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86948B1 - 암거관 - Google Patents

암거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86948B1
KR100486948B1 KR1019970013243A KR19970013243A KR100486948B1 KR 100486948 B1 KR100486948 B1 KR 100486948B1 KR 1019970013243 A KR1019970013243 A KR 1019970013243A KR 19970013243 A KR19970013243 A KR 19970013243A KR 100486948 B1 KR100486948 B1 KR 1004869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quare tube
wall
tube
square
cylindr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132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70679A (ko
Inventor
코우기 후쿠이
야스히로 키쿠모리
Original Assignee
도오다꾸 고오교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오다꾸 고오교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도오다꾸 고오교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9700706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706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69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69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1/00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 E02D31/02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against ground humidity or ground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1/00Drainage of soil, e.g. for agricultural purposes
    • E02B11/005Drainage condui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2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corruga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Rigid Pipes And Flexible Pipes (AREA)
  • Investigation Of Foundation Soil And Reinforcement Of Foundation Soil By Compacting Or Drainage (AREA)

Abstract

지중에 홈을 파 배관하는 경우에 일정한 모양으로 안정성이 좋게 배관할 수 있으며, 평탄변으로 된 부분을 홈바닥에 올려놓음으로서 안정성있게 위치결정을 행할 수 있고, 배관후에 있어서도 용이하게 위치의 어긋남을 일으키지 않아 배관모양을 유지하기 쉬운 암거관을 얻는 것을 과제로 한다.
그 해결수단으로는 사각관외벽(1)을 긴쪽방향에 있어서 사각관(2)과 원통형관(3)을 번갈아 배설시키고 있는 것으로 하고, 이 사각관외벽(1) 부분에 여러개의 집수용 작은구멍(4)을 뚫어 형성하며, 전체를 합성수지소재 또는 고무소재에 의해 형성하고 있는 구성으로 한다.

Description

암거관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암거관이라 하며, 지중에 매설하여 사용되는 집수배수관으로, 조성지, 골프장, 농지, 옹벽, 제방등의 지중에 매설하고, 지중의 빗물이나 용수(涌水)를 모아 배수로에 안내하여 배수하기 위해 이용하는 관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이런 종류의 암거관은 널리 일반적으로 알려져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암거관은 일반적으로는 합성수지제이며, 나선오목볼록 파형상으로 형성된 원통형상의 관이다.(예를들면 일본국 실개소 61-93528호 공개 명세서 참조).
이와같은 원통형상으로 형성된 관의 경우에는 지중에 매설하여 배관할 때 안정성이 좋지 않고, 관둘레 방향으로 비틀어짐을 일으키기 쉬운 것이었다. 그 때문에 관내에 방향에서 일정 범위를 빼고 나머지 부분에 집수용 작은구멍을 형성하여 이 작은 구멍이 없는 부분을 아래쪽으로 향해 배관하도록 미리 설계하더라도, 관의 비틀어짐현상에 의해 작은구멍이 없는 부분을 확실하게 아래쪽으로 향해 배관하는 것이 곤란하였기 때문에 종래의 암거관에서는 관둘레 방향의 전역에 집수용 작은구멍을 형성하고 있는 구조로 되어있었다.
본 발명은 종래의 암거관이 갖고 있는 이상과 같은 문제점에 착안하여 종래의 암거관이 갖는 과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제조에 있어서는 종래의 암거관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제조가 용이하며 원가가 높아지지 않는 특수구조로 된 암거관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서 말하는 암거관은 사각관외벽(1)을 긴쪽 방향에서 사각관(2)와 원통형관(3)을 번갈아 배설(配設)시키고 있고, 이 사각관외벽(1)부분에 여러개의 집수용 작은구멍(4)을 뚫어 형성시키며, 전체를 합성수지소재 또는 고무소재에 의해 형성하고 있는 구성으로 한 것이다.
여기서 말하는 사각관(2)의 단면형상은 정사각모양의 것에만 한정되지 않고 수직방향 또는 수평방향으로 긴 직사각모양의 것으로 해도 좋고, 원통형관(3)에 있어서도 둥근모양의 것에만 한정되지 않고 달걀모양이나 긴원통형의 것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사각관(2)은 모가난 모서리모양이라도 좋지만 모서리부분을 둥근활모양으로 하는 것이 취급에 편리하다.
이 실시에 있어서는 사각관외벽(1)의 내주면에서, 사각관(2)의 사변중 한개의 평탄변(2a)의 관폭방향 중앙부분과 이 부분에 인접하는 원통형관(3)이 관축방향에서 거의 동일면으로 형성되게 하거나, 사각관외벽(1)의 원통형관(3)만으로, 또는 사각관(2)만으로 여러개의 집수용 작은구멍(4)을 뚫어 형성하고 있는 것으로 하거나, 사각관(2)과 원통형관(3)의 양쪽에 여러개의 집수용 작은구멍(4)을 뚫어 형성하고 있는 것으로 하거나 또는 사각관외벽(1)의 둘레방향에서, 사각관(2)의 사변 중 한개의 평탄변(2a)과 이 양측에 이어지는 양변의 근접부분을 포함하는 일정범위(α)를 뺀 주벽부분에 여러개의 집수용 작은구멍(4)을 뚫어 형성하고 있는 것으로서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말하는 암거관을 형성하는 합성수지소재로서는 폴리에틸렌이나 폴리염화비닐·폴리프로필렌 그외 임의의 합성수지소재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고, 고무소재로서는 천연고무, 합성고무등 임의의 소재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지중에 매설하여 사용하는 관체이므로 내압편평성능에 뛰어난 경질의 소재가 적합하다.
이와같은 구성으로 한 본 발명의 암거관은 사각관외벽(1)의 사각관(2)의 존재에 의해 일정한 모양으로 안정성이 좋게 배관할 수 있으며, 특히 지중에 홈을 파서 배관하는 경우에도 사각관(2)의 평탄변을 홈바닥에 올려놓음으로써 안정성있게 위치결정을 행할 수 있고, 배관후에도 쉽게 위치의 어긋남을 일으키지 않아 배관모양을 유지하기 쉽다.
다음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제 1도 내지 제 4도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의 암거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제 1도는 관체(P)의 외형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제 2도는 사각관외벽(1)의 중앙부분을 관체의 긴쪽방향을 따라 절단한 상태를 도시하며, 제 3도는 사각관외벽(1)의 원통형관(3)을 관체의 둘레방향으로 절단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이 실시예에 도시한 관체(P)의 구조는 이들의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각관외벽(1)의 형상을 관축방향에 있어서, 단면형상을 거의 정사각모양으로 한 사각관(2)과, 단면형상을 원형모양으로 한 원통형관(3)을 번갈아 배치시켜 주름모양으로 연속하여 형성하고 있는 구조로 하고, 이 원통형관(3)의 각각에 여러개의 집수용 작은구멍(4)을 뚫어 형성하고 있는 구조로 한 것이다. 또한 여기서 말하는 사각관외벽(1)의 주름모양은 나선형상으로 이어지는 파형의 것으로서 실시할 수도 있다.
그리고 이 실시예에 도시한 관체(P)는 제 1도, 제 3도 및 제 4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사각관(2)의 단면형상을 모서리부분을 둥글게 한 정사각모양으로 하고, 이 사각관(2)의 사변중 한변의 평탄변(2a)의 관축방향 중앙부분과 이 부분에 인접하는 원통형관(3)이 주름모양으로 되어있다. 그러나 이들의 접속부분을 사각관외벽(1)의 내주면에서 거의 동일면으로 연속하도록 형성하는 것에 의해 관체(P)안에 집수한 물이 저항을 적게 받게 하고, 물이 괴지않는 상태로 원활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이 실시예에 도시한 관체(P)는 제 3도에서 보여지는 바와같이 사각관(2)의 한개의 평탄변(제 3도에서 하측의 평탄변)(2a)과 그 인접하는 부분을 포함하는 일정범위(α)를 뺀 나머지 부분에만 집수용 작은구멍을 뚫어 형성하고 있는 구조로 한 것이다. 이와같이 하여 이 집수용 작은구멍(4)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평탄변(2a)부분을 아래쪽으로 배관하므로써 관체(P)안에 일단 집수한 물이 관의 하측에 형성되어 있는 집수용 작은 구멍에서 다시 지중으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그리고 이와같은 구조의 관체(P)를 제조하는 데 있어서는 공지의 캐터필러방식의 관 성형용의 연속틀안에 그 일단측에 배치한 수지압출기에서 용융수지를 튜브모양으로 밀어내고, 그 튜브안에 고압공기를 불어넣는 것에 의해 또는 동시에 틀에서 공기를 흡인시키는 것에 의해 용융상태에 있는 튜브를 틀에 밀어대면서 순차 연속적으로 성형시키고, 관체가 틀에서 바깥쪽으로 이동한 장소에서 또는 성형을 끝내고 관체가 경화한 후에 상기의 집수용 작은구멍(4)을 순차로 뚫어 형성시키면 좋다.
제 5도는 이와같은 구조로 된 양 관체(P),(P)들을 관이음부를 이용하여 접속연결하는 수단에 대하여 예시한 것이며, 이 접속수단은 관(P)의 단부 근처의 원통형관(3)에 이 원통형관(3)과 거의 같은 모양의 원형구멍을 갖고 외형이 사각관(2)과 비슷한 정사각모양으로 이 사각관(2)의 외형보다 약간 큰 형상으로 되어 있는 탄성에 뛰어난 양측 고무패킹(12),(12)을 각각 끼워맞춘 후, 양 관체(P),(P)의 마주대는 단면사이에 개재시키는 다른 링형상 패킹(11)을 양단부분을 모가난 통모양으로 하여 중앙부분을 원통모양으로 한 이음부(10)의 중앙부분에 삽입시켜두고, 이 이음부(10)에 대해 양 관체(P),(P)를 양측에서 밀어넣어 접속하도록 한 것이다. 또한 설명은 생략하지만 다른 수단에 의해 연결해도 좋은 것은 말할 것도 없다.
제 6도 내지 제 8도에 도시한 관체(P)는 상기 제 1실시예에 도시한 관체(P)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제 2실시예의 관이며, 서로 다른 점은 상기 제 1실시예에 도시한 관체(P)에서 원통형관(3)에 형성한 여러개의 집수용 작은구멍(4)을, 이 원통형관(3)에는 형성하지 않고, 사각관(2)에 형성하고 있는 구조로 한 것이다. 이 제 2실시예 구조의 경우도, 상기 제 1실시예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이들의 집수용 작은구멍(4)도 제 8도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사각관(2)의 한개의 평탄변(제 8도에서 하측의 평탄변)(2a)의 전부와 이 양측에 이어지는 평탄변의 근접부분을 포함한 일정범위(α)에는 집수용 작은구멍(4)을 형성하지 않고, 이 일정범위(α)를 뺀 다른 부분에만 집수용 작은구멍(4)을 뚫어 형성하고 있는 구조로 한 것이다.
제 9도에 도시한 관체(P)는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제 3실시예의 관이며, 이 실시예의 관체(P)는 여러개의 집수용 작은구멍(4)을, 원통형관(3)과 사각관(2)의 각각에 형성시킨 구조로 한 것이다. 이 실시예 구조의 경우도, 상기 제 1실시예 및 제 2실시예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이들의 집수용 작은구멍(4)은, 사각관(2)에서는 그 아래쪽의 평탄변(2a)의 전부와 그 양측에 이어지는 평탄변의 근접부분을 포함한 일정범위를 또한 원통형관(3)에 있어서는 이 사각관(2)에 대응하는 아래쪽 부분의 일정범위에는 집수용 작은구멍(4)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영역으로 하고 있다.
제 10도 및 제 11도에 도시한 관체(P)는 또한 관체(P)의 변형실시예에 대해 도시한 것으로, 사각관(2)에 대해 원통형관(3)의 중심이 사각관(2)의 한개의 평탄변(2a), 도면에서 아래쪽의 평탄변(2a)측으로 변위하고 있고, 이 아래쪽 부분에서, 사각관(2)의 내면과 원통형관(3)의 내면이 관축방향에서 거의 동일면을 형성하는 구조로 된 것이다. 이와같이 하면 집수한 물을 저항이 적게 배출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이와같이 사각관(2)과 원통형관(3)은 일직선으로 형성할 필요는 없고 상대변위하고 있는 구조로서 실시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말하는 관체(P)를 형성하는 합성수지소재의 경도는 제조하는 관체의 크기나 지중으로의 매설의 깊이등에 따라 임의의 경도의 것을 선정하여 사용하면 좋다. 그러나 지중에 매설하여 사용하는 관이므로 사각관외벽(1)에 받는 외부압력을 고려하여 내압편평강도를 갖도록 소재의 종류와 경도와 내수성을 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반드시 이들의 실시예 구조만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에서 말하는 구성요건을 갖추고 있고,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며, 다음에 설명하는 효과를 갖는 범위내에 있어서 적절히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상의 설명에서 이미 명백한 바와 같이 사각관외벽의 구조를 긴쪽 방향에서 사각관과 원통형관을 번갈아 배설시키고 있는 것으로 하고, 이 사각관 외벽부분에 여러개의 집수용 작은구멍을 뚫어 형성시키며, 전체를 합성수지소재 또는 고무소재에 의해 형성하고 있는 구성으로 한 것이므로 지중에 매설하여 배관할 때 지면에 판 홈의 바닥면을 따르게 하여 안정성이 좋게 배관할 수 있고, 위치결정을 쉽게 할 수 있는 이점을 갖고, 배관후에 있어서도 쉽게 위치의 어긋남을 일으키거나 비틀어지지 않는 상태에서 배관모양을 유지하기 쉽다는 현저한 이점을 갖고 있는 것이다.
또한 제조에 있어서도 고속으로 효율적으로 제조할 수 있고, 종래 구조의 것에 비해 원가가 높아지는 일도 없고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는 효과도 아울러 갖추고 있다.
제 1도는 제 1실시예를 도시하는 관체의 사시도.
제 2도는 동 관체의 축선방향을 따른 중앙 종단면도.
제 3도는 동 관체의 원통형관의 종단면도.
제 4도는 동 관체의 사각관의 종단면도.
제 5도는 동 관체끼리의 접속연결상태를 도시하는 관축방향의 종단면도.
제 6도는 제 2실시예를 도시하는 관체의 사시도.
제 7도는 동 관체의 제 2도 상당부분의 단면도.
제 8도는 동 관체의 제 4도 상당부분의 단면도.
제 9도는 제 3실시예를 도시하는 관체의 사시도.
제 10도는 동 관체의 제 2도 상당부분의 단면도.
제 11도는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제 3도 상당부분의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사각관외벽 2. 사각관 2a. 평탄변
3. 원통형관 4. 작은 구멍 α. 일정범위

Claims (7)

  1. 사각관외벽(1)이 긴쪽방향에서 사각관(2)과 원통형관(3)이 번갈아 배설되어 있고, 이 사각관외벽(1) 부분에 여러개의 집수용 작은구멍(4)을 뚫어 형성하며, 전체가 합성수지소재 또는 고무소재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암거관.
  2. 사각관외벽(1)이 긴쪽방향에서 사각관(2)과 원통형관(3)이 번갈아 배설되어 있고, 이 사각관외벽(1) 부분에 여러개의 집수용 작은구멍(4)을 뚫어 형성하며, 전체가 합성수지소재 또는 고무소재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사각관(2)은 모서리부분이 둥근활모양으로 형성된 정사각모양으로 되어 있는 암거관.
  3. 사각관외벽(1)이 긴쪽방향에서 사각관(2)과 원통형관(3)이 번갈아 배설되어 있고, 이 사각관외벽(1) 부분에 여러개의 집수용 구멍(4)을 뚫어 형성하며, 전체가 합성수지소재 또는 고무소재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사각관외벽(1)의 내주면에서 사각관(2)의 평탄변(2a)의 관폭방향 중앙부분과 이 부분에 인접하는 원통형 관(3)이 관축방향에서 동일면으로 형성되어 있는 암거관.
  4. 사각관외벽(1)이 긴쪽방향에서 사각관(2)과 원통형관(3)이 번갈아 배설되어 있고, 이 사각관외벽(1)의 원통형관(3)에 여러개의 집수용 작은구멍(4)을 뚫어 형성하며, 전체가 합성수지소재 또는 고무소재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암거관.
  5. 사각관외벽(1)이 긴쪽방향에서 사각관(2)과 원통형관(3)이 번갈아 배설되어 있고, 이 사각관외벽(1)의 사각관(2)에 여러개의 집수용 작은구멍(4)을 뚫어 형성하며, 전체가 합성수지소재 또는 고무소재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암거관.
  6. 사각관외벽(1)이 긴쪽방향에서 사각관(2)과 원통형관(3)이 번갈아 배설되어 있고, 이 사각관외벽(1)의 사각관(2)과 원통형관(3)에 여러개의 집수용 작은 구멍(4)을 뚫어 형성하며, 전체가 합성수지소재 또는 고무소재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암거관.
  7. 사각관외벽(1)이 긴쪽방향에서 사각관(2)과 원통형관(3)이 번갈아 배설되어 있고, 이 사각관외벽(1)의 둘레방향에 있어서 사각관(2)의 한개의 평탄변(2a)과 그 양측에 이어지는 양변의 근접부분을 포함하는 일정범위(α)를 뺀 나머지 주벽부분에 여러개의 집수용 작은구멍(4)을 뚫어 형성하며, 전체가 합성수지소재 또는 고무소재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암거관.
KR1019970013243A 1996-04-10 1997-04-10 암거관 KR10048694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114172A JP3066731B2 (ja) 1996-04-10 1996-04-10 暗渠管
JP96-114172 1996-04-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70679A KR970070679A (ko) 1997-11-07
KR100486948B1 true KR100486948B1 (ko) 2005-08-04

Family

ID=146309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13243A KR100486948B1 (ko) 1996-04-10 1997-04-10 암거관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076992A (ko)
JP (1) JP3066731B2 (ko)
KR (1) KR100486948B1 (ko)
CA (1) CA2202233A1 (ko)
MY (1) MY121661A (ko)
TW (1) TW32403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27477B1 (en) * 2000-01-07 2003-03-04 Kristar Enterprises, Inc. Erosion control rolls
US7207747B1 (en) * 2001-11-13 2007-04-24 Infiltrator Systems Inc Drainage system for sand bunker
JP3914103B2 (ja) * 2002-07-01 2007-05-16 株式会社リコー パイプ体の製造方法及びパイプ体
US6854925B2 (en) * 2002-09-03 2005-02-15 Ditullio Robert J. Storm water reservoir with low drag
JP2004257123A (ja) * 2003-02-26 2004-09-16 Totaku Industries Inc 排水性舗装用排水管及び排水性舗装体
US7249431B1 (en) 2004-02-19 2007-07-31 William Rose Light-activated illuminating device
US7451784B2 (en) * 2005-01-25 2008-11-18 Advanced Drainage Systems, Inc. Corrugated pipe with perforation protecting cover
CA2546991C (en) * 2005-05-16 2014-07-08 Soleno Inc. Corrugated conduit with reinforcement and flow control features
US20080017729A1 (en) * 2006-07-07 2008-01-24 Kuang-Bao Ou-Young High volume dripping hoses
US7628566B2 (en) 2007-01-25 2009-12-08 Miskovich Joseph S Smooth interior water collection and storage assembly
CN201119333Y (zh) * 2007-09-05 2008-09-24 张宗友 渗透对流式排灌水管装置
KR100862167B1 (ko) * 2008-03-28 2008-10-10 한라산업개발 주식회사 개착식 하상여과공법을 이용한 간접취수원 확보 시스템
KR100862166B1 (ko) * 2008-03-28 2008-10-10 한라산업개발 주식회사 개착식 하상여과공법을 이용한 집수시스템
BRPI1102342A2 (pt) * 2011-05-31 2013-06-25 Luiz Ribeiro Oliveira Nascimento Costa estrutura difusora de Águas pluviais
US20150136255A1 (en) * 2013-11-19 2015-05-21 Advanced Drainage Systems, Inc. Pipe having slits
CN110055936B (zh) * 2019-05-15 2023-12-05 江西省水利科学研究院 一种安装在水库涵管上的输水管道
US10858795B1 (en) * 2019-09-20 2020-12-08 Hope Technology Co., Ltd. Quick-fit self-priming drain pipe
DE102020105558A1 (de) * 2020-03-02 2021-09-02 Faserverbund Innovations UG (haftungsbeschränkt) Aus einem Wellrohr gebildete Harzleitung
CN113931165B (zh) * 2021-10-27 2022-04-08 杭州林润建设有限公司 一种软土地基真空预压施工结构及施工方法
CN116876465A (zh) * 2023-09-07 2023-10-13 华能澜沧江水电股份有限公司 一体式排水管、排水系统及排水系统的施工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93528U (ko) * 1984-11-19 1986-06-17
JPH0353693A (ja) * 1989-07-20 1991-03-07 Nec Corp 双方向catv網加入者端末装置
JPH06108522A (ja) * 1992-09-25 1994-04-19 Daikaron Kako:Kk 排水管
KR950033759U (ko) * 1994-05-13 1995-12-18 민병이 외토압보강 가요성 나선관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0383A (en) * 1908-09-17 1910-09-13 Marsena P Mcculloch Irrigation system.
US2230306A (en) * 1939-01-19 1941-02-04 Albert P Mcdonald Vitreous clay underground conduit
US3693664A (en) * 1970-10-15 1972-09-26 Hancock Brick & Tile Co Modular cellular conduit assembly
NO142585C (no) * 1978-03-13 1980-09-10 Kjell Jakobsen Drensledning.
DE3313147A1 (de) * 1983-04-12 1984-10-18 Hegler, Wilhelm, 8730 Bad Kissingen Teil-sickerrohr mit steck-muffe
US4650367A (en) * 1983-11-30 1987-03-17 Dietzler Daniel P Internally reinforced extruded plastic pipe
JPH0733187B2 (ja) * 1988-10-04 1995-04-12 三田工業株式会社 自動原稿搬送装置
US4950103A (en) * 1989-07-17 1990-08-21 Justice Donald R Corrugated drainage tube
JP3331376B2 (ja) * 1995-02-14 2002-10-07 金尾 茂樹 ケーブル保護管
JPH09280430A (ja) * 1996-04-10 1997-10-31 Toutaku Kogyo Kk 樹脂製波形管
JP3120169B2 (ja) * 1996-04-10 2000-12-25 東拓工業株式会社 ワイヤーハーネス用プロテクタ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93528U (ko) * 1984-11-19 1986-06-17
JPH0353693A (ja) * 1989-07-20 1991-03-07 Nec Corp 双方向catv網加入者端末装置
JPH06108522A (ja) * 1992-09-25 1994-04-19 Daikaron Kako:Kk 排水管
KR950033759U (ko) * 1994-05-13 1995-12-18 민병이 외토압보강 가요성 나선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076992A (en) 2000-06-20
CA2202233A1 (en) 1997-10-10
KR970070679A (ko) 1997-11-07
TW324039B (en) 1998-01-01
JPH09279555A (ja) 1997-10-28
MY121661A (en) 2006-02-28
JP3066731B2 (ja) 2000-07-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86948B1 (ko) 암거관
KR100340304B1 (ko) 합성수지제 파형관
US8820801B2 (en) Multi-wall corrugated pipe couplings and methods
KR100319182B1 (ko) 합성수지관체
US8820800B2 (en) Multi-wall corrugated pipe couplings and methods
KR100540816B1 (ko) 수지제파형관
WO2000040883A2 (en) Pipe having an in-line bell
US7306264B2 (en) Pipe having a water-tight in-line bell
KR100792353B1 (ko) 합성수지 이중관, 그것의 제조 장치 및 방법
KR100926328B1 (ko) 프로파일 합성수지관
KR20060096192A (ko) 폴리에틸렌 관
CN107532761B (zh) 用于波纹管的双级联接
US4288108A (en) Collar coupled plastic conduit
KR101789794B1 (ko) 복수 개의 강관을 갖는 콘크리트 합성 암거구조물
RU2474747C2 (ru) Двустенная гофрированная трубная секция с трубным соединением
KR19990085346A (ko) 배수로관연결용 거푸집 및 연결장치
IE46560B1 (en) Socket part for a spigot and socket pipe connection
CN216009857U (zh) 一种mupo双层双波管结构
KR101072427B1 (ko) 삼중벽을 구비한 관체
CN218719402U (zh) 一种多棱形双壁波纹管
CN112310929B (zh) 一种缆线综合管廊用管道及其铺设方法
KR20010053351A (ko) 가요성 보강된 나선관
KR20000006799U (ko) 가요성 보강된 나선관
KR0137256Y1 (ko) 지중 매설형 배수관 연결장치
KR880000648Y1 (ko) 합성수지제 지중매설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42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