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80000648Y1 - 합성수지제 지중매설관 - Google Patents

합성수지제 지중매설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80000648Y1
KR880000648Y1 KR2019840010348U KR840010348U KR880000648Y1 KR 880000648 Y1 KR880000648 Y1 KR 880000648Y1 KR 2019840010348 U KR2019840010348 U KR 2019840010348U KR 840010348 U KR840010348 U KR 840010348U KR 880000648 Y1 KR880000648 Y1 KR 88000064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circumferential surface
synthetic resin
pipe made
wall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4001034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05010U (ko
Inventor
김봉희
Original Assignee
김봉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봉희 filed Critical 김봉희
Priority to KR2019840010348U priority Critical patent/KR880000648Y1/ko
Publication of KR86000501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501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8000064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0648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1/00Hoses, i.e. flexible pipes
    • F16L11/14Hoses, i.e. flexible pipes made of rigid material, e.g. metal or hard plastics
    • F16L11/15Hoses, i.e. flexible pipes made of rigid material, e.g. metal or hard plastics corruga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igid Pipes And Flexible Pip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합성수지제 지중매설관
제1도는 본 고안의 일부를 절제한 사시도.
제2(a)도와 제2(b)도는 본 고안과 종래의 것의 단면대비 및 외압력의 작용설명도.
본 고안의 합성수지제관은 지중에 매설하였을때 토압을 지탱하는 중공리브를 관벽제의 내주면에 나선상으로 균일하게 배치하여 되는 것으로서, 중공리브와 관벽재를 경질합성수지로 일체가 되게 형성한 지중매설관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이러한 종류의 합성수지제 지중매설관은 제2(b)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관벽재(01)의 외주면(02)에 힘받이용 중공리브(03)을 형성하여 왔다. 이와같이 관체외부에 중공리브(03)를 형성하는 것은 관체내부로 상하수도의 송배수를 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이어서, 관체내부를 평활면으로 하는 것이 필요하기 때문인 것이다.
그러나 관체내부로 유체등의 이송을 하지 않는데 사용되는 경질 합성수지제 지중매설관의 용도는 크게 확대되어 가고 있다. 즉, 막대한 수요량의 관정용(管井用), 맨홀용 및 기타 지중매설관등을 경질 합성수지제 지중매설관은 그 용도가 다양한 것이다. 이와같이 관체내부로 이송되는 이송물의 저항을 고려하지 않아도 되는 경질 합성수지제 지중매설관을 지금까지 상기의 제2(b)도와 같이 관벽제(01)의 외주면(02)에 중공리브(03)를 형한 것을 사용하고 있는 것이다. 위에서 설명한 종래의 경질 합성수지제 지중매설관은 지중에 매설되었을 때 관체에 가해지는 토압(외압)을 중공리브(03)가 받아 관벽재(01)에 분산시키는 것으로 되어있을 뿐 아니라 그 연접부(04)(04)를 서로 겹쳐서 접합시키는 것이므로 그 연접을 완전 일체화 시키기 위한 공정이 복잡하여 그 생산능률을 저하시키는 것이었다. 또한 관체의 외부에서 내부로 가해지는 압력(P)을 관벽재(01)의 외주면(02)에 형성한 힘받이용 중공리브(03)가 받아 이 중공리브(03)들을 연결하고 있는 관벽외주변(02)에 분산시킬때의 대항력(t)보다 관체의 외부에서 가해지는 압력(P)을 제2(a)도에서와 같이 관벽재(1)의 내주면(2)에 중공리브(3)를 형성한 것이 그 대항력(t)의 분산한계가 넓다(T=2>t=02)는 것은 역학적인 사실이다. 이와같은 사실은 결과적으로 종래에 관벽재(01)의 외주면(02)에 나선상으로 형성하고 있는 중공리브(03)들의 간격(02)이 본 고안에서 기도하는 관벽재(1)의 내주면(2)에 나선상으로 형성한 중공리브(3)들의 간격(2)보다 역학적으로 좁아져야 하는가 하면 그 중공리브(03)의 외경이 본 고완의 중공리브(3)보다 커지는 만큼 관체를 성형하는 합성수지재료가 증가되는 것이다.
본 고안은 합성수지제 관체내부로 유체등의 이송을 목적으로 하지 않고 집수를 목적으로 하는 관정용, 맨홀용 및 기타 지중매설관 등으로 사용하기에 적합하고 매설토압에 강한 경질 합성수지제 지중매설관을 최소한의 성형재료로 성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연접공정을 간편히 할 수 있는 것으로, 예시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의 내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제1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관벽재(1)를 형성하는 관벽내주면부(2)로 돌출되는 중공리브(3)가 형성되게 경질합성수지제로 U형 단면상으로 압출한 대상재(1a)의 양측연부(4)(4)를 약 45°내외의 경사각을 가지게 일체로 형성하는 것이다. 즉, 관벽재(1)를 형성하는 U형 단면의 대상재(1a)를 합성수지 압출기의 다이스에서 일체로 압출한 것을 일반적인 관성형장치인 만드레일(도시하지 않음)의 외주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한 나선상요입홈에 상기 U형 단면상의 대상재(1a)의 중공리브(3)가 들어가게 감아돌려서 관벽재(1)를 형성할 때 그 대상재(1a)의 각 연부(4)(4)가 서로 연접되게 융착하면 관체의 내주면(2)에 나선상의 중공리브(3)가 형성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관자체를 성형하는 방법(장치 포함)은 적절한 공지의 방법이 이용될 수 있는 것이므로, 본 고안의 실시에 있어서 그 실시방법의 선택은 실용신안 등록청구의 범위를 제한하지 않는다.
본 고안의 실시에 있어서, U형단면상으로 압출한 대상재(1a)의 양측연부(4)(4)를 약 45°내외의 경사각을 가지게 형성함은 관벽재(1)의 두께에 따라 선택적으로 실시되며, 상기의 양측연부(4)(4)의 연접은 융착되는 것이다. 또한 융착 혹은 용착의 경우는 대상재(1a)를 형성하는 합성수지지재질에 따라 직접융착 또는 용재에 의하여 강고하게 용착되는 것이다.
본 고안은 관벽재(1)의 내주면(2)에 중공리브(3)를 나선상으로 형성하고 있으므로 관정용관으로 사용하는 경우 중공리브(3)를 피하여 관벽면부위(2)에 적절하게 집수구멍(도시하지 않음)을 뚫어서 매설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관체를 관정용, 맨홀용으로 사용하여 지중에 매설된 것은 상측지층이 동결하여 부상하여도 관외주면에 리브와 같은 걸림턱이 없이 대략 일직선상으로 되어있기 때문에 동결토가 관체를 들어올리지 못하여 종래에 관체외주면에 리브를 형성한 것과 같은 동해를 입지 않으므로 그 시설물의 내구성을 크게 증진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이상 실시예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같이 관벽재(1)의 내주면(2)에 일체로 중공리브(3)를 나선상으로 형성함에 있어서, 경질합성수지재로 U형 단면상으로 압출한 대상재(1a)의 양측연부(4)(4)를 약 45°내외의 경사각을 가지게하여 일체로 연접한 것이므로 그 제조과정이 간편하고, 관벽재(1)와 그 내주면(2)의 중공리브(3)는 항시 일체적으로 외압에 대항하게 되므로 그 지구력이 우수하여 지중에 안심하고 매설할 수 있고, 관벽재(1)의 중량이 가벼워서 취급하기 쉽고, 일단 지중에 매설한후에 있어서도 이 중공리브(3)는 관벽재(1)의 내주면에 일체로 나선상으로 형성되어 있어서 나선상 중공리브(3)는 토압(외압)을 관벽재(1)에 대하여 국부적으로나 집중적으로 전달되는 일이 없이 관전체에 분산시켜 대향하기 때문에 관의 내압력이 우수한 실용적인 지중매설관을 제공하는 것이다.

Claims (1)

  1. 양측연부(4)(4)를 약 45°내외의 경사각을 가지게 경질합성수지재로 압출한 U형 단면상의 대상재(1a)로서 관벽재(1)의 내주면(2)에 중공리브(3)가 나선상으로 형성되게 상기의 양측연부(4)(4)를 일체로 연접하여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제 지중매설관.
KR2019840010348U 1984-10-20 1984-10-20 합성수지제 지중매설관 KR88000064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40010348U KR880000648Y1 (ko) 1984-10-20 1984-10-20 합성수지제 지중매설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40010348U KR880000648Y1 (ko) 1984-10-20 1984-10-20 합성수지제 지중매설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5010U KR860005010U (ko) 1986-05-08
KR880000648Y1 true KR880000648Y1 (ko) 1988-03-14

Family

ID=192376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40010348U KR880000648Y1 (ko) 1984-10-20 1984-10-20 합성수지제 지중매설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80000648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5010U (ko) 1986-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71173A (en) Plastic pipe for sewer pipe reconstruction
BRPI0921779B1 (pt) Acoplamento para um tubo corrugado de três paredes, seção de tubo corrugado de três paredes, e método de acoplamento de um tubo corrugado de três paredes
US3753352A (en) Perforate conduit
KR960031865A (ko) 합성수지 파형관
JP3066731B2 (ja) 暗渠管
EP0390932A1 (en) UNDERGROUND PIPE INDICATED FOR A PUSH DRILLING PROCESS AND CONNECTION STRUCTURE OF SUCH A SUBTERRANEAN PIPE.
KR880000648Y1 (ko) 합성수지제 지중매설관
JPS6335066Y2 (ko)
KR100730636B1 (ko) 건축 및 도로공사에 사용되는 상하수관용 나선관
US2893212A (en) Drain pipe connector
KR100490956B1 (ko) 토목및도로공사용하수로관연결용거푸집
JP3763875B2 (ja) 管継手
JP2542232B2 (ja) 管継手及び管継手の製造方法
CN219712560U (zh) 一种齿形增强管材
JPH042223Y2 (ko)
JPS6111339Y2 (ko)
JPS585340B2 (ja) 排水用桝
JPH0334540Y2 (ko)
JPH0622684U (ja) 合成樹脂製コルゲート管
JPH0339672Y2 (ko)
JPS6124790Y2 (ko)
JPS6323461Y2 (ko)
JPS592180Y2 (ja) 暗渠ブロツク
JPH0434195Y2 (ko)
KR20000006799U (ko) 가요성 보강된 나선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1091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