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52033B1 -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52033B1
KR100252033B1 KR1019980012119A KR19980012119A KR100252033B1 KR 100252033 B1 KR100252033 B1 KR 100252033B1 KR 1019980012119 A KR1019980012119 A KR 1019980012119A KR 19980012119 A KR19980012119 A KR 19980012119A KR 100252033 B1 KR100252033 B1 KR 1002520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weight
polyester
polyester film
carbon bl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21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79484A (ko
Inventor
김도경
김문선
김상일
Original Assignee
장용균
에스케이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용균, 에스케이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장용균
Priority to KR10199800121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52033B1/ko
Publication of KR199900794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94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20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203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32B27/2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using fillers, pigments, thixotroping ag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67/00Polyesters, e.g. PET, i.e. polyethylene terephthalate

Landscapes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은폐성과 이활성이 우수하고 외관이 미려한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반복단위의 60중량% 이상이 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진 극한점도 0.4 ~ 0.9㎗/g의 폴리에스테르 수지에 평균입경이 0.1 ~ 10㎛이고 비표면적이 100 ~ 500m2/g인 카본 블랙 1 ~ 25중량%, 및 실리카, 알루미나, 및 탄산칼슘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로서 평균입경이 0.01 ~ 0.1㎛인 미립자 0.1 ~ 1중량%가 분산함유되어 이루어진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적어도 어느 한면에, 설폰산염기를 갖는 폴리에스테르수지, 친수성 말단기를 갖는 폴리우레탄수지, 및 아크릴 수지의 혼합물에 알루미나, 카본블랙, 및 실리카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로서 평균입경이 10 ~ 50nm인 콜로이드성 미립자 0.1 ~ 77중량%가 분산함유되어 이루어진 필름이 코팅된 필름으로서, 상기 코팅필름의 코팅밀도가 0.001 ~ 0.1g/m2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그 제조방법
본 발명은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첨가입자의 분산성과 은폐성, 및 이활성이 개선된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로 대표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물리화학적으로 안정하며 기계적 강도가 높으며, 내열성, 내구성, 내약품성, 전기절연성 등이 우수하여, 콘덴서용, 의료용, 산업용, 포장용, 사진필름용, 라벨용, 전선피복용, 디스플레이용 등의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일반적인 고분자수지가 통상 그러하듯이 은폐성, 차광성, 및 전기전도성이 불량하여 이러한 특성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카본 블랙과 블렌딩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카본 블랙의 분산성이 불량한 경우 표면에 돌기로 존재하여 인쇄불량의 원인이 되고 심한 경우에는 제막공정시 필터압의 상승을 발생시킨다.
한편, 최근 신규용도가 다양하게 개발됨에 따라 카본 블랙의 분산성이 우수하고 고속이활성이 우수한 필름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자들은 종래의 카본 블랙을 단순히 첨가, 혼련하는 기술로서는 카본 블랙사이의 분산성과 필름의 이활성을 개선하는데 한계가 있음을 알았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카본 블랙의 분산성, 은폐성, 및 이활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기술적과제를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반복단위의 60중량% 이상이 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진 극한점도 0.4 ~ 0.9㎗/g의 폴리에스테르 수지에 평균입경이 0.1 ~ 10㎛이고 비표면적이 100 ~ 500m2/g인 카본 블랙 1 ~ 25중량%, 및 실리카, 알루미나, 및 탄산칼슘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로서 평균입경이 0.01 ~ 0.1㎛인 미립자 0.1 ~ 1중량%가 분산함유되어 이루어진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적어도 어느 한면에, 설폰산염기를 갖는 폴리에스테르수지, 친수성 말단기로 갖는 폴리우레탄수지, 및 아크릴 수지의 혼합물에 알루미나, 카본블랙, 및 실리카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로서 평균입경이 10 ~ 50nm인 콜로이드성 미립자 0.1 ~ 77중량%가 분산함유되어 이루어진 필름이 코팅된 필름으로서, 상기 코팅필름의 코팅밀도가 0.001 ~ 0.1g/m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공한다.
상기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또한 반복단위의 60중량% 이상이 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진 극한점도 0.4 ~ 0.9㎗/g의 폴리에스테르 수지에 평균입경이 0.1 ~ 10㎛이고 비표면적이 100 ~ 500m2/g인 카본 블랙 1 ~ 25중량%, 및 실리카, 알루미나, 및 탄산칼슘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로서 평균입경이 0.01 ~ 0.1㎛인 미립자 0.1 ~ 1중량%를 분산함유시킨 혼합물을 압출하고 1방향으로 연신하여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조하는 단계; 설폰산염기를 갖는 폴리에스테르수지를 0.1 ~ 3.0중량%, 친수성 말단기로 갖는 폴리우레탄수지 0.1 ~ 3.0중량%, 아크릴 수지 0.1 ~ 3.0중량%, 및 알루미나, 카본블랙, 및 실리카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로서 평균입경이 10 ~ 50nm인 콜로이드성 미립자 0.01 ~ 1중량%를 함유하는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조성물을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적어도 1면에 코팅한 후, 상기 1방향과 직각을 이루는 방향으로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연신하여 상기 코팅필름의 코팅밀도가 0.001 ~ 0.1g/m2이 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카본블랙의 분산성, 은폐성, 및 이활성이 우수하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그 제조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폴리에스테르 수지에 은폐성을 높이기 위한 카본 블랙 및 상기 카본 블랙의 분산성을 개선하기 위한 미립자를 분산함유시켜 이루어진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적어도 어느 한면에, 평균입경이 10 ~ 50nm인 콜로이드성 미립자가 포함된 필름을 코팅한 구조로 되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극한점도가 0.4 ~ 0.9㎗/g, 바람직하게는 0.5 ~ 0.8㎗/g이다. 극한점도가 0.4㎗/g 미만이면 연신도중 파단이 빈번하게 발생하여 생산성이 크게 저하되며 최종필름의 기계적 강도가 저하하는 등 물성이 불량하여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극한점도가 0.9㎗/g를 초과하면 용융점도가 너무 높아 압출공정이 불안정해지는 등 제조공정이 곤란하게 되어 후공정에서의 생산성이 크게 저하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반복단위의 60중량% 이상이 테레프탈산과 에틸렌글리콜의 직접에스테르화반응 또는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와 에틸렌글리콜의 에스테르교환반응에 의하여 생성된 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로 이루어져 있다. 나머지 40중량% 이하의 중합성분으로서는 산성분 또는 알콜성분 모두 사용가능하다. 상기 산성분으로서는 이소프탈산, 프탈산, 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5-나트륨설포이소프탈산, 디페닐디카르복실산, 디페닐에테르디카르복실산, 디페녹시에탄디카르복실산, α,β-비스(2-클로로페녹시)에탄-4,4'-디카르복실산, 트리멜리트산, 피로멜리트산, 아디프산, 아젤레인산(azelaic acid), 세바신산, 시클로헥산디카르복실산 등과 같은 2관능 또는 다관능의 방향족 또는 지방족 염기산을 들 수 있다. 상기 알콜성분으로서는 트리메틸렌글리콜, 테트라메틸렌글리콜, 펜타메틸렌글리콜, 네오펜틸글리콜, 헥사메틸렌글리콜, 시클로헥실렌글리콜,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 5-나트륨설포레소시놀, 폴리에틸렌글리콜 등과 같은 2관능 또는 다관능의 방향족 또는 지방족 알콜을 들 수 있다.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공지의 첨가제, 예를 들면 자외선 흡수제, 제전제, 열안정제, 정전인가제, 결정화촉진제, 블로킹방지제 등을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내에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카본 블랙은 천연가스, 아세틸렌, 안트라센, 콜타르, 또는 방향족계 석유유분의 불완전연소에 의하여 제조되는 비중이 1.8 ~ 2.1의 탄소분말로서 통상 탄소함유율이 95% 이상의 것을 말한다. 카본 블랙은 원료 및 제조방법에 따라서 채널 블랙, 퍼니스 블랙, 써멀 블랙으로 구분되나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입경범위에 해당하면 어떠한 것을 사용해도 관계없다. 즉,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카본 블랙으로서는 평균입경이 0.1 ~ 10㎛이고 비표면적이 100 ~ 500m2/g인 것을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기준으로 1 ~ 25중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평균입경이 0.1㎛ 미만이면 입자가 너무 미세하여 응집현상이 심하게 발생하고 10㎛를 초과하면 필터압이 상승하여 생산성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은폐성이 저하되어 은폐성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첨가량을 과도하게 증가시켜야 하여야 한다. 또한, 비표면적은 100m2/g 미만이면 은폐성이 저하되고 500m2/g를 초과하면 표면에너지가 증가하여 응집이 용이해진다.
그러나, 카본 블랙은 표면에너지가 높아 응집이 용이한 특성상 분산성을 개선하는데 한계가 있는데, 분산성을 개선하기 위해 왁스와 같은 유기물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상기 방법은 연신공정중에 또는 시간의 경과에 따라 필름표면으로 전이되어 인쇄성 또는 접착성을 저하시키고, 특히 이활성을 현저하게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상기한 문제점이 없이 카본 블랙의 분산성을 개선하기 위해서 소정의 미립자을 포함하고 있다. 즉,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상기 소정의 미립자로서 실리카, 알루미나, 및 탄산칼슘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로서 평균입경이 0.01 ~ 0.1㎛인 것을 0.1 ~ 1중량% 포함한다. 평균입경이 0.01㎛ 미만이면 카본 블랙의 분산조절이 어렵고 평균입경이 0.1㎛을 초과하면 필름의 은폐성이 저하된다. 또한, 상기 미립자의 함유량이 0.1중량% 미만이면 카본 블랙의 분산효과를 얻을 수 없고 1중량%를 초과하면 필름의 은폐성이 저하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되는 첨가제의 투입방법으로는 다음과 같은 두가지 방법이 다 가능하다. 첫째, 각각의 첨가제를 최종 필름에서의 필요농도 만큼 에틸렌글리콜로 슬러리화하여 에스테르화 또는 에스테르 교환반응 또는 중축합반응중에 직접 투입하는 방법으로서 대량생산에 유리한 방법이다. 둘째, 전체 또는 일부의 첨가제가 고농도로 투입된 폴리에스테르 중축합물과 혼합하는 마스터 배치칩 제조방식으로 중합반응기의 오염을 줄일 수 있으며 첨가제의 투입농도조절이 마스터배치칩의 희석정도에 따라 용이하여 필름의 소량 다품종화에 적합한 이점이 있다.
한편, 이와 같이 제조된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입자가 판상의 형태로 존재하는 카본 블랙의 특성에 의하여 표면에너지가 높아 블로킹 현상이 유발되므로 고속주행이 어렵다. 본 발명을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여 필름에 이활성을 부여하기 위해서 콜로이드 미립자를 포함하는 필름을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적어도 일면에 코팅한다. 즉, 본 발명은 설폰산염기를 갖는 폴리에스테르수지, 친수성 말단기로 갖는 폴리우레탄수지, 및 아크릴 수지의 혼합물에 알루미나, 카본블랙, 및 실리카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가 분산함유되어 이루어진 필름을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적어도 일면에 코팅한다. 상기 콜로이드성 미립자의 평균입경은 10 ~ 50nm이고 그 함유량은 상기 코팅필름의 0.1 ~ 77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평균입경이 10nm 미만이면 이활효과를 얻기 어렵고 평균입경이 50nm를 초과하면 상기 콜로이드성 미립자가 표면돌기로서 존재하여 필름의 외관을 조잡하게 한다. 또한, 상기 콜로이드성 미립자의 함유량이 0.1중량% 미만이면 이활효과를 얻기 어렵고 함유량이 77중량%를 초과하면 상기 콜로이드성 미립자가 표면돌기로서 존재하여 필름의 외관을 조잡하게 한다. 상기 콜로이드성 미립자로서는 상기한 알루미나, 카본블랙, 및 실리카 이외에도 상기 평균입경 범위를 만족하고 분산성이 우수하여 이활성이 양호하면 어떠한 것이라도 사용가능하다.
한편, 상기 코팅필름의 코팅밀도는 0.001 ~ 0.1g/m2인 것이 바람직하다. 0.001g/m2미만이면 이활효과를 얻을 수 없으며 0.1g/m2를 초과하면 상기 콜로이드성 입자가 표면돌기로서 존재하여 필름의 외관을 조잡하게 한다.
상기 콜로이드성 미립자를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코팅하기 위한 바인더로서는 설폰산염기를 갖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친수성 말단기를 갖는 폴리우레탄 수지, 및 아크릴 수지의 혼합물이 사용된다.
상기 설폰산염기를 갖는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수용성 또는 수분산성의 고분자수지로서 이염기산 성분과 디올 성분의 축중합에 의하여 얻어진 것인데,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축중합시 설폰산염기를 포함하는 이염기산성분을 전체 이염기산 성분에 대하여 2 ~ 20몰% 첨가하여 얻어진 것이다. 또한,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수평균분자량은 약 50,000 이하, 바람직하게는 25,000 이하이며, 유리전이온도가 7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염기산 성분으로서는 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 아디프산, 5-나트륨설포이소프탈산, 트리멜리트산, 무수프탈산, 세바신산, 숙신산 등을 들 수 있고, 상기 디올 성분으로서는 에틸렌글리콜, 1,4-부탄디올, 프로필렌글리콜, 네오펜틸글리콜, 1,6-헥산디올, 디에틸렌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시클로헥산 디메탄올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이 수용성 또는 수분산성을 띠게 하는 상기 설폰산염기를 함유하는 이염기산 성분으로서는 나트륨설포프탈산, 5-나트륨설포이소프탈산, 5-나트륨설포프로폭시이소프탈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친수성 말단기를 갖는 폴리우레탄 수지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와 폴리올의 반응생성물로서 우레탄 결합을 분자의 주쇄에 갖고 분자의 말단에 메틸아크릴레이트, 메틸아세테이트, 에틸아세테이트 등의 친수성기를 갖는 블록화된 폴리우리탄 프리폴리머이다. 상기 친수성 말단기를 갖는 폴리우레탄 수지는 유화제없이도 물에 잘 용해되는 고분자화합물이다. 상기 폴리우레탄을 합성하는데 사용되는 적당한 폴리올 화합물의 예로는 에틸렌 옥사이드, 프로필렌 옥사이드, 테트라하이드로퓨란과 같은 알킬렌옥사이드의 개환중합물인 폴리에틸렌 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폴리테트라메틸렌 글리콜 등의 폴리에테르계 폴리올과, 아디프산, 프탈산 등의 이염기산과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1,4-부탄디올 등의 글리콜의 탈수 축중합 생성물인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올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아크릴 수지는 메틸 아크릴레이트, 에틸 아크릴레이트, 부틸 아크릴레이트, 이소부틸 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 아크릴산에테르,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메타아크릴레이트 에테르 등을 사용하여 유화중합한 것인데, 특히 메틸 아크릴레이트, 이소부틸 아크릴레이트, 메틸메타크릴레이트를 주모노머로 하여 유화중합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콜로이드 미립자를 포함하는 필름을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적어도 일면에 코팅하기 위한 코팅조성물은 물에 상기 설폰산염기를 갖는 폴리에스테르수지 0.1 ~ 3.0중량%, 상기 친수성 말단기를 갖는 폴리우레탄수지 0.1 ~ 3.0중량%, 상기 아크릴 수지 0.1 ~ 3.0중량%, 및 상기 알루미나, 카본블랙, 및 실리카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로서 평균입경이 10 ~ 50nm인 콜로이드성 미립자 0.01 ~ 1중량%를 분산 또는 용해시켜 얻어진다. 상기 설폰산염기를 갖는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함량이 0.1중량% 미만이면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표면에 상기 콜로이드성 미립자를 접착시킬 수 없으며 3.0중량%를 초과하면 상기 콜로이드성 미립자의 응집현상이 발생한다. 상기 친수성 말단기를 갖는 폴리우레탄 수지의 함량이 0.1중량% 미만이면 상기 콜로이드성 미립자의 접착성이 저하되며 3.0중량%를 초과하면 상기 콜로이드성 미립자의 분산이 불량해진다. 상기 아크릴 수지의 함량이 0.1중량% 미만이거나 또는 3.0중량%를 초과하면 상기 콜로이드성 미립자의 분산성이 현저하게 저하된다.
상기 코팅조성물는 해당기술분야에서 공지되어 있는 다른 첨가물, 예를 들면 대전방지제, 습윤제, 계면활성제, pH조절제, 산화방지제, 염료, 안료, 슬립제 등을 필름의 제반물성을 해치지 않는 범위내에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코팅조성물을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코팅하는 방법으로는 그라비아롤, 리버스그라비아 롤 등의 롤을 이용하는 코팅방법, 메이어바 등의 바를 이용하는 코팅방법, 에어나이프 방식의 코팅방법 등 통상의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코팅을 양호하게 하기 위해서는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표면에 45dyne/cm 이상의 표면장력이 필요하며 특히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표면을 코로나 방전처리하면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과 코팅필름과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하는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있어서, 제조된 필름의 각종 성능평가는 다음 방법에 의하여 실시하였다.
(1) 극한점도
ο-클로로페놀 25㎖에 중합체 0.1g, 0.2g, 0.3g, 0.4g, 0.5g, 0.6g 씩 용해하여 35℃에서 상대점도를 측정한 후 이를 무한희박농도(제로농도)로 외삽하여 구하였다
(2) 광투과율
일본정밀광학사의 헤이즈미터(모델명; SEP-H)와 C-광원을 사용하여 ASTM D1003에 따라 측정하였다.
(3) 마찰계수
일본 세이사쿠쇼사의 표면성시험기(모델명;2227001)을 사용하여 하중 1.0kg, 속도 150mm/min의 조건에서 동마찰계수를 측정하였다.
(4) 외관평가
필름의 외관을 광학현미경을 사용하여 일정면적(10cm×10cm)당 0.9㎛ 이상의 높이를 갖는 돌기수로 분산성을 다음과 같이 평가하였다.
○ : 1개 이하 △ : 2 ~ 5개 × : 5개 이상
실시예 1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와 에틸렌글리콜을 1:2 당량비로 혼합한 뒤, 이 혼합물에 트리부틸렌티타네이트를 0.05중량%를 투입하여 비스-2-하이드록시에틸테레프탈레이트(BHET) 및 BHET의 저분자량의 축합물를 형성하였다. 여기에 평균입경 0.2㎛의 카본 블랙 2.0중량%, 평균입경 0.05㎛의 실리카 0.2중량%, 열안정제로서 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0.1중량%, 중합촉매로서 안티모니트리아세테이트를 0.01중량% 투입하고. 중축합을 완결시켜 극한점도가 0.621㎗/g인 폴리에스테르 펠렛을 제조하였다.
상기 폴리에스테르 펠렛을 통상의 방법에 따라 건조, 용융, 압출하여 시트로 성형한 후 3.1배로 종방향으로 연신하였다. 이어서, 상기 종방향으로 1축연신된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표면에 평균입경 25nm인 콜로이드성 알루미나 미립자 0.05중량%, 설폰산염기를 갖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1.5중량부(TOWA사, 상품명 T-200), 친수성 말단기를 갖는 폴리우레탄 수지 0.5중량%(SK사, 상품명 a-320), 및 아크릴 수지 0.5중량%(Zeneer사, 상품명 XK-70)를 포함하는 수분산액을 메이어 바 방식으로 코팅하여 건조하고 다시 횡방향으로 3배 연신하였다. 이때, 상기 코팅필름의 코팅밀도는 0.04g/m2이었다.
이렇게 얻은 필름의 전체두께는 75㎛이었고, 광투과율 2.0%, 동마찰계수 0.3으로 은폐성과 이활성이 우수하였으며 특히 돌기가 전혀없어 필름의 외관이 미려하였다.
실시예 2 ~ 5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첨가제의 첨가량을 조절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표면이 이활처리된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조하였다.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은폐성과 이활성이 우수하고 필름의 외관이 미려하였다.
비교예 1 ~ 5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첨가제의 첨가량을 조절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표면이 이활처리되지 않거나 본 발명의 청구범위를 벗어나는 범위에서 이활처리된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조하였다.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은폐성과 이활성이 불량하고 필름의 외관이 조잡하였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은폐성과 이활성이 우수하고 필름의 외관이 미려하여 전선피복욕, 포장용, 콘덴서용, 사진필름용, 라벨용, 디스플레이용 등의 다방면으로 이용가능하다.
# : 알 : 알루미나, 실 : 실리카, 탄 : 탄산칼슘, 카 : 카본블랙

Claims (2)

  1. 반복단위의 60중량% 이상이 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진 극한점도 0.4 ~ 0.9㎗/g의 폴리에스테르 수지에 평균입경이 0.1 ~ 10㎛이고 비표면적이 100 ~ 500m2/g인 카본 블랙 1 ~ 25중량%, 및 실리카, 알루미나, 및 탄산칼슘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로서 평균입경이 0.01 ~ 0.1㎛인 미립자 0.1 ~ 1중량%가 분산함유되어 이루어진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적어도 어느 한면에,
    설폰산염기를 갖는 폴리에스테르수지, 친수성 말단기를 갖는 폴리우레탄수지, 및 아크릴 수지의 혼합물에 알루미나, 카본블랙, 및 실리카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로서 평균입경이 10 ~ 50nm인 콜로이드성 미립자 0.1 ~ 77중량%가 분산함유되어 이루어진 필름이 코팅된 필름으로서,
    상기 코팅필름의 코팅밀도가 0.001 ~ 0.1g/m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 필름.
  2. 반복단위의 60중량% 이상이 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진 극한점도 0.4 ~ 0.9㎗/g의 폴리에스테르 수지에 평균입경이 0.1 ~ 10㎛이고 비표면적이 100 ~ 500m2/g인 카본 블랙 1 ~ 25중량%, 및 실리카, 알루미나, 및 탄산칼슘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로서 평균입경이 0.01 ~ 0.1㎛인 미립자 0.1 ~ 1중량%를 분산함유시킨 혼합물을 압출하고 1방향으로 연신하여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조하는 단계;
    설폰산염기를 갖는 폴리에스테르수지를 0.1 ~ 3.0중량%, 친수성 말단기를 갖는 폴리우레탄수지 0.1 ~ 3.0중량%, 아크릴 수지 0.1 ~ 3.0중량%, 및 알루미나, 카본블랙, 및 실리카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로서 평균입경이 10 ~ 50nm인 콜로이드성 미립자 0.01 ~ 1중량%를 함유하는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조성물을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적어도 1면에 코팅한 후, 상기 1방향과 직각을 이루는 방향으로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연신하여 상기 코팅필름의 코팅밀도가 0.001 ~ 0.1g/m2이 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 방법.
KR1019980012119A 1998-04-06 1998-04-06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1002520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2119A KR100252033B1 (ko) 1998-04-06 1998-04-06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2119A KR100252033B1 (ko) 1998-04-06 1998-04-06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9484A KR19990079484A (ko) 1999-11-05
KR100252033B1 true KR100252033B1 (ko) 2000-04-15

Family

ID=195358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2119A KR100252033B1 (ko) 1998-04-06 1998-04-06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5203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60571A (ko) * 1999-03-17 2000-10-16 장용균 폴리에스테르 필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9484A (ko) 1999-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78943A (en) Biaxially oriented polyester film
US5403879A (en) Polyester film and articles made therefrom
JP5388798B2 (ja) 低オリゴマー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US5674618A (en) Biaxially oriented polyester film
US5718971A (en) Polyester film comprising alumina and silane coupling agent
KR100252033B1 (ko)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그 제조방법
US5605737A (en) White-colored polymer film
JP4422827B2 (ja) 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KR100263920B1 (ko) 난연성폴리에스테르필름및그제조방법
KR100252037B1 (ko)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그 제조방법
JPH09291156A (ja) 二軸配向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389297B1 (ko) 백색다공성폴리에스테르필름및그제조방법
JPH1045923A (ja) 照明器具用ポリエステルシート
KR20130087241A (ko) 그린시트의 이형필름용 폴리에스테르 기재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439626B1 (ko) 2축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
KR100243945B1 (ko)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00025873A (ko)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
KR0151808B1 (ko) 고분자 필름
JPH0257573B2 (ko)
KR0157091B1 (ko)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
KR0159982B1 (ko) 고분자 필름의 제조방법
JPH09241925A (ja) 吸湿性ポリエステル繊維
KR20000060571A (ko) 폴리에스테르 필름
KR100280382B1 (ko) 유연성이우수한무연신폴리에스테르필름
KR19990055064A (ko) 2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2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7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0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8

Year of fee payment: 1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