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49540Y1 - 전기 차량용 밧데리 케이스 - Google Patents

전기 차량용 밧데리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49540Y1
KR200149540Y1 KR2019960052127U KR19960052127U KR200149540Y1 KR 200149540 Y1 KR200149540 Y1 KR 200149540Y1 KR 2019960052127 U KR2019960052127 U KR 2019960052127U KR 19960052127 U KR19960052127 U KR 19960052127U KR 200149540 Y1 KR200149540 Y1 KR 20014954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case
panel
electric vehicle
battery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5212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39057U (ko
Inventor
우형표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201996005212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9540Y1/ko
Publication of KR1998003905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905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954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9540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00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 B60K1/04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of the electric storage means for propul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케이스의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밧데리의 장착을 보다 용이하게 하고, 또한 차량의 진동에 의하여 케이스가 쉽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에 있는 것으로서, 그 구조는 밧데리를 거치 시킬 수 있도록 한 플로워 패널이 동일한 간격을 두면서 마운트를 상부에 형성하고, 양측단에는 밧데리를 가압하여 고정하도록 된 사이드 패널이 마운트에 형성된 그루브에 삽입되어 설치되며, 또한 상기 사이드 패널 양측단에 밧데리가 상호 밀착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이탈을 방지하는 프레임이 결합된 전기 차량용 밧데리 케이스를 제공 하는데에 있다.

Description

전기 차량용 밧데리 케이스
본 고안은 전기 차량용 밧데리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밧데리를 고정시키기 위한 케이스의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견고성과 함께 작업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한 전기 차량용 밧데리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차에 사용되는 밧데리는 충전과 방전을 거듭하도록 되어 있는 것으로, 상기 다수개의 밧데리는 케이스에 결합된 상태에서 전기차량이 움직일 수 있도록 구동모타에 연결된다.
종래에 사용되는 다수개의 밧데리를 고정하기 위한 기술은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케이스(102)에 밧데리를 안치 시킬 수 있도록 된 플로우 패널(104)이 형성되고, 이 플로우 패널(104) 선단부와 후단부에 밧데리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측벽(106)이 수직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플로우 패널(104) 양측단에 밧데리의 측벽면을 고정시키는 사이드 패널(108)이 수직되게 형성되고, 이 사이드 패널(108) 상부 양측에 리브(110)가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리브(110)에 플로우 패널(104)에 다수개의 밧데리를 위치시켰을 때 유동되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도록 한 보울트(112)가 결합을 이루되 선단부에 너트(114)가 체결되어 고정되게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기술을 사용 수단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다수개의 밧데리를 플로워 패널(104)상에 위치시키게 되면, 상기 밧데리의 양측은 측벽(106)에 밀착되게 위치하면서 고정되고, 동시에 전면과 배면은 사이드 패널(108)에 접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리브(110)에 보울트(112)를 결합하고 너트(114)를 선단부에 체결하게 되면 플로우 패널(104) 양측단에 형성된 사이드 패널(108)이 내측으로 당겨지게 된다.
이때 상기 밧데리는 사이드 패널(108)에 의하여 더욱 상호간 밀착하게 됨으로써 고정상태는 견고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밧데리의 결합이 완료되면, 케이스(102)를 전기차의 밧데리 보관소에 넣고 구동모타에 연결된 전선과 연결시킨다.
상기한 종래의 기술은 케이스에 장착되는 밧데리를 고정하기 위하여 보울트를 사용해야 하는 관계로, 주행시 발생되는 차량의 진동등으로 인해 보울트가 종종 풀려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고, 또한 케이스에 밧데리를 장착시 불편한 구조를 함으로 사용상 불편함이 제기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케이스의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밧데리의 장착을 보다 용이하게 하고, 또한 차량의 진동에 의하여 케이스가 쉽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실현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밧데리를 거치 시킬 수 있도록 한 플로워 패널이 동일한 간격을 두면서 마운트를 상부에 형성하고, 양측단에는 밧데리를 가압하여 고정하도록 된 사이드 패널이 마운트에 형성된 그루브에 삽입되어 설치되며, 또한 상기 사이드 패널 양측단에 밧데리가 상호 밀착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이탈을 방지하는 프레임이 결합된다.
도 1 는 본 고안의 실시예가 설치된 전기차량의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의 실시예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3 은 본 고안의 실시예를 나타낸 결합 상태도.
도 4 는 종래의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케이스 4 : 밧데리
6 : 플로워 패널 8 : 마운트
10 : 그루브 12 : 사이드 패널
14 : 슬라이더 16 : 리브
18 : 프레임 20:리벳
본 고안은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차에 구성되는 밧데리 보관소에 케이스(2)가 설치되는데, 이 케이스(2)의 구조를 도 2 와 도 3 에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케이스(2)는 밧데리(4)를 거치 시킬 수 있도록 한 플로워 패널(6)을 구성하는데, 이 플로워 패널(6) 상부에는 밧데리(4) 하부가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마운트(8)가 동일한 간격을 두면서 다수개 형성된다.
이때 상기 마운트(8)는 밧데리(4)의 하부가 구배되어 있는 특성으로 인하여 사다리꼴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플로워 패널(6) 양측에 위치한 마운트(8) 중앙부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그루브(10)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플로워 패널(6) 양측에 밧데리(4)를 지지하는 사이드 패널(12)이 설치되는데, 이 사이드 패널(12) 하단부에는 상기 그루브(10)에 삽입되면서 고정역할을 하는 슬라이더(14)가 형성되고, 양측에는 절곡된 리브(16)가 형성된다.
상기 플로워 패널(6) 양측에 설치되는 사이드 패널(12)의 리브(16)에, 밧데리(4)의 이탈을 방지하면서 사이드 패널(12)을 고정시키는 프레임(18)이 리벳(20)으로 고정되어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이드 패널(12) 하단에 형성된 슬라이더(14)를 그루브(10)에 삽입하게 되면, 상기 사이드 패널(12)은 수직된 상태로 설치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플로워 패널(6)에 형성된 마운트(8)에 밧데리(4)를 위치시키게 되면, 상기 밧데리(4) 하부가 구배진 상태를 한 관계로 사다리꼴 모양을 한 마운트(8) 사이에 안정되게 위치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수단으로 다수개의 밧데리(4)를 마운트(8) 사이에 위치시키게 되면, 상기 밧데리(4)의 상단부는 상호 밀착되게 접하고, 동시에 하부는 상호 이격되게 위치하되 마운트(8) 사이에 위치하면서 고정되는 관계로 안정되게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플로워 패널(6)에 밧데리(4)를 장착한 후 프레임(18)의 양 측단부를 리브(16)에 위치시키고 리벳팅하여 고정한다.
따라서 상기 밧데리(4)는 사이드 패널(12)에 의하여 상호 밀착되게 접하고, 동시에 프레임(18)에 의하여 외측으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밧데리(4)의 장착작업이 종료되면, 전기차에 구성되는 밧데리 보관함에 케이스(2)를 삽입하고 구동모타에 연결된 전선을 상기 케이스에 장착된 밧데리에 연결한다.
본 고안은 케이스의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밧데리의 장착을 보다 용이하게 하고, 또한 차량의 진동등에 의하여 케이스가 쉽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전기 차량용 밧데리 케이스에 있어서,
    밧데리(4)를 거치 시킬 수 있도록 한 플로워 패널(6)이 동일한 간격을 두면서 마운트(8)를 상부에 형성하고, 양측단에는 밧데리(4)를 가압하여 고정하도록 된 사이드 패널(12)이 마운트(8)에 형성된 그루브(10)에 삽입되어 설치되며, 또한 상기 사이드 패널(12) 양측단에 밧데리(4)가 상호 밀착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이탈을 방지하는 프레임(18)이 결합된 전기 차량용 밧데리 케이스.
KR2019960052127U 1996-12-20 1996-12-20 전기 차량용 밧데리 케이스 KR20014954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52127U KR200149540Y1 (ko) 1996-12-20 1996-12-20 전기 차량용 밧데리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52127U KR200149540Y1 (ko) 1996-12-20 1996-12-20 전기 차량용 밧데리 케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9057U KR19980039057U (ko) 1998-09-15
KR200149540Y1 true KR200149540Y1 (ko) 1999-06-15

Family

ID=194808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52127U KR200149540Y1 (ko) 1996-12-20 1996-12-20 전기 차량용 밧데리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954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9057U (ko) 1998-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49540Y1 (ko) 전기 차량용 밧데리 케이스
KR102033722B1 (ko) 상용차의 배터리 마운팅 어셈블리
JPS6030571B2 (ja) 自動車用グリル取付構造
KR100203160B1 (ko) 자동차 축전지의 취부구조
JPH07202444A (ja) 部品の取付構造
CN215474961U (zh) 汽车蓄电池安装用支架
JPH0519663Y2 (ko)
CN216508788U (zh) 一种电动车座桶结构
KR0113904Y1 (ko) 배터리 하단 마운팅용 배터리 트레이
KR100244903B1 (ko)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트레이 장착구조
JPH10152004A (ja) 車両用バンパーの支持用補助具
KR200145903Y1 (ko) 자동차용 밧데리 케이스 고정구조
JPH053416Y2 (ko)
JPS5816222Y2 (ja) シヤ−シ取付装置
KR0129075Y1 (ko) 자동차용 배터리 고정구조
KR19980045113U (ko) 전기 자동차용 배터리를 장착하기 위한 구조
JPS634725Y2 (ko)
KR100453857B1 (ko) 자동차의 프론트 범퍼 고정구조
KR200145109Y1 (ko) 시트벨트 트림카바
KR200198928Y1 (ko) 차량의 패널 지지구조
KR19980046832U (ko) 자동차의 배터리 트래이
KR200152239Y1 (ko) 자동차 도어트림 리테이너
KR19980066694U (ko) 차량용 티슈케이스 고정구
JPS584309Y2 (ja) シャ−シの取り付け構造
KR19980040731U (ko) 자동차의 보조 제동등 조립용 파스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31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