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54704B1 - 클로스로울 교환장치 - Google Patents

클로스로울 교환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54704B1
KR100254704B1 KR1019930007069A KR930007069A KR100254704B1 KR 100254704 B1 KR100254704 B1 KR 100254704B1 KR 1019930007069 A KR1019930007069 A KR 1019930007069A KR 930007069 A KR930007069 A KR 930007069A KR 100254704 B1 KR100254704 B1 KR 1002547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oth
rollers
pair
rocking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070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21847A (ko
Inventor
반바히데끼
Original Assignee
데라다 도키오
쯔다고마 고오교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데라다 도키오, 쯔다고마 고오교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데라다 도키오
Publication of KR9300218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218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47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4704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9/00Details or constructional features not specially adapted for looms of a particular type
    • D03D49/04Control of the tension in warp or cloth
    • D03D49/20Take-up motions; Cloth bea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9/00Changing the web roll
    • B65H19/22Changing the web roll in winding mechanisms or in connection with winding operations
    • B65H19/30Lifting, transporting, or removing the web roll; Inserting core
    • B65H19/305Inserting co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9/00Changing the web roll
    • B65H19/22Changing the web roll in winding mechanisms or in connection with winding operations
    • B65H19/30Lifting, transporting, or removing the web roll; Inserting co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1Winding, unwinding
    • B65H2301/417Handling or changing web rolls
    • B65H2301/4171Handling web roll
    • B65H2301/4172Handling web roll by circumferential portion, e.g. rolling on circumfere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1Winding, unwinding
    • B65H2301/417Handling or changing web rolls
    • B65H2301/4171Handling web roll
    • B65H2301/4173Handling web roll by central portion, e.g. gripping central por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1Winding, unwinding
    • B65H2301/417Handling or changing web rolls
    • B65H2301/418Changing web roll
    • B65H2301/4182Core or mandrel insertion, e.g. means for loading core or mandrel in winding position
    • B65H2301/41826Core or mandrel insertion, e.g. means for loading core or mandrel in winding position by gripping or pushing means, mechanical or suction gripp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Replacement Of Web Rolls (AREA)
  • Looms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Abstract

직기(10)에 설치되어 서로 평행한 한쌍의 로울러(14,16)에 이 로울러와 평행하게 재치되고 직물(18)이 감겨있는 만 클로스로울(21)을 이 만 클로스로울보다 상방에 배치된 공 클로스로울(36)과 교환하기 위한 장치로서, 직기에 지지되어 한쌍의 로울러의 축선과 평행한 축선의 둘레에 요동가능한 한쌍의 요동부재(44)와, 한쌍의 요동부재에 요동운동을 발생하게 하기위한 구동수단(64)을 포함하고, 양 요동부재는 이 양 요동부재의 일방향으로 요동운동의 사이에 만 클로스로울을 직기의 전방에 전동시켜야할 이 만 클로스로울의 단부에 압력을 가하는 접촉부(60)와, 접촉부의 후방에 있으며 만 클로스로울의 직물주면과 협동으로 클로스로울을 수용하고 양 요동부재의 일방향으로의 요동사이에 만 클로스로울의 직물주면과 협동하여 공 클로스로울을 한쌍의 로울러 바로위에 인도하는 안내벽(54)을 지고있다.

Description

클로스(Cloth)로울 교환장치
제1도는 클로스로울 교환장치의 개략적인 평면도.
제2도는 제1도의 선 2-2를 따라서 얻은 종단면도(다만, 도면의 번잡을 피하기 위하여 로울러 및 축부재의 해칭은 생략함).
제3도는 만(滿)클로스로울이 수용대의 후단에 도달한 상태의 종단면도.
제4a도는 만 클로스로울이 수용대의 중앙부에 도달한 상태의 종단면도.
제4b도는 공(空)클로스로울을 핀이 아닌 수용부재로 지지하는 제4a도와 같은 종단면도.
제5도는 일부를 변경한 다른 클로스로울 교환장치에서 만 클로스로울이 한쌍의 로울러위에 있는 상태의 종단면도.
제6도는 만 클로스로울이 수용대의 중앙부에 도달한 상태의 종단면도.
제7도는 요동부재가 역방향으로 요동된 상태의 종단면도.
제8도는 일부를 변경한 다른 클로스로울 교환장치에 있어서 만 클로스로울이 한쌍의 롤러위에 있는 상태의 종단면도.
제9도는 만 클로스로울이 수용대의 중앙부에 도달하기직전인 종단면도.
제10도는 만 클로스로울이 수용대의 중앙에 도달한 상태의 종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직기 14,16 : 한쌍의 로울러
18 : 직물 18a : 만 클로스로울의 주위의 직물의 단면
20 : 클로스로울 21 : 만 클로스로울
34 : 클로스로울 교환장치 36 : 공 클로스로울
40 : 핀 44 : 요동부재
46 : 안내홈 48,50 : 안내홈의 상단 및 하단
60 : 접촉부
본 발명은 직물이 감겨진 만 클로스로울을 공 클로스로울과 교환하기 위한 교환장치에 관한 것이다.
직기에는 그 하방위치의 한쌍의 로울러위에 재치된 만 클로스로울을 상기 직기의 상방 위치에 배치된 공 클로스로울과 교환하기 위한 교환장치를 구비하는 것이 있었다. (일본 특개평 1-97241호, 미합중국 특허제 5,063,970호 참조).
이 교환장치들은 한쌍의 로울러위의 만 클로스로울의 양단부에 압력을 가하여 만 클로스로울을 직기의 전방의 수용대로 밀어내는 왕복이동 부재와, 공 클로스로울을 이 클로스로울이 배치된 위치 부근에서 한쌍의 로울러의 상방부근까지 반송하고 그후 상기 로울러쌍위로 석방하는 반송장치로 이루어진다.
일본 특개평 1-97241호 공보에 기재된 반송장치는 공 클로스로울의 각단부를 수용하는 개구부를 가지는 승강부재와, 이 승강부재의 승강운동시에 상기 개구부를 덮는 수직가이드로 이루어진다. 상기 승강부재는 그 개구부가 수직가이드에 의하여 덮혀지지 않는 최대 높이 위치에 있어서 공 클로스로울의 배치위치에서 방출된 이 공 클로스로울 단부를 그 개구부에 수용한후, 최저높이 위치까지 하강한다. 하강도중, 승강부재의 개구부는 수직가이드에 의하여 덮혀 있기 때문에 클로스로울의 단부는 승강부재에 보호지지된다. 승강부재의 개구부가, 이 개구부가 수직가이드에 의하여 덮히지 않는 최저높이 위치에 도달하면, 공 클로스로울의 단부가 개구부를 거쳐 한쌍의 로울러 위에 완만한 속도로 굴러 떨어진다.
또 미합중국 특허제 5,063,970호 공보에 기재된 반송장치는 요동가능하게 지지된 공 클로스로울을 재치하기 위한 수용판이 설치된 일단부를 갖는 뎀퍼아암으로서 수용판에 공 클로스로울이 재치될 때에 이 공 클로스로울의 자체중량때문에 요동하는 뎀퍼아암과 뎀퍼아암의 요동운동을 규제하는 캠부재로 된다.
상기 왕복이동부재가 전방으로 요동되어 만 클로스로울이 수용대로 나가게 되면 공 클로스로울의 재치위치에서 방출되는 공 클로스로울은 일단 상방에 대기하는 뎀퍼아암의 수용판에 수용된다. 공 클로스로울을 수용한 뎀퍼아암은 공 클로스로울의 자체중량에 의하여 요동하려고 하나, 전방으로 요동중의 왕복이동부재의 캠부재에 의하여 그 요동은 저지된다. 이어서 왕복이동부재가 반대방향으로 요동되면 뎀퍼아암은 캠면을 따라서 서서히 요동하고, 공 클로스로울도 서서히 하강하여 한쌍의 로울러의 근방에 도달하면, 수용판의 경사가 급하게 되므로 공 클로스로울은 수용판에서 한쌍의 로울러 위로 떨어진다.
일본 특개평 1-97241호 공보에 기재된 반송장치의 수직가이드는 만 클로스로울을 밀어내는 왕복이동 부재와 겸용되고 있으나, 승강부재 및 그 구동부재를 설치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교환장치를 소형화 하기가 곤란하다.
또 미합중국 특허 제5,063,970호 공보에 기재된 반송장치에서는 상기 뎀퍼 아암을 구동하기 위한 특별한 구동부재를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뎀퍼 아암을 공 클로스로울의 자체중량에 의하여 요동시키도록 하고 있으나, 수용판으로부터 공 클로스로울의 낙하방지 대책이 되어 있지 않으므로 진동중에 의하여 클로스로울이 한쌍의 로울러의 바로위에 이르기전에 굴러 떨어지는 결점이 있다. 또 요동부재의 배치 공간외에 뎀퍼아암의 배치 공간을 필요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종래장치의 결점을 감안하여, 반송장치의 구동부재를 요동부재의 구동부재와 겸용하고 공간을 취하지 않으며, 또 공 클로스로울을 확실하게 한쌍의 로울러위에 낙하시키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장치는 수용대로 밀려나는 만 클로스로울의 직물주면과 만 클로스로울을 밀어내기위한 요동부재의 안내벽이 가이드로서 한쌍의 로울러를 향하여 공 클로스로울을 완만하게 이동시킬수 있다.
상기 공 클로스로울이 그 배치위치에서 방출되면 공 클로스로울은 직포의 주면과 안내에 수용된다. 요동부재를 일방향으로 요동시켜 한쌍의 로울러 위에서 전방으로 만 클로스로울을 전동시키면, 그 전동의 도중 또는 전동후, 만 클로스로울의 직물주면과 안내벽은 협동해서 공 클로스로울을 하방으로 인도하여 한쌍의 로울러위로 방출한다. 만 클로스로울의 직물주면의 연장과 요동부재의 안내벽과의 거리를 하방으로 향하여 점차감소하도록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같이 공 클로스로울은 이것이 한쌍의 로울러위에 위치할때까지 요동부재의 안내벽과 만 클로스로울의 직물주면에 구속되므로 공 클로스로울의 한쌍의 로울러위로 낙하를 확실히 할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한쌍의 요동부재가 공 클로스로울을 안내하고 만 클로스로울을 압착하는 두가지작용을 하므로 이 두가지 작용을 각각 두쌍의 부재에 부담시키도록 한 종래의 장치에 비하여 교환장치 전체의 구조는 단순하고 소형이다.
요동부재에 그 요동의 사이에 상방에 배치된 공 클로스로울의 단부로 밀어올리는 압상부를 설치하는 것에 의해, 공 클로스로울을 그 지지위치에서 요동부재의 안내벽과 만 클로스로울의 직물주면과의 사이로 인도할수 있다.
제1도 내지 제4a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다. 직기(10)의 앞쪽(도면상 오른쪽)을 규정하는 서로 평행한 한쌍의 프레임(12)의 하부에 전후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둔 한쌍의 평행한 로울러(14),(16)가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양로울러(14),(16)에는 직기(10)의 뒤쪽(도면상 왼쪽)의 제직부(도시 않함)에서 짜여진 직물(18)이 감겨있는 클로스로울(20)이 양 로울러(14),(16)와 평행하게 재치되어 있다. 양 로울러(14),(16)의 최소한 한쪽은 그 축선주위로 구동,회전되어 양 로울러위의 클로스로울(20)을 회전시킨다. 양 프레임(12)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다른 여러개의 로울러(22-32)및 한쪽의 로울러(14)를 차례로 또는 직포(18)는 회전하는 클로스로울(20)에 감겨진다.
소정의 길이의 직물(18)을 클로스로울(20)의 주위에 감은 클로스로울, 즉 만 클로스로울(21)은 후술하는 교환장치(34)를 개재하여 직물이 감겨있지 않은 새로운 클로스로울인 공 클로스로울(36)과 교환된다.
공 클로스로울(36)은 만 클로스로울(21)보다 상방위치에 상기 만 클로스로울과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공 클로스로울(36)은 양 프레임(12)의 전단에서 그 전방으로 연장한 한쌍의 아암(38)에 한쪽만 지지되고 롤러(14),(16)와 평행하게 연장된 두 쌍의 핀(40)에 그 양단부에서 재치되어 있다.
클로스로울의 교환은 만 클로스로울(21)을 한쌍의 로울러(14),(16)에서 직기(10)의 전방에 설치된 수용대(42)로 옮기고 공 클로스로울(36)을 양 로울러(14),(16)위에 재치하는 것에 의해 교환되어 진다. 수용대(42)는 전방의 로울러(14)와 근접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클로스로울 교환장치(34)는 한쌍의 요동부재(44)를 포함한다. 각 요동부재(44)는 양 프레임(12)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양 로울러(14),(16)에 대하여 평행하게 연장된 로드(45)의 양단부근방에 고정되는 것에 의해 각 프레임(12)에 요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양 요동부재(44)는 후술하는바와같이 로드(45)의 축선둘레로 요동될때에 만 클로스로울(21)을 수용대(42)를 향하여 이동시키고 또 공 클로스로울(36)을 한쌍의 로울러(14,16)위로 인도한다.
도시한 각 요동부재(44)는 전체가 S자 모양으로 만곡하여 연장되고, 제2도에서 볼때 그 일단부(상단부)(44a)가 공 클로스로울(36)의 단면과 부분적으로 대향하고 있다. 공 클로스로울(36)을 지지하는 각 쌍의 핀(40)은 그 한쪽의 핀이 요동부재(44)의 상단부(44a)의 전방에 있고 또 그 다른쪽의 핀이 요동부재(44)의 상단부(44a)에 마련된 둥근모양의 장공(41)을 관통하고 있다. 공 클로스로울(36)에 후방으로 향하는 압력을 가하는 것에 의해 공 클로스로울(36)을 요동부재(44)의 타단부(하단부)(44b)를 향하여 낙하 시킬수 있다.
요동부재의 하단부(44b)는 제2도에서 보면 클로스로울(20)의 후방에 있고 로울러(16)의 상방에 위치하고 있다.
양 요동부재(44)는 각각 공 클로스로울(36)을 위한 안내홈(46)을 가지며 양 안내홈(46)은 서로다른 한쪽을 향하여 개방되어 있다. 각 안내홈(46)은 각 요동부재의 상단부(44a)를 제외한 다른부분을 그 만곡형상을 따라서 연장하여 요동부재의 하단부(44b)에서 종단하고 있다.
각 안내홈(46)은 공 클로스로울(36)의 외경보다 약간 큰 폭의 치수를 가지며, 공 클로스로울(36)의 각단부(36a)를 수용하기 위한 상단(48)과 공 클로스로울의 각단부(36a)의 방출을 허용하는 하단(50)을 가진다. 안내홈(46)의 하단(50)은 요동부재(44)를 제2도에서 보아 반시계방향(일방향)으로 요동시킬때 로울러(16)의 상방위치에서 로울러(14)의 상방위치로 이들 로울러를 가로지르도록 이동한다.
공 클로스로울(36)이 양 핀에서 낙하 될때, 안내홈(46)은 한쌍의 로울러(14),(16)위에 만 클로스로울(21)의 직물의 단면(18a)의 상방부와 부분적으로 대향하고 있다. 이로인하여 만 클로스로울(21)의 주면(직물면)의 축선방향으로의 연장과, 안내홈(46)을 규정하는 후술할 상부벽(54)과의 간격(거간거리)은 공 클로스로울(36)의 외경보다 적다. 이때문에 공 클로스로울(36)이 양 핀(40)에서 낙하되면 공 클로스로울(36)은 그 양단부(36a)가 상부벽(54)에 접하고 또 그 중간부(36b)에서 만 클로스로울(21)의 주면에 접하는 것에 의해 지지된다.
각 요동부재(44)의 요동축선을 규정하는 로드(45)는 만 클로스로울(21)보다 상방 위치에 있다. 또 로드(45)의 축선은 만 클로스로울(21)의 축선보다 약간 전방에 있다. 로드(45)의 양단부는 한쌍의 베어링(52)을 개재하여 양 프레임(12)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있다.
로드(45)는 안내홈(46)을 규정하는 상하 한쌍의 벽(54),(56)중 상부벽(안내벽)(54)에 고정된 부재(58)를 관통하여 이 부재(58)에 고정되어 있다.
부재(58)는 요동부재(44)의 신장방향의 거의 중앙부를 가로질러 아래쪽으로 연장된다.
도시한 예에서는 안내홈(46)을 규정하는 상부벽(54)이 만 클로스로울(21)의 직물(18)의 최외주의 곡률에 거의 비슷한 곡률로 만곡하는 부분을 가지며, 하부벽(제2의 안내벽)(56)이 클로스로울(20)의 곡률에 거의 비슷한 곡률로 만곡하는 부분을 가진다.
각 요동부재(44)는 또 클로스로울(20)의 각 단부에 접촉가능한 접촉부(60)를 가진다. 도시한 예에서는 안내홈(46)을 규정하는 하부벽(56)의 하단부가 접촉부(60)를 규정하고 있다. 접촉부(60)는 클로스로울(20)이 한쌍의 로울러(14),(16)위에서 감은 상태 일때 클로스로울(20)의 회전을 저해하지 않도록 클로스로울(20)의 각 단부에 대하여 비접촉상태로 유지된다. 또 하부벽(56)은 그 상단부가 요동부재(44)가 반시계 방향으로 요동될때에 공 클로스로울(36)의 단부(36a)에 밀어올리는 힘을 가하는 압상부(62)를 규정하고 있다.
각 요동부재(44)는 요동운동을 발생시키기 위한 구동수단, 도시한 예에서는 에어실린더(64)가 배치되어 있다. 각 에어실린더(64)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되고 그 일단부(전단부)가 부재(58)의 하단부에 부착되며 또 그 타단부(후단부)가 브라켓(68)을 개재하여 직기(10)에 요동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제2도의 상태에서, 에어실린더(64)를 신장동작시켜 부재(58)와 함께 요동부재(44)를 반시계방향(일방향)으로 요동시키면, 요동부재의 접촉부(60)가 클로스로울(20)의 각 단부에 접촉되어 클로스로울(20)에 누름압력을 가하고 이것을 수용대(42)를 향하여 전동 시킨다. 전동궤적을 일점쇄선으로 표시한다. 다른한편, 반시계 방향으로 요동중인 압상부(62)가 한쌍의 핀(40)사이를 거쳐서 공 클로스로울(36)의 각단부에 접촉된다.
장공(41)은 로드(45)를 중심으로하여 원호형상을 이루기 때문에 후방의 핀(40)은 이 요동운동의 방해가 되지 않는다. 그 결과, 공 클로스로울(36)이 두 쌍의 핀(40)에서 굴러 떨어져 그 각단부(36a)가 각 요동부재(44)의 안내홈(46)에 그 상단(48)부터 들어간다. 이 사이의 공 클로스로울(36)의 축선의 궤적을 일점쇄선으로 표시한다.
요동부재(44)의 요동은 제3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만 클로스로울(21)이 수용대(42)의 후단부에 놓일때까지 행하여 진다. 도시한 예에서는 수용대(42)의 후단부가 전방을 향하여 하강하고 있기 때문에 이후 만 클로스로울(21)은 수용대(42)를 그 중앙부를 향하여 전방으로 전동한다. 상기한 바와같이 요동부재(44)의 요동범위, 공 클로스로울(36)의 이동궤적의 일부 및 만 클로스로울(21)의 이동궤적을 각각 제2도에 일점쇄선으로 표시한다.
만 클로스로울(21)이 수용대(42)의 중앙부로 이동하는 사이에 만 클로스로울(21)주면의 축선방향으로의 연장과 요동부재의 상부벽(54)과의 거리가 점증한다. 이 때문에 공 클로스로울(36)의 중간부(36b)가 만 클로스로울의 주면 즉 직물면에 접하면서 공 클로스로울의 각단부(36a)가 각 요동부재(44)의 안내홈(46)을 완만하게 하강한다.
제4도a에 도시한 바와같이 만 클로스로울(21)이 수용대(42)의 중앙부에 이를때, 만 클로스로울의 직물(18)주면의 연장과 요동부재의 안내홈(46)을 규정하는 상부벽(54)과의 거리가 공 클로스로울(36)의 외경보다 커지고 그결과 공 클로스로울(36)의 단부(36a)가 안내홈(46)의 하단(50)에서 방출되며, 공 클로스로울(36)은 전방의 로울러(14)위에 낙하하고 이어서 양 로울러(14),(16)사이에 이동한다. 그후, 에어실린더(64)를 수축동작시켜서 요동부재(44)를 시계방향(다른방향)으로 요동시켜서 원 위치로 복귀시킨다. 이때 하부벽(56)의 하단이 공 클로스로울(36)에 접촉하지 않도록 하부벽(56)의 길이치수가 설정되어 있다.
양핀(40)대신으로 제4b도에 도시한바와같이 공 클로스로울의 단부를 재치할수 있는 원호형상의 수용부재(43)를 아암(38)에서 돌출하는 지지부재(47)로 지지하고, 다시 수용부재(43)의 요동부재(44)와 대향하는 측에 요동부재(44)가 요동하는 사이에 하부벽(56)의 상부의 이동을 허용하는 절개부(43a)를 마련할수 있다. 이것에 의하면 요동부재(44)의 구멍(41)의 형성이 필요없게 된다.
제2실시예를 도시한 제5 - 7도를 참조하면 공 클로스로울(36)을 지지하는 후방의 핀(40)의 상대이동을 허용하는 요동부재(44)의 장공(41)의 하단이 안내홈(46)을 규정하는 하부벽(56)의 일부를 절개한 개방단으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요동부재(44)의 요동가능범위(제5도에 도시한 일점쇄선을 참조)는 제1 - 4도에 도시한 예보다 크다.
이 예에서는 제2도에 있어서와 동일한 상태를 나타내는 제5도의 상태에서 만 클로스로울(21)이 수용대(42)의 중앙부에 이르기까지 에어실린더(64)를 작동시켜 요동부재의 접촉부(60)와 클로스로울(20)의 단부와 접촉상태를 유지한다(제6도). 따라서 이사이, 만 클로스로울(21)주면의 축선방향으로의 연장과 요동부재(44)의 상부벽(54)과의 거리는 변화하지만 공 클로스로울(36)을 하방까지 낙하시키기 까지에 이르지 못한다(제6도). 그후 제7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에어 실린더(64)를 수축동작시켜서 요동부재(44)를 역방향(다른 방향)으로 요동시키면, 안내홈(46)의 하단(50)이 양롤러(14),(16)사이의 상방위치에 이를때 이간거리가 증대하여 공 클로스로울(36)이 양 로울러(14),(16)사이에 완만하게 낙하한다.
다음은 제8 - 10도에 도시한 제3실시예에서는 제2도 및 제8도의 비교에서 명확한 바와같이 요동부재(44)가 제2도에 도시한 상태보다도 시계방향으로 약간의 각도를 미리 요동하고 있다. 이 때문에 에어실린더(64)의 전단부와 부재(58)의 연결이 제2도에 도시한 예보다 안내홈(46)의 하단(50)에 가깝고 하부벽(56)보다 더욱 전방에서 되고, 접촉부(60)가 다시 전방에 마련되어 또 장공(41)이 제2도의 예에 비하여 보다 긴것으로 되어 있다.
이 예에 의하면 만 클로스로울(21)이 수용대(42)의 중앙부의 직전에 이르기까지 에어실린더(64)를 신장동작시켜서 요동부재(44)를 반시계방향으로 요동시킨다(제9도). 이사이 공 클로스로울(36)의 단부(36a)는 안내홈(46)의 하단(50)의 바로위까지 이동하고 공 클로스로울의 중간부(36b)는 직물면에 접한다. 그후 에어실린더(64)를 수축동작시켜서 요동부재(44)를 시계방향으로 요동시킨다. 안내홈(46)의 하단(50)이 전방의 로울러(14)의 상방위치로 이동하면 공 클로스로울(36)의 단부(36a)는 하단(50)에서 개방되고, 공 클로스로울(36)은 로울러(14)위에 낙하한후 양 로울러(14),(16)사이에 굴러 떨어진다.
이리하여 양 로울러간에 공 클로스로울(36)이 공급되고 클로스로울의 교환작업이 완료된다.
그후 컷터(72)가 축선방향으로 이동되어 직물(18)이 갈라진다.
또 부호 70은 각 요동부재(44)에 마련된, 요동부재(44)가 요동하는 사이에 만 클로스로울(21)이 축선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이것을 저지하는 판상부를 나타낸다.

Claims (3)

  1. 직기(10)에 설치되어 서로 평행한 한쌍의 로울러(14),(16)에 이 로울러와 평행하게 재치되고 직물(18)이 감겨있는 만 클로스로울(21)을 이 만 클로스로울(21)보다 상방에 배치된 공 클로스로울(36)과 교환하기위한 장치로서, 직기(10)에 지지되어 한쌍의 로울러(14),(16)의 축선과 평행한 축선의 둘레에 요동가능한 한쌍의 요동부재(44)와, 한쌍의 요동부재(44)에 요동운동을 발생 시키기위한 구동수단을 포함하고, 양 요동부재(44)는 이 양 요동부재(44)가 일방향으로 요동운동하는 사이에 만 클로스로울(21)을 지기(10)의 전방에 전동시켜야할 이 만 클로스로울(21)의 단부에 압력을 가하는 접촉부(60)와, 접촉부(60)의 후방에 있으며 만 클로스로울(21)의 직물(18)의 주면과 협동하여 공 클로스로울(36)을 수용하고 양 요동부재(44)가 일방향으로 요동하는 사이에 만 클로스로울의 직물(18)의 주면과 협동하여 공 클로스로울(36)을 한쌍의 로울러(14),(16)의 바로위에 인도하고 안내벽(54)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클로스로울 교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 요동부재(44)는 다시 상기 안내벽(54)에서 그 전방으로 상기 공 클로스로울(36)의 외경보다 큰 간격을 둔 제2의 안내벽(56)을 가지며, 제2의 안내벽은 양 요동부재(44)의 다른방향으로의 요동운동시에 한쌍의 로울러(14),(16)위의 공 클로스로울(20)에 접촉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클로스로울 교환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요동부재(44)가 그 요동하는 사이에 상방에 배치된 공 클로스로울(36)의 단부를 밀어올리는 힘을 가하는 압상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클로스로울 교환장치.
KR1019930007069A 1992-04-27 1993-04-27 클로스로울 교환장치 KR10025470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4131441A JP3054266B2 (ja) 1992-04-27 1992-04-27 クロスロール交換装置
BG92-131441 1992-04-27
JP92-131441 1992-04-27
BG96274 1992-04-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21847A KR930021847A (ko) 1993-11-23
KR100254704B1 true KR100254704B1 (ko) 2000-05-01

Family

ID=150580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07069A KR100254704B1 (ko) 1992-04-27 1993-04-27 클로스로울 교환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309948A (ko)
EP (1) EP0567988B1 (ko)
JP (1) JP3054266B2 (ko)
KR (1) KR100254704B1 (ko)
DE (1) DE69305222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5019906B3 (de) * 2005-04-29 2006-03-30 Lindauer Dornier Gmbh Webmaschine mit lösbarer Verbindung zwischen einem Antriebsmittel und dem Kettbaum einer Webmaschine
CN101914828B (zh) * 2010-08-23 2015-08-05 浙江奔特纺织机械有限公司 一种设于纺织机上的压布辊结构
CN106948075B (zh) * 2017-05-13 2022-07-29 福建泉州凹凸精密机械有限公司 自动落布系统
CN108773713B (zh) * 2018-06-14 2019-07-26 武汉纺织大学 一种单边型自动多载落布小车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45010A (en) * 1965-08-09 1967-10-03 Frank W Egan & Company Winder roll ejector
US4606381A (en) * 1984-02-16 1986-08-19 Tsudakoma Kogyo Kabushiki Kaisha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exchanging cloth rollers in a loom
JPH0197241A (ja) * 1987-10-06 1989-04-14 San M Shokai:Kk 織機のクロスローラ交換装置
EP0401824A1 (en) * 1989-06-08 1990-12-12 Nissan Texsys Co., Ltd. Loom with device for automatically exchanging cloth beams
BE1004499A3 (nl) * 1990-06-19 1992-12-01 Picanol Nv Werkwijze en inrichting voor het vervangen van een doekboom bij weefmachines.
BE1004066A3 (nl) * 1990-12-17 1992-09-15 Picanol Nv Inrichting voor het bevestigen van een element in een freem.
DE4105824A1 (de) * 1991-02-25 1992-08-27 Dornier Gmbh Lindauer Kettbaum-hubwagen zum wechseln von kettbaeumen mit steckachsenlager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567988B1 (en) 1996-10-09
JPH05302239A (ja) 1993-11-16
DE69305222D1 (de) 1996-11-14
KR930021847A (ko) 1993-11-23
US5309948A (en) 1994-05-10
JP3054266B2 (ja) 2000-06-19
EP0567988A1 (en) 1993-11-03
DE69305222T2 (de) 1997-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2754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joining a thread
US372885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rupting the supply of fiber material to a spinning machine
US5341579A (en) Device for removing a web from a drying cylinder
KR950006386B1 (ko) 웨브(web) 권취 방법 및 장치
US5799374A (en) Spinning machine for the doubling or stretching of fiber bands
KR100254704B1 (ko) 클로스로울 교환장치
US4630651A (en) Apparatus for the constrained actuation of the clamping system of filling-yarn insertion devices in shuttleless weaving machines
JP3680589B2 (ja) 合成繊維の巻取装置および巻取方法
US4824037A (en) Apparatus for freeing the bottom wraps and the downwinds of yarn from a textile bobbin
JPH0930725A (ja) 綾巻きパッケージを製造するための繊維機械
JPS6034035Y2 (ja) 紡機のクリヤラ装置における駆動装置
JPH09111600A (ja) 織機におけるバックローラ持ち上げ装置
JP2553476B2 (ja) 紡糸巻取機
EP0875480B1 (en) Yarn-transferring method in a take-up winder
SU1211196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поштучной выдачи цилиндрических деталей
JP3114429B2 (ja) 粗糸替機の粗糸垂れ防止装置
FI91296B (fi) Paperi- tai kartonkikoneen kalanteri
US4566500A (en) Apparatus for the constrained actuation of the clamping system of filling-yarn insertion devices in shuttleless weaving machines
JPS5922126Y2 (ja) 杼換式自動織機の給杼装置
JPS6117959Y2 (ko)
US1152541A (en) Stop-motion.
JPH08301527A (ja) 紡糸巻取機のセパレータ
JPH0350014B2 (ko)
JP2966192B2 (ja) クロスロールへの織布の巻き付け方法および装置
JPH03834A (ja) 消極ドビー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11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