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53462B1 - 내압합성수지관 - Google Patents

내압합성수지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53462B1
KR100253462B1 KR1019920023020A KR920023020A KR100253462B1 KR 100253462 B1 KR100253462 B1 KR 100253462B1 KR 1019920023020 A KR1019920023020 A KR 1019920023020A KR 920023020 A KR920023020 A KR 920023020A KR 100253462 B1 KR100253462 B1 KR 1002534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ynthetic resin
inclined wall
wall
pipe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230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13542A (ko
Inventor
가나오시로오
Original Assignee
가나오시로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나오시로오 filed Critical 가나오시로오
Publication of KR9300135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35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34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3462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1/00Hoses, i.e. flexible pipes
    • F16L11/04Hoses, i.e. flexible pipes made of rubber or flexible plastics
    • F16L11/11Hoses, i.e. flexible pipes made of rubber or flexible plastics with corrugated wal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igid Pipes And Flexible Pi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보관시 또는 수송시에는 짧게, 사용시에는 2배 이상의 길이로 늘려서 접속연결개소를 2분의 1이하로 적게 하고 필요에 따라 곡률 반경이 작은 구부린 배관이 가능한 합성수지관을 얻는 것이다.
삼각형 또는 사다리꼴 형상의 관벽을 형성하는 양 경사벽의 정상측 부분과 요입부측 부분의 일부를 가요성 있는 수지소재 부분으로 하여, 이 가요성 있는 수지소재 부분에 따라 한쪽 경사벽이 관벽의 융기부측과 요입부측에 있어서 구부릴 수 있게 되어 융기부의 가요성 있는 수지소재부분을 지나는 중심선을 넘어서 한쪽 경사벽이 다른 쪽 경사벽에 대하여 근접하는 방향으로 이행하여 그 자세를 스스로 유지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으며, 보관시나 수송시에는 관을 축선방향을 향하여 가압압축시켜서 짧게 할 수 있고 사용시에는 관의 양단을 붙잡고 관축방향으로 잡아당겨 길게 복원할 수 있고, 관단부를 관연결구로 순차적으로 접속연결하여 배관한다. 급한 각도의 배관을 필요로 하는 장소에서는 소경측에 위치하는 필요한 수의 한쪽 경사벽만을 다른쪽 경사벽에 근접시켜서 축소된 자세로 하여 필요한 구부린 자세로 할 수가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내압합성수지관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일부절개측면도.
제2도는 제1도의 관벽부분의 단면도.
제3도는 제1도의 축소자세의 단면도.
제4도는 제2실시예를 도시한 관벽부분의 단면도.
제5도는 제3실시예를 도시한 관벽부분의 단면도.
제6도는 제4실시예를 도시한 관벽부분의 단면도.
제7도는 제5실시예를 도시한 관벽부분의 단면도.
제8도는 제6실시예를 도시한 관벽부분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관벽 2 : 정상부
2a : 정상근방부 3 : 한쪽경사벽
4 : 다른쪽경사벽 5 : 요입바닥부
5a : 요입바닥근방부 P : 지점
S : 중심선
본 발명은 주로 전선보호관이나 지중에 매설하여 사용하는 상하수도관, 지하매설관 등으로 이용되는 내압합성수지관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런 종류의 전선보호관이나 상하수도관으로 이용되고 있는 내압강도가 뛰어난 합성수지관으로, 관벽이 나선형 요철파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관은 이미 일반적으로 잘 알려져 있다. 한편 관벽전체의 두께가 1mm이하의 얇은 균등한 두께로 구경이 30-40mm정도 이하의 소구경의 비교적 유연질의 합성수지관으로 주로 가정용의 이불 건조기용 송풍관으로 이용하기에 적합한 관에 있어서, 관벽의 단면형상을 거의 삼각형상으로 하여 한쪽 경사벽을 다른쪽 경사벽에 대하여 거의 평행으로 절첩되게 한 축소된 자세로 변화시킬 수 있고, 축소시킨 자세를 스스로 유지되도록 한 관도 이미 제안되어 있다.
전자인 종래의 전선보호관이나 상하수도관 등에 이용되고 있는 내압합성수지관에 있어서는 상기와 같이 관벽이 요철파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인하여 관벽의 두께가 비교적 두꺼운 것일지라도 어느 정도의 가용성이 있어 편리하게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 이런 종류의 상하수도관에 이용되고 있는 내압합성수지관은 축선방향의 길이를 축소시킬 수 없었기 때문에 보관시에 넓은 보관장소를 필요로하며, 도로사정 등의 문제로 인하여 긴 길이의 관을 수송할 수 없었으므로 이와같은 문제를 고려하여 소정의 길이로 절단하여 수송해야만 했다. 특히 내경이 1,000mm 나 3,000mm 또는 그 이상의 구경을 가지는 대경관에 있어서는 수송트럭의 짐싣는 칸의 길이에 상당하는 길이로 하나하나 절단해야만 수송할 수 있고 이 때문에 수송에 막대한 경비를 필요로 하며 뿐만 아니라 사용시에는 짧게 절단된 관을 관연결구를 이용하여 물막이 상태를 유지하도록 접속연결해야하므로 이 접속연결에 막대한 일손과 시간이 필요했다.
또 이와같은 종래의 내압합성수지관에 있어서는 관벽을 요철파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만으로 다소의 구부림성은 있어도 허용하는 범위 이상으로 급한각도로 구부릴 수 없으므로 곡률반경을 작게 할 수 없으며 예를 들면 상하수도관 등의 부설에 있어서 지형대로 토지의 경계를 따라서 구부린 배관을 하는 것이 곤란한 경우가 생기며 예를 들면, 전선보호관의 배관에 있어서 건축물의 벽에서 천정내로 구부려 배관하는 경우나 천정내에 있어서 코너 배관에서 급격히 구부린 배관이 되지 않으므로 인한 엘보 모양의 연결구를 사용하여 접속 연결해야 하는 커다란 문제를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내압합성수지관을 발명의 대상으로 하여 종래의 관이 가지고 있던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상기 종래의 설명에서 설명한 얇은 소구경관에 있어서 신축변형의 기술적 사상에 착안하여 아주 새로운 발명을 한 것으로 상기 종래의 합성수지관이 가지고 있던 강도와 거의 동등한 내압강도를 가지는 관이며, 보관시와 수송시에는 관의 길이가 종래의 관과 같은 정도의 길이임에도 불구하고 사용 시에는 종래의 관의 2배 이상의 길이를 가지는 것으로 할 수 있고 따라서 접속연결개소도 2분의 1 이하로 적게 하고, 필요에 따라 곡률 반경이 작은 급격히 구부린 배관도 가능한 합성수지관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을 실시예에 따른 도면의 부호를 이용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합성수지관은 관벽(1)의 단면형상을 삼각형상 또는 사다리꼴 형상으로 하여 그 정상부(2) 또는 관벽(1)을 형성하는 한쪽 경사벽(3)과 다른 쪽 경사벽(4)중 한쪽 경사벽(3)의 정상근방부(2a)와 요입바닥부(5) 또는 한쪽 경상벽(3)의 요입바닥근방부(5a)를 부분적으로 가요성 있는 합성수지소재로 형성하고, 관벽(1)의 다른 부분을 경질의 합성수지소재로 형성하며, 상기 가요성 합성수지소재로 형성한 정상부(2) 또는 그 근방의 정상근방부(2a)의 가요성 합성수지소재부분을 지점(P)으로 하여 상기 한쪽 경사벽(3)이 이 지점(P)을 지나는 중심선(S)을 넘어서 다른 쪽 경사벽(4)에 대하여 근접하는 방향으로 이행하고, 그 근접 자세를 자기 스스로 유지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본 발명의 관을 형성함에 있어서는 상기 중심선(S)을 넘어서 이행하는 한쪽경사벽(3)의 길이를 다른 쪽 경사벽(4)의 길이에 비하여 짧게 형성하든지, 이 한쪽 경사벽(3)의 중심선(S)에 대한 제1경사각(α)을 다른 쪽 경사벽(4)의 중심선(S)에 대한 제 2경사각(β)에 비하여 작은 각도로 형성하여 두면, 이 한쪽 경사벽(3)을 중심선(S)을 넘어서 다른 쪽 경사벽(4)측으로 이행시키기 쉬운 이점이 있다.
또 상하수도관 그 밖의 유체 수송관에 적합한 관구조로서는 관벽의 요입바닥부측의 내주면에 연질수지제의 내층(6)을 일체적으로 연결형성하고 있는 구조로 하여도 좋고, 필요하면 관벽의 정상부측의 외주면에 외층(7)을 형성하거나 내외양층(6),(7)을 동시에 형성한 구조로 하여도 좋다.
본 발명의 구성요건 중 수지소재로는 천연고무, 합성고무 등의 고무소재를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의 내압합성수지관은 이와 같은 구조를 한 것이어서 보관시나 수송시에는 관을 축선 방향을 향하여 가압압축하고, 상기 각각의 한쪽 경사벽(3)...을 각각의 지점(P)을 지나는 중심선(S)을 넘어서 각각 다른 쪽 경사벽(4)... 에 근접하는 자세로 되도록 이행시켜서 단축된 상태로 한다. 일단, 이와 같이 단축 상태로 하면 가압력을 가하지 않아도 관은 이 단축상태를 스스로 유지한다.
이와 같이 하여 보관 또는 수송하고, 수송후의 사용 시에는 관의 양단을 붙잡고 관축방향 외부를 잡아당겨 각각의 일측경사벽(3)..을 각각의 다른쪽 경사벽(4)...에서 지점(P)을 지나는 중심선(S)을 넘겨서 떼어놓고 다른 쪽 경사벽(4)..과는 다른 경사각 자세로 되도록 복원시켜서 신장된 상태로 한다. 일단, 이와 같이 신장된 상태로 하면 잡아당기는 힘을 가하지 않아도 관은 이 신장된 상태를 스스로 유지한다. 이와 같이 신장된 상태로 한 관을 종래와 동일하게 그 관단부를 관 연결구에 의하여 순차적을 접속 연결하여 적절히 배관하면 된다. 또 급한 각도의 배관을 필요로 하는 부분에서는 소경측에 위치하는 필요한 수 또는 필요한 길이 부분의 한쪽 경사벽(3)...만을 다른 쪽 경사벽(4)...에 근접시킨 축소된 자세로 하는 것에 의해 필요한 구부린 자세로 하여 배관할 수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내압합성수지관은 그 사용에 있어서는 수송시의 관의 길이의 2배 이상의 길이를 가지는 관으로 신장시켜 배관하여 사용할 수가 있다.
따라서 보관경비나 수송경비를 대폭 감소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관의 접속연결개소의 수를 2분의 1이하로 감소시킬 수 있고, 또 곡률 반경이 작은 급한 각도의 구부린 배관을 필요로 하는 장소에 있어서도 엘보 모양의 관 연결구를 이용하여 접속 연결할 필요없이 관 자체를 구부려 배관할 수가 있으므로 배관하기 위한 노력과 시간을 대폭 경감할 수 있고 배관능률의 대폭적인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기초로 설명한다.
제1도 내지 제3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제1도는 관벽(1)의 단면형상을 삼각형상으로 한 나선관의 일부 절개측면도를 도시하고 제2도 및 제3도는 그 관벽(1)부분의 확대단면 형상을 도시한 것이다. 이 관은 관벽(1)을 형성하는 한쪽 경사벽(3)과 다른 쪽 경사벽(4)(이하 "양 경사벽(3)(4)" 라고도 함)이 만나는 정상부(2)와 요입바닥부(5)를, 예를 들면 LDPE 나 연질 PVC 등의 가요성있는 합성수지소재(이하 설명에서 "연질합성수지 소재"라함)로 부분적으로 형성시켜 정상연질합성수지부분(2c)과 바닥연질합성수지부분(5c),(5d)을 형성시킨 것이다. 그 밖의 양 경사벽(3),(4) 부분 전부를 이 연질합성수지소재와 융착성이 좋은 같은 계통의 경질합성수지소재, 예를 들면 HDPE 나 경질 PVC 등의 소재로 일체적으로 형성시켜 양측 경질합성수지부분(3a)(4a)을 형성한 것이다. 또 이 실시예의 관은 양 경사벽(3),(4)중 한쪽 경사벽(도면에서 우측 경사벽)(3)의 길이가 다른 쪽 경사벽(4)의 길이에 비하여 짧게 형성되어 있고, 이 한쪽경사벽(3)의 정상부(2)를 지나는 중심선(S)에 대한 제1경사각 α가 다른 쪽 경사벽(4)의 중심선(S)에 대한 제2경사각 β에 비하여 적은 각도로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 관은 상기 연질합성 수지소재로 형성한 정상부(2)를 지점(P)으로 하여 한쪽 경사벽(3)이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지점(P)을 지나는 중심선(S)을 넘어서 다른 쪽 경사벽(4)에 대하여 근접하는 방향으로 이행하여 그 근접 자세를 자기 스스로 유지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관을 형성하는 주된 수단으로는 제2도 우측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관벽(1)의 양 경사벽(3),(4)을 형성하는 양측 경질합성수지부분(3a),(4a)과 정상부(2)를 형성하는 정상연질합성수지부분(2c)와 요입바닥부(5)를 형성하는 바닥연질합성수지부분(5c),(5d)을 단면 역V자 모양의 일련의 띠 모양체로 하여 2대의 합성수지 압출기를 연결한 1대의 압출대에서 압출하여 관 성형기 위에 놓고 요입바닥부(2)를 형성하는 바닥연질합성수지부분(5c),(5d)끼리 겹치고 맞대어 융착시키면서 순차적으로 나선모양으로 돌려 감아 형성한다. 이 관형성수단에 대하여는 이미 알려진 여러 가지의 공지수단에 따라 하면 된다.
이 실시예에 도시한 관은 이와 같은 구조를 한 것이어서 상기한 바와 같이 관의 보관시나 수송시에는 관을 축선 방향을 향하여 가압압축하여 한쪽 경사벽(3)....을 다른 쪽 경사벽(4)....에 근접하는 자세가 되도록 이행시키고 단축된 상태로 한다. 또 사용 시에는 관의 양단을 유지하여 관축방향 외부를 향하여 잡아당겨, 한쪽 경사벽(3)....을 다른 쪽 경사벽(4)에서 떼어놓고, 다른 쪽 경사벽(4).... 과는 다른 경사각 자세가 되도록 복원시켜, 신장시킨 상태로 하여 사용한다.
제4도 내지 제8도는 각기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한 간벽부분을 나타낸 도면으로 어느 것이나 좌반부에서 신장된 상태 우반부에서 단축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그리고, 제4도에 도시한 제2실시예는 단면형상에 있어서 한쪽 경사벽(3)을 요입바닥부(5)까지의 길이보다도 짧게 하고, 다른 쪽 경사벽(4)을 요입바닥부(5)에서 한쪽 경사벽(3)측을 향하여 J자 모양으로 약간 절곡한 형상으로 하여, 정상부(2)와 한쪽 경사벽(3)의 요입바닥근방부(5a)에서 연질합성수지소재 부분을 형성한 구조를 한 것이다.
제5도에 도시한 제3실시예는 상기 제2실시예의 경우와는 반대로 단면형상에 있어서 한쪽 경사벽(3)을 정상부(2)까지의 길이보다도 짧게 하고 다른 쪽 경사벽(4)을 정상부(2)측에서 한쪽 경사벽(3)측을 향하여 J자 모양으로 약간 절곡된 형상의 것으로 하여, 한쪽 경사벽(3)의 정상근방부(2a)와 요입바닥부(5)에 있어서 연질합성수지소재 부분을 형성한 구조로 한 것이다.
제7도에 도시한 제5실시예는 관벽(1)의 단면형상을 사다리꼴 형상을 한 것으로, 양 경사벽(3),(4)의 구조를 단면형상에 있어서 한쪽경사벽(3)이 정상부(2)에서 요입바닥부까지의 길이보다도 약간 짧은 길이의 것으로 하고, 다른 쪽 경사벽(4)을 정상부(2)측과 요입바닥부(5)측에서 각기 수평방향을 하여 돌출하는 정상 및 바닥수평돌출부분(4A),(4B)에 의하여 사다리꼴 형상의 관벽(1)을 형성하는 수평한 정상부(2)와 요입바닥부(5)를 형성시키고, 한쪽 경사벽(3)의 정상부(2)측의 각 부분과 요입바닥부(5)측의 각 부분에서 연질합성수지소재 부분을 형성, 양 경사벽(3),(4)을 일련으로 연결형성하고 있는 구조로 한 것이다.
또, 이 실시예의 관은 관벽의 요입바닥부(5)측의 내주면에 연질합성수지제의 내층(6)을 일체적으로 연결형성하고 있는 구조를 하고 있다.
제8도에 도시한 제6실시예는 관벽(1)의 단면형상을 상기 제7도의 제5실시예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사다리꼴 형상을 한 것으로, 단면형상에 있어서 양 경사벽(3),(4)의 길이를 같은 길이의 것으로 하여 이 양 경사벽(3),(4)을 정상부(2)측과 요입바닥부(5)측에서 각기 수평방향으로 배치시킨 짧은 폭의 연질합성수지소재로 일체적으로 연결형성하고 있는 구조를 한 것이다.
더욱, 이 실시예의 양 경사벽(3),(4)은 단명형상에 있어서의 길이와 긴 자세에 있어서의 관축방향으로 열린 각도를 거의 같은 것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관의 경사벽은 이와 같은 구조를 하고 있어도 좋다.
본 발명의 실시에 이용하는 합성수지소재는 상기 제1실시예에서 예시한 합성수지만에 한정되지 않으며 그 밖의 합성수지소재라도 좋고, 예를 들면 경질소재로서 HDPE를 사용할 때 연질소재로서 EEA,EVA를 사용하든지 경질소재로서 PP를 사용할 때 연질소재로서 TPR을 사용할 것을 생각할 수 있다. 또 경질의 수지소재로서는 유리섬유나 카본섬유 등의 섬유형상의 보강소재로 보강한 것 같은 수지소재를 사용하여도 좋다. 이 경우에는 상기 연질소재 외에 경질소재로서 예시한 HDPE의 두께를 배려하여 설계하여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합성수지소재 이외에도 고무계의 수지소재를 사용하여도 좋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 실시예에서 예시한 구조만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구성요건을 갖추고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여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지는 범위내에서 적절히 변경하여 실시할 수가 있는 것이다.
이상의 설명에서 이미 밝혀진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관벽의 단면형상이 삼각형상 또는 사다리꼴 형상의 관에 한정하며, 관벽의 정상부 또는 한쪽 경사벽의 정상부 근방의 부분과 요입바닥부 또는 한쪽 경사벽의 요입바닥부 근방의 부분을 부분적으로 가요성 있는 수지소재로 형성하고 그 밖의 관벽부분을 경질의 수재소재로 형성하고 있는 것이어서, 관의 내압강도를 현저하게 저하시킴이 없이 내압성이 있는 관으로 사용할 수 있는 관이면서도 상기 정상부 또는 그 근방의 가요성이 있는 수지소재 부분을 지점으로 하여 한쪽 경사벽을 이 지점부분을 지나는 중심선을 넘겨서 다른 쪽 경사벽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이행시킬 수 있고 그 근접된 자세를 스스로 유지시킬 수 있으므로, 보관시나 수송, 운반시에는 통상길이의 2분의 1 이하의 길이로 단축한 상태로 할 수 있고 수송후의 사용시에는 신장상태로 복원시켜서 수송시의 길이의 2배 이상의 길이를 가지는 긴 관으로 사용할 수 있는 종래의 합성수지관에서는 전혀 기대할 수 없었던 현저한 효과를 가지게 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관은 보관경비나 수송경비를 대폭으로 감소시킬 수 있고 더구나 사용시에는 관의 접속연결개소의 수를 2분의 1 이하로 감소시킬 수 있으며 또 곡률반경이 작은 급한 각도로 구부린 배관을 필요로 하는 개소에서는 엘보 모양의 관 연결구를 이용할 필요없이 관 자체를 구부려서 배관할 수 있으므로 배관을 위한 노력과 시간을 대폭으로 절감할 수 있고 배관능률의 대폭적인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5)

  1. 관벽(1)이 나선요철파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합성수지관으로 이관벽(1)의 단면형상이 삼각형상 또는 사다리꼴 형상으로 되어 그 정상부(2) 또는 관벽(1)을 형성하는 양 경사벽(3),(4)중 한쪽 경사벽(3)의 정상근방부(2a)와, 요입바닥부(5) 또는 상기 한쪽 경사벽(3)의 요입바닥근방부(5a)가 부분적으로 가요성이 있는 연질합성수지재로 형성되고 그 밖의 부분의 관벽(1)전체가 경질의 합성수지소재로 형성되며, 상기 가요성연질 합성수지소재로 형성되어 있는 정상부(2) 또는 정상근방부(2a)를 지점(P)으로 하여 상기 한쪽 경사벽(3)이 이 지점(P)을 지나는 중심선(S)을 넘어서 다른 쪽 경사벽(4)에 대하여 근접하는 방향으로 이행하고 그 근접된 자세를 스스로 유지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압합성수지관.
  2. 제1항에 있어서, 중심선(S)을 넘어서 이행하는 한 쪽 경사벽(3)의 길이가 다른 쪽 경사벽(4)의 길이에 비하여 짧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압합성수지관.
  3. 제1항에 있어서, 중심선(S)을 넘어서 이행하는 한쪽 경사벽(3)의 중심선(S)에 대한 제 1경사각(α)이 다른 쪽 경사벽(4)의 중심선(S)에 대한 제2경사각(β)에 비하여 작은 각도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압합성수지관.
  4. 제1항에 있어서, 요입바닥부(5)의 내주면측에 연질합성수지제의 내층(6)이 일체적으로 연결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압합성수지관.
  5. 제1항에 있어서, 정상부(2)의 외주면측에 연질합성수지제의 외층(7)이 일체적으로 연결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압합성수지관.
KR1019920023020A 1991-12-27 1992-12-02 내압합성수지관 KR10025346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1-358682 1991-12-27
JP35868291A JP3407048B2 (ja) 1991-12-27 1991-12-27 耐圧合成樹脂管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3542A KR930013542A (ko) 1993-07-22
KR100253462B1 true KR100253462B1 (ko) 2000-04-15

Family

ID=184605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23020A KR100253462B1 (ko) 1991-12-27 1992-12-02 내압합성수지관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3407048B2 (ko)
KR (1) KR10025346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52628B2 (ja) * 2008-05-30 2013-07-31 株式会社イノアックコーポレーション ダクト
PT3460304T (pt) * 2017-09-25 2022-10-21 Zhejiang Helen Plastic Co Ltd Tubulação de água retrátil de múltiplas camadas resistente ao desgast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3542A (ko) 1993-07-22
JPH05180377A (ja) 1993-07-20
JP3407048B2 (ja) 2003-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99703A (en) Synthetic resin corrugated pipe having a concave-convex surface
US3199541A (en) Interlocking strip flexible hose
US5236016A (en) Cable-guide assembly of plastic tubes joined by webs
US3711124A (en) Connections for insulated pipes
US3332446A (en) Cryogenic transfer line arrangement
CA2173622C (en) Improvements in pipe lining
US5507319A (en) Synthetic resin bellows pipe
CA2245738A1 (en) Flexible pipe with internal gasproof undulating metal tube
JPH0151717B2 (ko)
JPH0318076B2 (ko)
US5839477A (en) Corrugated resin pipe
KR100253462B1 (ko) 내압합성수지관
WO1992001885A1 (en) Composite pipe with one or more layers of strip material wound around an inner pipe and reel provided with such a composite pipe wound onto it
US3442297A (en) Flexible tubing
JPH018789Y2 (ko)
US6796547B1 (en) Collapsible duct
KR100253461B1 (ko) 합성수지관
JP3297723B2 (ja) 硬質合成樹脂管とその製造方法
US3297055A (en) Hoses of synthetic plastic material
JP3407047B2 (ja) 硬質合成樹脂管
EP1597505B1 (en) Hollow profile used in the manufacture of a pipe
EP0143808A1 (en) Flexible conduit for the transport of media
US1960139A (en) Flexible conduit
JP2008236976A (ja) 地中管路形成筒材
JPH0247350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119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