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60222B1 - 실 끝 처리방법 실 끝 처리장치 방사 권취기 및 실 끝을 처리한 권사체 - Google Patents

실 끝 처리방법 실 끝 처리장치 방사 권취기 및 실 끝을 처리한 권사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60222B1
KR100260222B1 KR1019950036035A KR19950036035A KR100260222B1 KR 100260222 B1 KR100260222 B1 KR 100260222B1 KR 1019950036035 A KR1019950036035 A KR 1019950036035A KR 19950036035 A KR19950036035 A KR 19950036035A KR 100260222 B1 KR100260222 B1 KR 1002602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read
yarn
tip
thread end
wi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360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23339A (ko
Inventor
히사아키 카토오
Original Assignee
무라타 쥰이치
무라타기카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6325013A external-priority patent/JP2848256B2/ja
Priority claimed from JP6325012A external-priority patent/JP2845148B2/ja
Application filed by 무라타 쥰이치, 무라타기카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무라타 쥰이치
Publication of KR9600233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233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02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022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69/00Methods of, or devices for, interconnecting successive lengths of material; Knot-tying devices ;Control of the correct working of the interconnecting device
    • B65H69/06Methods of, or devices for, interconnecting successive lengths of material; Knot-tying devices ;Control of the correct working of the interconnecting device by splicing
    • B65H69/061Methods of, or devices for, interconnecting successive lengths of material; Knot-tying devices ;Control of the correct working of the interconnecting device by splicing using pneumatic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65/00Securing material to cores or formers
    • B65H65/005Securing end of yarn in the wound or completed pack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2/00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handling apparatus
    • B65H2402/40Details of frames, housings or mountings of the whole handling apparatus
    • B65H2402/41Portable or hand-held apparatus
    • B65H2402/414Manual tools for filamentary material, e.g. for mounting or removing a bobbin, measuring tension or splic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1Textiles threads or artificial strands of fila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Winding Filamentary Materials (AREA)
  • Replacing, Conveying, And Pick-Finding For Filamentary Materials (AREA)
  • Yarns And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AREA)
  • Spinning Or Twisting Of Yarns (AREA)

Abstract

권사체의 감기가 끝난 실 끝이 자연적으로 풀려서 발생하는 폐해를 실끝을 고정함으로써 방지하는데 있어서, 간단한 기구로 정확하고 확실하게 실 끝을 고정하고, 권사체의 사용시에는 실 끝을 간단히 끄집어 내는 실 끝 처리방법과 실 끝 처리를 한 권사체 및 실 끝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패키지(P)등의 권사체 표층의 실 끝(YE)에 꼬임을 부여하고, 꼬임에 의한 실 끝 전체의 회전력으로 권사체 표층사 부분으로서의 필라멘트(f)나 보풀(h)을 얽히게하고 필라멘트(f) 보풀(h)에 실 끝(YE)을 감아 고정한다. 실 끝 처리를 위해 흡인한 실 끝(YE)에 선회류로 꼬임을 부여하는 꼬아 거는 노즐(1B)로 이루어 지는 실 끝 처리장치(1)를 설치한다.

Description

실 끝 처리방법 실 끝 처리장치 방사 권취기 및 실 끝을 처리한 권사체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패키지의 실 끝 처리장치를 표시하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제2(a)-(e)도는, 본 발명의 실 끝 처리방법을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제3도는 본 발명에 의한 실 끝 처리 후의 다른 모양을 나타내는 주요부의 확대 평면도이다.
제4도는 본 발명에 의한 실 끝 처리장치로 방적사의 실 끝을 처리한 경우, 처리 후의 모습을 나타내는 주요부의 확대 평면도이다.
제5도는 본 발명에 의한 실 끝 처리장치로서의 꼬아 거는 노즐의 종단면도이다.
제6도는 본 발명에 의한 실 끝 처리장치로서의 꼬아 거는 노즐의 주요부의 단면도이다.
제7도는 실끝처리장치의 제2실시예를 표시하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제8(a)-(e)도는, 제2실시예의 실 끝 처리방법을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제9도는 권취기를 표시하는 정면도이다.
제10도는 권취기를 표시하는 측면도이다.
제11도는 본 발명의 권취기의 주요부의 정면도이다.
제12도는 제11도에 대응하는 주요부의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0 : 실 끝 처리장치 2 : 호스
1A,101A : 호스 1a : 배기구
1B : 꼬아 거는 노즐 1b : 실 도입구
1d : 배기구 1C : 방아쇠
1D : 조리개 다이알 P : 패키지
YE : 실 끝 Ye : 실 끝의 앞 끝
L : 일정범위 f : 필라멘트
101a : 흡인노즐 앞 끝 열린 곳 101B : 꼬아거는 노즐
101b : 실 도입구 101d : 배기구
102 : 펌프 C : 가변 조리개
h : 보풀 L : 일정범위
M : 스핀들 구동모터 P : 패키지
V : 전자밸브
본 발명은, 섬유기계에서 사용하는 패키지나 감기보빈(bobbin) 등의 권사체(卷休)의 실 끝 처리에 관한 것이다. 특히, 실을 감고 난 후 실끝이 자연적으로 풀림으로 해서 발생하는 장해를, 권사체에 실 끝을 고정시킴으로써 방지하는 실 끝 처리에 관한 것이다. 또, 자동기에 채용하기에 적합한 실 끝 처리방법과, 그 실 끝 처리장치를 구비한 권취기(卷取機)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화학섬유의 방사 권취기에 있어서, 연속적으로 방출(紡出)된 실을 감고, 감기가 완료된 패키지는 다음의 공정으로 반송되거나, 혹은, 제품으로 출하되었다. 상기 패키지는 반송 중에 최외층의 실이 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 감기가 완료된 실 끝을 패키지의 최외층에 감고, 실 매듭을 짓던지 하고 있다. 그렇게 하지 않으면, 매듭이 지어지지 않은 실 끝이 외류에 의해, 예를 들어서 , 인접하는 회전측에 휘감겨서 불필요하게 풀어지거나 또는, 반송 중에 다른 기계부분에 걸려서 지장을 초래하기 때문이다.
짧은 섬유로 이루어지는 방적사에서는, 실 가닥 상호간의 보플의 엉킴이 있기 때문에, 필라멘트사와 같은 적극적인 실 끝 처리를 하지 않아도, 실 끝이 자연히 풀어지는 빈도는 적다. 그러나, 단순히 권사체의 표면에 실 끝을 눌러 붙인 것 만으로 보풀의 엉킴은 약해서 확실성이 결여되므로, 패키지를 회전시키거나, 패키지 반송 중에는 상기와 같은 사고가 빈발한다.
실 끝을, 권사체의 최외층에 감아서 매듭을 짓는 방법은 작동 및 기구의 복잡함과 처리 효율의 저하로 인해, 이것을 대신하는 방법이 종래부터 몇 가지 제안되고 있다.
제1의 종래의 방법은, 접착제나 접착테이프에 의해서 실 끝을 소정의 위치에 고정하는 처리방법이다. 또한, 제2의 종래의 방법은, 실 끝이 있는 부분의 패키지 표면을, 감는 방향을 따라 흠이 있는 유체 노즐로 피복하고, 실 끝을 포함한 패키지 표면에 압축공기를 분사하여, 실 끝을 표층의 실에 얽히게하는 처리방법이다.
실 끝을 접착제나 접착테이프로 고정하는 제1의 방법은, 실 끝을 고정하기 위해, 접착제나 접착테이프 등의 다른 물질을 실 끝에 부착할 필요가 있어서, 유지 및 관리의 측면에서 문제가 있다. 권사체 표층의 손상도 크다. 압축공기를 분사하여 실 끝을 표층의 실과 얽히게 하는 제2의 방법은, 실을 매듭짓는 방법이나 상기 제1의 방법에 비해 , 간단한 기구이기는 하지만, 유체 노즐을 패키지 표면에 직접 누를 때, 그 노즐로부터 강력한 압축공기를 패키지 표면에 분사하는 것 때문에, 패키지의 형상 및 표면사층의 흐트러짐을 피하기가 어려워, 권사체 표층 내에 압입된 실 끝을 찾기가 어렵고, 실 끝의 풀림성 면에서 뒤떨어진다.
본 발명은, 다른 물질을 필요로 하지 않고, 패키지에 유체 노즐이나 압축공기가 직접 접촉하는 일도 없이, 권사체의 실 끝을 간단한 기구로 확실히 고정할 수 있고, 또, 권사체의 사용시에는 실 끝을 간단히 뽑아내는 실 끝 처리방법과 방사 권취기 및 실 끝을 처리한 권사체의 제공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제1발명에 의한 실 끝 처리방법은, 권사체 표층의 실 끝에 꼬임을 부여하고, 꼬임에 의한 실 끝 전체의 회전으로, 권사체의 표층사부분을 얽히게 하고, 표층사부분을 실 끝에 감아서 고정하는 것이다. 본 제2발명의 실 끝 처리장치는, 권사체의 실 끝에 선회류(旋回流)로 꼬임을 부여하는 꼬아거는 노즐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본 제3발명의 실 끝 처리장치는, 권사체의 실 끝을 흡인하는 노즐과, 상기 흡인한 실 끝에 회선류로 꼬임을 부여하는 꼬아거는 노즐로 이루어진 것이다. 본 제4발명의 실 끝 처리방법은, 권사체를 감는 방향과는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서 권사체 표층의 실 끝을 포착하고, 상기한 반대방향 회전을 계속해서 실 끝을 풀면서, 상기한 포착한 실 끝에 꼬임을 부여하면서 상기한 반대방향 회전을 계속시켜서 포착되어 있는 실끝을 권사체 둘레면에 감아붙이는 것이다. 제5발명 실 끝 처리방법은, 실 끝 처리를 하기 전에, 권사체의 표층에 봉 감기를 실시하는 것이다. 본 제6발명의 방사 권취기는, 상기 실 끝 처리장치를 보빈 흘더와 대응하는 위치에 장착한 것이다. 본 제7발명의 권사체는, 권사체의 실 가닥을 형성하는 필라멘트, 또는 권사체의 보풀을 실 끝으로 감아들여 고정하는 실 끝 처리를 한 것이다.
본 제1발명과 같이, 실 끝에 꼬임을 부여하면 실 축선방향에서의 꼬임수축이 생겨서 실 끝에 장력이 발생한다. 장력이 발생하면서 동반하여 꼬임이 상류로 옮겨가고, 실 끝은, 권사체의 표층에 눌려진 상태로 회전한다 권사체의 실 가닥을 형성하고 있는 표층 필라멘트나 보풀이, 회전하는 실 끝에 얽혀 붙는다.
본 제2 또는 제3발명의 실 끝 흡인노즐은, 상기 실 축선방향에서의 꼬임 수축이 자유로운 상태에서 실 끝을 유지하면서, 선회류의 작용에 의해 실 끝에 꼬임이 생기게 한다.
본 제4발명은, 권사체를 감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 시켜서, 실끝을 포착할 수 있도록 권사체를 풀고, 포착한 실 끝에 꼬임을 부여해서, 권사체의 표층사 부 분을 실 끝에서 얽히도록 작용한다. 실 끝의 고정 완료후에도, 계속해서 권사체의 역회전에 의해, 흡인되어서 풀려 있던 실 끝을, 이번에는 반대로 권사체의 주위 면으로 둘러 감도록 작용한다.
본 제5발명은, 상기한 실 끝 처리를 하기 전에 실시한, 버리는 실로서의 봉 감기 부분에 실 끝이 휘감기도록 작용한다. 또한, 본 제6발명의 권취기는, 실 감기 종료에 이어서 실 끝 처리를 할 수 있다.
제1도는, 필라멘트용 와인더에서 감아 올라간 권사체인 패키지(P)와, 그 실 끝(YE)을 처리하는 실 끝 처리장치(1)를 나타내고 있다. 한편, 이 실시예에서는, 흡인노즐(1A)을 구비한 실 끝 처리장치에 대해서 설명하지만, 흡인노즐(1A)은 보조적인 요소이며, 후술하는 바와 같이 흡인노즐(1A) 없이 실시할 수도 있다. 제1도의 실 끝 처리장치(1)는 수동으로 조작하는 형식의 것이다. 이것은, 도시하지 않은 콤프레셔에 연결되어 통하는 호스(2), 압축공기를 이용한 흡인으로 실 끝(YE)을 포착하는 흡인노즐(1A), 흡인노즐(1A)의 공기 유로 도중에 실 도입구(1b)를 열린 곳으로 함과 동시에, 선회 공기류에 의해 강한 꼬임을 부여하는 꼬아 거는 노즐(1B), 도시하지 않은 개폐 밸브를 조작해서, 상기 흡인노즐(1A)과 꼬아거는 노즐(1B)로의 압축공기의 유입을 절환하는 온/오프 조작용 방아쇠(1C) 및 꼬아 거는 노즐(1B)로의 압축공기의 유입량을 조정해서, 꼬아 거는 힘을 설정하는 조리개 다이알(1D)을 구비하고 있다. 제1도 중의 부호(1a)와(1d)는, 흡인노즐(1A)의 배기구와, 꼬아 거는 노즐(1B)의 배기구이다.
꼬아 거는 노즐(1B)은 공지의 노즐을 사용할 수 있다 제5도 및 제6도는 상기 꼬아 거는 노즐(1B)의 단면도이다. 도면에 나타나듯이, 꼬아 거는 노즐(1B)은 복수의 공기 분사관(11)을 노즐 본체(12)에 대강 접선방향에서 열리게 하고 있고, 노즐 본체(12)의 단면형상을 배기구(1d)를 향해서 끝이 넓은 원뿔형상으로 하고 있다. 또한 노즐 본체(12)의 실 도입구(Ib) 측에는, 노즐 본체(12)의 안 지름보다 적은 지름의 바룬 콘트롤링(ballots controlling)(13)을 설치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압축공기를 분사관(11)에서 노즐 본체(12)안으로 공급하면, 노즐 본체(12)안에는 배기구(1d) 측으로 흐르는 선회 나선류가 생기고, 이 공기류에 의해 실 끝을 선회시키면서, 실 끝을 적극적으로 끌어내도록 되어있다.
제2도를 참조하면서, 실 끝 처리의 구체적인 방법과, 그 메카니즘을 설명한다. 우선, 제2(a)도에 나타나듯이, 실 끝 처리장치(1)의 방아쇠(1C)를 당겨서, 흡인노즐(1A)과 꼬아 거는 노즐(1B)에 압축공기를 유입시킨 후, 흡인노즐(1A)로 패키지(P)의 실 끝(YE)을 잡는다. 다음으로, 제2(b)도와 같이, 실 끝 처리장치(1)를 패키지(P)측으로 접근시킨다. 이 조작에 따라, 포착한 실 끝(YE)의 앞 끝(Ye)은, 꼬아 거는 노즐(1B)의 흡인력에 의해, 도입구(1b)로부터 꼬아 거는 노즐(1B)의 중심으로 이르고, 선회 공기류의 작용을 받아서 강한 꼬임이 부여된다. 꼬아 거는 노즐(1B)의 흡인력에 의해 일정의 장력이 작용하므로, 실 끝(YE)에 부여된 꼬임은 상류로 옮겨진다.
강한 꼬임이 부여된 실 끝(YE)은, 패키지(P)에 접촉하고 있는 일정범위 L의 실 끝(YE) 부분이, 강한 꼬임에 의한 되돌림 토크를 갖고 있다.
제2(c)도와 같이, 실 끝(YE)의 전체는 패키지 표면상에서 구르는 힘이 생겨서, 패키지(P)의 표층사부분인 필라멘트(f)를 얽히게 해서, 실 끝(YE)의 고정이 완료된다. 이 예에서 사용한 꼬아 거는 노즐(1B)의 가연력은, 약 30만연(撚)/분 이라고 하는 고속회전이기 때문에, 실 끝 처리의 조작은 실제로는 한 순간에 이루어 진다. 따라서, 실 끝 처리장치(1)에서 실 끝(YE)을 포착한 후에, 패키지 측에 흡인노즐(1A)의 앞 끝을 가까이하고, 바로 실 끝 처리장치(1)를 패키지(P)로부터 멀리해서, 잡은 실 끝을 뽑아내는 것으로 실 끝 처리는 완료한다. 휘감긴 필라멘트는 한 개인 경우도, 여러 개인 경우도 있다. 또한, 실 전체로 휘감긴 경우, 2개의 실과 휘감기는 경우도 있다.
강한 꼬임이 부여된 실 끝(YE)이 필라멘트(f)를 얽히게 하는 상황을 미시적으로 고찰하면 다음과 같다. 흡인력에 의해 패키지(P)의 표층에 눌려져 있는 실 끝(YE)이, 정해진 위치에서 실 축선 주위로 회전하고, 그 회전으로 표층의 필라멘트(f)를 얽히게해서 감는다. 그리고, 제2(d)도와 같이, 축선방향 및 지름방향의 꼬임 수축으로, 전체적으로 단단한 나선 형상으로 된 실 끝(YE)의 형태가, 상기 얽힘을 조장해서, 최종적으로 제2(e)도의 상태가 된다. 제2(e)도는 실 끝(YE)이 패키지(P) 표층의 필라멘트(f)에 휘감긴 상태, 즉 S꼬임과 Z꼬임이 전후로 나뉘어져 휘감겨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필라멘트(f)를 얽히게 한 실 끝(YE)은, 그 형태로부터, 한 번만 보면 그 존재를 확인할 수 있다. 또, 상술한 바와 같이, 대상이 되는 필라멘트(f)는 양 끝이 고정되있기 때문에, SZ의 혼합상태로 얽혀있는 실 끝(YE)을 끌어 당기면 쌍방의 꼬임이 없어진다.
따라서, 이 형태의 실 끝 처리라면, 필라멘트(f)의 단일의 실이 끊어지는 일 없이 실 끝을 풀 수 있다.
실 끝 처리 후의 형태는, 꼬아 거는 노즐(1B)의 회전 수나 실 끝 처리를 할 때의 실 끝(YE)의 당김 정도등에 따라 달라지지만, 제3도와 같이,
상기 제2(e)도의 형태에서 더 진행하여 강한 꼬임에 의해 그 전체가 곱슬한 실을 생기게 한 휘감기는 형태를 나타내는 일이 많다. 이 형태의 것에는 실 끝(YE)의 얽힘이 강고하고, 풀기 위해서 실 끝(YE)을 잡아당기면 단일사 끊김이 발생하는 일도 있지만, 처리된 실 끝(YE)의 화인은 한층 용이하다. 한편, 이 제3도의 형태로 하는 데에는 다음의 세 가지 방법이 있다. 제1의 방법은 꼬임을 일정시간 계속해서 거는 방법이고, 제2의 방법은 엉킴 후에 패키지를 반대로 회전시키는 방법이다. 제3의 방법은 반대로 회전하는 대신에, 실 끝 처리장치(1)를 실 끝의 상류측으로 이동시키는 방법이다.
흡인노즐(1A)의 흡인력은, 꼬임을 상류로 옮기기 위한 장력, 강한 꼬임에 의한 구르는 힘에 대항하는 장력을 얻을 수 있도록 설정하고 있다.
그러나, 강한 꼬임이 부여된 실 끝(YE)의 실 축선방향으로의 꼬임 수축은 자유롭게 하는 정도의 장력으로 할 필요가 있다.
이상은 필라멘트사의 경우이지만, 방적사의 경우도 그 조작은 같다.
다만, 얽히는 대상이 필라멘트(f)가 아니라, 권사체의 표충사 부분으로서의 보풀(h)이다. 상기 실 끝 처리장치(1)에서, 방적사의 실 끝(YE)에, 실의 꼬임방향과 같은 방향의 강한 꼬임을 실시하면, 회전하는 실 끝(YE)은 그 회전으로 주위의 보풀(h)을 얽히게 하여, 실 끝의 고정이 완료된다.
제4도는, 방적사를 실 끝 처리한 경우의 처리상태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실 끝 처리를 한 권사체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실 끝(YE)을 잡아당겨 푼다. 필라멘트사의 경우에는, 이미 설명한 바와같이, 둘러 감은 실 끝(YE)의 휘감김이 실 끝(YE)을 끌어 당기는 것으로 풀리거나, 일부 휘감긴 필라멘트(f)가 끊어져서 풀린다. 방적사의 경우에는, 끌어 당기는 것에 의해, 감아 넣은 보풀(h)이 끊어져서 용이하게 풀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흡인노즐(1A)과 꼬아 거는 노즐(1B)을 구비한 실끝 처리장치(1)를 설명했다 그러나, 권사체 표층에 존재하는 실 끝(YE)을 포착할 수 있는 만큼의 흡인량을 꼬아 거는 노즐(1B)이 가지고 있고, 꼬임을 상류측으로 옮기는데 필요한 장력으로, 거기에 회전의 반작응으로서의 구르는 힘에 대항할 수 있는 일정한 장력을 실 끝(YE)에 부여할 수 있는 경우에는, 꼬아 거는 노즐(1B)만으로도 실 끝 처리장치(1)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꼬아 거는 힘을 설정하는 조리개 다이알(1D)의 구성에 더해서, 흡인노즐(1A)의 흡인력도 조정할 수 있도록 해도 좋다. 이 경우에는, 흡인노즐(1A)에서 꼬아 거는 노즐(1B)로의 실 끝(YE) 도입이 양호하게 이루어지도록, 흡인력을 조정할 수 있다. 꼬아 거는 노즐(1B)의 가연력은, 상기 실시예와 같이 약 30만연/분이 바람직하지만, 약 10만 - 40만연/분의 범위에 있어서도 상기와 같은 작용을 달성할 수 있다. 방적사의 경우에는 약간 낮아도 좋다. 수동식 실 끝 처리장치(1)의 다른, 자동기로서의 실 끝 처리장치, 권취기에 짜 넣어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다. 거기에,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권사체로서 치즈 형상의 패키지(P)의 예를 설명했지만, 판 형상의 감기 보빈 등, 각종 권사체의 실 끝 처리에 본 발명을 채용해도 좋다. 실 끝에 꼬임을 거는 수단으로서는, 실시예에서 설명한 노즐에 한정하지 않고, 예를들면 벨트식 닙 트위스터(nip twister)등의 다른 가연장치로도 좋다.
제7도와 제8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인 실 끝 처리방법과 그 방법에 사용하는 실 끝 처리장치를 쉽게 이해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보이고 있다.
제7도는, 필라멘트용 와인더로 감아 올린 권사체인 패키지(P)와, 그 실 끝(YE)을 처리하는 실 끝 처리장치(100)를 나타내고 있다. 실 끝 처리장치(100)는, 압축공기를 이용한 흡인으로 실 끝을 포착하는 흡인노즐(101A)과, 이 흡인노즐(101A)의 공기유로 도중에 실 도입구(101b)를 열고, 선회 공기류에 의해 실에 강한 꼬임을 부여하는 꼬아 거는 노즐(101B)을 구비하고 있다. 각각의 노즐은 가변 조리개(C)와 전자 밸브(V)를 통해서 콤프레셔(102)에 통하여 연결시키고 가변 조리개(C)의 조리개양을 조정하는 것으로 흡인력과 꼬아 거는 힘을 조정할 수 있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상기 패키지(P)에는, 와인더에서의 감기 완료 시에, 패키지 바깥 둘레의 한 끝 측에, 가로지르지 않게 실을 소정 길이 감는 봉 감기(SW)를 하고 있고, 이 실시예에서는 실 끝을 이 봉 감기(SW)부분에 고정한다 그 때문에, 상기 흡인노즐(101A)은 봉 감기(SW)부분과 대응하는 위치에서, 패키지(P) 표층에 근접 배치하고 있다. 제7도 중의 부호(101c)와(101d)는, 흡인노즐(101A)의 배기구와, 꼬아 거는 노즐(101B)의 배기구이다.
제8도를 참조하면서, 실 끝 처리의 구체적인 방법과, 그 메카니즘을 설명한다 우선 처음에, 제8(a)도에서 보이듯이, 상기 전자 밸브(V)를 열어서, 흡인노즐(101A)의 앞 끝으로부터 공기를 빨아들이면서 꼬아 거는 노즐(101B)에 압축공기를 유입시킨 후, 패키지(P)를 감는 방향과 반대인 시계방향으로 완만하게 회전시킨다. 이 회전에 의해, 패키지(P)의 봉감기(SW)부분 표면에 존재하는 실 끝(YE)은 흡인노즐(101A) 안으로 잡힌다.
반대로 돌려서 푸는 것을 계속하면, 제8(b)도의와 같이, 포착한 실끝(YE)의 앞 끝(Ye)은, 꼬아 거는 노즐(101B)의 흡인력에 의해 실 도입구(101b)로부터 꼬아 거는 노즐(101B)의 중심에 이르고, 선회 공기류의 작용을 받아서 강한 꼬임이 부여된다. 꼬아 거는 노즐(101B)의 작용에 의해 일정의 장력이 작용함에 따라, 실 끝(YE)에 부여되었던 꼬임은 상류로 옮겨 간다. 강한 꼬임이 부여되었던 실 끝(YE)은, 패키지(P)에 접촉하고 있는 일정범위 L의 실 끝(YE)부분이, 강한 꼬임에 의한 되돌림 토크를 갖고 있다. 제8(c)도에서와 같이, 실 끝(YE) 전체는 패키지 표면상에서 회전하는 힘이 생겨서, 패키지(P) 표층사 부분인 필라멘트(f)를 얽어매고, 실 끝(YE)이 봉감기(SW)부분에 고정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꼬아 거는 노즐(101B)의 회전방향을, 실 끝(YE)이 패키지(P)의 중심측으로 회전하는 우회전으로 설정하고 있다. 이 경우에는, 만일 봉 감기(SW)부분에서의 실감기에 실패해도, 봉 감기(SW)부분에서의 회전에 실패해도, 실 끝(YE)은 패키지(P)로부터 벗어나는 일이 없이, 패키지(P)의 표층에 휘감기는 잇점이 있다.
실 끝(YE)은 패키지(P)의 봉 감기(SW)부분에 이미 고정되어 있으므로 제8(d)도와 같이 실 끝(YE)을 푸는 것은, 반대로 도는 것을 계속함으로써 패키지(P) 표면으로 둘러 감기며 회전한다. 실 끝(YE)이 필라멘트(f)를 얽히는 계합력보다도 흡인노즐(101A)의 흡인력을 약하게 하고 있다. 그리고, 제8(e)도와 같이, 흡인노즐(101A)에 포착되었던 실 끝(YE)은 모두 감아 내어져서, 패키지(P)의 바깥 둘레로 감겨지고, 실 끝처리가 완료된다. 휘감아 고정하는 필라멘트는 한 개인 경우에도, 여러개인 경우도 있다. 또한, 실 전체로 휘감는 경우 2개의 실과 휘감기는 경우도 있다.
흡인노즐(101A)의 흡인력은 가변 조리개(C)를 조정하는 것으로 패키지(P)의 실 끝(YE)을 포착할 수 있고, 거기에 흡인노즐(101A)로부터 꼬아거는 노즐(101B)의 실 끝(Ye) 도입이 양호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강한 꼬임이 부여된 실 끝(YE)의 실 축선방향으로의 꼬임 수축은 자유롭게 하는 정도의 장력으로 할 필요가 있다.
다음으로 제9도 내지 제12도를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 끝 처리장치를 권취기로 해서 테이크 업 와인더(take up winder)(10)에 탑재한 구체예로서 설명한다.
제9도 및 제10도에 나타난 테이크 업 와인더(110)는 터릿식(turret method)이라고 불리우는 것으로, 다 감은 보빈(111)과 빈 보빈(111)의 절환을 자동적으로 하는 형식의 것이다. 베이스 프레임(112) 위에 설치한 본체 프레임(113)에는, 승강이 자유로운 승강 박스(114)와, 회전이 가능한 터릿 판(115)과, 앞 끝에 조작 박스(116)를 갖는 고정틀(117)을 설치하고 있다 승강 박스(114)에는 터치 롤러(114a)와 트래버스장치(l14b)가 각각 지지하고 있고, 터치 롤러(114a)는 감는 위치에 있는 스핀들(118)에 장착한 보빈(11)의 실층에 눌러 접하고 있다. 상기한 터릿 판(115)은 회전축을 중심으로 도시하지 않은 구동장치에 의해 회전 구동이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 터릿 판(115)은, 두 개의 스핀들(118,118)을 회전이 자유롭게 튀어 나오게 설치해서 지지하고 있고, 한 쪽의 스핀들(118)이 감는 위치에 있을 때에, 다른 편의 스핀들(118)이 대기 위치가 되도록 배치하고 있다. 양 스핀들(118,118)은 모터(M)에 따라 독립으로 구동된다.
대기 위치에 있는 다 감은 패키지(P)의 실 끝(YE)이 감는 위치에 있는 빈보빈(11b)에 감겨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선회 분리기(119)를 축(119a) 주위에서 요동이 자유롭게 지지하고 있다. 또, 연속 운전의 개시전에 수동조작으로 꼬아 거는 것을 하기 위해, 실 거는 장치(120)가 축(120a)을 중심으로 흔들리며 움직이는 레버(127b)에 부착되어 있다.
감기 위치에 있는 스핀들(118)에 장착된 보빈(111)(이 예에서는 8개)에 실을 감아, 보빈(111)이 다 감길 때 마다 터릿 판(115)을 180도 회전시켜, 새로 감기 위치에 온 빈 보빈(111b)에 실을 건네고, 다 감긴 패키지(P)는 푸셔(pusher)(121)에 의해 눌려지고 스핀들(118)에 의해 뽑아 내어져, 반송 로보트등에 의해 예를들면 제품으로서 출하되기 위해 포장하는 곳으로 반송된다. 이렇게 해서, 연속적으로 공급된 실을 2개의 스핀들(118)에 장착한 보빈(111)에서 번갈아 감아간다.
이상의 구성에 있어서, 제11도 및 제12도에서 나타낸 바와같이, 제2실시예의 실끝 처리장치(100)를 상기한 베이스 프레임(112)으로 둘러싼 공란에, 보빈(111)의 수에 대응하는 수 만큼 배치하고 있다. 이 실 끝 처리장치(100)는, 터릿 판(115)의 회전에 따른 보빈 교환 시에, 흡인노즐(101A)이 다 감긴 패키지(P)와 간섭하지 않도록, 흡인노즐(101A)의 개구(101a)를 패키지(P)측으로 향한 작용 위치와, 역방향으로 향한 대기 위치로 전환이 자유릅게 하기 위해, 스핀들(118)과 병행하고 있는 축(112) 주위에 회전이 가능한 블라켓(bracket)(123)으로 지지하고 있다. 고정틀(117) 측에 설치한 모터(1m)는 그 전환을 위해 상기 블라켓(123)을 회전시키는 것이다.
와인더(110)에서의 실 감기는, 실 끝 처리장치(100)가 대기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진행한다. 보빈(111)이 다 감기면, 상술한 바와같이 터릿 판(115)을 180도 회전시켜서 다 감긴 보빈과 빈 보빈을 교환하면서, 감긴보빈에서 빈 보빈으로 실을 건네는 작용과 부수적으로, 가로지르지 않는 봉 감기(SW)부분이 다 감긴 패키지(P)의 바깥 둘레로 소정 길이에 걸쳐서 실시된다. 보빈 교환이 완료하면, 그것을 받아서 실 끝 처리장치(100)가 작용위치로 요동함과 동시에, 전자 밸브(V)를 열어서 흡인과 꼬아 거는 준비를 한다. 이와 거의 동시에, 다 감긴 패키지(P)측에는 모터(M)의 구동에 의해 완만하게 감는 방향과 반대인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반대 회전에 의한 실 끝 처리의 상세한 것은 제2도에서 설명한 대로이다. 2 내지 3회전 정도 반대회전 시키면 실 끝 처리의 완료라고 간주하고 회전을 정지하고, 실 끝 처리장치(100)를 대기 위치측으로 복귀시키고, 실 끝 처리 완료 후의 다 감긴 패키지(P)를 스핀들(118)로부터 뽑아내어 반출한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흡인노즐(101A)과 꼬아 거는 노즐(101B)을 구비하는 실 끝 처리장치(1)를 설명했다. 그러나, 권사체 표층에 존재하는 실끝(YE)을 붙잡을 수 있을 만한 흡인량을 꼬아 거는 노즐(101B)이 가지고 있고, 꼬임을 상류로 옳기는 데 필요한 장력을 실 끝(YE)에 부여할 수 있는 경우에는, 꼬아 거는 노즐(101B)만으로도 실 끝 처리장치(1)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흡인노즐(101A)의 앞 끝 개구(101a)의 위치와 패키지(P)표면과의 간격을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해도 좋다. 흡인노즐(A)의 공기 유로 도중에, 실 끝이 포착된 것을 검출하는 센서를 설치, 이 센서 검출로 꼬아 거는 노즐의 전자 밸브(V)를 열거나, 반대회전을 정지시키는 제어의 계기로서도 좋다. 꼬아 거는 힘을 설정하는 가변 조리개(C)만을 실시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패키지 표면에 접촉하는 일 없이, 권사체의 실 끝에 강한 꼬임을 부여해서, 권사체의 표층사 부분에 실 끝을 감아서 고정시키는 간단한 방법이므로, 실 끝 처리를 자동화하는데 있어서도 간단할 기구로 가능하다. 접착제나 접착 테잎 등 다른 물질을 필요로 하지 않고, 게다가 실 끝의 고정이 확실하다. 또한, 실 끝의 가연으로 꼬임과 동시에 표층사 부분으로서의 필라멘트나 보풀을 휘감는 형태에 의해, 실 끝 찾기가 용이하고, 실 끝이 꼽슬한 실의 형태를 띠는 경우에는 더욱 용이하게 찾을 수 있다 처리를 한 실 끝을 끌어 당기면 휘감긴 부분도 용이하게 풀수 있으므로, 실 끝을 푸는데도 우수하다.
실 끝 처리장치를 선회류로 강한 꼬임을 부여하는 꼬아 거는 노즐로 구성한 경우에는 실 축선방향에서의 꼬임이 자유로운 상태에서 실 끝을 가질 수가 있고 상기한 실 끝 처리를 양호하게 할 수 있다.
본 제1발명에 의하면, 권사체를 감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만으로 실 끝의 포착, 권사체 표층으로의 실 끝 고정, 포착한 실 끝을 끌어냄이 순서대로 자동적으로 이루어지므로 실 끝 처리 조작이 매우 간단하고, 실 끝 처리방법을 채용한 자동기를 간단히 구성할 수 있다.
본 제2발명과 같이 실 끝 처리를 하기 전에 권사체에 봉 감기를 실시해두면, 실 끝의 봉인부분의 필라멘트를 얽힘과 동시에 예를들어, 단일실의 끊김이 발생하여도, 버리는 실로서의 봉권부분만을 푸는 것만으로 좋다.
제3발명과 같이, 권취기에 실 끝 처리장치를 조합할 경우에는, 권취기 완료 직후에 실 끝 처리를 실시할 수가 있고, 실 끝이 자연스럽게 풀리는 것으로 인한 장해를 완전히 없앨 수가 있다. 게다가, 실 끝 처리장치가 가동부분이 없는 공기식 노즐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전체 구성도 간단하다 .

Claims (7)

  1. 실 끝처리 장치의 꼬아거는 노즐에 의하여 권사체 표층의 실 끝에 꼬임을 부여해서, 꼬임에 의한 실 끝 전체의 회전으로, 권사체 표층사 부분을 얽히게 하고, 표층사 부분을 실 끝에 휘감기게 하여 고정하는 실 끝 처리방법.
  2. 권사체의 실 끝에 선회류로 꼬임을 부여하는 꼬아 거는 노즐로 이루어지는, 제1항에 기재된 실 끝 처리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실 끝 처리장치.
  3. 권사체의 실 끝을 흡인하는 노즐과, 상기한 흡인한 실 끝에 선회류로 꼬임을 부여하는 꼬아 거는 노즐로 이루어지는, 제1항에 기재된 실 끝 처리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실 끝 처리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권사체를 감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서 권사체 표층의 실 끝을 포착하고, 상기한 반대방향 회전을 계속하여 실끝을 품과 동시에, 상기한 포착한 실 끝에 꼬임을 부여하면서 상기한 반대향향 회전을 계속시켜서 포착되어 있는 실끝을 권사체 둘레면에 감아 붙이는 실 끝 처리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실 끝 처리를 하기 전에 권사체의 표층에 봉 감기를 실시하는 실 끝 처리방법.
  6. 제2항 또는 제3항에 기재된 실 끝 처리장치를 보빈 홀더와 대응하는 위치에 장착한 방사 권취기.
  7. 권사체의 실 줄기를 형성하는 필라멘트, 또는 권사체의 보풀을 실 끝으로 감아 들여 고정하는 실 끝 처리를 한 권사체.
KR1019950036035A 1994-12-27 1995-10-18 실 끝 처리방법 실 끝 처리장치 방사 권취기 및 실 끝을 처리한 권사체 KR10026022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325013A JP2848256B2 (ja) 1994-12-27 1994-12-27 糸端処理方法と糸端処理装置を備えた巻取機
JP6325012A JP2845148B2 (ja) 1994-12-27 1994-12-27 糸端処理方法と糸端処理をした巻糸体、及び糸端処理装置
JP94-325012 1994-12-27
JP94-325013 1994-12-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3339A KR960023339A (ko) 1996-07-18
KR100260222B1 true KR100260222B1 (ko) 2000-07-01

Family

ID=265716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36035A KR100260222B1 (ko) 1994-12-27 1995-10-18 실 끝 처리방법 실 끝 처리장치 방사 권취기 및 실 끝을 처리한 권사체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0260222B1 (ko)
DE (1) DE19548935C2 (ko)
TW (1) TW26623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1547B1 (ko) * 1999-08-02 2002-06-22 신오범 북실관권기의 북실묶음부 처리장치
FR2833587B1 (fr) * 2001-12-14 2004-02-13 Superba Sa Procede et dispositif de nouage d'un fil sur une bobine
DE10161590A1 (de) * 2001-12-14 2003-06-26 Barmag Barmer Maschf Aufspulmaschine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Aufspulmaschine
US6964437B2 (en) 2001-12-14 2005-11-15 Superba (Societa Anonyme) Process and device for knotting a yarn on a spool
DE102006018445B4 (de) 2006-04-18 2008-04-24 Imedos Gmbh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Bestimmung arterio-venöser Verhältniswerte durch quantitative Analyse retinaler Gefäße
DE102018002360A1 (de) * 2018-03-21 2019-09-26 Oerlikon Textile Gmbh & Co. K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kontinuierlichen Aufwickeln eines Fadens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130358A1 (de) * 1971-06-18 1972-12-21 Guetermann & Co Fadenverwahrapparat zur Festlegung des Fadenanfanges bzw.-endes an einer Spule
DE2442471C3 (de) * 1974-09-05 1978-08-03 Hacoba Textilmaschinen Gmbh & Co Kg, 5600 Wuppertal Vorrichtung zum Festlegen des Anfangsfadenendes von Garnspulen an automatischen Spuleinrichtungen
DE69300340T2 (de) * 1992-03-03 1996-04-04 Teijin Ltd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Behandeln des Spulenfadenend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3339A (ko) 1996-07-18
DE19548935C2 (de) 2001-11-15
DE19548935A1 (de) 1996-07-04
TW266232B (en) 1995-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6377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plicing spun yarns
JP5287992B2 (ja) 糸巻取装置
EP1207225B1 (en) Spinning device
US4445317A (en) Splicing method for spun yarns
KR100260222B1 (ko) 실 끝 처리방법 실 끝 처리장치 방사 권취기 및 실 끝을 처리한 권사체
US7360354B2 (en) Method and device for the production of covered elastic yarn and for automatically replacing feeding spools
DE2215003A1 (de) Vorrichtung zur garnvorbereitung und -behandlung sowie deren anwendungen
US4433534A (en) Apparatus for splicing spun yarns
JP2017517653A (ja) 繊維機械および繊維機械を運転する方法
CN114645344A (zh) 纱线形成件的清洁装置和这种纱线形成件的清洁方法
US4526326A (en) Traverse roll for filament yarn cross winding apparatus
CN1643194B (zh) 离心式纺纱装置
JP2002220748A (ja) 紡績糸スタックの製作法
JP2848256B2 (ja) 糸端処理方法と糸端処理装置を備えた巻取機
JP2746230B2 (ja) 紡糸巻取機及びその糸端処理方法
CN105966995A (zh) 接头装置、纺纱机和自动络纱机
JP2845148B2 (ja) 糸端処理方法と糸端処理をした巻糸体、及び糸端処理装置
JPH03823A (ja) 短繊維糸製造用精紡機
JP3760802B2 (ja) コアヤーン及びその製造方法
USRE31594E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plicing spun yarns
JP3578067B2 (ja) 自動ワインダ
JP3502886B2 (ja) 毛羽伏せ装置
JPH10297826A (ja) 自動ワインダ及びその玉揚装置
JP2000256929A (ja) スパン糸の解撚合糸方法及び装置
JPS6223699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