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25873A -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 - Google Patents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25873A
KR20000025873A KR1019980043135A KR19980043135A KR20000025873A KR 20000025873 A KR20000025873 A KR 20000025873A KR 1019980043135 A KR1019980043135 A KR 1019980043135A KR 19980043135 A KR19980043135 A KR 19980043135A KR 20000025873 A KR20000025873 A KR 200000258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white
polyester
weight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431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문선
김상일
Original Assignee
장용균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용균,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장용균
Priority to KR10199800431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25873A/ko
Publication of KR200000258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5873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27Coating with only one layer of a composition containing a polymer bind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1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characterized by their specific func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56Organo-metallic compounds, i.e.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metal-to-carbon bon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3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D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9D133/0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rylic acid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6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08K2003/2237Oxides; Hydroxides of metals of titanium
    • C08K2003/2241Titanium diox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2201/00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 C08K2201/002Physical properties
    • C08K2201/003Additives being defined by their diamet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관한 것으로, 0.6 내지 1.0dl/g의 극한점도를 갖는 폴리에스테르 수지에, 입경 0.1 내지 1.0μ의 이산화티탄과 입경 5.0 내지 10.0μ의 백색 무기입자 각각 1 내지 10 중량% 및 하기 화학식 1의 티탄계 킬레이트 화합물 1 내지 5 중량%를 첨가하여 기재 필름을 제조하고, 상기 기재 필름의 한면위에 유효성분 0.01 내지 1.0g/m2의 아크릴계 수지를 도포함으로써 빛투과율, 저광택도와 같은 표면 특성, 기계적 특성 및 인쇄적성이 우수한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조하여 각종 라벨, 광고지, 카드, 달력 등의 기재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식에서,
X는 C1-3알킬기이고, R은 킬레이트화 리간드(chelating ligand)이다.

Description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
본 발명은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기재 필름이 입도의 분포가 다른 2종의 백색 무기입자 및 티탄계 킬레이트 화합물을 포함하고, 그 기재 필름의 한면위에 아크릴계 수지가 도포되어 표면 특성, 인쇄적성 및 기계적 특성이 우수한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관한 것이다.
현재, 라벨, 광고지, 카드, 달력 등의 기재로서 종이와 백색 플라스틱 필름 등이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플라스틱으로는 폴리염화비닐, 폴리올레핀, 폴리스티렌 등이 사용되고 있다. 종이는 가공성이 우수하고 폐기 처분 및 재활용이 용이하다는 장점은 있으나 제조가격이 비싸고 장기간 사용할 때 변색이 되거나 온도차 또는 습기에 의해 곰팡이가 발생하며, 폴리염화비닐은 유연성이 우수하고 가공성이 양호하나 최근 일고 있는 환경문제로 인해 일부 선진국에서 그 사용이 제한되어 사용율이 정체 내지는 감소하고 있는 추세이다. 또한, 폴리올레핀은 환경친화적인 특성을 가져 그 용도가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나 기계적 특성이 떨어지고 표면 강도가 낮아 스크래치가 발생하기 쉽기 때문에 반드시 코팅 등과 같은 후가공처리를 해야 하는 번거러움이 있다. 또한, 폴리스티렌은 가공성은 우수하나 동절기에 깨지는 현상이 발생하곤 한다.
한편, 폴리에스테르 중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는 화학 및 물리적으로 안정하고 기계적 강도가 높으며, 내열성, 내구성, 내약품성, 전기절연성 등이 우수하여 의료용 및 각종 산업용품으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으며, 특히 탄성율, 치수안정성, 평면화 등의 성질이 우수하여 자기기록매체용, 콘덴서용, 포장용, 사진필름용, 라벨용은 물론 각종 그래픽 아트용품으로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또한, 종이 대용으로 각종 자기 카드(신용 및 통신 카드), 프린터용 수상지, 바코드, 포스터, 달력, 지도, 무진지, 표시판, 백판, 인화지, 복사용지 및 특수용도의 인쇄 출판물 등으로 사용되고 있다.
최근 들어, 이와 같이 높은 투명성과 표면 광택도를 지닌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높은 투명성을 제어하여 필름을 다양한 용도로 사용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높은 굴절율을 갖는 백색 무기입자를 첨가하는 방법이 연구되었다. 예를 들면,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87-243120호 및 제90-206622호 등에서는 폴리에스테르에 탄산칼슘 등과 같은 무기입자를 첨가하였고,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90-185532호에서는 황산바륨을 단독으로 폴리에스테르에 첨가하였고,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91-50241호에서는 폴리에스테르 수지와 폴리올레핀 수지를 혼합한 후 황산바륨과 탄산칼슘을 혼용 첨가하였다. 그러나, 탄산칼슘은 필름 표면의 광택도를 지나치게 높게 하여 눈의 피로를 가져오기 때문에 이를 제어하기 위해 첨가량을 증가시키면 필름이 뻣뻣해져 가공성이 떨어지게 되며, 황산바륨은 은폐성이 불량하고 첨가시 푸른 빛을 띄게 하여 고급스러움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어 사용량에 한계가 있을 뿐만 아니라 이축연신을 하는 경우 유연성을 개선할 수 없어 산업적으로 응용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다.
상기 탄산칼슘 및/또는 황산바륨을 사용하는 기술 이외에 이제까지 공지된 기술들은 무기물의 적용을 통하여 은폐성이나 백색도 개선효과는 제공하고 있으나, 용도에 따른 후가공성의 개선 또는 유연성의 향상 등은 제시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예의 연구를 계속한 결과, 입도의 분포가 다른 2종의 백색 무기입자를 티탄계 킬레이트 화합물과 함께 폴리에스테르 수지에 첨가하여 기재 필름을 제조하고, 그 기재 필름의 한면위에 아크릴계 수지를 도포함으로써 상기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음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은폐성, 저광택성과 같은 표면 특성, 인쇄적성 및 기계적 특성이 우수한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0.6 내지 1.0dl/g의 극한점도를 갖는 폴리에스테르 수지에, 입경 0.1 내지 1.0μ의 이산화티탄과 입경 5.0 내지 10.0μ의 백색 무기입자 각각 1 내지 10 중량% 및 하기 화학식 1의 티탄계 킬레이트 화합물 1 내지 5 중량%가 첨가된 기재 필름, 및 상기 기재 필름의 한면위에 0.01 내지 1.0g/m2의 유효성분으로 도포된 아크릴계 수지 도포층을 포함하는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공한다:
화학식 1
상기 식에서,
X는 C1-3알킬기이고, R은 킬레이트화 리간드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필름의 기재 필름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를 기재 수지로 한다.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는 방향족 디카복실산을 주성분으로 하는 산 성분과 알킬렌 글리콜을 주성분으로 하는 글리콜 성분을 중축합한 것이다. 방향족 디카복실산 성분의 구체적인 예로는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 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 나프탈렌디카복실산, 사이클로헥산디카복실산, 디페녹시에탄디카복실산, 디페닐디카복실산, 디페닐에테르디카복실산, 안트라센디카복실산 및 α,β-비스(2-클로로페녹시)에탄-4,4'-디카복실산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 중에서 특히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 및 테레프탈산이 바람직하다. 알킬렌 글리콜 성분의 구체적인 예로는 에틸렌 글리콜, 트리메틸렌 글리콜, 테트라메틸렌 글리콜, 펜타메틸렌 글리콜, 헥사메틸렌 글리콜, 헥실렌 글리콜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 중에서 특히 에틸렌 글리콜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는 70 중량% 이상이 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로 구성된 호모폴리에스테르이고, 30 중량% 이내에서는 디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네오펜틸 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p-크실렌 글리콜, 1,4-사이클로헥산디메탄올 및 5-나트륨 술포레졸신 등의 디올 화합물; 아디프산 및 5-나트륨 술포이소프탈산 등의 디카복실산; 및 트리멜리트산 및 피로멜리트산 등의 다관능 디카복실산 등의 공중합 성분과 공중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는 0.6 내지 1.0dl/g의 극한점도(35℃에서 오르토-클로로페놀 25㎖ 당 0.3g의 농도로 측정)를 가지며, 극한점도가 0.6dl/g 미만인 경우에는 필름의 강도를 만족할 만큼 높일 수 없어 연신시 파단이 빈발하여 생산성이 떨어지고, 1.0dl/g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용융점도가 매우 상승하여 압출압 상승 등 제막공정상의 어려움으로 후공정에서의 생산성이 크게 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에 입경이 큰 백색 무기입자와 입경이 작은 백색 무기입자를 첨가하여 은폐성, 저광택성과 같은 표면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입경이 작은 입자로는 0.1 내지 1.0μ의 이산화티탄을 사용하며, 1 내지 10 중량%의 범위로 사용한다. 이때, 평균입경이 0.1μ보다 작으면 분산성이 떨어지고 은폐성을 개선할 수 없으며, 1.0μ을 초과하면 압출시 필터압이 상승하고 필름의 백색도도 떨어진다. 또한, 사용량이 1 중량% 미만이 되면 은폐성을 부여해 줄 수 없으며, 10 중량%를 넘으면 광택도가 상승하고 연신시 파단의 원인이 된다.
또한, 입경이 큰 입자로는 5.0 내지 10.0μ의 백색 무기입자를 사용하는데, 이산화티탄, 실리카, 고령토, 정장석, 황화바륨 중에서 1종이상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1 내지 10 중량%의 범위로 사용한다. 이때, 평균입경이 5.0μ보다 작으면 표면광택도를 낮출 수 없으며, 10.0μ을 초과하면 압출시 필터압이 상승한다. 또한, 사용량이 1 중량% 미만이 되면 은폐성을 부여해 줄 수 없으며, 10 중량%를 넘으면 필름의 기계적 물성이 떨어지고 연신시 파단의 원인이 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르면, 고농도의 무기입자만을 폴리에스테르 수지에 첨가하는 경우 분산성이 떨어져 필름의 기계적 특성이 저하되므로, 폴리에스테르 수지에 하기 화학식 1의 티탄계 킬레이트 화합물을 첨가하여 필름의 기계적 특성이 저하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화학식 1
상기 식에서,
X는 C1-3알킬기이고, R은 킬레이트화 리간드이다.
상기 티탄계 킬레이트 화합물의 대표적인 예로는 티타늄 아세틸 아세토네이트, 티타늄 에틸 아세토아세테이트 및 트리에탄올아민 티타네이트 등을 들 수 있으며, 이 화합물은 폴리에스테르 수지내 첨가된 무기입자의 표면에 -OH기를 형성시켜 줌으로써 무기입자간의 분산성을 개선시켜 필름의 기계적 특성을 개선시킨다. 또한, 티탄계 킬레이트 화합물은 폴리에스테르 수지에 1 내지 5 중량%의 범위로 첨가되는데, 1 중량%보다 적게 사용하면 본 발명의 효과를 얻을 수 없고, 5 중량%보다 많이 사용하면 오히려 뭉침현상이 발생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폴리에스테르 수지와 백색 무기입자 또는 티탄계 킬레이트 화합물과의 혼합방식은 수지 중합반응시 무기입자 슬러리 또는 티탄계 킬레이트 화합물 슬러리를 각각 또는 혼합하여 첨가하는 방법도 가능하나, 컴파운딩 용융혼합 방식에 의해 상기 첨가제들을 포함하는 1차 고농도 폴리에스테르 혼합수지(칩)를 제조한 후 이 혼합수지를 동일한 조성의 기존 수지와 혼련, 재용융압출하여 연신시키는 방법이 수지 상호간의 분산성을 좋게 하고 제조된 필름의 물성균일도를 높이며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져오므로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용융혼합은 동방향이나 이방향의 2개의 회전축을 가진 컴파운더를 이용하여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수지 및 각각의 첨가제가 투입되는 부위의 온도는 250 내지 300℃, 용융혼합 공정이 끝나는 최종 부위의 온도는 260 내지 320℃ 범위내에서 이루어져야 하는데, 상기 온도보다 낮을 경우에는 미용융된 폴리에스테르 수지가 존재하게 되고, 고온인 경우에는 열분해되어 황색으로 변색하게 된다.
상기 무기입자 및 티탄계 킬레이트 화합물 이외에도 공지된 첨가제들, 예를 들면 제전제, 중축합촉매, 분산제, 정전인가제, 결정화촉진제, 기핵제 또는 블록킹 방지제 등을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내에서 폴리에스테르 수지에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첨가제들을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티이-다이(T-die)법 등에 의해 회전축의 회전속도와 토출량을 조절하여 토출되는 혼합수지의 온도가 270 내지 320℃가 되도록 용융압출한 후 용융압출된 시트를 냉각고화시킨다. 이어, 냉각고화된 미연신 시트를 90 내지 120℃ 범위내에서 종 및 횡방향으로 각각 순차적으로 2.5 내지 6.0 배 정도 연신시키는데, 본 발명에서는 종 방향으로의 연신이 끝나면 횡방향으로의 연신에 앞서 일축연신된 필름의 한면을 아크릴계 수지로 도포하여 인쇄적성을 개선시킨다.
본 발명에서 물에 용해시켜 수용액으로 사용하는 아크릴계 수지는 30 내지 100℃의 유리전이온도를 가지며, 메틸아크릴레이트, 에틸아크릴레이트, n-부틸아크릴레이트, 에틸메타크릴레이트, 이소-부틸메타크릴레이트, 2-히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히드록시프로필아크릴레이트, 아크릴아마이드,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스티렌, 비닐아세테이트 또는 그 유도체 등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단량체를 유화중합하여 얻을 수 있는데, 이들 중에서 경도가 우수하고 입자의 분산성 및 수지와의 접착력이 우수한, 작용기를 함유한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2-히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히드록시프로필아크릴레이트, 아크릴아마이드 및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등이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사용되는 아크릴계 수지의 평균분자량은 10,000 내지 300,000g/mol이 바람직하고, 20,000 내지 200,000g/mol이 더욱 바람직하다. 평균분자량이 10,000g/mol 미만이면 너무 딱딱해서 필름표면의 경도를 지나치게 높게 만들어 인쇄적성이 낮아지고, 300,000g/mol을 초과하면 마찰력이 커져서 이활성이 떨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사용되는 아크릴계 수지 수용액의 농도는 10 내지 50 중량%가 적합하며, 10 중량%보다 낮으면 코팅층을 두껍게 해야 하는 문제가 생기고, 50 중량%보다 높으면 필름간 블록킹 현상이 발생한다. 또한, 상기 아크릴계 수지는 필름 표면에 0.01 내지 1.0g/m2의 유효성분이 존재하도록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0.01g/m2보다 적으면 인쇄적성이 떨어지고, 1.0g/m2보다 많으면 장시간 건조가 요구되어 장치설비가 많이 들고 생산성도 떨어지고, 또한 필름의 후공정에서도 작업성에 영향을 미친다.
본 발명에서 사용가능한 도포 방식은 롤 코팅, 나이프 코팅, 압출 코팅, 스프레이 코팅, 커튼 코팅 등 다양한 방식이 모두 가능하나, 특히 롤 코팅이 공정성이나 작업성 측면에서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종방향으로 연신된 필름의 표면을 아크릴계 수지로 도포한 후 횡방향으로 연신함으로써 두께가 20 내지 350μ인 본 발명의 필름을 제조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제조된 본 발명의 필름은 은폐성, 저광택성과 같은 표면 특성, 인쇄적성 및 기계적 특성이 우수하여 각종 라벨, 광고지, 카드, 달력 등의 기재로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에 의거하여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한정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필름의 각종 성능 평가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1) 빛투과율
닛폰 세이미쓰 고가쿠사(일본)의 헤이즈미터(모델명: SEP-H)로 빛투과율을 측정하였다. 이때, 측정조건은 직경 25mm이고 산란각도 2.5。이었으며, 빛투과율이 낮은 제품이 은폐성이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2) 광택도
독일 라보트론사의 광택도 측정기(모델명: 4011)를 사용하여 측정각도 60。에서 흑색경을 기준으로 ASTM D523 방법에 따라 측정하였다.
(3) 파단 강도
인스트론사의 UTM(모델-4206)을 사용하여 실온 및 65%의 상대습도 조건하에서 길이 50mm, 폭 20mm, 두께 12μ의 필름을 200mm/cm의 속도로 인장하였다. 하중-신도의 차트를 작성하여 필름의 파단시 해당 강도를 구하였다.
(4) 인쇄적성
물 27 중량%, n-부탄올 10 중량%, 메틸셀로솔브 25 중량%, 메틸에틸케톤 10 중량%,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부티레이트 25 중량% 및 로다민비(염료) 3 중량%로 구성된 유성타입의 평가용 락카를 도포용 필름상에 와이어바 #18로 도포하여 건조기내에서 90℃×1분간 충분히 건조시킨 후, 크로스컷터를 사용하여 표면에 100개의 눈금을 그은 후 접착테이프를 붙여 박리시켰다. 이때 100개의 눈금중 박리되지 않은 잔여 눈금갯수를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100: 전혀 박리되지 않음(우수)
0 : 전부 박리됨(불량)
(5) 생산성
동일 조성으로 필름 생산시 파단나는 횟수로 생산성을 평가하였다.
3회/1일 이하: ○
3회/1일 이상: ×
실시예 1
테레프탈산과 에틸렌 글리콜을 1:2의 당량비로 혼합하고 반응시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단량체(비스-2-하이드록시에틸테레프탈레이트)를 생성한 후, 통상의 중축합촉매를 넣어 중축합반응을 완결시켜 극한점도 0.65dl/g의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수지의 일부에 평균입경 0.7μ의 이산화티탄 30 중량%와 트리에탄올아민 티타네이트 3 중량%를 넣어 고농도 마스터 칩을 만들고, 수지의 또다른 일부에 평균입경 8.0μ인 황화바륨 15 중량%와 트리에탄올아민 티타네이트 3 중량%를 넣어 고농도 마스터 칩을 각각 만들었다. 이때, 동방향의 2개의 회전축을 가진 컴파운더를 사용하였으며 첨가제가 투입되는 부위의 온도는 280℃, 용융혼합 공정이 끝나는 최종 부위의 온도는 285℃이었다. 이렇게 만들어진 마스터 칩을 동일한 극한 점도를 가진 잔여 수지와 특정 비율로 혼합하여, 최종 필름중량을 기준으로 평균입경 0.7μ의 이산화티탄 10 중량%, 8.0μ의 황화바륨 5 중량%, 및 트리에탄올아민 티타네이트 2 중량%가 되게 하였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혼합수지를 압출기를 통해 300℃의 조건으로 압출하여 5℃의 냉각롤에서 시트로 성형시킨 후, 105℃의 온도조건하에서 종방향으로 3배 연신시켜 일축연신된 필름을 제조하였다. 이 필름의 표면에, 이소프로필렌 알콜 15 중량% 및 물 75 중량%로 구성된 수용액에 스티렌 메타크릴레이트 15 중량%를 용해시킨 도포액을 리버스 롤 방식으로 도포하여 건조후 0.1g/m2의 고형유효성분이 존재하도록 하였다. 이어, 도포처리된 필름을 다시 140℃의 온도하에서 횡방향으로 3배 연신하고 150℃에서 열처리해줌으로써 최종적으로 50μ의 두께를 갖는 필름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필름의 성능 평가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2 내지 5 및 비교예 1 내지 5
기재 수지의 특성, 첨가제의 양 및 도포처리조건 등을 하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변화시키면서,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이축연신된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필름의 성능 평가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구분 PET 이산화티탄 백색 무기입자 킬레이트 화합물 도포처리 필름 물성
극한점도(dl/g) 입도(μ) 중량% 종류 입도(μ) 중량% 종류 중량% 수용액농도(중량%) 고형물(g/m2) 빛투과율(%) 광택도(%) 강도(kg/mm2) 인쇄적성 생산성
실시예 1 0.65 0.7 10 황화바륨 8 5 *** 2 15 0.1 0.9 32 20 100
2 0.68 0.5 9 이산화티탄 6 7 ** 3 24 0.1 0.8 30 19 100
3 0.72 0.6 10 고령토 5 4 * 1 31 0.3 0.7 28 21 100
4 0.65 0.8 8 정장석 9 8 ** 2 19 0.2 1.1 29 21 100
5 0.89 0.5 6 실리카 8 10 *** 5 35 0.5 1.3 33 20 100
비교예 1 0.49 0.7 13 실리카 7 3 * 2 15 0.2 1.1 35 13 85 ×
2 0.68 0.8 15 - - 0 *** 2 21 0.2 1.5 45 21 100
3 0.71 - 0 이산화티탄 8 12 * 3 19 0.3 1.7 47 16 100
4 0.68 0.6 9 실리카 9 12 - 0 22 0.2 0.9 23 13 100 ×
5 0.75 0.8 8 실리카 7 3 ** 2 0 0 0.8 26 20 75
*: 티타늄 아세틸 아세토네이트**: 티타늄 에틸 아세토아세테이트***: 트리에탄올아민 티타네이트
본 발명에 따른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상기 표 1에서 알 수 있듯이 빛투과율, 저광택도와 같은 표면 특성이 우수하고 기계적 특성 뿐만 아니라 인쇄적성까지 매우 양호하여 각종 라벨, 광고지, 카드, 달력 등의 기재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Claims (3)

  1. 0.6 내지 1.0dl/g의 극한점도를 갖는 폴리에스테르 수지에, 입경 0.1 내지 1.0μ의 이산화티탄과 입경 5.0 내지 10.0μ의 백색 무기입자 각각 1 내지 10 중량% 및 하기 화학식 1의 티탄계 킬레이트 화합물 1 내지 5 중량%가 첨가된 기재 필름, 및 상기 기재 필름의 한면위에 0.01 내지 1.0g/m2의 유효성분으로 도포된 아크릴계 수지 도포층을 포함하는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
    화학식 1
    상기 식에서,
    X는 C1-3알킬기이고, R은 킬레이트화 리간드(chelating ligand)이다.
  2. 제 1 항에 있어서,
    백색 무기입자가 이산화티탄, 실리카, 고령토, 정장석 및 황화바륨 중에서 1종 이상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
  3. 제 1 항에 있어서,
    아크릴계 수지의 평균분자량이 10,000 내지 300,000g/mol이고, 유리전이온도가 30 내지 1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
KR1019980043135A 1998-10-15 1998-10-15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 KR2000002587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3135A KR20000025873A (ko) 1998-10-15 1998-10-15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3135A KR20000025873A (ko) 1998-10-15 1998-10-15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5873A true KR20000025873A (ko) 2000-05-06

Family

ID=195541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43135A KR20000025873A (ko) 1998-10-15 1998-10-15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2587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0884B1 (ko) * 2002-06-15 2005-05-19 (주)국제라텍 자동라벨기용 이형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CN114805869A (zh) * 2021-01-29 2022-07-29 南亚塑胶工业股份有限公司 聚酯白膜及其制造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0884B1 (ko) * 2002-06-15 2005-05-19 (주)국제라텍 자동라벨기용 이형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CN114805869A (zh) * 2021-01-29 2022-07-29 南亚塑胶工业股份有限公司 聚酯白膜及其制造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00025873A (ko)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
KR100291985B1 (ko) 백색 고분자 필름의 제조방법
KR19990080116A (ko)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100296722B1 (ko) 폴리에스테르필름의제조방법
KR100193689B1 (ko) 고분자 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100252037B1 (ko)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100291986B1 (ko) 백색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방법
KR100280382B1 (ko) 유연성이우수한무연신폴리에스테르필름
KR100256555B1 (ko) 이활성 및 투명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시이트의 제조방법
KR100389297B1 (ko) 백색다공성폴리에스테르필름및그제조방법
KR100291984B1 (ko) 백색 고분자 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0135352B1 (ko) 폴리에스테르 필름
JP2004131546A (ja) 包装材料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KR100274180B1 (ko) 포장재용 폴리에스테르 필름
KR100439626B1 (ko) 2축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
JP3575552B2 (ja) ポリエステル系フィルム
KR100274320B1 (ko) 종이대용고분자필름
JP2728780B2 (ja) 粗面化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の製造法
KR100215025B1 (ko) 고투명 폴리에스테르 수지 시이트의 제조 방법
KR19990055064A (ko) 2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
KR0181688B1 (ko) 대전방지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방법
KR100264540B1 (ko) 무연신 폴리에스테르 쉬트의 제조방법
KR0159982B1 (ko) 고분자 필름의 제조방법
JP3019394B2 (ja) 空洞含有ポリエステルフイルム積層体
JPH08122969A (ja) 写真印画紙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