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47103B1 - 잉크롤러장치와 잉크롤러장치를 구비한 넘버링머신 - Google Patents

잉크롤러장치와 잉크롤러장치를 구비한 넘버링머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47103B1
KR100247103B1 KR1019960017065A KR19960017065A KR100247103B1 KR 100247103 B1 KR100247103 B1 KR 100247103B1 KR 1019960017065 A KR1019960017065 A KR 1019960017065A KR 19960017065 A KR19960017065 A KR 19960017065A KR 100247103 B1 KR100247103 B1 KR 1002471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k roller
swing arm
character wheel
printing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170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00597A (ko
Inventor
카즈노스케 마키노
Original Assignee
카즈노스케 마키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카즈노스케 마키노 filed Critical 카즈노스케 마키노
Publication of KR9700005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05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71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710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KSTAMPS; STAMPING OR NUMBERING APPARATUS OR DEVICES
    • B41K1/00Portable hand-operated devices without means for supporting or locating the articles to be stamped, i.e. hand stamps; Inking devices or other accessories therefor
    • B41K1/08Portable hand-operated devices without means for supporting or locating the articles to be stamped, i.e. hand stamps; Inking devices or other accessories therefor with a flat stamping surface and changeable characters
    • B41K1/14Portable hand-operated devices without means for supporting or locating the articles to be stamped, i.e. hand stamps; Inking devices or other accessories therefor with a flat stamping surface and changeable characters having automatic means for changing type-characters
    • B41K1/16Number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KSTAMPS; STAMPING OR NUMBERING APPARATUS OR DEVICES
    • B41K1/00Portable hand-operated devices without means for supporting or locating the articles to be stamped, i.e. hand stamps; Inking devices or other accessories therefor
    • B41K1/36Details
    • B41K1/38Inking devices; Stamping surfaces
    • B41K1/40Inking devices operated by stamping movement
    • B41K1/42Inking devices operated by stamping movement with pads or rollers movable for inking

Landscapes

  • Inking, Control Or Cleaning Of Printing Machines (AREA)
  • Impression-Transfer Materials And Handling Thereof (AREA)

Abstract

손을 더럽히지 않으며 잉크롤러의 사용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잉크롤러의 용이한 착탈을 가능하게 하는 잉크롤러장치와 잉크롤러장치가 구비된 넘버링 머신.
넘버링머신은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넘버링몸체와, 넘버링 몸체에 합체하여 프린팅 위치와 원위치에서 상하로 이동가능한 문자휠유니트와, 리셋팅스프링의 스프링힘에 대하여 문자휠유니트가 눌러지는 작동손잡이를 구비한 작동수단과, 넘버링 몸체에 제공되고 작동손잡이가 눌려지게 스윙될 수 있는 스윙아암장치와, 스윙아암장치의 바닥부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된 카셋트형 잉크롤러장치로 이루어진다.
잉크롤러장치는 롤러고정프레임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된 잉크롤러를 가지며 문자휠유니트를 구성하는 프린팅 요소의 프린팅 표면과 접촉하기 위해 구른다.

Description

잉크롤러장치를 구비한 넘버링머신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넘버링 머신의 실시예의 정면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넘버링 머신의 실시예의 우측면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넘버링 머신의 실시예의 배면도.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넘버링 머신의 실시예의 수직단면도.
제5도는 프린팅 조건 아래서 본 발명에 따른 넘버링 머신을 보여주는 수직 단면도.
제6도는 본 발명에 따른 넘버링 머신의 작동수단을 잠그는 잠금레버의 상평면도.
제7도는 제6도에서의 잠금레버로 잠겨진 넘버링 머신을 보여주는 단면도.
제8도는 본 발명에 따른 넘버링 머신에 떨어지도록 장착된 카세트형 잉크롤러장치의 사시도.
제9도는 본 발명에 따른 넘버링 머신으로부터 분리하거나 붙여지는 잉크롤러를 보여주는 도면.
제10a도는 잉크롤러장치에서 제거된 잉크롤러의 예를 보여주는 측면도.
제10b도는 잉크롤러장치에 부착된 잉크롤러의 예를 보여주는 측면도.
제11도는 본 발명에 따른 넘버링 머신에 설치된 사용전의 문자휠유니트의 도면.
제12도는 본 발명에 따른 넘버링 머신에서 문자휠의 프린팅요소에 접촉이 시작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제13도는 잉크롤러가 본 발명에 따른 넘버링 머신에서의 문자휠의 프린팅요소를 위해 구르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제14도는 본 발명에 따른 넘버링 머신의 문자휠의 프린팅요소에의 잉크롤러 접촉이 끝나는 순간을 보여주는 도면.
제15도는 프린팅하는 본 발명에 따른 넘버링 머신을 보여주는 도면.
제16a도~제16d도는 제11도 내지 제14도까지에 상응하는 잉크롤러와 문자휠의 프린팅요소 사이의 위치관계를 보여주는 도면.
제17도는 본 발명에 따른 넘버링 머신에서 문자휠을 제공하는 프린팅요소 이동바의 동작을 보여주는 도면.
제18a도는 문자휠을 공급하기 위해 프린팅요소 이동바가 움직이기 바로 전의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제18b도는 공급동작이 완료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제19도는 본 발명에 따른 넘버링 머신의 또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개략도.
제20도는 프린팅 조건 아래서 제19도의 넘버링머신을 보여주는 도면.
제21도는 넘버링머신의 스윙팔 장치의 연결링크의 캠의 모양의 한 예를 보여주는 도면.
본 발명은 넘버링머신을 위한 잉크공급기로서 카세트형 잉크롤러장치에 관한 것이고 잉크롤러장치가 장착된 넘버링머신에 관한 것이다.
넘버링 머신은 사무실 문서의 프린트된 형태에 복수의 자리수를 프린트하기 위한 잉크공급기로서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전형적인 넘버링머신은 다이케스트 문자휠의 복수개의 숫자와 통합된 문자휠유니트를 가지고 있는 문자휠유니트가 거기에서 위아래로 움직이게 한 방식으로 프레임으로 구성된 넘버링본체에 설치된 문자휠유니트를 가지고 있다. 각 자리의 문자휠의 프린팅요소는 문자휠유니트의 수직운동으로 맞물려 있는 잉크패드로 잉크가 묻혀진다(일본 특허공개공보 No SHO 53-100017과 일본 실용신안공보 No SHO 60-17355를 참보).
문자휠유니트를 구비한 각 자리의 문자휠의 프린팅요소에 잉크를 공급하는 것은 그러나 잉크패트와 접하는 프린팅요소의 면적을 제한하고, 패드의 전체 표면의 효과적 사용을 못하게 한다. 결과적으로 오직 특별한 부분 즉 프린팅요소와 접하는 잉크패드의 중심부분만이 계속적으로 사용되어, 잉크패드의 접촉부분의 점증적 함몰이나 잉크패드의 짧은 사용 수명을 낳는다. 이것은 프린팅 요소의 프린팅표면에 잉크의 불균등한 공급을 가져오는 것 같고 차례로 잉크농도의 변화나 불균등한 잉크로 인한 더러워짐이나 읽을 수 없는 프린팅을 가져온다.
어떤 넘버링 머신은 일본 실용신안공보 No. SHO 55-96758과 같은 일본 실용신안공보 No. SHO 61-112965에 공개된 프레임으로 구성된 넘버링본체에 제공된 문자휠유니트의 수직운동과 맞물린 잉크롤러장치로 설치되어 있다.
종래의 잉크롤러 장치에서 잉크롤러가 스윙아암의 지지샤프트 주위로 흔들리도록 넘버링본체의 꼭대기에서 지지된 스윙아암의 자유단부에 직접고정된다.
넘버링 머신의 동작 손잡이가 눌려질때, 문자휠유니트의 각 자리의 문자휠은 잉크롤러에서 밀기 위해 잉크롤러와 접하고 그러므로 스윙아암의 지지샤프트 주위로 잉크롤러를 회전시킨다.
잉크롤러장치가 설치된 종래의 넘버링 머신은 문자휠유니트의 각자리의 문자휠이 직접 스윙아암의 지지샤프트 주위로 그것을 회전시키도록 잉크롤러를 직접 밀어주도록 고안된다. 이 고안은 잉크롤러의 회전이 부드럽지 않게 되고 문자휠에 사용되는 압착력이 잉크롤러 회전의 초기단계에서 보다 크게 되려 한다는 점에서 불리한 점이 있다. 게다가 각 자리수의 문자 휠에 사용된 압착력은 잉크롤러의 회전시 균일하지 않다. 이것은 어쩔수 없이 각 자리의 문자휠의 프린팅요소에 불균등한 잉크의 사용과 잉크공급의 불균등함을 일으키고 가능한 읽을 수 없이 찍힌 문자로 매끈한 프린팅은 얻기가 힘들게 된다.
또한 종래의 넘버링 머신에서 잉크롤러장치의 잉크롤러는 스윙아암의 자유단부에 공급되고, 구르고 눌려지도록 문자휠유니트의 각문자휠과 직접 접하게 된다. 문자휠유니트를 구성하는 각 문자휠의 프린팅 요소에 잉크의 균등하고 균일한 공급을 확증하기 위한 어떠한 구조도 공개되지 않았다.
무엇보다 종래의 넘버링 머신에서 잉크롤러는 스윙아암의 자유단부에 직접 설치되고 잉크롤러장치는 분리되지 않는다. 이것은 잉크롤러가 교체될때 부드럽고 빠르게 잉크롤러를 착탈하기가 어렵다.
종래의 어떤 잉크롤러장치에서 잉크롤러는 스윙아암의 자유단부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러나 스윙아암 그 자체를 떼어내기는 어렵다. 그러므로 잉크롤러를 교체할 때 스윙아암으로부터 떼어내거나 수윙아암에 붙이는 것이 어렵고 잉크롤러는 그것을 교체하는 사람손의 더럽힘 없이는 빠르고 쉽게 교체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손을 더럽힘 없이 잉크롤러의 쉽고 부드러운 교체를 하도록 잉크롤러장치를 구비한 넘버링 머신과 잉크롤러 장치를 제공하며 잉크롤러의 사용수명을 연장하도록 한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깨끗한 프린팅을 보장하도록 한 문자 휠기기를 구비한 각 자리의 문자휠의 프린팅요소에 균일한 잉크를 공급하는 것을 가능케 한 잉크롤러장치가 설치된 넘버링 머신과 잉크롤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잉크롤러장치 자체를 떼어내도록 한 카세트형 잉크롤러장치를 사용하는 넘버링머신을 제공하는 것이고 잉크롤러는 또한 잉크롤러 장치로 부터 착탈가능하게 만들어 잉크롤러가 부드럽고 쉽게 교체되게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문자휠유니트를 구비하는 각 자리의 문자휠을 쉽고 부드럽게 조절하도록 한 넘버링 머신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각 문자휠의 프린팅 표면에 잉크롤러가 접히고 누르는 것을 확산함으로 잉크 밀도의 변화나 불균일한 잉크 묻힘을 제거할 수 있는 넘버링 머신을 제공하는 것이고 그것은 동시에 균일한 압력을 제공하여 정확하고 깨끗한 프린팅을 허용하는 문자 휠장치를 구축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많은 양의 잉크를 잉크롤러에 스며들게할 수 있고 롤러의 표면에 모세관 현상을 이용하거나 탄성 리셋팅(resetting) 힘을 이용하여 적당한 잉크가 스며나오게 할 수 있도록 하여 긴수명을 유지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이러한 다른 목적은 일면에서 작동손잡이가 구비되고 한쌍의 연동홈을 가진 롤러고정프레임과, 한쌍의 연동 홈에 회전가능하고 착탈가능하게 고정된 잉크롤러, 그리고 잉크롤러의 양쪽 수직 단에 설치되며 롤러의 직경보다 큰직경을 가지고 있는 가이드 다스크로 이루어진 잉크롤러장치를 제공함으로 달성되는데 여기서 롤러고정 프레임은 고정프레임의 고정을 위해 탄성유지부가 구비된다. 그런데 프레임을 고정하고 있는 롤러는 고정프레임을 고정하기 위해 탄성 유지면이 제공되어 있다.
이러한 배열로서 작동 핸들이 설치된 롤러고정프레임에 형성된 한쌍의 연동홈은 잉크롤러가 구르고 붙여지고 떨어지도록 한다. 그래서 잉크롤러는 쉽고 빠르게 교체 위치에서 붙이거나 떨어질 수 있다.
게다가, 각각의 가이드디스크는 롤러의 지름보다 큰 지름을 가지고 있고 잉크롤러의 양끝쪽에 구비되는데 잉크롤러의 롤링 표면이 그 주위의 어떠한 것과 접하거나 더렵혀지는 것으로부터 보호된다. 이러한 특징은 롤러를 고정할 필요 없이 잉크롤러를 대체할 수 있게 해 잉크롤러가 손의 더럽힘 없이 효과적으로 착탈가능하다.
이러한 면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로 잉크롤러 장치의 잉크롤러는 잉크가 스며드는 그리고 롤러샤프트에 장착되는 오픈셀 탄성 스폰지롤러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배열로, 잉크가 스며든 오픈셀 탄성 스폰지 롤러는 잉크롤러를 구축하기 위한 롤러샤프트에 장착되고 잉크롤러에 많은 양의 잉크를 스며들게 한다. 잉크롤러는 문자휠의 프린팅 요소로 눌러지고 구르며 그것과 접한다. 그래서 새로운 롤러표면 지역이 항상 프린팅 요소를 접한다. 덧붙여 전체롤러 표면은 효과적으로 실체로 프린팅 요소와 접하여 잉크롤러의 수명을 연장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프린팅 위치와 기본위치 사이에 위아래로 움직이도록 하기 위해, 몸체에 합체하는 문자휠유니트와 프레임을 구비한 넘버링몸체와, 문자회전기기가 작동수단에 배치된 리셋팅 스프링의 스프링힘에 대해 눌려지도록 하는 작동 손잡이가 장착된 작동수단, 작동손잡이가 눌려질때 스윙되는 넘버링몸체에 제공된 스윙아암장치, 그리고 스윙아암장치의 바닥부분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된 카세트형 잉크롤러장치를 구비한 넘버링 머신이 제공되는데 잉크가 프린팅 표면에 적용되도록 문자 휠기기를 구축한 프린팅 요소의 프린팅표면에 접하도록 잉크롤러가 구르고 잉크롤러 장치는 롤러고정프레임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잉크롤러를 가지고 있다.
이 장치로 작동 손잡이가 눌러지면서 스윙될 수 있는 스윙아암장치은 넘버링몸체에 제공되고 카세트형 잉크롤러장치는 스윙아암장치의 바닥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된다. 그러므로 잉크롤러장치는 쉽고 빠르게 장· 탈착을 할 수 있다. 게다가 잉크롤러장치의 잉크롤러는 롤러고정 프레임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기 때문에 잉크롤러장치는 편리한 장소에서 잉크롤러를 대체하기 위해 넘버링 머신으로 부터 제거될 수 있다. 이것은 잉크고정프레임으로 부터나 거기에 잉크롤러의 제거나 설치를 쉽고 부드럽게 할 수 있다.
덧붙여, 넘버링 머신으로 프린팅할때 스윙아암장치의 바닥부분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된 잉크롤러장치는 잉크롤러를 문자휠유니트의 프린팅요소와 접하도록 하거나 구르게 해서 새로운 롤러표면 점들이 차례로 일정하게 프린팅 요소와 접하게 된다. 이 특징은 잉크롤러의 전체 롤러표면의 효율적 사용을 보증하여 롤러의 수명을 연장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형태에서 넘버링 머신은 스윙아암장치가 넘버링 몸체의 윗부분에 수평지지샤프트 주위에서 스윙하도록 지지된 수윙아암장치으로 장착되 있고, 스윙아암은 문자휠유니트의 연동 돌출부가 캠 표면과 접하도록 중간부분에 경사진 캠표면을 가진다. 스윙아암의 캠표면은 스윙아암장치의 초기 작동을 촉발한다. 캠표면의 궤적은 프린팅요소의 프린팅표면과 접하도록 구르는 잉크롤러의 접촉면적이 거의 일정하게 머물도록 고안된다.
스윙아암장치은 문자휠유니트에 의해 지지된 연결링크와 넘버링 몸체의 윗부분에 수평지지샤프트 주위로 스윙하도록 지지된 스윙아암을 가지고 장치돼 있는데, 연결링크의 자유단과 스윙아암은 스윙아암과 연결링크중 한쪽의 연동핀과 그것들중 다른쪽의 캠구멍의 맞물림으로 연결되어 초기동작을 촉발하기 위한 캠링크 장치를 구성한다. 그리고 캠구멍의 모양은 프린팅요소의 프린팅 표면과 접하도록 구르는 잉크롤러의 거의 일정한 접촉면적을 보증하도록 형성된다.
이 장치에서, 스윙아암에 형성된 캠표면에 형성된 문자휠유니트를 위한 연동 돌출부는, 문자휠유니트가 아래로 움직이고 스윙아암장치가 움직일때 스윙아암의 부드러운 동작을 보증하도록, 스윙아암장치의 초기동작의 촉발됨을 확실히 한다. 또한 동시에 스윙아암의 이동은 구르고 프린팅 요소와 굴러서 접하는 잉크롤러의 접촉면적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캠표면의 궤적에 의해 제어된다. 이 특징은 잉크롤러의 일정한 접촉면적을(엄격히 말하면 잉크롤러와 프린팅요소 사이의 접촉면적) 프린팅 요소의 전체 표면에 걸쳐 유지하는 것을 가능케 한다. 그러므로 프린팅 요소에 잉크의 일정한 공급을 보증한다.
스위아암 장치에 관해 캠표면을 지닌 스윙아암을 구비하는 대신 연결링크의 자유단과 스윙아암은 연동 핀과 바람직한 모양의 캠구멍을 사용하여 연결된다. 이것은 프린팅 요소 전지역에 걸쳐 잉크롤러의 고정된 접촉면적을 유지하는 것을 가능케하므로 프린팅요소에 잉크의 일정한 공급을 보증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형태로서 넘버링 머신은 가이드홈이 문자휠유니트의 각 문자 휠에 대면하기 위해 넘버링본체의 바닥면에 형성된 프린팅창의 한쪽면 위에 빗모양 가이드홈을 가진다. 프린팅 창의 다른쪽은 프린팅요소 이동바의 끝단부와 맞물릴 수 있도록 스톱퍼로 형성된다. 그리고 프린팅요소 이동바의 축방향의 가이드 돌출부는 가이드홈의 하나에 미끄러지며 연동된다.
이 장치에서 프린팅요소 이동바의 끝단부가 문자휠의 프린팅요소의 측면과 연동되는 동안, 프린팅요소 이동바의 축방향의 가이드 돌출부가 가이드홈과 연동할 수 있는데 그것은 빗모양 가이드홈 중 선택되어져 미끄러진다. 이것은 문자휠의 프린팅요소의 프린팅 표면을 보호하며 동시에 자리수 하나를 이동시키는 것이 쉬워서 각 자리수의 문자바퀴의 쉽고 빠른 공급을 허용한다.
본 발명의 특징은 부가도면을 이용 더욱 상세히 기술될 것이다.
제1도 내지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넘버링 머신의 첫번째 실시예에서 각기 정면도, 우측면도, 배면도, 수직 단면도이다. 넘버링 머신은 사무실로서 같은 인쇄문서에 숫자를 찍는 프린팅장치이다. 전체 넘버링머신은 10으로 표시되어졌다. 넘버링머신(10)은 7자리수를 찍고 예로 67mm 폭 143mm 높이 40mm 깊이 이다.
넘버링 머신(10)은 프레임으로 구성된 넘버링몸체, 넘버링몸체(11)에 함께 동작하여 프린팅 위치에서 기본위치 사이를 위 아래로 움직일 수 있는 문자 휠기기(12), 리셋팅 스프링(13)의 스프링 힘에 대해 문자휠유니트(12)를 누르는 작동 손잡이(14)가 구비된 작동수단, 작동 손잡이가 눌러지면서 스윙될 수 있는 스윙아암장치(16), 스윙아암장치(16)의 바닥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된 카세트형 잉크롤러기기(17)과 문자휠유니트(12)가 얼마나 많이 프린트해야 하는지를 선택하기 위한 프린팅횟수 선택기(18)을 가지고 있다.
넘버링몸체(11)은 보강측판(20)을 구비한 문형상 프레임(21)과 문형상 프레임(21)의 바닥끝에 조여진 바닥판(22)로 구비되어 있는데 문형상 프레임(21)과 바닥평판(22)가 일체로 조립된다. 넘버링몸체(11)의 보강측판(20)의 반대안쪽은 문자 휠기기(12)의 수직움직임을 인도하기 위한 승강 가이드홈(23)을 구비한다. 문자휠유니트(12)의 문자휠샤프트(25)의 양단은 수직움직임을 인도하기 위해 상승 가이드홈(23)과 미끄러지며 연동한다. 보강측판(20)은 문형성 프레임(21)에 고정된다. 그러나 일체의 몰딩으로 선택적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제4도에서 처럼 문자휠유니트(12)는 문형상프레임으로 구성된 문자휠 홀더(26), 샤프트 위치 디스크(27)(제11도에서 15도)로 위치되어진 문자휠샤프트(25), 문자회전샤프트(25)에 회전되도록 장착된 그리고 서로의 꼭대기의 겹쳐 있는 복수개의 문자휠디스크(28), 그리고 문자휠 디스크(28)의 측면에 고정된 래치디스크(ratchet disc, 29), 문자휠디스크 외주에 장착된 플랙시블 환상문자 휠밴드(30)를 가지고 있다. 문자휠밴드(30)은 잉크와 친화성이 있는 플라스틱이나 고무 같은 수지물질의 일체의 몰딩으로 만들어진다. 예를 들어 10개 프린팅 요소(31)은 고정된 구간에서 끊어짐 없이 끝없이 배치된다. 각 프린팅요소(31)은 숫자, 심볼, 문자등의 프린팅 표면을 가지는 프린팅 단면으로 구비되어 있다.
문자휠(33)은 문자휠디스크(28)의 원주 주위에 문자 휠밴드(30)을 고정하여 구축된다. 연동돌출부(34)는 문자휠밴드(30)의 각 프린팅요소(31)의 배면에 제공되고 연동돌출부(34)는 원주방향의 상대적 이동을 일으킴 없이 문자휠디스크(28)에 문자휠밴드(30)을 고정하기 위해 문자휠디스크(28)의 원주표면에 형성된 연동홈(35)와 연동한다.
참조번호(37)은 반대 방향으로 문자휠(33)가 들어가는 것을 막기 위한 역회전방지 요소를 나타낸다. 역회전방지요소(37)은 공급되는 래치디스크 즉 반대방향으로 회전을 막아주기 위해 문자휠(33)을 누르는 문자바퀴(33)에 장착된 스프링(38)로 연결된 것과 맞물려 있다. 공급래치 디스크(29)는 문자휠디스크(28)와 일체로 몰드된다.
문자휠유니트(12)는 작동수단(15)를 수동동작하여 위아래로 움직여진다. 작동수단(15)는 문자휠유니트(12)의 문자휠 고정대(26)의 꼭대기에 고정된 작동 샤프트(40)과 작동샤프트(40)의 꼭대기에 나사로 조여진 작동손잡이(14)와 작동손잡이(14)를 초기 위치 즉, 기본위치로 재촉하는 리셋팅 스프링(13)을 가지고 있다. 작동샤프트(40)의 바닥끝은 문자휠고정대(26)에 고정된다. 작동 샤프트(40)은 넘버링몸체(11)의 꼭대기에 제공된 보호실린더(41)을 넘어 위로 뻗어 있고 작동 손잡이는 샤프트의 상부단위로 나사조입된다. 리셋팅 스프링(13)은 보호실린더(41)의 인접한 끝과 작동 손잡이(14)의 보스(14a)에 설치된 스프링슈(42) 사이에 장착된다. 그리고 그것은 항상 초기 위치에서 작동 손잡이를 재촉한다. 리셋팅 스프링(13)은 항상 작동 손잡이의 보호 슬리브(14b)와 보호실린더(41)에 의해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덮여진다.
리셋팅 스프링(13)의 스프링힘에 대해 작동손잡이(14)를 누르는 것은 문자휠유니트(12)를 작동손잡이(14)의 움직임에 반응하여 움직이도록 한다. 문자 휠기기(12)는 제5도에 보여진 것처럼 프린팅 위치에 도달할때까지 넘버링몸체(11)의 승강 가이드홈(23)으로 인도되어지며 아래로 움직인다. 작동 손잡이의 누름을 멈췄을때 문자휠유니트(12)는 프린팅위치에서 기본위치로 리셋팅스프링(13)의 스프링힘에 의해 제4도에 표시된 것처럼 뒤로 위로 움직인다.
작동수단(15)에서 작동샤프트(40)은 중간에 목부분을 가지고 목부분은 작동 샤프트(40)에 쇼울더(43)을 구비해 잠금레버(44)의 잠금부분(44a)이 쇼울더(43)와 맞물릴 수 있도록 한다.
작동레버(44)가 넘버링몸체(11)의 꼭대기에서 수직지지샤프트(45) 주위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실선으로 나타낸 잠금위치와 제6도에 나타난 파선으로 나타낸 풀려진위치 사이에서 스윙할 수 있다.
작동수단(15)의 작동샤프트(40)가 잠금레버(44)의 잠금작동에 의해 잠궈지면, 제7도에 나타난 것처럼, 스윙아암장치(16)가 열린채로 넘버링머신(10)이 잠궈진다. 그리고 잠금조건이 유지된다.
제4도, 제5도 및 제7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스윙아암장치(16)는 넘버링 몸체(11)의 후방에 위치되고, 넘버링 몸체(11)의 배면 상단부에서 스윙할 수 있는 수단으로서 제공되는 스윙아암(47)과 문자 휠기기(12)의 문자휠 고정대(26)의 후방의 양쪽측에서 스윙할 수 있는 또는 수단으로서 제공되는 한쌍의 연결링크(48)를 구비한다. 스윙아암(47)은 넘버링몸체(11)의 상단 배면부에 제공되는 수평지지샤프트(49) 둘레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일반적으로 스프링(50)에 의한 끌림으로 시계방향으로 움직여진다.
제4도, 제5도 및 제7도에 나타난 바와같이, 스윙아암(47)은 측면에서 보면 뒤집힌 "L" 모양으로 되고, 스윙아암(47)의 바닥부분도 연동핀(51) 및 슬롯(52)에 의해 연결링크(48)의 자유단부에 연결되어 있다. 예를 들어, 연동핀(51)이 스윙아암(47)에 제공되는데 반하여, 슬롯(52)은 연결링크(48)에 제공되어 스윙아암(47)에 스윙스트로크를 주도록 되어있다. 또한 연결링크(48)에 연동핀(51)을 제공하고 스윙아암(47)에 슬롯(52)을 제공할 수도 있다.
스윙아암장치(16)의 하부에는 카세트형 잉크롤러 장치(17)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다. 제8도에 나타난 바와같이, 잉크롤러 장치(17)는 프레임으로 이뤄진 롤러 고정프레임(54)과, 롤러 고정프레임(54)의 한쌍의 측면 가이드아암(55)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지지되는 잉크롤러(56)와, 잉크롤러(56)의 양측에 부착되는 가이드 디스크와 같은 측면 디스크(57)를 구비한다. 가이드 디스크(57)의 직경은 잉크롤러(56)의 직경보다 크고, 가이드 디스크(57)의 존재는 잉크롤러(56)의 부착이 행해질때 잉크롤러 근처에 있는 손이나 또는 물건이 더렵혀지는 것을 방지한다.
잉크롤러 장치(17)를 탈·부착하는 작동핸들(58) 및 탄성 유지부(59)은 잉크롤러(56)측으로부터 반대측으로 롤러고정프레임에서 돌출한다. 작동핸들(58) 및 탄성 유지부(59)는 롤러 고정프레임(54)과 일체로 몰드되거나 또는 구성된다.
탄성 유지부(59)에는 스윙아암장치(16)의 스윙아암(47)의 하부의 유지구멍(60)에 연동하는 유지후크(61)가 제공된다. 유지후크(61)과 스윙아암(47)의 유지구멍(60)의 맞물림으로 잉크롤러 장치(16)는 잠궈져 유지된다.
잉크롤러 장치(17)가 배면에서 스윙아암(47)의 바닥부로부터 이탈되거나 또는 설치되고 이때, 롤러 고정프레임(54)의 측면 가이드아암(55)이 가이드홈(62)에서 연동되어 미끄러짐으로써, 잉크롤러 장치(17)의 안전한 탈·부착이 보장된다.
잉크롤러 장치(17)이 잉크롤러(56)는 자연성기포, 합성고무, 플라스틱 또는 그외 기포성 수지재료로 만들어진 오픈셀 거품의 실린더형 스폰지롤러(63)를 사용한다. 스폰지 롤러(63)에는 샤프트 삽입구멍이 동심으로 형성된다. 스폰지롤러(63)는 롤러축(64)에 부착되어, 잉크롤러(56)를 구성한다. 가이드디스크(57) 사이에 스폰지롤러(63)를 고정시키는 방법으로 롤러샤프트(64)에 부착되고, 롤러샤프트(64)는 가이드 디스크(57)의 밖으로 돌출되어 돌출부 즉, 연동 돌출부(65a)가 롤러 고정프레임(54)의 측면 가이드아암(55)의 연동홈에 알맞게 되어 잉크롤러를 제자리에 안정하게 고정한다. 측면 가이드아암(55)의 연동홈(65)은 위쪽으로 개방된 V 또는 U모양의 노치(notch)로 되고, 잉크롤러는 V형 노치를 통해 탈·부착된다.
잠금레버(44)를 작동함으로써 잉크롤러(56)를 탈·부착시켜 제7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넘버링머신(10)을 잠금상태로 설정한다. 잉크롤러 장치(17)를 넘버링머신(10)의 스프링아암장치(16)에서 이탈시키기 위해서는 잉크롤러 장치(17)의 작동핸들 및 탄성 유지부(59)를 탄성 유지부(59)의 탄성고정력에 반대로 잡아 누름으로써, 유지후크(61)을 유지구멍(60)에서 이탈시켜 잉크롤러 장치(7)를 풀게된다.
풀어놓은 후에는, 제9도에 나타난 바와같이 잉크롤러 장치(17)가 당겨지고, 스윙아암(47)의 가이드홈(62)에 따라 안내되면서 잉크롤러 장치(17)의 롤러 고정프레임(54)을 부드럽게 당길 수 있다.
넘버링머신(10)에서 이탈된 잉크롤러 장치(17)의 잉크롤러(56)를 교환하기 위해서는, 측면 디스크(57)를 책상위와 같은 평평한 테이블(66)에 놓고 제10a도에 나타난 바와같이 롤러 고정프레임(54)을 아래로 누른다. 롤러 고정프레임(54)을 아래로 누르면 측면 가이드아암(55)의 연동홈(65)의 탄성 변형때문에 연동홈(65)에서 잉크롤러(56)의 롤러 샤프트(65)가 이탈되어 짐으로써, 잉크롤러(56)를 카세트형 잉크롤러 장치(17)에서 용이하게 탈착할 수 있게 된다. 가이드 디스크(57)는 롤러의 직경보다 크고 잉크롤러(56)의 양측에 부착되어, 잉크롤러의 표면이 평평한 테이블(66)을 더럽히지 않으면서 빠르고 용이하게 롤러 고정프레임(54)에서 잉크롤러(56)를 탈착시킬 수 있다.
제10b도는 새로운 잉크롤러(56)를 롤러 고정프레임(54)에 부착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이 경우에는 롤러 고정프레임(54)을 뒤집어서 롤러 고정프레임의 V형 연동홈(65)이 아래로 향하게 한다. 연동홈(65)을 아래로 향하게 해두고, 롤러 고정프레임(54)의 연동홈(65)을 잉크롤러(56)의 롤러샤프트(64)의 양단부에 접촉하도록 가져가서 롤러 고정프레임을 아래로 누른다. 상기에 의해 스폰지롤러(63), 롤러샤프트(64), 가이드 디스크(57)로 이뤄지는 잉크롤러(56)는 롤러 고정프레임(54)의 연동홈(65)의 탄성 변형때문에 손을 더럽히지 않고 빠르고 용이하게 부착될 수 있다. 잉크롤러는 일회용형 또는 잉크 재층전형 일 수 있다.
새로운 잉크롤러(56)가 부착된 잉크롤러 장치(17)는 그 이탈순서의 역·순으로 넘버링머신(10)의 스윙아암장치(16)에 장착된다. 스윙아암(47)의 가이드홈(62)을 따라 삽입되는 잉크롤러 장치(17)가 기지정된 삽입지점에 도달되면, 탄성 유지부(59)의 유지후크(61)가 스윙아암(47)의 유지구멍(60)에 연동하여 잉크롤러 장치(17)를 잠금으로서 잉크롤러 장치의(17) 설치가 완료된다. 설치완료후에는 잠금레버(44)를 풀어서 넘버링머신(10)을 제7도에 나타난 잠금상태에서 제4도에 나타난 사용 대기상태로 설정한다.
잉크롤러(56)에 잉크는 스며들게 된다. 많은 양의 잉크를 잉크롤러에 스며들게 하기 위해서, 잉크롤러(56)를 구성하는 스폰지롤러(63)는 듬성듬성한 내면층과 조밀한 외면층을 가지도록 설계되어 있다. 특정 예로서, 내면층은 우수한 스폰지 개방셀 기포 즉, 저밀도 기포를 사용하는 반면에, 외면층은 보다 적은 스폰지 오픈셀 기포 즉, 고밀도 기포를 사용한다. 중간의 스폰지 기포가 내면층과 외면층 사이에 추가될 수도 있다. 스폰지롤러(63)는 다중층 또는 다중단계 설계로 할 수 있어서, 표면층은 고밀도의 구멍을 가지는 반면 내면층은 저밀도의 구멍을 가지거나 또는 구멍의 밀도를 고에서 저밀도로 연속적으로 다양하게 할 수 있다. 또 다른 경우는, 스폰지롤러(63)의 구멍이 스폰지롤러 전체에서 균일하게 존재하게 될 수도 있다.
참조번호 68은 넘버링 몸체(11)의 정면 상단부를 덮는 정면덮개를 나타낸다. 정면덮개(68)는 넘버링 몸체(11)의 게이트 모양 프레임(21)에 고정된 너클핀(Knukle pin)(69) 둘레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다. 프린팅 횟수 선택기(18)는 정면덮개(68)의 하부에 제공된다.
프린팅횟수 선택기(18)는 프린팅횟수를 설정하기 위해 유지후크(70)를 작동하여 프린팅횟수를 설정하는데 사용된다. 선택기(18)에 의해 선택된 횟수도 프린팅이 수행될때, 공급후크(71)가 문자 휠기기(12)의 공급 래치(29)와 연동하여 한번에 한 블럭씩 문자휠유니트(33)의 하나의 자리수의 프린팅요소(31)를 연속적으로 공급하도록 한다. 각 자리수의 문자휠은(33) 한 자리수의 특정한 문자휠(33)의 이동에 따라 회전하여 운반을 수행한다.
넘버링머신(10)에서 프린팅횟수 선택기(10)는 넘버링 몸체(11)의 정면측에 스윙아암장치(16)는 배면측에 위치된다. 하지만 스윙아암장치(16)와 프린팅횟수 선택기(10)의 위치관계는 뒤바뀔 수 있다.
스윙아암기구(16)는 스윙아암(47)의 중간에 경사 캠표면(73)에 있어서, 제11도에서 제15도에 나타난 바와같이 문자 휠기기(12)의 문자 휠고정대(26)에 형성된 연동돌출부(74)를 스위아암(47)의 캠표면(73)에 걸리도록 한다. 연동돌출부(74)는 그의 끝단부가 표면과 연동하여 아크 접촉하도록 형성된다.
연동돌출부(74)는 작동수단(16)을 작동함에 따라 위아래로 이동되는 문자 휠기기(12)에 제공되어, 캠 동작을 실시하도록 스윙아암장치(16)의 경사 캠표면(73)에 접촉하게 된다. 캠 동작은 제12도에 나타난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해 스윙아암장치(16)의 스윙아암(47)을 초기 작동하도록 한다. 게다가 캠표면(73)에 대하여 경사표면의 기울기와 길이로 이뤄지는 적당한 궤적을 설정함으로써, 잉크롤러(56)의 접촉면적을 즉, 잉크롤러(56)와 프린팅요소(31) 사이의 접촉지역을 문자 휠기기(12)의 프린팅요소(31), 방향으로 눌러서 잉크롤러(56)와 접촉되도록 하여 프린팅요소(31)에 어디에나 거의 균일하게 유지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제11도에 나타난 바와같이, 문자 휠기기(12)의 상승 스트로크 즉, 프린트 스트로크(S)가 제로이고 문자 휠기기(12)가 그의 원래 위치(기준면 0-0)에 있을 때는, 잉크롤러 장치(17)의 잉크롤러(56)가 제16a도에 나타난 바와같이 그것들 사이의 간격 d만큼 문자휠(33)의 프린팅요소(31)와 접촉하지 않는 상태로 유지된다. 잉크롤러(56)에는 예를 들어 11mm의 롤러 직경을 갖는 스폰지롤러(63)가 사용되며 롤러 샤프트(64)에 아주 정밀하게 동심원으로 장착된다.
잉크롤러(56)의 중심(0)은 예를 들어 문자휠(33)의 프린팅요소(31) 모서리를 지나 정면쪽으로 약 0.5mm 벗어난다. 게다가, 예를 들어 플레이에 따른 1mm의 간격이 스윙아암장치(16)의 캠표면(73)과 문자 휠기기(12)의 연동돌출부(어깨)(74)와의 사이에 있다.
제11도에 나타난 상태에서, 예를 들어 제12도에 나타난 바와같이 약 1mm정도의 스트로크(S1)를 내림으로써 작동 손잡이(14)가 내려지면, 문자 휠기기(12)의 연동돌출부(74)가 스윙아암(47)의 캠표면(73)과 접촉하게 되어 더 이상 간격이 존재하지 않게 된다. 이때, 문자 휠기기(12)의 연동돌출부(74)가 스윙아암(47)의 캠표면(73)을 가압하기 시작하여 스프링(50)의 스프링힘에 대한 스윙아암(47)의 초기 동작을 유발하게 된다.
이때, 문자휠(33)의 프린팅요소(31)가 잉크롤러 장치(17)의 잉크롤러(56)의 롤러 표면에 소정된 양 즉, 0.5mm로 눌러진다. 프린팅요소(31)에 의해 잉크롤러(56)가 소정된 양으로 눌러져 변형한다. 캠표면(73)의 캠표면 길이와 경사각으로 이루어지는 궤적이 변형된 양 d'(제16b도, 제16c도, 제16d도)로서 접촉지역이 거의 일정하게 되도록 확실하게 조절된다.
또한 작동손잡이(14)가 제12도에 나타난 상태에서 내려질때, 문자 휠기기(12)의 연동돌출부(74)가 스윙아암(47)의 캠표면(73)을 눌러서, 스윙아암(47)이 도면에서 그의 받침점으로 이용되는 수평지지샤프트(49)에 의해 시계 반대방향으로 스윙되도록 한다. 회전에 있어서 스윙아암(47)의 스윙은 잉크롤러(56)가 문자휠(33)의 프린팅요소(31)를 따라 회전하게 해서 프린팅요소(31)와 접촉하여 구르면서 제13도에 나타난 상태(내림 스트로크(S2)를 지나 제14도에 나타난 상태(내림스트로크(S3))에 도달한다.
이때 잉크롤러장치(17)의 잉크롤러(56)는 스윙아암(47)의 수평지지샤프트(49) 즉, 아암받침점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스윙각도는 스위아암(47)의 캠표면(73)에 의해 제어된다. 스윙아암(47)의 캠표면(73)은 예를들어, 문자휠(33)의 프린팅요소(31)가 잉크롤러(56)와 접촉하기 시작할때에서부터 (제12도 및 제16b도) 끝날때(제14도 및 제16d도)까지 잉크롤러(56)의 변형양 d'를 약 0.5mm로 유지한다.
잉크롤러(56)가 제13도에 나타난 지점을 지나 즉, 문자휠(33)의 프린팅요소(31)의 중심, 제14도에 나타난 접촉끝지점에 도달할때는 문자휠유니트(12)의 연동돌출부(74)가 스윙아암(47)의 캠표면(73)에서 이탈되는 반면, 한쌍의 연결링크(48)의 슬롯(52)의 상단 표면이 스윙아암(47)의 연동핀(51)을 누름으로써, 연결링크(48)가 스윙아암(47)을 밀어낸다. 이것은 잉크롤러(56)를 문자휠(33)의 프린팅요소에서 이탈시켜서 프린팅요소(31)와 더이상 접촉하지 않는 상태로 돌아가게하고, 또한 잉크롤러(56)의 롤러표면을 그의 스폰지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복원되도록 한다.
그후에, 연결링크(48)가 스윙아암(47)을 밀면서 잉크롤러(56)가 문자휠(33)의 프린팅요소(31)에서 빠르게 이탈되면, 문자휠유니트(12)가 프린팅스트로크(S), 예를들어 제15도에 나타난 약 22mm 정도의 프린팅수준으로 내려간다.
프린팅레벨에서, 문자휠유니트(12)의 문자휠(33)의 프린팅요소(31)는 넘버링몸체(11)의 하부플레이트(22)의 프린팅창(78)에서 돌출하여 프린팅표면이 사무실 서류등의 프린트되어질 문서에 접촉하게 됨으로써 프린팅를 실시한다.
넘버링머신(10)에 의해 프린팅 실시된 후에 작동손잡이(14)가 놓아지면 문자휠유니트(12)가 리셋팅 스프링(13)의 스프링힘에 의해 초기 지점즉, 원래지점으로 올려져서, 다음 넘버링 작동을 대비해서 대기상태로 설정된다.
잉크롤러(56)에서 프린팅요소(31)로 잉크를 바르기 위해 잉크롤러(56)를 가압상태에서 문자휠(33)의 프린팅요소(31)와 접촉하여 굴린다. 따라서, 잉크롤러(56)의 롤러표면이 문자휠(33)의 프린팅요소(31)에 접촉하여 가압되어 변형되어, 새로운 롤러표면 위치가 프린팅요소(31)에 접촉되어 프린팅요소(31)의 프린팅 표면으로 균일한 잉크의 적용을 보장하게 된다. 잉크롤러가 가압되어 변형되어지면, 잉크가 흘러나와 새로운 롤러표면위치가 차례로 프린팅외면에 접촉하여 전체롤러표면이 효과적으로 사용된다. 이것은 잉크밀도의 변화를 발생시키지 않으면서 잉크롤러(56)에 의한 잉크의 균일한 적용을 가능하게 하고, 또한 롤러의 사용수명을 연장한다.
잉크롤러(56)가 문자휠(33)의 프린팅요소(31)에 의해 가압되어 가압되어 변형된 잉크롤러(56)의 접촉지역(엄밀히 말하면, 잉크롤러(56)와 프린팅요소(31) 사이의 접촉지역)이 프린팅표면 전체에 거의 일정하게 유지되어서 잉크를 프린팅요소(31)로 전이 시킨다. 잉크의 전이후에는 잉크롤러의 롤러표면은 프린팅요소를 지나고 탄성복원력에 의해 원래위치로 리셋된다. 리셋팅될때, 잉크롤러(56)의 안쪽에 스며드는 잉크는 표면층으로 이동하고 또한, 잉크롤러(56)의 모세관 현상이 잉크를 롤러표면층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촉진하여 프린팅요소(31)로 잉크롤러(56)의 잉크공급을 항상 안정하게 지속시킬 수 있도록 한다.
넘버링머신(10)이 나타내는 예에서 잉크롤러장치(17)의 잉크롤러(56)가 문자휠(33)의 프린팅요소(31)의 롤접촉면에 다가갈때, 스윙아암(47)의 캠표면(73)은 잉크롤러(56)의 롤접촉면을 가이드한다. 또 다르게는 캠표면이 문자휠유니트(12)의 문자휠고정대(26)의 하부표면에 형성되어 잉크롤러(56)의 가이드 디스크(57)가 잉크롤러(56)를 문자휠(33)의 프린팅요소(31)의 롤접촉면으로 가도록 캠표면에 구르게 할 수도 있다. 또한 이것은 잉크롤러(56)의 균일한 접촉지역을 유지할 수 있게 한다.
이제, 넘버링 머신에서 문자휠유니트(12)의 공급작용을 설명할 것이다.
문자 휠기기(12)의 프린팅요소(31)는 제17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넘버링 몸체(11)의 하부플레이트(22)에 형성된 직사각형의 프린팅창(78) 및 프린팅요소 이동바(80)를 사용함으로써 공급된다.
넘버링 몸체(11)의 하부플레이트(22)은 직사각형 구멍으로 형성된다. 빗모양의 가이드홈(81)은 프린팅창(78)의 한측에 형성되고, 스톱퍼(82)가 프린팅요소이동바(80)의 끝단부에 연동될 수 있도록 그의 다른측에 제공된다. 각각의 가이드홈(81)은 문자휠유니트(12)의 문자휠(33)의 각자리수에 따른 위치에 제공된다.
제18a도 및 제18b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프린팅요소이동바(80)는 얇고 긴 작동바이며, 그의 끝단부는 프린팅요소의 인쇄표면에 걸리지 않도록 문자휠(33)의 프린팅요소(31)의 측면표면에 걸릴수 있는 단계 연동홈(84)으로 제공되어 프린팅표면을 보호한다. 프린팅요소 이동바(80)의 길이 방향으로는 프린팅요소이동바(80)의 연동홈(84)에서 부터 축가이드 돌출부(85)를 일체로 형성해서, 프린팅창(78)에 형성된 빗같은 가이드홈(81) 중의 하나에 선택적으로 미끄러져 연동되게 한다.
넘버링 머신(10)에 있어서, 문자휠(33)의 프린팅요소(31)를 공급하기 위해서는, 작동손잡이(14)를 내려 문자휠유니트(12)를 프린팅레벨로 이동시킬때, 제7도에 나타난 바와같이 잠금장치를 이루는 잠금레버(44)를 잠금위치로 돌려 잠궈진 상태로 만든다. 작동수단(15)의 작동샤프트(40) 잠금레버(44)에 의해 잠금되어 넘버링 머신(10)은 역변환된다.
넘버링머신(10)이 역변환된 후에, 프린팅요소 이동바(80)를 준비하여 이동바(80)의 끝단부의 연동홈(84)을 필요한 문자휠(33)의 프린팅요소(32)의 측면을 밀어서 선택된 가이드홈(81)의 프린팅요소 이동바(80)의 가이드 돌출부(85)를 걸게한다. 가이드홈(81)은 공급되어질 자리수의 문자휠(33)에 따른 위치에 지정되어 빗같은 가이드홈(81) 사이에 적당하게 선택된다.
프린팅요소 이동바(80)의 가이드 돌출부(85)를 선택된 가이드홈(81)에 걸은 후에, 가이드홈(81)에 의해 프린팅요소 이동바(80)를 가이드하여 이동바의 끝단부의 연동부가 프린팅창(78)의 반대측에 형성된 스톱퍼(82)에 접촉될때까지 민다. 프린팅요소 이동바(80)의 끝단부가 스톱퍼(82)에 닿으면, 문자휠(33)의 프린팅요소(31)가 1블럭씩 공급된다.
문자휠(33)의 프린팅요소(31)의 소망하는 숫자가 나올때까지 프린팅요소 이동바(80)에 의한 밀기동작을 반복한다. 문자휠(33)의 프린팅요소(31)의 각각의 숫자가 나오도록 같은 처리를 반복한다.
각각의 숫자의 프린팅요소(31) 공급을 완성한 상태에서 잠금레버(44)를 풀어진 상태로 돌려 해제위치로 설정한다. 잠금레버(44)를 해제위치로 설정했을때는 동작샤프트가(40) 리셋팅스프링(13)의 스프링힘에 의해 초기위치 즉, 원래위치로 복원시키게 잠금을 푼다. 이것은 문자 휠기기(12)를 원래위치에 고정시켜 다음동작을 위해 넘버링머신(10)을 대기상태로 설정한다.
본 발명에 의한 넘버링 머신의 또다른 실시예를 제19도 및 제20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 나타난 넘버링 머신(10A)에 있어서, 스윙아암장치(16A)의 스윙아암상의 캠표면을 형성하는 것 대신에, 자유단부를 캠구멍(87) 및 연동핀(88)에 의해 연결링크(48)에 링크결합한다. 스윙아암장치(16A)에 있어서, 연동핀(88)이 스윙아암(47)의 하부에 제공되고 연결링크(48)의 자유단부가 각도 브라켓(bracket) 또는 변형된 L같은 모양으로 된 캠구멍(87)에 제공되어 연동핀(88)을 캠구멍(87)에 걸어 캠링크장치를 이루도록 한다. 본 실시예의 나머지 구조는 제1실시예의 구조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참조번호가 제공되어 있고 그의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스윙아암장치(16A)의 스윙아암(47)은 캠구멍(87) 및 연동핀(88)에 의해 적당한 모양의 캠구멍(87)을 선택함으로서 연결링크(48)의 자유단부에 연결되어 캠링크기구를 구성하여, 문자휠유니트(12)의 하부 스트로크가 잉크롤러(56)의 스윙스트로크와 맞물리어 프린팅요소(31)의 표면의 전체에 프린팅요소(31)의 롤 접촉면(엄밀히 말하면, 잉크롤러(56)와 프린팅요소(31) 사이의 접촉지역)에 잉크롤러(56)의 접촉지역을 거의 일정하게 유지시킨다.
연결링크(48)의 캠구멍은 제21도에 나타난 모양을 하고 있다. 캠구멍(87)은 제21도의 축방향으로 확장한 슬롯(90)의 상단부를 따라 바깥쪽으로 경사진 경사구멍(91)으로 설계된다. 경사구멍(91)을 이루는 경사 표면 즉, 캠표면은 프린팅요소표면의 전체에 잉크롤러(56)와 각각의 문자바퀴(33)의 프린팅요소(31) 사이의 접촉지역의 캠동작이 일정하도록 확실하게 제공한다.
넘버링 머신(10A)은 문자휠유니트(12)의 연동돌출부나 또는 스윙아암(47)의 캠표면을 제공할 필요없이 잉크롤러(56)와 프린팅요소(31) 사이의 균일한 접촉면을 확실하게 한다.
제19도 및 제20도에 나타난 넘버링머신(10A)에서는 캠구멍(87)을 가진 연동핀(88) 및 연결링크(48)을 구비한 스위아암장치(16A)의 스위아암(47)의 예를 나타낸다. 하지만, 또 다르게는 연결링크(48)에 연동핀(88), 스윙아암(47)에 캠구멍(87)을 설치할 수도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카세트형 잉크롤러 장치는 작동핸들을 갖춘 롤러고정프레임에 한쌍의 연동홈을 갖는다. 연동홈은 잉크로러를 교환하는데 있어 편리한 장소에서 쉽고 빠르게 탈·부착시킬 수 있다.
또한, 롤러보다 큰 직경을 갖고 잉크롤러의 양옆에 제공된 가이드 디스크는 잉크롤러의 구르는 표면이 그 주위의 어떤것에 접촉하고 잉크롤러를 교환하면서 그 손을 더럽히는 것을 방지한다. 이런 모양은 잉크롤러가 롤러를 고정할 필요없이 교환할 수 있게 해서 쓴이나 그 주위의 어떤 것을 더럽히지 않고 효과적으로 탈·부착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잉크롤러장치의 잉크롤러는 잉크를 흡수하고 롤러샤프트에 장착되는 오픈셀탄성 스폰지 롤러로 이뤄진다. 이런 구성은 스폰지롤러가 잉크의 많은 량을 포함할 수 있게 한다. 잉크롤러가 문자휠의 프린팅요소에 의해 밀리면서 롤러 그들과 접촉하며, 새로운 롤러표면 지역이 모든 프린팅요소에 접촉한다. 게다가, 전체 롤러 표면이 프린팅요소에 효과적으로 그리고 능률적으로 접촉하여, 사용수명을 연장시킨다.
본 발명에 의한 넘버링 머신에서, 넘버링 몸체는 작동손잡이가 내려짐에 따라 스윙하여 카세트형 잉크롤러 장치가 스윙아암장치의 하부에서 탈착가능하게 제공되는 스윙아암장치로 되어있다. 그러므로, 잉크롤러 장치는 쉽고 빠르게 탈·부착할 수 있다. 게다가, 잉크롤러 장치가 롤러 고정프레임에 탈착가능하게 장착되기 때문에, 넘버링 머신에서 잉크롤러 장치를 탈착시킬 수 있어서 편리한 장소에서 잉크롤러를 교환할 수 있다. 또한 잉크롤러 장치에서, 잉크롤러는 롤러 고정 프레임에 탈착가능하게 장착됨으로써, 일하기 편리한 장소에서 아주 자유롭고, 쉽고 부드럽게 잉크롤러를 롤러고정프레임에 탈·부착할 수 있다. 게다가, 넘버링머신이 서류상에 숫자, 심볼, 문자등을 인쇄할때는, 스윙아암장치의 하부에서 탈착가능하게 유지되는 잉크롤러 장치의 잉크롤러가 문자 휠기기의 프린팅요소와 롤접촉면에 가까워져서 새로운 롤러표면 구역이 프린팅요소의 프린팅표면에 차례대로 접촉한다. 그러므로, 잉크롤러의 전체 표면이 효과적으로 사용되어 롤러의 사용수명이 연장된다.
또한, 문자휠유니트의 연동돌출부가 캠표면에 걸릴수 있도록 캠표면이 스윙아암장치의 스윙아암의 중앙에 형성된다. 상기 장치에서 문자휠유니트가 아래로 이동함에 따라 스윙아암장치가 이동하여, 스윙아암의 유연한 이동을 확실히 하기 위해 스윙아암장치의 초기작동이 일어난다. 또한, 동시에 스윙아암의 이동을 캠표면의 위치로 제어하여 프린팅요소를 구르고 접촉하는 잉크롤러의 접촉지역이 거의 일정해 질 수 있게 한다. 상기 특징은 프린팅요소의 전체 표면에 잉크롤러의 접촉지역(엄밀히 말하면 잉크롤러와 프린팅 요소사이의 접촉지역)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게 함으로서, 프린팅요소에 잉크의 균일한 적용을 확실하게 한다.
스윙아암장치에 있어서, 스윙아암의 캠표면을 제공하는 대신에, 스윙아암과 연결링크의 자유단부를 필요한 모양의 연동핀 및 캠구멍을 사용하여 연결한다. 또한 상기 장치는 프린팅요소의 전체에 잉크롤러의 접촉지역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음으로, 프린팅 요소에 잉크의 적용을 균일하고 안정하게 확실히 할 수 있다.
게다가, 본 발명에 의한 넘버링머신은 넘버링머신 몸체의 하부평판에 형성된 프린팅창의 한측에 빗모양의 가이드홈 및 프린팅요소 이동 바에 걸릴 수 있는 스톱퍼를 가진다. 그러므로 프린팅요소 이동 바의 끝단부가 문자휠의 프린팅요소에 걸려, 프린팅요소 이동바의 축가이드 돌출부가 그것을 빗모양의 가이드홈 사이에 선택되는 가이드홈에 연동됨으로서 미끄러질 수 있게 한다. 상기 장치는 문자휠의 프린팅요소를 한번에 한숫자씩 쉽게 공급하여 공급제어 즉, 각각의 숫자의 문자 휠의 문자부등이 쉽고 빠르게 이뤄질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Claims (4)

  1. 프레임구조를 가지는 넘버링몸체와; 연동돌출부 및 각 자리수를 위한 문자휠을 가지며, 상기 몸체와 일체로 되어 프린팅 위치와 원위치 사이에서 상하이동할 수 있는 문자휠유니트와; 리셋팅 스프링이 설치되고 작동손잡이가 배치되며, 상기 리셋팅 스프링힘에 대하여 상기 문자휠유니트를 누를 수 있는 작동수단과; 상기 넘버링몸체에 설치되어 작동손잡이가 눌릴 때 스윙할 수 있는 스윙아암장치와; 상기 스윙아암장치의 바닥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는 카세트형 잉크롤러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잉크롤러장치는, 롤러고정프레임과, 잉크롤러와, 가이드디스크와, 탄성유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롤러고정프레임은, 탄성체로 만들어지며 작동손잡이가 설치되고, 자신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대략 수직인 방향에 대략 V자형인 한쌍의 연동홈으로 형성되며, 상기 잉크롤러는 상기 연동홈에 회전 및 분리 가능하게 유지되는 롤러축을 가지며, 상기 가이드 디스크는, 상기 잉크롤러의 길이방향 양쪽에 설치되며, 각각의 지름이 롤러의 지름보다 크며, 롤러고정프레임의 작동손잡이와 일체로 형성되는 상기 탄성유지부는, 작동손잡이를 작동하여 상기 스윙아암기구와 결합하도록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넘버링머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넘버링몸체 상부의 수평지지샤프트와; 프린팅면을 가지며, 각 자리수를 위해 상기 문자휠에 각각 배치되는 프린팅요소를 포함하며; 상기 스위칭아암장치는 수평지지샤프트 둘레를 스윙할 수 있도록 지지되는 스윙아암을 포함하며, 상기 스윙아암은 그 중간부에 경사진 캠표면을 가져서, 문자휠유니트의 연동돌출부가 상기 경사진 캠표면과 접촉하며, 이 스윙아암의 경사진 캠면은 스윙아암장치의 초기작동을 촉발시키며, 상기 프린팅 요소의 프린팅표면과 접촉하여 구를 때의 상기 잉크롤러의 접촉면적이 대략 일정하게 되도록 설계된 궤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넘버링머신.
  3. 제1항에 있어서, 프린팅면을 가지며 각 자리수를 위해 각각 상기 문자휠에 배치되는 프린팅요소와; 상기 넘버링몸체 상부의 수평지지샤프트를 포함하며; 상기 스윙아암장치는 수평지지샤프트 주위를 스윙할 수 있게 지지되는 스윙아암과, 상기 문자휠유니트에 의해 지지되는 연결링크를 포함하며, 상기 스윙아암과 상기 연결링크의 자유단부는 연동핀 사이에서 연결되며, 상기 스윙아암 중 하나의 캠구멍 및 연결링크는 캠링크장치를 이루며, 상기 캠링크장치는 상기 스윙아암장치의 초기 작동을 촉발하고, 상기 캠구멍은, 상기 프린팅요소의 프린팅 표면과 접촉하여 구르는 상기 잉크롤러의 접촉면이 대략 일정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넘버링머신.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넘버링 몸체 근처에 형성되며 가이드 돌출부가 일체로 형성되는 프린팅요소 이동바를 포함하며; 넘버링 몸체의 바닥플레이트 내에 형성된 프린팅 창의 한쪽에 빗모양(comb-shaped)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홈은 상기 문자휠유니트의 각 자리수를 위한 문자휠에 대하여 맞대어 있고, 상기 프린팅창의 다른쪽은 프린팅요소 이동바의 끝단부와 연동하는 스톱퍼로 형성되며, 상기 프린팅요소 이동바의 축방향 내 가이드 돌출부가 상기 가이드홈내에서 미끄러지며 연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넘버링머신.
KR1019960017065A 1995-06-08 1996-05-20 잉크롤러장치와 잉크롤러장치를 구비한 넘버링머신 KR10024710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5-142148 1995-06-08
JP7142148A JP2804729B2 (ja) 1995-06-08 1995-06-08 インキローラ装置およびこのインキローラ装置を備えたナンバリングマシン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0597A KR970000597A (ko) 1997-01-21
KR100247103B1 true KR100247103B1 (ko) 2000-04-01

Family

ID=153084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17065A KR100247103B1 (ko) 1995-06-08 1996-05-20 잉크롤러장치와 잉크롤러장치를 구비한 넘버링머신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5771799A (ko)
EP (1) EP0747229B1 (ko)
JP (1) JP2804729B2 (ko)
KR (1) KR100247103B1 (ko)
CN (1) CN1081129C (ko)
DE (1) DE69618079T2 (ko)
HK (1) HK1013277A1 (ko)
TW (1) TW399526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66842B1 (en) * 1996-08-22 2004-07-27 Paxar Americas, Inc. Hand-held labeler
JP2010017890A (ja) * 2008-07-08 2010-01-28 Max Co Ltd 手動式印字装置
CN103386811B (zh) * 2013-08-05 2015-06-17 国家电网公司 简易编码印刷器
CN103612487A (zh) * 2013-11-27 2014-03-05 周兰荣 一种打样用油墨涂墨器
JP6225767B2 (ja) * 2014-03-14 2017-11-08 シヤチハタ株式会社 番号器
JP6225768B2 (ja) * 2014-03-14 2017-11-08 シヤチハタ株式会社 番号器
CN103978787B (zh) * 2014-05-29 2016-09-07 无锡双龙信息纸有限公司 一种票据补号机的自动上墨装置
CN107933124A (zh) * 2017-11-28 2018-04-20 重庆五冶建筑工程有限公司 一种数字打码器
CN110202993A (zh) * 2019-06-13 2019-09-06 优德精密工业(昆山)股份有限公司 一种刻印机构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4775C (de) * P. BÖHME in Brünn Neuerungen an Handdruck-Numerateuren mit selbstthätigem, senkrecht geführtem Zifferwerke und beweglicher Farbwalze
DE27942C (de) * H. THIELE & CO. in Berlin S., Alexandrinenstr. 98 Neuerung an selbstfärbenden Numerir- und Paginirmaschinen
GB322264A (en) * 1928-09-18 1929-12-05 Charles Sumner Du Belle Inking means for hand stamp machines and other printing machines
GB398754A (en) * 1933-03-29 1933-09-21 Carl Otto Robert Ludewigs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stamping devices
DE1020648B (de) * 1955-10-07 1957-12-12 Karl Fraenck Niederdrueckselbstfaerbestempel
BE614961A (fr) * 1962-03-12 1962-07-02 Edmond Prosper Nestor Gerard Perfectionnements aux numéroteurs, dateurs et autres.
GB1402725A (en) * 1971-06-23 1975-08-13 Monarch Marking Systems Inc Composite web of labels
US4274661A (en) * 1971-06-23 1981-06-23 Monarch Marking Systems, Inc. Composite web of pressure sensitive labels
US4216715A (en) * 1975-01-09 1980-08-12 Kabushiki Kaisha Sato Kenkyusho Cartridge-type ink supply device for labeling machines
US4044677A (en) * 1975-08-13 1977-08-30 Monarch Marking Systems, Inc. Inking mechanism
JPS5410873Y2 (ko) * 1976-06-15 1979-05-17
JPS5596758U (ko) * 1978-12-28 1980-07-04
JPS55124690A (en) * 1979-03-20 1980-09-25 Yoshihiko Yuasa Stamping device
JPS55153312U (ko) * 1979-04-18 1980-11-05
US4252060A (en) * 1979-04-23 1981-02-24 Monarch Marking Systems, Inc. Label printing apparatus
US4273046A (en) * 1979-06-18 1981-06-16 Kabushiki Kaisha Sato Kenkyusho Attaching mechanism for inking device of portable label printing machine or the like
US4274034A (en) * 1979-10-15 1981-06-16 C&D Enterprises Glow plug driver
US4323011A (en) * 1980-10-21 1982-04-06 Hamilton Joel A Actuating stamp with free-turning inking roller
JPS57169566U (ko) * 1981-04-20 1982-10-25
US4433624A (en) * 1982-02-17 1984-02-28 Monarch Marking Systems, Inc. Printing apparatus
JPS5928194A (ja) * 1982-08-06 1984-02-14 ヤマハ株式会社 ドラムヘツド
DE3688471T2 (de) * 1985-03-20 1993-12-09 Nec Corp Tastengegensprechsystem.
JPH0326663A (ja) * 1989-06-26 1991-02-05 Hitachi Cable Ltd 線状体の送出調整機構付ターンテーブル
ATA102290A (de) * 1990-05-07 1991-06-15 Just Gmbh Walter Selbstfaerbestempel
US5303648A (en) * 1993-02-08 1994-04-19 Shiny Shih Roller stamp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8332766A (ja) 1996-12-17
EP0747229A3 (en) 1998-01-07
CN1081129C (zh) 2002-03-20
EP0747229A2 (en) 1996-12-11
DE69618079D1 (de) 2002-01-31
TW399526U (en) 2000-07-21
HK1013277A1 (en) 1999-08-20
EP0747229B1 (en) 2001-12-19
JP2804729B2 (ja) 1998-09-30
US5771799A (en) 1998-06-30
CN1137975A (zh) 1996-12-18
DE69618079T2 (de) 2002-06-13
KR970000597A (ko) 1997-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668128B (zh) 印章、印臺和封閉罩
KR100247103B1 (ko) 잉크롤러장치와 잉크롤러장치를 구비한 넘버링머신
US4970954A (en) Self inking hand stamp
US20070272099A1 (en) Self-Inking Hand Stamp
TW201713511A (zh) 印章以及尤其作為用於印章的配件的模印單元
US20160067994A1 (en) Removable Die Plate for Self-Inking Stamps
CA1178844A (en) Apparatus for printing and applying pressure sensitive labels
US4153378A (en) Re-inking and ventilation control for inked ribbon cassette
CA1170222A (en) Manually-operated labeler
JPH0473175A (ja) プリンタ
JPH0546925Y2 (ko)
US973556A (en) Self-inking hand-stamp.
US3408931A (en) Portable ticket printer
GB1563210A (en) Mechanism for moving tape to be printed
US4632584A (en) Serial printer
JP3709519B2 (ja) 日付印具
US3630143A (en) Electrically operated marking device
US4027766A (en) Inking device for the type-carrier element of a calculating machine
US3782276A (en) Carriage locking arrangement for a manual printer
GB2031804A (en) Printing machines and labellers
US2904160A (en) Inking device for typewriting machines
US3013488A (en) Re-inking device
US4292894A (en) Constant printing pressure mechanisms for label printing machine
JPH0655536B2 (ja) プリンタのインクリボン案内装置
US4207816A (en) Constant printing pressure mechanisms for label printing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04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4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