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50216B1 - 고내식성 수지피복 강관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고내식성 수지피복 강관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50216B1
KR100250216B1 KR1019950055013A KR19950055013A KR100250216B1 KR 100250216 B1 KR100250216 B1 KR 100250216B1 KR 1019950055013 A KR1019950055013 A KR 1019950055013A KR 19950055013 A KR19950055013 A KR 19950055013A KR 100250216 B1 KR100250216 B1 KR 1002502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pipe
thickness
corrosion resistance
resin
epox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550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43282A (ko
Inventor
박재현
노상걸
권영각
Original Assignee
이구택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신현준
재단법인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구택,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신현준, 재단법인포항산업과학연구원 filed Critical 이구택
Priority to KR10199500550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50216B1/ko
Publication of KR9700432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432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02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0216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4/00Coating by spra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e.g. by flame, plasma or electric discharge
    • C23C4/18After-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08Anti-corrosive paints
    • C09D5/082Anti-corrosive paints characterised by the anti-corrosive pigment
    • C09D5/086Organic or non-macromolecula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4/00Coating by spra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e.g. by flame, plasma or electric discharge
    • C23C4/04Coating by spra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e.g. by flame, plasma or electric discharge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material
    • C23C4/06Metallic material
    • C23C4/08Metallic material containing only metal elem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oating By Spraying Or Cast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연 혹은 아연-알루미늄 용융도금강관을 조관시 형성되는 용접비드부의 도막손상에 의한 내식성 저하를 개선하기 위해, 용접비드부에 용사를 한후, 고내식성 수지를 도포한 고내식성 수지피복강관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용융아연도금강관의 용접비드부에 아연, 아연-알루미늄등을 용사한 후 에폭시 아크릴계수지를 헝겊을 이용 드롭식에 의해 도포하되, 용사층의 두께가 3-20㎛이고, 에폭시 아크릴계수지의 두께가 0.8-7㎛가 되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고내식성 수지피복 강관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아연 혹은 아연-알루미늄 용융도금강관을 조관시 형성되는 용접비드부의 도막손상에 의한 내식성 저하를 개선하기 위해, 용접비드부에 용사를 한후, 고내식성 수지를 도포한 고내식성 수지피복 강관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금강관을 제조시 조관과정에서 용접비드부를 제거할 때에 발생되는 절삭부의 내식성 향상을 위해 용접부의 비드제거후 아연이나 아연-알루미늄, 혹은 알루미늄 등을 단층 혹은 이층으로 용사를 하고 유무기 복합수지를 도포하여 내식성을 향상시키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는 바, 용융도금강관의 용도가 다양해지고 사용환경도 날로 가혹해짐에 따라 보다 내식성이 우수한 용융도금강관이 요구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에서 언급된 것보다 내식성이 우수한 수지재료를 사용하여 고내식성 수지피복 용사강관을 제조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갖는 본 발명은 용융아연도금강관의 용접비드부에 아연, 아연-알루미늄 등을 용사한 후, 에폭시-아크릴계수지를 헝겁을 이용, 드롭식에 의해 도포하되 용사층의 두께는 3-20㎛이고, 에폭시-아크릴계 수지의 두께는 0.8-7㎛가 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에서는 용융도금강판을 조관후, 용접비드부를 제거한 뒤 아연, 아연-알루미늄합금, 알루미늄 등을 3-20㎛ 두께로 용사하고, 에폭시-아크릴계 + 콜로이달 실리카수용액의 유무기복합수지를 헝겊을 이용 드롭(drop)식에 의해 연속적으로 도포하는 방법에 의해 고내식성 수지피복 용사강관을 제조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비닐하우스용이나 전봉관 등에 사용되는 아연, 아연-알루미늄합금, 알루미늄 용융도금강관은 도금강대를 일정폭으로 절단후 조관라인에서 연속적으로 포밍을 하고 판재 모서리를 저항용접함으로서 만들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용접시 발생한 덧살(비드)은 제거되며, 이때 제거된 부위는 도금층이 없으므로 반드시 후처리가 필요하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직경 1.4㎜의 아연, 아연-알루미늄, 알루미늄재를 단층용사후 수지를 도포하였다.
한편 조관속도는 90m/min - 120m/min로 하였으며, 용사재의 공급은 주어진 열량하에서 충분히 용사와이어가 녹을 수 있는 속도인 400in/min의 속도로 공급하여 용사두께가 최대한 두껍게 되도록 하였다.
용사코팅의 두께는 용사조건이 일정하면 조관속도에 따라 달라지며, 본 발명에서 사용한 조관속도 범위에서 얻어질 수 있는 용사층의 두께는 3-20㎛ 범위로 조관속도가 빠를수록 용사층의 두께가 얇아지는데 조관속도가 120m/min 이상이면 생산성은 향상되나, 용사층의 두께가 3㎛이하로 되어 내식성 향상을 기대하기가 곤란하고, 조관속도를 90m/min 이하로 느리게 하면 두께는 향상되어 내식효과는 커지나 생산성이 저하되므로, 조관속도는 90m/min-120m/min로 하여야 한다.
용사거리는 2.5-3.5㎝가 적당하며 2.5㎝이하면, 용사부착이 제대로 안되고 3.5㎝이상이면, 용사각이 커져 용사층의 두께가 얇아지게 된다.
용사후 내식성 향상을 위해 사용한 수지는 에폭시-아크릴계에 콜로이달 실리카무기물을 첨가한 수용성 유무기 복합수지이며, 도포는 수지사용량을 절감할 수 있는 드롭식을 사용하여, 파이프용사층과 접촉하는 헝겊에 수지가 연속적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하였다.
적용 가능한 수지의 두께는 0.8-7㎛이며, 0.8㎛이하이면, 피막부착량이 균일하지 못하여 내식성이 저하되며, 반대로 수지부착량이 7㎛이상인 경우는 건조시간이 오래걸릴 뿐만 아니라 굽힘가공시 피막이 박리되어 내식성이 저하될 염려가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
[실시예]
도금부착량이 30㎛인 용융아연 도금강판을 절단후 직경 20㎜인 환봉을 제작하였으며, 조관속도 및 용접조건은 다음과 같다.
조관속도 : 100m/min
용사조건 : 용사거리 : 3㎝
아세틸렌 압력 : 1㎏/㎠
산소압력 : 2.0㎏/㎠
에어압력 : 4.0㎏/㎠
용사와이어 : 100Zn, Zn/Al(95/5), 100Al 각각 1.4ψ
플로우 메타 수치(l/m)
------------------
산소 : 35 아세틸렌 : 16
하기 표 1은 각각의 재료를 용사한 후, 에폭시-아크릴계 수지층을 도포한뒤, JISZ2371에 의거 실시한 염수분무시험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표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에폭시-아크릴계 수지를 이용시 종래의 아크릴계 수지나 비교예로 사용한 에틸렌-아크릴계수지, 에스테르-우레탄수지 보다는 내식성이 우수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용융도금강판의 용접비드부에 아연, 아연-알루미늄, 알류미늄을 3-20㎛ 두께로 용사후 에폭시-아크릴계 수지를 0.8-7㎛두께로 도포시 고내식성 수지피복 용사강관을 제조할 수 있다.

Claims (1)

  1. 용융아연도금강관의 용접비드부에 아연, 아연-알루미늄, 알루미늄 중 어느 하나를 용사한 후, 에폭시-아크릴계 수지를 헝겊을 이용 드롭식에 의해 도포하되, 용사층의 두께가 3-20㎛이고, 에폭시-아크릴계수지의 두께가 0.8-7㎛가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내식성 수지피복 강관의 제조방법.
KR1019950055013A 1995-12-22 1995-12-22 고내식성 수지피복 강관의 제조방법 KR1002502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55013A KR100250216B1 (ko) 1995-12-22 1995-12-22 고내식성 수지피복 강관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55013A KR100250216B1 (ko) 1995-12-22 1995-12-22 고내식성 수지피복 강관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3282A KR970043282A (ko) 1997-07-26
KR100250216B1 true KR100250216B1 (ko) 2000-04-01

Family

ID=194434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55013A KR100250216B1 (ko) 1995-12-22 1995-12-22 고내식성 수지피복 강관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5021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0188B1 (ko) * 2021-12-30 2022-10-05 세운산업 주식회사 결로 및 물고임 방지 기능을 구비한 밸브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6909B1 (ko) * 1998-12-29 2005-11-21 주식회사 포스코 피복파형강관용피복강판제조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80011368A (ko) * 1987-03-13 1988-10-28 야시로 아끼나리 고내식성 복층피복강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80011368A (ko) * 1987-03-13 1988-10-28 야시로 아끼나리 고내식성 복층피복강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0188B1 (ko) * 2021-12-30 2022-10-05 세운산업 주식회사 결로 및 물고임 방지 기능을 구비한 밸브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3282A (ko) 1997-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777571B2 (ja) アルミニウム−亜鉛−シリコン合金めっき被覆物及びその製造方法
US5421969A (en) Surface-treated steel sheet having improved weldability and plating properties,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US3393089A (en) Method of forming improved zinc-aluminum coating on ferrous surfaces
KR100250216B1 (ko) 고내식성 수지피복 강관의 제조방법
JPH01225761A (ja) 溶融金属めっき浴用部材
JPS6196077A (ja) 鋼製品及びその製造方法
US5251804A (en) Method for the continuous manufacture of metal-plated steel tubes by molten plating treatment
JP2828600B2 (ja) 電縫鋼管の表面補修方法及び装置
JPH0374144B2 (ko)
JPS6230867A (ja) 高耐食性表面処理鋼管
JPH0293053A (ja) 高耐蝕性溶融Zn−Mg系合金めっき鋼板の製造方法
JPS63134653A (ja) 耐食性および加工性にすぐれた合金めつき鋼材の製造法
US4548872A (en) Protection process of flat rolled steel sections by means of multi-layer electrolytic plating in particularly aggressive environments
JPH04160142A (ja) 溶融亜鉛系めっき鋼板とその製造方法
CA1241572A (en) Galvanizing procedure and galvanized product thereof
KR20010112968A (ko) 자동차 외판용 고선영 합금화 용융아연도금강판의 제조방법
JPS6047343B2 (ja) 乾式フラツクス法による合金化亜鉛めつき鋼板の製造方法
JPH09263964A (ja) 表面性状の優れた合金化溶融亜鉛めっき鋼板の製造方法
JPH05320931A (ja) 耐食性及び塗装性に優れた表面処理鋼材及びその製造方法
JPH07258895A (ja) プレス加工性および耐食性に優れた複層亜鉛系めっき鋼板
JPH05320951A (ja) アルミニウム板の表面改質方法
JPS6055593B2 (ja) ゼロスパングル溶融亜鉛合金メツキ鋼板の製造方法
JP2697485B2 (ja) 高耐食性合金化溶融亜鉛めっき鋼板の製造法
JP2000129456A (ja) 溶接性に優れた亜鉛系複合めっき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S6347355A (ja) 溶融亜鉛、アルミ二層メツキ鋼板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22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