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7191Y1 - 립스틱 케이스 - Google Patents

립스틱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7191Y1
KR200277191Y1 KR2020010038321U KR20010038321U KR200277191Y1 KR 200277191 Y1 KR200277191 Y1 KR 200277191Y1 KR 2020010038321 U KR2020010038321 U KR 2020010038321U KR 20010038321 U KR20010038321 U KR 20010038321U KR 200277191 Y1 KR200277191 Y1 KR 20027719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pstick
guide hole
guide
inner body
oute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832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정원
Original Assignee
(주)베스테크화장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베스테크화장품 filed Critical (주)베스테크화장품
Priority to KR202001003832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719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719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7191Y1/ko

Links

Landscapes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립스틱을 사용할 때 그 립스틱이 입술에 눌리더라도 립스틱이 케이스 내로 밀려들어가는 것을 방지하여 그 사용을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이러한 본 고안은 립스틱 케이스에 있어서, 소정직경과 길이를 갖는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그 내주면에는 나선형의 가이드홈을 갖는 외체; 상기 외체의 내측에 제자리 회전되게 설치되며 외주면에는 수직방향으로 가이드공이 형성되며 하부에는 손잡이를 갖는 내체; 상기 내체의 가이드공을 관통하여 외체의 가이드홈에 위치하는 가이드돌기를 형성하고 상부에는 립스틱을 탑재하여 내체의 가이드공을 따라 상하 작동되어 립스틱을 승하강시키는 승하강부재; 및 상기 가이드공에 구비되어 승하강부재가 승강된 상태에서 외부의 강제적인 힘에 의해 하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립스틱 케이스{a lipstick case}
본 고안은 립스틱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립스틱을 사용할 때 그 립스틱이 입술에 눌리더라도 립스틱이 케이스 내로 밀려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여 그 사용의 편리성을 갖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입술을 화장하는 립스틱은, 통상 립스틱 케이스 내에 내장되며내장된 립스틱이 승하강되도록 립스틱케이스를 정역회전시켜 사용하도록 되어 있는 것으로, 이러한 종래 립스틱 케이스는 외체와 내체 및 승하강부재로 구성되며 그 외체의 상부를 개폐하는 뚜껑을 포함한다.
상기 외체는 소정직경과 길이를 갖는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그 내주면에는 가이드홈이 나선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내체는 소정직경과 길이를 갖는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그 하단부는 내체를 손으로 잡고 회전시키기 위한 손잡이부가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수직방향으로 소폭과 길이를 갖고 관통형성 되는 가이드공이 양측에 대향하도록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내체를 상기 외체의 내부에 제자리 회전 가능하게 설치한다.
상기 승하강부재는 내체의 가이드공을 관통하여 외체의 가이드홈에 위치되도록 하는 가이드돌기가 형성되고 상부에는 립스틱이 탑재되어 상기 내체의 손잡이를 정역회전 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가이드공을 따라서 승하강부재가 승하강되어 립스틱을 외체의 상단부로 돌출 및 수납시키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립스틱케이스는 승하강부재의 지지력이 약하여 립스틱을 사용시 립스틱을 입술에 바르는 힘에 의해서 하방으로 눌려짐으로써 립스틱이 점자 케이스 내로 밀려들어가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립스틱을 사용하 때에는 상기 손잡이를 수시로 돌려주어야 함으로서 많은 불편함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립스틱을 사용할 때 그 립스틱이 입술에 눌리더라도 립스틱이 케이스 내로 밀려들어가는 것을 방지하여 그 사용을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한 립스틱 케이스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립스틱 케이스의 구조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립스틱 케이스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립스틱 케이스의 요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a와 도 4b는 본 고안에 따른 여러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외체 12 - 가이드홈
20 - 내체 22 - 가이드공
30 - 승하강부재 32 - 가이드돌기
40 - 걸림수단 42 - 걸림턱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립스틱 케이스에 있어서, 소정직경과 길이를 갖는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그 내주면에는 나선형의 가이드홈을 갖는 외체; 상기 외체의 내측에 제자리 회전되게 설치되며 외주면에는 수직방향으로 가이드공이 형성되며 하부에는 손잡이를 갖는 내체; 상기 내체의 가이드공을 관통하여 외체의 가이드홈에 위치하는 가이드돌기를 형성하고 상부에는 립스틱을 탑재하여 내체의 가이드공을 따라 상하 작동되어 립스틱을 승하강시키는 승하강부재; 및 상기 가이드공에 구비되어 승하강부재가 승강된 상태에서 외부의 강제적인 힘에 의해 하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걸림수단은 가이드공의 어느 일측 상부에 그 가이드공의 폭을 넓게 구성하여 계단상의 걸림턱을 갖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걸림턱은 다단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립스틱 케이스의 구조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립스틱 케이스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립스틱 케이스는 외체(10)를 구비하고 있다. 이 외체(10)는 소정직경과 길이를 갖는 원통형상으로써 상하부가 개방되어 있고, 내측면에는 가이드홈(12)이 나사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립스틱 케이스는 내체(20)를 구비하고 있다. 이 내체(20)는 소정직경과 길이를 갖는 원통형상으로써 상기 외체(10)의 내부에 제자리 회전가능 하게 조립된다. 그리고 상기 내체(20)의 하단부에는 내체(20)를 정역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손잡이(26)가 구비되며, 외면에는 가이드공(22)이 형성되어 있다. 이 가이드공(22)은 상기 내체(20)의 측면에 대향되도록 형성되며 그 상하단에는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걸림공(24a,24b)을 갖는다. 이 걸림공(24a,24b)은 상기 내체(20)의 회전되는 방향의 후방으로 향한다.
본 고안에 따른 립스틱 케이스는 승하강부재(30)를 구비하고 있다. 이 승하강부재(30)는 상부에 립스틱(L)을 탑재할 수 있도록 하며, 외면에는 상기 내체(20)의 가이드공(22)을 관통하여 상기 외체(10)의 가이드홈(12)에 위치되도록 하는 가이드돌기(32)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이 가이드돌기(32)는 내체(20)의 손잡이(26)를 정역회전 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가이드홈(12)에 안내되면서 가이드공(22)을 따라 승하강된다.
본 고안에 따른 립스틱 케이스는 걸림수단(40)을 구비하고 있다. 이 걸림수단(40)은 상기 가이드공(22)에 구비되어 승하강부재(30)가 승강된 상태에서 외부의 강제적인 힘에 의해 강제적으로 하강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 이는 본 고안의 특징으로 이루는 부분이다.
상기 걸림수단(40)은 가이드공(22)의 어느 일측 상부에 그 가이드공(22)의 폭을 넓게 구성하여 계단상의 걸림턱(42)을 갖도록 한 것으로, 이러한 걸림수단(40)을 도 3에 자세하게 나타내었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립스틱 케이스의 요부 구성인 걸림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상기 걸림수단(40)은 내체(20)에 형성된 가이드공(22)의 일측에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내체(20)의 회전 방향에 대하여 뒤쪽에 위치하는 일면 상부측을 절개하여 그 가이드공(22)의 폭을 넓게 구성함으로서 계단상의 걸림턱(42)을 갖도록 한다. 즉, 상기 가이드공(22)의 일측에 형성되는 걸림턱(42)은 상기 내체(20)가 우측으로 회전되어 승하강부재(30)가 승강되도록 되어 있으면 가이드공(22)의 왼쪽으로 위치하도록 형성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도 3에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내체(20)를 화살표 방향 즉, 오른쪽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승하강부재(30)의 가이드돌기(32)는 나선형으로 형성된 가이드홈(12)에 안내되면서 가이드공(22)을 따라 승강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돌기(32)는 왼쪽편으로 힘이 쏠리게 되어 가이드공(22)의 왼쪽편에 위치되어 작동된다.
그리고, 상기 승하강부재(30)의 하강시에는 상기 승강시와는 반대로 상기 가이드돌기(32)는 오른쪽으로 힘이 쏠리게 되어 가이드공(22)의 오른쪽편에 위치되어 작동된다.
이와 같이 상기 가이드돌기(32)가 승강시와 하강시에 각각 가이드홈(12)의 왼쪽편과 오른쪽편에 각각 다르게 접촉하여 작동하는 것은 상기 가이드돌기(32)가 나선형의 가이드홈(12)에 안내되면서 승하강되기 때문이다. 즉, 나선형의 가이드홈(12)에 의해 그 가이드돌기(32)에 미치는 힘이 각각 반대방향으로 향하기때문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승하강부재(30)를 승강시켜 그 승하강부재(30)에 탑재된 립스틱(L)이 외체(10)의 상부로 돌출되도록 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이때 외부에서 강한 힘을 받게되면 즉, 립스틱을 입술에 바를 때 그 힘이 강하게 되면 상기 승하강부재(30)는 강제적으로 밀리려고 하는데, 본 고안은 상기 걸림수단(40)에 구비된 걸림턱(42)에 의해 걸려 상기 승하강부재(30)가 밀리지 않도록 한다.
이와 같이 외부의 강제적인 힘에 의해서도 립스틱(L)을 탑재하고 있는 승하강부재(30)가 강제적으로 밀리지 않고 상기 걸림턱(42)에 걸리는 것은, 상기 승하강부재(30)가 정상적으로 하강될 때에는 가이드돌기(32)에 오른쪽으로 힘이 가해져 가이드공(22)의 오른쪽편에 위치하면서 하강되나, 상기 승하강부재(30)가 외부의 강제적인 힘에 의해 강제적으로 하강될 때에는 상기 가이드돌기(32)의 아래쪽으로 힘이 가해지면서 가이드홈(12)을 강제적으로 밀고 내려감으로서 그 가이드돌기(32)가 가이드공(22)에 계단상으로 구비된 걸림턱(42)에 걸리게 된다.
이를 다시 설명하면, 상기 승하강부재(30)가 정상적으로 하강될 때에는 가이드돌기(32)가 나선형으로 형성된 가이드홈(12)에 안내되면서 그 나선 방향으로 힘을 받으면서 하강되므로 정상적으로 가이드공(22)에 의해 하강될 수 있다. 그러나, 강제적으로 하강하게 되면 상기 가이드돌기(32)는 나선형으로 형성된 가이드홈(12)에 안내되면서 나선방향으로 힘을 받는 것이 아니라 하방향으로 힘을 받게되어 상기 가이드홈(12)을 밀면서 하강되어 걸림턱(42)에 걸릴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승하강부재(30)가 강제적으로 하강될 때작용하는 힘에 의해 가이드돌기(32)가 걸림턱(42)에 걸리도록 하여 립스틱의 강제적인 하강을 방지할 수 있어 사용상에 립스틱이 케이스 내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걸림수단의 원리를 이용한 가이드공의 여려 형상을 도 4a와 도 4b에 나타내었다.
도 4a와 도 4b는 본 고안에 따른 여러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상기 걸림수단(40)에 구비되는 걸림턱(44a,44b)은 다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는 상기 립스틱(L)의 길이에 따라 상기 승하강부재(30)를 완전히 승강시켜 사용하거나 혹은 약간만 승강시켜 사용하게 되는데, 이때에도 외부의 강제적인 힘에 의해 하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특히, 본 실시예에 따르면, 도 4a는 상기 걸림턱(44a,44b)을 2단의 계단 상으로 걸림턱(44a,44b)을 형성한 것이고, 도 4b는 상기 걸림턱(44a,44b)을 형성하기 위한 가이드공(22)의 일측면의 절개되는 부분을 상하부에 각각 두 군데 형성한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걸림턱(44a,44b)을 형성하여도 그 작동되는 원리는 위에서 설명한 본 고안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강제적으로 하강될 때에는 가이드돌기(32)에 작용하는 힘이 가이드홈(12)의 나선방향으로 작용하지 않음으로서 상기와 같이 걸림턱(44a,44b)을 형성하여도 동일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 설명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립스틱 사용하기 위하여 립스틱이 상부로 돌출되도록 승강시킨 상태에서 강제적으로 케이스내로 밀려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립스틱을 입에 바를 때 발생되는 힘에 의해서 하강되는 것을 방지하여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립스틱 케이스에 있어서,
    소정직경과 길이를 갖는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그 내주면에는 나선형의 가이드홈을 갖는 외체;
    상기 외체의 내측에 제자리 회전되게 설치되며 외주면에는 수직방향으로 가이드공이 형성되며 하부에는 손잡이를 갖는 내체;
    상기 내체의 가이드공을 관통하여 외체의 가이드홈에 위치하는 가이드돌기를 형성하고 상부에는 립스틱을 탑재하여 내체의 가이드공을 따라 상하 작동되어 립스틱을 승하강시키는 승하강부재; 및
    상기 가이드공에 구비되어 승하강부재가 승강된 상태에서 외부의 강제적인 힘에 의해 하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립스틱 케이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수단은 가이드공의 어느 일측 상부에 그 가이드공의 폭을 넓게 구성하여 계단상의 걸림턱을 갖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립스틱 케이스.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턱은 다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립스틱 케이스.
KR2020010038321U 2001-12-12 2001-12-12 립스틱 케이스 KR20027719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8321U KR200277191Y1 (ko) 2001-12-12 2001-12-12 립스틱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8321U KR200277191Y1 (ko) 2001-12-12 2001-12-12 립스틱 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7191Y1 true KR200277191Y1 (ko) 2002-06-03

Family

ID=731139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8321U KR200277191Y1 (ko) 2001-12-12 2001-12-12 립스틱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7191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0899Y1 (ko) 2012-05-09 2014-01-15 리-춘 찬 개량된 립스틱 중간 관 조립 구조물
KR200485580Y1 (ko) * 2017-04-29 2018-03-14 김석영 리필 기능을 갖는 당구 쵸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0899Y1 (ko) 2012-05-09 2014-01-15 리-춘 찬 개량된 립스틱 중간 관 조립 구조물
KR200485580Y1 (ko) * 2017-04-29 2018-03-14 김석영 리필 기능을 갖는 당구 쵸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36245B1 (en) Door stopper
KR20080001830U (ko) 펌프용기의 누름버튼 잠금장치
KR200277191Y1 (ko) 립스틱 케이스
KR101515386B1 (ko) 화장품 케이스
KR101491385B1 (ko) 용기용 캡의 구조
KR200151869Y1 (ko) 립스틱 승강장치
KR102338343B1 (ko) 도어용 잠금장치
KR101491384B1 (ko) 용기용 캡의 구조
KR100355475B1 (ko) 맨홀뚜껑 잠금장치
KR200255135Y1 (ko) 립스틱 케이스의 뚜껑 자동 개폐구조
KR200312551Y1 (ko) 옷걸이용 포스트
KR200217580Y1 (ko) 맨홀뚜껑 잠금장치
RU2004107266A (ru) Способ запирания внешней оконной рамы, запирающий механизм и окно с коробкой
KR200208525Y1 (ko) 배전반 개폐문의 잠금장치
KR200354276Y1 (ko) 주방용 가구의 도어 로킹구조
KR100414974B1 (ko) 도어 및 윈도우용 잠금장치
KR200175502Y1 (ko) 자동우산용 승강슬라이더
KR200217590Y1 (ko) 립스틱 케이스
KR200197520Y1 (ko) 화장용품 케이스
EP0859107A1 (fr) Dispositif de fermeture pour éléments déplaçables en coulissement
KR200319183Y1 (ko) 샤프심통
JP2736007B2 (ja) 門 扉
JP3705027B2 (ja) 扉閉止具
JP4079310B2 (ja) 開閉戸の昇降係合ロッド用係止機構
JPH0515034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