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54652B1 - 아민을 결합한 수지 및 방오도료 - Google Patents

아민을 결합한 수지 및 방오도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54652B1
KR100254652B1 KR1019980701729A KR19980701729A KR100254652B1 KR 100254652 B1 KR100254652 B1 KR 100254652B1 KR 1019980701729 A KR1019980701729 A KR 1019980701729A KR 19980701729 A KR19980701729 A KR 19980701729A KR 100254652 B1 KR100254652 B1 KR 1002546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mary amine
self
monomer
parts
polishing antifou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17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44481A (ko
Inventor
이사오 나카무라
나오키 야마모리
Original Assignee
후지이 히로시
닛본 페인트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이 히로시, 닛본 페인트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이 히로시
Publication of KR199900444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444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46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4652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16Antifouling paints; Underwater pai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16Antifouling paints; Underwater paints
    • C09D5/1606Antifouling paints; Underwater paints characterised by the anti-fouling agent
    • C09D5/1637Macromolecular compounds
    • C09D5/165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hydrolysable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8/00Chemical modification by after-treatment
    • C08F8/30Introducing nitrogen atoms or nitrogen-containing groups
    • C08F8/32Introducing nitrogen atoms or nitrogen-containing groups by reaction with amin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Abstract

자기연마형 방오도료의 비히클 수지로서, 분자내에 탈수축합에 의해 1차 아민을 결합한 카르보닐기를 갖는 복수의 펜던트기를 가지고 있는 비닐 중합체를 사용한다. 비히클 수지로서 이 비닐 중합체를 함유하는 방오도료의 도막은, 해수중의 가수분해에 의해 방오성의 1차 아민을 서서히 방출하고, 동시에 도막이 이 표면으로부터 서서히 용해한다.

Description

아민을 결합한 수지 및 방오도료{RESIN CONTAINING AMINE BONDED THERETO AND ANTIFOULING PAINT}
트리알킬주석 고분자화합물을 비히클로 하는 방오도료가 알려져 있다. 이 방오도료는, 방오제 용출량을 방오성을 유지하는 최저 레벨로 제어하고, 또한 일정량을 장기간에 걸쳐서 용출하는 점에서 우수하다. 이 도료는 비히클로서 사용하는 트리알킬주석 고분자화합물이 해수의 미(微)알카리성 분위기에서 가수분해하고, 주석화합물을 방출함과 동시에 비히클이 수용화되어 도막이 소모되고, 그 때문에 도막의 요철이 평활해지고, 선박의 해수마찰저항을 감소시켜 연료비 절감에 기여한다.
이 자기연마형 도료의 비히클 수지는, 가령 트리알킬주석 (메타)아크릴레이트의 공중합체이다. 그러나, 트리알킬주석의 생태계에서의 영향의 관점에서, 트리알킬주석 고분자화합물에 대신하는 자기연마형 방오도료용 비히클수지의 개발이 요망되고 있다.
이제까지 제안된 대부분의 자기연마형 방오도료용 비히클 수지는 금속화합물 또는 이온을 방출하는 것이다. 최근 본 발명자들은, 아닐린 및 그 핵치환체와 같은 1차 아민도 부착생물에 대하여 방오효과를 갖는 것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가수분해에 의해 방오효과를 갖는 1차 아민을 제어된 태양으로 방출하고, 한편 남은 도막은 수용화하여 서서히 소모하는 새로운 타입의 방오도료용 비히클 수지를 제공함에 있다.
발명의 개시
유기화학 분야에 있어서, 1차 아민이 알데히드와 반응하여 시프 염기를 형성하거나, 케톤과 반응하여 케티민을 형성하는 것은 유명하다.
본 발명은, 가수분해 가능한 형으로 1차 아민을 비히클 수지에 결합하기 위하여 이들 반응을 이용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카르보닐기 함유 펜던트기를 가지고 있는 비닐 중합체의 카르보닐기에 1차 아민을 축합반응에 의해 결합시키거나, 또는 카르보닐기 함유 모노머에 대하여 동일한 반응에 의해 1차 아민을 결합하고, 얻은 모노머를 다른 공중합할 수 있는 모노머와 공중합시키는 것에 의해 얻어진, 비닐 중합체로 이루어지는 방오도료용 비히클 수지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와 같이 1차 아민을 결합한 비닐 중합체를 비히클 수지로서 사용한 수중방오도료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방오(防汚)도료의 비히클 수지로서 유용한 가수분해형 수지와 그 수지를 함유하는 방오도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1차 아민 결합 비닐 중합체를 얻기위해서, 1차 아민을 중합후에 또는 중합전에 결합시키는 알데히드기 또는 케토기를 가지는 모노머로부터 출발해야한다. 알데히드기를 가지는 모노머의 전형예로는 아크롤레인, 메타크롤레인, 크로톤알데히드, 신남알데히드 및 4-비닐벤즈알데히드 등이 있다. 아크롤레인과 같이 비점이 낮고, 자격성에서 활성이 높은 알데히드는, 부반응을 억제하고, 취급이 용이하기 때문에 아세탈, 예를들면 에틸렌글리콜 또는 1,3-프로판디올과의 환상 아세탈의 형태로 사용하여, 1차 아민과의 반응전에 가수분해에 의해 알데히드기를 재생하여도 된다. 케토기를 가지는 모노머의 예로는 N-(2-아세틸-1,1-디메틸에틸)아크릴아미드(별명 디아세톤아크릴아미드)등이 있다.
알데히드기 또는 케토기를 함유하는 모노머와 공중합할 수 있는 모노머의 예로는 메틸 (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n-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n-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t-부틸 (메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 (메타)아크릴레이트등의 (메타)아크릴산알킬 에스테르; 스티렌, α-메틸스티렌, 비닐톨루엔, (메타)아크릴아미드, (메타)아크릴로니트릴, 아세트산비닐, 프로피온산비닐, 염화비닐등의 다른 모노머가 있다. 2-히드록시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등의 히드록시알킬 (메타)아크릴레이트 소비율을 함유해도 된다. 중합은 상법에 의해 용액중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알데히드기 또는 케토기와 1차 아민과의 축합반응은 중합후에 수행되거나, 또는 모노머 단계에서 수행된후, 중합하여도 된다. 이 목적으로 사용하여 얻은 1차 아민으로서는 아닐린, 톨루이딘, 크실리딘, p-n-헥실아닐린, p-n-옥틸아닐린, p-노닐아닐린, p-도데실아닐린등의 아닐린 및 그것의 핵치환체를 함유한 방향족 1차 아민, 시클로헥실아민등의 지환족 1차 아민, 헥실아민, 옥틸아민, 데실아민, 라우릴아민, 스테아릴아민, 올레일아민등의 탄소수 6이상의 지방족 아민을 들수 있다. 특히 아닐린 및 그 핵알킬 치환체, 탄소수 8∼20의 알킬아민 및 알켄일아민이 바람직하다. 반응은 부생하는 물등을 계외로 제거하는 조건하에서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
중합체는 2,000∼100,000, 특히 5,000∼40,000의 수평균분자량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조막성과 작업성 및 용출속도의 사이에 적당한 균형을 유지하기위해서 필요하다. 중합체는 또, 알데히드기 또는 케토기에 결합된 1차 아민을 0.01∼1.5 mol/100g, 특히 0.1∼1.0 mol/100g의 농도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1차 아민은 독립된 성분으로서 도료에 첨가하여도 방오효과가 있다. 그 경우, 벤즈알데히드, p-에틸벤즈알데히드와 같은 알데히드를 동시에 독립된 성분으로 첨가하여도 되고, 1차 아민과의 시프 염기의 형으로 첨가하여도 된다.
이같이 하여 얻은 1차 아민을 결합한 수지는, 방오제를 함유하는 관용 첨가제를 첨가하여 자기연마형 방오도료 조성물로 조제된다.
본 발명의 방오도료 조성물은, 방오도료에 첨가되는 이하의 관용 성분을 함유할 수 있다.
(1) 방오제:
구리, 아연, 니켈등의 금속분말 혹은 플레이크; 구리, 아연등의 산화물, 수산화물, 할로겐화물, 기타염, 특히 산화제1구리 및 로단화구리; 살균성유기화합물, 가령 나프텐산구리, 스테아르산구리 등의 금속카르복실산염, 아연디메틸디티오카르바메이트, 아연비스디메틸디티오카르바모일, 아연에틸렌비스디티오카르바메이트 등의 금속(Na, K, Zn, Pb, Cu, Fe, Ni, Mg, Se) 디티오카르바메이트류; 테트라메틸티우람디술피드 등의 티우람디술피드류; 프탈리술파티아졸, 술파에틸돌, 술파닐리도피리딘, 술파메톡신, N,N'-디메틸-N'-페닐-N-플루오로디클로로메틸티오술파미드 등의 술파미드류; 글리오딘, 펜티졸, 폴리사이드 등의 피롤, 이미다졸류; 테트라졸, 아스테롤, 마이론 등의 티옥산, 티옥사손류; 니카르바진, 3,4,5-트리브로모살리실아닐리드, N-트리클로로메틸메르캅토프탈이미드, 3,5-디니트로벤즈아미드, 2,4,6-트리클로로말레이미드, N-플루오로디클로로메틸티오프탈이미드 등의 이미드 및 아미드류; 2-메틸티오-4-t-부틸아미노-6-시클로프로필아미노-s-트리아진, 2,4,5,6-테트라클로로프탈로니트릴, N,N'-디메틸디-N-클로로페닐요소, 4,5-디클로로-2-n-옥틸-3-(2H)이소티아졸린, 2-피리딘티올-1-옥시드아연염, 2,3,5,6-테트라클로로-4-메틸술포닐피리딘, 3-요오드-2-프로필부틸카르바메이트, 디요오도메틸파라톨릴술폰 등의 함황 또는 함할로겐 유기화합물 등의 공지 방오제, 농약, 의약, 살균제가 있다.
(2) 가소제:
디옥틸프탈레이트, 디메틸프탈레이트, 디시클로헥실프탈레이트 등의 프탈산에스테르계 가소제; 아디프산디이소부틸, 세바스산디부틸 등의 지방족 이염기산에스테르계 가소제; 디에틸렌 글리콜 디벤조에이트, 펜타에리스리톨 알킬에스테르 등의 글리콜 에스테르계 가소제; 트리크레실인산, 트리클로로에틸인산 등의 인산에스테르계 가소제; 에폭시화대두유, 에폭시스테아르산옥틸등의 에폭시계 가소제; 디옥틸주석 라우레이트, 디부틸주석라우레이트 등의 유기주석계 가소제; 기타 트리멜리트산트리옥틸, 트리아세틸렌등이 있다.
(3) 도막소모조정제:
염소화파라핀, 폴리비닐에테르, 폴리프로필렌세바케이트, 부분수첨가 테르페닐, 폴리아세트산비닐, 폴리(메타)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폴리에테르폴리올, 알키드수지, 폴리에스테르수지, 폴리염화비닐, 실리콘오일, 왁스, 바셀린 및 유동파라핀등이 있다.
(4) 안료:
침강성 황산바륨, 활석, 클레이, 백아, 실리카화이트, 알루미나화이트, 벤토나이트 등의 체질안료; 산화티탄, 산화지르콘, 염기성황산연, 산화주석, 카본블랙, 흑연, 적색산화철, 크롬옐로우, 프탈로시아닌그린, 프탈로시아닌블루, 퀴나크리돈 등의 착색안료가 있다.
(5) 용제:
크실렌, 톨루엔, 에틸벤젠, 시클로펜탄, 옥탄, 헵탄, 시클로헥산, 화이트스피리트 등의 탄화수소류; 디옥산, 테트라히드로푸란, 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 디메틸에테르, 에틸렌 글리콜 모노부틸 에테르, 에틸렌 글리콜 디부틸 에테르, 디에틸렌 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 디에틸렌 글리콜 모노에틸 에테르등의 에테르류; 아세트산부틸, 아세트산프로필, 아세트산벤질, 에틸렌글리콜 모노메틸에테르 아세테이트, 에틸렌 글리콜 모노에틸 에테르 아세테이트 등의 에스테르류; 에틸 이소부틸 케톤, 메틸 이소부틸 케톤등의 케톤류; n-부탄올, 프로필 알코올등의 알코올류가 있다.
(6) 기타 첨가제:
로진, 프탈산모노부틸, 숙신산모노옥틸등의 유기일염기산, 장뇌, 피마자유등이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도료제조 기술분야에 있어서, 그 자체공지의 방법으로 조정할 수 있다. 조합에 있어서는 공지의 기계, 가령 볼밀, 페블밀, 롤밀, 샌드그라인드밀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오도료는, 선박, 어망, 해양구축물등의 방오도료로서 사용될 경우, 도막 혹은 필름이 해수등의 알칼리분위기에 있어서 서서히 가수분해되어 용출한다. 게다가 알칼리분위기에서 가수분해될 때, 수지가 작은 세그먼트로 분해되어 단번에 용출하지 않고, 측쇄부에 친수기가 생성되고, 그 농도가 어느 임계치에 도달하여 비로소 용출해가는 형식을 취한다. 따라서 선저도료용 비히클로 사용할 경우, 방오기간을 장기에 걸쳐 제어할 수 있는 특징을 갖는 매우 양호한 성상의 도막을 부여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방오도료는 선박 가령 탱커, 페리, 어선, 강철선, 목선, FRP선등 해중구축물, 어망, 도수관 등에 유용하다.
이하의 제조예, 실시예 및 비교예에 있어서, 「부」 및 「%」는 중량기준에 따른다.
비히클 수지의 제조
제조예 1
교반기, 질소도입관, 적하깔때기를 구비한 플라스크에, 크실렌 95부, 신남알데히드 13부를 가하고, 90℃로 유지한다. 이 용액에 메틸메타크릴레이트 67부, n-부틸메타크릴레이트 20부, 2,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1.5부의 혼합물을 4시간에 걸쳐 적하하고, 30분후 n-부탄올 5부, 2,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0.3부의 혼액을 30분간 적하하여, 더욱 90분간 같은 온도에서 유지하여 바니시 A를 얻었다. 알데히드 농도 0.05 mol/100g
제조예 2
제조예 1과 같은 플라스크에 크실렌 95부, 메타크롤레인 14부를 가하고, 80℃로 유지한다. 이 용액에 메틸메타크릴레이트 66부, n-부틸메타크릴레이트 20부, 2,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1.5부의 혼합물을 4시간에 걸쳐서 적하하고, 30분후 n-부탄올 5부, 2,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0.3부의 혼액을 30분간 적하하여, 더욱 90분간 같은 온도에서 유지하여 바니시 B를 얻었다. 알데히드 농도 0.1 mol/100g
제조예 3
제조예 1과 같은 플라스크에 크실렌 95부, 디아세톤아크릴아미드 34부를 가하고, 80℃로 유지한다. 이 용액에 메틸메타크릴레이트 46부, n-부틸메타크릴레이트 20부, 2,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1.5부의 혼합물을 4시간에 걸쳐서 적하하고, 30분후 n-부탄올 5부, 2,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0.3부의 혼액을 30분간 적하하고, 더욱 90분간 같은 온도에서 유지하여 바니시 C를 얻었다. 케토기 농도 0.1 mol/100g
제조예 4
제조예 1과 같은 플라스크에 크실렌 145부, 크로톤알데히드 35부를 가하고, 0℃로 유지한다. 이 용액에 아닐린 47부를 가하여 2시간 유지하고, 그후 40℃까지 가온하여, 2시간 같은 온도로 유지하였다. 그후 생성수를 약 250Pa의 감압하에서 제거하여, 1차 아민을 결합한 모노머를 얻었다.
제조예 5
제조예 1과 같은 플라스크에, 메타크롤레인 35부를 가하고, 0℃로 유지한다. 여기에 p-옥틸아닐린 100부를 가하고 2시간 유지하고, 그후 40℃까지 가온하여, 2시간 유지하였다. 그후 생성수를 약 250Pa의 감압하에서 제거하여, 1차 아민을 결합한 모노머를 얻었다.
제조예 6
제조예 1과 같은 플라스크에, 크실렌 95부, 2-비닐-1,3-디옥소란(아크롤레인 과 에틸렌 글리콜의 아세탈) 20부를 가하고, 80℃로 유지한다. 이 용액에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46부, 스티렌 20부, n-부틸 메타크릴레이트 14부, 2,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1.4부의 혼액을 5시간에 걸쳐 적하하고, 30분후 크실렌 5부, 2,2'-아조비스부티로니트릴 0.2부의 혼액을 30분간 적하하고, 적하종료후 90분간 보온하였다. 그후 1N 염산 200부를 가하고 실온에서 2시간 교반하고, 수상을 제거하고, 탈이온수로 2회 세척하였다. 이것을 150Pa의 감압하에서 크실렌 20부와 함께 잔존하는 물을 제거한 후, 크실렌 20부를 다시 가하여 바니시 D를 얻었다. 알데히드 농도 0.1 mol/100g
제조예 7
제조예 1과 같은 플라스크에, 크실렌 95부, 2-비닐-1,3-디옥소란(아크롤레인과 1,3-프로판디올의 아세탈) 35부, 아세트산비닐 25부를 가하고 90℃로 유지한다. 이 용액에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30부, 2-에틸헥실 아트릴레이트 10부, 2,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1.5부의 혼액을 5시간에 걸쳐 적하하고, 30분후 크실렌 5부, 2,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0.2부의 혼액을 30분간 적하하고, 적하후 90분간 보온하였다. 그후 1N 염산 300부를 가하고 실온에서 2시간 교반하고, 수상을 제거하고, 탈이온수로 2회 세척하였다. 이것을 150Pa의 감압하에서 크실렌 20부와 함께 잔존하는 물을 제거하고, 크실렌 20부를 다시 가하여 바니시 E를 얻었다. 알데히드 농도 0.15 mol/100g
제조예 8
제조예 1과 같은 플라스크에, 크실렌 95부를 가하고 100℃로 유지한다. 여기에 제조예 4의 모노머 55부, 메틸메타크릴레이트 35부, n-부틸아크릴레이트 10부, 2,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1.3부의 혼액을 4시간에 걸쳐 적하하고, 30분후 크실렌 5부, 2,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0.5부의 혼액을 30분간 적하하고, 적하후 90분간 보온하여 바니시 F를 얻었다.
제조예 9
제조예 1과 같은 플라스크에, 크실렌 95부를 가하여 100℃로 유지한다. 여기에 제조예 5의 모노머 55부, 메틸메타크릴레이트 45부, 2,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1.3부의 혼액을 4시간에 걸쳐 적하하고, 30분후 크실렌 5부, 2,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0.2부의 혼액을 30분간 적하하고, 적하후 90분간 보온하여 바니시 G를 얻었다.
제조예 10
교반기, 질소도입관 및 디캔터를 구비한 플라스크에, 바니시 A 100부, p-데실아닐린 12부를 가하였다. 이 용액을 약 130℃에서 환류하고, 생성되는 물을 유거하면서 3시간 반응을 행하여, 바니시 H를 얻었다.
제조예 11
제조예 10과 동일하게, 바니시 B 100부와, 아닐린 9부를 반응시켜 바니시 I를 얻었다.
제조예 12
제조예 10과 동일하게, 바니시 B 100부와, 도데실아민 17부를 반응시켜 바니시 J를 얻었다.
제조예 13
제조예 10과 동일하게, 바니시 E 100부와, p-노닐아닐린 43부를 빈응시켜 바니시 K를 얻었다.
제조예 14
제조예 10과 동일하게, 바니시 C 100부와, p-데실아닐린 23부를 반응시켜 바니시 L을 얻었다.
제조예 15
제조예 10과 동일하게 바니시 D 100부와, 올레일아민 27부를 반응시켜 바니시 M을 얻었다.
제조예 16
제조예 9에 있어서 모노머-혼합물로서 4-비닐벤질리덴아닐린 75부, 메타크릴산메틸 25부를 사용한 것 외에는 동일하게 실행하여, 바니시 N을 얻었다.
제조예 17
제조예 9에 있어서 모노머-혼합물로서 N-(4-비닐벤질리덴)-4-n-옥틸아닐린 85부, 메타크릴산메틸 15부를 사용한 것 외에는 동일하게 실행하여, 바니시 O를 얻었다.
제조예 18
제조예 9에 있어서 모노머-혼합물로서 디아세톤아크릴아미드와 라우릴아민의 부가물 85부, 메타크릴산메틸 15부를 사용한 것 외에는 동일하게 실행하여, 바니시 P를 얻었다.
제조예 19
제조예 9에 있어서 모노머-혼합물로서 N-(4-비닐벤질리덴)라우릴아민 80부, 메타크릴산메틸 20부를 사용한 것 외에는 동일하게 실행하여, 바니시 Q를 얻었다.
도료의 제조
실시예 1-30 및 비교예 1-4
표 1∼표4에 표시한 배합으로 각 성분을 분산기로 분산하여, 도료를 제조하였다.
성분(중량부) 실 시 예
1 2 3 4 5 6 7 8 9 10 11 12
바니시 F 80 65
바니시 G 75
바니시 H 70 70
바니시 I 65
바니시 J 70 80
바니시 K 65 85
바니시 L 65
바니시 M 80
구리프탈로시아닌 7 7 8 7 7 7
적색산화철 8 8 8
산화티탄 3 2 2 3 2 2
활석 3 8 3
카프릴알데히드 12
벤질리덴아닐린 25 12 5
옥틸아닐린 10 15
콜로이드성 실리카 3 4 4 3 4 4 3 4 4 3 3 3
n-부탄올 3 5 6 3 4 4 4 3 4 3 3 3
크실렌 14 16 14 9 3 5 10
성분(중량부) 실 시 예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바니시 F 45
바니시 G 35 30
바니시 H 55
바니시 I 30 35
바니시 J 40 45
바니시 K 35
바니시 L
바니시 M 50
구리프탈로시아닌 8 8 7 8 7
적색산화철 6 7
산화티탄 7 5 5 5 5 5
산화제1구리 25 20 20 8 20 15
아연화 15 5 5 7 15 8 15 7
활석 5 5 5 5 5 2 5 5
2-피리딘티올-1-옥시드아연염 5 3 5 3
2,4,6-트리클로로페닐말레이미드 5 2
디요오도메틸 파라톨릴술폰 3 3 3
N,N'-디메틸디클로로페닐요소 3 2
카프릴알데히드 6
벤질리덴아닐린 5 8 8 2
옥틸아닐린 10 5 4
디옥틸프탈레이트 5 5 5 5 5 3 5 4
콜로이드성 실리카 3 3 3 4 4 4 4 3 3 4
n-부탄올 3 3 3 5 4 4 3 4 3 4
크실렌 9 5 7 8 10 12 25 12 14
성분(중량부) 실 시 예
23 24 25 26 27 28 29 30
바니시 N 65 45
바니시 O 55 40
바니시 P 60 35
바니시 Q 60 40
구리프탈로시아닌 8 10 10 8
산화제1구리 25 30 30 30
적색산화철 5 7 6 5
활석 5 8 5 7 5 5 4
벤질리덴아닐린 5 8 8 3 3
콜로이드성 실리카 3 3 3 4 3 4 5 5
n-부탄올 5 5 5 4 3 4 5 5
크실렌 9 11 9 14 14 7 15 15
성분(중량부) 비교예
1 2 3 4
염화고무 40 25 15
트리부틸주석-메타크릴산메틸 공중합체(55:45, 크실렌 50% 용액) 40
산화티탄 5 5 5
산화제1구리 15 20 15
아연화 5 5 5
활석 5
WW로진 5 15
디옥틸프탈레이트 5 3 5
콜로이드성 실리카 3 3 4 3
n-부탄올 2 3 3 3
크실렌 55 34 30 19
방오성 시험
샌드블라스트 처리한 9 x 28 cm의 동판에 사전에 콜타르에폭시 도료를 도포하여 녹방지 처리되어 있는 도판에 실시예 1∼30 및 비교예 1∼4의 도료를 건조막 두께 약 150μm가 되도록 도포하여 시험판을 작성하였다.
달리 바니시 F∼Q를 9 x 28 cm의 폴리염화비닐수지판에 건조막두께 약 100μm가 되게 도포하여 시험판을 작성하였다.
이들 시험판을 오카야마현 타마노시 닛폰 페인트주식회사임해시험소에 있어서 해중에 침지하여, 경시에 있어서의 방오성을 생물이 부착한 면적(%)에 의해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5 및 표6에 표시한다.
- 도료방오성 시험결과 -
실시예 침지기간(단위: 월)
1개월 3개월 6개월 12개월 18개월 24개월 30개월 36개월
1 0 0 0 0 0 0 0 0
2 0 0 0 0 0 0 0 0
3 0 0 0 0 0 0 0 0
4 0 0 0 0 0 0 0 0
5 0 0 0 0 0 0 0 0
6 0 0 0 0 0 0 0 0
7 0 0 0 0 0 0 0 0
8 0 0 0 0 0 0 0 0
9 0 0 0 0 0 0 0 0
10 0 0 0 0 0 0 0 0
11 0 0 0 0 0 0 0 0
12 0 0 0 0 0 0 0 0
13 0 0 0 0 0 0 0 0
14 0 0 0 0 0 0 0 0
15 0 0 0 0 0 0 0 0
16 0 0 0 0 0 0 0 0
17 0 0 0 0 0 0 0 0
18 0 0 0 0 0 0 0 0
19 0 0 0 0 0 0 0 0
20 0 0 0 0 0 0 0 0
21 0 0 0 0 0 0 0 0
22 0 0 0 0 0 0 0 0
23 0 0 0 0 0 0 0 0
24 0 0 0 0 0 0 0 0
25 0 0 0 0 0 0 0 0
26 0 0 0 0 0 0 0 0
27 0 0 0 0 0 0 0 0
28 0 0 0 0 0 0 0 0
29 0 0 0 0 0 0 0 0
30 0 0 0 0 0 0 0 0
비교예
1 3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2 0 5 30 70 100 100 100 100
3 0 10 40 80 100 100 100 100
4 0 0 0 0 0 0 0 0
- 바니시 방오성 시험결과 -
바니시 침지기간(단위: 월)
1개월 3개월 6개월 12개월 18개월 24개월 30개월 36개월
F 0 0 0 0 0 0 0 0
G 0 0 0 0 0 0 0 0
H 0 0 0 0 0 0 0 0
I 0 0 0 0 0 0 0 0
J 0 0 0 0 0 0 0 0
K 0 0 0 0 0 0 0 0
L 0 0 0 0 0 0 10 20
M 0 0 0 0 0 0 0 5
N 0 0 0 0 0 0 0 0
O 0 0 0 0 0 0 0 0
P 0 0 0 0 0 0 0 0
Q 0 0 0 0 0 0 0 0
도막소모도시험
실시예 및 비교예의 도료 및 바니시 F∼Q를 직경 35cm의 아크릴수지 원판에 건조막두께 약 100μm가 되게 도포하고, 해수중(수온 18∼23℃)에서 주속 25노트로 12개월간 연속회전하여, 경시에 있어서의 초기 막두께와의 차를 도막 소모도로서 측정하였다. 결과를 표 7 및 표 8에 표시한다.
- 도막소모도 시험결과 -
실시예 소모막두께(㎛)
1개월 3개월 6개월 12개월
1 12 26 42 68
2 8 19 32 58
3 10 22 34 50
4 5 12 21 34
5 14 22 41 75
6 12 24 38 62
7 13 22 37 60
8 11 22 35 55
9 10 18 25 48
10 14 24 45 67
11 11 21 37 58
12 15 24 44 65
13 13 22 32 52
14 11 19 28 44
15 13 24 42 60
16 8 14 23 34
17 12 20 32 51
18 9 16 27 43
19 12 19 33 56
20 11 19 31 55
21 16 26 44 71
22 18 30 48 78
23 8 18 28 48
24 10 19 32 49
25 10 21 38 55
26 12 19 35 65
27 10 20 36 52
28 12 28 42 64
29 10 20 31 55
30 11 19 34 58
비교예
1 〈5 〈5 〈5 〈5
2 〈5 〈5 〈5 〈5
3 5 20 용출
4 12 22 38 69
- 도막 소모도 시험결과 -
바니시 소모막두께(㎛)
1개월 3개월 6개월 12개월
F 6 10 13 28
G 7 10 12 22
H 〈5 6 8 14
I 7 11 18 23
J 6 8 12 18
K 6 7 10 16
L 6 9 11 17
M 7 8 10 18
N 6 11 19 24
O 6 10 15 19
P 8 12 18 26
Q 6 10 18 23
고 찰
본 발명의 방오도료용 수지 및 방오도료는, 방오성과 자기연마성에 있어서, 유기주석폴리머를 사용한 비교예 4의 자기연마형 방오도료에 필적한 성능을 발휘하였다.

Claims (15)

  1. 비히클 수지로서 분자내에 1차 아민이 탈수 축합반응에 의해 결합된 카르보닐기를 가지는 복수의 펜던트기를 가지고 있는 비닐 중합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연마형 방오도료.
  2. 제 1 항에 있어서, 1차 아민은 방향족 1차 아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연마형 방오도료.
  3. 제 2 항에 있어서, 방향족 1차 아민은 아닐린, 톨루이딘, 크실리딘, p-n-헥실아닐린, p-n-옥틸아닐린, p-노닐아닐린 또는 p-도데실아닐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연마형 방오도료.
  4. 제 1 항에 있어서, 1차 아민은 탄소수 6이상의 지방족 또는 지환족 1차 아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연마형 방오도료.
  5. 제 4 항에 있어서, 지방족 또는 지환족 1차 아민은, 헥실아민, 옥틸아민, 데실아민, 라우릴아민, 스테아릴아민, 올레일아민 또는 시클로헥실아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연마형 방오도료.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1차 아민 결합 카르보닐기를 가지는 복수의 펜던트기를 가지고 있는 비닐 공중합체는, 복수의 카르보닐기 함유 펜던트기를 가지는 비닐 중합체와 1차 아민의 반응에 의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연마형 방오도료.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카르보닐기 함유 펜던트기를 가지는 비닐 중합체는, 알데히드기 또는 케토기를 가지는 모노머와 그와 공중합할 수 있는 비닐 모노머의 공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연마형 방오도료.
  8. 제 7 항에 있어서, 알데히드기 또는 케토기를 가지는 모노머는 아크롤레인, 메타크롤레인, 크로톤알데히드, 신남알데히드, 4-비닐벤즈알데히드 또는 N-(2-아세틸-1,1-디메틸에틸)아크릴아미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연마형 방오도료.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1차 아민 결합 카르보닐기를 가지는 복수의 펜던트기를 가지고 있는 비닐 중합체는, 탈수축합에 의해 1차 아민을 결합한 카르보닐기를 가지는 모노머와 그와 공중합할수 있는 비닐 모노머의 공중합에 의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연마형 방오도료.
  10. 제 9 항에 있어서, 탈수축합에 의해 1차 아민을 결합한 카르보닐기를 가지는 모노머는, 알데히드기를 가지는 모노머와 1차 아민과의 시프염기, 또는 케토기를 가지는 모노머와 1차 아민과의 케티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연마형 방오도료.
  11. 제 10 항에 있어서, 알데히드기 또는 케토기를 가지는 모노머는, 아크롤레인, 메타크롤레인, 크로톤알데히드, 신남알데히드, 4-비닐벤즈알데히드 또는 N-(2-아세틸-1,1-디메틸에틸)아크릴아미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연마형 방오도료.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1차 아민 결합 카르보닐기를 가지는 복수의 펜던트기를 가지고 있는 비닐 중합체는, 2,000∼100,000의 수평균분자량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연마형 방오도료.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1차 아민 결합 카르보닐기를 가지는 복수의 펜던트기를 가지고 있는 비닐 중합체는, 카르보닐기에 결합된 아민을 0.01∼1.5 mol/100g의 농도로 함유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연마형 방오도료.
  14. 제 1 항에 있어서, 방오제를 더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연마형 방오도료.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방오제는 산화제1구리 또는 로단화구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연마형 방오도료.
KR1019980701729A 1995-09-08 1996-09-06 아민을 결합한 수지 및 방오도료 KR10025465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5-256930 1995-09-08
JP25693095 1995-09-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4481A KR19990044481A (ko) 1999-06-25
KR100254652B1 true KR100254652B1 (ko) 2000-05-01

Family

ID=172993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1729A KR100254652B1 (ko) 1995-09-08 1996-09-06 아민을 결합한 수지 및 방오도료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5985012A (ko)
EP (1) EP0849290A4 (ko)
JP (1) JP3289193B2 (ko)
KR (1) KR100254652B1 (ko)
CN (1) CN1118487C (ko)
NO (1) NO980953L (ko)
TW (1) TW397857B (ko)
WO (1) WO199700935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9727261D0 (en) * 1997-12-23 1998-02-25 Courtaulds Coatings Holdings Fouling inhibition
NO327258B1 (no) * 1999-07-27 2009-05-25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Polyesterharpiks for anvendelse i en grohemmende maling samt grohemmende maling omfattende polyesterharpiksen
EP1086996B1 (en) * 1999-09-21 2004-07-28 Nippon Paint Co., Ltd. Resin for use in an antifouling coating and antifouling coating
US7022750B2 (en) * 2003-04-04 2006-04-04 Ppg Industries Ohio, Inc. Anti-fouling coating containing copper and graphite
WO2009031509A1 (ja) * 2007-09-07 2009-03-12 Chugoku Marine Paints, Ltd. 防汚塗料組成物、防汚塗膜、塗膜付き基材、防汚性基材、基材表面への塗膜の形成方法および基材の防汚方法
AU2012385956B2 (en) 2012-07-23 2017-03-30 Crayola, Llc Dissolvable film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CN103013307A (zh) * 2012-11-29 2013-04-03 益阳祥瑞科技有限公司 一种船舶防污水线漆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509012A (en) * 1938-01-06 1939-07-06 Wilfred William Groves Manufacture of polymeric basic compounds
US3177171A (en) * 1959-10-08 1965-04-06 Gen Tire & Rubber Co Process for reacting ammonia or a primary amine with an acrolein polymer and resulting product
FR1525504A (fr) * 1966-06-02 1968-05-17 Kyowa Hakko Kogyo Kk Procédé pour la préparation de bases de schiff de pyridoxal et de polymères de poids moléculaire élevé
GB1427112A (en) * 1973-06-25 1976-03-10 Yoshitomi Pharmaceutical Antifouling compositions
JPS52120979A (en) * 1976-04-06 1977-10-11 Kurita Water Ind Ltd Sludge dehydrating agent
JPS59105003A (ja) * 1982-12-08 1984-06-18 Nippon Mejifuijitsukusu Kk 2官能配位子化合物を結合した反応性高分子化合物
JPH0610214B2 (ja) * 1986-07-17 1994-02-09 三島製紙株式会社 新規なリビングポリマ−
JPH0667975B2 (ja) * 1986-11-17 1994-08-31 日本ペイント株式会社 金属含有塗料用樹脂の製造方法
JP2608712B2 (ja) * 1987-01-23 1997-05-14 住友化学工業株式会社 キレート樹脂の製造方法
US5116407A (en) * 1988-10-13 1992-05-26 Courtaulds Coatings Limited Antifouling coatings
IT1248073B (it) * 1991-06-17 1995-01-05 Himont Inc Composti polimerici, contenenti gruppi amminici ingombrati stericamente, adatti come stabilizzanti e composizioni polimeriche comprendenti gli stessi.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985012A (en) 1999-11-16
NO980953D0 (no) 1998-03-05
KR19990044481A (ko) 1999-06-25
WO1997009357A1 (fr) 1997-03-13
CN1196064A (zh) 1998-10-14
JP3289193B2 (ja) 2002-06-04
EP0849290A4 (en) 2004-10-20
EP0849290A1 (en) 1998-06-24
CN1118487C (zh) 2003-08-20
NO980953L (no) 1998-03-19
TW397857B (en) 2000-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80173A (en) Hydrolyzable metal-containing resin and antifouling paint composition
USRE41208E1 (en) Acid-capped quaternized polymer and compositions comprising such polymer
EP1496088B1 (en) Antifouling coating
US7598299B2 (en) Anti-fouling compositions comprising a polymer with salt groups
US9845395B2 (en) Antifouling coating composition, antifouling film, composite film, and in-water structure
EP1323745B1 (en) Acrylic resin and antifouling coating
EP0131626A1 (en) PAINTS WHICH CAN ERODE FOR THE CONTROL OF MARINE FOULING.
US4594365A (en) Erodible ship-bottom paints for control of marine fouling
US4687792A (en) Erodible ship-bottom paints for control of marine fouling
KR100254651B1 (ko) 알데히드를 결합한 가수분해형 수지 및 자기연마형 방오도료
KR100254652B1 (ko) 아민을 결합한 수지 및 방오도료
JP2002241676A (ja) ハイソリッド型防汚塗料
US6753397B2 (en) Resin composition, production method of boron-containing polymer and antifouling coating
JPH11256077A (ja) 加水分解型防汚塗料用樹脂の製造方法及び加水分解型防汚塗料組成物
JPH11302572A (ja) 防汚塗料
JPH11286656A (ja) 防汚塗料用樹脂及び防汚塗料
JPH11302571A (ja) 防汚塗料用樹脂及び防汚塗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125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