-30 | 1984-03-01 | Sandoz-Patent-GmbH, 7850 Lörrach | Nachbehandlungsverfahren fuer gefaerbtes textilmaterial |
DE3329029A1 (de) * | 1983-08-11 | 1985-02-28 | Cassella Ag, 6000 Frankfurt |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faerbungen mit reaktivfarbstoffen |
JPS61132691A (ja) * | 1984-11-26 | 1986-06-20 | 三洋化成工業株式会社 | 耐塩素堅牢度向上剤 |
DE3537458A1 (de) * | 1985-10-22 | 1987-04-23 | Basf Ag | Verfahren zur nachbehandlung von reaktivfaerbungen auf cellulosefasern |
JP2778036B2 (ja) * | 1988-04-25 | 1998-07-23 | 日東紡績株式会社 | 塩素堅牢度向上剤 |
DE3940481A1 (de) * | 1989-12-07 | 1991-06-13 | Bayer Ag | Basische polykondensationsprodukte sowie deren verwendung als faerbereihilfsmittel |
-
1994
- 1994-02-23 CA CA002116299A patent/CA2116299A1/en not_active Abandoned
- 1994-02-24 JP JP02701894A patent/JP3828162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4-02-24 EP EP94301334A patent/EP0612880B1/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94-02-24 KR KR1019940003602A patent/KR100260239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1994-02-24 DE DE69413577T patent/DE69413577T2/de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4-02-24 AT AT94301334T patent/ATE171739T1/de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1994-02-24 AU AU56348/94A patent/AU672080B2/en not_active Ceased
- 1994-02-24 DK DK94301334T patent/DK0612880T3/da active
- 1994-02-24 MX MX9401412A patent/MX9401412A/es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1994-02-24 NZ NZ250969A patent/NZ250969A/en unknow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DE69413577D1 (de) | 1998-11-05 |
EP0612880A1 (en) | 1994-08-31 |
AU5634894A (en) | 1994-09-01 |
JPH06280168A (ja) | 1994-10-04 |
KR940019917A (ko) | 1994-09-15 |
MX9401412A (es) | 1994-08-31 |
DK0612880T3 (da) | 1999-06-21 |
DE69413577T2 (de) | 1999-06-02 |
EP0612880B1 (en) | 1998-09-30 |
ATE171739T1 (de) | 1998-10-15 |
JP3828162B2 (ja) | 2006-10-04 |
CA2116299A1 (en) | 1994-08-25 |
NZ250969A (en) | 1995-04-27 |
AU672080B2 (en) | 1996-09-1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573553A (en) | Method for improving the bleach resistance of dyed textile fiber and product made thereby | |
US6133382A (en) | Fiber-forming polyamide composition containing polyamide and a sulfonated polyester concentrate | |
CA2125112C (en) | Process for the manufacture of a stain resistant melt colored carpet | |
KR100260239B1 (ko) | 염색된 텍스타일 섬유의 내표백성을 개선하는 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생성물 | |
DE19812135A1 (de) | Inhärent licht- und hitzestabilisierte Polyamide mit verbesserter Naßechtheit | |
CA2420873A1 (en) | Fiber-forming polyamide composition | |
AU642465B2 (en) | Flame retardant composition and method of use | |
CA1164158A (en) | Sculptured pile fabric and process for producing same | |
US5482764A (en) | Method for improving the bleach resistance of dyed textile fiber and product made thereby | |
US3632422A (en) | Textile fabric having soil release finish and method of making same | |
US3950589A (en) | Melt-resistant synthetic fiber and process for preparation thereof | |
CA1336996C (en) | Flame retardants and method of use | |
US4846845A (en) | Process for producing sculptured pile fabric | |
US6814758B1 (en) | Process for protecting dyed nylon fibers from colorants and chemical agents | |
US20040116015A1 (en) | Fluorochemical-containing textile finishes that exhibit wash-durable soil release and moisture wicking properties | |
JPH0345789A (ja) | 難燃性、低可燃性または不燃性繊維のための顔料捺染方法 | |
EP0399198B1 (en) | Treatment of woollen textile material | |
JPS599271A (ja) | 撥水撥油性繊維及びその製造法 | |
JPH09195182A (ja) | 汚れ除去性に優れたポリアミド系繊維染色製品の製法 | |
JPS6249392B2 (ko) | ||
US3337362A (en) | Textiles treated with methylol amides of an adduct formed between a maleyl compound and ethylenically unsaturated aliphatic compound | |
JPS5851546B2 (ja) | 合成繊維材料の耐溶融加工法 | |
WO2003039279A2 (en) | Method of improving resistance to abrasion in garments | |
JPH08302570A (ja) | ポリエステル系繊維材料のコーティング加工布の製造方法 | |
Higgins | PLASTICS FOR TEXTILE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30401 Year of fee payment: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