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5490B1 - 화장품 용기 - Google Patents

화장품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5490B1
KR101945490B1 KR1020180080503A KR20180080503A KR101945490B1 KR 101945490 B1 KR101945490 B1 KR 101945490B1 KR 1020180080503 A KR1020180080503 A KR 1020180080503A KR 20180080503 A KR20180080503 A KR 20180080503A KR 101945490 B1 KR101945490 B1 KR 1019454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outlet
lifting rod
operating
rece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05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유섭
임성택
Original Assignee
(주)연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연우 filed Critical (주)연우
Priority to KR10201800805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5490B1/ko
Priority to PCT/KR2018/010831 priority patent/WO2020013382A1/ko
Priority to CN201811269568.8A priority patent/CN110710778A/zh
Priority to JP2018203396A priority patent/JP2020006137A/ja
Priority to US16/180,277 priority patent/US20200015571A1/en
Priority to EP18206991.4A priority patent/EP3593670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54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54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6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06Casings wherein movement of the lipstick or like solid is a screwing movement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02Casings wherein movement of the lipstick or like solid is a sliding movement
    • A45D40/04Casings wherein movement of the lipstick or like solid is a sliding movement effected by a screw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06Casings wherein movement of the lipstick or like solid is a screwing movement
    • A45D40/065Casings wherein movement of the lipstick or like solid is a screwing movement with self-contained cover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4Casings for two or more cosmetic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6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 A45D40/28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spreading already applied paint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2040/0006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2040/0025Details of lipstick or like casings

Landscapes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Cosmetics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화장품 용기가 제공된다. 상기 용기는, 양 단부에 제 1 출구 및 제 2 출구가 각각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 영역에 적어도 일부가 외부에 노출되도록 형성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회전하는 조작부; 상기 제 1 출구에 인접하여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며, 제 1 화장품을 수용하는 제 1 수용부; 상기 제 2 출구에 인접하여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며, 제 2 화장품을 수용하는 제 2 수용부; 및 상기 제 1 수용부와 상기 제 2 수용부를 연결하며, 상기 조작부의 회전 방향에 대응하여 상기 제 1 수용부 및 상기 제 2 수용부를 상기 제 1 출구를 향하는 제 1 방향 또는 상기 제 2 출구를 향하는 제 2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승강 로드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화장품 용기{COSMETIC CONTAINER}
본 발명은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조작부의 회전 조작을 통해 복수의 화장품을 선택적으로 인출하여 사용 가능한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장품 용기는, 다양한 종류의 화장품을 수용하면서 화장품이 신체의 특정 부위에 전달되도록 화장품을 인출하는 구조를 갖는데, 화장품 용기의 구조는 화장품 용기에 수용되는 화장품의 성질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일례로 화장품이 립스틱이나 선밤 등과 같이 일정한 스틱 형태를 유지할 수 있는 고형의 화장품일 경우, 화장품 용기는 스틱 형태의 화장품을 지지하는 접시를 갖고, 접시를 승강시켜서 화장품의 인출을 구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종래의 스틱형 화장품 용기는,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외통 및 내통을 포함하며, 사용자가 외통을 잡고 하부로 노출된 내통을 돌리면 스틱형 화장품이 상승하면서 외부로 인출되도록 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는 종래의 스틱형 화장품 용기는, 하단에 외부로 노출된 스크류와 스크류에 나사 결합된 접시를 갖고, 용기를 잡고 스크류를 돌리면 접시가 상승하면서 스틱형 화장품을 외부로 인출시키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최근에는 다양한 화장품이 고형으로 구현되는 추세임에도, 종래의 스틱형 화장품 용기는 내부에 오직 하나의 화장품만을 구비하기 때문에, 화장품 마다 별개 용기를 휴대해야 하는 불편이 있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용기가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조작부의 회전 조작을 통해 복수의 화장품을 선택적으로 인출하여 사용 가능한 화장품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들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화장품 용기가 제공된다. 상기 용기는, 양 단부에 제 1 출구 및 제 2 출구가 각각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 영역에 적어도 일부가 외부에 노출되도록 형성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회전하는 조작부; 상기 제 1 출구에 인접하여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며, 제 1 화장품을 수용하는 제 1 수용부; 상기 제 2 출구에 인접하여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며, 제 2 화장품을 수용하는 제 2 수용부; 및 상기 제 1 수용부와 상기 제 2 수용부를 연결하며, 상기 조작부의 회전 방향에 대응하여 상기 제 1 수용부 및 상기 제 2 수용부를 상기 제 1 출구를 향하는 제 1 방향 또는 상기 제 2 출구를 향하는 제 2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승강 로드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작부는,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 적어도 일부가 노출되어 사용자의 회전 조작을 수신하는 조작휠; 및 상기 조작휠와 연동하여 회전함으로써 회전력을 상기 승강 로드에 전달하는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동부에는 상기 승강 로드가 삽입되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의 내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구동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승강 로드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나선형의 가이드홈에 상기 구동 돌기가 결합되어 상기 조작부의 회전 방향에 대응하여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상이한 방향으로 회전 이동함으로써, 상기 승강 로드가 상기 제 1 방향 또는 상기 제 2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이드홈의 적어도 일 영역에는 상기 가이드홈을 이동하는 상기 구동 돌기와 체결되어 상기 조작부의 회전을 제한하는 적어도 하나의 걸림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작부는 상기 걸림 돌기에 의해 회전이 제한되되, 상기 조작부에 일정 수준 이상의 회전력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구동 돌기가 상기 걸림 돌기에서 이탈함으로써 회전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걸림 돌기는 복수로 구성되며 적어도 일부가 상기 승강 로드의 길이 방향으로 상이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동 돌기의 일 영역에는 상기 걸림 돌기가 삽입되는 걸림홈이 함몰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승강 로드는 상기 제 1 수용부 및 상기 제 2 수용부 중 적어도 하나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 1 출구가 형성되는 제 1 하우징; 및, 상기 제 1 하우징의 상기 제 1 출구의 반대측 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 2 출구가 형성되는 제 2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는, 일 영역이 관통되어 체결홀이 형성되되, 상기 체결홀에 상기 조작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조작부에 대한 회전 조작을 통해 복수의 화장품을 선택적으로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됨으로써, 제품 활용도 및 휴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조작부의 회전을 제한하는 승강 로드의 걸림 돌기가 제 1, 제 2 수용부의 위치를 알려주는 지시자 역할을 수행하게 됨으로써, 사용 편의성이 보다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제 1, 제 2 수용부, 승강 로드 및 조작부의 분해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승강 로드와 조작부의 결합 관계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예시적 동작을 도시한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사용 예시를 도시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 기재되는 편의상 상하좌우의 방향은 도면을 기준으로 한 것이며, 해당 방향으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사시도를 도시하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또한,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제 1, 제 2 수용부, 승강 로드 및 조작부의 분해도를 도시하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승강 로드와 조작부의 결합 관계를 도시한다(특히, 도 4의 (b)는 도 4의 (a)의 a-a'의 수평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화장품 용기는 제 1 캡부(100), 제 2 캡부(200), 하우징(300), 조작부(400), 제 1 수용부(500), 제 2 수용부(600) 및 승강 로드(7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캡부(100) 및 제 2 캡부(200)는 각각 하우징(300)의 제 1 단부 및 이와 길이 방향으로 반대 측에 배치되는 제 2 단부를 감싸도록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여, 하우징(300)의 양 단부에 형성된 제 1 출구(312) 및 제 2 출구(322)를 커버할 수 있다. 제 1 캡부(100) 및 제 2 캡부(200)의 결합을 위해, 제 1 캡부(100) 및 제 2 캡부(200)의 내면 및/또는 하우징(300)의 제 1 단부 및 제 2 단부의 외면에는, 예를 들어, 걸림턱 및/또는 단턱(도면부호 미도시) 등이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외에도 착탈을 위해 사용되는 구조들이 다양하게 변형되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실시예에 따라, 제 1 캡부(100) 및 제 2 캡부(200)의 내면에는 실링부재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실링부재는, 예를 들어, 제 1 캡부(100) 및 제 2 캡부(200)의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며, 제 1 캡부(100) 및 제 2 캡부(200)의 하우징(300)의 외면에 밀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실링부재는 고무, 실리콘, 폴리우레탄 등의 재질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실링부재를 통해, 제 1 캡부(100) 및 제 2 캡부(200)의 결합력을 보다 증대시킬 수 있으며, 외부의 이물질이 하우징(300) 내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하우징(300)은 내측에 화장품(S1, S2) 및 다른 구성요소(즉, 조작부(400), 제 1, 제 2 수용부(500, 600), 승강 로드(700))를 수용할 수 있다. 이때, 하우징(300)의 제 1 단부 및 제 2 단부에는 조작부(400) 및 승강 로드(700)의 구동에 따라 선택적으로 화장품(S1, S2)을 외측으로 인출하기 위하여 제 1 출구(312) 및 제 2 출구(322)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300)은 제 1 하우징(310)과 제 2 하우징(3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하우징(310)과 제 2 하우징(320)에는 각각 제 1 출구(312)와 제 2 출구(322)가 형성되며, 서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결합을 위해, 제 1 하우징(310)의 제 1 출구(312)의 반대측 단부와 제 2 하우징(320)의 제 2 출구(322)의 반대측 단부에는 결합 돌기 및 결합홈(314, 324) 등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외에도 착탈을 위해 사용되는 구조들이 다양하게 변형되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 1 하우징(310)과 제 2 하우징(320)의 내측에는 조작부(400)를 지지하기 위한 제 1 지지부(316) 및/또는 제 2 지지부(도면부호 미도시)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지지부(316)와 제 2 지지부는 중심에 체결홀(도면부호 미도시)이 관통 형성되며, 제 1 지지부(316)의 체결홀에 조작부(400)의 일 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제 2 지지부의 체결홀 둘레 부분에 의해 조작부(400)의 반대측 단부가 지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실시예에 따라, 제 1 캡부(100), 제 2 캡부(200) 및 하우징(300) 중 적어도 하나에는 출구(312, 322)의 방향, 화장품(S1, S2)의 배치 등을 사용자에게 지시하기 위한 소정의 표시 수단이 형성될 수 있다.
조작부(400)는 하우징(300)의 일 영역에 적어도 일부가 외부에 노출되도록 형성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수평 회전할 수 있다. 이러한 조작부(400)의 회전력이 승강 로드(700)에 전달되어 제 1, 제 2 수용부(500, 600)를 하우징(300)의 내면에 밀착된 상태로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하게 할 수 있다.
조작부(400)는 조작휠(410)과 구동부(420)를 포함할 수 있다.
조작휠(410)은 적어도 일부가 하우징(300)의 외부로 노출되어 사용자의 회전 조작을 수신할 수 있다. 조작휠(410)의 외주면에는 사용자의 회전 조작을 보다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복수의 마찰 돌기(도면부호 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구동부(420)는 조작부(400) 내측에 결합되되, 일 단부가 하우징(300)의 제 1 지지부(316)의 체결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구동부(420)의 일 단부에는 제 1 지지부(316)와의 결합을 위해 환형의 함몰홈(422)이 형성될 수 있다.
구동부(420)는 조작부(400)와 연동하여 회전함으로써 조작부(400)의 회전력을 승강 로드(700)에 전달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구동부(420)는 중심에 승강 로드(700)가 삽입되는 관통홀(도면부호 미도시)이 형성되고, 이러한 관통홀의 내면에 적어도 하나의 구동 돌기(424)가 내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동 돌기(424)가 관통홀 내측으로 삽입된 승강 로드(700)의 가이드홈(710)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승강 로드(700)를 제 1 방향 또는 이와 반대되는 제 2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한편, 구동 돌기(424)의 일 영역에는 승강 로드(700)에 형성된 걸림 돌기(720)가 삽입되도록 걸림홈(426)이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제 1 수용부(500) 및 제 2 수용부(600)는 하우징(300)의 제 1 출구(312)와 제 2 출구(322)에 인접하도록 하우징(300)의 내부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제 1 수용부(500) 및 제 2 수용부(600)는 하우징(300)의 내부 형상에 대응하는 접시 형상으로 구성되어, 각각 일 측에 서로 상이한 성분을 가지는 화장품(S1, S2)을 수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수용부(500)는 제 1 출구(312) 측에 제 1 화장품(S1)을 수용하고, 제 2 수용부(600)는 제 2 출구(322) 측에 제 2 화장품(S2)을 수용될 수 있다.
여기서 제 1, 제 2 화장품(S1, S2)은 고형 또는 반고형 화장품을 포함하며, 예를 들어, 스틱형 선크림, 선밤 등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고형 또는 반고형 등으로 구성될 수 있는 다양한 화장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화장품(S1, S2)에 대체하여, 고형 또는 반고형의 소염 진통제 등 의약품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승강 로드(700)는 제 1 수용부(500)와 제 2 수용부(600)를 상호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승강 로드(700)는 일 단부가 제 1 수용부(500)에 결합되고, 반대측 단부가 하우징(300)의 제 1 지지부(316)와 제 2 지지부를 통과하여 제 2 수용부(600)에 결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승강 로드(700)는 제 1 수용부(500) 및 제 2 수용부(600) 중 적어도 하나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출을 통해 승강 로드(700)는 제 1 수용부(500)와 일체로 형성되되, 승강 로드(700)의 일 단부가 제 2 수용부(600)에 형성된 결합부(6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승강 로드(700)는 조작부(400)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이와 연결된 제 1 수용부(500) 및 제 2 수용부(600)와 함께 제 1 출구(312)를 향하는 제 1 방향 또는 제 2 출구(322)를 향하는 제 2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승강 로드(700)에는 조작부(400)의 회전력을 수신하기 위한 나선형의 가이드홈(710)이 외주면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러한 가이드홈(710)에 조작부(400)의 구동 돌기(424)가 결합되어 조작부(400)의 회전 방향에 대응하여 가이드홈(710)을 따라 상이한 방향으로 회전 이동함으로써, 승강 로드(700)가 제 1 방향 또는 제 2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가이드홈(710)의 적어도 일 영역에는 구동 돌기(424)의 이동 및/또는 조작부(400) 회전을 제한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걸림 돌기(720)가 외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즉, 예를 들어, 가이드홈(710)을 이동하는 구동 돌기(424)가 소정의 지점에 형성된 걸림 돌기(720)에 맞물려 체결됨으로써 조작부(400)의 회전이 제한되되, 조작부(400)에 일정 수준 이상의 회전력이 가해지는 경우, 구동 돌기(424)가 걸림 돌기(720)로부터 이탈하게 됨으로써 조작부(400)가 회전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용기는 걸림 돌기(720)를 통해 제 1 수용부(500) 및 제 2 수용부(600)의 하우징(300) 내부에서의 위치를 사용자에게 인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조작부(400)의 회전에 대응하여 구동 돌기(424)가 가이드홈(710)을 따라 이동하다가 걸림홈(426)과 걸림 돌기(720)이 맞물려 체결되면, 조작부(400)에 대한 사용자의 회전 조작에 대하여 일정 수준의 저항을 전달하게 되며, 이러한 저항을 통해, 사용자는 제 1, 제 2 수용부(500, 600)가 특정한 위치에 도달하였음을 인지할 수 있게 된다. 일 실시예에서, 걸림 돌기(720)는 제 1, 제 2 수용부(500, 600)를 각각 하우징(300)의 양 측 출구(312, 322)로부터 동일 거리에 위치시킬 수 있는 승강 로드(700)의 소정의 지점에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이러한 걸림 돌기(720)는 복수로 구성되며, 이들 중 적어도 일부가 승강 로드(700)의 길이 방향으로 상이한 위치에 각각 배치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상이한 위치에 형성된 걸림 돌기(720)를 통해 제 1, 제 2 수용부(500, 600)의 보다 다양한 위치를 인지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예시적 동작을 도시한다.
도 5를 참조하면, 화장품 용기는 조작부(400)의 회전 방향에 대응하여 제 1 출구(312) 및 제 2 출구(322)를 통해 상이한 화장품(S1, S2)을 외측으로 노출(또는, 돌출)시킬 수 있다.
최초(즉, 조작부(400)에 대한 회전 조작 전), 화장품 용기는 제 1, 제 2 화장품(S1, S2)이 모두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며, 조작부(400)의 구동 돌기(424)가 승강 로드(700)의 걸림 돌기(720)에 체결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먼저, 도 5의 (a)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사용자가 일정 수준 이상의 회전력(즉, 구동 돌기(424)를 걸림 돌기(720)로부터 이탈시킬 정도의 회전력)을 가하여 조작부(400)를 일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 1 수용부(500), 제 2 수용부(600) 및 승강 로드(700)가 제 1 출구(312)를 향하는 제 1 방향(도 5에서의 상측)으로 이동하며 제 1 출구(312)의 외측으로 제 1 화장품(S1)이 노출될 수 있다.
이어서, 도 5의 (b)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사용자가 조작부(400)를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 1 수용부(500), 제 2 수용부(600) 및 승강 로드(700)가 제 2 출구(322)를 향하는 제 2 방향(도 5에서의 하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걸림 돌기(720)에 의해 조작부(400)의 회전 조작에 대한 저항이 전달되면, 이로부터, 제 1 수용부(500), 제 2 수용부(600)가 원래 위치로 복귀했음을 인지하게 된다. 계속해서, 사용자가 조작부(400)를 반대 방향으로 더 회전시키면, 제 1 수용부(500), 제 2 수용부(600) 및 승강 로드(700)가 제 2 방향으로 더 이동하게 되며, 제 2 출구(322)의 외측으로 제 2 화장품(S2)이 노출되게 된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사용 예시를 도시한다.
도 6a를 참조하면, 제 1 화장품(S1)을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제 1 화장품(S1)이 상측으로 배치되도록 한 뒤, 제 1 캡부(100)를 분리할 수 있다. 이어서, 사용자는 조작휠(410)을 일 방향으로 회전시켜 제 1 화장품(S1)을 제 1 출구(312)를 통해 상측으로 인출하여 대상 부위에 도포할 수 있다. 사용이 완료되면, 사용자는 조작휠(410)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여, 제 1 화장품(S1)을 하우징(300) 내부로 수용시킨 이후, 제 1 캡부(100)를 다시 하우징(300)에 결합한다.
도 6b를 참조하면, 제 2 화장품(S2)을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화장품 용기의 상하 반전시켜 제 2 화장품(S2)이 상측으로 배치되도록 한 뒤, 제 2 캡부(200)를 분리할 수 있다. 이어서, 사용자는 조작휠(410)을 일 방향으로 회전시켜 제 2 화장품(S2)을 제 2 출구(322)를 통해 상측으로 인출할 수 있다. 이때, 화장품 용기가 상하 반전되기 때문에,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제 1 화장품(S1)을 인출하기 위한 회전 방향과 동일 방향으로 조작휠(410)을 회전시키면, 제 2 화장품(S2)이 외측으로 인출되게 된다. 사용이 완료되면, 사용자는 조작휠(410)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여, 제 2 화장품(S2)을 하우징(300) 내부로 수용시킨 이후, 제 2 캡부(200)를 다시 하우징(300)에 결합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제 1 캡부 200: 제 2 캡부
300: 하우징 310: 제 1 하우징
312: 제 1 출구 314: 결합홈
316: 제 1 지지부 320: 제 2 하우징
322: 제 2 출구 324: 결합 돌기
400: 조작부 410: 조작휠
420: 구동부 422: 함몰홈
424: 구동 돌기 426: 걸림홈
500: 제 1 수용부 600: 제 2 수용부
610: 결합부 700: 승강 로드
710: 가이드홈 720: 걸림 돌기

Claims (10)

  1. 화장품 용기로서,
    양 단부에 제 1 출구 및 제 2 출구가 각각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 영역에 적어도 일부가 외부에 노출되도록 형성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회전하는 조작부;
    상기 제 1 출구에 인접하여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며, 제 1 화장품을 수용하는 제 1 수용부;
    상기 제 2 출구에 인접하여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며, 제 2 화장품을 수용하는 제 2 수용부; 및
    상기 제 1 수용부와 상기 제 2 수용부를 연결하며, 상기 조작부의 회전 방향에 대응하여 상기 제 1 수용부 및 상기 제 2 수용부를 상기 제 1 출구를 향하는 제 1 방향 또는 상기 제 2 출구를 향하는 제 2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승강 로드를 포함하고,
    상기 조작부의 내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구동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승강 로드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나선형의 가이드홈에 상기 구동 돌기가 결합되어 상기 조작부의 회전 방향에 대응하여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상이한 방향으로 회전 이동함으로써, 상기 승강 로드가 상기 제 1 방향 또는 상기 제 2 방향으로 이동하되,
    상기 가이드홈의 적어도 일 영역에는 상기 가이드홈을 이동하는 상기 구동 돌기와 체결되어 상기 조작부의 회전을 제한하는 적어도 하나의 걸림 돌기가 형성되는, 화장품 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 적어도 일부가 노출되어 사용자의 회전 조작을 수신하는 조작휠; 및
    상기 조작휠와 연동하여 회전함으로써 회전력을 상기 승강 로드에 전달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에는 상기 승강 로드가 삽입되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의 내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구동 돌기가 형성되는, 화장품 용기.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상기 걸림 돌기에 의해 회전이 제한되되, 상기 조작부에 일정 수준 이상의 회전력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구동 돌기가 상기 걸림 돌기에서 이탈함으로써 회전되는, 화장품 용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 돌기는 복수로 구성되며 적어도 일부가 상기 승강 로드의 길이 방향으로 상이한 위치에 배치되는, 화장품 용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돌기의 일 영역에는 상기 걸림 돌기가 삽입되는 걸림홈이 함몰 형성되는, 화장품 용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로드는 상기 제 1 수용부 및 상기 제 2 수용부 중 적어도 하나와 일체로 형성되는, 화장품 용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 1 출구가 형성되는 제 1 하우징; 및,
    상기 제 1 하우징의 상기 제 1 출구의 반대측 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 2 출구가 형성되는 제 2 하우징을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는, 일 영역이 관통되어 체결홀이 형성되되, 상기 체결홀에 상기 조작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부가 형성되는, 화장품 용기.
KR1020180080503A 2018-07-11 2018-07-11 화장품 용기 KR1019454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0503A KR101945490B1 (ko) 2018-07-11 2018-07-11 화장품 용기
PCT/KR2018/010831 WO2020013382A1 (ko) 2018-07-11 2018-09-14 화장품 용기
CN201811269568.8A CN110710778A (zh) 2018-07-11 2018-10-29 化妆品容器
JP2018203396A JP2020006137A (ja) 2018-07-11 2018-10-30 化粧品容器
US16/180,277 US20200015571A1 (en) 2018-07-11 2018-11-05 Cosmetic container
EP18206991.4A EP3593670A1 (en) 2018-07-11 2018-11-19 Cosmetic contai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0503A KR101945490B1 (ko) 2018-07-11 2018-07-11 화장품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5490B1 true KR101945490B1 (ko) 2019-02-08

Family

ID=643624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0503A KR101945490B1 (ko) 2018-07-11 2018-07-11 화장품 용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00015571A1 (ko)
EP (1) EP3593670A1 (ko)
JP (1) JP2020006137A (ko)
KR (1) KR101945490B1 (ko)
CN (1) CN110710778A (ko)
WO (1) WO202001338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9729B1 (ko) * 2019-02-13 2020-01-23 주식회사 정민 선스틱 용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898293S1 (en) * 2018-08-16 2020-10-06 Casey James Kell Combined lip balm and floss container with caps on both ends
US20210153628A1 (en) * 2019-11-22 2021-05-27 Brandon Jordan Dual functioning deodorant and moisturizer bottl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90680A2 (en) * 2008-01-14 2009-07-23 Cardia, Laura Container for the motion of a double stick with a single stick holder
US20140134123A1 (en) 2012-11-14 2014-05-15 Jennifer Denise Weeston Deodorant Dispensing Device and Related Methods
KR101415076B1 (ko) 2013-11-22 2014-07-04 이윤수 복합형 입술 화장품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85462B2 (ja) * 1995-06-08 2005-08-17 ロート製薬株式会社 棒状化粧料繰出容器
JPH09276042A (ja) * 1996-04-10 1997-10-28 Tomio Arakawa 口 紅
JP3534547B2 (ja) * 1996-08-01 2004-06-07 鈴野化成株式会社 両軸繰出機構及びこれを有する容器
JP4059643B2 (ja) * 2001-05-22 2008-03-12 ライオン株式会社 噴出容器
CN2713865Y (zh) * 2004-06-10 2005-08-03 庭佑化妆品配件有限公司 一种化妆笔
JP5088948B2 (ja) * 2007-10-09 2012-12-05 株式会社 資生堂 棒状化粧料繰り出し容器
KR20090040709A (ko) * 2007-10-22 2009-04-27 신재경 양방향 립스틱
CN201157092Y (zh) * 2008-03-10 2008-12-03 成都市温江星火专利开发研究所 一管两用化妆品
JP5470004B2 (ja) * 2009-11-17 2014-04-16 竹内工業株式会社 棒状化粧品の収納容器
KR200465758Y1 (ko) * 2011-03-22 2013-03-08 (주)아모레퍼시픽 립스틱 용기
US8979408B2 (en) * 2012-06-26 2015-03-17 Dead Down Wind,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applying solid paint to skin
US9585460B2 (en) * 2013-06-26 2017-03-07 Tuf-Tite, Inc. Screw-based dispenser having locking elevator and elevator retention mechanism
WO2015027207A1 (en) * 2013-08-22 2015-02-26 Hcp Packaging Usa, Inc. Double-ended cosmetic dispenser
US10154720B2 (en) * 2016-07-05 2018-12-18 Crystal International (Group), Inc. Dual end cosmetic containe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90680A2 (en) * 2008-01-14 2009-07-23 Cardia, Laura Container for the motion of a double stick with a single stick holder
US20140134123A1 (en) 2012-11-14 2014-05-15 Jennifer Denise Weeston Deodorant Dispensing Device and Related Methods
KR101415076B1 (ko) 2013-11-22 2014-07-04 이윤수 복합형 입술 화장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9729B1 (ko) * 2019-02-13 2020-01-23 주식회사 정민 선스틱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0006137A (ja) 2020-01-16
CN110710778A (zh) 2020-01-21
WO2020013382A1 (ko) 2020-01-16
US20200015571A1 (en) 2020-01-16
EP3593670A1 (en) 2020-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5490B1 (ko) 화장품 용기
US20180295968A1 (en) Reusable dispenser and cartridge
JP6323764B2 (ja) 二重排出手段を備えるチューブ型化粧品容器
KR101944399B1 (ko) 화장품 용기
KR102005890B1 (ko) 화장품 용기
US10327532B2 (en) Cosmetic container
KR101597115B1 (ko) 버튼형 펜슬 화장품 용기
KR102368145B1 (ko) 스틱형 내용물 용기
JPH04231911A (ja) ペースト状の化粧品用の塗布器アセンブリ
KR200476147Y1 (ko) 힌지 결합과 나사 결합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내부 커버를 구비한 화장품 용기
JP6446232B2 (ja) 繰出容器
US20180020808A1 (en) Telescoping container for liquid cosmetic product
US11490708B2 (en) Reusable dispenser and cartridge
KR101177411B1 (ko) 버튼 잠금수단을 갖는 펜슬형 립글루스 용기
KR20200109003A (ko) 스틱형 화장품 용기
KR20190072788A (ko) 회전 토출식 용기
JP2008206723A (ja) 中皿の上昇機構を備えた容器
KR101491385B1 (ko) 용기용 캡의 구조
KR102005321B1 (ko) 화장품 용기
KR200473937Y1 (ko) 다수개의 립스틱을 갖는 립스틱 용기
KR102005894B1 (ko) 화장품 용기
JP2020069367A (ja) 化粧品容器
JPH10262729A (ja) 棒状化粧品繰り出し容器
KR101491384B1 (ko) 용기용 캡의 구조
KR102093924B1 (ko) 스틱형 화장품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