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54564B1 - 반도체 장치 - Google Patents

반도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54564B1
KR100254564B1 KR1019970071283A KR19970071283A KR100254564B1 KR 100254564 B1 KR100254564 B1 KR 100254564B1 KR 1019970071283 A KR1019970071283 A KR 1019970071283A KR 19970071283 A KR19970071283 A KR 19970071283A KR 100254564 B1 KR100254564 B1 KR 1002545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s
pads
wirings
semiconductor layer
p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712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51868A (ko
Inventor
이정수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700712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54564B1/ko
Priority to US09/151,434 priority patent/US6159774A/en
Publication of KR199900518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518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45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45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52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within the device in operation from one component to another, i.e. interconnections, e.g. wires, lead frames
    • H01L23/522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within the device in operation from one component to another, i.e. interconnections, e.g. wires, lead frames including external interconnections consisting of a multilayer structure of conductive and insulating layers inseparably formed on the semiconductor body
    • H01L23/525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within the device in operation from one component to another, i.e. interconnections, e.g. wires, lead frames including external interconnections consisting of a multilayer structure of conductive and insulating layers inseparably formed on the semiconductor body with adaptable interconnec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52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within the device in operation from one component to another, i.e. interconnections, e.g. wires, lead fram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001Technical content checked by a classifier
    • H01L2924/0002Not covered by any one of groups H01L24/00, H01L24/00 and H01L2224/00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s (AREA)
  • Design And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도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구체적으로는 동일 디바이스에 다양한 패키지를 사용할 수 있는 반도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복수개의 패드들과; 복수개의 입/출력 포트들을 구비하는 주 회로부와; 복수개의 제 1의 배선들과; 복수개의 제 2의 배선들과; 상기 제 2 배선들의 일단은 상기 패드들과 각각 연결되고, 복수개의 제 3의 배선들과; 상기 제 3의 배선들의 일단은 상기 입/출력 포트들과 각각 연결되고, 상기 제 3 의 배선들의 타단들은 상기 제 1 배선들과 각각 연결되며, 상기 제 1 내지 제 3 배선들의 교차점이 정의되고, 상기 배선들 상호간을 선택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복수개의 컨택 영역들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조로서 패드와 주 회로부의 포트들을 선택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Description

반도체 장치(SEMICONDUCTOR DEVICE)
본 발명은 반도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구체적으로는 패드와 포트간을 선택적으로 연결할 수 있는 반도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마이크로 컨트롤 유니트(micro control unit)가 내장된 마이컴 칩(micom chip)은 프로그램 종류에 따라 동일 칩이라도 그 용도가 다양하다. 도 1은 마이컴 내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로서, 패드들(PAD #0 ∼PAD #i)과 주 회로부(100)로 구비되어 있다. 마이컴 칩은 패드들(PAD #0∼PAD #i)과 입/출력 포트들(I/O PORT #O ∼I/O PORT#i)이 일대일로 대응됨에 따라 다양한 패키지를 사용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그러므로 동일한 디바이스라 할지라도 응용처에 따라 28핀, 42핀, 44핀을 갖는 DIP(Dual In Line Package), SDIP(Shrink Dual In Line Package), QFP 패키지(Quad Flat Package)를 사용할 수 있다. 이는 필요한 포트(패드)를 자유롭게 선택하여 핀들 수가 각기 다른 패키지를 이용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포트와 패키지는 도 1과 같이 일대일로 고정되어 있어 동일 디바이스의 원하는 응용처에 맞는 패키지를 다양하게 사용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패드와 포트를 선택적으로 연결하므로써 응용처에 맞는 패키지를 만들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0 : 주 회로부 A0∼Ai : 제 1 배선
BO∼Bi : 제 2 배선 CO∼Ci : 제 3 배선
(구성)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특징에 의하면, 복수개의 패드들과; 복수개의 입/출력 포트들을 구비하는 주 회로부와; 복수개의 제 1의 배선들과; 복수개의 제 2의 배선들과; 상기 제 2 배선들의 일단은 상기 패드들과 각각 연결되고, 복수개의 제 3의 배선들과; 상기 제 3의 배선들의 일단은 상기 입/출력 포트들과 각각 연결되고, 상기 제 3 의 배선들의 타단들은 상기 제 1 배선들과 각각 연결되며, 상기 제 1 내지 제 3 배선들의 교차점이 정의되고, 상기 배선들 상호간을 선택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복수개의 컨택 영역들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특징에 의하면, 제 1 의 방향(열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개의 패드들과; 상기 제 1의 방향으로 그리고 상기 패드들과 평행하게 배열되는 복수개의 입/출력 포트들을 구비하는 주 회로부와; 제 1 의 반도체 층상에서 상기 제 1 의 방향으로 신장하는 제 1 의 배선들과; 상기 제 1 반도체 층과는 상이한 상기 제 2의 반도체 층상에서 상기 제 1의 방향과 직교하는 제 2 방향(행방향)으로 신장하는 제 2 배선들과; 상기 제 2 배선들은 일단들이 상기 패드들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제 2의 반도체 층상에서 상기 제 2의 방향으로 신장하는 제 3의 배선들과; 상기 제 3 배선들은 일단들이 상기 입/출력 포트와 각각 연결되고, 상기 제 3 배선들의 타단들은 상기 제 1 배선들과 각각 연결되며, 상기 제 1 내지 제 3 배선들의 교차점이 정의되고, 상기 배선들 상호간을 선택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복수개의 컨택 영역들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특징에 의하면, 제 1 의 방향(열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개의 패드들과; 상기 제 1의 방향으로 그리고 상기 패드들과 평행하게 배열되는 복수개의 입/출력 포트들을 구비하는 주 회로부와; 제 1 의 반도체 층상에서 상기 제 1 의 방향으로 신장하는 제 1 의 배선들과; 상기 제 1 반도체 층과는 상이한 제 2의 반도체 층상에서 상기 제 1의 방향과 직교되는 제 2의 방향(행방향)으로 신장하는 제 2 배선들과; 상기 제 2 배선들은 일단들이 상기 패드들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반도체 층과는 상이한 제 3의 반도체 층상에서 상기 제 2의 방향으로 신장하는 제 3의 배선들과; 상기 제 3 배선들은 일단들이 상기 입/출력 포트와 각각 연결되고, 상기 제 3 배선들의 타단들은 상기 제 1 배선들과 각각 연결되며, 상기 제 1 내지 제 3 배선들의 교차점이 정의되고, 상기 배선들 상호간을 선택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복수개의 컨택 영역들을 포함한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참조 도면 도 2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칩과 그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외부 패키지 핀에 연결되고 칩 내부에 구비되는 패드들(PAD #0∼PAD #i)과 주 회로부(100)로 나눌 수 있으며, 상기 주 회로부(100)는 상기 패드들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입/출력 포트들(I/O PORT #0 ∼I/O PORT #i)을 포함한다. 상기 패드들(PAD #0∼PAD #i)은 열 방향으로 배열되고, 입/출력 포트들(I/O PORT #0 ∼I/O PORT #i)도 상기 패드들(PAD #0∼PAD #i)과 동일한 방향으로 나란히 배열되며, 상기 패드들(PAD #0∼PAD #i)과 입/출력 포트들(I/O PORT #0 ∼I/O PORT #i) 사이에는 행방향으로 복수개의 제 1 배선들(A0∼Ai)이 신장된다. 더불어 상기 패드들(PAD #0∼PAD #i)에 일단이 접속되는 제 2 배선들(BO∼Bi)은 상기 패드들(PAD #0∼PAD #i)의 배열 방향과 직교되는 행방향으로 배열 된다. 그리고 제 3 배선들(C0∼Ci)의 일단들은 상기 포트들(I/O PORT #0 ∼I/O PORT #i)에 각각 접속되고, 타단들이 상기 제1 배선들(A0∼Ai)에 접속된다. 상기 제 1 배선들(A0∼Ai)은 제 1 반도체 층에서 형성되고, 제 2 배선들(B0∼Bi)은 상기 제 1 반도체 층과는 상이한 제 2 반도체 층상에 형성된다. 나머지 제 3 배선들(CO∼Ci)은 상기 제 2 반도체 층상과 동일한 층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 1 및 제 2 의 반도체 층과는 상이한 제 3 반도체 층상에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주 회로부(100)를 마이컴 칩 내부의 로직 블록(logic block)이라면, 내부에 배열되는 입출력 포트들(I/O PORT #0∼I/O PORT #i)과 패드들(PAD #0∼PAD #i)을 연결해야 한다. 이때, 제 1 배선들(A0∼Ai)과 제 3 배선들(CO∼Ci)은 순차적으로 각각 연결되어 있다고 하자. 다시 말해 서로 다른 반도체 층상에 배열되는 제 1 배선들(A0∼Ai)및 제 3 배선들(CO∼Ci)이 오버랩되는 영역인 A0-C0, A1-C1, Ai-Ci에 컨택이 형성된다고 하자. 이때, 제 1 패드(PAD #0)와 제 1 포트(I/O PORT #0)를 연결하고자 한다면, 제 1 포트(I/O PORT #0)에 일단이 접속되고 제 3 배선(C0)에 타단이 접속되는 제 3 배선(C0)의 제 1 노드(N1)가 결정되고, 상기 제 1 패드(PAD #0)에 일측이 접속되는 제 2 배선(BO)과 제 1 배선(A0)이 교차하는 영역에 컨택을 형성하여 상기 제 1 노드(N1)를 통해 제 1 포트(I/O PORT #0)와 제 1 패드(PAD #0)를 연결한다.
계속해서, 제 2 패드(PAD #1)와 I번째 입출력 포트(I/O PORT #i)를 연결하고자 한다면, I번째 입출력 포트(I/O PORT #i)에 일단이 접속되는 제 3 배선(Ci)의 타단이 제 1 배선(Ai)과 접속되도록 Ni이 정의된다. 그리고 상기 선택된 제 3 배선(Ai)과 제 2 패드(PAD #1)에 일단이 접속되는 제 2 배선(B1)이 교차하는 영역에 컨택을 형성하여 제 2 패드(PAD #1)와 I 번째 입/출력 포트(I/O PORT #i)가 선택적으로 연결되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패드 위치에 따라 패키지 본딩이 결정되어 포트와 패드가 일대일로 고정되어 동일한 디바이스내의 응용처에 따라 다양한 패키지를 사용할 수 없던 종래에 비해 본 발명에서는 선택적으로 포트와 패드를 연결할 수 있다. 그러므로 패키지 타입이나 패키지 핀 수에 따라 필요한 응용처에 따라 동일한 디바이스의 패키지를 다양하게 이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회로의 구성 및 동작을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하나의 포트에 패드들이 고정되지 않으므로 동일 디바이스에 다양한 패키지를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복수개의 패드들과;
    복수개의 입/출력 포트들을 구비하는 주 회로부와;
    복수개의 제 1의 배선들과;
    복수개의 제 2의 배선들과;
    상기 제 2 배선들의 일단은 상기 패드들과 각각 연결되고,
    복수개의 제 3의 배선들과;
    상기 제 3의 배선들의 일단은 상기 입/출력 포트들과 각각 연결되고, 상기 제 3 의 배선들의 타단들은 상기 제 1 배선들과 각각 연결되며,
    상기 제 1 내지 제 3 배선들의 교차점이 정의되고, 상기 배선들 상호간을 선택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복수개의 컨택 영역들이 형성되는 반도체 장치.
  2. 제 1 의 방향(열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개의 패드들과;
    상기 제 1의 방향으로 그리고 상기 패드들과 평행하게 배열되는 복수개의 입/출력 포트들을 구비하는 주 회로부와;
    제 1 의 반도체 층상에서 상기 제 1 의 방향으로 신장하는 제 1 의 배선들과;
    상기 제 1 반도체 층과는 상이한 상기 제 2의 반도체 층상에서 상기 제 1의 방향과 직교하는 제 2 방향(행방향)으로 신장하는 제 2 배선들과;
    상기 제 2 배선들은 일단들이 상기 패드들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제 2의 반도체 층상에서 상기 제 2의 방향으로 신장하는 제 3의 배선들과;
    상기 제 3 배선들은 일단들이 상기 입/출력 포트와 각각 연결되고, 상기 제 3 배선들의 타단들은 상기 제 1 배선들과 각각 연결되며,
    상기 제 1 내지 제 3 배선들의 교차점이 정의되고, 상기 배선들 상호간을 선택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복수개의 컨택 영역들을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
  3. 제 1 의 방향(열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개의 패드들과;
    상기 제 1의 방향으로 그리고 상기 패드들과 평행하게 배열되는 복수개의 입/출력 포트들을 구비하는 주 회로부와;
    제 1 의 반도체 층상에서 상기 제 1 의 방향으로 신장하는 제 1 의 배선들과;
    상기 제 1 반도체 층과는 상이한 제 2의 반도체 층상에서 상기 제 1의 방향과 직교되는 제 2의 방향(행방향)으로 신장하는 제 2 배선들과;
    상기 제 2 배선들은 일단들이 상기 패드들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반도체 층과는 상이한 제 3의 반도체 층상에서 상기 제 2의 방향으로 신장하는 제 3의 배선들과;
    상기 제 3 배선들은 일단들이 상기 입/출력 포트와 각각 연결되고, 상기 제 3 배선들의 타단들은 상기 제 1 배선들과 각각 연결되며,
    상기 제 1 내지 제 3 배선들의 교차점이 정의되고, 상기 배선들 상호간을 선택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복수개의 컨택 영역들을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
KR1019970071283A 1997-12-20 1997-12-20 반도체 장치 KR1002545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1283A KR100254564B1 (ko) 1997-12-20 1997-12-20 반도체 장치
US09/151,434 US6159774A (en) 1997-12-20 1998-09-11 Multi-layer interconnection layout between a chip core and peripheral devic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1283A KR100254564B1 (ko) 1997-12-20 1997-12-20 반도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1868A KR19990051868A (ko) 1999-07-05
KR100254564B1 true KR100254564B1 (ko) 2000-05-01

Family

ID=195279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71283A KR100254564B1 (ko) 1997-12-20 1997-12-20 반도체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6159774A (ko)
KR (1) KR100254564B1 (ko)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75942A (en) * 1985-12-09 1988-10-0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eed and stitch approach to embedded arrays
GB8720605D0 (en) * 1987-09-02 1987-10-07 British Telecomm Communications switch
US5644496A (en) * 1989-08-15 1997-07-01 Advanced Micro Devices, Inc. Programmable logic device with internal time-constant multiplexing of signals from external interconnect buses
EP0481703B1 (en) * 1990-10-15 2003-09-17 Aptix Corporation Interconnect substrate having integrated circuit for programmable interconnection and sample testing
JP2802455B2 (ja) * 1991-05-10 1998-09-24 三菱電機株式会社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5363182A (en) * 1992-05-21 1994-11-08 Canon Kabushiki Kaisha Blade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5325336A (en) * 1992-09-10 1994-06-28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Semiconductor memory device having power line arranged in a meshed shape
US5659192A (en) * 1993-06-30 1997-08-19 Honeywell Inc. SOI substrate fabrication
US5451763A (en) * 1994-07-05 1995-09-19 Alto Corporation Personal medical IC card and read/write unit
US5789770A (en) * 1994-11-02 1998-08-04 Lsi Logic Corporation Hexagonal architecture with triangular shaped cells
US5665989A (en) * 1995-01-03 1997-09-09 Lsi Logic Programmable microsystems in silicon
JP3406127B2 (ja) * 1995-09-04 2003-05-12 三菱電機株式会社 半導体装置
US5623160A (en) * 1995-09-14 1997-04-22 Liberkowski; Janusz B. Signal-routing or interconnect substrate, structure and apparatus
JP3596830B2 (ja) * 1995-11-27 2004-12-02 株式会社ルネサステクノロジ 半導体装置の入力保護回路
US5781032A (en) * 1996-09-09 1998-07-1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Programmable inverter circuit used in a programmable logic cel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159774A (en) 2000-12-12
KR19990051868A (ko) 1999-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61662A (en) Standardized digital logic chip
US4942317A (en) Master slice type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having 2 or more I/O cells per connection pad
US6331977B1 (en) System on chip (SOC) four-way switch crossbar system and method
KR100254564B1 (ko) 반도체 장치
KR930000614B1 (ko) 반도체 집적회로장치
JPH03261155A (ja) テープキャリア
JP2985479B2 (ja) 半導体メモリおよび半導体メモリモジュール
KR100261201B1 (ko) 반도체 집적회로 및 시스템
US5463560A (e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
US4874968A (en) Component produced using integrated technology for the fabrication of integrated circuits
KR0135237B1 (ko) 반도체 장치
KR100548582B1 (ko) 반도체소자의 패드부
KR0172397B1 (ko) 멀티패키지 테스트용 로드 보더
JPH02141813A (ja) 半導体装置
JPS63260048A (ja) マスタ−スライス型半導体装置
EP0422930A2 (e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s
JPS6028255A (ja) 半導体装置
KR970007081Y1 (ko) 반도체 기억장치
JPH10284611A (ja) 入出力バッファ
KR100688476B1 (ko) 칩 면적을 줄이기 위한 레이아웃 구조를 갖는 고속 메모리장치
US5763944A (en) Semiconductor device having a reduced wiring area in and out of data path zone
KR100282994B1 (ko) 기능회로를구비한반도체집적회로장치
JPH01145842A (ja) 半導体装置
JPH02112777A (ja) 半導体集積回路
JP2008060215A (ja) 半導体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31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9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2

Year of fee payment: 1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