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56030B1 - 성형 면파스너와 이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성형 면파스너와 이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56030B1
KR100256030B1 KR1019970013575A KR19970013575A KR100256030B1 KR 100256030 B1 KR100256030 B1 KR 100256030B1 KR 1019970013575 A KR1019970013575 A KR 1019970013575A KR 19970013575 A KR19970013575 A KR 19970013575A KR 100256030 B1 KR100256030 B1 KR 1002560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m
coupling
coupling head
die wheel
surface faste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135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80000866A (ko
Inventor
미츠루 아케노
류이치 무라시키
Original Assignee
요시다 다다히로
와이케이케이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요시다 다다히로, 와이케이케이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요시다 다다히로
Publication of KR9800008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008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60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60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8/00Fasteners of the touch-and-close type; Making such fasteners
    • A44B18/0046Fasteners made integrally of plastics
    • A44B18/0061Male or hook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8/00Fasteners of the touch-and-close type; Making such 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8/00Fasteners of the touch-and-close type; Making such fasteners
    • A44B18/0046Fasteners made integrally of plastics
    • A44B18/0049Fasteners made integrally of plastics obtained by moulding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22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of indefinite length
    • B29C43/222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of indefinite length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3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3/44Compression means for making articles of indefinite length
    • B29C43/46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78Thermal treatment of the extrusion moulding material or of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by heating or cooling
    • B29C48/86Thermal treatment of the extrusion moulding material or of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by heating or cooling at the nozzle zone
    • B29C48/865He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78Thermal treatment of the extrusion moulding material or of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by heating or cooling
    • B29C48/86Thermal treatment of the extrusion moulding material or of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by heating or cooling at the nozzle zone
    • B29C48/87Coo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3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3/44Compression means for making articles of indefinite length
    • B29C43/46Rollers
    • B29C2043/461Rollers the rollers having specific surface fe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27Fastening elements
    • B29L2031/729Hook and loop-type fasten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27Buckles, buttons, clasps, etc. including readily dissociable fastener having numerous, protruding, unitary filaments randomly interlocking with, and simultaneously moving towards, mating structure [e.g., hook-loop type fasten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27Buckles, buttons, clasps, etc. including readily dissociable fastener having numerous, protruding, unitary filaments randomly interlocking with, and simultaneously moving towards, mating structure [e.g., hook-loop type fastener]
    • Y10T24/2767Buckles, buttons, clasps, etc. including readily dissociable fastener having numerous, protruding, unitary filaments randomly interlocking with, and simultaneously moving towards, mating structure [e.g., hook-loop type fastener] having several, repeating, interlocking formations along length of fila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27Buckles, buttons, clasps, etc. including readily dissociable fastener having numerous, protruding, unitary filaments randomly interlocking with, and simultaneously moving towards, mating structure [e.g., hook-loop type fastener]
    • Y10T24/2783Buckles, buttons, clasps, etc. including readily dissociable fastener having numerous, protruding, unitary filaments randomly interlocking with, and simultaneously moving towards, mating structure [e.g., hook-loop type fastener] having filaments constructed from coated, laminated, or composite materi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27Buckles, buttons, clasps, etc. including readily dissociable fastener having numerous, protruding, unitary filaments randomly interlocking with, and simultaneously moving towards, mating structure [e.g., hook-loop type fastener]
    • Y10T24/2792Buckles, buttons, clasps, etc. including readily dissociable fastener having numerous, protruding, unitary filaments randomly interlocking with, and simultaneously moving towards, mating structure [e.g., hook-loop type fastener] having mounting surface and filaments constructed from common piece of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Slide Fasteners, Snap Fasteners, And Hook Fasteners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성형 면파스너는 기판 시트(1) 및 기판 시트(1)의 한쪽 표면으로 돌출되는 다수의 결합요소(2)를 포함하고 있으며, 각각의 결합요소(2)가 기판 시트(1)의 한쪽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스템(21) 및 이러한 스템(21)의 상단부로부터 돌출하여 상응하는 루우프(3)와 탈착가능하게 결합하는 결합헤드(22)로 이루어져 있다. 본 발명의 성형 면파스너를 제조하는 방법은, 먼저 연속적인 사출성형에 의해 다이 휘일(5) 상에 반제품 면파스너(SF')로 제조된 후에, 다이 휘일(5)의 하류에 배열되어 있는 가열압착롤러(8a)가 반제품 면파스너(SF')의 결합헤드(22')를 가열압착하여 스템(21')으로부터 결합헤드(22')를 굴곡시키는 동시에 결합헤드(22)의 종방향에 대해 수직으로 결합헤드(22')의 상부(22a)의 양쪽 측연부로부터 양방향으로 돌출되는 한쌍의 돌기(22a')를 형성한다.

Description

성형 면파스너와 이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본 발명은 한쪽 표면상에 다수의 결합요소가 제공되는 기판 시트로 구성되고 압출이나 연속사출 또는 사출성형에 의해서 제조되는 합성수지의 성형 면파스너와, 이와 같은 성형 면파스너를 제조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은 적절한 강도와 잘 벗겨지지 않는 적절한 특성, 그리고 결합도가 높은 특성을 제공하도록 소형의 루프(loops)와 신뢰성 있게 결합되는 소형의 결합요소를 포함하므로써서, 반복사용해도 내구성이 양호하고 종이 기저귀 등의 제품에 사용하기 적합한 성형 면파스너에 관한 것이다.
열가소성 수지를 사용하여 기판 시트와 다수의 후크가 일체식으로 결합되어 있는 일체식 성형 면파스너를 연속적으로 성형되는 것은 미국 특허 제 4,984,339 호 및 제 5,441,687 호 등에 기재되어 있다. 최근에는, 공업재료나 자동차 혹은 인테리어 장식품 등의 연결부재로서, 그리고 일용품이나 기저귀 등의 다양한 위생용품으로서, 이와 같은 유형의 성형 면파스너의 사용이 증가되고 있다. 그 결과, 이러한 다양한 사용 분야에 부합되도록 기판 시트의 표면상에 여러 가지 치수 및 형상으로 형성되는 다양한 결합요소가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상술의 미국 특허 명세서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연속적인 일체식 성형 면파스너를 제조하기 위한 종래 기술의 성형 장치에 있어서는, 성형 과정에서의 기술적인 어려움으로 인하여 섬세하고 접촉이 우수한 성형 면파스너를 제공하기가 어려웠다. 아주 작은 크기의 소형 결합요소가 성형된다고 가정할 경우에, 매우 낮은 강도 만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성형 면파스너의 실용성은 아주 낮다. 또한, 이러한 일체식 성형 후크 형상의 구조에 있어서는 스템이 단순한 횡단면 형상을 가지며, 따라서 결합요소의 치수가 작아질수록 스템은 그 기부로부터 결합요소의 열(row)을 따라서 횡방향 또는 종방향으로 보다 용이하게 굽혀질 수 있다. 또한, 후크 형상의 결합요소의 단순한 형상 및 과잉의 연성으로 인해서 적절한 강도가 제공될 수 없으므로, 결합요소가 상응하는 루프로부터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다. 그 결과, 결합요소가 반복적는 사용으로 인해 점차 원래의 자세로 복원할 수 없게 되어, 짧은 시간 내에 루프와 결합되는 속도가 저하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성형된 후크 형상의 결합헤드는 그 단순한 형상 및 과잉의 연성으로 인해 결합강도가 낮기 때문에 상기 결합헤드가 용이하게 분리된다. 따라서, 적절한 견고성 및 적절한 강도를 제공하기 위하여 결합요소를 견고하게 구성하고 단위면적당 후크의 수(후크 밀도)를 감소시키도록 각각의 후크 형상의 결합요소의 크기를 증가시킬 필요가 있었다. 그 결과, 성형 면파스너는 작은 크기의 상응하는 루프와 결합할 수 없게 되어 버린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서, 예를 들어 국제공개 제 WO94/23610호, 미국 특허 제 5,077,870호, 일본 특허공개 제 2-5947호(미국 특허 제 4,894,060호)에는 여러 가지 형태의 소형 결합요소를 갖춘 일체식 성형 면파스너가 기재되었다.
국제공개 WO94/23610호 및 미국 특허 제 5,077,870호에 기재된 성형 면파스너의 결합요소는 후크 형상이 아닌 버섯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종래의 후크 형상의 결합요소와 비교하여, 이러한 버섯 형상의 결합요소는 소형의 치수로 감소된다고 하여도 상응하는 루프와의 결합에 있어서 소정의 강도를 보장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버섯 형상의 결합요소를 갖춘 성형 면파스너는 적절한 연성을 필요로 하는 경우에 적합하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의 결합요소에 있어서는, 스템 및 그 결합요소와 연결되는 네크부가 상응하는 루프와의 결합시 다수의 루프와 엉켜버리기 때문에, 이러한 네크부에서의 파열이 발생하는 경향이 있으며, 따라서 반복적인 사용에 대한 내구성이 부족하다는 문제가 있다.
한편, 일본 특허공개 제 2-5947호에 기재된 성형 면파스너는 종래 기술에 공지된 통상의 후크 형상의 구조를 갖는 것으로서, J 형 또는 세 개의 손가락 형상의 다수의 결합요소가 기판 시트 상에 돌출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성형 면파스너는 저렴한 비용으로 제조될 수 있고 비직조물의 상응하는 표면 파스너와 함께 사용될 수 있으며, 또한 통상의 파이버 파일 직제의 직물에 비해서 저렴하게 제조될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성형 면파스너는 특히 여러 가지 형태의 일회용 속옷 및 종이 기저귀에 사용하기 적합하다. 이러한 성형 면파스너에서는, 비직조물의 파이버 파일에 대해서 양호하게 배출되지 않는 적절한 특성이 소형의 단일 헤드 결합요소에 의해 제공될 수 없다는 점을 고려할 때, 소형 파이버 파일에 대하여 전반적인 결합 강도 및 양호하게 배출되지 않는 특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결합요소의 밀도가 비교적 크게 설정된다.
상술의 일본 특허공개공보에 기재된 결합요소에 있어서는, 이러한 결합요소를 단지 매우 작은 치수로 제조하고 그 밀도를 크게 설정하는 것이나 또는 단지 이러한 결합요소의 형상을 단순하게 변화시키는 것 만으로는 상응하는 비직조물과의 결합시 소정의 전단 강도 및 잘 벗겨지지 않는 특성을 보장할 수 없다. 따라서, 후크 형상의 결합요소의 밀도가 아주 크다고 하더라도, 후크 형상의 결합헤드를 밀도가 큰 파이버 루프 안으로 통과시킬 경우에 이러한 결합헤드가 상응하는 비직조물의 조밀하게 임의의 방식으로 배열되어 있는 매우 연한 파이버 루프의 아래로 밀려지거나 또는 그 자체가 편형하게 떨어지게 된다. 그러므로, 이러한 결합요소는 파이버 루프 안으로 통과될 수 없으며, 그 결과 통상의 성형 면파스너에 비해 떨어지는 결합 속도를 피할 수 없다.
이러한 이유로 인하여, 이러한 소형 결합요소를 갖춘 성형 면파스너에 있어서는 결합요소의 치수를 감소시키거나 또는 밀도를 감소시킴에 있어서 필연적으로 제한이 따를 수밖에 없다. 일본 특허공개 제 2-5947호에 기재된 결합요소는 전체적으로 거의 임계치에 가깝게 조용히 작동하며, 이러한 결합요소의 여러 부분들의 양호한 치수가 제시되어 있는데, 결합요소의 밀도는 바람직하게 70 내지 100/cm2이고, 결합요소의 높이는 0.8 내지 1.1 mm 이며, 스템 두께 및 결합헤드의 폭(결합헤드의 종방향에 대해 수직한 수평방향의 폭)은 바람직하게 0.46 mm 이고, 스템의 폭(결합헤드의 종방향으로의 두께)은 0.18 내지 0.30 mm 이며, 그리고 스템으로부터 돌출되는 결합헤드의 길이는 바람직하게 0.25 내지 0.37 mm 또는 1 mm 이하이다.
이들 수치는 전단 방향과 배출되는 방향으로의 전체 강도를 제공하도록 결정되는데, 이는 결합시 전단 강도와 벗겨지는 강도가 극히 낮다는 점에 근거하여 결합요소가 소형의 치수에 대하여 특별한 형상을 고려하지 않고 통상의 형상으로 형성되기 때문이다.
결합요소가 통상의 J 형으로 형성된다고 가정하면, 결합헤드의 말단부의 하부면과 결합헤드의 최상부 지점 사이의 거리를 최대한 작게 형성하고, 결합헤드의 말단부의 하부면과 기판 시트의 전방면 사이의 거리 및 서로 인접한 결합요소 사이의 거리를 상응하는 루프의 실제 치수 보다 적어도 수배는 크게 형성해야 할 필요가 있다. 결국, 통상의 결합요소의 치수는 상응하는 루프의 치수와 관련하여 결정된다. 예를 들어 종이 기저귀로 사용하기에 적합하도록 매우 연한 소형 결합요소를 성형하는 경우에는, 필요한 강도를 보장하도록 결합헤드의 공동을 넓게 형성하는 것이 불가피하며, 결합헤드의 말단부의 하부면과 루프로 들어가는 기판 시트의 전방면 사이에 필요한 최소의 거리가 일정하게 결정된다.
이는, 소정의 결합속도를 보장하려 할 경우에 결합요소의 높이나 밀도가 일정한 크기로 결정되어서 그러한 높이가 낮게 설정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용융재료 또는 후크의 중량이 일정하다고 가정할 때, 결합요소의 구조를 개선시키지 않고서는 결합 과정에서의 전단 방향 및 배출되는 방향으로의 강도를 향상시키기가 어렵다. 또한, 기판 시트의 전방면으로부터 직접적으로 돌출되는 결합요소의 결합헤드의 최상부가 곡선형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성형 면파스너의 결합면의 표면이 보다 매끄럽게 접촉하도록 제조될 수 없으며, 이와 같이 곡선형으로 형성된 상부의 형상은 상응하는 루프의 치수를 증가시키는 원인이 될 수 있는 동시에 루프가 소형으로 될 경우에 결합헤드가 이러한 루프 안으로 삽입되는 것을 방해할 수도 있다. 또한, 전체 결합요소가 소형의 치수로 단순히 작아지는 경우에도 후크 형상의 결합헤드 전체가 눌려질 때 우발적으로 전방으로 혹은 측방으로 굽혀지게 되므로, 결합헤드가 상응하는 루프와 결합하기가 더욱 불가능하여 전체 성형 면파스너의 결합속도가 상당히 저하된다.
일반적으로,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결합요소를 소형의 치수로 제조하는 경우에 전체 성형 면파스너의 적절한 연성을 보장하기 위해서 기판 시트의 두께는 감소되어야만 한다. 그러나 기판 시트의 두께가 매우 작아지면, 성형 면파스너의 결합요소가 연속적인 성형 과정 중에 다이로부터 분리될 때 기판 시트가 일정하게 늘어나거나 또는 용이하게 찢어져 버리는 경향이 있으며, 그 결과 불안정한 성형을 초래한다. 또한, 이러한 성형 작업 자체가 아무런 문제 없이 완료된다 하여도, 성형된 기판 시트는 기복이 있거나 주름지게 되므로 성형 면파스너를 실제로 사용하기에는 내구성이 부족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비직조물 등과 같이 미세하고 조밀한 파이버 파일의 루프와도 신뢰성 있게 결합가능하고, 결합시 각각의 결합요소의 적절한 전단 강도 및 잘 벗겨지지 않는 특성을 보장할 수 있으며, 결합면의 접촉을 개선시킬 수 있고, 기판 시트의 한쪽 표면 상으로 돌출되는 결합요소의 높이가 종래 기술의 성형 면파스너에 비해서 낮아질 수 있으며, 극단적인 측방향 및 전방으로의 결합헤드의 굴곡을 방지할 수 있고, 상응하는 표면 파스너의 루프와의 결합속도를 보다 신속하게 보장할 수 있으며, 반복적인 부하에 대한 적절한 내구성을 갖추고 있을 뿐만 아니라, 기판 시트의 소정의 연성 및 파열 강도를 보장할 수 있는 성형 면파스너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 은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성형 면파스너의 부분 측면도.
도 2 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성형 면파스너의 평면도.
도 3 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성형 면파스너의 정면도.
도 4A 및 도 4B 는 각각 제 1 실시예에 따른 성형 면파스너의 변형예를 도시한 부분 측면도 및 정면도.
도 5 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성형 면파스너의 부분 측면도.
도 6 은 제 2 실시예에 따른 성형 면파스너의 평면도.
도 7 은 제 2 실시예에 따른 성형 면파스너의 평면 정면도.
도 8A 및 도 8B 는 각각 제 2 실시예에 따른 성형 면파스너의 변형예를 도시한 부분 측면도 및 정면도.
도 9 는 제 2 실시예에 따른 성형 면파스너의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 측면도.
도 10 은 제 2 실시예에 따른 성형 면파스너의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 정면도.
도 11 은 성형 면파스너를 제조하는데 사용되는 사출성형 다이를 부분 단면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12 는 결합요소 형성용 공동의 내부 형상의 한 예를 확대한 부분확대 사시도.
도 13 은 사출성형 노즐을 사용하여 성형 면파스너를 연속적으로 제조하는 장치의 개략적인 구조를 도시한 도면.
제 14 는 성형 면파스너 제조장치의 주요 중간표면 파스너 성형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확대 횡단면도.
도 15 는 성형 면파스너 제조장치에 사용되는 다이 휘일의 공동부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16 은 본 발명의 특징부인 가열 및 프레스 수단에 의해서 결합헤드가 처리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
제 17A 및 도 17B 는 각각 가열 및 프레스 공정이 수행되기 전의 전방 결합요소와 후방 결합요소의 예시적인 형상을 도시한 부분 측면도로서, 다이 휘일의 회전방향으로 연장되는 전방 결합헤드 및 다이 휘일의 회전방향과 반대의 방향으로 연장되는 후방 결합헤드가 제공되어 있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
제 18A 도 및 제 18B 도는 각각 가열 및 프레스 공정이 수행된 후의 전방 결합요소와 후방 결합요소의 형상을 도시한 부분 측면도.
제 19도는 가열 및 프레스 공정이 수행되기 전후의 성형 면파스너에 대해 배출 강도시험 결과를 보여주는 그래프.
제 20 도는 결합요소 성형 공동의 양호한 실시예의 형상을 도시한 사시도.
제 21 도는 본 발명의 성형 면파스너 제조 장치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돌기 성형부를 사용하여 성형 면파스너를 연속적으로 제조하는 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2 는 본 발명의 성형 면파스너 제조 장치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변형된 돌기 성형부를 사용하여 성형 면파스너를 연속적으로 제조하는 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기판 시트 1a : 오목부
2 : 결합요소 3 : 루프
5 : 다이 휘일 6a : 오리피스
21 : 스템 22 : 결합헤드
본 발명의 제 1 양태에 따르면 앞에서 언급된 본 발명의 여러 가지 목적은 본 발명에 따른 성형 면파스너에 의해서 이루지는데, 본 발명에 따른 성형 면파스너는 기판 시트 및 이러한 기판 시트의 한쪽 표면 상으로 돌출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성형 면파스너의 주요 특징을 구성하는 다수의 결합요소를 포함하고 있으며, 각각의 결합요소는 기판 시트의 한쪽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스템 및 이러한 스템의 상단부로부터 돌출하여 상응하는 루프와 탈착가능하게 결합하는 결합헤드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결합헤드는 스템으로부터 연장하여 굴곡되며, 각각의 결합헤드는 결합헤드의 종방향에 대해서 수직하게 결합헤드의 상부의 양쪽 측연부로부터 양방향으로 수평하게 돌출되는 한쌍의 돌기를 포함한다.
이들 돌기가 제공됨으로써, 첫째로 결합헤드의 상면을 기복이 없이 평탄하게 구성할 수 있으며, 둘째로 이들 돌기를 포함한 결합헤드의 상면에 대해서 동일한 양의 수지가 사용되는 경우에 기판 시트의 한쪽 표면으로부터 결합헤드의 하부면 까지의 거리를 변경시킴이 없이 기판 시트의 한쪽 표면으로부터 결합헤드의 최상부 지점 까지의 거리를 상대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이들 돌기의 셋째 기능은, 상응하는 루프가 오직 후크와 같은 곡선형으로 형성된 결합헤드에 걸려지도록 거의 균일한 치수를 갖는 종래 기술의 결합헤드와는 달리, 성형 면파스너의 상응하는 각각의 루프가 스템과 돌기 사이의 네크부 둘레로 감겨져서 결합헤드로부터 용이하게 제거되지 않으므로 결합강도를 크게 개선시킨다는 점이다. 이들 돌기는, 스템의 상단부로부터 모든 방향으로 연장되는 우산 형상의 결합헤드를 갖추고 있는 종래 기술의 버섯 형상의 결합요소와는 달리, 스템의 한쪽 방향으로 연장되는 결합헤드의 일부에만 제공되기 때문에 루프가 약간의 마찰 저항 만으로 돌기의 둘레에서 매끄럽게 이동할 수 있으며, 성형 면파스너 상으로 배출되는 힘이 작용할 때 결합헤드가 탄성적으로 변형하면서 직립되므로 이러한 분리력은 종래 기술의 후크 형상의 결합헤드에 비해서 더 크고 종래 기술의 버섯 형상의 결합헤드에 비해서는 작다. 그 결과, 소형의 결합헤드를 대신하여 결합요소나 루프 어느 쪽에도 손상을 주지 않는 상태로 소정의 결합강도를 보장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돌기를 제공됨으로써 결합헤드의 형상을 변형시킬 수 있다. 즉,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러한 돌기가 증가된 결합강도를 제공하기 때문에 전체 결합요소를 대략 역 L 형으로 굽힐 수 있으며, 결합헤드를 종래 기술의 후크 형상의 결합헤드에서와 같이 기판 시트를 향하여 하향으로 굽혀지지 않게 직선형으로 연장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서, 결합헤드는 통상의 비직조물의 일부로서 제공되는 짧고 소형인 단일 파이버 파일과 같은 소형의 루프도 용이하게 통과할 수 있다.
소형의 단일 파이버 파일의 경우에는, 결합헤드가 수평면에 대해 소정의 각도(θ) 만큼 경사져 있고, 이러한 각도(θ)가 -5°≤ θ ≤ +45°를 만족시키며, 결합헤드의 상부는 수평면에 대해 소정의 각도(θ') 만큼 경사져 있고, 이러한 각도(θ')가 0o≤ θ' ≤ +60o를 만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종래 기술의 J 형 혹은 역 L 형 결합요소는 앞에서 한정된 경사도를 형성한다고 하여도, 상응하는 루프와의 적절한 결합강도를 제공하지 못한다.
결합헤드의 상부는 대체로 평탄한 상면을 갖추고 있고 이러한 상면으로부터 돌기가 수평으로 분기되어, 성형 면파스너의 결합면이 다소 덜 불규칙한 접촉을 나타내도록 개선된다. 또한 결합헤드가 스템 보다 큰 강도를 가지므로, 상응하는 루프와의 적절한 결합속도 및 잘 벗겨지지 않는 적절한 특성이 보장될 수 있다.
스템은 거의 수직으로 직립되도록 구성되어 있지만, 이러한 스템의 원주방향 표면의 적어도 일부는 기판 시트의 전방면에 대해서 경사지게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각각의 결합요소는 스템으로부터 한쪽 방향으로 연장되는 단일의 결합헤드를 갖춘 단일 헤드 구조물로 형성될 수도 있고, 또는 결합헤드의 종방향에 대해서 수직한 방향으로 스템의 상단부로부터 분리된 2개의 결합헤드로 이루어진 2중 헤드 구조물로 형성될 수 있는데, 이들 2개의 결합헤드는 2개의 평행한 수직면을 따라서 서로 반대방향으로 각각 연장되는다. 스템은 결합헤드의 종방향에 대해서 수직한 방향으로 결합헤드의 폭 보다 부분적으로 넓은 폭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스템의 폭이 넓은 부분의 최상부 지점은 결합헤드의 하부면의 굽힘이 시작되는 지점 보다 낮은 높이나 높은 높이로 배열될 수 있다.
또한 스템의 양쪽 측면에는 기판 시트의 한쪽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는 한쌍의 보강 리브가 제공되어 있다. 이들 각각의 보강 리브는 결합헤드의 종방향에 대해서 수직하게 마주하는 서로 인접한 한쌍의 결합요소의 스템을 서로 연결시킨다. 또한, 기판 시트가 그 한쪽 표면 내의 소정의 수 만큼의 위치에 각각 소정의 수 만큼의 오목부를 갖추고 있고, 결합요소가 이러한 오목부의 하부면으로부터 돌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각각의 오목부는 상응하는 루프를 수용하기에 충분히 넓은 폭을 갖는다. 물론, 이들 오목부가 결합요소를 소형화시킬 수 있으나, 이는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성형 면파스너는 통상의 사출성형기에 의해 성형될 수 있으나, 이러한 본 발명의 성형 면파스너가 다음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장치 및 방법에 의해서 연속적으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판 시트 및 이러한 기판 시트의 한쪽 표면 상으로 돌출된 다수의 결합요소를 갖추고 있는 성형 면파스너에서, 각각의 결합요소가 기판 시트의 한쪽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스템 및 이러한 스템의 상단부로부터 돌출하여 상응하는 루프와 탈착가능하게 결합하는 결합헤드로 이루어져 있는 성형 면파스너를 제조하는 장치가 제공되는데,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한쪽 방향으로 구동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그 원주방향 표면으로 다수의 L 형 결합요소 형성용 공동을 갖추고 있는 다이 휘일과, 다이 휘일(5)이 회전하는 중에 다이 휘일의 원주방향 표면과의 사이로 형성되는 소정의 틈새 안으로 용융수지를 공급하기 위한 용융수지 공급수단과, 다이 휘일(5)의 원주방향 표면에 부착된 반제품 면파스너를 냉각시키고 다이 휘일의 회전에 응답하여 반제품 면파스너를 원호 형태로 이동시키기 위한 냉각수단과, 다이 휘일의 회전에 응답하여 이동하면서 고형화되는 반제품 면파스너를 다이 휘일의 원주방향 표면으로부터 연속적으로 뽑아 내기 위한 배출수단과, 반제품 면파스너의 결합헤드의 상부를 상부로부터 가열압착하도록 결합헤드의 상부의 이동경로와 마주하게 배출수단의 하류에 배열되어 결합헤드의 상부의 이동경로에 대해 횡방향으로 결합헤드의 상부로부터 돌출되는 한쌍의 돌기를 형성하는 가열압착수단을 포함하고 있다.
각각의 결합요소 형성용 공동은, 다이 휘일의 원주방향 표면에서 개방되어 다이 휘일의 축선을 따라서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스템 형성용 공동, 및 이러한 스템 형성용 공동의 상단부로부터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는 결합헤드 형성용 공동을 포함한다. 냉각수단은, 다이 휘일의 내부에 배열된 냉각수 쟈켓, 및 다이 휘일의 외부면에 배열되어 다이 휘일의 원주방향 표면의 일부와 반제품 면파스너를 냉각시키는 냉각수 수조를 포함하고 있으며, 반제품 면파스너가 다이 휘일의 원주방향 표면으로 제공되어서 다이 휘일의 회전에 따라 다이 휘일의 외부면으로부터 이동한다. 또한, 가열압착수단은 반제품 면파스너의 이동경로에 대해서 수직하게 연장되는 수평방향 축선 또는 판을 갖추고 있는 롤러로 구성될 수 있으며, 온도조절수단 및 압력제어수단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 의해 앞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구조의 성형 면파스너를 연속적으로 제조하기 위해서, 연속사출노즐로부터 소정의 수지 압력 하에 용융수지가 회전하는 다이 휘일의 원주방향 표면을 향하여 연속적으로 분사되는데, 이에 따라 용융수지의 일부가 다이 휘일의 결합요소 형성용 공동 안으로 분사되어서 다이 휘일의 원주방향 표면을 따라 기판 시트 안으로 유입되어, 기판 시트와 일체로 다수의 결합요소를 형성한다. 그 결과, 반제품 면파스너가 연속적으로 성형된다.
반제품 면파스너는 다이 휘일의 원주방향 표면을 따라 대략 1/2 정도를 이동하면서 다이 휘일에 장착된 냉각수 쟈켓에 의해 냉각되는 동시에 저온의 냉각수가 순환하고 있는 냉각수 수조를 통과하면서 급격하게 냉각되어 고형화된다. 이와 같이 성형 면파스너가 결정화되기 전에 반제품 면파스너가 급냉에 의해 고형화되기 때문에, 전체 기판 시트와 모든 결합요소에 적절한 연성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성형 면파스너는 적절한 연성을 필요로 하는 속옷나 종이 기저귀에 사용하기 매우 적절하다.
고형화된 기판 시트가 한쌍의 배출용 롤러에 의해 다이 휘일의 원주방향 표면으로부터 분리될 때, 냉각되고 고형화된 각각의 결합요소가 결합요소 형성용 공동으로부터 연속적으로 매끄럽게 빠져나오는데, 이는 이들 결합요소가 직선형으로 탄성적으로 변형되기 때문이다. 동시에, 결합헤드가 결합헤드 형성용 공동에 비해 약간 돌출된 후크 형상임을 감안하면, 각각의 결합요소는 바람직하게 그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된다.
특히, 결합헤드가 다이 휘일의 회전방향에 대해 정방향 및 역방향으로 연장되는다면, 정방향으로 연장되는 결합헤드는 인발되는 방향의 차이로 인하여 역방향으로 연장되는 결합헤드 보다 높은 위치로 세워진다. 결합요소의 상부가 다음 단계의 가열압착과정이 수행되기 전에는 결합요소를 다이 휘일로부터 빼낼 때(즉, 인발과정에서) 결합요소의 형상이 유지되어야 한다는 점을 감안하면, 정방향 및 역방향 결합헤드의 스템에 대한 각각의 굽힘 각도의 차이는 벗겨지는 강도의 차이에 직접적으로 반영된다. 그러나, 가열압착과정이 수행된 후에는 이들 굽힘 각도의 차이가 작고 정방향 결합헤드의 벗겨지는 강도가 역방향 결합헤드에 비해 크게 증가된다.
다시 말해서, 역 L 형 결합요소에서 돌기가 형성된 후에 정방향 결합헤드의 벗겨지는 강도가 상당히 증가되는 것에 비해 역방향 결합헤드의 굽힘 강도는 다소 덜 변형된다. 이러한 물리적 특성의 변화를 고려하면, 다이 휘일의 원주방향 표면의 역바향 결합헤드 형성용 공동의 굽힘 각도를 미리 정방향 결합헤드 형성용 공동의 압력 각도 보다 크게 설정할 경우에, 정방향 결합헤드를 갖는 결합요소나 역방향 결합헤드를 갖는 결합요소 모두에 대해서 거의 동일한 크기의 벗겨지는 강도를 보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정방향 결합헤드 형성용 공동과 역방향 결합헤드 형성용 공동 사이의 굽힘 각도의 차이가 미리 정해지는 경우에, 정방향 결합헤드 형성용 공동의 굽힘 각도가 역방향 결합헤드 형성용 공동의 굽힘 각도 보다 작게 설정되어서, 다이 휘일로부터 빠져나오는(인발되는) 정방향 및 역방향 결합헤드가 기판 시트에 대해서 거의 동일한 경사 각도로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정방향 결합헤드 형성용 공동의 굽힘 각도는 -5°내지 80°인 반면에 역방향 결합헤드 형성용 공동의 굽힘 각도는 10°내지 90°이다.
또한, 가열압착 과정이 수행된 후에 발생되는 정방향 결합헤드와 역방향 결합헤드 사이의 형상의 차이를 없애기 위해서,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굽힘 각도를 미리 설정하는 것 외에도, 다이 휘일의 원주방향 표면의 개방부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연장하는 스템 형성용 공동에 대하여 결합헤드 형성용 공동의 굽힘이 시작되는 지점 까지의 정방향 결합헤드 형성용 공동과 역방향 결합헤드 형성용 공동 사이의 각각의 길이의 차이를 미리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다이 휘일의 원주방향 표면에서의 스템 형성용 공동의 개방부와 스템 형성용 공동으로부터 다이 휘일의 회전방향으로 연장되는 정방향 결합헤드 형성용 공동의 굽힘이 시작되는 지점 사이의 거리와, 그리고 다이 휘일의 원주방향 표면에서의 스템 형성용 공동의 개방부와 스템 형성용 공동으로부터 다이 휘일의 회전방향에 대해서 반대방향으로 연장되는 역방향 결합헤드 형성용 공동의 굽힘이 시작되는 지점 사이의 거리의 비는 바람직하게 1:1.01 내지 1:1.50, 보다 바람직하게 1: 1.15 이다.
반제품 면파스너의 양쪽 측연부가 다듬질 기구에 의해 절단된 후에, 반제품 면파스너를 이동시켜서 가열압착수단으로 작용하는 상하부 롤러 사이로 통과시킨다. 이 때 결합헤드의 상부가 상부 가열롤러에 의해 가열되면서 변형되는데, 즉 상부 가열롤러는 결합헤드를 그 상부로부터 기단부 까지 하류 쪽을 향하여 약간 굽혀줌으로써 거의 평탄한 상면 및 이러한 평탄한 상면의 양쪽 측면으로부터 양방향으로 돌출된 한쌍의 횡방향 돌기를 형성시킨다. 그 결과,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기판 시트 상으로 다수의 결합요소가 돌출해 있는 성형 면파스너가 제공된다.
가열압착수단을 통과한 성형 면파스너는 별도의 냉각수단에 의해서 냉각되지 않고 정상적으로 상온에서 서서히 냉각되며, 이와 같이 서냉된 성형 면파스너가 롤 상으로 감겨짐으로써 제조 과정이 완료된다. 결합헤드의 가열변형된 상부가 서서히 냉각되면서 고형화될 때, 가열된 부분의 결정화가 진행되어서 결합헤드의 강도가 스템에 비해 훨씬 커진다. 특히, 기판 시트 및 결합요소 급격하게 냉각되어 결정화가 지체됨으로써 우수한 연성을 갖는 것과 비교하여 결합헤드는 큰 강도를 갖기 때문에, 결합요소가 소형화되어 상당한 연성을 갖는 경우에도 결합헤드의 적절한 강도를 보장할 수 있으며, 따라서 단일 헤드 구조의 결합요소에서도 배출되는 방향으로 소정의 강도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양호한 여러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제 1 구조의 결합요소를 갖춘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성형 면파스너의 부분 측면도이고, 도 2 는 이러한 성형 면파스너의 평면도이며, 그리고 도 3 은 이러한 성형 면파스너의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 을 참조하면, 성형 면파스너는 기판 시트(1) 및 이러한 기판 시트(1)의 전방면 상에 돌출된 다수의 역 L 형 결합요소(2)를 포함하고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동일한 열에 있는 결합요소(2)의 각각의 결합헤드(22)는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반면에, 서로 인접한쌍의 열에 있는 결합요소(2)의 각각의 결합헤드(22)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연장된다. 각각의 열에 있는 결합요소(2)는 구조적으로 서로 동일하고, 기판 시트(1)가 각각의 열에 있는 결합요소(2)에서 동일한 구조를 이루고 있으며, 따라서 하기에 서술되는 표면 파스너(SF)라는 용어는 부분적인 구조물로 한정된 것임을 인식하여야 한다.
기판 시트(1)는 그 전방면으로 설정된 갯수의 연속적인 직선형 오목부(1a)를 포함하며, 이러한 오목부(1a)의 하부면으로부터 다수의 결합요소(2)가 소정의 간격으로 돌출되며, 결합요소(2)의 각각의 결합헤드(22)는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하여 있다. 각각의 결합요소(2)는 각각의 오목부(1a)의 하부면으로부터 돌출된 스템(21) 및 이러한 스템의 상단부로부터 결합요소의 열의 방향으로 돌출된 굽혀진 형태의 결합헤드(22)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따르면, 서로 인접한 한쌍의 열의 결합요소(2)에 배열되어 있는 각각의 결합헤드(22)가 양방향으로 연장하여 있다. 오목부(1a)는 앞에서 설명된 형상으로만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이와는 다르게 각각의 열의 결합요소(2)를 따라 오목부(1a)가 서로에 대해서 완전히 독립적으로 배열될 수도 있다. 또 다른 형태의 실시예에서는, 서로 인접한 열의 한쌍의 결합요소를 따라 각각의 오목부(1a)가 기판 시트(1)의 전방면 상으로 서로 엇갈리는 형태로 배열될 수도 있는데, 이러한 경우에 하나의 열에서 한쌍의 전방 및 후방 결합요소(2) 사이의 중간 부분의 한쪽 측면 상에서 기판 시트(1)의 전방면으로부터 돌출해 있는(이후에 보다 상세히 설명될) 보강 리브(23)가 생략된다면, 기판의 연성을 개선시키는 대신에 소정의 파열 강도를 보장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기본적인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표면 파스너(SF)에 있어서, 결합헤드(22)의 말단부의 하부면과 스템(21)의 기단부(오목부(1a)의 하부면) 사이의 거리(H)가 종래 기술의 것과 동일하다고 하여도, 결합헤드(22)의 말단부의 하부면과 기판 시트(1)의 전방면의 오목부가 없는 지역 사이의 거리(H')는 거리(H)와의 차이와 동일한데, 이러한 차이는 결합요소(2)의 실제 높이 및 오목부(1a)의 깊이와 관련이 있다. 이는, 기판 시트(1) 상으로 돌출된 결합요소(2)의 실제 높이(H)가 종래 기술에서와 동일하다고 하여도, 기판 시트(1)의 전방면 위로 나타나는 결합요소(2)의 높이(H')는 오목부(1a)의 깊이에 의해서 실제 높이(H) 보다 작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오목부(1a)를 기판 시트(1)의 전방면으로 제공함으로써, 기판 시트(1)의 눈에 나타나는 두께는 종래 기술에서와 마찬가지로 동일하지만 기판 시트(1)의 연성을 확실하게 개선될 수 있다. 또한, 표면 파스너(SF)가 성형 과정이 완료되어 다이로부터 배출되어 나올 때 기판 시트(1)가 지나치게 팽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기판 시트(1)의 주름잡힘이 없고 실제 사용함에 있어서 적절한 내구성을 갖춘 고품질의 제품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앞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구조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표면 파스너(SF)의 결합요소(2)가 상응하는 루프(3)와 결합할 때, 루프(3)의 말단부가 오목부(1a)에 의해 안내되면서 결합헤드(22)의 아래로 들어간 후에 결합요소(2)의 스템(21)의 기단부에 도달하므로, 결합헤드(22)가 루프(3)를 통해서 매끄럽게 삽입된다.
도 1에 도시된 제 1 실시예의 치수에 대해서는, 기판 시트(1)의 각각의 오목부(1a)의 깊이는 약 0.05 mm 이고 그 폭은 스템(21)의 폭과 동일하다. 따라서, 결합요소(2)의 기단부는 각각의 오목부(1a)의 하부면 상으로 배열되며, 스템(21)의 0.05 mm 지점으로부터 결합헤드(22)의 상부(22a) 까지 이르는 결합요소(2)의 상부는 기판 시트(1)의 전방면 위로 돌출된다.
제 1 실시예에서, 오목부(1a) 위로의 결합요소(2)의 실제 높이(H)는 약 0.35 mm 이며, 기판 시트(1)의 전방면 위로의 결합요소(2)의 나타나는 높이(H')는 1 내지 0.3 mm 이다. 결합요소(2)의 열에 대해서 수직한 방향으로 스템(21)의 폭은 이러한 방향으로 결합헤드(22)의 폭과 동일하게 0.15 mm 이다. 또한, 기판 시트(1)의 두께는 0.30 mm 이고, 기판 시트(1)의 전방면 상에서 각각의 결합요소(2)는 그 각각의 열을 따라서 0.8 mm의 간격으로 배열되어 있고 서로 인접한쌍의 결합요소(2)로부터 0.45 mm의 거리 만큼 떨어져 있다. 가장 양호한 예로서 제시된 이들 수치는 결코 도시된 실시예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며 상응하는 루프와 관련하여 여러 가지 크기로 얼마든지 변경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결합요소(2)의 특징으로서, 결합헤드(22)의 전체 상부(22a)는 도 2의 상부에 양호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헤드(22)의 양쪽 측면으로부터 양방향으로 수평하게 돌출된 한쌍의 돌기(22a')를 갖추고 있는 타원형의 평탄한 표면으로 한정된다. 타원의 장경은 결합헤드(22)의 종방향으로 연장하는 반면에 타원의 단경은 결합헤드(22)의 횡방향으로 연장되는다. 제 1 실시예에서, 각각의 돌기(22a')의 길이는 약 0.10 mm 이고, 결합요소(2)의 열의 횡방향으로 결합헤드(22)의 상부(22a)의 전체 폭은 0.25 mm 로서, 이는 결합헤드(22) 또는 스템(21)의 나머지 부분의 폭 보다 0.05 mm 정도 더 넓다. 돌기(22a')가 제공됨으로써 다음과 같은 여러 가지 기능들이 나타나는데, 이는 종래의 기술로부터 결코 용이하게 예측할 수 없는 것들이다.
첫 번째 기능으로는, 결합헤드(22)의 상부(22a)에 거의 평탄한 표면을 한정할 수 있어서 표면 파스너가 덜 주름지게 혹은 보다 매끄럽게 제공된다는 점이다. 두 번째 기능으로는, 이들 돌기(22a')를 포함한 결합헤드(22)의 상부(22a)에 대한 수지의 양을 감안할 때, 기판 시트(1)의 전방면으로부터 그 상부 지점까지 결합헤드(22)의 눈에 나타나는 높이를 결합헤드(22)의 실제 높이를 변화시킴이 없이 기판 시트(1)의 전방면 위로 비교적 짧게 구성할 수 있다는 점이다. 따라서, 결합요소(2)를 소형으로 제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 4A 내지 도 4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 내지 도 3 에 도시된 오목부(1a)를 형성하지 않고서도 기판 시트(1)의 전방면을 평탄하게 구성할 수 있다.
세 번째 기능으로서, 이들 돌기(22a')는 거의 균일한 치수를 갖는 종래 기술의 결합헤드와 루프를 단지 결합시키는 기능 뿐만 아니라, 상응하는 표면 파스너의 각각의 루프(3)가 이들 돌기(22a')의 후단부(22a'-1)에 의해 걸려질 수 있도록 작용하여, 각각의 루프(3)가 결합헤드(22)로부터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으므로 결합 강도가 크게 향상된다는 점이다. 이들 돌기(22a')는, 스템(21)의 상단부로부터 모든 방향으로 연장하는 우산 형상의 결합헤드를 갖춘 종래 기술의 버섯 형상의 결합요소와는 달리, 스템(21)의 한쪽 방향으로 연장하는 결합헤드(22)의 일부 상으로만 제공되어 있기 때문에,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거의 직선형으로 연장되는 결합헤드(22)의 반대쪽 돌기(22')의 후단부(22a'-1)에 의해 루프(3)가 걸려진다고 하여도 이러한 루프(3)가 돌기(22a')의 둘레로 매끄럽게 이동할 수 있으며, 기판 시트(1) 상에 벗겨지는 힘이 작용할 때 결합헤드(22)가 탄성적으로 변형하기 때문에 매끄러운 분리가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분리를 가능하게 하는 분리력은 종래 기술의 후크 형상의 결합헤드에서 보다는 크고 종래 기술의 버섯 형상의 결합헤드에서 보다는 작다. 그 결과, 결합헤드(22)의 작은 치수에도 불구하고 소정의 결합 강도를 보장할 수 있고, 이것은 그 작은 치수에도 불구하고 결합요소(2)나 루프(3)에 어떠한 손상을 주지 않고도 가능하다.
또한, 이들 돌기(22a')가 제공됨으로써 결합헤드(22)의 형상을 변형시킬 수 있다. 즉, 돌기(22a')가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루프(3)와의 소정의 결합 강도를 제공하기 때문에, 종래 기술의 후크 형상의 결합헤드와는 달리 결합헤드(22)를 기판 시트(1)를 향하여 하향으로 굴곡시키지 않고 거의 직선형으로 연장시킴으로써 전체 결합요소(2)를 거의 역 L 형으로 굴곡시킬 수 있다. 이는, 결합헤드(22)가 상응하는 루프(3) 안으로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게 하는데, 이러한 작용은 통상의 비직조물의 부분으로서 제공되는 짧고 소형인 단일 파이버 파일처럼 그 치수가 작은 루프의 경우에도 가능하다.
물론 본 발명은 다른 형상의 결합헤드도 포함하는 것으로서, 말단부가 기판 시트의 전방면을 향해 약간 곡선형을 이루고 있는 통상의 종래 기술의 형상과 거의 유사한 전체 형상을 갖는 결합헤드(22)도 가능하다. 그러나 소형의 단일 파이버 파일에 대하여, 결합헤드(22)의 수직방향 두께가 균일한 경우에는 결합헤드(22)의 상부의 형상이 직선형으로 연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결합헤드(22)가 기판 시트(1)의 전방면과 평행한 평면, 즉 수평면에 대하여 -5°내지 +45°정도의 각도(θ), 바람직하게 +10°내지 +30°정도의 각도(θ) 만큼 경사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결합헤드(22)의 하부면은 결합헤드(22)를 소형의 단일 파이버 파일 안으로 용이하게 삽입시키기 위해서 기판 시트(1)의 전방면에 대해 0°내지 +60°정도의 각도(θ') 만큼 경사져 있다. 이러한 구조에 있어서도, 상응하는 루프(3)에 대한 적절한 결합 강도를 제공할 수는 없다. 종래 기술의 J 형 또는 역 L 형 결합헤드에 있어서는, 단일 헤드 구조물의 경우에 이와 같은 적절한 결합 강도를 예측할 수는 없었으며, 이는 예를 들어서 일본 특허 공개공보 평 2-5847호(미국 특허 제 4,884,060호)로부터 명백하다.
또한 바람직하게, 스템(21)은 그 양쪽 측면 상에서 기판 시트(1)의 전방면으로부터 돌출하여 결합요소의 열에 대해 수직한 라인을 형성하고 있는 한쌍의 보강 리브(23)를 포함한다. 각각의 보강 리브(23)는 서로 인접한 한쌍의 결합요소(2)의 각각의 스템(21)의 측면을 서로 연결시킨다. 물론, 각각의 보강 리브(23)가 서로 독립적으로 각각의 결합요소(2)의 스템(21)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될 수도 있다. 또한, 보강 리브(23)의 형상, 즉 기판 시트(1)의 전방면 위로의 보강 리브(23)의 높이 및 결합요소의 열의 방향으로의 보강 리브(23)의 폭은 필요에 따라서 정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템(21)의 전방면과 후방면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가 수직면에 대해서 경사져 있다면, 보강 리브(23)가 스템(21)의 중심선에 평행하게 그러한 경사면을 지나 돌출되어 결합헤드(22)의 최상부 지점의 높이와 거의 동일하게 또는 결합요소(2)의 축선을 따라 결합헤드(22)의 최상부 지점 보다 짧게 종결될 수 있다. 이러한 보강 리브(23)는 특히 소형 치수의 스템(21)의 강도를 보강하는 작용을 한다. 또한, 각각의 결합헤드의 열에 있는 서로 인접한쌍의 결합헤드(2)가 제 1 실시예에서와 같이 보강 리브(23)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에는, 기판 시트(1)가 결합요소(2)의 종방향 또는 횡방향으로 파열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한다.
도 5 내지 도 7 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다른 결합요소(2)를 도시하고 있다. 제 2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실시예에서 서로 인접한쌍의 결합요소의 열에 있는 서로 마주하는 한쌍의 결합요소(2)가 그 각각의 마주하는 측면에서 복합 헤드 구조물 혹은 2중 헤드 구조물로서 함께 결합되어 있다. 이러한 복합 결합요소(2)는 단일의 스템(21)상에 2개의 결합헤드(22)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2중 헤드 구조물에 있어서,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형상으로 각각 형성되어서 직선형으로 연장되는 2개의 결합헤드(22)가 단일의 스템(21)의 상단부로부터 결합헤드의 열을 따라서 양방향으로 분리되어 있는데, 이는 스템(21)의 상단부를 결합헤드의 열의 횡방향으로 분할시켜서 구성된 것이다.
따라서 제 2 실시예의 경우에는,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양의 수지가 결합요소(2)에 사용된다면, 각각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공통의 폭을 갖는 2개의 결합헤드(22)가 단일의 스템(21)의 상단부로부터 양방향으로 돌출하여 2개의 평행한 수직면으로 연장되는다. 그러므로, 이와 같은 2중 헤드 구조물에 있어서는 결합요소(2)의 밀도를 증가시키지 않고서도 제 1 실시예에 비해 결합헤드(22)의 밀도를 증가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서 상응하는 루프(3)와의 결합 속도도 당연히 증가된다.
또한, 제 2 실시예의 경우에는 각각의 복합식 결합요소(2)가 이러한 결합요소(22)에 이어져 있는 스템(21)의 기부로부터 돌출되는 넓은 폭의 부분(21a)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러한 부분(21a)은 결합헤드(22)에 비해 2배의 두께를 갖는다. 이는, 분할된 2개의 결합헤드(22)에 대한 수지의 양이 제 1 실시예의 단일 결합헤드(22)에 대한 수지의 양과 동일한 경우에, 즉 분할된 결합헤드(22)가 도 1 내지 도 3 에 도시된 것과 동일한 치수의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면, 제 1 실시예의 단일 결합헤드(22)와 비교하여 스템(21)의 부분에 대해 사용되는 수지의 양이 2배 이며, 따라서 스템(21)의 폭이 넓은 부분(21a)의 강도가 증가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제 2 실시예의 2중 헤드 결합요소(2)가 스템(21)의 양쪽 측면 상에 일체식으로 형성된 한쌍의 보강 리브(23)를 포함한다면, 결합요소(2)의 편형한 부분을 떨어뜨리는 속도가 상당히 감소될 수 있어서 상응하는 루프(3)와의 결합 및 분리가 신뢰성있게 수행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 에 도시된 결합요소(2)의 제 2 실시예에서, 결합요소(2)의 측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결합헤드(22)의 발산(분리되는) 지점이 결합헤드(22)의 하부면 보다 높은 높이로 배열되어 있다. 이러한 발산 지점의 높이는 필요에 따라 설정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결합헤드(22)가 이러한 결합헤드(22)의 하부면 보다 낮은 위치에서 스템(21)의 1/2 지점에서 분리될 수도 있다.
도 9 및 도 10은 제 2 실시예에 따른 2중 헤드 구조의 결합요소(2)를 변형시킨 것을 도시하고 있다. 이러한 변형예는 대략 사다리꼴 형상의 두께가 두꺼운 부분(21a)에 있어서 제 2 실시예와 차이가 있는데, 이러한 부분(21a)은 전체 폭에 걸쳐서 형성된 것으로서 기판 시트(1)의 전방면으로부터 2개의 결합헤드(22)의 발산 지점 까지 돌출하여 있다. 이와 같이 사다리꼴 형상의 두께가 두꺼운 부분(21a)을 제공함으로써, 스템(21)의 상부에 연성을 제공하지 않고서도 스템(21)의 기부 혹은 하부에서의 소정의 강도를 보장할 수 있어서, 스템(21)의 기부가 용이하게 굽혀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상응하는 루프(3)와의 적절한 결합 속도가 보장된다.
도 9 및 도 10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단일의 스템(21)이 그 자체적으로 적절한 강도를 갖지 못하는 한, 이러한 단일의 스템(21)의 폭과 각각 동일한 폭을 갖는 한쌍의 결합헤드(22)가 공통의 수직면에서 양방향으로 각각 연장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성형 면파스너(SF)는 통상의 사출성형기를 사용하여 임의의 가마의 방향(batchwise)으로 제조되거나 또는 예를 들어 미국 특허 제 4,984,339호 및 제 5,441,687호에 기재된 장치를 사용하여 연속적으로 제조될 수 있다.
도 11은 표면 파스너(SF)에 대한 사출성형 다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2는 각각의 결합요소에 대한 성형 공동의 내부 형상을 예시적으로 확대하여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다. 이러한 사출성형기의 나머지 부분들은 동일한 유형의 종래 기술의 사출성형기의 부분들과 동일하며, 따라서 이러한 사출성형기에 대한 설명은 성형 다이와 결합요소 형성용 공동에 대해서만 한정하기로 한다.
도 11 을 참조하면, 사출성형용 성형 주형(4)은 가동 다이(41) 및 고정 다이(42)로 이루어져 있다. 성형 주형(4)이 폐쇄되면, 가동 다이(41)의 가장자리 분할면이 고정 다이(42)의 가장자리 분할면과 접촉하는 동시에 가동 다이(41)의 결합요소 형성용 패턴(43)이 고정 다이(42) 안으로 위치하면서 고정 다이(42)의 평탄한 공동면과 가동 다이(41)의 결합요소 형성용 패턴(43)의 사이로 기판 시트 형성용 틈새을 한정한다. 결합요소 형성용 패턴(43)은 서로 다른 다수의 판(43a 내지 43c)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들 판(43a 내지 43c)은 서로 밀접하게 접촉하여 다수의 결합요소 형성용 공동(44)을 한정한다. 이와 같이 다수의 판(43a 내지 43c)이 서로 밀접하게 접촉한 상태에서, 가동 다이(41)가 고정 다이(42)로부터 멀어지거나 또는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각각 이동함으로써 성형 주형(4)을 개폐시키는데, 성형 주형(4)이 개방되면 각각의 판(43a 내지 43c)이 서로 분리된다.
이들 판(43a 내지 43c) 중에서, 중앙의 판(43b)은 결합요소(2)의 스템(21) 및 결합헤드(22)를 각각 형성하기 위한 다수의 결합요소 형성용 공동(44b)을 갖추고 있는 반면에, 나머지 서로 인접한 2개의 판(43a 내지 43c)은 결합헤드(22)의 상부(22a)의 일부를 이루는 2개의 돌기(22a') 중 하나를 형성하기 위한 돌기 형성용 공동(44a) 및 2개의 보강 리브(23) 중 하나를 형성하기 위한 보강 리브 형성용 공동(44c)를 각각 포함한다.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돌기 형성용 공동(44a)은 오목부를 갖추고 있는데, 이러한 오목부의 형상은 장경을 따라서 2개로 분할된 타원의 절반부의 형상이다. 이들 3개의 판(43a 내지 43c)이 서로 밀접하게 접촉하면, 다수의 결합요소 형성용 공동(44)이 가동 다이(41)의 결합요소 형성용 공동(43) 내로 한정되며, 이에 따라 용융수지(60)가 사출용 노즐(45)로부터 공동(44) 안으로 분사된다. 따라서,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 시트(1) 상의 다수의 결합요소(2)를 갖추고 있는 성형 면파스너(SF)가 성형된다.
도 13은 본 발명의 표면 파스너(SF)를 연속적으로 성형하기 위한 장치의 일반적인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4는 이러한 장치의 성형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횡단면도이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사출용 노즐(6)은 그 단부 상에 오리피스(6a)로부터 용융수지를 연속적으로 분사시키도록(이후에 보다 상세히 설명될) 다이 휘일(5)의 원주방향 표면과 보족적인 아아치형 표면을 포함한다. 사출용 노즐(6)은 다이 휘일(5)의 원주방향 표면과 관련하여 상응하게 배열된 T자 형상의 다이로 구성되어 있고 기판 시트(1)의 두께에 상응하는 틈새를 갖추고 있으며, 소정의 수지 압력하에 오리피스(6a)로부터 일정한 양의 용융수지가 시트의 형태로 연속적으로 분사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사출용 노즐(6)은 단일의 중앙 배출구(6b)를 포함한다. 용융수지(60)는 폴리프로필렌, 저밀도의 폴리에틸엔(LDDE), 폴리에스터, 또는 나일론 등의 합성수지로 구성된다.
다이 휘일(5)의 원주방향 표면은 표면 파스너(SF)를 성형시키기 위한 성형 표면으로서 작용한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사출용 노즐(6)의 아아치형 상면과 다이 휘일(5)의 사이로 틈새가 제공되어 있으며, 다이 휘일(5)의 축선은 오리피스(6a)와 평행하게 배열된다. 다이 휘일(5)은 내부의 냉각수 쟈켓(7a)을 갖추고 있는 중공형 드럼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러한 드럼은 도면에는 지정되어 있지 않지만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선방향을 따라 박판의 형태로 서로 고정되게 설치된 링 형상의 다수의 판으로 이루어져 있다.
도 1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다이 휘일(5)은 그 원주방향 표면을 따라 열을 이루며 연장되는 다수의 결합요소 형성용 공동(51)을 갖추고 있고, 이들 공동(51)은 다이 휘일(5)의 회전 축선에 평행한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서로 떨어져 있다. 결합요소 형성용 공동(51)의 서로 쌍을 이룬 인접한 열의 사이에는, 다이 휘일(5)의 원주방향 표면의 둘레로 형성되어 소정의 깊이(Dh)를 갖는 링 형상의 오목부(51d) 및 이러한 오목부(51d) 보다 깊은 깊이를 갖는 대략 삼각형 형상의 다수의 보강 리브 형성용 공동(51c)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들 결합요소 형성용 공동(51c)은 다이 휘일(5)의 회전 축선에 평행한 방향으로 서로 정렬된 상태로 배열되어 있다. 링 형상의 오목부(51d)는 기판 시트(1)의 전방면의 일부를 형성하기 위한 공동을 한정한다. 각각의 결합요소 형성용 공동(51)은 다이 휘일(5)의 원주방향 표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스템 형성용 공동(51a) 및 이러한 스템 형성용 공동(51a)에 대해서 85°정도의 각도로 경사진 상태로 스템 형성용 공동(51a)의 단부로부터 직선형으로 연장되는 결합헤드 형성용 공동(51b)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다이 휘일(5)은 도 14에 도시된 화살표의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공지의 구동기구(도시 안됨)에 의해서 구동된다. 스템 형성용 공동(51a)에 대한 결합헤드 형성용 공동(51b)의 굽힘 각도는 결합헤드(22)의 상부(22a)가 이후 보다 상세히 설명될 가열압착수단(8)에 의해 상면으로부터 가열압착될 때의 결합헤드(22)의 변형을 고려하여 결정된다.
또한 도 1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다이 휘일(5)의 하부가 다이 휘일(5)의 아래로 배열되어 있는 냉각수 수조(7b) 안으로 들어가 있다. 이러한 냉각수 수조(7b)의 하류에는 대각선 방향의 위쪽으로 한쌍의 배출용 롤러(10, 11)가 배열되어 있다. 또한 배출용 롤러(10, 11)의 하류에는, 최종적인 제품으로 성형되는 표면 파스너(SF)의 모재에 해당하는 반제품 면파스너(SF')의 가장자리를 절단하기 위한 절단기구(12)가 배열되어 있다. 또한 이러한 절단기구(12)의 하류에는, 결합헤드(22)의 돌기(22a')를 형성하기 위한 가열압착수단을 구성하는 한쌍의 수직방향 가열압착용 롤러(8a, 8b)가 배열되어 있는데, 이러한 가열압착수단은 본 발명의 가장 특징적인 구성 부품이다. 절단기구(12)와 가열압착용 롤러(8a, 8b)의 사이에는 반제품 면파스너(SF')의 인장력을 조절하기 위한 인장력 제어기구(13)가 배열되어 있다.
상부 롤러(8a)의 내부에는 가열원(도시 안됨)이 배열되어 있어서, 상부 롤러(8a)의 표면 온도가 수지의 연화 온도로 설정된다. 또한, 상부 롤러(8a)의 원주방향 표면의 하단부는 도 16에서 확대하여 도시된 바와 같이 반제품 면파스너(SF')의 결합헤드(22')를 통과하는 수평면의 약간 아래의 높이로 배열되어 있다. 상부 롤러(8a)의 설정 위치는 본 발명에 따른 결합요소(2)의 결합헤드(22)의 상부(22a)로부터 돌출된 돌기(22a')의 크기에 따라서 결정된다. 반면에, 하부 롤러(8b)이 상면은 반제품 면파스너(SF')의 기판 시트(1)의 후방면이 연장하고 있는 수평면으로 배열되어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롤러(8a)의 수직방향 위치가 공지의 롤러 높이 조절부(9a)에 의해서 조절될 수 있으며, 상부 롤러(8a)의 가열 온도는 수지의 종류에 따라 공지의 온도제어기구(9b)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상하부 롤러(8a, 8b)가 서로 동기화되어 회전하도록 구동될 수도 있으나, 적어도 상부 롤러(8a)는 회전구동용 전동기(도시 안됨)와 같은 구동원에 작동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하부 롤러(8b)는 다소 마찰이 적은 평탄한 상면을 갖는 테이블로 대체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방향에 대한 여러 번의 실험으로부터, 냉각되어 고형화된 각각의 결합요소(2)가 대략 역 L 형 결합요소 형성용 공동(51)으로부터 연속적으로 배출될 때, 각각의 스템 형성용 공동(51a)이 상응하는 결합헤드 형성용 공동(51b)으로부터 다이 휘일(5)의 회전방향 또는 그 반대방향으로 연장하는데, 이러한 결합요소(2)가 각각 다이 휘일(5)의 회전방향을 갖는 결합요소 형성용 공동(51)으로부터 배출되는 경우와 다이 휘일(5)의 회전방향에 반대방향을 갖는 결합요소 형성용 공동(51)으로부터 배출되는 경우에 대해서 각각의 결합요소(2)의 변형의 정도가 상당하게 차이가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다이 휘일(5)의 회전방향이 각각 화살표로 지정되어 있는 도 17A 및 도 17B에는 이러한 변형의 차이가 도시되어 있다. 도 17A 및 도1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이 휘일(5)의 회전방향으로 진행하는(이후, 이를 '전방 결합헤드' 라고 함) 결합헤드(22')는 다이 휘일(5)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진행하는(이후, 이를 '후방 결합헤드' 라고 함) 결합헤드(22') 보다 높은 위치에 세워진 것으로 고려하는데, 전방 결합헤드(22')는 결합요소 형성용 공동(51)으로부터 배출된 후에 그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되지 않으며, 따라서 스템(21')에 대한 전방 결합헤드(22')의 굽힘의 크기가 작으므로 그 굽힘 각도는 당연히 크다. 그러므로, 전방 결합헤드(22')와 후방 결합헤드(22')의 굽힘 각도를 서로 일치시키기 위해서는, 다이 휘일(5)의 원주방향 표면에서 전방 결합헤드(22')의 굽힘 각도를 후방 결합헤드(22')의 굽힘 각도와 다르게 미리 설정해야 할 필요가 있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갖는 표면 파스너를 형성하기 위한 장치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표면 파스너(SF)를 형성하기 위해서, 사출용 노즐(6)로부터 회전하는 다이 휘일(5)과 오리피스(6a)의 사이로 형성된 틈새 안으로 용융수지(60)가 소정의 수지 압력하에 연속적으로 분사되는데, 이러한 용융수지(60)의 일부가 이러한 틈새를 채우면서 기판 시트(1')를 형성하는 동시에 용융수지(60)의 나머지 일부는 다이 휘일(5)의 원주방향 표면에 각각 형성된 다수의 결합요소 형성용 공동(51) 안으로 연속적으로 채워지면서 다이 휘일(5)의 회전에 따라 기판 시트(1')의 전방면 상으로 다수의 결합요소용 모재(2')를 형성한다. 이에 따라, 반제품 면파스너(SF')가 연속적으로 성형된다.
본 발명에 따른 표면 파스너(SF)의 모재에 해당하는 반제품 면파스너(SF')는 다이 휘일(5)의 원주방향 표면을 따라 거의 1/2 정도를 이동하는 중에 다이 휘일(5)에 설치되어 있는 냉각수 쟈켓(7a)에 의해서 냉각되는 동시에 저온의(약 15°C 정도) 냉각수가 순환하고 있는 냉각수 수조(7b)를 통과하면서 급속하게 냉각되어 용이하게 고형화된다. 이와 같이, 반제품 면파스너(SF')가 결정화되기 전에 급속하게 냉각되기 때문에, 전체 기판 시트(1)와 모든 결합요소(2)가 적절하게 연화된다.
고형화된 기판 시트(1')가 배출용 롤러(10, 11)에 의해서 다이 휘일(5)의 원주방향 표면으로부터 분리될 때, 냉각되어 고형화된 각각의 결합요소(2')는 직선형의 형상으로 탄성적으로 변형되면서 결합요소 형성용 공동(51)으로부터 매끄럽게 빠져나온다. 이와 동시에, 결합요소(2')가 완전하지는 않지만 부분적으로 그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되어서, 각각의 결합헤드(22')는 역 L 형 결합요소 형성용 공동(51)에 비하여 약간 위쪽으로 굽힘 각도를 따라 돌출되는 형상을 갖는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반제품 면파스너(SF')는 서로 동기화되게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상하부 롤러(10, 11)에 의해 다이 휘일(5)로부터 분리된다. 이러한 상하부 롤러(10, 11)의 원주방향 표면이 매끄럽게 구성될 수도 있으나, 결합요소(2)에 어떠한 손상도 가해지지 않도록 결합요소의 열이 처리되는 상하부 롤러(10, 11)의 원주바향 부분 상으로 각각 링 형상의 그루우브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제품 면파스너(SF')는 절단기구(12)를 통과하면서 그 양쪽 측연부가 절단된 후에 가열압착수단(8)을 구성하고 있는 상하부 롤러(8a, 8b)를 통과하게 된다. 이러한 가열압착수단(8)을 통과하는 중에 결합요소(2')의 결합헤드(22')의 상부가 상부 롤러(8a)에 의하여 가열압착되는데, 이에 따라서 각각의 결합헤드(22')가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그 기단부로부처 말단부 쪽을 향하여 전방으로 약간 경사지면서,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상단부로부터 연화되는 상태로 변형된다. 그 결과, 도 1에 점선으로 도시되어 있는 결합헤드(22')의 상부(22a)가 도 1 내지 도 3에서 실선으로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대체로 평탄한 상면(P)과 한쌍의 마주하는 측면 돌기(22a')를 갖는 형상이 된다. 이와 같이 평탄한 상면(P)은 성형 조건에 따라서는, 다음의 냉각 과정으로 인하여 중앙 지역이 약간 들어간 상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반제품 면파스너(SF')는 가열압착수단(8)를 통과하면서 별도의 냉각수단을 사용치 않고서도 정상적인 온도로 서서히 냉각되며, 이에 따라 성형 면파스너(SF)가 롤 상으로 감겨지면서 제조 과정이 완료된다. 본 발명에서는, 결합요소(2)의 상부(22a)를 가열압착시키는 것과 돌기(22a')를 포함한 상부(22a)를 서서히 냉각시키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즉, 결합헤드(22)의 가열된 상부(22a)가 가열에 의해 연화되는 동시에 압착에 의해 변형되면서 서서히 냉각되는데, 이와 같이 가열된 부분이 결정화되어서 스템(21)에 비해 증가된 강도를 갖는 것이다.
단지 결합헤드(22') 만이 기판 시트(1') 및 결합요소(2')의 나머지 부분들에 비해서 높은 강도를 가지므로, 상응하는 루프(3)로부터 벗겨지지 않을 정도의 적절한 특성이 보장될 수 있어서, 결합요소(2)가 소형화되고 상당히 연화된다고 하여도 결합헤드(22)의 강도는 보장된다. 한편, 결합요소(2)가 본 발명에 따라 단일 헤드의 구조를 갖는다고 하여도, 스템(21)이 그 양쪽 표면 상으로 한쌍의 보강 리브(23)를 갖추고 있는 경우에는 기판 시트(1)의 처리방향으로의 강도가 보장되기 때문에, 결합헤드(22)의 강도가 증가된 상태로 우수한 연성 및 소형의 치수로 제공됨에도 불구하고, 최종 제품으로서의 성형 면파스너(SF)는 그 결합표면 상으로 불규칙한 접촉이 감소되고 적절한 결합 강도를 갖는 고품질의 제품이 되며, 따라서 반복적인 사용에 적합하게 우수한 내구성에 제공된다. 도 19는 가열압착 과정에 의해 처리되는 결합요소(2)의 벗겨지는 강도를 비교한 그래프로서, 이러한 강도를 미처 처리되지 않은 결합요소(2')가 다이 휘일(5)로부터 배출된 직후의 강도 및 가열압착 과정에 의해 처리되기 전의 강도와 각각 비교되어 있다. 결합헤드(22)의 상부(22a)가 가열압착된 후를 고려하면, 결합요소(2)의 벗겨지는 강도가 미처 처리되지 않은 결합요소(2')와 비교하여 상당히 증가되었음을 그래프로부터 알 수 있다.
결합요소가 역 L 형을 갖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다이 휘일(5)로부터 배출된 결합요소(2')가 역 L 형 각각의 결합요소 형성용 공동(51)의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되지 않을 때, 도 17A 및 도 17B에 도시되 바와 같이 결합요소 형성용 공동(51)과 비교하여 굽힘 각도가 증가된 것으로 고려한다. 또한, 결합요소(2')가 상응하는 결합요소 형성용 공동(51)으로부터 배출될 때 그 저항이 증가됨으로 인하여, 도 17B의 전방 결합헤드(22')는 도 17A의 역방향 결합헤드(22')에 비해서 굽힘 각도가 더 크다.
본 발명의 실험에 따르면, 다이 휘일(5)로부터 배출된 후의 형상의 복원에 있어서의 차이는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기(22a')를 형성하도록 처리된 후의 결합요소(2)의 물리적 특성에 관련하여 변형된다는 사실이 확인되었다. 도 19에 따르면, 도 17A 및 도 17B에 도시된 바와 같은 가열압착 처리가 수행되기 전의 결합요소(2')의 형상에 있어서, 전방 및 후방 결합헤드(22') 사이의 굽힘 각도의 차이는 이들 전후방 결합헤드(22') 간의 벗겨지는 강도의 차이에 따라 직접적으로 영향을 받는다. 도 18A 및 도 1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열압착 과정이 완료된 결합요소(2)에 있어서, 전후방 결합헤드(22) 간의 굽힘 각도의 차이는 감소되었으며, 전방 결합헤드(22)의 벗겨지는 강도는 후방 결합헤드(22)와 비교하여 크게 증가되었다.
다시 말해서, 후방 결합헤드(22')가 다소 적은 굽힘 각도로 변형되어진 결합요소(2)과 비교하여, 대체로 역 L 형 결합요소(2)는 돌기(22a')가 형성된 후에 전방 결합헤드(22')의 벗겨지는 강도가 보다 크게 증가하도록 변형되는 것이다. 이러한 물리적인 특성의 변화를 고려할 때, 다이 휘일(5)의 원주방향 표면에서 각각의 후방 결합요소 형성용 공동(51)의 굽힘 각도가 각각의 전방 결합요소 형성용 공동(51)의 굽힘 각도 보다 크다면, 전방 결합헤드(22')를 갖는 결합요소(2) 또는 후방 결합헤드(22')를 갖는 결합요소(2)에 대하여 대체로 동일한 크기의 벗겨지는 강도를 보장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20은 결합요소 형성용 공동(51)의 양호한 형상을 도시한 것으로서, 전방 결합요소 형성용 공동(51b)의 굽힘 각도(ΔA1)와 후방 결합요소 형성용 공동의 굽힘 각도(ΔA2) 사이의 차이가 미리 설정되었다. 가열압착 과정이 수행된 후의 전후방 결합헤드(22) 간의 형상의 차이를 발생시키지 않기 위해서, 2개의 굽힘 각도(ΔA1, ΔA2) 사이의 차이를 미리 설정하는 것 외에도, 다이 휘일(5)의 원주방향 표면의 개방부로부터 그 반경방향으로 돌출되는 상응하는 스템 형성용 공동(51a)에 대한 전방 결합헤드 형성용 공동(51b)의 굽힘이 시작되는 지점(O)의 깊이(h1)과, 그리고 상응하는 스템 형성용 공동(51a)에 대한 후방 결합헤드 형성용 공동(51b)의 굽힘이 시작되는 지점(O)의 깊이(h2) 사이의 차이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 전방 결합요소 형성용 공동(51b)의 굽힘 각도(ΔA1)는 -5°내지 +80°이며, 반면에 후방 결합요소 형성용 공동(51a)의 굽힘 각도(ΔA2)는 +10°내지 +90°이다. 바람직하게, 각각의 깊이(h1, h2)의 비는 1: 1.01 내지 1: 1.50 이다. 물론, 이들 굽힘 각도와 깊이의 비는 사용될 수지의 성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반드시 특정의 수치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대체로 이들 수치로 제한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각각의 수치는, 전방 결합요소 형성용 공동(51)의 굽힘 각도(ΔA1)가 10°이고, 전방 결합요소 형성용 공동(51)의 스템 형성용 공동(51a)의 깊이(h1)은 0.20 mm 이며, 후방 결합요소 형성용 공동(51)의 굽힘 각도(ΔA2)는 27°이고, 후방 결합요소 형성용 공동(51)의 스템 형성용 공동(51a)의 깊이(h2)는 0.23 mm 이다.
도 21은 다른 형태의 가열압착수단(8)을 사용하여 성형 면파스너를 연속적으로 제조하기 위한 장치의 수직방향 횡단면도 이다. 이러한 실시예는, 돌기 형성부(BP)를 제외하고는 그 전반적인 구성이 앞에서 설명된 실시예들과 거의 동일하다. 도 2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상하부 판(8c, 8d)이 가열압착수단(8)으로 사용된다. 상부판(8c)은 가열원(도시 안됨)을 갖추고 있어서 수지의 연화 온도 까지 가열될 수 있으며, 상부판(8c)의 수직방향 위치가 수직방향 위치조절기(도시 안됨)에 의해서 조절될 수 있다. 하부판(8d)은 그 상면이 반제품 면파스너(SF')의 이동경로와 정렬되어 위치하도록 고정되어 있다. 상부판(8c)은 반제품 면파스너(SF')의 결합요소(2')의 결합헤드(22')가 이동하는 평면 보다 약간 아래의 높이로 배열되어 있다. 이러한 설정 위치는, 본 발명에 따른 결합요소(2)의 결합헤드(22)의 상부(22a)로부터 돌출된 양쪽 돌기(22a')의 길이에 의해서 결정된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다이 휘일(도시 안됨)의 회전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성형되는 반제품 면파스너(SF')가 다이 휘일의 회전에 의해서 아아치 형으로 이동된 후에 배출용 롤러(10, 11)에 의해 배출되면서 다이 휘일의 원주방향 표면으로부터 연속적으로 분리된다. 반제품 면파스너(SF')가 다이 휘일에 의해 아아치 형으로 이동되기 때문에, 이러한 반제품 면파스너(SF')는 다이 휘일에 설치된 냉각수 쟈켓(도시 안됨)과 다이 휘일의 아래로 배열된 냉각수 수조(도시 안됨)에 의해 급속하게 냉각된다. 이러한 급속한 고형화는 반제품 면파스너(SF')의 연성을 높인다.
반제품 면파스너(SF')의 양쪽 가장자리가 절단기구(도시 안됨)에 의해 절단된 후에, 반제품 면파스너(SF')는 가열압착수단으로서 작용하는 상하부 판(8c, 8d)의 사이를 통과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 8에 점선으로 도시되어 있는 결합헤드(22)의 상부(22a)가 상부판(8c)에 의해 가열압착되며, 결합요소(2)가 도 8의 실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변형되어서 그 기단부로부터 말단부 까지 하류를 향해서 약간 굽혀진다. 또한, 결합헤드(22)의 상부(22a)는 그 상부 지점으로부터 연화되면서 변형되어 평탄한 상면의 양쪽 측면으로부터 양방향으로 돌출된 한쌍의 횡방향 돌기를 형성한 후에 앞의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서서히 냉각되어 고형화되며, 그 결과 돌기(22a') 및 원주방향의 부분들의 강도가 증가되고, 이에 따라서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형상 및 구조를 갖는 결합요소(2)가 제공된다.
도 22는 다른 돌기 성형부를 사용하여 성형 면파스너를 연속적으로 제조하기 위한 또 다른 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 실시예는, 역 L 형을 사용하지 않고 각각의 결합요소 형성용 공동(510)이 대체로 단순하게 직선형으로 연장하여 다이 휘일(5)의 반경방향에 대해서 약간 경사져 있다는 점에서 제 1 및 제 2 실시에와 다르다. 이 실시예의 나머지 기본적인 구성 부품들은 제 2 실시예와 동일하며, 단지 가열압착수단(8)으로서 상부 가열판(80c)과 하부 수조(80d)가 사용된다는 점이 다르다.
반제품 면파스너(SF')의 기판 시트(1') 상에 경사진 상태로 돌출되는 각각의 결합요소(2')는 단순하게 거의 직선형을 이루고 있고, 상부판(80c)의 상류부(80c-1)가 결합요소(2')의 상단부와 동일한 높이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상부판(80c)의 하부면과 하부 수조(80d)의 물 높이 사이의 거리가 반제품 면파스너(SF')의 이동경로를 따라 상부판(80c)의 중앙 지점을 향하여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동시에 하류부(80c-2)를 따라서 균일하게 제조된다. 결합헤드(22')는 상부판(80c)의 상류부(80c-1)를 따라 이동하면서 상부판(80c)에 의해 굽혀진 후에 상부판(80c)의 하류부(80c-2)를 따라 이동하면서 결합헤드(22')의 굽혀진 상부(22a)가 상부판(80c)에 의해 점진적으로 가열압착되어 상부(22a)의 양쪽 측연부로부터 양방향으로 돌출된 한쌍의 돌기를 형성한다. 상부판(80c)이 필히 가열된다고 하여도, 상류부(80c-1)가 고온으로 가열된다면 결합헤드(22')가 급속하게 굽혀져서 그 품질이 저하될 수 있다. 이러한 과열을 방지하기 위하여, 결합헤드(22')의 상류부(80c-1)에서의 굽힘이 완료될 때 까지 상류부(80c-1)의 온도를 소정의 구배로 설정해야만 하며, 반면에 하류부(80c-2)는 앞의 실시예들에서와 마찬가지로 수지의 연화 온도로 가열된다.
이러한 구조르 갖는 본 실시예에서, 다이 휘일(5)에 의해 성형되는 반제품 면파스너(SF')가 상부판(80c)과 하부 수조(8d) 사이의 위치에 도달할 때, 대체로 직선형의 기판(1')과 스템(21')이 다수의 안내 롤러를 통하여 하부 수조(80d)의 냉각수 안으로 이동되면서 결합헤드(22')의 일부가 수지 연화 온도 보다 낮은 온도로 가열된 후 점진적으로 굽혀져서 상부판(80c)의 상류부(80c-1)에 의해 대체로 역 L 형으로 형성된다. 그 결과, 각각의 결합헤드(22')는 굽힘이 시작되는 소정의 공통 지점에서 상응하는 스템(21')에 대하여 균일하게 굽혀진다. 특히, 기판 시트(1') 및 스템(21')은 냉각되는 중이므로 가열된 상부판(80c)으로 인해 연화되지 않으며, 이에 따라 다만 소정의 높이 위의 결합헤드(22') 만이 균일한 형상으로 굽혀질 수 있다. 이러한 냉각 방법은 단지 예시적인 것이며, 동일한 목적을 수행하기 위해서 결합요소(2')가 용이하게 굽혀지는 부분을 가질 수도 있다.
대략 L 형으로 굽혀진 결합요소(2')는 연화 온도에서 연화된 후에 상부판(80c)의 하류부(80c-2)에 의해 압착되면서 변형되어, 본 발명의 특징부인 돌기(22a')를 형성한다. 하류부(80c-2)를 통과한 성형 면파스너(SF)가 정상적인 온도의 서냉부를 통과하며, 이에 따라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결합헤드(22)는 표면 파스너(SF)의 나머지 부분들에 비해 증가된 강도를 갖는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장치에 따르면 기판 시트(1) 상으로 돌출되는 다수의 역 L 형 결합요소(2)로 이루어진 성형 면파스너(SF)를 효율적으로 제조할 수 있는데, 각각의 결합요소는 복잡한 처리 과정이 없이도 대체로 평탄한 상면(P)의 양쪽 측연부로부터 돌출된 한쌍의 돌기(22a')를 갖는다. 이와 같은 결합요소(2)의 형상에 따르면, 결합헤드(22)가 스템(21)의 상단부로부터 거의 직선형으로 연장하기 때문에, 이러한 결합헤드(22)는 훨씬 매끄러운 접촉을 갖는다. 또한, 결합헤드(22)가 스템(21)에 대해 85 W이상의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어서, 결합헤드(22)가 상응하는 루프(3) 안으로 들어가게 된다. 또한, 결합헤드(22)의 양쪽 측면의 돌기에 의해서, 적절한 결합 강도를 보장할 수 있다. 그 결과, 소형의 루프(3)에 대해서도 신뢰성 있는 결합이 유지될 수 있고, 이러한 결합 중에 발생되는 벗겨지는 힘에 대해서 돌기(22a')가 루프(3)를 확실한 결합 상태로 유지시킨다. 이러한 벗겨지는 힘에 관해서는, 결합헤드(22')가 그러한 벗겨지는 방향으로 스템(21)를 굽혀지게 함으로써, 루프(3)가 적절한 마찰에 의해 돌기(22a')의 가장자리를 따라 제거되는 방향으로 매끄럽게 이동할 수 있어서, 결합헤드(22)로부터 루프(3)를 제거시키기가 용이하다.
상부(22a)로부터 돌출된 돌기(22a')를 갖춘 결합요소(2)의 독특한 형상에 따라서, 결합헤드(22)의 상면이 매끄럽게 접촉할 수 있고 소형의 루프(3)와도 신뢰성 있게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스템의 상단부로부터 모든 방향으로 돌출되는 우산 형상의 돌기를 갖춘 종래 기술의 버섯 형상의 결합요소와는 달리, 이른바 현수 현상(hanging phenomena)이 발생치 않는 상태로 소형의 결합헤드에 대해서도 소정의 벗겨지는 강도 및 매끄러운 분리를 보장할 수 있으며, 이는 스템과 결합요소 사이의 네크부가 루프와 엉켜서 결합헤드(2) 또는 루프(3)에 손상을 주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개선된 내구성을 제공할 수 있다.
성형 면파스너(SF)의 주 표면이 성형되어 급속한 냉각에 의해 고형화되면, 결합헤드가 가열압착되어 형성된 한쌍의 돌기가 서냉에 의해 고형화되며, 이에 따라 전체 성형 면파스너의 적절한 연성이 보장될 수 있고 결합헤드의 강도가 나머지 부분에 비해 증가될 수 있어서, 벗겨지는 특성이 개선되고 적절한 형상의 안정성이 제공된다.

Claims (36)

  1. 기판 시트(1) 및 상기 기판 시트(1)의 한쪽 표면 상으로 돌출된 다수의 결합요소(2)를 포함하고 있는 성형 면파스너로서, 각각의 상기 결합요소(2)가 상기 기판 시트(1)의 한쪽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스템(21) 및 상기 스템(21)의 상단부로부터 굽힘가능하게 돌출하여 상응하는 루프(3)와 탈착가능하게 결합하는 결합헤드(22)로 이루어져 있는 성형 면파스너에 있어서,
    상기 결합헤드(22)는 결합헤드(22)의 종방향에 대해서 수직하게 상기 결합헤드(22)의 상부(22a)의 양쪽 측연부로부터 양방향으로 수평하게 돌출되는 한쌍의 돌기(22a')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 면파스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헤드(22)의 상면이 수평면에 대해 소정의 각도(θ) 만큼 경사져 있고, 상기 각도(θ)는 -5o≤ θ ≤ +45o를 만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 면파스너.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헤드(22)의 상면은 수평면에 대해 소정의 각도(θ) 만큼 경사져 있고, 상기 각도(θ)는 +10o≤ θ ≤ +30o를 만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 면파스너.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헤드(22)의 하부면은 상기 수평면에 대해 소정의 각도(θ') 만큼 경사져 있고, 상기 각도(θ')가 0o≤ θ' ≤ +60o를 만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 면파스너.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헤드(22)의 상부(22a)는 평탄한 상면(P)을 갖추고 있으며, 상기 상면(P)으로부터 상기 돌기(22a')가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 면파스너.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헤드(22)는 상기 스템(21) 보다 높은 강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 면파스너.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헤드(22)의 상부(22a)는 각각의 상기 결합요소(2)의 나머지 부분 보다 높은 강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 면파스너.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템(21)의 원주방향 표면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기판 시트(1)의 상기 한쪽 표면에 대해 경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 면파스너.
  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요소(2)는 상기 스템(21)으로부터 돌출되는 단일의 결합헤드(22)를 갖춘 단일 헤드의 구조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 면파스너.
  10.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결합요소(2)는 상기 스템(21)의 방향에 대해서 대략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스템(21)의 상기 상단부로부터 분리된 2개의 결합헤드(22)를 갖춘 2중 헤드 구조물이고, 2개의 상기 결합헤드(22)는 서로 평행한 2개의 수직 평면을 따라서 각각 양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 면파스너.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템(21)은 상기 결합헤드(22)의 종방향에 대해서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결합헤드(22)의 폭 보다 부분적으로 넓은 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 면파스너.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템(21)의 폭이 넓은 부분의 최상부 지점(0')은 상기 결합헤드(22)의 하부면의 굽힘이 시작되는 지점(0) 보다 낮은 높이로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 면파스너.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템(21)의 폭이 넓은 부분의 최상부 지점(0')은 상기 결합헤드(22)의 하부면의 굽힘이 시작되는 지점(0) 보다 높은 높이로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 면파스너.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템(21)의 양쪽 측면 상에는 상기 기판 시트(1)의 상기 한쪽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는 한쌍의 보강 리브(23)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 면파스너.
  15. 제 14 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보강 리브(23)는 상기 결합헤드(22)의 종방향에 대해서 수직하게 마주하는 서로 인접한 한쌍의 상기 결합요소(2)의 스템(21)을 서로 연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 면파스너.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 시트(1)는 상기 한쪽 표면내의 소정의 수 만큼의 위치에 각각 소정의 수 만큼의 오목부(1a)를 갖추고 있으며, 상기 결합요소(2)는 상기 오목부(1a)의 하부면으로부터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 면파스너.
  17. 제 16 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오목부(1a)는 상기 상응하는 루프(3)를 수용할 수 있는 넓은 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 면파스너.
  18. 기판 시트(1) 및 상기 기판 시트(1)의 한쪽 표면 상으로 돌출된 다수의 결합요소(2)를 갖추고 있는 성형 면파스너(SF)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각각의 상기 결합요소(2)가 상기 기판 시트(1)의 상기 한쪽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스템(21) 및 상기 스템(21)의 상단부로부터 굽힘가능하게 돌출하여 상응하는 루프(3)와 탈착가능하게 결합하는 결합헤드(22)로 이루어져 있는 성형 면파스너(SF)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스템(21)의 상단부로부터 돌출되는 각각의 상기 결합요소(2)의 결합헤드(22')를 갖춘 반제품 면파스너(SF')를 성형시키는 단계와,
    (b) 성형된 결합요소(2')를 갖춘 상기 반제품 면파스너(SF')를 냉각시키는 단계와,
    (c) 냉각된 후에 고형화된 상기 반제품 면파스너(SF')를 가열압착수단(8) 쪽으로 연속적으로 이동시키는 단계와,
    (d) 상기 가열압착수단(8)에 의해서 상기 결합헤드(22')의 상부(22a')를 그 상부로부터 가열압착시켜서 연화시키는 동시에, 상기 결합헤드(22')의 종방향에 대해 수직하게 상기 결합헤드(22')의 상기 상부(22a)로부터 돌출되는 한쌍의 돌기(22a')를 형성시키는 단계와,
    (e) 상기 가열압착수단(8)을 통과하면서 상기 성형 면파스너(SF)를 서서히 고형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 면파스너 제조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헤드(22')를 스템(21)에 대해 80˚내지 170˚ 범위로 굴곡시키는 단계를 부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 면파스너 제조방법.
  20. 기판 시트(1) 및 상기 기판 시트(1)의 한쪽 표면 상으로 돌출된 다수의 결합요소(2)를 갖추고 있는 성형 면파스너(SF)를 제조하는 장치로서, 각각의 상기 결합요소(2)가 상기 기판 시트(1)의 상기 한쪽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스템(21) 및 상기 스템(21)의 상단부로부터 굽힘가능하게 돌출하여 상응의 루프(3)와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헤드(22)로 구성되는 성형 면파스너(SF)를 제조하는 장치에 있어서,
    다수의 L 형 결합요소 형성용 공동(44)을 갖는 성형 주형(4)과,
    상기 결합요소 형성용 공동(44) 안으로 용융수지(60)를 분사하기 위한 사출노즐(45)을 포함하며,
    각각의 상기 결합요소 형성용 공동(44)은 결합헤드 형성용 공동(44b) 및 상기 결합헤드 형성용 공동(44b)의 상부의 내부면으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되는 한쌍의 돌기 형성용 공동(44a)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 면파스너 제조장치.
  21. 기판 시트(1) 및 상기 기판 시트(1)의 한쪽 표면 상으로 돌출된 다수의 결합요소(2)를 갖추고 있는 성형 면파스너(SF)를 제조하는 장치로서, 각각의 상기 결합요소(2)가 상기 기판 시트(1)의 상기 한쪽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스템(21) 및 상기 스템(21)의 상단부로부터 굽힘가능하게 돌출하여 상응하는 루프(3)와 탈착가능하게 결합하는 결합헤드(22)로 이루어져 있는 성형 면파스너(SF)를 제조하는 장치에 있어서,
    (a) 한쪽 방향으로 구동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그 원주방향 표면으로 다수의 L 형 결합요소 형성용 공동(51)을 갖추고 있는 다이 휘일(5)과,
    (b) 상기 다이 휘일(5)이 회전하는 중에 상기 다이 휘일(5)의 상기 원주방향 표면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소정의 틈새 내로 용융수지(60)를 공급하기 위한 용융수지 공급수단(6)과,
    (c) 상기 다이 휘일(5)의 상기 원주방향 표면에 부착된 반제품 면파스너(SF')를 냉각시키고 상기 다이 휘일(5)의 회전에 응답하여 상기 반제품 면파스너(SF')를 원호 형태로 이동시키기 위한 냉각수단과,
    (d) 상기 다이 휘일(5)의 회전에 응답하여 이동하면서 고형화되는 상기 반제품 면파스너(SF')를 상기 다이 휘일(5)의 상기 원주방향 표면으로부터 연속적으로 뽑아 내기 위한 배출수단(10, 11)과,
    (e) 상기 반제품 면파스너(SF')의 상기 결합헤드(22')의 상부(22a)를 상부로부터 가열압착하도록 상기 결합헤드(22')의 상부(22a)의 이동경로와 마주하게 상기 배출수단(10, 11)의 하류에 배열되어서 상기 결합헤드(22')의 상부(22a)의 이동경로에 대해 횡방향으로 상기 결합헤드(22)의 상부(22a)로부터 돌출된 한쌍의 돌기(22a')를 형성하는 가열압착수단(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 면파스너 제조장치.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용융수지 공급수단(6)은 상기 다이 휘일(5)의 상기 원주방향 표면과 마주하도록 배열되어 있는 연속사출 노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 면파스너 제조장치.
  23. 제 22 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결합요소 형성용 공동(51)은 상기 다이 휘일(5)의 상기 원주방향 표면에서 개방되어 상기 다이 휘일(5)의 축선을 따라서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스템 형성용 공동(51a)과, 상기 스템 형성용 공동(51a)의 상단부로부터 80° 내지 170°의 각도(ΔA)의 각도를 따라 직선형으로 연장되는 결합헤드 형성용 공동(51b)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 면파스너 제조장치.
  24.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 휘일(5)의 회전방향으로 연장되는 상기 결합헤드 형성용 공동(51b)의 굽힘 각도(α1)는 상기 다이 휘일(5)의 회전방향에 대해서 반대방향으로 연장되는 결합헤드 형성용 공동(51b)의 굽힘 각도(α2) 보다 작아서, 상기 다이 휘일(5)의 회전방향에 대해서 각각 전방 및 후방으로 연장되는 각각의 상기 결합헤드(22)가 상기 다이 휘일(5)로부터 빠져나올 때에 상기 기판 시트(1)에 대해서 서로 공통의 각도(θ)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 면파스너 제조장치.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 휘일(5)의 회전방향으로 연장되는 상기 결합헤드 형성용 공동(51b)의 상기 굽힘 각도(α1)는 -5°내지 80°이고, 상기 다이 휘일(5)의 회전방향에 대해서 반대방향으로 연장되는 상기 결합헤드 형성용 공동(51b)의 상기 굽힘 각도(α2)는 10°내지 9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 면파스너 제조장치.
  26. 제 24 항 또는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 휘일(5)의 상기 원주방향 표면에서의 상기 스템 형성용 공동(51a)의 개방부와 상기 스템 형성용 공동(51a)으로부터 상기 다이 휘일(5)의 회전방향으로 연장되는 상기 결합헤드 형성용 공동(51b)의 굽힘이 시작되는 지점(0) 사이의 거리와, 그리고 상기 다이 휘일(5)의 상기 원주방향 표면에서의 상기 스템 형성용 공동(51a)의 개방부와 상기 스템 형성용 공동(51a)으로부터 상기 다이 휘일(5)의 회전방향에 대해서 반대방향으로 연장되는 상기 결합헤드 형성용 공동(51b)의 굽힘이 시작되는 지점(0) 사이의 거리의 비는 1 : 1.01 내지 1 : 1.5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 면파스너 제조장치.
  27. 제 24 항 또는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요소 형성용 공동(51)은 단일의 스템 형성용 공동(51a) 및 상기 단일의 스템 형성용 공동(51a)의 상단부로부터 돌출되는 단일의 결합헤드 형성용 공동(51b)으로 구성된 단일 헤드의 구조물이며, 상기 결합헤드 형성용 공동(51b)의 종방향에 대해서 수직하게 배열되어 서로 인접한 한쌍의 상기 결합헤드 형성용 공동(51b)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 면파스너 제조장치.
  28. 제 24 항 또는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요소 형성용 공동(51)은 단일의 스템 형성용 공동(51a) 및 상기 단일의 스템 형성용 공동(51a)의 상단부로부터 양방향으로 굽혀진 직선형의 한쌍의 결합헤드 형성용 공동(51b, 51b)으로 구성된 2중 헤드의 구조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 면파스너 제조장치.
  29. 제 23 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스템 형성용 공동(51a)의 양쪽 측면 상에는 한쌍의 보강 리브 형성용 공동(51c)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 면파스너 제조장치.
  30. 제 29 항에 있어서, 서로 인접한 한쌍의 상기 스템 형성용 공동(51a)의 상응하는 각각의 상기 보강 리브 형성용 공동(51c)은 서로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 면파스너 제조장치.
  31.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수단은 상기 다이 휘일(5)의 내부면에 배열된 내부 냉각수단(7a)과, 상기 다이 휘일(5)의 외부면에 배열되어서 다이 휘일(5)의 상기 원주방향 표면의 일부와 반제품 면파스너(SF')를 냉각시키는 외부 냉각수단(7b)을 포함하며, 상기 반제품 면파스너(SF')는 다이 휘일(5)의 원주방향 표면상에 제공되어 다이 휘일(5)의 회전에 따라 다이 휘일(5)의 외부면으로부터 이동하며, 상기 가열압착수단(8)의 하류에는 상기 성형 면파스너(SF)가 상온으로 서냉되는 서냉부가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 면파스너 제조장치.
  3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압착수단(8)은 가열압착롤러(8a)를 포함하며, 상기 가열압착롤러(8a)는 상기 반제품 면파스너(SF')의 이동경로에 대해서 수직한 수평방향 축선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 면파스너 제조장치.
  33.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압착수단(8)은 상기 반제품 면파스너(SF')의 이동경로 넘어로 수직하게 배열된 가열압착판(8c)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 면파스너 제조장치.
  34.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압착수단(8)은 압력제어수단(9a) 및 온도조절수단(9b)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 면파스너 제조장치.
  35. 기판 시트(1) 및 상기 기판 시트(1)의 한쪽 표면 상으로 돌출된 다수의 결합요소(2)를 갖추고 있는 성형 면파스너(SF)를 제조하는 장치로서, 각각의 상기 결합요소(2)가 상기 기판 시트(1)의 상기 한쪽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스템(21) 및 상기 스템(21)의 상단부로부터 굽힘가능하게 돌출하여 상응하는 루프(3)와 탈착가능하게 결합하는 결합헤드(22)로 이루어져 있는 성형 면파스너(SF)를 제조하는 장치에 있어서,
    (a) 한쪽 방향으로 구동되도록 구성되며 그 원주방향 표면으로 다수의 L 형 결합요소 형성용 공동(51)을 갖추고 있는 다이 휘일(5)로서, 각각의 상기 결합요소 형성용 공동(51)이 원주방향 표면의 접선에 대해서 경사지게 안쪽을 향하여 직선형으로 연장하여 있는 다이 휘일(5)과,
    (b) 상기 다이 휘일(5)의 원주방향 표면으로 용융수지(60)를 공급하기 위한 용융수지 공급수단(6)과,
    (c) 상기 다이 휘일(5)의 원주방향 표면에 부착된 반제품 면파스너(SF')를 냉각시키고 다이 휘일(5)의 회전에 응답하여 반제품 면파스너(SF')를 원호 형태로 이동시키기 위한 냉각수단과,
    (d) 상기 다이 휘일(5)의 회전에 응답하여 다이 휘일(5)의 원호를 따라 이동하면서 고형화되는 반제품 면파스너(SF')를 상기 다이 휘일(5)의 상기 원주방향 표면으로부터 연속적으로 인출하기 위한 배출수단(10, 11)과,
    (e) 상기 반제품 면파스너(SF')의 결합요소(2')의 결합헤드(22')가 연속적으로 처리되는 결합헤드 처리지점(BP)에서 상기 배출수단(10, 11)의 하류에 배열되어 있는 가열압착수단(80)과,
    (f) 반제품 면파스너(SF')에 대한 상기 가열압착수단(8)의 하류에 배열되어 있는 서냉부를 포함하며,
    상기 가열압착수단(8)은 상기 결합헤드(22')의 상부(22a)를 그 상부로부터 가열 및 압착시켜서 상기 스템(21)에 대하여 상기 결합헤드(22')를 굽혀주는 동시에 상기 결합헤드(22')의 상부(22a)를 가열 및 압착시켜서 상기 결합요소(2')의 이동경로의 횡방향으로 상기 결합헤드(22)의 상부(22a)로부터 돌출된 한쌍의 돌기(22a')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 면파스너 제조장치.
  36.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수단은 상기 다이 휘일(5)의 내부에 배열되어 있는 내부 냉각수단(7a)과, 상기 다이 휘일(5)의 외부면에 배열되어서 상기 다이 휘일(5)의 상기 원주방향 표면의 일부와 상기 반제품 면파스너(SF')를 냉각시키기 위한 외부 냉각수단(7b)을 포함하며, 상기 반제품 면파스너(SF')는 상기 다이 휘일(5)의 회전에 응답하여 상기 다이 휘일(5)과 함께 상기 다이 휘일(5)의 외부면으로부터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 면파스너 제조장치.
KR1019970013575A 1996-06-06 1997-04-14 성형 면파스너와 이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025603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6-144166 1996-06-06
JP14416696A JP3461662B2 (ja) 1996-06-06 1996-06-06 一体成形面ファスナ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0866A KR980000866A (ko) 1998-03-30
KR100256030B1 true KR100256030B1 (ko) 2000-05-01

Family

ID=153557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13575A KR100256030B1 (ko) 1996-06-06 1997-04-14 성형 면파스너와 이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9)

Country Link
US (3) US5755015A (ko)
EP (1) EP0811332B9 (ko)
JP (1) JP3461662B2 (ko)
KR (1) KR100256030B1 (ko)
CN (3) CN1067940C (ko)
BR (1) BR9702445A (ko)
CA (1) CA2189295C (ko)
CZ (1) CZ319996A3 (ko)
DE (1) DE69631646T2 (ko)
ES (1) ES2213168T3 (ko)
HK (3) HK1003374A1 (ko)
ID (1) ID17037A (ko)
IL (1) IL119534A (ko)
MX (1) MX9605267A (ko)
PL (1) PL317083A1 (ko)
RO (1) RO119339B1 (ko)
SK (1) SK142096A3 (ko)
TW (1) TW368806U (ko)
ZA (1) ZA97502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53797A (en) * 1996-10-09 1999-09-21 Velcro Industries B.V. Hook fasteners and methods of manufacture
US6039911A (en) 1997-01-09 2000-03-21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ethod for capping stem fasteners
US6132660A (en) * 1997-06-19 2000-10-17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ethod for forming headed stem mechanical fasteners
US5868987A (en) * 1997-06-19 1999-02-09 Minnesotamining And Manufacturing Superimposed embossing of capped stem mechanical fastener structures
JP3474735B2 (ja) * 1997-08-20 2003-12-08 Ykk株式会社 一体成形面ファスナー
US6280670B1 (en) * 1997-08-22 2001-08-28 Velcro Industries B.V. Post- forming heads on fastener elements
US6106922A (en) * 1997-10-03 2000-08-22 3M Innovative Company Coextruded mechanical fastener constructions
US5884374A (en) * 1997-11-20 1999-03-23 Velcro Industries B.V. Fastener members and apparatus for their fabrication
JP3505074B2 (ja) * 1998-01-22 2004-03-08 Ykk株式会社 成形面ファスナー
US7052638B2 (en) 1999-01-15 2006-05-30 Velcro Industries B.V. Hook and loop fastener
US6991843B2 (en) 1999-01-15 2006-01-31 Velcro Industries B.V. Fasteners engageable with loops of nonwoven fabrics and with other open structures, and methods and machines for making fasteners
US6248276B1 (en) 1999-01-15 2001-06-19 Velcro Industries B.V. Fasteners and methods of making fasteners
JP2000225650A (ja) 1999-02-08 2000-08-15 Ykk Corp 平板状基材表面に起立する合成樹脂製突起物の二次成形装置
FR2791873B1 (fr) * 1999-04-07 2001-08-03 Aplix Sa Bande oblongue formant partie auto-agrippante male, cylindre a former pour sa fabrication et procede de fabrication d'une bande de ce genre
US6303062B1 (en) 1999-04-13 2001-10-16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echanical fastener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US6402498B1 (en) 1999-06-04 2002-06-11 Gary D. Dunn Bristle and bristle support surface producing machine
US6592800B1 (en) * 1999-10-04 2003-07-15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Apparatus and method for making a mechanical fastener
EP1106436A1 (en) 1999-12-09 2001-06-13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ethod and sheet to restrain movement of an article on a fibrous surface in a vehicle
ES2299479T3 (es) * 2000-03-14 2008-06-01 Velcro Industries B.V. Cierre de gancho y presilla.
US20060210762A1 (en) * 2005-03-17 2006-09-21 Tachauer Ernesto S Rigid subtrates having molded projections,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US6508969B1 (en) 2000-08-10 2003-01-21 Pactiv Corporation Injection-molded end stop for a slider-operated fastener
US8678807B2 (en) 2000-10-24 2014-03-25 Velcro Industries B.V. Molding apparatus and related methods
JP2002172004A (ja) * 2000-12-07 2002-06-18 Ykk Corp 合成樹脂製の一体成形面ファスナー
KR100393265B1 (ko) * 2000-12-29 2003-07-31 삼부산업주식회사 패스너테이프의 후크성형장치
US7162780B2 (en) * 2001-02-26 2007-01-16 Velcro Industries B.V. Skin-friendly hook fastening component
JP3818431B2 (ja) * 2001-03-08 2006-09-06 Ykk株式会社 一体成形面ファスナーとその連続製造方法及び連続製造装置
US7785095B2 (en) 2001-03-14 2010-08-31 Velcro Industries B.V. Molding apparatus and related methods
CN100396473C (zh) * 2001-04-23 2008-06-25 福建浔兴拉链科技股份有限公司 注塑拉链成型机构
USRE42475E1 (en) 2001-06-04 2011-06-21 Velcro Industries B.V. Fasteners engageable with loops of nonwoven fabrics and with other open structures, and methods and machines for making fasteners
US6843944B2 (en) 2001-11-01 2005-01-18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Apparatus and method for capping wide web reclosable fasteners
US20030087059A1 (en) * 2001-11-05 2003-05-08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Composite webs with discrete elastic polymeric regions
US6942894B2 (en) 2001-11-05 2005-09-13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ethods for producing composite webs with reinforcing discrete polymeric regions
US7037457B2 (en) * 2001-11-05 2006-05-02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Systems and methods for composite webs with structured discrete polymeric regions
US7703179B2 (en) * 2001-11-09 2010-04-27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icroreplicated surface
AU2002367012A1 (en) * 2002-01-15 2003-07-30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Heat treated extruded hook fastener
US7052636B2 (en) * 2002-01-15 2006-05-30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Heat treated profile extruded hook
FR2840175B1 (fr) * 2002-05-31 2004-09-10 Aplix Sa Dispositif de fixation d'une moquette par un systeme a crochets et boucles
US7275290B2 (en) * 2003-06-04 2007-10-02 Velcro Industries B.V. Touch fasteners
US7520033B2 (en) * 2003-10-15 2009-04-21 Velcro Industries B.V. Multiple-crook male touch fastener elements
US20050132544A1 (en) * 2003-12-23 2005-06-23 Jayshree Seth Split hook fastener
US7897078B2 (en) * 2004-03-09 2011-03-01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ethods of manufacturing a stretched mechanical fastening web laminate
US20050217087A1 (en) * 2004-04-05 2005-10-06 Gallant Christopher M Self-engaging, double-sided fastener products
US7444722B2 (en) * 2004-04-30 2008-11-04 Kimberly-Clark Worldwide, Inc. Refastenable absorbent garment
US20050241119A1 (en) * 2004-04-30 2005-11-03 Nadezhda Efremova Refastenable garment attachment means with low impact on the garment
US7217119B2 (en) * 2005-05-18 2007-05-15 Velcro Industries B.V. Fastener molding
US7641469B2 (en) * 2004-09-28 2010-01-05 Velcro Industries B.V. Fastener molding
US7601284B2 (en) * 2005-04-06 2009-10-13 Velcro Industries B.V. Molding fastener elements on folded substrate
ES2308747T3 (es) * 2005-05-05 2008-12-01 Velcro Industries B.V. Moldeo de filamentos de cierre sobre un substrato.
US20070187356A1 (en) * 2006-02-13 2007-08-16 Fujifilm Corporation Method of manufacturing a resin molded article and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n ink jet head
US7845413B2 (en) * 2006-06-02 2010-12-07 Schlumberger Technology Corporation Method of pumping an oilfield fluid and split stream oilfield pumping systems
US7622180B2 (en) * 2006-07-10 2009-11-24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Net hook fasteners
US7534481B2 (en) * 2006-08-08 2009-05-19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Shaped elastic tab laminates
US8524092B2 (en) 2006-12-14 2013-09-03 Carnegie Mellon University Dry adhesives and methods for making dry adhesives
FR2917275A1 (fr) * 2007-06-13 2008-12-19 Aplix Sa Dispositif auto-agrippant a crochets a grande souplesse
US7806677B2 (en) 2007-07-16 2010-10-05 Velcro Industries B.V. Molding apparatus and related systems and methods
KR100888057B1 (ko) * 2007-11-29 2009-03-11 한국기계연구원 몰딩을 이용한 건식부착물 제조방법
US8375529B1 (en) 2008-07-29 2013-02-19 Leonard Arnold Duffy Touch engageable fastener
CZ304397B6 (cs) * 2008-09-18 2014-04-16 Fyzikální ústav AV ČR, v.v.i. Tichý suchý zip z materiálů s tvarovou pamětí
US8206631B1 (en) * 2008-09-18 2012-06-26 Carnegie Mellon University Methods of making dry adhesives
TWI511865B (zh) 2009-01-20 2015-12-11 Gerald F Rocha 製造鉤式固定件之方法及裝置
FR2945413B1 (fr) * 2009-05-15 2011-05-06 Aplix Sa Element d'accrochage pour former la partie male d'un auto-agrippant
US9138957B2 (en) * 2010-06-21 2015-09-22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Slit hook strips and laminates and articles containing the same
JP6066332B2 (ja) 2010-07-16 2017-01-25 ジェラルド・ロシャ 次元的に柔軟なタッチ・ファスナー・ストリップ
WO2012025980A1 (ja) 2010-08-23 2012-03-01 Ykk株式会社 成形面ファスナー
US10016022B2 (en) * 2015-10-07 2018-07-10 Ykk Corporation Hook fastener and methods for manufacturing same
TWI555477B (zh) * 2015-12-03 2016-11-01 Taiwan Paiho Ltd Mushroom Head Shot Hook and Velcro with the Mushroom Head Shot
FR3050620B1 (fr) * 2016-04-29 2019-08-02 Aplix Dispositif de retenue ameliore comprenant des elements de retenue renforces
JP7094890B2 (ja) 2016-04-29 2022-07-04 アプリックス 強化保持要素を備える改良された保持具
US10349707B2 (en) 2016-07-05 2019-07-16 Alfatex Nv Fastener tape
TWI585012B (zh) * 2016-07-07 2017-06-01 Taiwan Paiho Ltd 表面接合扣具
TWI635028B (zh) * 2016-09-09 2018-09-11 台灣百和工業股份有限公司 Surface joint fastener
WO2019011524A1 (en) 2017-07-11 2019-01-17 Velcro BVBA FORMATION OF FIXING ELEMENTS
US11160334B2 (en) 2017-08-18 2021-11-02 Velcro Ip Holdings Llc Fastener element shape
JP2020028381A (ja) * 2018-08-21 2020-02-27 Ykk株式会社 成形面ファスナーの製造方法及び成形装置
JP7490771B2 (ja) * 2020-06-16 2024-05-27 クラレファスニング株式会社 片面に多数の壁状突起が平行に存在している樹脂シート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E624753A (ko) * 1961-11-14
US3312583A (en) * 1963-10-02 1967-04-04 James J Rochlis Apertured and staggered molded pile product
US3266113A (en) * 1963-10-07 1966-08-16 Minnesota Mining & Mfg Interreacting articles
US3408705A (en) * 1966-07-07 1968-11-05 Minnesota Mining & Mfg Fastener articles
US3522637A (en) * 1968-03-06 1970-08-04 George C Brumlik Self-gripping fastening filament
US3594863A (en) * 1969-07-10 1971-07-27 American Velcro Inc Apparatus for molding plastic shapes in molding recesses formed in a moving endless belt
US4198734A (en) * 1972-04-04 1980-04-22 Brumlik George C Self-gripping devices with flexible self-gripping means and method
US3879835A (en) * 1972-10-19 1975-04-29 George C Brumlik Method of making multi element self-gripping device having cooperating gripping elements
US3921259A (en) * 1973-09-12 1975-11-25 Ingrip Fasteners Self-gripping device with composite gripping elements
US4169303A (en) * 1976-11-24 1979-10-02 Lemelson Jerome H Fastening materials
JPS60843B2 (ja) * 1979-04-05 1985-01-10 ワイケイケイ株式会社 ベルベツト式フアスナ−用テ−プ
US4454183A (en) * 1982-02-26 1984-06-12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Strip material with heat-formed hooked heads
US4872243A (en) * 1984-04-16 1989-10-10 Velcro Industries B.V. Multi-hook fastener member
US4894060A (en) 1988-01-11 1990-01-16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Disposable diaper with improved hook fastener portion
JPH0787766B2 (ja) 1988-06-24 1995-09-27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超音波解凍機
US4984339A (en) 1988-10-20 1991-01-15 Velcro Industries B.V. Hook for hook and loop fasteners
JPH0355716U (ko) * 1989-10-03 1991-05-29
JPH0431512U (ko) * 1990-07-03 1992-03-13
US5077870A (en) * 1990-09-21 1992-01-07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Mushroom-type hook strip for a mechanical fastener
US5679302A (en) 1990-09-21 1997-10-21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Method for making a mushroom-type hook strip for a mechanical fastener
JP2744384B2 (ja) 1992-07-22 1998-04-28 ワイケイケイ株式会社 裏面に裏部材を有する係合部材の製造方法及びその装置
JP2854236B2 (ja) * 1993-12-28 1999-02-03 ワイケイケイ株式会社 面ファスナーの製造方法及びその装置
JP3474644B2 (ja) * 1994-08-26 2003-12-08 Ykk株式会社 一体成形面ファスナー
JP3183785B2 (ja) * 1994-10-24 2001-07-09 ワイケイケイ株式会社 一体成形面ファスナーのフック片構造
JP3474688B2 (ja) * 1994-12-02 2003-12-08 Ykk株式会社 一体成形面ファスナー
JP3102542B2 (ja) * 1994-12-26 2000-10-23 ワイケイケイ株式会社 面ファスナーの製造方法及びその装置
US5620769A (en) * 1995-05-02 1997-04-15 Ykk Corporation Molded surface fasten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H08299032A (ja) * 1995-05-09 1996-11-19 Ykk Kk 成形面ファスナ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811332A3 (en) 1998-12-16
MX9605267A (es) 1997-12-31
CN1312160A (zh) 2001-09-12
CN1312161A (zh) 2001-09-12
US5792408A (en) 1998-08-11
JPH09322811A (ja) 1997-12-16
HK1036433A1 (en) 2002-01-04
CA2189295A1 (en) 1997-12-06
DE69631646T2 (de) 2004-12-23
CN1102103C (zh) 2003-02-26
AU691129B2 (en) 1998-05-07
ID17037A (id) 1997-12-04
TW368806U (en) 1999-09-01
US5800845A (en) 1998-09-01
HK1036432A1 (en) 2002-01-04
JP3461662B2 (ja) 2003-10-27
CN1067940C (zh) 2001-07-04
SK142096A3 (en) 1998-10-07
ES2213168T3 (es) 2004-08-16
EP0811332B1 (en) 2004-02-25
AU7052796A (en) 1997-12-11
IL119534A (en) 2001-06-14
EP0811332A2 (en) 1997-12-10
HK1003374A1 (en) 1998-10-30
CN1102102C (zh) 2003-02-26
CA2189295C (en) 2000-04-04
RO119339B1 (ro) 2004-08-30
CN1167677A (zh) 1997-12-17
PL317083A1 (en) 1997-12-08
ZA975026B (en) 1998-01-14
KR980000866A (ko) 1998-03-30
US5755015A (en) 1998-05-26
BR9702445A (pt) 1998-07-07
IL119534A0 (en) 1997-01-10
CZ319996A3 (cs) 1999-12-15
EP0811332B9 (en) 2004-09-15
DE69631646D1 (de) 2004-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56030B1 (ko) 성형 면파스너와 이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6357088B2 (en) Hook fasteners and methods of manufacture
KR100256031B1 (ko) 성형 면파스너
US6678924B2 (en) Integral molded surface fastener, and continuous manufacturing method and continuous manufacturing apparatus therefor
EP1395136B1 (en) Method of forming fasteners
US7727440B2 (en) Methods of making fastener products
US5749129A (en) Molded surface fastener,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H1156413A (ja) 一体成形面ファスナー
US6127018A (en) Synthetic resin skidproof device
USRE42475E1 (en) Fasteners engageable with loops of nonwoven fabrics and with other open structures, and methods and machines for making fasten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8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7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