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44903B1 -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트레이 장착구조 - Google Patents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트레이 장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44903B1
KR100244903B1 KR1019970060291A KR19970060291A KR100244903B1 KR 100244903 B1 KR100244903 B1 KR 100244903B1 KR 1019970060291 A KR1019970060291 A KR 1019970060291A KR 19970060291 A KR19970060291 A KR 19970060291A KR 100244903 B1 KR100244903 B1 KR 1002449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tray
mounting bracket
bracket
electric vehicle
mou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602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40014A (ko
Inventor
오성하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10199700602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44903B1/ko
Publication of KR199900400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400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49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49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5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 B60L50/6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using power supplied by batteries
    • B60L50/66Arrangements of 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00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 B60K1/04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of the electric storage means for propul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5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 B60L50/6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using power supplied by batteries
    • B60L50/64Constructional details of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00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 B60K1/04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of the electric storage means for propulsion
    • B60K2001/0455Removal or replacement of the energy stor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트레이 장착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센터필러 사이드멤버(10)에 로울러(22) 및 가이드(23)가 형성된 배터리 트레이 마운팅 브래킷(20)을 설치시키고, 플랜지(31)부에 체커(33)가 설치된 배터리 트레이(30)를 안착시킴과 동시에 결합력을 증대시키기 위한 브래킷(50)을 배터리 트레이 마운팅 브래킷(20)과 언더 마운팅 브래킷(40) 하단을 연결시켜 볼트(60) 및 너트(70)로 고정시키므로 강성을 확보하고, 탈착시 로울러(22)를 이용하여 전방향으로 이동시켜 쉽게 탈착되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트레이 장착구조
본 발명은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트레이 장착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센터필러 사이드멤버에 로울러 및 가이드가 형성된 배터리 트레이 마운팅 브래킷을 마주보게 설치시켜 형성된 공간부에 체커가 설치된 플랜지부를 갖는 배터리 트레이를 안착시킨 후 결합력을 증대시키기 위한 브래킷을 배터리 트레이 마운팅 브래킷과 언더 마운팅 브래킷 하단을 연결시켜 볼트 및 너트로 고정시키므로 강성을 확보하고, 탈착시 볼트를 풀어 로울러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전방향으로 이동시켜 용이하게 배터리 트레이가 탈착되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는 다수개로 조합되어 각 단자를 전원선으로 연결하여 자동차가 필요로 하는 전원을 공급하므로서 자동차를 운행하도록 하였다.
이에 따라 각 배터리의 전원단자를 연결하기 위한 별도의 연결수단을 필요로 하였으며, 배터리의 설치시 과중한 배터리의 흔들림을 방지하기 위한 별도의 고정수단으로 배터리를 고정시켜 배터리의 탈·착이 매우 번거로웠으며, 과중한 하중이 차체에 전달되므로 전달된 하중에 의해 차량의 파손이 심해지고, 배터리의 재충전에 필요한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과중한 하중을 가지는 배터리의 탈·장착시 용이하게 하고, 차체에 결합되는 구조로 지지부의 강성을 확보하여 차체에 미치는 영향을 감소시키는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트레이 장착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센터필러 사이드멤버에 로울러 및 가이드가 형성된 배터리 트레이 마운팅 브래킷을 마주보게 설치시켜 형성된 공간부에 체커가 설치된 플랜지부를 갖는 배터리 트레이를 안착시킨 후 결합력을 증대시키기 위한 브래킷을 배터리 트레이 마운팅 브래킷과 언더 마운팅 브래킷 하단을 연결시켜 볼트 및 너트로 고정시키므로 강성을 확보하고, 탈착시 볼트를 풀어 로울러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전방향으로 이동시켜 용이하게 배터리 트레이가 탈착되도록 한 것이다.
도 1은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트레이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배터리 트레이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배터리 트레이 마운팅 브래킷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5는 도 2의 B-B선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센터필러 사이드멤버 11 : 보강부재
20,20' : 배터리 트레이 마운팅 브래킷
21 : 가이드 22 : 로울러
23 : 마운팅 홀 30 : 배터리 트레이
31 : 플랜지 32 : 코일 스프링
40,40' : 언터 마운팅 브래킷 50 : 브래킷
60 : 볼트 70 : 너트
본 발명은 도 1 및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성을 보강하기 위한 보강부재(11)를 상부에 장착시켜 구성된 박스형의 센터 필러 사이드멤버(10)에;
수직절곡시킨 상단 끝단에 일정간격으로 가이드(21)를 형성시킴과 동시에 상단부에 로울러(22)를 일정간격으로 설치시키며, 수직 절곡된 하단 측면부에 마운팅 홀(23)을 형성시킨 배터리 트레이 마운팅 브래킷(20)(20')을 상기 센터필러 사이드 멤버(10)(10')의 마주보는 양면에 각각 설치하고;
상기 양끝 모서리에 형성된 마운팅 홀(23)에 배터리 트레이(30)를 지지하기 위한 언더 마운팅 브래킷(40)(40')을 삽입시켜 구성하여;
상부에 플랜지(31)를 형성함과 동시에 플랜지(31) 하단에 코일 스프링(32) 및 체커(33)를 일정 간격으로 설치된 배터리 트레이(30)를 장착한 후 결합력 증대를 위한 브래킷(50)을 배터리 트레이 마운팅 브래킷(30)과 언더 마운팅 브래킷(40) 하단을 연결시켜 볼트(60)및 너트(70)로 고정시킨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센터필러 사이드멤버(10)에 수직절곡시킨 상단 끝단에 가이드(21)와 상단부에 로울러(22)를 일정간격으로 형성시킴과 동시에 수직 절곡된 하단 측면부에 다수개의 마운팅 홀(23)을 형성시킨 배터리 트레이 마운팅 브래킷(20)(20')을 상기 센터필러 사이드멤버(10)의 마주보는 양면에 각각 설치하고, 상기 설치된 마운팅 홀(23)에 배터리 트레이(30)를 지지하기 위한 언더 마운팅 브래킷(40)을 설치시켜 상부 플랜지(31) 하단에 체커(33)가 일정 간격으로 설치된 배터리 트레이(30)를 안착시키고, 체커(33)에 의해 고정되며, 결합력 증대를 위한 브래킷(50)을 배터리 트레이 마운팅 브래킷(20)과 언더 마운팅 브래킷(40) 하단을 연결시켜 볼트(60) 및 너트(70)로 고정시키므로 강성을 확보하고, 탈착시 볼트를 풀어 로울러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전방향으로 이동시켜 용이하게 배터리 트레이가 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센터필러 사이드멤버에 로울러 및 가이드가 형성된 배터리 트레이 마운팅 브래킷을 마주보게 설치시켜 형성된 공간부에 체커가 설치된 플랜지부를 갖는 배터리 트레이를 안착시킨 후 결합력을 증대시키기 위한 브래킷을 배터리 트레이 마운팅 브래킷과 언더 마운팅 브래킷 하단을 연결시켜 볼트 및 너트로 고정시키므로 강성을 확보하고, 탈착시 볼트를 풀어 로울러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전방향으로 이동시켜 용이하게 배터리 트레이가 탈착되는 효과 가 있다.

Claims (1)

  1. 강성을 보강하기 위한 보강부재(11)를 상부에 장착시켜 구성된 박스형의 센터 필러 사이드멤버(10)에;
    수직절곡시킨 상단 끝단에 일정간격으로 가이드(21)를 형성시킴과 동시에 상단부에 로울러(22)를 일정간격으로 설치시키며, 수직 절곡된 하단 측면부에 마운팅 홀(23)을 형성시킨 배터리 트레이 마운팅 브래킷(20)(20')을 상기 센터필러 사이드 멤버(10)(10')의 마주보는 양면에 각각 설치하고;
    상기 양끝 모서리에 형성된 마운팅 홀(23)에 배터리 트레이(30)를 지지하기 위한 언더 마운팅 브래킷(40)(40')을 삽입시켜 구성하여;
    상부에 플랜지(31)를 형성함과 동시에 플랜지(31) 하단에 코일 스프링(32) 및 체커(33)를 일정 간격으로 설치된 배터리 트레이(30)를 장착한 후 결합력 증대를 위한 브래킷(50)을 배터리 트레이 마운팅 브래킷(30)과 언더 마운팅 브래킷(40) 하단을 연결시켜 볼트(60)및 너트(70)로 고정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트레이 장착구조.
KR1019970060291A 1997-11-15 1997-11-15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트레이 장착구조 KR1002449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0291A KR100244903B1 (ko) 1997-11-15 1997-11-15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트레이 장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0291A KR100244903B1 (ko) 1997-11-15 1997-11-15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트레이 장착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0014A KR19990040014A (ko) 1999-06-05
KR100244903B1 true KR100244903B1 (ko) 2000-05-01

Family

ID=195248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60291A KR100244903B1 (ko) 1997-11-15 1997-11-15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트레이 장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4490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444083A (zh) * 2014-12-02 2015-03-25 安徽工程大学 一种输送线托板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5655B1 (ko) * 2020-03-02 2021-10-22 선진정공 주식회사 배터리의 탈부착이 용이한 모듈형 탑 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444083A (zh) * 2014-12-02 2015-03-25 安徽工程大学 一种输送线托板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0014A (ko) 1999-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9399B1 (ko) 일체형 고전압 배터리 케이스
EP1034956B1 (en) Mounting structure for electric motor control unit in a hybrid vehicle
JP5763080B2 (ja) 原動機付き車両の電気エンジンのエンジンフレーム
JP5062228B2 (ja) 電気自動車のモータユニット取付方法
US11285794B2 (en) Vehicle
KR100244903B1 (ko)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트레이 장착구조
KR102033722B1 (ko) 상용차의 배터리 마운팅 어셈블리
JP2864948B2 (ja) 電気自動車のバッテリ固定構造
CN111164006B (zh) 混合动力车辆
KR100203160B1 (ko) 자동차 축전지의 취부구조
CN112319199A (zh) 用于汽车的高压电池托架
JP3590852B2 (ja) 柱取付用小型クレーンの取付治具
CN214450752U (zh) 一种安装支架
KR100257007B1 (ko)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트레이 결합구조
KR102406015B1 (ko) 친환경 자동차용 저전압 배터리 탑재용 배터리 캐리어 어셈블리
JP2001097049A (ja) 電気自動車用バッテリボックス構造
JP2559331Y2 (ja) 車両におけるリザーバタンクの取付構造
CN214545044U (zh) 一种支撑装置及机柜
CN114151185B (zh) 一种尿素罐支架总成
JPH049277Y2 (ko)
KR101372372B1 (ko) 차량용 배터리의 장착 보강구조
JPH03703Y2 (ko)
KR200149540Y1 (ko) 전기 차량용 밧데리 케이스
KR101136475B1 (ko) 차량용 확성기 결합장치
KR19980010479U (ko) 자동차 밧데리 취부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03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