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1385B1 - 용기용 캡의 구조 - Google Patents

용기용 캡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1385B1
KR101491385B1 KR20130165302A KR20130165302A KR101491385B1 KR 101491385 B1 KR101491385 B1 KR 101491385B1 KR 20130165302 A KR20130165302 A KR 20130165302A KR 20130165302 A KR20130165302 A KR 20130165302A KR 101491385 B1 KR101491385 B1 KR 1014913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hole
groove
guide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653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종서
Original Assignee
최종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종서 filed Critical 최종서
Priority to US14/152,830 priority Critical patent/US9731880B2/en
Priority to FR1450812A priority patent/FR3014421B1/fr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13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13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0068Jars
    • A45D40/0075Jars with dispens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32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brushes or rods for applying or stirring content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1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for discharging drops; Dro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0Closures with means for discouraging unauthorised opening or removal thereof, with or without indicating means, e.g. child-proof closures
    • B65D50/02Closures with means for discouraging unauthorised opening or removal thereof, with or without indicating means, e.g. child-proof closures openable or removable by the combination of plural actions
    • B65D50/06Closures with means for discouraging unauthorised opening or removal thereof, with or without indicating means, e.g. child-proof closures openable or removable by the combination of plural actions requiring the combination of different actions in succession
    • B65D50/061Closures with means for discouraging unauthorised opening or removal thereof, with or without indicating means, e.g. child-proof closures openable or removable by the combination of plural actions requiring the combination of different actions in succession being disengageable from container only after rotational alignment of closure, or other means inhibiting removal of closure, with container, e.g. tortuous path type
    • B65D50/062Closures with means for discouraging unauthorised opening or removal thereof, with or without indicating means, e.g. child-proof closures openable or removable by the combination of plural actions requiring the combination of different actions in succession being disengageable from container only after rotational alignment of closure, or other means inhibiting removal of closure, with container, e.g. tortuous path type the closure removal inhibiting means being a displaceable 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8Arrangements of closures with protective outer cap-like covers or of two or more co-operating clos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기(1)에 결합되어 용기를 개폐시키는 용기용 캡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용기(1)의 상단에 개폐가능토록 결합되는 원통형 내캡(200)과; 상기 내캡(200)의 외경으로 삽입되어 내캡(200)과 결합되는 원통형 외캡(300)과; 상기 외캡(300)과 내캡(200)으로 삽입되는 부속품(100)과; (추가됨) 상기 내캡(200)의 상단에서 하향으로 일정 폭과 깊이로 절개형성되며, 일측 절개면의 외경면에서 내경면을 향하여 곡선 또는 사선으로 점차 확장되도록 고정안내면(212)이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홈(210)과; 상기 내캡(200)의 내경에 미끄럼접촉되도록 삽입되는 원통형 작동부(400)와; 상기 작동부(400)의 상단에서 수직하부로 부분절결되어 형성되며, 내, 외경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홈형태의 절곡홈(524)이 형성된 구동부(500)와; 상기 구동부(500)가 절곡홈(524)을 중심으로 작동부(400) 내경의 중심과 외경의 외측을 향하여 왕복회동되도록 하기 위한 회동부재와; 상기 부속품(100)을 잠그거나 잠금해제시키는 착탈부재를 포함한다.
따라서, 용기에 결합되는 캡을 분리하지 않은 상태에서 캡에 부속되어 있는 부속품을 결합고정시키거나 캡으로부터 부속품을 분리시켜 용기를 개폐시키도록 하는 용기용 캡의 구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용기용 캡의 구조{Structure of cap for vessel}
본 발명은 용기용 캡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용기에 결합되는 캡을 분리하지 않은 상태에서 캡에 부속되어 있는 부속품을 결합고정시키거나 캡으로부터 부속품을 분리시켜 용기를 개폐시키도록 하는 용기용 캡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용기에 결합되는 캡이 용기로부터 지속적으로 개폐되어야 하는 사용방법을 채택하는 경우, 나사식 결합구조를 채택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나사식 결합구조는 캡을 개폐하기 위하여 캡을 여러 번 회전시켜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으며, 이에 따라, 캡의 잦은 개폐가 요구될 경우 매번 캡을 회전시켜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한편, 상기한 용기가 화장품 용기에 채택될 경우의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1)에 캡(3)이 나사구조로 결합되고, 이 캡(3)에는 스포이드, 마스카라의 스틱 등이 일체형으로 결합된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용기(1) 내부의 화장품 용액을 사용하고자 한다면, 캡(3)을 여러 번 회전시켜 용기(1)로부터 도 1과 같이 캡(3)을 해체한 후, 용기(1) 내부에 수용된 물질을 사용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아울러, 상기 캡(3)에 스포이드나 마스카라의 스틱 또는 브러쉬등이 결합될 경우, 용기(1)로부터 해체한 상태에서 스포이드나 마스카라 등을 사용할 때에는 스포이드의 하단이 바닥면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상태에서 사용되어질 수밖에 없다는 단점 때문에 용기(1)의 바닥면에 잔류하는 용액은 스포이드를 이용하여 사용하지 못하여 용기(1)를 거꾸로 뒤집어서 용액을 손바닥이나 환부에 직접 사용해야 하므로 고가의 화장품을 낭비하는 문제점이 있다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용기에 결합되는 캡을 분리하지 않은 상태에서 캡에 부속되어 있는 부속품을 결합고정시키거나 캡으로부터 부속품을 분리시켜 용기를 개폐시키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은, 용기(1)에 결합되어 용기를 개폐시키는 용기용 캡의 구조에 있어서, 상기 용기(1)의 상단에 개폐가능토록 결합되는 원통형 내캡(200)과; 상기 내캡(200)의 외경으로 삽입되어 내캡(200)과 결합되는 원통형 외캡(300)과; 상기 외캡(300)과 내캡(200)으로 삽입되는 부속품(100)과; 상기 내캡(200)의 상단에서 하향으로 일정 폭과 깊이로 절개형성되며, 일측 절개면의 외경면에서 내경면을 향하여 곡선 또는 사선으로 점차 확장되도록 고정안내면(212)이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홈(210)과; 상기 내캡(200)의 내경에 미끄럼접촉되도록 삽입되는 원통형 작동부(400)와; 상기 작동부(400)의 상단에서 수직하부로 부분절결되어 형성되며, 내, 외경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홈형태의 절곡홈(524)이 형성된 구동부(500)와; 상기 구동부(500)가 절곡홈(524)을 중심으로 작동부(400) 내경의 중심과 외경의 외측을 향하여 왕복회동되도록 하기 위한 회동부재와; 상기 부속품(100)을 잠그거나 잠금해제시키는 착탈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용 캡의 구조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회동부재는, 상기 내캡(200)의 상단에서 하부를 향하여 사선으로 또는 수직으로 삽입공(222)이 연장형성되고, 이 삽입공(222)에서 일측을 향하여 수평 또는 사선으로 구동공(224)이 연장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안내공(220)과; 상기 안내공(220)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삽입되어 돌출되도록 작동부(400)의 외경면에서 안내공(220)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돌출성형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안내돌기(420)와; 상기 안내공(220)으로 돌출되는 안내돌기(420)가 삽입되도록 외캡(300)의 내경면 하단으로부터 수직상부로 연장형성된 구동홈(310)과; 상기 내캡(200)의 고정안내면(212)에 미끄럼접촉되도록 구동부(500)의 외측면 일측에 고정안내면(212)과 대응형성되는 이동안내면(514)과; 상기 구동부(500)를 원주의 중심에서 외측으로 밀어내는 탄성력이 부여된 탄성부재(610)와; 상기 탄성부재(610)가 일부 또는 전체가 삽입되도록 작동부(400) 내경면에 형성된 제1끼움홈(414)과; 상기 탄성부재(610)의 일부가 끼워지도록 구동부(500)의 내측면에 원호형으로 형성된 제2끼움홈(516)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구동공(224)의 일측에서 돌출성형되어 안내돌기(420)가 일측으로 이동한 후 역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제1스토퍼(43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내캡(200)의 외경면에서 돌출성형되며, 수직으로 연장형성된 제2스토퍼(230)와; 상기 외캡(300)이 일측 방향으로 회전하여 제2스토퍼(230)를 넘어간 후 역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외캡(300)의 내경면에 돌출되어 수직으로 연장형성되는 수직돌기(312)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회동부재는, 상기 내캡(200)의 상단에서 하부를 향하여 사선으로 또는 수직으로 삽입공(222)이 연장형성되고, 이 삽입공(222)에서 수평 또는 사선을 향하여 구동공(224)이 연장형성되며, 구동공(224) 끝단에서 하부를 향하여 사선으로 승하강공(226)이 연장형성되고, 승하강공(226)의 끝단에서 수평으로 정지공(228)이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안내공(220)과; 상기 안내공(220)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삽입되어 돌출되도록 작동부(400)의 외경면에서 안내공(220)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돌출성형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안내돌기(420)와; 상기 안내공(220)으로 돌출되는 안내돌기(420)가 삽입되도록 외캡(300)의 내경면 하단으로부터 수직상부로 연장형성된 구동홈(310)과; 상기 내캡(200)의 고정안내면(212)에 미끄럼접촉되도록 구동부(500)의 외측면 일측에 고정안내면(212)과 대응형성되는 이동안내면(514)과; 상기 구동부(500)를 원주의 중심에서 외측으로 밀어내는 탄성력이 부여된 탄성부재(610)와; 상기 탄성부재(610)가 일부 또는 전체가 삽입되도록 작동부(400) 내경면에 형성된 제1끼움홈(414)과; 상기 탄성부재(610)의 일부가 끼워지도록 구동부(500)의 내측면에 원호형으로 형성된 제2끼움홈(516)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정지공(228) 일측에서 돌출성형되어 안내돌기(420)가 일측으로 이동한 후 역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제1스토퍼(43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내캡(200)의 외경면에서 돌출성형되며, 수직으로 연장형성된 제2스토퍼(230)와; 상기 외캡(300)이 일측 방향으로 회전하여 제2스토퍼(230)를 넘어간 후 역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외캡(300)의 내경면에 돌출되어 수직으로 연장형성되는 수직돌기(312)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착탈부재는, 상기 구동부(500)의 내측면에 돌출성형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착탈돌기(558)와; 상기 부속품(100) 하부에 형성된 연결부(106)의 외경면에서 원주방향을 따라 홈형태로 형성된 제1착탈홈(118)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착탈부재는, 상기 부속품(100) 하부에 형성된 연결부(106)의 외경면에서 원주방향을 따라 돌출성형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착탈돌기(120)와; 상기 구동부(500)의 내측면에 형성되어 제2착탈돌기(120)에 끼워지는 홈형태의 제2착탈홈(560)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외캡(300)은 내캡(200)의 하단 외경면에 돌출성형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턱(214)에 하향삽입되어 끼워지도록 내경면 하단에 걸림홈(314)이 성형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첫 번째, 외캡을 순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일정각도 회동시키는 것만으로도 캡의 부속품을 잠금고정되거나 잠금해제하여 캡의 부속품을 간편하게 개폐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가진다.
두 번째, 부속품이 승하강되지 않는 상태에서 결합 또는 분리되게 하거나, 미세하게 승하강되면서 결합 또는 분리되게 하여 부속품 사용 시 부속품에 결합되는 스포이드의 펌핑관이나 마스카라의 스틱 및 브러쉬가 용기의 바닥면에 근접배치됨으로써, 용기의 바닥면에 잔류하는 화장품의 잔량 대부분을 사용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가진다.
세 번째, 부속품이 승하강되면서 잠금고정 또는 잠금해제되게 하여 부속품이 출몰되는 구조로 설계할 수 있게 됨으로써, 다양한 형태 또는 구조의 디자인설계가 가능하고, 이에 따라, 소비자에게 구매의욕을 고취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종래 용기에서 부속품이 분리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 제1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제1실시예에 따른 용기에서 부속품이 분리된 상태의 평단면도와 A - A선 종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제1실시예에 따른 부속품이 잠금고정된 상태의 평단면도와 B - B선 종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제1실시예에 따른 용기와 내캡의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 제1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 제2실시예에 따른 용기에서 부속품이 잠금해제된 상태로 돌출된 상태의 평단면도와 C - C선 종단면도.
도 8은 본 발명 제2실시예에 따른 부속품이 잠금고정된 상태로 함몰된 상태를 도시한 평단면도와 D - D선 종단면도.
도 9는 본 발명 제1실시예와 제2실시예에 따른 착탈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 제2실시예에 따른 용기와 내캡의 정면도.
제1, 제2실시예의 공통적 구성요소인 용기(1), 부속품(100), 내캡(200) 및 외캡(300)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용기(1)의 상단에는 통상적으로 원통형 내캡(200)이 나사체결방식으로 결합되게 하는 것이 용이하나,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결합방식에 한정되지 않고 통상적인 방식을 채택하여 다양하게 채택변경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내캡(200)의 외경으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 외캡(300)이 하향삽입되어 결합되는 구조이며, 이때, 상기 외캡(300)은 내캡(200)에 결합된 상태로 회전이 자유로운 구조로서, 바람직하게는, 내캡(200) 하단의 외경면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턱(214)을 돌출성형하고, 이 고정턱(214)에 하향삽입되도록 외캡(300)의 내경면 하단에도 원주방향을 따라 걸림홈(314)을 성형하여 고정턱(214)에 걸림홈(314)이 삽입되는 형태의 구조를 제시함으로써, 내캡(200)에 외캡(300)이 결합된 상태에서 외캡(300)이 자유롭게 회전될 수 있게 된다.
<제1실시예>
제1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을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캡(200)의 상단에는 하향으로 일정 폭과 깊이로 고정홈(210)이 절개형성되어 내, 외경이 서로 관통된 구조를 가지며, 이때, 상기 고정홈(210)은 내캡(200)의 상단에서 서로 대칭적인 구조로 한 쌍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고정홈(210)의 일측 절개면에는 외경면에서 내경면을 향하여 곡선 또는 사선으로 면취되어 고정홈(210)이 내경측으로 갈수록 점차 확장되는 구조로 고정안내면(212)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내캡(200)의 내경으로는 원통형 작동부(400)가 삽입되는 바, 이 작동부(400)의 상단에는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서 수직하부로 각각 일정거리만큼 커팅하여 부분 절결시킴으로써 구동부(500)를 형성하고, 이 구동부(500)의 하단 내, 외경면에는 홈형태로 절곡홈(524)을 형성하여 구동부(500)가 절곡홈(524)을 중심으로 내, 외경을 향하여 원호형태로 좌우회동할 수 있게 한다.
상기 구동부(500)는 고정홈(210)과 대응되는 위치에서 한 쌍이 서로 대칭적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제1실시예에서는 상기 구동부(500)가 절곡홈(524)을 중심으로 작동부(400) 내경의 중심과 외경의 고정홈(210)측을 향하여 왕복회동시키기 위한 회동부재는 작동부(400)를 일정각도로 회동시키면서 구동부(500)가 왕복회동하게 하는 것으로서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내캡(200)에는 도 21 및 도 22와 같이 상단에서 하부를 향하여 사선으로 또는 수직으로 삽입공(222)을 연장형성하고, 이 삽입공(222)에서 일측을 향하여 수평 또는 사선으로 구동공(224)이 연장형성된 안내공(220)이 내캡(200)의 상부에서 서로 대칭적 구조로 이루어지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작동부(400)의 외경면에는 안내공(220)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삽입되어 돌출되도록 대칭적 구조의 안내공(220)과 대응되는 위치에서 안내돌기(420)를 돌출성형한다.
또한, 상기 내캡(200)의 외측에 배치되는 외캡(300)의 내경면에는 안내공(220)에서 돌출되는 안내돌기(420)의 끝단이 삽입되도록 구동홈(310)을 성형하되, 외캡(300)의 내경면 하단으로부터 수직상부로 연장형성되도록 하여 조립 시 구동홈(310)에 삽입된 안내돌기(420)에 의하여 수직방향으로 외캡(300)이 움직이게 될 경우에 간섭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구동공(224)의 일측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스토퍼(430)를 돌출성형하여 안내돌기(420)가 일측으로 이동한 후 역방향으로 이동되려 할 때, 제1스토퍼(430)가 안내돌기(420)에 간섭되게 함으로써, 의도치 않게 안내돌기(420)의 역방향 이동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안내돌기(420)가 사용자에 의해 일측으로 이동한 후, 의도치 않은 상황에서 역방향으로 이동하려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또 다른 실시예는 다음과 같다.
즉, 상기 내캡(200)의 외경면에 제2스토퍼(230)를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시킨 후 수직으로 연장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외캡(300)의 내경면에는 수직돌기(312)를 돌출성형하되, 제2스토퍼(230)와 대응되도록 수직으로 연장형성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상기 외캡(300)의 수직돌기(312)가 일측 방향으로 회전하여 제2스토퍼(230)를 넘어간 후 안내돌기(420) 또는 외캡(300)이 의도치 않게 역방향으로 회전하려 할 때, 제2스토퍼(230)와 수직돌기(312)의 간섭에 의하여 역방향으로의 회전이 방지될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내캡(200)의 고정안내면(212)에 미끄럼접촉되도록 구동부(500)의 외측면 일측에 고정안내면(212)과 대응되도록 곡선 또는 사선으로 이동안내면(514)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작동부(400)의 내경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제1끼움홈(414)을 형성하고 구동부(500)의 내측면에는 원주방향을 따르는 원호형 제2끼움홈(516)을 형성하여 제1끼움홈(414)과 제2끼움홈(516)에 탄성부재(610)가 끼워지도록 하여 탄성부재(610)의 탄성력이 원의 중심에서 외캡(300)방향으로 작용하도록 함으로써, 구동부(500)에는 원주의 중심에서 외측으로 밀려나려하는 힘이 작용하게 한다.
결국, 상기 제1끼움홈(414)에는 개구된 'C'형 구조의 탄성부재(610)의 대부분이 삽입되고, 제2끼움홈(516)에는 탄성부재(610)의 일부분이 삽입되는 구조를 갖는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에서도 내캡(200)의 내측으로 삽입된 부속품(100)을 잠그거나 잠금해제시키는 착탈부재는 두 가지의 실시예를 포함한다.
첫 번째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부(500)의 내측면에 제1착탈돌기(558)를 적어도 하나 이상 돌출성형하고, 부속품(100)의 하부에 형성된 연결부(106) 외경면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홈형태의 제1착탈홈(118)을 형성하여 구동부(500)가 중심방향으로 도 23과 같이 이동하면 제1착탈돌기(558)가 제1착탈홈(118)에 삽입되어 구동부(500)가 부속품(100)을 고정결합시킬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두 번째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부속품(100)의 연결부(106) 외경면에서 원주방향을 따라 제2착탈돌기(120)를 다수 개 돌출성형하거나 하나의 제2착탈돌기(120)를 원주방향으로 연장형성시킬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구동부(500)의 내측면에는 제2착탈돌기(120)에 삽입될 수 있도록 홈형태의 제2착탈홈(560)을 형성하여 구동부(500)가 중심방향으로 이동하면 제2착탈홈(560)이 제2착탈돌기(120)에 삽입되어 구동부(500)가 부속품(100)을 고정결합시킬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상기한 구조로 이루어진 제1실시예의 작용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3의 평단면도는, 구동부(500)가 탄성부재(610)의 탄성력에 의해 중심으로부터 멀어져 구동부(500)의 제1착탈돌기(558)가 부속품(100)의 연결부(106) 외경면에 형성된 제1착탈홈(118)에서 분리된 상태이며, 이 상태에서는 부속품(100)을 용기(1)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따라서, 도 2의 상태에서 부속품(100)이 내캡(200)을 통하여 삽입되면, 도 2의 종단면도와 같이 패킹부재(640)의 상단에 연결부(106)의 하단이 안착되며, 이때, 탄성부재(610)는 제1끼움홈(414)과 제2끼움홈(516)에 삽입된 상태에서 구동부(500)를 중심부로부터 멀어지도록 탄력지지하고, 상기 작동부(400)의 안내돌기(420) 끝단은 외캡(300)의 구동홈(310)에 끼워진 상태에서 안내공(220)의 삽입공(222)과 구동공(224)이 만나는 지점에 위치하게 된다.
한편, 상기 부속품(100)을 내캡(200)에 잠금고정시키는 작동상태는, 외캡(300)을 도 23과 같이 시계방향으로 회동시켜 구동홈(310)에 끼워진 안내돌기(420)가 구동공(224)을 따라 시계방향으로 이동되게 하면, 이때, 안내돌기(420)와 일체로 이루어진 작동부(400)도 시계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홈(210)의 고정안내면(212)이 사선 또는 곡선으로 비스듬하게 구성되어 있으므로, 작동부(400)에서 고정홈(210)으로 회동되어 고정홈(210)에 안착되어진 구동부(500)가 작동부(400)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회동하게 되며, 결국, 고정안내면(212)과 맞닿아 있는 구동부(500)의 이동안내면(514)은 고정안내면(212)을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시계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고정안내면(212)은 도 3의 평단면도와 같이 두께가 점차 두꺼워지므로 구동부(500)가 회동하면서 점차 중심부와 가까워져 도 4와 같이 내캡(200)의 내경면에 밀착되는 상태에 도달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안내돌기(420)가 외캡(300)을 따라 구동공(224)의 끝까지 이동하게 되면, 안내돌기(420)는 구동공(224)에 돌출성형된 제1스토퍼(430) 또는 외캡(300)의 수직돌기(312)와 제2스토퍼(230)의 간섭에 의하여 멈춤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이때,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부(500)의 제6착탈톨기가 연결부(106)의 제1착탈홈(118)에 삽입되어 부속품(100)을 잠금고정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잠금고정된 부속품(100)을 다시 분리하고자 할 경우에는, 외캡(300)을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바, 이때, 상기 안내돌기(420)는 제1스토퍼(430)를 억지로 타고 넘으면서 삽입공(222)측(반시계방향)을 향하여 이동하거나 또는 수직돌기(312)가 제2스토퍼(230)를 억지로 타고 넘으면서 반시계방향을 향하여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안내돌기(420)의 반시계방향 회동에 의하여 작동부(400)와 구동부(50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게 되며, 이때, 외캡(300)을 향하여 밀어내려하는 탄성력을 가지고 있는 탄성부재(610)의 탄성력에 의하여 구동부(500)의 이동안내면(514)이 고정안내면(212)을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중심으로부터 멀어지게 되어 고정홈(210)에 도 3과 같이 안착되고, 이에 따라, 구동부(500)의 제1착탈돌기(558)가 도 3과 같이 부속품(100)의 연결부(106)에 형성된 제1착탈홈(118)에서 분리되어 부속품(100)이 내캡(200)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상태로 전환되어지는 것이다.
<제2실시예>
제2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 6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실시예는 제1실시예의 작동부(400)와 구동부(500)가 부속품(100)을 잠금고정시킨 상태에서 승하강함으로써, 부속품(100)의 또는 연결부(106)의 일부 또는 전부가 외캡(300) 또는 내캡(200)의 내부로 부분 출몰 또는 완전 출몰되게 하는 것으로서, 회동부재의 구성에서 차이점이 있으므로, 그 구성상의 차이점만을 살펴보기로 하며, 작용설명을 통하여 전체적인 구성을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제2실시예의 안내공(220)은 삽입공(222)과 구동공(224)의 구성이 제1실시예와 동일하나, 도 6의 내캡(20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공(224)의 끝단에서 하부를 향하여 사선 또는 곡선으로 승하강공(226)이 연장형성되며, 승하강공(226)의 끝단에서는 수평으로 정지공(228)이 형성되었다는 것이 제1실시예와 다른 점이다.
따라서, 상기 안내공(220)에 삽입된 안내돌기(420)가 구동공(224)을 경유하여 승하강공(226)을 통과할 때에는 작동부(400)와 구동부(500)가 하강하게 되는 것이다.
제2실시예에서는, 도 10과 같이 정지공(228) 일측에 제1스토퍼(430)를 돌출성형시켜 안내돌기(420)가 일측으로 이동한 후 역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게 할 수도 있으며, 내캡(200)의 외경면에는 도 6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스토퍼(230)를 돌출성형하여 수직으로 연장되게 한 후, 외캡(300)의 내경면에 수직돌기(312)를 돌출성형하여 수직으로 연장시킴으로써, 제1실시예에서와 같이 외캡(300)이 일측 방향으로 회전하여 제2스토퍼(230)를 넘어간 후 역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이 방지되게 할 수도 있다.
아울러, 제2실시예의 작동부(400)와 내캡(200)은 도 7의 종단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캡(200)에 작동부(400)가 삽입된 상태에서 작동부(400)의 하부에 빈공간이 형성될 수 있도록 내캡(200)을 수직으로 길게 하거나 작동부(400)를 수직으로 짧게 성형하여 작동부(400)가 수직 승하강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여야 한다는 점이 제1실시예와의 차이점이다.
즉, 상기 작동부(400)의 안내돌기(420)는 안내공(220)을 관통하여 외캡(300)의 구동홈(310)에 끼워진 상태이므로, 안내돌기(420)가 안내공(220)의 승하강공(226)을 따라 이동할 때 작동부(400)도 승하강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예에서도 내캡(200)의 내측으로 삽입된 부속품(100)을 잠그거나 잠금해제시키는 착탈부재는 두 가지의 실시예를 포함한다.
즉, 첫 번째는, 도 6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부(500)의 내측면에 제1착탈돌기(558)를 적어도 하나 이상 돌출성형하고, 부속품(100) 하부에 형성된 연결부(106) 외경면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홈형태의 제1착탈홈(118)을 형성하여 구동부(500)가 중심방향으로 도 23과 같이 이동하면 제1착탈돌기(558)가 제1착탈홈(118)에 삽입되어 구동부(500)가 부속품(100)을 고정결합시킬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두 번째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부속품(100)의 하부에 형성된 연결부(106) 외경면에서 원주방향을 따라 제2착탈돌기(120)를 다수 개 돌출성형하거나 하나의 제2착탈돌기(120)를 원주방향으로 연장형성시킬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구동부(500)의 내측면에는 제2착탈돌기(120)에 삽입될 수 있도록 홈형태의 제2착탈홈(560)을 형성하여 구동부(500)가 중심방향으로 이동하면 제2착탈홈(560)이 제2착탈돌기(120)에 삽입되어 구동부(500)가 부속품(100)을 고정결합시킬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상기한 구조로 이루어진 제2실시예의 작용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7은, 상기 구동부(500)가 중심으로부터 멀어져 구동부(500)의 제1착탈돌기(558)가 부속품(100)의 연결부(106) 외경면에 형성된 제1착탈홈(118)에서 분리된 상태이며, 이때, 탄성부재(610)는 제1끼움홈(414)과 제2끼움홈(516)에 삽입된 상태에서 구동부(500)를 중심부로부터 멀어지도록 탄력지지하고, 상기 작동부(400)의 안내돌기(420) 끝단은 외캡(300)의 구동홈(310)에 끼워진 상태에서 안내공(220)의 삽입공(222)과 구동공(224)이 만나는 지점에 위치하게 된다.
한편, 상기 부속품(100)을 내캡(200)에 잠금고정시키려면, 외캡(300)을 시계방향으로 회동시켜 구동홈(310)에 끼워진 안내돌기(420)가 구동공(224)을 따라 시계방향으로 이동되게 하여 작동부(400)와 구동부(500)도 시계방향으로 회동하게 한다.
따라서, 상기 고정홈(210)에 안착되었던 구동부(500)의 이동안내면(514)이 고정안내면(212)을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시계방향으로 회동하고, 이때, 상기 고정안내면(212)이 도 7의 평단면도와 같이 두께가 점차 두꺼워지는 구조이므로 구동부(500)는 점차 중심부와 가까워지게 되고, 상기 안내돌기(420)가 외캡(300)을 따라 구동공(224)의 끝까지 이동하게 되었을 때, 제1실시예의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부(500)의 제1착탈돌기(558)가 연결부(106)의 제1착탈홈(118)에 삽입되어 부속품(100)을 잠금고정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외캡(300)을 도 8과 같이 시계방향으로 더 회동시키면, 구동홈(310)에 끼워진 안내돌기(420)가 승하강공(226)을 따라 하강하면서 회동하고, 이때, 작동부(400)도 시계방향으로 회동하면서 하강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작동부(400)의 안내홈(410)에 삽입된 구동부(500)도 내캡(200)의 내경면을 따라 회동하면서 하강하게 되는 바, 이때, 구동부(500)의 제1착탈돌기(558)에 삽입된 부속품(100) 연결부(106)의 제1착탈홈(118) 및 연결부(106)와 펌핑부(102)도 도 8의 종단면도와 같이 동반하강하게 되는 것이다.
도 8은 상기 부속품(100)이 외캡(300)의 내부로 완전히 함몰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으나,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서 부속품(100) 또는 연결부(106)의 일부가 함몰될 수도 있으며, 전부가 함몰될 수도 있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채택변경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한 바와 같이 안내돌기(420)가 승하강공(226)의 하단까지 이동된 후 정지공(228)으로 진입하여 이동하게 되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지공(228)에 형성된 제1스토퍼(430)를 안내돌기(420)가 강제로 타고 넘어가서 역방향으로의 이동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으며, 내캡(200)의 외경면에서 제2스토퍼(230)를 돌출성형하여 도 6과 도 8과 같이 수직으로 연장형성시키고, 외캡(300)의 내경면에 수직돌기(312)를 돌출성형하여 제2스토퍼(230)에 대응되도록 수직으로 연장시켜 외캡(300)이 일측 방향으로 회전하여 제2스토퍼(230)를 넘어간 후 역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외캡(300) 또는 내캡(200)의 내부로 함몰된 상태로 잠금고정된 부속품(100)을 다시 분리하고자 할 경우에는, 외캡(300)을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바, 이때, 상기 안내돌기(420)는 제1스토퍼(430)를 억지로 타고 넘으면서 승하강공(226)측(반시계방향)을 향하여 이동하거나 또는 수직돌기(312)가 제2스토퍼(230)를 억지로 타고 넘으면서 반시계방향을 향하여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안내돌기(420)는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면서 승하강공(226)을 따라 승강하게 되고, 이때까지는 제1착탈돌기(558)와 제1착탈홈(118)이 서로 맞물려 있는 상태이므로 작동부(400)와 구동부(500)가 승강함에 따라 부속품(100)도 동반승강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안내돌기(420)가 승하강공(226)의 상단의 구동공(224)에 도달하면 부속품(100)이 완전히 돌출된 상태가 되며, 여기서, 반시계방향으로 외캡(300)을 더 회동시키면 안내돌기(420)가 구동공(224)을 따라 삽입공(222)측으로 이동하면서 구동부(500)가 고정홈(210)에 근접하게 되고, 탄성부재(610)의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구동부(500)의 이동안내면(514)이 고정안내면(212)을 따라 슬라이딩하면서 구동부(500)가 고정홈(210)에 안착되는 것이다.
따라서, 구동부(500)가 고정홈(210)에 안착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착탈돌기(558)가 제1착탈홈(118)으로부터 분리되므로, 사용자는 부속품(100)을 용기(1)로부터 분리하여 용기(1)를 개방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용기에 결합되는 캡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 캡의 부속하는 부속품(100)을 손쉽고 간단하게 개폐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그 사용을 편리하게 하는 것이며, 특히,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속품(100)에 스포이드(104), 마스카라의 스틱, 브러쉬 등을 결합시켜 부속품(100)에 결합된 기구를 간단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할 수도 있다.
100 : 부속품
104 : 스포이드 106 : 연결부
118 : 제1착탈홈 120 : 제2착탈돌기
200 : 내캡 210 : 고정홈
212 : 고정안내면 220 : 안내공
222 : 삽입공 224 : 구동공
226 : 승하강공 228 : 정지공
230 : 제2스토퍼 300 : 외캡
310 : 구동홈 312 : 수직돌기
400 : 작동부 414 : 제1끼움홈
420 : 안내돌기 430 : 제1스토퍼
500 : 구동부 514 : 이동안내면
516 : 제2끼움홈 524 : 절곡홈
558 : 제1착탈돌기 560 : 제2착탈홈
610 : 탄성부재 640 : 패킹부재

Claims (10)

  1. 용기(1)에 결합되어 용기를 개폐시키는 용기용 캡의 구조에 있어서,
    상기 용기(1)의 상단에 개폐가능토록 결합되는 원통형 내캡(200)과;
    상기 내캡(200)의 외경으로 삽입되어 내캡(200)과 결합되는 원통형 외캡(300)과;
    상기 외캡(300)과 내캡(200)으로 삽입되는 부속품(100)과;
    상기 내캡(200)의 상단에서 하향으로 일정 폭과 깊이로 절개형성되며, 일측 절개면의 외경면에서 내경면을 향하여 곡선 또는 사선으로 점차 확장되도록 고정안내면(212)이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홈(210)과;
    상기 내캡(200)의 내경에 미끄럼접촉되도록 삽입되는 원통형 작동부(400)와;
    상기 작동부(400)의 상단에서 수직하부로 부분절결되어 형성되며, 내, 외경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홈형태의 절곡홈(524)이 형성된 구동부(500)와;
    상기 구동부(500)가 절곡홈(524)을 중심으로 작동부(400) 내경의 중심과 외경의 외측을 향하여 왕복회동되도록 하기 위한 회동부재와;
    상기 부속품(100)을 잠그거나 잠금해제시키는 착탈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용 캡의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부재는,
    상기 내캡(200)의 상단에서 하부를 향하여 사선으로 또는 수직으로 삽입공(222)이 연장형성되고, 이 삽입공(222)에서 일측을 향하여 수평 또는 사선으로 구동공(224)이 연장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안내공(220)과;
    상기 안내공(220)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삽입되어 돌출되도록 작동부(400)의 외경면에서 안내공(220)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돌출성형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안내돌기(420)와;
    상기 안내공(220)으로 돌출되는 안내돌기(420)가 삽입되도록 외캡(300)의 내경면 하단으로부터 수직상부로 연장형성된 구동홈(310)과;
    상기 내캡(200)의 고정안내면(212)에 미끄럼접촉되도록 구동부(500)의 외측면 일측에 고정안내면(212)과 대응형성되는 이동안내면(514)과;
    상기 구동부(500)를 원주의 중심에서 외측으로 밀어내는 탄성력이 부여된 탄성부재(610)와;
    상기 탄성부재(610)가 일부 또는 전체가 삽입되도록 작동부(400) 내경면에 형성된 제1끼움홈(414)과;
    상기 탄성부재(610)의 일부가 끼워지도록 구동부(500)의 내측면에 원호형으로 형성된 제2끼움홈(51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용 캡의 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공(224)의 일측에서 돌출성형되어 안내돌기(420)가 일측으로 이동한 후 역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제1스토퍼(4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용 캡의 구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내캡(200)의 외경면에서 돌출성형되며, 수직으로 연장형성된 제2스토퍼(230)와;
    상기 외캡(300)이 일측 방향으로 회전하여 제2스토퍼(230)를 넘어간 후 역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외캡(300)의 내경면에 돌출되어 수직으로 연장형성되는 수직돌기(312)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용 캡의 구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부재는,
    상기 내캡(200)의 상단에서 하부를 향하여 사선으로 또는 수직으로 삽입공(222)이 연장형성되고, 이 삽입공(222)에서 수평 또는 사선을 향하여 구동공(224)이 연장형성되며, 구동공(224) 끝단에서 하부를 향하여 사선으로 승하강공(226)이 연장형성되고, 승하강공(226)의 끝단에서 수평으로 정지공(228)이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안내공(220)과;
    상기 안내공(220)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삽입되어 돌출되도록 작동부(400)의 외경면에서 안내공(220)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돌출성형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안내돌기(420)와;
    상기 안내공(220)으로 돌출되는 안내돌기(420)가 삽입되도록 외캡(300)의 내경면 하단으로부터 수직상부로 연장형성된 구동홈(310)과;
    상기 내캡(200)의 고정안내면(212)에 미끄럼접촉되도록 구동부(500)의 외측면 일측에 고정안내면(212)과 대응형성되는 이동안내면(514)과;
    상기 구동부(500)를 원주의 중심에서 외측으로 밀어내는 탄성력이 부여된 탄성부재(610)와;
    상기 탄성부재(610)가 일부 또는 전체가 삽입되도록 작동부(400) 내경면에 형성된 제1끼움홈(414)과;
    상기 탄성부재(610)의 일부가 끼워지도록 구동부(500)의 내측면에 원호형으로 형성된 제2끼움홈(51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용 캡의 구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정지공(228) 일측에서 돌출성형되어 안내돌기(420)가 일측으로 이동한 후 역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제1스토퍼(4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용 캡의 구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내캡(200)의 외경면에서 돌출성형되며, 수직으로 연장형성된 제2스토퍼(230)와;
    상기 외캡(300)이 일측 방향으로 회전하여 제2스토퍼(230)를 넘어간 후 역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외캡(300)의 내경면에 돌출되어 수직으로 연장형성되는 수직돌기(312)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용 캡의 구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부재는,
    상기 구동부(500)의 내측면에 돌출성형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착탈돌기(558)와;
    상기 부속품(100) 하부에 형성된 연결부(106)의 외경면에서 원주방향을 따라 홈형태로 형성된 제1착탈홈(11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용 캡의 구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부재는,
    상기 부속품(100) 하부에 형성된 연결부(106)의 외경면에서 원주방향을 따라 돌출성형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착탈돌기(120)와;
    상기 구동부(500)의 내측면에 형성되어 제2착탈돌기(120)에 끼워지는 홈형태의 제2착탈홈(56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용 캡의 구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캡(300)은 내캡(200)의 하단 외경면에 돌출성형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턱(214)에 하향삽입되어 끼워지도록 내경면 하단에 걸림홈(314)이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용 캡의 구조.
KR20130165302A 2013-12-06 2013-12-27 용기용 캡의 구조 KR1014913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152,830 US9731880B2 (en) 2013-12-06 2014-01-10 Cap structure for vessel
FR1450812A FR3014421B1 (fr) 2013-12-06 2014-02-03 Structure du bouchon du recipi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1063 2013-12-06
KR20130151063 2013-12-0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91385B1 true KR101491385B1 (ko) 2015-02-10

Family

ID=525917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65302A KR101491385B1 (ko) 2013-12-06 2013-12-27 용기용 캡의 구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731880B2 (ko)
KR (1) KR101491385B1 (ko)
FR (1) FR301442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43760B2 (en) * 2013-11-20 2017-05-09 Jong-Suh Choi Cap structure for vessel
KR102128583B1 (ko) * 2020-01-03 2020-07-08 (주)연우 내용물 토출 용기
KR102409694B1 (ko) * 2021-08-18 2022-06-16 맥센스 주식회사 긴급 대피용 산소마스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43388A (ko) * 2009-10-19 2011-04-27 (주)연우 정량인출이 가능한 스포이드와 이를 구비하는 화장품 용기
KR20120012685A (ko) * 2010-08-03 2012-02-10 (주)연우 개폐가 용이한 스틱형 화장품 용기용 캡
KR101162644B1 (ko) 2011-09-23 2012-07-09 최종서 화장품 용기의 캡
KR101192872B1 (ko) 2011-12-01 2012-10-22 최종서 화장품 용기용 캡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86633A (en) * 1979-09-12 1981-09-01 Kerr Glass Manufacturing Corporation Dropper assembly
US4383618A (en) * 1982-02-12 1983-05-17 Dougherty Brothers Company Childproof container
DE3580712D1 (de) * 1984-07-16 1991-01-10 Rory Ltd Zusammenstellung fuer flaschen bestehend aus einer kappe, einer tropfvorrichtung und einem ring.
US4768682A (en) * 1987-10-26 1988-09-06 The West Company Child-resistant dropper assembly
KR200428274Y1 (ko) * 2006-07-19 2006-10-12 (주)연우 디스펜서 용기
KR100916719B1 (ko) * 2007-11-12 2009-09-14 주식회사 태성산업 화장품용기
KR200453126Y1 (ko) * 2010-07-23 2011-04-13 주식회사 에프에스코리아 스포이드형 화장품 용기
FR2973782B1 (fr) * 2011-04-07 2013-06-21 Valois Sas Distributeur compte-gouttes.
US9237793B2 (en) * 2011-09-23 2016-01-19 Jong-Suh Choi Cap for cosmetic bottle
TWM455413U (zh) * 2013-01-28 2013-06-21 Well Max Beauty Lab Co Ltd 滴管容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43388A (ko) * 2009-10-19 2011-04-27 (주)연우 정량인출이 가능한 스포이드와 이를 구비하는 화장품 용기
KR20120012685A (ko) * 2010-08-03 2012-02-10 (주)연우 개폐가 용이한 스틱형 화장품 용기용 캡
KR101162644B1 (ko) 2011-09-23 2012-07-09 최종서 화장품 용기의 캡
KR101192872B1 (ko) 2011-12-01 2012-10-22 최종서 화장품 용기용 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731880B2 (en) 2017-08-15
US20150158640A1 (en) 2015-06-11
FR3014421A1 (fr) 2015-06-12
FR3014421B1 (fr) 2018-09-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32539B1 (ko) 립스틱 용기
KR101491385B1 (ko) 용기용 캡의 구조
KR101169973B1 (ko) 캡 장치
US8297467B2 (en) Slow cooker
US9220372B2 (en) Glass bowl assembly for bowl lift mixer
KR102057260B1 (ko) 립스틱 용기
KR101597115B1 (ko) 버튼형 펜슬 화장품 용기
KR101491384B1 (ko) 용기용 캡의 구조
JP2016083098A (ja) 繰出容器
KR101945490B1 (ko) 화장품 용기
KR101491383B1 (ko) 용기용 캡의 구조
US9643760B2 (en) Cap structure for vessel
KR101491386B1 (ko) 용기용 캡의 구조
KR20160126566A (ko) 자동 스포이드형 캡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 스포이드형 용기
CN106185594A (zh) 一种吊装锁紧固机构
KR101491387B1 (ko) 용기용 캡의 구조
CN216702355U (zh) 煎烤器
KR101491388B1 (ko) 용기용 캡의 구조
JP5086911B2 (ja) 棚板取付装置
WO2015152251A1 (ja) 注出ポンプの支持装置とそれを用いた注出ポンプと注出容器
JP2008267054A (ja) 可動式シャワーフック
JP2020069367A (ja) 化粧品容器
KR200294027Y1 (ko) 용기의 뚜껑개폐장치
KR100820680B1 (ko) 바닥이 상승되는 화장품 용기
CN110811104B (zh) 一种收纳盒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