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52633B1 - 전자 카메라 - Google Patents

전자 카메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52633B1
KR100252633B1 KR1019970058144A KR19970058144A KR100252633B1 KR 100252633 B1 KR100252633 B1 KR 100252633B1 KR 1019970058144 A KR1019970058144 A KR 1019970058144A KR 19970058144 A KR19970058144 A KR 19970058144A KR 100252633 B1 KR100252633 B1 KR 1002526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ing
lens cover
lens
cover
rot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581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13240A (ko
Inventor
타카미 후미오
마루야마 토라지
시라이 오사무
Original Assignee
유무성
삼성항공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무성, 삼성항공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무성
Publication of KR199900132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32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26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26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6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provided with illuminating means

Abstract

이 발명은 전자 카메라에 관한 것으로서, 촬상부에 촬영 렌즈(6)의 전면을 개폐하는 렌즈 덮개(8)를 설치한다. 촬상부를 미사용 위치로부터 시계 방향으로 약 90°회전시키는 것에 연동하여 핀(33a)은 사면(32c)을 따라서 이동하여 레버(33)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전달 기어(34, 35) 및 구동 기어(31c)를 개재하여 렌즈 덮개(8)를 열림 위치로 이동시킨다. 또한, 촬상부를 반시계 방향으로 90°회전시켜서 미사용 위치로 하는 것에 연동하여 핀(33a)은 사면(32c)을 따라서 이동하여 레버(33)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전달 기어(34, 35) 및 구동 기어(31c)를 통하여 렌즈 덮개(8)를 닫힘 위치로 이동시킨다.

Description

전자 카메라
본 발명은 필름 대신에 칼라 CCD(Charge Coupled Device) 등의 촬상 소자를 사용하여 피사체의 화상을 전기적으로 기록하는 전자 카메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 말하자면 촬상 광학계 및 촬상 소자를 포함하는 촬상부가 카메라 본체에서 회전이 자유로운 축에 장착된 전자 카메라에 관한 것이다.
전자 카메라는 필름 대신에 칼라 CCD 등의 촬상 소자를 사용하여 피사체의 화상을 전기적으로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것이다. 전자 카메라에는 기록 매체로서 자기 테이프를 사용하는 비디오 카메라나, IC(Integrated Circuit) 메모리나 자기 플로피(floppy) 등을 사용하는 디지탈 카메라 등이 있다.
최근의 전자 카메라에서는 촬상 광학계와 촬상 소자를 내장한 촬상부를 카메라 본체에 회전이 자유로운 축에 장착한 것이 있다. 이러한 카메라 본체의 배면에는 파인더(finder)를 겸하는 액정 모니터가 설치되어 있고, 촬상 광학계의 전면이 사용자 자신을 향하도록 촬상부를 회전시켜, 액정 모니터를 보면서 자기 자신을 촬영할 수가 있다.
그런데, 촬영 렌즈에 먼지 등 불순물이 부착되어 촬영되면 촬영 렌즈에 상처가 생긴다. 이 때문에, 사진 카메라에서는 촬영 렌즈를 보호하기 위해서 촬영 렌즈의 전면을 개폐하는 렌즈 덮개를 설치한 것이 있다. 이러한 렌즈 덮개는 촬영 시와 미사용 시의 전원의 온(on), 오프(off)에 연동하여 열림 위치와 닫힘 위치로 이동된다.
그런데, 상기한 촬상부 회전식 전자 카메라에서는 착탈식 렌즈 캡(cap)이 사용되고 있다. 렌즈 캡을 촬영 시와 미사용 시에 착탈하는 것은 번거로운 것으로, 렌즈 캡을 연 상태로 휴대하여 촬영 렌즈에 먼지 등 불순물이 부착되어 상처가 생길 수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촬상부에 렌즈 덮개를 설치하고 사용하지 않을 때 촬영 렌즈에 상처가 생기는 것을 방지하는 전자 카메라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탈 카메라의 렌즈 덮개 및 덮개 개폐 수단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탈 카메라에서, 촬상부가 초기 위치일 때 앞에서 본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탈 카메라에서, 촬상부가 시계방향으로 약 90°회전되었을 때 위로부터 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탈 카메라에서, 촬상부가 시계방향으로 약 90°회전되었을 때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탈 카메라에서, 촬상부가 시계방향으로 약 90°회전되었을 때의 측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탈 카메라를 앞에서 본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탈 카메라를 뒤에서 본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지탈 카메라에서, 촬상부가 미사용 위치일 때의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지탈 카메라에서, 촬상부가 시계방향으로 약 90°회전되었을 때의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지탈 카메라에서 렌즈 덮개 및 덮개 개폐 수단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지탈 카메라에서 렌즈 덮개가 좌측으로 열리도록 설치된 때의 요부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지탈 카메라에서 렌즈 덮개가 위쪽으로 열리도록 설치된 때의 요부 사시도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촬상부에 포함된 촬상 광학계의 전면을 개폐하는 렌즈 덮개와;
촬상부가 사용하지 않을 때의 위치로부터 일정 각도 범위로 설정된 연동 범위 내에서 일측 방향으로 회전되는 동안에 렌즈 덮개를 열림 위치로 이동시키고, 촬상부가 연동 범위 내에서 타측 방향으로 회전되는 동안에 렌즈 덮개를 닫힘 위치로 이동시키는 덮개 개폐 수단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촬상부는 연동 범위를 초과하여 회전을 자유롭게 하고, 연동 범위 밖에서의 촬상부의 회전에 대하여 렌즈 덮개는 열림 위치로 유지된다.
또한, 렌즈 덮개는 촬상 광학계의 광축에 대하여 수직인 회전축과 함께 회전하여 개폐되고, 닫힘 위치에서 촬상 광학계의 전면에 대면하는 내면 측에 스트로보(strobo) 발광부가 설치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디지탈 카메라(2)를 앞에서 본 도 6에 도시되어 있듯이, 상자 형태의 카메라 본체(3)의 우측면(3a)에는 촬상 광학계를 내장한 촬상부(4)가 회전이 자유로운 축에 장착되어 있다. 촬상부(4)를 카메라 본체(3)의 전면이나 배면으로부터 비어져 나오지 않도록 우측면(3a)에 일치된 위치를 미사용 위치로 한다. 또한, 카메라 본체(3)의 좌측에는 촬영 시에 홀드(hold)되는 그립(grip)부(5)가 설치되어 있다.
촬상부(4)를 시계 방향으로 90°회전시킨 도 4에 도시되어 있듯이, 촬영 렌즈(6)와 촬상 소자(7)가 촬상부(4)에 내장되어 있다. 촬영 렌즈(6)는 촬상 광학계를 구성하며, 줌 렌즈 광학계(6a)와 렌즈 경통(6b)으로 구성되어 있다. 칼라 CCD 등으로 구성된 촬상 소자(7)는 드라이버(driver) 회로 등이 실장된 촬상 기판에 포함되고, 촬영 렌즈(6)에 의해 결상된 피사체의 화상을 광전 변환한다.
촬상부(4)의 우측에 설치된 융기부(4a)에는 촬영 렌즈(6)의 전면을 개폐하는 렌즈 덮개(8)가 포함되어 있다. 렌즈 덮개(8)는 덮개 개폐 수단에 의해 촬상부(4)가 미사용 위치로부터 시계 방향으로 약 90° 회전되는 동안 열림 위치(도 3 참조)로 이동되고, 촬상부(4)가 반시계 방향으로 약 90° 회전되어 미사용 위치로 이동되는 동안에 닫힘 위치로 이동된다.
렌즈 덮개(8)가 닫힘 위치일 때, 촬영 렌즈(6)의 전면에 대면하는 내면 측에는 스트로보 발광부(9)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스트로보 발광부(9)는 렌즈 덮개(8)가 열림 위치일 때 촬영 렌즈(6)에 나란히 위치한다.
디지탈 카메라(2)를 뒤에서 본 도 7에 도시되어 있듯이, 카메라 본체(3)의 윗면에는 줌 렌즈 광학계(6a)를 광축(6c)을 따라서 이동시키고, 초점 거리를 적당하게 변경하는 줌 손잡이(11), 릴리즈 버튼(12), 스트로보를 강제 발광시키는 강제 발광 버튼(13), 타이머 촬영을 수행시키는 셀프 타이머 버튼(14), 전원 버튼(15), 화질을 3단계로 절환시키는 화질 절환 손잡이(16), 액정 모니터(17)의 기능을 촬영 화상의 재생용과 파인더용으로 절환하는 절환 손잡이(18) 등이 설치되어 있다.
카메라 본체(3)의 배면에는 파인더를 겸하는 액정 모니터(17), 1회 전에 촬영된 화상을 액정 모니터(17)에 재생할 수 있는 프린트 버튼(21), 적목 방지 촬영이나 야경 촬영 등의 촬영 모드를 설정하는 촬영 모드 설정 버튼(22), 액정 모니터(17)에 표시된 화상을 미리 설정한 배율(예를 들면 3배)로 확대하는 줌 버튼(23), 액정 모니터(17)에 배터리 용량이나 남은 촬영 매수 등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버튼(24), 액정 모니터(17)가 외부 입력 때의 모니터로 되는 모니터 버튼(25) 등이 설치되어 있다.
카메라 본체(3)의 내부에는 촬상 소자(7)로부터의 화상 신호를 디지탈 변환, 감마 변환 등의 처리를 수행하는 화상 처리 기판, 메모리 카드, 전원 전지가 포함되어 있다. 메모리 카드는 화상 처리 기판의 접속 단자에 접속되어 있고, 촬영된 화상의 디지탈 비디오 신호가 기록된다. 이러한 메모리 카드는 카메라 본체(3)의 좌측면에 설치된 옆 덮개(26)를 열어서 출납시킬 수 있다. 한편, 메모리 카드 대신에 자기 플로피 등의 다른 기록 매체를 사용하여도 좋다.
도 5에 도시되어 있듯이, 카메라 본체(3)의 우측면(3a)의 아래쪽에는 퍼스콤에 접속하기 위한 디지탈 비디오 단자(RS-232C 단자)(27), 텔레비젼 수신기에 접속하기 위한 아날로그 비디오 단자(28), 외부 직류 전원에 접속하기 위한 전원 단자(29)를 배치하고 있다. 각 단자(27 ∼ 29)는 촬상부(4)를 미사용 위치로 하면 촬상부(4)에 숨겨진다.
도 1에 도시되어 있듯이, 렌즈 덮개(8)의 위 아래에 설치된 구동축 고정부(8a, 8b)는 상기한 융기부(4a)에 광축(6c)에 수직으로 통과되는 덮개 구동축(31)의 양단에 고정되고, 렌즈 덮개(8)는 회전이 자유롭게 되어 있다. 이러한 덮개 구동축(31)의 상부에는 구동 기어(31a)가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상기한 렌즈 덮개(8)의 덮개 개폐 수단은 구동 기어(31a), 산형 캠(32), 레버(33), 전달 기어(34, 35), 코일 스프링(36), 캠 무부(37)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레버(33)의 일측 단자와 타측 단자에는 핀(33a)고 돌기(33b)가 설치되어 있다. 이 돌기(33b)에는 코일 스프링(36)의 일측 단자(36a)가 걸려 있고, 레버(33)는 반시계 방향으로 가압되어 있다. 산형 캠(32)은 카메라 본체(3)의 우측면(3a)에 촬상부(4)의 회전축 중심(4)의 주위에 9시 방향으로부터 12시 방향까지 약 90°정도의 범위로 형성되어 있고, 가장 높은 정수리부(32a), 이것을 절결하는 평면(32b), 이것으로부터 캠 무부(37)로 향하여 낮아지는 사면(32c)으로 구성되어 있다.
촬상부(4)가 미사용 위치일 때, 평면(32b) 위에 핀(33a)이 위치하고 있다. 레버(33)는 코일 스프링(36) 압력에 대항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어 있고, 핀(33a)이 평면(32b)에 강하게 눌려 있기 때문에, 미사용 시에 촬상부(4가) 제멋대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또한, 촬상부(4)의 회전 시에 핀(33a)은 사면(32c)을 따라서 이동한다. 또한 정수리부(32a)는 핀(33a)의 이동을 규제하여, 촬상부(4)가 그 이상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지 못하도록 하고 있다.
도 3에 도시되어 있듯이, 촬상부(4)를 미사용 위치로부터 시계 방향으로 약 90° 회전시키면, 코일 스프링(36)의 스프링 압력에 의해, 핀(33a)은 사면(32c)을 따라서 이동되어 캠 무부(37)에서 정지한다. 레버(33)는 핀(33a)의 이동에 따라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레버(33)의 돌기(33b)는 전달 기어(34)의 단면(34a)에 대향하기 때문에, 레버(33)와 함께 전달 기어(34)는 일체로 회전한다. 전달 기어(35)는 전달 기어(34)와 구동 기어(31a)의 양자에 회전을 서로 전달하는 것으로, 전달 기어(34)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 이 전달 기어(35)는 구동 기어(31a)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렌즈 덮개(8)를 열림 위치로 이동시킨다.
도 2에 도시되어 있듯이, 촬상부(4)를 반시계 방향으로 90°회전시켜서 미사용 위치로 하면, 코일 스프링(36)의 스프링 압력에 의해, 핀(33a)은 사면(32c)을 따라서 이동하여 정수리부(32a)에서 규제되어 평면(32b)에서 정지한다. 레버(33)는 핀(33a)의 이동에 따라서 시계 방향으로 이동된다. 코일 스프링(36)의 타측 단자(36c)는 전달 기어(34)의 단면(34b)에 걸려 있다. 그 때문에, 코일 스프링(36)의 스프링 압력에 의해 단면(34a)과 돌기(33b)가 눌려지고, 레버(33)의 시계 방향의 회전 시에 전달 기어(34)가 일체로 회전된다. 전달 기어(34)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 전달 기어(35)는 구동 기어(31a)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렌즈 덮개(8)를 닫힘 위치로 이동시킨다.
캠 무부(37)는 구동축 중심(40)의 12시 방향으로부터 9시 방향까지 약 270°범위로 설정되어 있다. 핀(33a)이 캠 무부(37)에 있을 때에는 코일 스프링(36)의 스프링 압력에 의해 레버(33)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어 있다. 레버(33)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된 상태이면, 전달 기어(34, 35) 및 구동 기어(31a)를 개재하여 렌즈 덮개(8)가 열림 위치로 되기 때문에, 캠 무부(37)가 설치된 약 270°범위 내에서, 렌즈 덮개(8)를 열림 위치로 한 그대로 촬상부(4)를 회전시킬 수가 있다.
또한, 이러한 덮개 개폐 수단에서는 렌즈 덮개(8)의 이동은 촬상부(4)의 회전에 연동하여 기계적으로 수행되기 때문에 촬상부(4)를 회전시키지 않고 렌즈 덮개(8)가 강제로 개폐된 때에 기어가 고장나거나 파손되는 일이 생기지 않는다.
촬상부(4)가 미사용 위치인 때, 렌즈 덮개(8)가 열리면, 구동 기어(31a) 및 전달 기어(35)를 개재하여 전달 기어(34)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힘이 걸린다. 이 때, 핀(33a)은 평면(32b) 위에 있어서 레버(33)의 반시계 방향으로의 회전이 금지되어 있지만, 코일 스프링(36)의 스프링 압력에 대항하여 전달 기어(34)의 몸체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회전력을 놓아주는 것이 가능하다.
촬상부(4)를 미사용 위치로부터 시계 방향으로 90°이상 회전시킨 때, 렌즈 덮개(8)가 닫히면, 구동 기어(31a) 및 전달 기어(35)를 개재하여 전달 기어(34)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힘이 걸린다. 전달 기어(34) 및 레버(33)는 코일 스프링(36)의 스프링 압력에 의해 반시계 방향으로 가압되어 있기 때문에, 코일 스프링(36)의 절곡부(36b)의 스프링 압력에 대항하여 시계 방향으로 일체로 회전되어 회전력을 놓아줄 수가 있다.
또한, 도 2 및 도 3에 도시되어 있듯이, 전달 기어(35)의 부채 형태로 잘려진 단면(35a, 35b) 개재하여 마이크로 스위치(41)를 배치하고 있다. 이것은 촬상부(4)가 미사용 위치로부터 시계 방향으로 약 90°이상 회전한 위치일 때에 단면(35a)에 접하여 전원을 온으로 하고, 촬상부(4)가 미사용 위치인 때에 단면(35a)으로부터 분리되어 전원을 오프로 하는 것이다. 한편, 마이크로 스위치의 압압부를 카메라 본체(3)의 우측면(3a)에 설치하여, 촬상부(4)의 좌측면에 직접 접하도록 하는 것도 좋다.
상기 구성의 디지탈 카메라(2)를 사용하는 경우, 그립부(5)를 잡고 촬상부(4)를 미사용 위치로부터 시계 방향으로 약 90°회전시킨다. 이에 따라 핀(33a)은 사면(32c)을 따라서 이동하여 캠 무부(37)에서 정지한다. 이 핀(33a)의 이동에 의해 레버(33)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전달 기어(34, 35)를 개재하여 구동 기어(31)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이에 따라 렌즈 덮개(8)가 열림 위치로 이동하여 스트로보 발광부(9)가 촬영 렌즈(6)에 나란하게 위치하게 된다.
이 때, 전달 기어(35)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그 단면(35a)이 마이크로 스위치(41)에 접한다. 이에 따라 전원이 입력되어 액정 모니터(17)가 점등된다. 액정 모니터(17)에서 피사체를 관찰한 후 릴리즈 버튼(12)을 누른다. 릴리즈 버튼(12)이 눌려지면 촬상 소자(7)에서 피사체가 촬상된다. 이 촬상 소자(7)로부터의 색 신호나 동기 신호가 화상 처리 기판으로 전송되고, 디지탈 변환, 감마 변환 등이 행해지고, 디지탈 비디오 신호로 변환된 후, 메모리 카드에 기록된다.
또한, 자기 자신을 촬영하고 싶은 때에는 촬상부(4)를 다시 시계 방향으로 180°정도 회전시켜서 촬영 렌즈(6)를 자기에게 향하도록 하면 된다.
또한, 각 단자(27 ∼ 29)가 카메라 본체(3a)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촬상부(4)를 미사용 위치로부터 시계 방향으로 약 90°이상 회전시킨 때에도 촬상부(4)의 아랫 방향에 나타난다. 디지탈 비디오 단자(27)와 퍼스콤을 RS-232C 케이블을 사용하여 접속하면, 촬영된 화상을 퍼스콤에서 감상할 수가 있다. 물론, 촬영된 화상을 액정 모니터(17)에서 볼 수가 있다.
디지탈 카메라(2)의 사용을 종료한 경우에는 촬상부(4)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촬상부(4)가 미사용 위치가 될 때까지 약 90°정도 회전시키면, 핀(33a)은 사면(32c)을 따라서 이동되어 평면(32b)에 도달하고, 가장 높은 정수리부(32a)에서 이동이 규제된다. 이 핀(33a)의 이동에 의해 레버(33)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전달 기어(34, 35) 및 구동 기어(31a)를 개재하여 렌즈 덮개(8)를 닫힘 위치로 이동시킨다.
이것에 의해, 촬영 렌즈(6)의 전면은 렌즈 덮개(8)로 차단된다. 또한, 스트로보 발광부(9)는 촬영 렌즈(6)에 대면하여 내측에 은폐된다. 렌즈 덮개(8)는 촬영 렌즈(6)의 전면에서 촬상부(4)로 접혀져서 돌출되지 않아 산뜻한 외관이 되기 때문에 휴대성이 좋다.
이 때, 전달 기어(35)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그 단면(35a)이 마이크로 스위치(41)로부터 분리된다. 이에 따라 전원이 오프되어 액정 모니터(17)가 소등된다. 또한, 전원 버튼(15)을 눌러서 전원을 온하면 액정 모니터(17)가 점등되고, 촬상부(4)를 미사용 위치로 한 그대로 촬영된 화상을 볼 수가 있다.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되어 있듯이, 박판 형태의 한 쌍의 렌즈 덮개(50, 51)를 촬영 렌즈(52)의 전면에 개폐가 자유롭게 설치한다. 렌즈 덮개(50, 51)를 촬상부(53)를 미사용 위치로부터 시계 방향으로 약 90°정도 회전함에 따라 연동되어 열림 위치(도 9)로 이동시키고, 촬상부(53)를 반시계 방향으로 약 90°정도 회전시켜서 미사용 위치로 함에 따라 연동되어, 렌즈 덮개(50, 51)를 촬영 렌즈(52)를 가리는 닫힘 위치(도 8)로 이동시키는 덮개 개폐 수단은, 산형 캠(55), 구동 레버(56), 2단 레버(57), 코일 스프링(58), 구동 링(59)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부호(60 ∼ 62)는 촬상부(53)의 내벽에 설치된 핀을 나타내고 있다.
렌즈 덮개(50, 51)는 전면에 설치된 축(50a, 51a)에서 회전이 자유롭게 된다. 핀(60, 61)은 렌즈 덮개(50, 51)가 열리는 방향의 스토퍼(stopper)로 되어 있다. 렌즈 덮개(50, 51)의 배면에 설치된 구동축(50b, 51b)은 구동 링(59)의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된 한 쌍의 계합구(59a, 59b)에 각각 포함되어 있다. 구동 레버(56)의 일측 단자에는 핀(56a)이 설치되어 있다. 코일 스프링(58)은 일측 단자(58a)가 구동 레버(56)에 걸려 있고, 타측 단자(58b)가 핀(62)에 걸려 있어서 구동 레버(56)를 반시계 방향으로 가압하고 있다.
산형 캠(55)은 상기한 실시예의 것과 구성이 같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구동 링(59)에는 계합구(59b)에 근접하여 계합구(59c)가 형성되어 있다. 2단 레버(57)의 제1 레버(63)의 선단에 수평으로 형성된 핀(63a)은 계합구(59c)에 포함되어 있다. 2단 레버(57)의 제2 레버(64)의 선단에 아랫 방향으로 설치된 핀(64a)은 구동 레버(56)에 설치된 장혈(56b)에 삽입되어 있다.
촬상부(53)를 미사용 위치로부터 시계 방향으로 약 90°정도 회전시키면, 핀(56a)은 사면(55a)을 따라서 이동하여 캠 무부(65)에서 정지한다. 구동 레버(56)는 이 핀(56a)의 이동에 의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2단 레버(57)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에 따라 구동 링(59)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렌즈 덮개(50, 51)를 열림 위치로 이동시킨다.
촬상부(53)를 반시계 방향으로 약 90°정도 회전시켜서 미사용 위치로 하면, 핀(56a)은 사면(55a)을 따라서 이동하여 평면(55b) 위에 도달한다. 구동 레버(56)는 이 핀(56a)의 이동에 의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2단 레버(57)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것에 의해 구동 링(59)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렌즈 덮개(50, 51)를 닫힘 위치로 이동시킨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된 것이 아니고,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 렌즈 덮개(8)를 디지탈 카메라(2)의 정면으로부터 보아서 우측으로 열리도록 설치되지만, 도 11에 도시되어 있듯이 렌즈 덮개(60)가 좌측으로 열리도록 설치되어도 좋다. 또한, 렌즈 덮개를 상하 방향으로 개폐가 자유롭게 설치하고, 2분할하여 촬영 렌즈의 상하 또는 좌우로 설치하고, 가운데에서 좌우로 여닫는 문과 같은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 제2 실시예에 있어서, 슬라이드 방식의 렌즈 덮개를 설치하여도 좋다. 또한, 예를 들어 산형 캠의 사면을 급경사로 하여 30°나 60° 등과 같이 촬상부의 작지 않은 회전량으로 렌즈 덮개의 이동이 수행되도록 하여도 좋다.
도 12에서, 렌즈 덮개를 상하 방향으로 개폐가 자유롭게 설치한 하나의 실시예를 보인다. 렌즈 덮개(61)는 '<'자 형태로 형성되고, 촬영 렌즈(62)의 전면을 덮는 덮개부(63)와, 타측 단자가 촬상부(64)에 축(65a)을 통해 장착된 아암부(65)를 일측과 타측에 구비하고 있다. 촬상부(64)를 미사용 위치로 하면, 렌즈 덮개(61)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촬상부(64)에 설치된 '<'자 형태의 구부(66)로 들어가고, 덮개부(63)가 촬영 렌즈(62)의 전면을 덮어서 닫힘 위치가 된다. 촬상부(64)를 사용 위치로 하면, 렌즈 덮개(61)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덮개부(63)가 촬영 렌즈(62)의 전면으로부터 위쪽으로 올라가서, 촬영 렌즈(62)가 드러나는 열림 위치가 된다. 덮개부(63)의 전면에 경사지게 설치된 스트로보 발광부(67)는 렌즈 덮개(61)가 열림 위치일 때에 정면으로 향한다.
한편,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기록 매체에 IC 메모리나 자기 플로피를 사용하는 디지탈 카메라에 관하여 설명하고 있지만, 기록 매체에 자기 테이프를 사용하는 비디오 카메라 등에서도 본 발명은 적용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촬상부에 포함된 촬상 광학계의 전면을 개폐하는 렌즈 덮개와, 촬상부가 미사용 위치로부터 일정 각도 범위로 설정된 연동 범위 내에서 일측 방향으로 회전되는 동안에 렌즈 덮개를 열림 위치로 이동시키고, 촬상부가 연동 범위 내에서 타측 방향으로 회전되는 동안에 렌즈 덮개를 닫힘 위치로 이동시키는 덮개 개폐 수단을 설치함으로, 종래와 같은 렌즈 캡을 사용하지 않고, 촬영 렌즈를 덮개 부재로 가려서 손상을 방지할 수가 있다.
또한, 촬상부는 연동 범위를 넘어서 회전을 자유롭게 하고, 연동 범위 밖에서의 촬상부의 회전에 대하여 렌즈 덮개는 열림 위치로 유지되도록 하기 때문에, 촬상부를 렌즈 덮개를 열림 위치로 한 그대로 임의의 촬영 위치로 회전시킬 수가 있다.
게다가, 렌즈 덮개는 촬상 광학계의 광축에 대하여 수직인 회전축과 함께 회전하여 개폐되고, 닫힘 위치로 촬상 광학계의 전면에 대면하는 내면측에 스트로보 발광부를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촬영 렌즈와 함께 스트로보 발광부의 손상을 방지할 수가 있다.

Claims (3)

  1. 촬상 광학계 및 촬상 소자를 포함하는 촬상부가 카메라 본체에 회전이 자유롭게 장착되어 있는 전자 카메라에 있어서,
    상기 촬상부에 포함되어 있는 촬상 광학계의 전면을 개폐하는 렌즈 덮개와;
    상기 촬상부가 미사용 위치로부터 일정 각도 범위로 설정된 연동 범위 내에서 일측 방향으로 회전되는 동안에 상기 렌즈 덮개를 열림 위치로 이동시키고, 상기 촬상부가 상기 연동 범위 내에서 타측 방향으로 회전되는 동안에 상기 렌즈 덮개를 닫힘 위치로 이동시키는 덮개 개폐 수단을 포함하는 전자 카메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촬상부는 상기 연동 범위를 초과하여 회전이 자유롭고, 상기 연동 범위 밖에서의 상기 촬상부의 회전에 대하여 상기 렌즈 덮개는 상기 열림 위치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카메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한 렌즈 덮개는 상기 촬상 광학계의 광축에 대하여 수직인 회전축과 함께 회전하여 개폐되고, 닫힘 위치에서 상기 촬상 광학계의 전면에 대면하는 내면측에 스트로보 발광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카메라.
KR1019970058144A 1997-07-16 1997-11-05 전자 카메라 KR10025263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7-191125 1997-07-16
JP9191125A JPH1141498A (ja) 1997-07-16 1997-07-16 電子カメ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3240A KR19990013240A (ko) 1999-02-25
KR100252633B1 true KR100252633B1 (ko) 2000-04-15

Family

ID=162692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58144A KR100252633B1 (ko) 1997-07-16 1997-11-05 전자 카메라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6515705B1 (ko)
JP (1) JPH1141498A (ko)
KR (1) KR100252633B1 (ko)
GB (1) GB232755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58098B2 (ja) * 2000-05-31 2009-04-30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電子カメラ
JP3979090B2 (ja) 2001-12-28 2007-09-19 日本電気株式会社 カメラ付き携帯型電子機器
JP4503210B2 (ja) * 2002-01-25 2010-07-14 株式会社ニコン デジタルスチルカメラ
CN1293423C (zh) * 2002-01-29 2007-01-03 佳能株式会社 摄像装置
US7233354B2 (en) * 2002-10-11 2007-06-19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Digital camera that adjusts resolution for low light conditions
JP2004271981A (ja) * 2003-03-10 2004-09-30 Kyocera Corp フラッシュユニット、撮影装置および携帯端末
TWM249049U (en) * 2003-09-09 2004-11-01 Chicony Electronics Co Ltd Digital camera
KR20050066305A (ko) * 2003-12-26 2005-06-30 삼성전자주식회사 출몰식 영상촬상장치
US8330967B2 (en) * 2006-06-26 2012-12-1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ontrolling the print quality levels of images printed from images captured by tracked image recording devices
US8615408B2 (en) * 2007-02-02 2013-12-24 Koninklijke Philips N.V. Interactive patient forums
RU2493599C2 (ru) * 2007-02-02 2013-09-20 Конинклейке Филипс Электроникс Н.В. Медицинские системы и способы видеосвязи
JP5084334B2 (ja) * 2007-04-13 2012-11-28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
US9264649B2 (en) 2009-07-30 2016-02-16 Koninklijke Philips N.V. Medical video communication systems and methods
KR101194672B1 (ko) * 2010-12-09 2012-10-29 (주)뉴멀티테크 하늘상태 자동 관측 장치
TWI698734B (zh) * 2018-01-18 2020-07-11 仁寶電腦工業股份有限公司 電子裝置
US11747632B1 (en) 2020-09-10 2023-09-05 Apple Inc. Electronic devices with optical component protection
US11852834B1 (en) 2020-09-10 2023-12-26 Apple Inc. Electronic devices with adjustable heat extraction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32940A (en) * 1975-01-10 1977-06-28 W. Haking Industries, Ltd. Retractable camera
DE2610515C3 (de) * 1976-03-12 1979-01-25 Agfa-Gevaert Ag, 5090 Leverkusen Schmalfilmkamera mit einem Sucher und einem Handgriff
JPS607769B2 (ja) * 1978-01-18 1985-02-27 オリンパス光学工業株式会社 保護カバ−付カメラ
GB2129950B (en) * 1982-08-20 1985-12-11 Fuji Photo Film Co Ltd Camera
DE3520459A1 (de) * 1985-06-07 1986-12-11 Deutsche AG für Unterhaltungselectronic oHG, 7730 Villingen-Schwenningen Videokamera
US5212510A (en) * 1992-02-18 1993-05-18 Eastman Kodak Company Compact camera with elastic lens cover to prevent abrasion of taking lens
US5436686A (en) * 1994-01-28 1995-07-25 Eastman Kodak Company Compact camera with cover for handle
JPH09230464A (ja) * 1996-02-20 1997-09-05 Olympus Optical Co Ltd カメラ
US5671459A (en) * 1996-02-28 1997-09-23 Eastman Kodak Company Camera cover guide mechanism
US5740480A (en) * 1997-02-20 1998-04-14 Eastman Kodak Company Camera with movable first lens cover which supports movable second lens cover which opens during movement of first lens cov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1141498A (ja) 1999-02-12
GB2327551A (en) 1999-01-27
KR19990013240A (ko) 1999-02-25
GB9815194D0 (en) 1998-09-09
GB2327551B (en) 2002-02-20
US20020089601A1 (en) 2002-07-11
US6515705B1 (en) 2003-0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52633B1 (ko) 전자 카메라
US7537399B2 (en) Digital camera having camera body
JP3374461B2 (ja) カメラ
JPS63261242A (ja) スチルカメラ付きビデオカメラ
JP2002062578A (ja) カメラ撮影用ホルダ
JPH11355618A (ja) 電子ビューファインダー
JP4512959B2 (ja) 撮像装置
JPH08331424A (ja) 電子ファインダーカメラ
JPH11331669A (ja) ビデオカメラ
JP3968479B2 (ja) 撮像装置
JP3482391B2 (ja) デジタルカメラ
JP3932633B2 (ja) カメラ装置
CN100410804C (zh) 摄影装置
JPH10126654A (ja) デジタルスチルカメラ
JP3825880B2 (ja) ビデオカメラ
JP2004184713A (ja) カメラ
JP3713928B2 (ja) カメラ装置
JP2002328410A (ja) カメラ装置
JPH07146507A (ja) カメラ装置
JP2605343B2 (ja) Tv電話装置
JP3393252B2 (ja) カメラ用アダプタ
GB2306014A (en) Low-position viewfinder camera
JPH07212640A (ja) 撮影装置
JPS63161778A (ja) スチルカメラ付きビデオカメラ
JPS63261334A (ja) スチルカメラ付きビデオカメ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8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30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