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30002419Y1 - 배선용 호스 - Google Patents

배선용 호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30002419Y1
KR830002419Y1 KR2019820001366U KR820001366U KR830002419Y1 KR 830002419 Y1 KR830002419 Y1 KR 830002419Y1 KR 2019820001366 U KR2019820001366 U KR 2019820001366U KR 820001366 U KR820001366 U KR 820001366U KR 830002419 Y1 KR830002419 Y1 KR 83000241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se
pipe
wall
wiring
synthetic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2000136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수
Original Assignee
풍남산업주식회사
김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풍남산업주식회사, 김수 filed Critical 풍남산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20001366U priority Critical patent/KR83000241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3000241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2419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62Tubings, i.e. having a closed section
    • H02G3/0475Tubings, i.e. having a closed section formed by a succession of articulated uni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06Details thereof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62Tubings, i.e. having a closed section
    • H02G3/0481Tubings, i.e. having a closed section with a circular cross-s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igid Pipes And Flexible Pip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배선용 호스
제1도는 본 고안 배선용 호스의 길이방향 일부 단면 예시도이며.
제2도는 종래 속칭 더스트호스의 길이방향 일부 단면 예시도이며.
제3도는 종래 배선용 직관(直管)의 길이방향 단면예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본 고안 호스의 벽제(壁材) 1' : 종래 더스트호스의 벽재
2 : 본 고안 호스의 나선보강선재(線材) 2' : 종래 더스트호스의 나선보강선재
3 : 본 고안 호스의 중공부 3' : 종래 더스트호스의 중공부
1″: 종래 배선용직관의 벽재 3″: 종래 배선용직관의 중공부
4″: 종래 배선용직관의 계관부(繼管部)
본 고안은 전기용전선, 전화용전선, 또는 이들이 캐이블선 등(이하 이들을 총징하여 전선류라 약칭키로 함)을 배선할때 사용하는 중공체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종래 상기와 같은 전선류를 배선할 때에는 주로 제3도에 예시된 바와 같은 플라스틱제 파이프나 또는 강철관을 사용하였는 바, 이 경우에는 그들이 비교적 가요성이 없는 곧은 직관(直管)이기 때문에 통상 6미이터 정도의 길이로 잘라서 사용하게 되므로 수시로 연결하여야 하는 불편이 있고 그러하기 위하여서는 연결부(4″)의 구조를 제3도에 예시한바와 같이 별도로 구성하여야 하는 문제도 수반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배선관을 만곡 배설하여야 하는 경우에는 별도의만곡관을 사용하여야 하는 불편도 있다.
특히 이 경우에는 배관을 끝내고 난뒤 관속으로(3″) 전선류를 삽통시킬 때에는 관내벽면과 전선류와의 접촉면적이 비교적 넓어서 그만큼 많은 마찰력이 작용되어 전선류의 견인작업이 매우 힘들어 배선작업에 많은 애로가 있었다.
그리고 이와 같은 마찰에 의한 역견인 작용은 관의 만곡부에서 가장 심하게 야기된다.
또한 전선류가 배관속에 일단 삽통된 후에도 전선류 표면부가 배관내벽과 접촉되는 면적은 비교적 넓은 바, 이 경우 배관 외벽과 내벽 사이의 온도차로 인하여 배관 내벽에 잘 발생되는 수분이 전선류를 적시게 되고 이러한 상태가 오래 지속되면 전선류를 손상시키게 되거나 도는 전선류 속으로 그 수분이 침투되어 각종 부작용을 야기시키게 될 우려도 생기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의 속칭 더스트호스(dust hose)의 구조를 개량하여 배선용에 적합하도록 하였는바,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는 더스트호스라고 속칭되는 것으로 이경우에는 그 중공부(3')를 통하여 각종 더스트를 배출함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기 때문에 내벽면은 직선상 평면을 이루어야 하고 흡기(吸氣)의 힘에 관벽(1')이 안쪽으로 흡인됨을 방지하기 위하여 관벽(1')이 비교적 연질로 되어 있어 가요성과 방향성이 풍부하여 별도 만곡관을 연결하지 않아도 호스를 어떠한 방향으로도 임의 배설시킬 수가 있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더스트호스는 그 관벽(1')이 비교적 연질로 되어 있어 가요성과 방향성이 풍부하여 별도 만곡관을 연결하지 않아도 호스를 어떠한 방향으로도 임의 배설시킬 수가 있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이 경우에는 가요성 즉, 방향성으로 인한 이점만을 제외하고는 제3도의 직관의 경우에서 야기되는 상술한 문제점들(많은 마찰의 작용으로 인한 전선류 삽통견인작업의 곤란성, 전선류 표면과 관내 벽면관의 넓은 접촉면적을 따라 내부에서 발생된 수분이 미치는 악영향 등)은 해결될 수 없는 새로운 문제가 야기될 것이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새로운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의 더스트호스의 구조를 정반대로 되게 개조하였다. 즉, 연질합성수지 관벽(1)의 내벽면에 경질합성수지 보강심선(2)를 공지의 나선상으로 용착시켜서 본 고안 배선용 호스를 구성하였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이 구성되었으므로,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더스트호스의 경우처럼 관벽재의 유연성 때문에 임의 방햐응로 배관이 가능하여 별도의 만곡관을 사용하지 않아도 되며, 약 60미이터 정도까지의 연속된 길이의 호스를 사용할 수가 있어 대부분의 경우 제3도 직관의 경우와 같이 별도의 계관부(4″)를 형성하거나 이 계관부(4″)에서 연결시키는 작업을 행하지 않아도 된다.
도 종래의 직관(제3도)이나 더스트호스의 경우에는 그 내벽면이 직선평면상이어서 전선류의 표면과 관내 벽면이 접촉되는 면적이 비교적 넓고 따라서 이들 관속으로 전선류를 삽통시키는 작업을 할때 이들 사이에는 그만큼 많은 마찰력이 작용되어 그 견인작업을 크게 방해하고 어렵게 만들게 되나(특히 이러한 문제는 만곡부에서 심하게 일어남) 본 고안에서는 그 관벽(1) 내면에 보강심선(2)이 나선상으로 돌설되어 있어 전선류는 이 보강심선(2)의 돌출부에만 접촉되므로 이들간의 접촉면적은 크게 감소되고 따라서 그만큼 전선류의 삽통견인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가 있다. 또한 일단 전선류가 호스속에 삽통괴고 난뒤 호스 내벽면에 수분이 생겨도 이들 수분은 주로 보강심선(2)(2)사이의 곡부(谷部)(5)에만 존재하게 되고 보감시선(2)의 돌기 정상부위에 재치되어 있는 전선류의 표면에는 거의 닿지 않게 될 것이므로 종래와 같은 수분으로 인한 부작용의 발생은 거의 염려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그 외에도 제2도와 같은 종래의 더스트호스를 그대로 배선용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그 외주면에 형성된 나선형 심선(2')가 건물 속에 설치되는 배관공 속으로 배설될 때 저항요인이 되어 배관 작업성에 문제를 야기시키게 되기도 하나, 본 고안과 같은 구조일 때에는 그 외표면이 직선상으로 평활하게 형성되어 있어 그와 같은 문제가 생기지 않는다.

Claims (1)

  1. 연질 합성수지관벽과 경질 합성수지 보강심선으로 된 합성수지제 나선호스에 있어서, 연질 합성수지 관벽91)의 내벽면에 경질합성수지 보강심선(芯線)(2)를 나선상으로 용착시켜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용 호스.
KR2019820001366U 1982-02-23 1982-02-23 배선용 호스 KR83000241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20001366U KR830002419Y1 (ko) 1982-02-23 1982-02-23 배선용 호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20001366U KR830002419Y1 (ko) 1982-02-23 1982-02-23 배선용 호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2419Y1 true KR830002419Y1 (ko) 1983-10-26

Family

ID=192242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20001366U KR830002419Y1 (ko) 1982-02-23 1982-02-23 배선용 호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3000241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00004290Y1 (ko) 가요관
US4789167A (en) Pipe gasket with reinforcing means in its base self-energizing
KR830002419Y1 (ko) 배선용 호스
JPH02176291A (ja) 耐圧螺旋波形管
JP3268720B2 (ja) 二重配管の端末保護管
JPS59126189A (ja) 長手補強リブ付き蛇腹状管
CN214331765U (zh) 一种互扣接塑料软管
JPS6036998Y2 (ja) コルゲ−ト管用ベルマウス
WO2003095882A1 (en) Kink impeding hosepipe
JPH08270843A (ja) 可撓性波形管
FR2400785A1 (fr) Ensemble de tubes de passage de cables
KR890001510Y1 (ko) 합성수지제 나선형 코러게이트관의 연결관
JPS61180507A (ja) 埋設線保護管
JPH0318799Y2 (ko)
KR102116101B1 (ko) 파형관 이음부재
JPH11344166A (ja) 合成樹脂保護管
JPH0646175Y2 (ja) 電線保護管
JPH0533835Y2 (ko)
ATE11593T1 (de) Rohrverbindung.
JP4309081B2 (ja) 通水管装置
JPH0448090Y2 (ko)
JPH0510497Y2 (ko)
JPS5921205A (ja) 電線管への平型ケ−ブル引込方法
JPH0646176Y2 (ja) 可撓管
JPS603634Y2 (ja) コルゲ−ト管被覆ケ−ブルの接続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