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53461B1 - 합성수지관 - Google Patents

합성수지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53461B1
KR100253461B1 KR1019920017224A KR920017224A KR100253461B1 KR 100253461 B1 KR100253461 B1 KR 100253461B1 KR 1019920017224 A KR1019920017224 A KR 1019920017224A KR 920017224 A KR920017224 A KR 920017224A KR 100253461 B1 KR100253461 B1 KR 1002534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tube
wall
synthetic resin
inclined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172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08356A (ko
Inventor
가나오시로오
Original Assignee
가나오시로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나오시로오 filed Critical 가나오시로오
Publication of KR9300083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83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34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3461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1/00Hoses, i.e. flexible pipes
    • F16L11/04Hoses, i.e. flexible pipes made of rubber or flexible plastics
    • F16L11/11Hoses, i.e. flexible pipes made of rubber or flexible plastics with corrugated wal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igid Pipes And Flexible Pi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관벽(1)이 나선 요철파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합성수지관에 관한 것으로, 이 관벽(1)의 단면형상이 삼각형상 또는 사다리꼴 형상으로 되어 이 삼각 형상 또는 사다리꼴 형상을 형성하는 양 경사벽(3,4)이 오목부(5)측 부분에서 관의 내주면측을 향하여 돌출된 원호형상부분(6)으로 형성되어 이 삼각형상 또는 사다리꼴 형상의 정상부(2) 또는 정상인접부를 지점(P)으로 하여 한쪽의 짧은 경사벽(4)이 지점(P)을 지나는 중심선(S)을 넘어서 다른 쪽 긴경사벽(3)에 대하여 근접하는 방향으로 이행하고 그 인접자세를 스스로 유지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합성수지관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일부절제 측면도.
제2는 통상자세를 도시한 관벽부분의 단면도.
제3도는 압축되어 변화된 상태를 도시한 관벽부분의 단면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관벽부분의 단면도.
제5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도시한 관벽부분의 단면도.
제6도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를 도시한 관벽부분의 단면도.
제7도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를 도시한 관벽부분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관벽 2 : 정상부
3 : 긴 경사벽 4 : 짧은 경사벽
5 : 오목부 6 : 원호형상부분
S : 중심선 α: 경사각
β: 경사각 P : 지점
본 발명은 주로 전선보호관이나 지중에 매설하여 사용하는 상하수도관, 지하매설관 등에 이용되는 합성수지관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런 종류의 전선보호관이나 상하수도관으로 이용되고 있는 합성수지관으로 관벽이 나선요철파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관은 이미 일반에 잘 알려져 있다.
또 한편 관벽전체의 두께가 1㎜ 전후(이하)의 얇은 균등한 두께로 구경이 30-40㎜ 정도의 소구경의 합성수지관으로 주로 가정용의 이불건조기용 송풍관으로 이용하기 적당한 관에 있어서는 관벽의 단면형상을 거의 삼각형상으로 하고 한쪽의 경사벽을 다른 쪽의 경사벽에 대하여 거의 평행이 되게 한 축소된 자세로 변화시킬 수 있으며, 이 축소된 자세를 스스로 유지되도록 한 관도 이미 제안되고 있다.
종래의 전선보호관이나 상하수도관 등에 있어서는 상기와 같이 관벽이 요철파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관벽의 두께가 비교적 두껍다 할지라도 그 나름대로 가용성이 있어 편리하게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 이런 종류의 상하수도관에 이용되고 있는 합성수지관에서는 축선 방향의 길이를 줄일 수 없기 때문에 보관시에는 보관 스페이스를 필요로 하고 도로사정 등의 문제로 길이가 긴 물건을 수송할 수 없으므로 소정의 길이로 절단하여 수송해야만 했다. 특히 내경이 1000㎜ 나 2000㎜ 라는 큰 지름을 가진 관이면 수송트럭의 화물칸 길이에 맞추어 하나하나 절단해야만 수송할 수 있으며 그 때문에 수송에 막대한 경비를 필요로 하고 그 뿐만 아나라 사용시에 짧게 절단된 관을 관연결구를 이용하여 물이 새지 않도록 접속연결 해야하므로 이 접속연결에 많은 일손과 시간을 필요로 하였다.
또 이와 같이 종래의 합성수지관으로는 관벽이 요철파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그 나름대로의 가요성이 있더라도 허용범위 이상으로 급한 각도로 구부릴 수 없으므로 곡율반경을 자게 할 수 없으며 예를 들면 상하수도관 등의 부설에 있어서 지형재로 토지의 경계를 따라서 구부려 배관하는 것이 곤란한 경우가 생기며, 전선보호관의 배관에 있어서는 건축물의 벽에서 천정안으로 구부러진 배관이나 천정안에서의 코너배관에 있어서 급격히 구부린 배관이 되지 않으므로 엘보모양의 관연결구를 사용하여 하나하나 접속연결 해야 하는 큰 문제가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합성수지관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할 것을 목적으로 상기한 얇은 소구경관의 기술을 이용하여 구조상에 있어서 새로운 개량을 가함으로써 종래의 합성수지관이 가지고 있던 내압변형강도와 거의 동등한 강도를 가지는 관이면서 보관시 및 수송시에는 관의 길이가 종래의 관과 같은 정도의 길이이면서도 사용시에는 종래의 2배 이상의 길이를 가지는 것으로 하여 접속연결개소의 수를 2분의 1 이하로 적게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곡율반경이 적은 급한 각도로 구부리는 배관도 가능한 합성수지관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관의 요철파형상을 정상부와 오목부를 함께 V자형으로 한 경우에는 외력으로 관을 축선방향으로 압축하여도 압축된 자세를 스스로 유지시키기가 곤란하고 특히 오목부가 V 자 형일 때에는 일단 압축자세를 한 후 원자세로 복원시키면 오목부의 외주면측에 커다란 크레스(백화현상)가 생겨 이 크레스가 눈에 보이고 관의 외관을 현저하게 저해하고 상품가치의 현저한 저하를 방지할 수 없다는 문제점도 동시에 해결할 수 있는 합성수지관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을 제1실시예에 따라 제1도 내지 제3도를 이용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합성수지관은 관벽(1)의 단면형상이 삼각형상 또는 사다리꼴 형상이 되도록 긴 경사벽(3)과 짧은 경사벽(4)을 이루고, 양 경사벽(3,4)을 오목부(5)측 부분에서 관의 내부면측을 향하여 돌출된 원호형상부분(6)으로 형성되게 한 것으로, 이 삼각형상 또는 사다리꼴 형상의 정상부(2) 또는 정상인접부를 지점(P)으로 하여 한쪽의 짧은 경사벽(4)이 지점(P)을 지나는 중심선(S)을 넘어서 다른 쪽 긴 경사벽(3)에 대하여 근접하는 방향으로 이행하여 그 근접된 자세를 스스로 유지되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합성수지관은 이와 같은 구조를 한 것이므로 보관시나 수송시에 있어서는 관을 축선 방향을 향하여 가압압축하여 상기 각각의 한쪽 짧은 경사벽(4)...를 각각의 지점(P)를 지나는 중심선(S)을 넘어서 각각 다른 쪽 긴 경사벽(3)...에 근접하는 자세가 되도록 이행시켜서 축소된 상태로 한다. 일단 이와 같이 축소된 상태로 되면 가압압력을 제외하여도 관은 이 축소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와 같이 보관하며 또 수송하고 수송 후 사용시에는 관의 양단을 잡고 관축 방향을 향하여 잡아당기면 각각의 짧은 경사벽(4)은 상기 지점(P)을 지나는 중심선(S)을 넘겨서 떼어지고 다른 긴경사벽(3)...과는 다른 방향의 경사각 자세가 되도록 복원되어 신장된 상태로 된다. 일단 이와 같이 신장된 상태로 하면 잡아당기는 힘을 주지 않아도 양 경사벽(3,4)끼리 서로 내밀어서 관은 이 신장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와 같이 신장된 상태로 한 관을 종래와 동일하게 그 관단을 관연결구로 순차적으로 접속 연결하여 적절히 배관하면 된다. 또 급한 각도의 배관을 필요로 하는 부분에서는 소경측에 위치하는 필요한 수의 짧은 경사벽(4)...만을 긴 경사벽(3)...에 근접시킨 축소된 자세로 하면 필요한 구부린 자세로 배관하면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합성수지관은 사용할 때에는 수송할 때의 관의 길이의 최소 2배 이상의 길이를 가지는 관으로 신장시킨 후 배관하여 사용할 수가 있다.
그 결과 보관경비나 수송경비를 대폭 감소시킬 수 있을 뿐더러 그 배관에 있어서는 관의 접속연결개소를 2분의 1 이하로 감소시킬 수 있고, 또 곡율반경이 적은 급한 각도로 구부린 배관을 필요로 하는 개소에서는 엘보모양의 관 연결구를 이용하여 접속 연결할 필요없이 급한 각도로 구부려서 배관할 수 있으므로 배관할때 노력과 시간을 대폭 줄일 수 있고 배관능률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의 각각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에 따라서 설명한다.
제1도 내지 제3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제1도는 경질의 합성수지소재를 이용하여 관벽(1)의 단면형상을 거의 삼각형상을 한 관의 구조를 나타내고 이 삼각형상을 형성하는 양경사벽(3,4)중 한쪽(제1도 및 2도에 있어서 우측)의 짧은 경사벽(4)의 길이를 다른 쪽(제1도 및 2도에 있어서 좌측)의 긴 경사벽(3)의 길이에 비하여 짧은 것으로 하고, 이 한쪽의 짧은 경사벽(4)의 경사각 즉 삼각형상의 정상부(2)를 지나는 중심선(S)에 대하는 경사각(α)를 다른 긴경사벽(3)의 중심선(S)에 대하는 경사각(β)에 비하여 작은 각도가 되도록 형성하여, 이들 서로가 인접되어 있는 양경사벽(3,4)을 오목부(5) 부분에서 관의 내주면측을 향하여 돌출된 원호형상부분(6)으로 형성되도록 한 것이다. 이것으로 인하여 이 삼각형상의 정상부(2)를 지점(P)으로 하고 한쪽(제1 및 2도에 있어서 우측)의 짧은 경사벽(4)이 이 지점(P)을 지나는 중심선(S)을 넘어서 다른 쪽(제1 및 2도에 있어서 좌측)의 긴경사벽(3)에 대하여 근접하는 방향으로 이행하여 제3도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이 한쪽의 짧은 경사벽(4)이 다른 쪽의 긴 경사벽(3)과 평행에 가까운 자세로 근접되어 그 근접된 자세를 스스로 유지되도록 한 것이다.
이 실시예에 표시한 합성수지관은 상기와 같은 구조를 한 것이므로 상기에서 기재한 바와 같이 관을 보관하고 또 수송할 때에는 관을 축선 방향으로 가압압축하여 제3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한쪽의 짧은 경사벽(4)을 다른 쪽 긴 경사벽(3)에 가까이한 짧은 상태로 하고, 부설시나 배관시에는 관의 양단을 잡고 관축방향으로 잡아당겨 제1도 및 2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통상제세로 복원시켜서 긴 상태로 하여 사용하면 된다.
제4도에 표시한 제2실시예는 상기 제1실시예에 표시한 관벽(1)의 정상부(2)의 구조를 양경사벽(3,4) 정상부측 부분이 오목부(5)측 부분과 동일하게 관의 외주면측을 향하여 돌출된 원호형상부분(7)으로 형성되어 있는 구조를 하고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하므로써 정상부(2)에 있어서 관의 짧은 상태로의 변경 및 긴 상태로의 복원을 더 한층 확실하게 할 수 있다.
제5도에 표시한 제3실시예는 상기 제1실시예에 표시한 관벽(1)의 정상부(2)의 구조를 양경사벽(3,4)정상부측 부분이 관축 방향으로 평행하는 평탄부분(8)에 의하여 연결형성되어 단면형상이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구조로 한것이다.
그러나 이 평탄부분(8)과 각각의 경사벽(3,4)의 양 교차점 부분이 관의 짧은 상태로 변화시에 분담하여 구부리는 변화를 하도록 하여 한쪽 짧은 경사벽(4)이 평탄부분 (8)의 지점(P)을 지나는 중심선(S)을 넘어서 다른 쪽 긴 경사벽(3)측에 이행하도록 한 것이다.
제6도에 표시한 제4실시예는 상기 제1실시예에 표시한 관벽(1)의 정상부(2)의 구조를 양 경사벽(3,4) 정상부측 부분이 관벽(1)의 외측을 향하여 돌출된 반원호형상 부분(9)에 의하여 연결 형성되어 단면형상이 사다리꼴에 가까운 원호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구조를 한 것이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관의 짧은 상태로의 변화시에 이 반원호형상부분(9)이 전체로서 구부리는 변화에 대응하도록 한 것이다.
그래서 이 실시예의 관에 있어서는 관벽(1)의 내면측에 합성수지제의 평탄한 대상체(11)로 단부측(11a)이 다소 소경이 되는 완만한 경사나선 자세가 되도록 하여 그 기단측(11b)을 상기 원호형상부분(6)을 따라서 융착 일체화하여 단부측(11a)부분과 다음 위치의 기단측(11b) 부분과의 사이에 조그만 틈, 보다 상세하게는 이 대상체(11)의 두께의 상당하는 정도 폭의 틈(12)이 형성되도록 한 내관을 가지는 관 구조를 한 것이다.
이 대상체(11)는 이 실시예에서는 한쪽 짧은 경사벽(4)측에서 다른 쪽의 긴 경사벽(3)측을 향하여 돌출하는 것으로 하여 도시하였으나 이것과는 역으로 긴 경사벽 (3) 측에서 짧은 경사벽(4)측을 향하여 돌출하도록 하여도 좋은 것은 말할것도 없다. 또 이 대상체(11)는 도면상으로는 관(1)의 관벽과 거의 같은 두께의 것으로서 도시하였으나 두께는 임의로 설정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내관을 가지는 관으로 하였을 경우에는 상하수도관이나 지하매입관과 같은 액체용 관이나 송풍관과 같이 기체용 관으로 이용하였을 때 유통저항이 적은 관으로 편리하게 사용할 수 가 있다.
제7도에 도시한 제5실시예는 오목부(5)측에 형성한 원호형상부분(6)의 형상을 반원호형상으로 호단을 안쪽으로 돌출시킴으로서 좌우의 양경사벽(3,4)하단끼리를 근접시킨 형상을 하고, 또 정상부(2)를 원호형상으로 하여 짧은 경사벽(4)의 정상인접부 (10)를 부분적으로 엷게 하고 이 정상인접부(10)를 교차점으로 하여 짧은 경사벽(4)이 긴 경사벽(3) 방향으로 구부리는 작용을 하기 쉽도록 형성한 것이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대표적이라고 생각되는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 실시예 구조만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상기한 구성요건을 갖추고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고 이후에 설명할 효과를 가지는 범위내에서 적절히 변경하여 실시할 수 가 있는 것이다.
이상의 설명으로 밝혀진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관벽의 단면형상을 삼각형상 또는 사다리꼴 형사으로 하여 이 삼각형상 또는 사다리꼴 형상을 형성하는 양경사벽을 오목부측 부분에서 관의 내주면측을 향하여 돌출된 원호형상 부분으로 형성되게 한 것으로 이 삼각형상 또는 사다리꼴 형상의 정상부 또는 정상인접부를 지점으로 하여 한쪽의 경사벽을 이 지점이 지나는 중심선을 넘어서 다른 쪽의 경사벽에 대하여 근접하는 방향으로 이행하여 그 근접된 자세를 스스로 유지되게 한 구조로 한 것이므로 보관시나 수송시에 관을 축선 방향을 향하여 가압압축하여 각각의 한쪽경사벽을 각각의 지점을 지나는 중심선을 넘어서 다른 쪽 경사벽에 근접하는 자세가 되도록 이행시켜서 축소상태로 되게 하여 길이의 2분의 1 이하 길이로 할 수 있으므로 보관장소가 적어서 좋고 대량의 보관이 가능하게 되고 수송 시에는 통상의 2배 이상의 수송이 가능하게 된다.
또 이와 같이 하여 축소된 상태로 한 관은 부설시에나 배관시에 관의 양단을 관축방향을 향하여 잡아당김으로서 축소된 상태보다 2배 이상의 길이로 복원시켜 통상의 긴 관으로서 종래와 동일하게 그 관단을 관 연결구에 의하여 순차적으로 연결하여 적절한 배관을 할 수 있고 또 급한 경사도의 배관을 필요로 하는 부분에서는 소경측에 위치하는 필요한 수의 한쪽 경사벽만을 다른 쪽 경사벽에 근접시킨 축소된 자세로 변형시키는 것에 의하여 필요한 각도로 구부려서 배관할 수 있으므로 그 결과 보관경비나 수송경비를 대폭 줄일 수 있을 뿐더러 배관을 할때에는 관의 접속연결개소의 수를 최소한 2분의 1 이하로 감소시킬 수 있고, 또 곡률반경이 적은 급한 경사도로 구부리는 배관을 필요로 하는 장소에서도 엘보모양의 관 연결구를 사용하여 접속 연결할 필요없이 관 자체를 급한 경사도로 구부려서 배관할 수 있으므로 배관의 노력과 시간을 대폭 줄일 수 있고 배관능률의 커다란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것으로 종래 합성수지관에는 전혀 기대할 수 없었던 현저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관에 있어서는 관의 오목부측 부분은 양경사벽을 관의 내주면측을 향하여 돌출된 원호형상 부분으로 형성되게 한 것이므로 가압압축할 때 이 원호형상부분 전체가 구부려지는 작용을 하므로 가압압축이 가능해질 뿐더러 일단 가압압축했을 때 이 원호형상부분이 원자세로의 자연복원력을 흡수하므로 압축자세를 스스로 유지할 수 있게 한 것이다.
그러나 이 원호형상부분은 원호형상부분 전체가 구부리는 작용을 부담하므로 관을 압축자세에서 원자세로 신장 복원시켜도 이 원호형상부분에 크랙이 되지 않고, 관의 내구성에 나쁜 영향을 줄 염려가 극히 적으며 크레스의 발생도 잘 되지 않고 가령 발생하였다 하더라도 외관을 해칠 정도는 안된다는 커다란 이점이 있다.
또 관에 전선보호관과 같은 내부 케이블을 넣어서 사용할 때 이 원호형상 부분이 안내가 되어 케이블과의 마찰에 의한 마모를 경감하는 작용도 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한 것이다.

Claims (4)

  1. 관벽(1)이 나선요철파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합성수지관에 있어서, 이 관벽 (1)의 단면형상이 삼각형상 또는 사다리꼴 형상으로 되어 이 삼각형상 또는 사다리꼴 형상을 형성하는 양경사벽(3,4)이 오목부(5)측 부분에서 관의 내주면측을 향하여 돌출된 원호형상부분(6)으로 형성되어 이 삼각형상 또는 사다리꼴 형상의 정상부(2) 또는 정상인접부를 지점(P)으로 하여 한쪽의 짧은 경사벽(4)이 이 지점(P)을 지나는 중심선 (S)을 넘어서 다른쪽 긴경사벽(3)에 대하여 근접하는 방향으로 이행하고 그 인접된 자세를 스스로 유지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관.
  2. 제1항에 있어서, 양 경사벽(3,4)의 정상부(2)측 부분이 관의 외주면측을 향하여 돌출된 원호형상부분(7)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관.
  3. 제1항에 있어서, 중심선(S)을 넘어서 이행하는 짧은 경사벽(4)의 길이가 다른 쪽 긴경사벽(3) 길이에 비하여 짧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관.
  4. 제1항에 있어서, 중심선(S)을 넘어서 이행하는 짧은 경사벽(4)의 중심선(S)에 대한 경사각(α)이 다른 쪽 긴경사벽(3)의 중심선(S)에 대하는 경사각(β)에 비하여 작은 각도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관.
KR1019920017224A 1991-10-21 1992-09-22 합성수지관 KR10025346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1-302385 1991-10-21
JP03302385A JP3025795B2 (ja) 1991-10-21 1991-10-21 合成樹脂管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8356A KR930008356A (ko) 1993-05-21
KR100253461B1 true KR100253461B1 (ko) 2000-04-15

Family

ID=179082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17224A KR100253461B1 (ko) 1991-10-21 1992-09-22 합성수지관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3025795B2 (ko)
KR (1) KR10025346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3738B1 (ko) 2016-07-11 2017-02-07 백순례 노출형 전선보호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2006014961U1 (de) * 2006-09-27 2008-02-14 Mann + Hummel Gmbh Rohrstück in einer Rohrleitung für Fluid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3738B1 (ko) 2016-07-11 2017-02-07 백순례 노출형 전선보호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5118476A (ja) 1993-05-14
JP3025795B2 (ja) 2000-03-27
KR930008356A (ko) 1993-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331376B2 (ja) ケーブル保護管
KR900004290Y1 (ko) 가요관
US6006788A (en) Flexible pipe with internal gasproof undulating metal tube
KR930001667B1 (ko) 내압 나선 파형관
US3199541A (en) Interlocking strip flexible hose
KR100486948B1 (ko) 암거관
JPH07195593A (ja) 合成樹脂蛇腹管
KR100253461B1 (ko) 합성수지관
US4364418A (en) Flexible tubular conduit
KR100253462B1 (ko) 내압합성수지관
JP3297723B2 (ja) 硬質合成樹脂管とその製造方法
US5769127A (en) Resin pipe
JP2008236976A (ja) 地中管路形成筒材
US1960139A (en) Flexible conduit
JPH087192Y2 (ja) 螺旋管
CN218992625U (zh) 双重钢塑复合增强缠绕管
JPH05149483A (ja) 硬質合成樹脂管
CN219866694U (zh) 一种多肋缠绕管
JP7290252B2 (ja) 管更生部材
JPH08270843A (ja) 可撓性波形管
JPH0583568U (ja) 合成樹脂製波付管
JP3214828B2 (ja) コンクリート管及びその連結構造
JPS6334407Y2 (ko)
JP3647242B2 (ja) 曲管部のパイプインパイプ工法
KR830002419Y1 (ko) 배선용 호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