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43857B1 - 커터 나이프 - Google Patents

커터 나이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43857B1
KR100243857B1 KR1019970031069A KR19970031069A KR100243857B1 KR 100243857 B1 KR100243857 B1 KR 100243857B1 KR 1019970031069 A KR1019970031069 A KR 1019970031069A KR 19970031069 A KR19970031069 A KR 19970031069A KR 100243857 B1 KR100243857 B1 KR 1002438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er
cutter knife
groove
main body
bla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310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24078A (ko
Inventor
미쓰히로 다카마사
Original Assignee
구쓰나 히로시
교토 도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8237461A external-priority patent/JPH1080580A/ja
Priority claimed from JP29508096A external-priority patent/JP3527597B2/ja
Application filed by 구쓰나 히로시, 교토 도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구쓰나 히로시
Publication of KR199800240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40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38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38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5/00Hand knives with one or more detachable blades
    • B26B5/001Hand knives with one or more detachable blades with blades being slid out of handle immediately prior to u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00Hand knives with adjustable blade; Pocket knives
    • B26B1/08Hand knives with adjustable blade; Pocket knives with sliding blad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Knives (AREA)

Abstract

슬라이더의 빠짐 방지부재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는 커터 나이프를 제공한다.
커터 나이트 본체부(1)의 홈형상의 장전부내에 장전되어 칼날(4)을 슬라이드시키는 슬라이더(3)를 갖고, 이 장전부의 칼날체 교환입구로부터 칼날(4)을 교환하는 것이 가능한 커터 나이프에 있어서, 커터 나이프 본체부(1)의 근원측에 있는 칼날(4)의 교환입구에 접하여 이 교환입구를 덮는 형상의 슬라이더 이탈방지구(2)가 이 교환입구를 개폐하도록 커터 나이프 본체부(1)에 회동가능하게 부착되어진 것이다.

Description

커터 나이프
본 발명은 커터 나이프, 보다 상세하게는 칼날 교환식의 커터 나이프 및 단계적으로 커터날의 위치가 규제되는 커터 나이프, 특히 커터날이 규제위치에서 자동 고정되는 커터 나이프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칼날 교환식 커터 나이프에 있어서, 일본국 실개소 56-85666 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꽂아 넣는 방식의 슬라이더 빠짐방지구가 장착된 것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꽂아 넣는 방식의 슬라이더 빠짐방지구는 칼날을 교환할 때 분실하기 쉬운 문제가 있었다. 또한 커터날을 본체에 수납할 때에는 슬라이더가 이동하는 방향과 슬라이더가 칼날체 교환입구로부터 이탈하는 방향이 동일방향이므로 커터의 구조에 의해서는 수납시 슬라이더가 이탈하기 쉽고, 칼날이 튀어나와 손에 상처을 입힐 염려가 있다.
또한 커터날의 위치규제가 단계적으로 되는 자동 고정형의 커터 나이프는 커터날의 위치규제가 단계적으로 되는 자동 고정형의 커터 나이프는 커터날의 출입이 확실하고, 사용할 때에 커터날을 간단하게 고정할 수 있으므로 사용이 쉬운 이점이 있다. 예를 들면 일본국 실공평 3-37575 호 공보에 개체된 커터 나이프에서는 슬라이더 본체부재에 복원스프링으로 탄성력을 받는 미끄럼운동노브를 설치하고, 탄성스프링으로 탄성력을 받는 래칫을 홀더의 걸어맞춤홈부에 걸어맞춤 시키며, 미끄럼운동노브를 전진, 후퇴시켜 그의 "V"자 형상홈으로 래칫을 이동시키고, 걸어맞춤을 해제시키도록 한 구조를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커터 나이프에서 슬라이더는 슬라이더 본체부재와, 미끄럼운동노브와, 2개의 스프링부재의 4개의 부품을 사용하여 제조 코스트의 증가 뿐만아니라 조립이 번거로운 문제가 있다. 일본국 실공평 2-20991 호 공보나 특공평 7-85752 호 공보에 기재된 커터 나이프의 슬라이더에서도 슬라이더 본체부재와 미끄럼운동부재와 금속선 또는 금속판으로 만들어진 스프링의 3개의 부품이 필요하고, 스프링을 소정의 위치에 위치결정하여 조립할 필요가 있으며, 조립이 번거로운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슬라이더의 빠짐을 방지하는 부재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는 커터 나이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사용할 때에 슬라이더의 빠짐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는 안전한 커터 나이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슬라이더 본체부재와 조작부재의 2개의 부재를 사용하는 것만으로 단계적으로 커터날을 자동 고정할 수 있는 커터 나이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의 설명도이다.
제2도는 제1도에 나타낸 커터 나이프 본체부의 부분도이다.
제3도는 제1도에 나타낸 슬라이더 이탈방지구의 단면도이다.
제4도는 슬라이더 이탈방지구의 걸어멈춤상태로부터 개방상태에 이를 때까지 상태의 설명도이다.
제5도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형태의 커터 나이프 본체부의 부분도이다.
제6도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형태의 슬라이더 이탈방지구의 단면도이다.
제7도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 형태의 설명도이다.
제8도는 제7도에 나타낸 커터 나이프 본체부의 부분도이다.
제9도는 제7도에 나타낸 슬라이더 이탈방지구의 설명도이다.
제10도는 제7도에 나타낸 슬라이더 이탈방지구의 개방상태의 설명도이다.
제11도는 본 발명의 커터 나이프의 제 4 실시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제11도 a는 커터 나이프의 요부평면도,
제11도 b는 제11도 a에서 조작부재를 빼낸 상태의 평면도이다.
제12도는 제11도 a의 ⅩⅡ-ⅩⅡ 선 단면도이다.
제13도에서 제13도 a는 제11(a)의 ⅩⅢ-ⅩⅢ 선 단면도,
제13도 b는 홀더의 단면도이다.
제14도는 제 4 실시 형태의 슬라이더의 분해사시도로서,
제14도 a는 조작부재의 사시도,
제14도 b는 스프링부재의 사시도,
제14도 c는 슬라이더 본체부재의 사시도,
제14도 d는 제14도 c의 일부를 절결한 사시도이다.
제15도는 제 4 실시 형태의 고정 해제상태의 설명도이다.
제16도는 제 4 실시 형태의 고정 해제상태의 설명도이다.
제17도는 본 발명의 커터 나이프의 제 5 실시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21 : 커터 나이프 본체부 1a, 11, 31c : 걸어맞춤홈부
1b, 31a : 슬라이드홈 2, 22 : 슬라이더 이탈방지구
2a, 12, 22c, 32d : 걸어맞춤돌출부 2b, 22d : 회동축돌출부
3 : 슬라이더 4 : 칼날
21a, 21b : 제 1, 2 홈형상절결부 22a, 22b : 제 1, 2 지지부
21c : 걸어맞춤구멍 21d : 축받이구멍
31 : 홀더 31b : 요철부
32 : 슬라이더 본체부 32a : 기판
32b : 부착핀 32c : 조작부재지지부
32e : 아암부 32f, 33a : 돌기부
32g : 미끄럼운동부 32h : 홈구멍
32i : 단부 33 : 조작부재
33b : 걸어맞춤홈 34 : 스프링부재
제 1 도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의 설명도로서, 제 1 도 (a)는 슬라이더 이탈방지구를 닫은 상태의 정면도, 제 1 도 (b)는 그의 우측면도이다. 도면에서, (1)은 커터 나이프 본체부, (2)는 슬라이더 이탈방지구, (3)은 슬라이더, (4)는 칼날이다. 이 실시 형태의 커터 나이프는 커터 나이프 본체부(1)의 홈형상의 장전부내에 장전되어 칼날(4)을 슬라이드 시키는 슬라이더(3)을 갖고, 그 장전부의 칼날체 교환입구로 부터 칼날(4)을 교환하는 것이 가능한 커터 나이프에 있어서, 커터 나이프 본체부(1)의 근원측에 있는 칼날(4)의 교환입구에 접하여 이 교환입구를 덮는 형상의 슬라이더 이탈방지구(2)가 상기 교환입구를 개폐하도록 커터 나이프 본체부(1)에 회동가능하게 부착되어진 것이다.
제 2 도는 제 1 도에 나타낸 커터 나이프 본체부의 부분도이다. 제 2 도 (a)는 정면에서 본 도면이고, 제 2 도 (b)는 제 2 도 (a)에 화살표 "B"로 나타낸 절단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면중, 제 1 도와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을 생략한다. (1a)는 걸어맞춤홈부, (1b)는 슬라이드홈이다.
제 2 도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터 나이프 본체부(1)의 근원부는 커터 나이프 본체부(1)의 다른 부분으로부터 원호형상으로 구획되고, 제 2 도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단면의 폭 및 높이를 작게하여 형성되어 있다. 약간 상측에 슬라이더(3)가 이동하는 장전부의 개구끝단이 있고, 칼날(4)의 교환입구가 된다. 또한 상단에는 제 2 도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걸어맞춤홈부(1a)가 형성되고, 하측의 정면측 및 배면측에는 슬라이드홈(1b)이 형성되어 있다. 이 슬라이드홈(1b)은 제 2 도 (b)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단 가장자리 근방에서 홈의 깊이가 변화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단 가장자리 근방에 있어서, 홈의 깊이에 단차를 형성하여 일단 얇게하고, 다시 상방향으로 테이퍼형상으로 깊게하여 홈의 상단 가장자리의 절결부에 이르게 되어 있다.
제 3 도는 제 1 도에 나타낸 슬라이더 이탈방지구의 단면도로서, 제 3 도 (a)는 제 3 도 (b)에서 화살표 "A"로 나타낸 절단선을 따른 단면도, 제 3 도 (b)는 제 3 도 (a)에서 화살표 "B"로 나타낸 절단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면중, 제 1 도와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부호를 부여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제 3 도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슬라이더 이탈방지구(2)는 제 2 도 (a)에 나타낸 커터 나이프 본체부(1)의 근원부의 원호에 따른 형상이고, 커터 나이프 본체부(1)에 맞닿아 접하는쪽 및 저면쪽이 개구되어 있다. 그의 상부에는 제 2 도 (a)에 나타낸 커터 나이프 본체부(1)의 걸어맞춤홈부(1a)와 걸어맞춤하는 걸어맞춤홈돌출부(2a)가 하방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하부에는 도시된 종이면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중심축을 갖는 원기둥형상의 2개의 회동축돌출부(2b)가 대향하여 형성되어 있다. 제 3 도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회동축돌출부(2b)의 돌기는 제 2 도 (b)에 나타낸 슬라이드홈(1b)의 홈에 억지끼움되도록 되어 있다. 억지끼움은 이 슬라이드홈(1b)의 상단 가장자리에서 테이퍼부를 타고 넘도록 끼워 넣는다.
제 4 도는 슬라이더 이탈방지구의 걸어멈춤상태에서 개방상태에 이를 때 까지 상태의 설명도이다. 도면중, 제 4 도 (a)는 걸어멈춤상태, 제 4 도 (b)는 걸어멈춤의 해제상태, 제 4c 도는 회동상태, 제 4d 도는 개방상태의 설명도이다. 모두 제 2 도 (a)에 나타낸 커터 나이프 본체부(1)의 부분도로 제 3 도 (a)에 나타낸 슬라이더 이탈방지구(2)의 단면도를 되풀이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면중, 제 2 도, 제 3 도와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부호를 부여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제 4 도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슬라이더 이탈방지구(2)의 걸어멈춤상태에서, 커터 나이프 본체부(1)의 슬라이드홈(1b)에는 슬라이더 이탈방지구(2)의 회동축돌출부(2b)가 회동가능하게 끼워 넣어져 있지만 커터 나이프 본체부(1)의 걸어맞춤홈부(1a)에 슬라이더 이탈방지구(2)의 걸어맞춤돌출부(2a)가 걸어맞춤하여 있는 것이므로 회동이 정지되고, 따라서 슬라이더 이탈방지구(2)는 커터 나이프 본체부(1)의 근원부에 걸어멈춤되어 움직이지 않는다. 그 결과, 칼날(4)을 커터 나이프 본체부(1)에 수용하기 위해 슬라이더(3)를 근원측으로 이동시킬 때에도 슬라이더(3)가 이탈됨이 없고, 칼날(4)이 빠져나올 염려가 없다.
제 4 도 (b)에 나타난 바와 같이 슬라이더 이탈방지구(2)를 전방의 상방향으로 밀면, 슬라이더 이탈방지구(2)는 커터 나이프 본체부(1)의 근원부를 따라서 경사지게 전방으로 슬라이드한다. 커터 나이프 본체부(1)의 슬라이더홈(1b) 내를 슬라이더 이탈방지구(2)의 회동축돌출부(2b)가 슬라이드함과 동시에 커터 나이프 본체부(1)의 걸어맞춤홈부(1a)로부터 슬라이더 이탈방지구(2)의 걸어맞춤돌출부(2a)가 빠져나와 슬라이더 이탈방지구(2)는 걸어맞춤돌출부(2a)를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된다.
제 4 도 (c)에 나타난 바와 같이 슬라이더 이탈방지구(2)를 시계회전방향으로 회동시키면, 커터 나이프 본체부(1)의 칼날(4)의 교환입구를 크게 개방할 수 있고, 슬라이더를 꺼내는 것이 가능하다. 제 4 도 (d)에 나타난 바와 같이 슬라이더 이탈방지구(2)의 걸어맞춤돌출부(2b)가 커터 나이프 본체부(1)의 슬라이드홈(1b) 최하단으로 내려가면, 슬라이더 이탈방지구(2)는 최대로 개방된 상태가 되고, 슬라이더(3) 및 칼날(4)을 용이하게 꺼낼 수 있게 된다.
회동축돌출부(2b)가 커터 나이프 본체부(1)의 슬라이드홈(1b)에 억지끼움되어 있는 것이므로 칼날교환을 위해 슬라이더(3)를 빼낼 때에도 슬라이더 이탈방지구(2)는 커터 나이프 본체부(1)로부터 빠지지 않기 때문에 슬라이더 이탈방지구(2)를 분실하지 않는다.
다시 슬라이더 이탈방지구(2)를 커터 나이프 본체부(1)에 걸어멈춤하는 것은 슬라이더 이탈방지구(2)를 반시계회전방향으로 회동시켜 일단 상방으로 슬라이드시킨후 커터 나이프 본체부(1)측에 밀어붙이면서 하방으로 당기면 커터 나이프 본체부(1)의 걸어맞춤홈부(1a)에 슬라이더 이탈방지구(2)의 걸어맞춤돌출부(2a)를 끼워넣을수 있다.
이와 같이 커터 나이프 본체부(1)에 대한 슬라이더 이탈방지구(2)의 걸어멈춤 해제는 슬라이더 이탈방지구(2)의 이탈방향과는 다른 거의 수직한 방향이고, 이 방향으로 이동시키지 않는 한 슬라이더 이탈방지구(2)를 개방할 수 없기 때문에 커터 나이프를 사용할 때에 슬라이더 이탈방지구(2)가 실수로 열리지 않는다. 특히 거의 수직한 방향은 사용할 때에 실수로 밀 수 없는 방향이므로 걸어멈춤의 해제가 실수로 행하여지지 않는다. 또한 걸어멈춤의 해제는 엄지손가락등으로 슬라이더 이탈방지구(2)를 밀어올릴수록 좋고, 커터 나이프를 잡은상태의 한쪽손으로 조작할 수 있으므로 조작이 간단하다.
상술한 설명에서는 커터 나이프 본체부(1)측의 걸어맞춤홈부(1a)에 슬라이더 이탈방지구(2)측의 걸어맞춤돌출부(2a)가 걸어맞춤하여 회동이 저지되는 것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커터 나이프 본체부(1)측에 걸어맞춤돌출부, 슬라이더 이탈방지구(2)측에 걸어맞춤홈부(1a)가 있어도 좋고, 도시예에 있어서는 커터 나이프 본체부(1)의 걸어맞춤홈부(1a)의 우측의 돌출부와, 슬라이더 이탈방지구(2)의 걸어맞춤돌출부(2a)의 우측의 홈부가 걸어맞춤하도록 하여도 좋다. 커터 나이프 본체부(1)측의 슬라이드홈(1b)을 제 2 도 (b)에서 좌우로 관통하도록 슬라이드구멍으로 치환하고, 슬라이더 이탈방지구(2)측의 회동축돌출부(2b)를 축봉으로 치환하여 상술한 슬라이드구멍에 이 축봉을 끼워넣음으로써 커터 나이프 본체부(1)에 슬라이더 이탈방지구(2)가 슬라이드 및 회동가능하게 되도록 하여도 좋다.
제 5 도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형태의 커터 나이프 본체부의 부분도이다. 제 5 도 (a)는 정면도, 제 5 도 (b)는 제 5 도 (a)에서 화살표 "B"로 나타낸 절단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제 6 도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형태의 슬라이더 이탈방지구의 단면도로서, 제 3 도와 마찬가지로 제 6 도 (a)는 정면에서 본 단면도이고, 제 6 도 (b)의 화살표"A"선을 따른 단면도. 제 6 도 (b)는 좌측면에서 본 단면도이고 제 6 도 (a)의 화살표"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면중, 제 1 도 내지 제 3 도와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11)은 걸어맞춤홈부, (12)는 걸어맞춤돌출부이다.
이 실시형태는, 외관상은 제 1 도와 동일한 것으로, 커터 나이프 본체부(1)와 슬라이더 이탈방지구(2)를 걸어맞춤하기 위한 구조를 다르게 한 것이다. 제 5 도 (a), 제 5 도 (b)에 나타난 바와 같이 커터 나이프 본체부(1)의 근원부의 상부에는 홈형상의 걸어맞춤홈부(11)가 형성된다. 제 6 도 (a), 제 6 도 (b)에 나타난 바와 같이 슬라이더 이탈방지구(2)측에는 이 걸어맞춤홈부(11)에 끼워맞춤하는 반구형상의 걸어맞춤돌출부(12)가 형성되어 있다. 걸어맞춤홈부(11)는 제 2 도에 나타낸 슬라이드홈(1b)과 유사한 홈형상이지만 홈의 길이가 짧고, 단차와 테이퍼부는 있지만 억지끼움하지는 않고, 항상 홈의 상부로부터 슬라이더 이탈방지구(2)의 걸어맞춤돌출부(12)가 클릭(Click)감을 수반하여 출입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슬라이더 이탈방지구(2)의 걸어멈춤상태로부터 개방상태에 이를 때까지의 상태변화는 제 4 도를 참조하여 설명한 제 1 실시 형태와 동일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제 7 도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 형태의 설명도이다. 제 7 도 (a)는 슬라이더 이탈방지구를 닫은 상태의 부분적인 정면도, 제 7 도 (b)는 그의 우측면도이다. 도면중, (21)은 커터 나이프 본체부, (21a)은 제 1 홈형상절결부, (21b)는 제 2 홈형상절결부, (22)는 슬라이더 이탈방지구, (22a)는 제 1 지지부, (22b)는 제 2 지지부이다. 칼날 및 슬라이더는 도시를 생략한다.
이 실시 형태는 슬라이더 이탈방지구(22)의 상하끝단에 형성되어진 제 1, 제 2 지지부(22a, 22b)를 각각 커터 나이프 본체부(21)의 근원부 상하의 모서리에 형성한 제 1, 제 2 홈형상절결부(21a, 21b)에 끼워 넣음과 동시에 제 2 홈셩상절결부(21b)내의 후술하는 축받이구멍을 중심으로 슬라이더 이탈방지구(22)를 회동시켜 칼날의 교환입구를 개폐함과 동시에 제 1 홈형상절결부(21a)내에서 회동저지 및 그의 저지를 해제하는 걸어맞춤부를 형성한 것이다.
제 8 도는 제 7 도에 나타낸 커터 나이프 본체부의 부분도이다. 제 8 도 (a)는 정면에서 본 단면도로서 제 8 도 (b)에서 나타낸 화살표 "A"로 지시한 절단선을 따른 단면도이고, 제 8 도 (b)는 우측면에서 본 단면도로서 제 8 도 (a)에 나타낸 화살표"B"로 지시한 절단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면중, 제 7 도와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21c)는 걸어맞춤구멍, (21d)는 축받이구멍이다. 커터 나이프 본체부(21)의 제 1, 제2 홈형상절결부(21a, 21b)의 각각의 홈측면에는 걸어맞춤구멍(21c), 축받이구멍(21d)이 형성되어 있다.
제 9 도는 제 7 도에 나타낸 슬라이더 이탈방지구의 설명도이다. 제 9 도 (a)는 정면도, 제 9 도 (b)는 좌측면도이다. 도면중 제 7 도와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부호를 부여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22c)는 걸어맞춤돌출부, (22d)는 회동축돌출부이다. 슬라이더 이탈방지구(22)의 상단부 및 하단부는 대략 "L"자 형상으로 구부려져 있고, 이 부분을 커터 나이프 본체부(21)에 부착하여 지지하는 제 1, 제 2 지지부(22a, 22b)로 한다. 제 1 지지부(22a)에는 반구형상의 걸어맞춤돌출부(22c)가 형성되고, 제 2 지지부(22b)에는 원기둥형상의 회동축돌출부(22d)가 형성되어 있다.
제 8 도에 나타낸 커터 나이프 본체부(21)의 축받이구멍(21d)에 슬라이더 이탈방지구(22)의 회동축돌출부(22d)가 끼워맞춤되어 회동가능하게 된다. 한편 커터 나이프 본체부(21)의 걸어맞춤홈부(21c)에 슬라이더 이탈방지구(22)의 걸어맞춤돌출부(22c)가 걸어맞춤되면 슬라이더 이탈방지구(22)는 회동이 저지되어 슬라이더 이탈방지구(22)가 커터 나이프 본체부(21)에 걸어멈춤된다.
제 10 도는 슬라이더 이탈방지구의 개방상태의 설명도이다. 제 8 도 (a)에 나타낸 커터 나이프 본체부의 부분도에 제 9 도 (a)에 나타낸 슬라이더 이탈방지구의 단면도를 조립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면중, 제 8 도, 제 9 도와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을 생략한다. 슬라이더 이탈방지구(22)를 시계회전방향으로 회동시키면, 슬라이더 이탈방지구(22)의 걸어맞춤돌출부(22c)가 커터 나이프 본체부(21)의 걸어맞춤홈부(21c)로부터 가벼운 클릭감을 수반하면서 빠지므로 축받이구멍(21d), 회동축돌출부(22d)를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고, 칼날 교환입구를 크게 열 수 있게 된다. 회동축돌출부(22d)를 축받이구멍(21d)에 대하여 억지끼움하여 두면, 칼날의 교환시에 슬라이더 이탈방지구(22)가 빠지지 않는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슬라이더 이탈방지구(22)의 걸어맞춤돌출부(22c)와 커터 나이프 본체부(21)의 걸어맞춤홈부(21c)에 의한 걸어맞춤은 슬라이더의 이탈방향의 외력에의해 해제되기 쉽다. 이를 위해 그 걸어맞춤은 해제에 필요한 힘이 크도록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걸어맞춤돌출부(22c), 걸어맞춤홈부(21c)에 의한 걸어맞춤과 동일한 걸어맞춤부분을 복수개로 형성하여도 좋다.
상술한 설명에서는, 커터 나이프 본체부(21)쪽에 걸어맞춤홈부(21c)와 축받이구멍(21d)을 형성하였지만, 반대로 걸어맞춤부와 축받이구멍을 슬라이더 이탈방지구(22)쪽에 형성하고, 걸어맞춤돌출부, 회동축돌출부를 커터 나이프 본체부(21)쪽에 형성하여도 좋다.
또한 축받이구멍(21d)와 회동축돌출부(22d)에 대하여 커터 나이프 본체부(21)의 제 2 홈형상절결부(21b)와 슬라이더 이탈방지구(22)의 제 2 지지부(22b)의 부분에 관통구멍을 형성하여 두고, 제 2 홈형상절결부에 슬라이더 이탈방지구(22)의 제 2 지지부(22b)를 끼워 넣은후에 축봉을 통하여 이 축봉을 홈형상절결부(21b) 또는 제 2 지지부(22b)의 한쪽에 끼워맞춤고정하여 다른쪽에 대하여는 회동자유롭게 부착하여도 좋다.
또한 걸어맞춤돌출부(22c), 걸어맞춤홈부(21c)에 의한 걸어맞춤에 대하여 커터 나이프 본체부(21)의 제 1 홈형상절결부(21a)와 슬라이더 이탈방지구(22)의 제 1 지지부(22a)의 부분에 관통구멍을 형성하여 두고, 이 관통구멍에 걸어맞춤핀을 끼워 넣어 회동을 저지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 11 도 내지 제 14 도는, 본 발명의 커터 나이프의 제 1 실시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제 11 도 (a)는 커터 나이프의 요부의 평면도, 제 11 도 (b)는 제11 도 (a)에서 조작부재를 빼낸 상태의 평편도, 제 12 도는 제 11 도 (a)의 ⅩⅡ-ⅩⅡ 선 단면도, 제 13 도 (a)는 제 11 도 (a)의 ⅩⅢA-ⅩⅢA선 단면도, 제 13 도 (b)는 홀더의 단면도, 제 14 도는 슬라이더의 분해사시도, 제 14 도 (a)는 조작부재의 사시도, 제 14 도 (b)는 스프링부재의 사시도이고, 제 14 도 (c)는 슬라이더 본체부재의 사시도, 제 14 도 (d)는 제 14 도 (c)의 일부를 절결한 사시도이다. 도면중, (31)은 홀더, (31a)는 슬라이드홈, (31b)는 요철부, (31c)는 걸어맞춤홈부, (32) 슬라이더 본체부, (32a)는 기판, (32b)는 부착핀, (32c)는 조작부재지지부, (32d)는 걸어맞춤돌출부, (32e)는 아암부, (32f)는 돌기부, (32g)는 미끄럼운동부, (32h)는 홈구멍, (32i)는 단부, (33)은 조작부재, (33a)는 돌기부, (33b)는 걸어맞춤홈, (34)는 스프링부재이다.
홀더(31)은 제 11 도, 제 13 도 (a),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금속판을 "C"자 형상으로 절곡가공하여 슬라이드홈(31a)을 형성한 것이고, 개구의 한쪽 가장자리부에는 파형의 요철부(31b)가 형성되며, 개구의 다른쪽 가장자리부에는 다수의 걸어맞춤홈부(31c)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홀더의 재료는 금속판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합성수지를 사용하여도 좋다. 이 홀더(31)를 둘러쌓도록 예를 들면 합성수지제의 그립이 설치되어도 좋다.
슬라이더는, 홀더(31)의 슬라이드홈(31a)에 삽입되고, 이것을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이것에 부착된 도시되지 않은 커터날을 전후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 슬라이더는, 슬라이더 본체부(32)와 조작부재(33)의 2개의 부재로 조립되어져 있다.
슬라이더 본체부(32)는, 제 14 도 (c)와 그의 일부를 절결한 제 14d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평판형상의 기판(32a)의 일단부측에 커터날을 부착하기 위해 부착핀(32b)과 조작부재지지부(32c)와 걸어맞춤돌출부(32d)를 구비하고 있다. 부착핀(32b)은 도시하지 않은 커터날의 부착구멍을 끼워맞춤시켜 커터날을 슬라이더 본체부에 연결시킬 수 있다. 조작부재지지부(32c)는 조작부재를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이고, 이 실시 형태에서는 제 13 도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측으로 향한 돌기부(32f)와 조작부재(33)의 내측으로 향한 돌기부(33a)를 걸어맞춤시켜 조작부재(33)를 슬라이더 본체부(32)에 부착하고 있다.
걸어맞춤돌출부(32d)는 슬라이더 본체부(32)에 일체로 형성한 아암부(32e)의 앞끝단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슬라이더 본체부(32)는 탄성을 갖는 재질의 것,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이나 나이론 등의 합성수지를 사용하고, 일체성형으로 제작한다. 아암부(32e)는 슬라이더 본체부(32)가 홀더(31)에 삽입된 상태에서 걸어맞춤돌출부가 홀더(31)의 걸어맞춤홈부에 걸어맞춤하는 위치를 취하도록 형상이 설계되어 있다.
조작부재(33)은 상술한 바와 같이 슬라이더 본체부(32)의 조작부재지지부(32c)에 미끄럼운동 가능하게 지지되지만 중립상태에 있어서는 산형의 걸어맞춤홈(33b)의 중심이 아암부(32e)의 연장부분에 걸치도록 위치된다. 조작부재(33)은 이 위치를 중심으로하여 전후로 이동가능하게 된다. 이동범위는 조작부재지지부(32c)의 측면에 움푹패여 형성된 단부(32i)에 의해서 소정범위로 한정하도록 한다. 중립상태에서는 제 11 도 (a), 제 12 도, 제 13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걸어맞춤돌출부(32d)가 홀더(31)의 걸어맞춤홈부에 걸어맞춤하여 슬라이더를 고정상태로 하고, 도시하지 않은 커터날의 이동을 저지하게 된다. 또한 이 실시 형태에서는 걸어맞춤돌출부(32e)내측에 연장시키고, 이 연장부분을 걸어맞춤홈(33b)에 걸어맞춤하도록 하였지만, 걸어맞춤홈(33b)에 걸어맞춤하는 아암부(32e)의 부분은 반드시 걸어맞춤돌출부(32d)를 연장시킨 형상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적절한 형상의 것으로 할 수 있다. (32g)는 슬라이더 본체부(32)로부터 점점 외측으로 길게 나오도록 형성한 미끄럼운동부이고, 슬라이더를 홀더(31)에 삽입한 상태에서 미끄럼운동부(32g)가 홀더(31)의 측벽으로 미끄럼운동하여 밀어붙임으로써 덜거덕거림을 억제하도록 한다.
커터날의 이동은 조작부재(33)를 이동방향으로 손가락으로 이동시킨다. 이 상태를 제 15 도, 제 16 도에 표시한다. 슬라이더 본체부(32)에 대하여, 예를 들면 조작부재(33)를 도면의 오른쪽방향으로 이동시킨다. 그러면 걸어맞춤돌출부(32d)의 연장부분이 걸어맞춤홈(33b)의 도면의 왼쪽의 경사면에 의해 아암부의 탄력에 저항하여 하방으로 눌리고, 걸어맞춤돌출부(32d)를 하방으로 내려 홀더(31)의 걸어맞춤홈부로부터 이탈시킨다. 걸어맞춤돌출부의 걸어맞춤홈부로부터 이탈에 의해 조작부재(33)를 더욱 도면의 오른쪽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슬라이더를 소망의 위치까지 이동시킬 수 있다. 소망의 위치까지 이동시킨 상태에서 조작부(33)로부터 손가락을 떼는 것에 의해 아암부(32e)는 그의 탄성에 의해 제 12 도 위치로 복귀되고, 슬라이더를 고정상태로 할 수 있다. 아암부의복귀에 의해 걸어맞춤돌출부의 연장부분이 걸어맞춤홈(33b)의 경사면에 맞닿게 되고, 조작부재(33)를 원래의 중립상태의 위치로 복귀시킬 수 잇다. 슬라이더를 상술한 설명과 반대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경우도 조작부재(33)를 도면의 좌측방향으로 이동시키면, 걸어맞춤돌출부(32d)의 연장부분이 걸어맞춤홈(33b)의 도면의 우측 경사면에 의해 아암부의 탄력에 저항하여 하방으로 밀리고, 마찬가지로 걸어맞춤돌출부를 걸어맞춤홈부로부터 이탈시킬 수 있고, 조작부재(33)를 더욱 도면의 좌측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이 실시 형태에서는, 제 14 도 (b)에 나타낸 스프링부재(34)와 제 11 도에 나타낸 파형의 요철부(31b)에 의하여 슬라이더의 이동의 경우에 클릭동작을 행하도록 한다. 이에 관해서 설명하여 둔다. 스프링부재(34)는 조작부재지지부(32c)의 홈구멍(32h)에 삽입되고, 중앙의 돌출부분이 파형의 요철부(31b)에 걸어맞춤하도록 한다. 따라서 슬라이더의 이동의 경우에는 이동위치가 파형의 요철부(31b)에서 규제되어 단계적인 이동을 행할 수 있는 것이다. 이 단계적인 이동에 의해 슬라이더의 고정위치를 보다 확실하게 할 수 있다. 그러나 슬라이더의 이동에 관하여 스프링부재(34)와 파형의 요철부(31b)가 필수적인 것은 아니므로 이것을 생략한 구성으로 하여 보다 간단한 구성으로도 할 수 있다.
조작부재에도 탄성을 갖는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좋고, 그러면 슬라이더의 조립은 스프링부재(34)를 조작부재지지부(32c)의 홈구멍(32h)에 삽입하며, 다음에 조작부재지지부(32c)의 상방으로부터 조작부재(33)를 밀어붙이는 것만으로 조작부재(33)을 슬라이더 본체부(32)에 결합할 수 있고, 간단한 작업으로 슬라이더를 조립할 수 있다.
제 17 도는 본 발명의 커터 나이프의 제 5 실시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제 13 도 (a), 제 16 도와 동일한 단면도이다. 도면중, 제 13 도 (a), 제 16 도와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제 4 실시 형태에서는, 슬라이더를 이동시키는 경우에 조작부재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하였지만 이 실시 형태에서는 조작부재(33)를 하방으로 이동시키도록 한다. 전후방향으로의 이동은 허용할 필요가 없다. 즉 제 17 도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작부재지지부(32c)의 돌기부(32f)와 조작부재(33)의 돌기부(33a)와의 사이를 상하운동가능하게 여유있게 형성하도록 한다. 고정상태에서는 조작부재(33)가 아암부(32e)의 탄력에 의해 상방으로 밀어올려지고, 돌기부(32f)와 돌기부(32a)가 접촉하게 된다. 고정을 해제하는 것은, 제 17 도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작부재(33)을 하방으로 밀어붙이는 것에 의해 아암부(32e)를 그의 탄력에 저항하여 밀어내리고, 걸어맞춤돌기(32d)를 걸어맞춤홈부로부터 이탈시켜 슬라이더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이 실시 형태에서는, 조작부재(33)에는 제 11 도 내지 제 14 도의 실시 형태에서 형성되어진 걸어맞춤홈은 반드시 필요하지는 않고, 아암부(32e)의 일부에 걸어맞춤하는 부분은 단순히 평탄하게 한 것이다. 물론, 걸어맞춤홈을 형성하여도 좋다. 중요한 것은 조작부재를 밀어 하방으로 이동시킬 경우에 아암부가 구부러져 조작부재로부터 손가락을 떼어낸 경우에 아암부가 그의 탄력으로 복귀하여 조작부재를 원래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으면 좋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칼날체를 슬라이드시키는 슬라이더와, 이 슬라이더가 장전되는 장전부를 갖는 커터 나이프 본체부와, 슬라이더 이탈방지구를 갖고, 이 슬라이더 이탈방지부는 장전부의 칼날체 교환입구를 개폐하도록 커터 나이프 본체부에 회동가능하게 부착되어진 것이므로 교체날 교환을 위한 슬라이더 탈착시에 칼날체 교환입구를 크게 개방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슬라이더를 빼냄으로써 칼날의 교환이 용이함과 동시에 슬라이더 이탈방지부를 커터 본체부로부터 빼낼 필요가 없으므로 슬라이더 이탈방지부의 분실을 방지할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슬라이더 이탈방지부는 슬라이더 이탈방지부의 회동을 저지함과 동시에 저지의 해제가 가능한 회동저지부를 갖는 것이므로 커터 나이프를 사용할 때에 슬라이더가 이탈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커터 나이프 본체부가 홈부 또는 돌출부를 갖고, 회동저지부는 홈부 또는 돌출부에 걸어맞춤하도록 된 것이므로 슬라이더 이탈방지부의 회동의 저지 및 저지의 해제를 용이하게 실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회동저지부는, 슬라이더 이탈방지부가 슬라이더의 칼날체 교환입구로부터의 이탈방향과는 다른 방향으로 슬라이드되는 것에 의해 회동의 저지가 해제되는 것이므로 커터 나이프를 사용할 때에 슬라이더의 이탈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슬라이더 이탈방지부의 회동의 저지가 실수로 해제될 염려가 없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커터 나이프 본체부가 슬라이드홈을 갖고, 슬라이더 이탈방지부가 이 슬라이드홈에 끼워맞춤하는 회동축돌출부를 갖는 것이므로 슬라이더 이탈방지부의 회동의 저지 및 이의 저지를 해제할 수 있는 회동기구를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회동축돌출부는 슬라이드홈에 억지끼움되어 있기 때문에 슬라이더 이탈방지구가 커터 나이프 본체로부터 빠지지 않는 것이므로 확실하게 슬라이더 이탈방지부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적은 부품수로 커터 나이프를 부착한 슬라이더를 고정할 수 있고, 또 해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9)

  1. 칼날체를 슬라이드시키는 슬라이더와, 이 슬라이더가 장전되는 장전부를 갖는 커터 나이프 본체부와, 슬라이더 이탈방지부를 갖고, 이 슬라이더 이탈방지부는 상기 장전부의 칼날체 교환입구를 개폐하도록 상기 커터 나이프 본체부에 회동가능하게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터 나이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 이탈방지부는, 상기 슬라이더 이탈방지부의 회동을 저지함과 동시에 저지의 해제가 가능한 회동저지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터 나이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커터 나이프 본체부는, 홈부 또는 돌출부를 갖고, 상기 회동저지부는 상기 홈부 또는 돌출부에 걸어맞춤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터 나이프.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저지부는, 상기 슬라이더 이탈방지부가 상기 슬라이더의 상기 칼날체 교환입구로부터의 이탈방향과는 다른 방향으로 슬라이드되는 것에 의해 회동의 저지가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터 나이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커터 나이프 본체부는, 슬라이드홈을 갖고, 상기 슬라이더 이탈방지부는, 상기 슬라이드홈에 끼워맞춤하는 회동축돌출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터 나이프.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축돌출부는, 상기 슬라이드홈에 억지끼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터 나이프.
  7. 상면에 다수의 걸어맞춤홈부가 형성되고, 커터날이 전후로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슬라이드홈을 갖는 홀더와, 이 홀더의 상기 슬라이드홈에 삽입되고, 상기 커터날을 부착가능하게 형성된 슬라이더를 갖는 커터 나이프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는,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로 형성된 슬라이더 본제부재와 이 슬라이더 본체부재에 이동가능하게 지지된 조작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슬라이더 본체부재는, 상기 걸어맞춤홈부에 걸어맞춤가능한 걸어맞춤돌출부를 갖는 아암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조작부재는 이동동작에 의해 상기 걸어맞춤돌출부를 상기 걸어맞춤홈부로부터 제거하도록 상기 아암부재를 그의 탄성에 저항하여 구부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터 나이프.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재는, 상기 아암부재에 접촉하는 산형상의 캠면을 갖고, 상기 슬라이더 본체부재에 전후로 이동가능하게 지지되며, 전방 또는 후방으로의 이동동작에 의해 상기 아암부재를 그의 탄성에 저항하여 구부러지고, 상기 걸어맞춤돌출부를 상기 걸어맞춤홈부로부터 해제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터 나이프.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재는, 상기 아암부재에 접촉하는 면을 갖고, 상기 슬라이더 본체부재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지지되며, 하방으로의 이동동작에 의해 상기 아암부재를 그의 탄성에 저항하여 구부러지고, 상기 걸어맞춤돌출부를 상기 걸어맞춤홈부로부터 해제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터 나이프.
KR1019970031069A 1996-09-09 1997-07-04 커터 나이프 KR10024385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237461A JPH1080580A (ja) 1996-09-09 1996-09-09 カッター
JP96-237461 1996-09-09
JP96-295080 1996-11-07
JP29508096A JP3527597B2 (ja) 1996-11-07 1996-11-07 カッターナイ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4078A KR19980024078A (ko) 1998-07-06
KR100243857B1 true KR100243857B1 (ko) 2000-03-02

Family

ID=265332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31069A KR100243857B1 (ko) 1996-09-09 1997-07-04 커터 나이프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KR (1) KR100243857B1 (ko)
CN (2) CN1098752C (ko)
HK (1) HK1008191A1 (ko)
TW (1) TW36728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66360B2 (en) 2004-04-07 2007-09-04 Neoreach, Inc. Low noise amplifier for wireless communications
JP5753967B2 (ja) * 2010-09-27 2015-07-22 コクヨ株式会社 カッターナイフ
CN103624806B (zh) * 2012-08-21 2016-01-06 顺德工业股份有限公司 双向推动的美工刀及其调节装置
CN108957741A (zh) * 2017-05-18 2018-12-07 美商晶典有限公司 具有瞳距调整机构的双眼头戴式装置
US10981284B2 (en) * 2018-11-15 2021-04-20 Benchmade Knife Co., Inc. Out the front knife
CN110340943A (zh) * 2019-08-19 2019-10-18 威士达半导体科技(张家港)有限公司 一种切割刀具
TWI768456B (zh) * 2020-09-02 2022-06-21 萬潤科技股份有限公司 微調機構及使用微調機構之點焊裝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7849A (ja) * 1986-07-22 1988-02-05 Canon Inc 電子写真感光体
JPH0785752B2 (ja) * 1992-04-30 1995-09-20 オルファ株式会社 オートロック型ステップスライド式カッターナイフ
JPH061064A (ja) * 1992-06-17 1994-01-11 Fuji Photo Film Co Ltd 感熱多重記録材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76165A (zh) 1998-03-18
KR19980024078A (ko) 1998-07-06
TW367281B (en) 1999-08-21
CN1098752C (zh) 2003-01-15
HK1008191A1 (en) 1999-05-07
CN1428227A (zh) 2003-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76106B2 (en) Safety cutter with guard-actuated blade deployment
US11992964B2 (en) Safety cutter with blade change/storage mechanism
CA1248085A (en) Single vertical motion feedtube protector and actuator for a food processor
CA2534223C (en) Saw tool
US20100175267A1 (en) Utility knife including a locking mechanism and/or ratcheting mechanism
EP1236530B1 (en) Blade clamp suitable for reciprocating power tools
KR100243857B1 (ko) 커터 나이프
US6189218B1 (en) Grip-type lockable cutter knife
US20060117467A1 (en) Shield mounting device for helmet
US10093026B2 (en) Safety cutter with blade depth selector/interlock mechanism
KR100309122B1 (ko) 절단기
US20020188309A1 (en) Scalpel blade guard
EP1600038B1 (en) A battery compartment for a hearing aid
JP5121135B2 (ja) シャープコンテナおよびコンテナ内への針の収納方法
US6958455B1 (en) Lock-on/lock-off tool switch
CA2034345C (en) Rotatable trip test assembly for molded case cirtuit breakers
CA2481333C (en) Foldable utility knife
US5713464A (en) Disc holder
GB2409658A (en) Foldable utility knife
US4841394A (en) Cover mechanism for a recording medium holding device
JP4347109B2 (ja) 鋏、鋏の組付方法及びケース付き鋏
TWI700167B (zh) 工具刀
KR200277191Y1 (ko) 립스틱 케이스
KR200206857Y1 (ko) 디스크 케이스
JP3529913B2 (ja) 携帯機器における電池ロック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30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1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3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3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4

Year of fee payment: 1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