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53226B1 - 반도체 소자의 열방출부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반도체 소자의 열방출부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53226B1
KR100253226B1 KR1019970070080A KR19970070080A KR100253226B1 KR 100253226 B1 KR100253226 B1 KR 100253226B1 KR 1019970070080 A KR1019970070080 A KR 1019970070080A KR 19970070080 A KR19970070080 A KR 19970070080A KR 100253226 B1 KR100253226 B1 KR 1002532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d
plating layer
semiconductor device
heat dissipation
sou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700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50889A (ko
Inventor
임태윤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700700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53226B1/ko
Publication of KR199900508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508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32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32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02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06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haracterised by the shapes,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of the semiconductor regions ; characterised by the concentration or distribution of impurities within semiconductor regions
    • H01L29/08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haracterised by the shapes,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of the semiconductor regions ; characterised by the concentration or distribution of impurities within semiconductor regions with semiconductor regions connected to an electrode carrying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and such electrode being part of a semiconductor device which comprises three or more electrodes
    • H01L29/0843Source or drain regions of field-effect devices
    • H01L29/0847Source or drain regions of field-effect devices of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insulated ga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02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12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of which they are formed
    • H01L29/20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of which they are formed including, apart from doping materials or other impurities, only AIIIBV compoun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28Manufacture of electrodes on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8
    • H01L21/283Deposition of conductive or insulating materials for electrodes conducting electric current
    • H01L21/288Deposition of conductive or insulating materials for electrodes conducting electric current from a liquid, e.g. electrolytic de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Junction Field-Effect Transistors (AREA)
  • Cooling Or The Like Of Semiconductors Or Solid State Devices (AREA)
  • Internal Circuitry I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s (AREA)

Abstract

전력 펫의 패드 부분을 이용해서 열방출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게 하기 위한 반도체 소자의 열방출부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반도체 소자의 열방출부의 제조방법은 게이트전극과 소스영역 및 드레인영역이 형성된 반도체 소자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전극과 소스영역 및 드레인영역의 패드형성영역에 각각 트랜치를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각 트랜치를 채우도록 제 1 도금층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제 1 도금층과 접하도록 제 2 도금층을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반도체 소자의 열방출부 및 그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고주파용 전력 펫(Field Effect Transistor:FET)의 열방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력 펫의 패드 부분을 이용해서 열방출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게 하는 데에 적당한 반도체 소자의 열방출부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 반도체 소자의 열방출부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a) 내지 도 1(c)는 종래 반도체 소자의 열방출부의 제 1 제조방법을 나타낸 공정단면도이고, 도 2(a) 내지 도 2(c)는 종래 반도체 소자의 열방출부의 제 2 제조방법을 나타낸 공정단면도이다.
종래 제 1 제조방법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열방출부는 웨이퍼의 뒷면을 통하여 열방출을 하기 위한 것으로 그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갈륨비소(GaAs)기판(1)의 앞면에 반도체 소자(2)를 제조한 후에 갈륨비소기판(1)으로 형성된 웨이퍼를 일정 두께까지 갈아낸다.
그리고, 도 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갈륨비소기판(1)의 뒷면에 트랜치를 형성한 후 제 1 금도금층(3)을 증착한 다음 트랜치 내에만 제 1 금도금층(3)이 형성되도록 평탄화한다.
그런 다음, 도 1(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금도금층(3)이 형성된 갈륨비소기판(1) 뒷면의 전면에 걸쳐 제 2 금도금층(4)을 얇게 형성한다.
이와 같은 공정을 통하여 갈륨비소기판(1)의 웨이퍼 앞면에 형성된 반도체 소자(2) 즉, 펫(FET)에서 발생한 열은 갈륨비소기판(1)을 통과한 다음 두꺼운 제 1 금도금층(3) 및 얇게 형성된 제 2 금도금층(4)을 통해 방출된다.
다음으로, 종래 제 2 제조방법은 웨이퍼의 앞면을 통하여 열을 방출하기 위한 것으로 그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도 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갈륨비소기판(1)의 앞면에 소스패드나 드레인패드나 게이트패드와 같은 패드층(5)을 일정간격으로 형성한다.
그리고,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갈륨비소기판(1)의 앞면에 형성된 패드층(5)중에 소스패드(5a)의 상부에만 두껍게 도금층(6)을 형성한다.
이때, 각 도금층(6)의 두께는 같게 형성한다.
마지막으로, 도 2(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스패드(5a)상에 형성된 도금층(6)상에 열방출기구(7)을 부착한다.
그러나, 상기의 종래 반도체 소자의 열방출부의 제조에 있어서, 제 1 제조방법은 웨이퍼를 먼저 얇게 간 다음 열방출부의 공정을 진행해야 하는 번거로움 및 웨이퍼의 앞면과 정렬시켜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제 2 제조방법은 소스패드(5a)상의 도금층(6)의 높이를 일정하게 해야하고 열방출기구(7)로 인해 펫을 볼 수 없게 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패드 부분을 이용하여 열방출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는 반도체 소자의 열방출부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a) 내지 도 1(c)는 종래 반도체 소자의 열방출부의 제 1 제조방법을 나타낸 공정단면도.
도 2(a) 내지 도 2(c)는 종래 반도체 소자의 열방출부의 제 2 제조방법을 나타낸 공정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열방출부를 나타낸 평면도
도 4(a) 및 도 4(b)는 도 3의 A-A 선상을 따라 본 발명 반도체 소자의 열방출부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공정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갈륨비소기판 12 : 제 1 금도금층
13 : 제 2 금도금층 13a : 게이트패드
13b : 소스패드 13d : 드레인패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반도체 소자의 열방출부는, 게이트전극과 소스영역 및 드레인 영역이 형성된 반도체 소자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전극과 소스영역 및 드레인 영역의 패드형성영역에 형성된 트랜치와, 상기 트랜치내에 형성된 제 1 도금층과, 상기 제 1 도금층과 접하도록 형성된 제 2 도금층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 반도체 소자의 열방출부의 제조방법은 게이트전극과 소스영역 및 드레인영역이 형성된 반도체 소자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전극과 소스영역 및 드레인영역의 패드형성영역에 각각 트랜치를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각 트랜치를 채우도록 제 1 도금층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제 1 도금층과 접하도록 제 2 도금층을 형성하는 공정으로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 반도체 소자의 열방출부 및 그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일반적으로 전력 펫에서 드레인, 소스, 게이트패드를 형성하는 부분의 면적은 전체 전력 펫 면적의 30-50% 정도가 되는데, 본 발명은 이러한 패드들을 열방출기구로 이용하고자 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열방출부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4(a) 및 도 4(b)는 도 3의 A-A 선상을 따라 본 발명 반도체 소자의 열방출부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공정단면도이다.
본 발명 반도체 소자의 열방출부는, 도 3과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펫에 형성된 게이트전극과 소스 및 드레인영역 각각에 게이트패드(13a)와 드레인패드(13c) 및 소스패드(13b)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각각의 게이트패드(13a)와 드레인패드(13c) 및 소스패드(13b)가 형성된 갈륨비소기판(11)내에는 제 1 금도금층(12)이 일정깊이를 갖고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금도금층(12)상에는 제 2 금도금층(13)이 얇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반도체 소자의 열방출부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갈륨비소기판(11)에 드레인영역과 소스영역과 게이트전극을 형성한다. 이후, 형성된 각 소자의 패드를 형성하기 전에 패드를 형성할 각 부분의 갈륨비소기판(11)을 깊게 식각하여 트랜치를 형성한다. 그리고 각 트랜치를 채우도록 제 1 금도금층(12)을 형성한다.
그런 다음,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면에 제 2 금도금층(13)을 얇게 증착한 후에 선택적으로 패터닝한다. 이때 제 1 금도금층(12)과 접하는 제 2 금도금층(13)은 각각 드레인패드(13c), 게이트패드(13a) 및 소스패드(13b)로 사용된다. 이와 같이 패드를 형성함과 동시에 이 패드를 통하여 소자의 동작시 발생하는 열을 방출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열방출부를 웨이퍼를 얇게 갈기전에 형성하므로 웨이퍼가 깨질 위험성이 없고 또한 종래 제 2 방법과 같이 펫을 볼 수 없다는 문제도 해결할 수 있으므로 보다 신뢰성있는 열방출부를 쉽게 형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게이트전극과 소스영역 및 드레인 영역이 형성된 반도체 소자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전극과 소스영역 및 드레인 영역의 패드형성영역에 형성된 트랜치와,
    상기 트랜치내에 형성된 제 1 도금층과,
    상기 제 1 도금층과 접하도록 형성된 제 2 도금층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열방출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도금층과 접하는 제 2 도금층은 각각 게이트패드와 소스패드 및 드레인패드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열방출부.
  3. 게이트전극과 소스영역 및 드레인영역이 형성된 반도체 소자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전극과 소스영역 및 드레인영역의 패드형성영역에 각각 트랜치를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각 트랜치를 채우도록 제 1 도금층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제 1 도금층과 접하도록 제 2 도금층을 형성하는 공정으로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열방출부의 제조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도금층과 접하는 제 2 도금층은 각각 게이트패드와 소스패드 및 드레인패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열방출부의 제조방법.
KR1019970070080A 1997-12-17 1997-12-17 반도체 소자의 열방출부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2532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0080A KR100253226B1 (ko) 1997-12-17 1997-12-17 반도체 소자의 열방출부 및 그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0080A KR100253226B1 (ko) 1997-12-17 1997-12-17 반도체 소자의 열방출부 및 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0889A KR19990050889A (ko) 1999-07-05
KR100253226B1 true KR100253226B1 (ko) 2000-04-15

Family

ID=195277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70080A KR100253226B1 (ko) 1997-12-17 1997-12-17 반도체 소자의 열방출부 및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53226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0889A (ko) 1999-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07022A (en) Simultaneous formation of via hole and tub structures for GaAs monolithic microwave integrated circuits
US20100019385A1 (en) Implementing Reduced Hot-Spot Thermal Effects for SOI Circuits
JP2003007706A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US20100203688A1 (en)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US10643964B2 (en) Structures for bonding a group III-V device to a substrate by stacked conductive bumps
US6656758B1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chip size package
US11942445B2 (en) Semiconductor device with conductive pad
US20200294881A1 (en) Semiconductor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0253226B1 (ko) 반도체 소자의 열방출부 및 그의 제조방법
JP2007165663A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および半導体装置
US4927784A (en) Simultaneous formation of via hole and tube structures for GaAs monolithic microwave integrated circuits
KR20190032161A (ko) 반도체 소자 및 이의 제조 방법
JP2004055869A (ja) 半導体装置
JP7095844B2 (ja)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TWI644410B (zh) 接墊結構、應用其之半導體晶片及其製造方法
JP2833788B2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KR100311463B1 (ko) 플레이티드히트씽크제조방법
JP2001035974A (ja)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TWI798922B (zh) 半導體結構及其製造方法
JPH01309351A (ja) 半導体チツプ
US6537899B2 (en) Semiconductor device and a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US20230197688A1 (en) Multi-chip package
US6074948A (en) Method for manufacturing thin semiconductor device
JPS62150869A (ja) 化合物半導体装置
JP2000100849A (ja)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20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