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46270B1 - 후방홀더를 구비한 코넥터 - Google Patents

후방홀더를 구비한 코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46270B1
KR100246270B1 KR1019970001255A KR19970001255A KR100246270B1 KR 100246270 B1 KR100246270 B1 KR 100246270B1 KR 1019970001255 A KR1019970001255 A KR 1019970001255A KR 19970001255 A KR19970001255 A KR 19970001255A KR 100246270 B1 KR100246270 B1 KR 1002462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rear holder
connector
opening
attach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012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60581A (ko
Inventor
세이지 코우마츠
타큐야 키타무라
Original Assignee
야자키 야스히코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자키 야스히코,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야자키 야스히코
Publication of KR9700605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605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62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62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58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 H01R13/582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the cable being clamped between assembled parts of the housing
    • H01R13/5829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the cable being clamped between assembled parts of the housing the clamping part being flexibly or hingedly connected to the hou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13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코넥터는 후방홀더가 부착되기 전의 전선정렬작업을 하지않아도 되면서도 단자의 후방향 후퇴를 방지하는 기능을 확고하게 할 수 있으므로 코넥터 조립작업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코넥터에 따르면 전선이 코넥터하우징의 후방개구부로부터 외측으로 도출되고, 단자의 후방향 후퇴를 방지하기 위한 후방홀더가 후방개구부에 부착된다. 여기서 후방홀더는 전선 도출방향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미끄러지면서 후방개구부에 부착되며, 또한 후방흘러에는 분류벽이 형성되어 이 후방홀더의 미끄럼방향으로 뻗어있다. 그리고, 후방홀더가 후방개구부에 부착될 때 각 분류벽 사이로 후방개구부로부터 외측으로 도출되는 대응 전선들이 통과한다. 바람직하게는 코넥터에 있어서, 후방홀더가 후방개구부에 부착될 경우 분류벽은 단자수용챔버에 각각 끼워진 고무플러그의 후방단부와 접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후방홀더에는 전선을 굴곡하는 전선굴곡커버가 장착된다.

Description

후방홀더를 구비한 코넥터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코넥터의 부분절단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코넥터에 후방홀더가 부착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제3도는 제2도의 후방홀더에 관한 정면도.
제4도는 제1도의 코넥터에 후방홀더가 부착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제5도는 후방홀더를 구비한 종래의 코넥터에 관한 분해사시도.
제6도는 제5도의 코넥터가 조립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1 : 코넥터하우징 33 : 단자수용챔버
35 : 개구부 35a : 외벽부
37 : 전선 39 : 고무플러그
41 : 고정용돌기 43 : 후방홀더
45 : 삽입구 47 : 측면판
49 : 수용부 51 : 결합용홈
55 : 분류벽 57 : 간극
59 : 테이퍼부분 61 : 힌지부분
63 : 전선굴곡커버 65 : 전선출구
67 : 측벽 69 : 결함요부
71 : 코넥터
본 발명은 후방홀더를 구비하여 단자의 후방향 후퇴를 방지하는 코넥터에 관한 것이다.
후방향 후퇴를 방지하는 후방홀더를 구비한 형태의 코넥터는 이미 공지 되어 있다. 제5도는 이와같이 후방홀더를 구비한 종래의 코넥터에 관한 분해 사시도를 나타내고, 제6도는 제5도의 코넥터가 조립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코넥터하우징(1) 내에는 다수의 단자수용챔버(3)가 형성되어 이 코넥터하우징(1)의 후방으로 개방되어 있다. 또 코넥터하우징(1)의 후방단부에는 요부형태의 수용부(7)가 형성되어 후방홀더(9)를 수용한다.
후방홀더(9)는 일반적으로 빗살형으로서 2개의 전선통과용 삽입홈(11)을 가지고 있다. 이 후방홀더(9)는 얇은 힌지부분(13)에 의해 일체로 연결된 보호커버(15) 내에 수용될 수 있다. 이 보호커버(15)에는 결합용홈(17)이 형성 되어 수용부(7)에 형성된 결합편(19)과 함께 결합된 상태를 유지한다. 후방홀더(9)의 내측표면에는 가압용돌출부(21)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의 종래 코넥터(23)에 있어서, 전선(25)이 연결된 단자가 단자 수용챔버(3)에 각각 장착될 때 코넥터하우징(1)의 후방단부에서 외측으로 전선(25)이 도출된다. 이 전선(25)에 결합되는 방수용 고무플러그(27)는 단자수용챔버(3)에 삽입되어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후방홀더(9)가 수용부(7) 내에 배치된다. 이때, 전선(25)은 엉김을 제거하여 후방홀더(9)의 전선통과용 삽입홈(11)에 삽입되고, 결과적으로 외부로 도출된다. 이후 보호커버가 선회전하고, 결합편(19)은 각각 결합용홈(17)에 고정적으로 결합되며, 후방홀더(9)는 가압용돌출부(21)에 의해 가압되어 수용부(7)의 바닥면(7a)과 보호커버(15) 사이에 유지된다. 이와동시에 전선(25)은 보호커버(15)에 형성된 출구(15a)로부터 병렬로 평행하게 외측으로 도출된다.
이러한 구성의 코넥터(23)에 있어서, 전선(25)은 소정의 방향으로 절곡될 수 있으며, 바닥면(7a)과 보호커버(15) 사이에 유지된 후방홀더(9)는 단자 및 방수용 고무풀러그(27)가 후방으로 후퇴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 코넥터(23)에 있어서, 수용부(7)는 코넥터하우징(1)의 후방단부에 형성되며, 수용부(7)로부터 도출된 전선(25)이 대응 전선통과용 삽입홈(11)을 통과한 후 후방홀더(9)가 전선(25)을 따라 미끄러지면서 수용부(7)에 끼워진다. 따라서, 수용부(7)로부터 도출된 전선(25)에 엉김이 발생할 경우 먼저 이 엉긴 상태를 해소해야 하며, 이후 전선(25)을 질서있게 배치하고나서 대응 전선통과용 삽입홈(11)을 통과시킨다. 따라서, 후방홀더를 부착하는데 문제가 있으며, 결과적으로 작동효율을 저하시키게 된다.
이와같은 문제점을 기초로, 본 발명은 후방홀더의 부착 전에 전선정렬작업을 하지않을 수 있으면서도 단자의 후방향 후퇴를 방지하는 기능을 확고이하여 코넥터의 조립작업의 효율을 상승시킬 수 있는 코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코넥터에 따르면, 전선이 단자수용챔버에 수용되는 각 단자에 접속되어 코넥터하우징의 후방의 개구부로부터 외측으로 도출되고, 단자의 후방향 후퇴를 방지하기 위한 후방홀더가 후방의 개구부에 부착되며, 여기서 후방홀더는 전선 도출방향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미끄러지면서 후방의 개구부에 부착되고, 또한 후방홀더에는 분류벽이 형성되어 이 후방홀더의 미끄럼방향으로 뻗어있다. 그리고, 후방홀더가 후방의 개구부에 부착될 때 각 분류벽 사이로 후방의 개구부로부터 외측으로 도출되는 대응 전선들이 통과한다.
바람직하게는 코넥터에 있어서, 후방홀더가 후방의 개구부에 부착될 경우 분류벽은 단자수용챔버에 각각 끼워진 고무플러그의 후방단부와 접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후방홀더에는 힌지부분을 통해 전선굴곡커버가 장착 되고, 상기 후방홀더가 상기 개구부에 부착될 경우, 상기 전선굴곡커버는 이동하여 상기 개구부로부터 상기 전선 도출방향의 수직방향으로 상기 전선을 굴곡한다.
이러한 구성의 코넥터에 있어서, 각 단자수용챔버에는 단자 및 방수용고무플러그가 장착되고, 후방홀더가 전선의 도출방향으로 미끄러져 후방의 개구부에 부착될 경우 각 분류벽 사이에 각 단자수용챔버로부터 도출된 대응 전선이 통과하여 전선의 엉김을 방지하면서 전선 상호 간을 분리하며, 이와 동시에 각 전선을 분류벽 사이의 간극으로 안내하므로 전선이 질서있게 정렬된다.
코넥터에 있어서, 분류벽은 방수용 고무플러그의 후방단부에 각각 접하는 동시에 후방홀더가 후방의 개구부에 부착되므로 단자 및 방수용고무플러그가 단자수용챔버로부터 후방향으로 후퇴하는 것을 방지한다.
코넥터에 있어서, 전선굴곡커버는 후방홀더에 장착되며, 후방홀더가 후방의 개구부에 부착된 후 전선굴곡커버는 선회전하여 소정의 방향으로 전선을 굴곡하는 한편, 이 전선이 질서있게 정렬된 상태를 유지한다.
다음에, 본 발명에 따른 코넥터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코넥터에 관한 부분절단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코넥터에 관한 측면도로서, 후방홀더가 코넥터에 부착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제3도는 제2도의 후방홀더에 관한 정면도, 제4도는 제1도의 코넥터에 관한 측면도로서, 코넥터를 후방홀더에 부착한 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코넥터하우징(31)에 형성된 다수의 단자수용챔버(33)(제2도에 파선으로 나타냄)는 코넥터하우징(31)의 후방단부에 형성된 후방의 개구부(35)로 개방 되어 있다. 후방의 개구부(35)는 코넥터하우징(31)의 후방단부로부터 돌출하는 관형외벽부(35a)로 형성된다. 단자수용챔버(33)에는 전선(37)이 압착된 단자(도시하지 않음)가 각각 장착되고, 이 전선(37)은 후방의 개구부(35)로부터 단자 삽입-분리방향으로 도출된다. 또, 전선(37)에는 방수용 고무플러그(39)가 장착되어 단자수용챔버(33)에 끼워 짐으로써 전선과 단자수용챔버(33)의 내측면 사이에 방수용 밀봉이 형성된다. 이때 각 방수용고무플러그(39)는 대응 단자수용챔버(33)에 끼워지면서 이 수용챔버(33)로부터 약간 돌출된 상태가 된다(제2도참조). 후방의 개구부(35)의 외벽부(35a)에는 다수의 고정용돌기(41)가 형성되어 후방홀더 및 보호커버를 유지하는 작용을 하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후방의 개구부(35)의 외벽부(35a)에 부착되는 박스형의 후방홀더(43)는 그 바닥이 개방되어 있고, 그 일측 또한 개방되어 바닥의 개방부분과 연속하는 삽입구(45)를 형성한다. 제3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후방홀더(43)는 한쌍의 측면판(47)이 배치되며, 이 측면판 사이에 삽입구(45)가 배치된다. 또 이 측면판(47) 쌍 사이에는 후방의 개구부(35)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49)가 형성된다. 전선(37)의 도출방향에 대해 수직 방향(제2도의 화살표 a로 표시한 방향)으로 후방홀더(43)는 후방의 개구부(35)에 대해 미끄러지고, 측면판(47) 쌍 사이에는 후방의 개구부(35)의 외벽부(35a)간 수용되므로, 삽입구(45)를 통해서 수용부(49)에 후방의 개구부(35)가 수용된다.
2개의 측면판(47) 각각의 내 측면에는 결합용홈(51)이 형성되어 후방홀더(43)의 미끄럼 방향으로 연장되고, 이 결합용홈(51)은 외벽부(35a)의 외주면에 형성된 대응 고정용돌기(41)와 결합한다. 따라서, 고정용돌기(41)와 각각 결합된 결합용홈(51)을 포함하는 후방홀더(43)는 결합용홈(51)의 연장방향으로 미끄러지므로 후방의 개구부(35)로부터 멀어지는 것이 방지된다.
후방홀더(43)에 형성된 다수의 분류벽(55)은 미끄럼방향으로 연장되면서 한쌍의 측면판(47) 사이에서 상호 병렬로 위치하며, 인근하는 모든 2개의 분류벽(55) 사이에는 공간, 즉 간극(57)이 형성된다. 각 분류벽(55)은 그 끝부분으로 향하면서 폭이 점점 감소하는 테이퍼부분(59)을 포함한다. 후방홀더(43)가 후방의 개구부(35)에 미끄러지게 부착될 경우 테이퍼부분(59)은 후방의 개구부(35)로부터 도출되는 전선(37)의 무리가 통과하는 통로를 가압하여 이들 전선(37)을 각 간극(57)에 차례로 안내한다.
또한, 후방홀더(43)가 후방의 개구부(35)에 부착될 경우 단자수용챔버(33)로부터 약간씩 돌출하는 각 방수용 고무플러그(39)의 후방단부에 분류벽(55)이 접촉하여 방수용 고무플러그(39)가 단자수용챔버(33)로부터 후방으로 후퇴하는 것을 방지한다.
전선굴곡커버(63)는 얇은 힌지부분(61)을 통해 후방홀더(43)에 접속되며, 이 얇은 힌지부분(61)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전선굴곡커버(63) 측이 제거되어 전선출구(65)를 형성하게된다. 측벽(67) 쌍 각각의 내측표면에는 결합요부(69)가 형성되며, 이 측벽(67) 쌍 사이에 얇은 힌지부분(61)이 배치된다. 결합 요부(69)는 후방의 개구부(35)의 외벽부(35a)에 형성된 고정용돌기(41)와 각각 결합한다.
다음에, 이와같은 구성을 갖는 코넥터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단자 및 방수용 고무플러그(39)가 단자수용챔버(33)에 각각 장착된 상태에서 후방홀더(43)가 배선연장방향에 대해 수직으로 후방의 개방부(35)에 대해 미끄러질 경우 각 단자수용챔버(33)로부터 연장되는 전선(37) 사이에서 대응하여 각 분류벽(55)이 통과한다. 따라서 분류벽(55)은 전선의 무리를 통과하여 전선(37)의 엄김을 해소하며, 그 결과 전선(37)은 상호 차례로 분류된다. 이와 동시에 전선(37)은 테이퍼부분(59)을 통해 분류벽(55)으로 형성된 각 간극(57)에 안내되어 차례로 배열된다.
이때, 단자수용챔버(33)로부터 돌출하는 각 방수용 고무플러그(39)의 후방 단부가 분류벽(55)과 접촉하므로 단자 및 방수용고무플러그가 후방으로 후퇴 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전선굴곡커버(63)가 얇은 힌지부분(61)을 통해 폐쇄방향(제4도의 화살표b 방향)으로 선회전하고, 결함요부(69)가 고정용돌기(41)와 각각 결합하여 전선굴곡커버(63)를 후방의 개방부(35)에 고정시키고, 정렬된 전선(37)이 또한 절곡되어 전선굴곡커버(63)의 전선출구(65)로 소정의 방향을 따라 도출된다(제1도참조).
상기 코넥터(71)에 있어서, 후방홀더(43)는 전선(37)의 도출방향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미끄러져 코넥터하우징(31)에 부착되고, 미끄럼방향으로 연장 되는 병렬의 분류벽(55)이 후방홀더(43)에 형성된다. 따라서, 후방홀더(43)가 코넥터하우징(31)에 부착뭔 때와 동시에 분류벽(55)이 전선(7)의 엉김을 해소하여 차례로 전선(37)을 배열한다. 따라서, 후방홀더를 부착하기 전에 전선(37)의 엄김을 제거하기위한 힘든 작업을 행하지 않을 수 있다.
후방홀더(43)가 코넥터하우징(31)에 부착될 경우 분류벽(55)이 각 방수용 고무플러그(39)의 후방단부에 접하며, 그 결과 전선(37)이 차례로 정렬되는 것과 동시에 단자 및 방수용 고무플러그(39)가 후방으로 후퇴하는 것을 방지 한다.
전선굴곡커버(63)는 얇은 힌지부분(61)을 통해 후방홀더에 장착되므로 후방홀더(43)가 코넥터하우징에 부착된 후 전선굴곡커버(63)는 선회전하면서 결합요부(69) 및 고정용돌기(41)에 의해 후방의 개구부(35)에 고정되고, 각 단자수용챔버로부터 차례로 도출된 전선(37)이 이 전선도출방향에 수직방향으로 굴곡되어 차례로 정렬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상, 상세히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있어서는 후방홀더가 전선의 도출방향에 대해 수직으로 미끄러져 코넥터하우징에 부착되고, 미끄럼방향으로 도출된 병렬의 분류벽이 후방홀더에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후방홀더(43)가 코넥터하우징에 부착되는 것과 동시에 전선이 차례로 분류벽에 의해 정렬된다. 따라서 전선의 엉김을 해소하기 위한 힘든 작업을 생략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코넥터 조립작업의 효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코넥터에 있어서, 분류벽은 방수용 고무플러그의 후방단부에 각각 정하므로 후방홀더가 코넥터하우징에 부착될 경우 단자 및 방수용 고무플러그의 후방향 후퇴를 방지하는 한편 전선의 정렬을 동시에 할 수 있다.
이외에도 코넥터에 있어서, 후방홀더에 전선굴곡커버가 장착되어 후방홀더가 코넥터하우징에 부착된 후 전선굴곡커버가 선회전하며, 그 결과 각 단자수용챔버로부터 차례로 도출되는 전선이 정렬을 유지한 상태에서 소정의 방향으로 굴곡된다.

Claims (11)

  1. 코넥터하우징(31)과, 각 전선(37)이 연결되는 단자를 수용하며, 상기 하우징에 형성되는 단자 수용챔버(33)와, 상기 전선을 외측으로 도출시키기위해 상기 하우징에 형성되는 개구부(35)와, 상기 단자의 후방향 후퇴를 방지하는 한편, 상기 전선의 도출방향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미끄러지면서 상기 개구부(35)에 부착되는 후방홀더(43)와, 상기 후방홀더(43)에 형성되는 한편 이 후방홀더(43)의 미끄럼방향으로 형성된 분류벽(55)을 구비하며, 상기 후방홀더는 상기 개구부에 부착될 경우, 상기 각 분류벽 사이에는 상기 개구부(35)로부터 외측으로 도출되는 대응 전선(37)이 통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37)에는 고무플러그(39)가 부착되며, 이 고무플러그(39)는 상기 단자수용챔버(33)에 끼워져 상기 전선과 상기 단자수용챔버의 내측면 사이에서 방수용 밀봉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넥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홀더(43)는 상기 개구부(35)에 부착되며, 상기 분류벽(55)은 상기 단자수용챔버에 각각 끼워지는 상기 고무플러그의 후방단부에 대해 각각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넥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홀더에는 힌지부분(61)을 통해 전선굴곡커버(63)가 장착되고, 상기 후방홀더가 상기 개구부에 부착될 경우, 상기 전선굴곡커버는 이동하여 상기 개구부로부터 상기 전선 도출방향의 수직방향으로 상기 전선을 굴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넥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는 상기 하우징의 후방단부로터 돌출하는 외벽부(35a)를 가지며, 이 외벽부에는 다수의 고정용 돌기(41)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넥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굴곡커버의 한쌍의 측벽 내측면에는 결합요부(69)가 형성되고, 이들 측벽 사이에는 상기 힌지부분(6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넥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요부(69)는 상기 고정용 돌기(41)와 각각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넥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35)는 상기 하우징의 후방단부로부터 돌출하는 외벽부(35a)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넥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외벽부에는 다수의 고정용 돌기(41)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넥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홀더의 측면관(47)의 각 내 측면에는 대응 고정용돌기(41)와 결합하는 결합용 흠(51)이 형성되며, 이 결합용 흠(51)은 상기 후방홀더(43)의 미끄럼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넥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분류벽(55)은 테이퍼표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넥터.
KR1019970001255A 1996-01-22 1997-01-17 후방홀더를 구비한 코넥터 KR10024627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00842196A JP3180014B2 (ja) 1996-01-22 1996-01-22 コネクタ
JP96-8421 1996-01-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0581A KR970060581A (ko) 1997-08-12
KR100246270B1 true KR100246270B1 (ko) 2000-03-15

Family

ID=116926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01255A KR100246270B1 (ko) 1996-01-22 1997-01-17 후방홀더를 구비한 코넥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5830006A (ko)
JP (1) JP3180014B2 (ko)
KR (1) KR10024627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61385A (zh) * 2018-01-18 2019-07-26 株式会社自动网络技术研究所 电线罩及连接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89167B2 (ja) * 2000-08-28 2004-11-17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US6764225B2 (en) * 2002-03-01 2004-07-20 Fci Americas Technology, Inc. Optic fiber connectors
JP4667996B2 (ja) * 2005-08-03 2011-04-13 矢崎総業株式会社 フラットケーブル用防水コネクタ
JP5115408B2 (ja) * 2008-09-04 2013-01-09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カバー
JP5150428B2 (ja) * 2008-09-17 2013-02-20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5333086B2 (ja) 2009-09-09 2013-11-06 株式会社デンソー Ecu、配線、および当該ecuと当該配線とを導通させるためのコネクタを備えた電子装置、当該配線と当該コネクタとを備えた配線ユニット、ならびに、当該配線を当該ecuに導通させるための組み付け方法
US8177578B1 (en) * 2011-07-26 2012-05-15 Cheng Uei Precision Industry Co., Ltd. Wiring connector
JP5981294B2 (ja) * 2012-10-12 2016-08-31 矢崎総業株式会社 充電インレット装置
CN102938526A (zh) * 2012-12-11 2013-02-20 镇江日鑫电子有限公司(中外合资) 双联插孔连接器
CN102938525A (zh) * 2012-12-11 2013-02-20 镇江日鑫电子有限公司(中外合资) 双联插孔连接器及其组装方法
CN104425959A (zh) * 2013-08-30 2015-03-18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连接器组合
JP6070519B2 (ja) * 2013-11-25 2017-02-01 住友電装株式会社 車両側コネクタ
JP6122094B1 (ja) * 2015-12-25 2017-04-26 株式会社フジクラ 充電コネクタ組立体の製造方法
JP2018018584A (ja) * 2016-07-25 2018-02-01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7259429B2 (ja) * 2019-03-14 2023-04-18 住友電装株式会社 カバー付きコネクタ
JP7221910B2 (ja) * 2020-07-31 2023-02-14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後部カバー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34530B2 (ja) * 1992-02-13 1997-07-30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H0748387A (ja) * 1993-08-04 1995-02-21 Shin Etsu Chem Co Ltd tert−ブチルジアルコキシシラン及びその製造方法
JP2857316B2 (ja) * 1994-04-15 1999-02-17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の防水カバ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61385A (zh) * 2018-01-18 2019-07-26 株式会社自动网络技术研究所 电线罩及连接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180014B2 (ja) 2001-06-25
JPH09199220A (ja) 1997-07-31
US5830006A (en) 1998-11-03
KR970060581A (ko) 1997-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46270B1 (ko) 후방홀더를 구비한 코넥터
RU2213397C2 (ru) Настенная штепсельная розетка
US5005104A (en) Clip-connected terminal conductor assembly
CN105742879B (zh) 具有功率盒和信号盒的线束组件
US5897402A (en) Releasable locking connector
US5076802A (en) Wire dress cover
US6129574A (en) Connector having a construction for preventing an erroneous assembling of a connector housing and a cover
KR20050061581A (ko) 편평 가요성 케이블용 커넥터
US6464532B1 (en) Connector for a flat foil conductor
US6751392B1 (en) Cable management system for connector assemblies
US6019625A (en) Retractable electrical connector structure and method for assembling and connecting a retractable electrical connector structure
JPH11224728A (ja) 半嵌合防止コネクタ
CN110165495B (zh) 连接器
US6206580B1 (en) Optical connector
US10141691B2 (en) Connector
KR100502029B1 (ko) 단자 잠금 구조체를 갖는 전기 커넥터
JP5598849B2 (ja) コネクタ、コネクタハウジング、およびコネクタの製造方法
JP3765525B2 (ja) 光コネクタ
WO2014016662A1 (en) Assembly comprising a plugging-in unit, a receiving base unit and a steel rectangular mounting bracket
KR101869540B1 (ko) 방수 커넥터
KR101869546B1 (ko) 방수 커넥터
KR101869543B1 (ko) 방수 커넥터
US5895285A (en) Press-contact type connector
US7435136B2 (en) Connector
JP2575411Y2 (ja) 防水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1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8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0

Year of fee payment: 1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