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6147Y1 - 힌지 결합과 나사 결합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내부 커버를 구비한 화장품 용기 - Google Patents

힌지 결합과 나사 결합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내부 커버를 구비한 화장품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6147Y1
KR200476147Y1 KR2020140005675U KR20140005675U KR200476147Y1 KR 200476147 Y1 KR200476147 Y1 KR 200476147Y1 KR 2020140005675 U KR2020140005675 U KR 2020140005675U KR 20140005675 U KR20140005675 U KR 20140005675U KR 200476147 Y1 KR200476147 Y1 KR 20047614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inner cover
cover
container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567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청아
강성구
Original Assignee
(주)거원
강성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거원, 강성구 filed Critical (주)거원
Priority to KR202014000567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614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614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614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02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with dispensing means, e.g. sprinkling means
    • A45D33/025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with dispensing means, e.g. sprinkling means for compacts, vanity boxes or cas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24Containers with two lids on one side; Containers with several cov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2Casings characterised by a hinged cover
    • A45D40/222Means for closing the l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14Non-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16Non-removable lids or covers hinged for upward or downward movement
    • B65D43/163Non-removable lids or covers hinged for upward or downward movement the container and the lid being made separately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05Details of containers
    • A45D2200/051Airtight contain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06/00Special receptacle or package
    • Y10S206/823Cosmetic, toilet, powder puff

Abstract

본 고안은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파운데이션(foundation)과 같은 화장품을 보관하는 용기에 있어서, 파우더 퍼프(powder puff) 등의 화장용 도구가 보관되는 내부 커버를 이용하여, 화장품 용기 내부의 기밀성을 유지함으로써, 파운데이션과 같은 증발성이 강한 고형의 화장품의 보습 및 보향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힌지 결합과 나사 결합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내부 커버를 구비한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화장품 용기는 힌지 결합되는 외부 커버와, 화장품이 보관되는 저장부를 갖는 본체; 및 화장용 도구가 수납되는 수납부를 갖고, 상기 본체의 일측에 힌지 결합되면서 상기 저장부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저장부를 개폐하는 내부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 커버의 회전에 따른 승하강 변위 시 상기 내부 커버의 제2 힌지부가 상기 본체의 제2 힌지 결합부에서 동반하여 승하강하도록 구비됨으로써,
상기 내부 커버의 선(先) 회동, 후(後) 나사 결합을 통해 상기 저장부가 밀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힌지 결합과 나사 결합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내부 커버를 구비한 화장품 용기{VESSEL FOR COSMETICS}
본 고안은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파운데이션(foundation)과 같은 화장품을 보관하는 용기에 있어서, 파우더 퍼프(powder puff) 등의 화장용 도구가 보관되는 내부 커버를 이용하여, 화장품 용기 내부의 기밀성을 유지함으로써, 파운데이션과 같은 증발성이 강한 고형의 화장품의 보습 및 보향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힌지 결합과 나사 결합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내부 커버를 구비한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이다.
현대에는 화장품이 단순히 미적 요소뿐만 아니라 건강에 대한 욕구까지 충족시키기 위하여 보다 다양해지고 세분화되어 여성의 경우 기본 화장품만 하더라도 최소 10여 개에 이를 정도로 많은 상황이다.
이러한 다양한 화장품은 고체 형태, 분말 형태, 젤 형태, 액체 형태 등 다양한 물상을 가지고 이를 사용하기 위한 도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이에 따라 화장품을 보관하는 용기도 화장품의 종류에 맞게 기능화 되고 있다.
이러한 화장품 중, 파운데이션이라고 불리는 화장품은 피부색을 일정하게 조절하여, 원하는 피부색을 표현하는데 사용되는 화장품으로, 이러한 파운데이션은 피부의 결점인 기미, 주근깨, 잡티 등을 커버해주고 포인트 메이크업을 돋보이게 해준다. 또한 공해나 먼지 자외선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해주면서, 얼굴 윤곽을 수정해 주고 입체감을 주기 때문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그런데 상기한 파운데이션 또는 트윈케이크와 같은 화장품은 주로 고형의 분말 또는 파우더 형태로 제공되는 것이 보통이며, 이러한 화장품은 넓은 면적을 가진 수납부에 화장품이 압축 보관된 상태에서, 화장품의 상면 부분을 스펀지 또는 천으로 된 파우더 퍼프, 또는 붓과 같은 형상의 부드러운 브러시를 이용하여 사용하는 것이 보통이다.
이에 따라 상기와 같은 종류의 화장품이 보관되는 용기는 화장품뿐만 아니라, 거울, 화장용 도구 등을 동시에 수납하여 보관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화장품이 보관되는 용기는 보통 사각 또는 원판형으로 이루어져 상부 커버를 열고 사용하며, 거울은 상부 커버의 내부에 부착되어 있고, 화장용 도구는 화장품이 저장된 본체의 상부를 덮는 내부 커버의 상부에 마련된 수납부에 수납되어 보관되는 구조가 보편화되어 있다.
종래 보편화된 화장품 용기의 구조를 간단하게 살펴보면, 화장품을 수용할 수 있는 내부 커버가 수용되는 용기 본체와, 화장용 도구가 수납되며 상기 용기 본체의 일측에 힌지 결합되는 내부 커버와, 잠금 수단을 이용해 상기 용기 본체의 내부를 개폐하는 외부 커버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보편화된 화장품 용기는 내부 커버의 폐쇄 상태를 기밀하게 유지할 수 있는 별도의 수단이 구비되지 않기 때문에 외부 커버를 개방하여 거울만을 사용할 때 기밀성이 해제되어 증발성이 강한 파운데이션과 같은 화장품의 휘발 물질이 쉽게 증발되는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외부 커버를 통한 기밀성 역시 일정 이상 보장할 수 있는 구조가 아니기 때문에 장기간 사용 시 휘발 물질의 증발을 방지할 수 없는 구조적 한계가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 기술로써,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38735호(2004.01.06.) "기밀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이하 종래 기술이라 함.)가 있는데,
상기 종래 기술은 상술한 구조의 화장품 용기 구조에 있어서, 내부 커버의 상측 내주면에 주입홈을 형성하여, 상기 주입홈에 액상 고무를 충진 경화시켜 경화고무를 통해 기밀성이 보장되도록 한다.
즉, 내부 커버와 외부 커버가 접하는 부위에 경화 고무를 성형시켜, 화장품이 저장된 저장부가 밀폐됨으로써 기밀성을 보장하여 휘발 물질이 증발되는 것을 방지하는데, 이러한 구조는 외부 커버가 폐쇄된 상태에서 내부 커버가 외부 커버에 의하여 가압되면서 기밀한 구조가 유지될 수 있으나, 외부 커버가 개방된 상태에서는 내부 커버가 별도로 가압되지 않게 되므로, 경화 고무를 통한 기밀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통상적으로 화장품 용기를 장기간 사용하는 경우 외부 커버의 힌지 결합 구조가 쉽게 헐거워질 수 있는 것을 감안하면, 경화고무만을 이용한 기밀 구조의 한계가 명확하여, 상기한 문제점을 완전하게 방지할 수 없다.
또한 내부 커버가 용기 내부를 폐쇄한 상태에서 잠금 유지가 되지 않기 때문에, 거울만을 사용할 때에 내부 커버가 쉽게 개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화장품이 쏟아지거나 화장용 도구를 쉽게 분실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내부 커버에도 외부 커버의 잠금 수단과 같은 별도의 잠금(또는 고정) 수단을 도입한 제품이 출시되고 있으나, 본체 내부에 잠금 수단을 추가하는 것은 최근 모든 휴대 물품의 트렌드인 경박단소(輕薄短小)화 경향을 감안하면 적절한 대안이라 할 수 없고,
따라서 상기한 서로 상반되는 두 가지 목적을 모두 달성하기 위해서는 화장품 용기의 제작 및 조립 공정이 복잡해지고, 이에 따른 제조 단가의 상승이 초래되는 바, 화장품의 품질이 아닌 용기의 제조 단가에 의한 가격 결정이 이루어져 소비자에게 매우 불합리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화장품 용기를 구성하는 부재들의 구조 및 크기를 단순, 간소화하면서도 화장품이 저장되는 저장부의 기밀성을 극대화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화장품의 품질 저하를 방지함과 동시에, 고(高) 기밀성을 갖는 화장품 용기를 저렴하게 보급할 수 있도록 힌지 결합과 나사 결합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내부 커버를 구비한 화장품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즉, 본 고안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화장품 용기의 구조에 있어서, 커버의 분실 위험을 줄이면서 사용이 편리한 힌지 결합을 이용한 회동 개폐 구조와, 기밀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나사 결합 구조를 동시에 구현할 수 있도록, 본체의 일측에 힌지 결합되면서 저장부에 나사 결합되어 저장부를 개폐하는 내부 커버를 도입하고, 서로 상충되는 구조로 인하여 개폐가 불가능해지는 것을 해결할 수 있도록 내부 커버의 승하강 변위 시 내부 커버의 제2 힌지부가 본체의 제2 힌지 결합부에서 동반하여 승하강하도록 구비됨으로써, 내부 커버의 선(先) 회동, 후(後) 나사 결합을 통해 저장부가 밀폐되도록 하는 화장품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본 고안은 상기한 서로 상충되는 구조로 결합되는 내부 커버의 제작 및 조립을 쉽게 하여, 제조 공정을 줄임으로써 가격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중공부를 갖는 승강체와, 상기 중공부에서 공회전하도록 결합되는 내부 몸체로 구성된 내부 커버를 도입하여, 내부 몸체만이 저장부에 나사 결합되는 화장품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회동 개폐 시 나사 결합 구조에 의한 간섭을 최소화함과 동시에, 저장부의 기밀성이 보다 확실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저장부 상측으로 돌출된 벽체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벽체 연장부에 나사 결합되는 수용홈을 구비한 내부 몸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화장품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본 고안은 상기한 선(先) 회동, 후(後) 나사 결합 구조의 내부 커버의 개폐 안정성을 확보하고, 힌지 결합 구조의 파손 또는 고장 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2 힌지축이 고정된 상태에서 내부 커버만와 제2 힌지부만이 승하강이 이루어지도록 내부 커버의 제2 힌지부에 수직 방향으로 소정 길이를 갖는 장(長)홈이 도입되어 있는 화장품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화장품 용기는
힌지 결합되는 외부 커버와, 화장품이 보관되는 저장부를 갖는 본체; 및
화장용 도구가 수납되는 수납부를 갖고, 상기 본체의 일측에 힌지 결합되면서 상기 저장부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저장부를 개폐하는 내부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 커버의 회전에 따른 승하강 변위 시 상기 내부 커버의 제2 힌지부가 상기 본체의 제2 힌지 결합부에서 동반하여 승하강하도록 구비됨으로써,
상기 내부 커버의 선(先) 회동, 후(後) 나사 결합을 통해 상기 저장부가 밀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른 화장품 용기에서 상기 내부 커버는
상기 제2 힌지부와 연결되면서 중공부를 갖는 승강체와,
상기 수납부를 갖고, 상기 승강체의 중공부에서 공회전하도록 결합되는 내부 몸체로 구성되어,
상기 내부 몸체가 상기 저장부에 나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화장품 용기에서 상기 본체는 상기 저장부의 벽체에서 상측으로 돌출 연장되며, 외주면에 나사부를 구비한 벽체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 몸체는 상기 수납부의 바닥면 외변을 따라 상측으로 함몰 형성되며, 상기 나사부에 체결되는 대응나사부를 갖는 수용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본 고안에 따른 화장품 용기에서 상기 내부 커버는 제2 힌지부와, 상기 제2 힌지 결합부를 모두 관통하여 결합되는 제2 힌지축을 포함하되,
상기 제2 힌지부는 상기 제2 힌지축이 결합되는 결합공이 수직 방향으로 소정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 장홈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화장품 용기는 선(先) 회동, 후(後) 나사 결합을 통해 상기 저장부가 밀폐되는 내부 커버를 도입함에 따라, 내부 커버의 분실 위험이 없으면서 사용이 편리함과 동시에, 화장품이 보관되는 저장부의 기밀성을 확보함으로써, 화장품의 휘발 물질이 증발되지 않으므로 화장품의 보습 및 보향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어 화장품을 장시간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본 고안에 따른 화장품 용기는 사용이 편리한 힌지 결합 구조와, 기밀성이 극대화되는 나사 결합 구조를 동시에 구현한 내부 커버를 도입함으로써, 일반 화장품 용기에 있어서, 구조 상 서로 상충되어 동시에 채용될 수 없는 양 구조의 장점만을 모두 취합한 새로운 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화장품 용기는 상기한 장점을 모두 구현하면서도 간소화된 구조로 화장품 용기의 제작 및 조립이 가능하므로 경박단소화 경향을 갖는 최근 트렌드에 부합하면서 기능성이 탁월한 화장품 용기를 저렴한 제조 단가로 제공, 보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외관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분해 사시도.
도 3 내지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화장품 용기에서 내부 커버의 작동 상태를 차례로 도시한 단면도들.
도 6 및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및 단면도들.
본 고안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고안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고안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힌지 결합과 나사 결합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내부 커버를 구비한 화장품 용기를 설명함에 있어, 편의를 위하여 엄밀하지 않은 대략의 방향 기준을 도 2 및 도 3을 참고하여 특정하면, 중력이 작용하는 방향을 하측으로 하여 보이는 방향 그대로 상하좌우를 정하되, 잠금 수단(140)이 구비되어 있는 방향을 전면으로 정하여 전, 후를 정하고, 설명에 따라 좌측과 정면, 우측과 후면을 혼용하여 설명하며, 다른 도면과 관련된 고안의 상세한 설명 및 청구범위에서도 다른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이 기준에 따라 방향을 특정하여 기술한다.
또 본 고안에 따른 힌지 결합과 나사 결합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내부 커버를 구비한 화장품 용기를 설명함에 있어,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본체에 보관될 수 있는 화장품(C)으로써 파운데이션(foundation)과 같은 분말 또는 파우더 형태의 화장품을 대표하여 설명하고, 이에 따라 화장용 도구(T)로써 스펀지 또는 천 등으로 제작된 파우더 퍼프(powder puff)를 대표하여 설명하나,
본 고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본질은 휘발성이 강한 물질을 포함 또는 함유하는 화장품의 보습 또는 보향을 장기간동안 유지시키면서도 사용이 편리하도록 하는 화장품 용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으므로, 본 명세서에서 한정되는 물품에 의하여 본 고안의 권리 해석이 제한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힌지 결합과 나사 결합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내부 커버를 구비한 화장품 용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힌지 결합과 나사 결합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내부 커버를 구비한 화장품 용기는 크게 화장품 용기의 전체 외관을 형성하며, 화장품(C)이 수용, 저장되는 본체(100)와, 상기 본체(100)에 내장되어 저장부(111)를 개폐하며 화장용 도구(T)가 수납되는 내부 커버(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우선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0)는 외부 용기(101) 내에 내부 용기(110)가 수납되어 내부 용기의 저장부(111)에 파운데이션과 같은 화장품(C)이 수용되어 보관된다.
상기 본체(100)의 일측에는 제1 힌지 결합부(103)가 구비되어 외부 커버(130)의 제1 힌지부(131)가 제1 힌지축(132)을 통해 서로 힌지 결합됨에 따라 외부 커버(130)의 회동 개폐가 이루어진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제1 힌지 결합부(103)에는 상기 외부 커버(130)가 잠금 해제 상태에서 상시적으로 개방되도록 탄성력을 발휘하는 탄성체(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본체(100)는 내부 용기(110)의 안정적인 수납을 위하여 상부가 개구된 외부 용기(101)와, 외부 용기(101) 상부에 고정, 결합되는 고정 분체(120)로 구성되며, 상기 고정 분체(120)의 하부 외변 둘레를 따라 복수개의 체결돌기(122)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체결돌기(122)가 상기 외부 용기(101)의 외벽 내측면을 따라 형성된 복수개의 체결홈(106)에 후크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 분체(120) 중앙에는 상하로 천공된 수용부가 형성되어 상기 수용부 상에 화장품(C)이 저장되는 저장부(111)를 갖는 내부 용기(110)가 탈착되도록 결합된다.
또 상기 내부 용기(110)에 저장된 화장품(C)을 모두 사용한 경우 내부 용기(110)만을 간편하게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상기 외부 용기(101)의 바닥면에는 탈착공(104)이 천공되어 사용자가 본체(100) 하부에서 내부 용기(110)를 상측으로 가압하여 쉽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한다.
이밖에 상기 외부 용기(101)의 내측면에는 강성 확보를 위한 리브(107)가 추가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외부 커버(130)의 잠금 및 해제를 위한 잠금 수단(140)이 본체(100) 일측에 추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 분체(120) 일측에는 제2 힌지 결합부(121)가 구비되어 있고, 상면에 파우더 퍼프와 같은 화장용 도구(T)가 수납되는 수납부(211)를 갖는 내부 커버(200)의 제2 힌지부(221)가 제2 힌지축(222)을 통해 서로 힌지 결함됨에 따라 내부 커버(200)의 회동 개폐가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내부 커버(200)는 상기 본체(100)와 힌지 결합 구조를 통해 결합될 뿐만 아니라, 상기 본체(100)의 저장부(111)에 나사 결합되어 저장부(111)의 개폐가 이루어진다.
이때 본 고안의 내부 커버(200)는 제2 힌지부(221)가 상기 본체(100)의 제2 힌지 결합부(121) 상에서 승하강되도록 결합됨으로써, 힌지 결합을 통한 회동 개폐와 나사 결합을 통한 회전 개폐가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한다.
즉, 나사 결합 구조의 경우 회전 결합 또는 회전 결합 해제 시 내부 커버(200)의 승하강 변위가 필연적으로 발생하게 되는데, 일반적으로 내부 커버가 본체의 일측에 힌지 결합되어 있는 경우 힌지부 등이 본체의 일측에 고정된 상태이기 때문에 나사 회전을 통한 내부 커버의 승하강이 불가능하므로, 이를 해결하기 위해선 내부 커버의 회전 시 제2 힌지부가 회전에 간섭되지 않는 형태의 구조로 결합되어야 하는데,
예를 들면, 내부 커버와 제2 힌지부가 서로 결합되어 있되 내부 커버의 회전 시 제2 힌지부가 동반 회전되지 않으면서 내부 커버만이 회전되면서 승하강 변위가 이루어지는 2중 또는 3중 이상의 복합 결합 구조,
또는 내부 커버의 회전 시 제2 힌지부가 동반 회전하되 제2 힌지부가 결합된 제2 힌지 결합부 역시 동반 회전하면서 승하강되어 내부 커버의 승하강 변위를 간섭하지 않아, 내부 커버가 회동 폐쇄 후 하강 회전 밀폐(또는 상승 회전 후 회동 개방)되는 구조 등이 필요하게 되고,
상기와 예 등과 같은 구조의 도입은 내부 커버(200)와 관련된 다른 부재들의 구조 및 제작이 매우 복잡해져 화장품 용기 전체의 제작 및 조립이 어렵고, 제조 단가가 상승될 수밖에 없는 단점이 있다.
이에 반하여, 본 고안은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커버(200)의 제2 힌지부(221)가 상기 본체(100)의 제2 힌지 결합부(121)에서 승하강하도록 구비됨으로써, 내부 커버(200)와 제2 힌지부(221)가 동반 회전하느냐 또는 동반 회전되지 않느냐에 상관없이, 다양한 방법으로 내부 커버(200)가 저장부(111)에 나사 결합되기만 하면, 내부 커버(200)가 나사 결합 또는 나사 결합 해제되면서 상기 내부 커버(200)의 회전에 따른 승하강 변위 시 상기 내부 커버(200)의 제2 힌지부(221)가 상기 본체(100)의 제2 힌지 결합부(121)에서 동반하여 승하강이 이루어지므로,
내부 커버(200)의 선(先) 회동, 후(後) 나사 결합을 통해 상기 저장부(111)를 밀폐(선(先) 나사 결합 해제, 후(後) 회동을 통한 저장부(111)의 개방을 포함하는 의미임.)가 가능하게 되어, 힌지 결합 구조의 사용 편리성 및 나사 결합 구조의 기밀성을 모두 구현함과 동시에,
그 구조를 간소화하여, 제작 용이성 확보 및 제조 단가 절감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고안은 저장부(111)에 나사 결합되는 내부 커버(200)를 도입함에 따라 내부 커버(200)만을 위한 별도의 잠금 수단을 도입할 필요가 없게 되므로, 종래 보편화된 화장품 용기와 같이, 용기 전체의 크기 및 부피를 최소화함으로써 콤팩트한 화장품 용기를 제공하여 최근의 트렌드인 경박단소화 경향에도 부합되는 효과가 있다.
한편 상기 내부 커버(200)의 나사 결합을 위한 다양한 형태 중 구조 간소화를 통한 목적 달성을 위하여 본 고안의 내부 커버(200)는 상기 제2 힌지부(221)와 연결되면서 중공부(223)를 갖는 승강체(220)와, 상기 수납부(211)를 갖고, 상기 승강체(220)의 중공부(223)에서 공회전하도록 결합되는 내부 몸체(210)로 구성되어, 상기 내부 몸체(210)가 상기 저장부(111)에 나사 결합된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승강체(220)는 중공부(223)를 갖는 링 형상의 부재로써, 일측에 상기 본체(100)의 제2 힌지 결합부(121)에 힌지 결합되는 제2 힌지부(221)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내부 몸체(210)는 상면에 벽체로 둘러싸인 수납부(211)가 형성되고, 벽체의 외주면을 따라 내측으로 함몰 형성된 구속홈(212)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내부 몸체(210)가 상기 승강체(220)의 중공부(223)에 끼워지면서 승강체(220)가 상기 구속홈(212)에 체결되면서 결합되어, 내부 몸체(210)는 승강체(220)에 대하여 공회전만을 하게 되므로, 상기 승강체(220) 즉, 제2 힌지부(221)는 내부 몸체(210)의 회전에 상관없이 회전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도 3과 같이 내부 용기(110)가 개방된 상태에서, 내부 용기(110)를 제2 힌지축(222)을 축으로 회동시켜 도 4와 같이 내부 용기(110)가 상기 저장부(111)를 덮도록 한 다음,
내부 몸체(210)를 나사 결합 방향(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승강체(220)가 내부 몸체(210)에 구속된 상태이므로 내부 몸체(210)가 나사 결합에 의하여 하강 변위됨에 따라 승강체(220)도 동반하여 하강되면서 제2 힌지부(221) 역시 하강하게 되어 저장부(111)가 기밀하게 밀폐된다.
또 반대로 도 5의 상태에서 내부 몸체(210)를 나사 결합 해제 방향(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내부 몸체(210)가 상승 변위됨에 따라 승강체(220) 및 제2 힌지부(221)가 동반하여 상승하게 되어 도 4와 같이 내부 몸체(210)가 저장부(111)에서 이탈되고,
이탈된 내부 용기(110)를 제2 힌지축(222)을 축으로 회동시켜 젖히게 되면 도 3과 같이 저장부(111)가 개방되어 화장용 도구(T)를 사용화여 화장품(C)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저장부(111)와 상기 내부 커버(200)의 나사 결합을 통한 기밀성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상기 내부 용기(110), 즉 본체(100)는 상기 저장부(111)의 벽체에서 상측으로 돌출 연장된 벽체 연장부(111a)를 포함하고, 상기 벽체 연장부(111a)의 외주면에 나사부(112)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내부 몸체(210)는 상기 수납부(211)의 바닥면 외변을 따라 상측으로 함몰 형성된 수용홈(211a)을 포함하고, 상기 수용홈(211a)의 외벽, 즉, 상기 수납부(211) 외측으로 이격 형성된 외벽의 내측면에 상기 나사부(112)에 대응되는 대응나사부가(미도시) 구비되어 내부 커버(200)와 저장부(111) 상호간의 나사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는 통상적으로 내부 용기(110)에 채워지는 화장품(C)은 저장부(111)의 소정 높이까지만 채워지는 것이 보통이므로 이로 인해 발생하는 저장부(111)의 여유 공간에 수납부(211)의 바닥면이 수용되면서 내부 커버(200)와 내부 용기(110)의 결합이 완료되도록 함으로써, 화장품 용기 전체의 높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때 상기 수용홈(211a)의 깊이, 즉 수용홈(211a)을 둘러싼 외벽의 높이는 나사 결합에 의한 내부 커버(200)의 승하강 높이에 상응하도록 결정되어 상승 후 회동 시 벽체 연장부(111a)와 내부 몸체(210)간의 간섭이 없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본 고안의 내부 커버(200)는 제2 힌지부(221)와, 상기 제2 힌지 결합부(121)를 모두 관통하여 결합되는 제2 힌지축(222)을 포함하되,
상기 제2 힌지부(221) 또는 상기 제2 힌지 결합부(121)는 상기 제2 힌지축(222)이 결합되는 결합공이 수직 방향으로 소정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 장홈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 힌지축(222)이 제2 힌지 결합부(121) 상에 고정되도록 결합된 상태에서 제2 힌지부(221)의 결합공을 수직 방향으로 형성된 장홈(221a)으로 형성(제1 방식)하거나,
상기 제2 힌지축(222)이 제2 힌지부(221) 상에 고정되도록 결합된 상태에서 제2 힌지 결합부(121)의 결합공을 수직 방향으로 형성된 장홈(221a)(제2 방식; 미도시)으로 형성하여,
내부 커버(200)가 나사 결합 또는 나사 결합 해제될 때 제2 힌지부(221)의 승하강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한 두 가지의 방식 모두 내부 용기(110)와 함께 제2 힌지부(221)가 동반하여 승하강되는 것에서 그 효과의 차이는 미비하나,
상기 제2 방식의 경우, 회동 시 축이 되는 제2 힌지축(222)이 제2 힌지 결합부(121)에서 자유 변위가 되기 때문에 내부 용기(110)가 저장부(111)를 덮은 상태에서 나사 결합시킬 때 제2 힌지축(222)의 높이가 맞지 않아 내부 몸체(210)의 수평 상태가 어긋나게 되어 나사부(112)와 대응나사부가 잘못 체결될 수 있는데 반하여,
상기 제1 방식의 경우, 회동 시 축이 되는 제2 힌지축(222)이 제2 힌지 결합부(121)에서 고정된 상태이므로, 내부 용기(110)가 저장부(111)를 덮은 상태에서 제2 힌지축(222)의 높이가 일정하게 유지되기 때문에, 나사부(112)와 대응나사부가 어긋나게 체결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는 장점이 있어, 제2 방식보다 제1 방식이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의 차이에 따른 효과의 차이는 미비한 것으로, 본 고안에서 내부 커버(200)의 회전에 따른 승하강 변위 시 상기 제2 힌지부(221)가 상기 본체(100)의 제2 힌지 결합부(121)에서 동반하여 승하강하도록 구비된다는 개념은 상기한 방식들만이 아니라, 다른 방식(예를 들어 제2 힌지 결합부(121)가 텔레스코픽(telescopic) 타입으로 제작되어 제2 힌지부(221)의 승하강이 이루어지는 방식 등)들을 모두 포괄하는 개념이고, 그 본질은 제2 힌지부(221)가 동반하여 승하강 변위되는 것에 있으므로, 본 고안의 권리 해석이 제한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다음으로 본 고안은 도 2의 A로 발췌하여 도시된 평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부 커버(130)의 개폐 상태, 보다 구체적으로는 폐쇄 상태 유지를 위한 잠금 수단(140)을 더 포함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본체(100)의 외부 용기(101)의 일측,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제1 힌지 결합부(103)와 대향되는 전면 일측에 외부 용기(101)의 일부가 절개된 절개부(105)가 형성되며,
상기 절개부(105) 상에 상기 외부 커버(130)를 개페 작동시키는 잠금 수단(140)이 구비된다.
상기 잠금 수단(140)은 본체(100) 외측으로 탄성 지지되는 버튼(141)으로 구성되는데, 버튼(141)을 이용하여 외부 커버(130)의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버튼(141)과 외부 커버(130)의 체결 구조(예를 들어 후크 결합 구조 등)는 공지된 기술로써 도면에서 생략하였으며, 이와 관련된 설명을 생략한다.
또 상기 버튼(141)이 본체(100) 외측으로 탄성 지지되도록 버튼(141)의 양측에는 탄성력을 갖는 한 쌍의 탄성편(142)이 연결되어 있으며, 버튼(141)을 가압하여 누를 때 상기 탄성편(142)이 외부 용기(101)의 벽체 내측면에 접촉됨으로써, 가압 해제 시 버튼(141)이 본체(100) 외측으로 원상 복귀하도록 상기 외부 용기(101)의 바닥면에서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탄성편(142)의 내측면에 접촉하는 구속 돌기(108)가 구비된다.
따라서 버튼(141)을 누르게 되면 상기 구속 돌기(108)에 의하여 탄성편(142) 각각의 끝단부가 외부 용기(101)의 벽체에 접촉하여 상기 구속 돌기(108)를 중심으로 탄성편(142)이 내측으로 휘어지면서 탄성력이 발생하게 되고, 버튼(141)에서 손을 떼게 되면 탄성력에 의하여 버튼(141)이 외측으로 탄성 복귀된다.
이때 상기 탄성편(142)의 끝단부에는 내측으로 돌출 형성된 돌출부(143)가 구비되어 가압 해제 시 탄성편(142)이 구속 돌기(108)에서 벗어나 버튼(141)이 본체(100)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은 상기 외부 커버(130)와 상기 내부 커버(200)가 동시에 회전되도록 하는 연동수단(S)을 통해 내부 커버(200)의 사용을 편리하도록 한다.
즉, 외부 커버(130)가 폐쇄된 상태에서 내부 커버(200)가 회전 개폐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외부 커버의 개방 후 내부 커버(200)를 별도로 회전시킬 필요 없이 회동 개방시켜 화장품을 바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부 커버(130)는 상기 제1 힌지부(131)가 힌지 결합되는 제1 힌지 결합부(103')를 갖고, 상기 외부 용기(101)에서 공회전하도록 결합되는 외부 몸체(102)를 포함하고,
상기 연동수단(S)은 상기 외부 커버(130)의 하면에서 하측으로 돌출 형성된 걸림돌기(133)와,
상기 내부 몸체(210)에 구비되어 상기 걸림돌기(133)가 걸리는 걸림부(213)로 구성되어,
외부 커버(130)가 폐쇄된 상태에서 외부 커버(130)를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내부 몸체(210)가 연동하여 회전되면서 내부 커버(200)의 회전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연동수단(S)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우선 상기 외부 커버(130)의 제1 힌지부(131)가 힌지 결합되는 제1 힌지 결합부(103')를 상기 내부 몸체(210)와 유사한 형태의 외부 몸체(102)에 구비되도록 하여, 외부 커버(130)가 외부 용기(101)에 대하여 회전되도록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걸림돌기(133)와 상기 걸림부(213)는 외부 커버(130)가 폐쇄된 상태에서 서로 동일 위치에 배치되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외부 커버(130)가 폐쇄된 상태에서는 상기 걸림돌기(133)가 상기 걸림부(213)에 삽입되면서 서로 체결되고, 이에 따라 상기 외부 커버(130)를 양측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내부 몸체(210) 역시 동일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므로, 내부 커버(200)가 저장부(111)에 대하여 나사 결합 또는 나사 결합 해제되면서 회전 개폐 작동이 이루어진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화장품을 사용한 후 내부 커버(200)를 회동시켜 내부 커버(200)가 상기 저장부(111)를 덮도록 한 다음,
내부 커버(200)를 회전시키지 않고, 외부 커버(130)를 바로 다시 회동시켜 화장품 용기를 닫은 후 외부 커버(130)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걸림돌기(133)와 상기 걸림부(213)에 의하여 상기 내부 커버(200)의 내부 몸체(210)가 동반하여 회전함에 따라 상술한 회전을 통한 저장부(111)의 기밀 밀폐가 이루어진다.
또, 화장품을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외부 커버(130)의 회동 개방 이전에 외부 커버(130)를 먼저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한 바와 같이, 걸림돌기(133)와 걸림부(213)에 의하여 상기 내부 커버(200)의 내부 몸체(210)가 동반하여 회전하여 상술한 회전을 통한 저장부(111)의 개방이 먼저 이루어지게 되고,
따라서 회전 개방 후 외부 커버(130)와 내부 커버(200)를 순차적으로 회동 개방하기만 하면, 저장부(111)의 화장품을 바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는 일반적으로 화장용 도구를 사용하는 화장품 용기의 경우 한 손으로 용기를 잡은 상태에서 다른 한 손으로 내부 커버(200)의 내부 몸체(210)를 회전 및 회동시켜 개방해야 하는데, 이때 다른 한 손으로는 일반적으로 화장용 도구를 미리 파지한 상태에서 내부 몸체(210)를 회전시켜야 하므로, 주로 손이 작은 여성들이 사용하는 화장품 용기임을 감안하였을 때 사용에 불편함을 느끼지 않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때 상기 걸림부(213)를 상기 외부 커버(130)의 수납부(211) 내측면을 따라 방사상으로 구비되는 다수의 걸림편(213a)으로 구성함으로써, 상기 외부 커버(130)의 걸림돌기(133)가 외부 커버(130) 또는 내부 몸체(210)의 회전 상태에 상관없이 외부 커버(130)를 폐쇄할 때 걸림돌기(133)가 걸림편(213a)들 중 어느 하나에 자동으로 걸리면서 체결되도록 하여, 외부 커버(130)와 내부 몸체(210)의 연동 회전이 상시적으로 보장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외부 커버(130) 역시 외부 용기(101)에 대하여 공회전하도록 구비되는 경우, 사용 중 외부 커버(130)가 의도치 않게 회전하게 되면, 제1 힌지부(131)와 제1 힌지 결합부(103'), 제2 힌지부(221)와 제2 힌지 결합부(121)가 동일 선상에 위치하게 되어 회동 개폐가 불편할 수 있으므로,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외부 몸체(102)는 외부 커버(130)의 회전 범위(또는 정도)를 제한하는 스토핑 수단(미도시)을 구비하여, 외부 커버(130)가 내부 커버(200)의 회전 개폐 범위까지만 회전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상기 스토핑 수단은 상기 외부 커버(130)가 폐쇄된 상태에서만 작동되도록 함으로써, 외부 커버(130)가 열렸을 때 외부 커버(130)가 불필요하게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 이러한 회전되는 외부 커버(130)가 도입되는 경우, 상기 잠금수단(140)은 외부 커버(130)가 폐쇄 작동된 상태에서 외부 커버의 회전에 상관없이 외부 커버(130)의 잠금 상태가 유지되도록 구비되는 것(예를 들어 잠금수단(140)으로써 버튼에 의하여 작동하는 후크 결합 구조가 채용되는 경우, 외부 커버(130)의 내측면에 구비되는 후크 걸림홈(미도시)이 내측면 둘레를 따라 연속적으로 구비되는 형태 등)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힌지 결합과 나사 결합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내부 커버를 구비한 화장품 용기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고안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 : 화장품 T : 화장용 도구
100 : 본체 101 : 외부 용기
102 : 외부 몸체 103 : 제1 힌지 결합부
104 : 탈착공 105 : 절개부
106 : 체결홈 107 : 리브
108 : 구속 돌기
110 : 내부 용기 111 : 저장부
111a : 벽체 연장부 112 : 나사부
120 : 고정 분체 121 : 제2 힌지 결합부
122 : 체결돌기
130 : 외부 커버 131 : 제1 힌지부
132 : 제1 힌지축 133 : 걸림돌기
140 : 잠금 수단 141 : 버튼
142 : 탄성편 143 : 돌출부
200 : 내부 커버 210 : 내부 몸체
211 : 수납부 211a : 수용홈
212 : 구속홈 213 : 걸림부
220 : 승강체 221 : 제2 힌지부
222 : 제2 힌지축 221a : 장홈
223 : 수용부

Claims (4)

  1. 힌지 결합되는 외부 커버와, 화장품이 보관되는 저장부를 갖는 본체; 및
    화장용 도구가 수납되는 수납부를 갖고, 상기 본체의 일측에 힌지 결합되면서 상기 저장부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저장부를 개폐하는 내부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 커버의 회전에 따른 승하강 변위 시 상기 내부 커버의 제2 힌지부가 상기 본체의 제2 힌지 결합부에서 동반하여 승하강하도록 구비됨으로써,
    상기 내부 커버의 선(先) 회동, 후(後) 나사 결합을 통해 상기 저장부가 밀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커버는
    상기 제2 힌지부와 연결되면서 중공부를 갖는 승강체와,
    상기 수납부를 갖고, 상기 승강체의 중공부에서 공회전하도록 결합되는 내부 몸체로 구성되어,
    상기 내부 몸체가 상기 저장부에 나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저장부의 벽체에서 상측으로 돌출 연장되며, 외주면에 나사부를 구비한 벽체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 몸체는 상기 수납부의 바닥면 외변을 따라 상측으로 함몰 형성되며, 상기 나사부에 체결되는 대응나사부를 갖는 수용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커버는 제2 힌지부와, 상기 제2 힌지 결합부를 모두 관통하여 결합되는 제2 힌지축을 포함하되,
    상기 제2 힌지부는 상기 제2 힌지축이 결합되는 결합공이 수직 방향으로 소정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 장홈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KR2020140005675U 2014-07-29 2014-07-29 힌지 결합과 나사 결합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내부 커버를 구비한 화장품 용기 KR20047614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5675U KR200476147Y1 (ko) 2014-07-29 2014-07-29 힌지 결합과 나사 결합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내부 커버를 구비한 화장품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5675U KR200476147Y1 (ko) 2014-07-29 2014-07-29 힌지 결합과 나사 결합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내부 커버를 구비한 화장품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6147Y1 true KR200476147Y1 (ko) 2015-02-03

Family

ID=525904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5675U KR200476147Y1 (ko) 2014-07-29 2014-07-29 힌지 결합과 나사 결합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내부 커버를 구비한 화장품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6147Y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3369U (ko) 2015-03-23 2016-10-04 주식회사 케이알 힌지 개폐 구조를 갖는 화장품용기
KR20180024693A (ko) * 2016-08-31 2018-03-08 정규천 나사 및 힌지의 복합 개방 구조를 갖는 콤팩트 용기
KR20180001540U (ko) * 2016-11-16 2018-05-25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품 용기
KR20180001658U (ko) 2016-11-25 2018-06-05 코스맥스 주식회사 화장품 용기
KR20210026794A (ko) 2019-09-02 2021-03-10 (주)아모레퍼시픽 리필용기의 교체 구조가 개선된 화장품 용기
KR102566426B1 (ko) 2023-02-21 2023-08-17 주식회사 엘코스 리필용기 교체가 용이한 화장품 용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32167A (ko) * 2007-09-27 2009-04-01 윤태소 밀폐 구조의 화장품용기
KR20130098543A (ko) * 2012-02-28 2013-09-05 김진우 퍼프 내장형 화장용 파우더 용기
KR101355364B1 (ko) 2013-10-15 2014-01-23 김진우 콤팩트형 에어 타이트 화장품 용기
KR20140067401A (ko) * 2012-11-26 2014-06-05 쓰리애플즈코스메틱스 주식회사 파우더 화장품 용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32167A (ko) * 2007-09-27 2009-04-01 윤태소 밀폐 구조의 화장품용기
KR20130098543A (ko) * 2012-02-28 2013-09-05 김진우 퍼프 내장형 화장용 파우더 용기
KR20140067401A (ko) * 2012-11-26 2014-06-05 쓰리애플즈코스메틱스 주식회사 파우더 화장품 용기
KR101355364B1 (ko) 2013-10-15 2014-01-23 김진우 콤팩트형 에어 타이트 화장품 용기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3369U (ko) 2015-03-23 2016-10-04 주식회사 케이알 힌지 개폐 구조를 갖는 화장품용기
KR20180024693A (ko) * 2016-08-31 2018-03-08 정규천 나사 및 힌지의 복합 개방 구조를 갖는 콤팩트 용기
KR101854988B1 (ko) * 2016-08-31 2018-06-14 정규천 나사 및 힌지의 복합 개방 구조를 갖는 콤팩트 용기
KR20180001540U (ko) * 2016-11-16 2018-05-25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품 용기
KR200486863Y1 (ko) * 2016-11-16 2018-07-06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품 용기
KR20180001658U (ko) 2016-11-25 2018-06-05 코스맥스 주식회사 화장품 용기
KR20210026794A (ko) 2019-09-02 2021-03-10 (주)아모레퍼시픽 리필용기의 교체 구조가 개선된 화장품 용기
KR102566426B1 (ko) 2023-02-21 2023-08-17 주식회사 엘코스 리필용기 교체가 용이한 화장품 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6147Y1 (ko) 힌지 결합과 나사 결합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내부 커버를 구비한 화장품 용기
EP3289914B1 (en) Compact container
EP2897487B1 (en) Compact type of airtight cosmetic container
KR101058055B1 (ko) 화장품 용기
CN107777103B (zh) 容器结构
KR101527758B1 (ko) 에어리스 콤팩트 용기
KR200473787Y1 (ko) 화장용 이중 퍼프용기
KR20160002023U (ko) 서로 다른 함침부재를 갖는 이액 혼합 콤팩트 용기
EP3047753B1 (en) Liquid content container comprising tension member
KR101711200B1 (ko) 콤팩트 용기
KR101889786B1 (ko) 화장품 용기
KR20040094511A (ko) 화장품 용기
KR101726355B1 (ko) 자석을 이용한 콤팩트 용기
KR101804672B1 (ko) 나사 및 힌지의 복합 개방 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
JP2020069367A (ja) 化粧品容器
US20230218064A1 (en) Cosmetic container having button-separable structure
KR200362370Y1 (ko) 화장품 용기
KR101729072B1 (ko) 자동으로 개방되는 뚜껑을 구비한 펌핑 파운데이션 용기
CN109715002B (zh) 包括可变形侧壁的化妆品盒
KR20160073358A (ko) 하단마개를 구비한 화장품 용기
CN108471861B (zh) 用于容纳产品的容器的闭合组件、相关的包装装置和方法
KR200491423Y1 (ko) 립 케어 용기
KR102569160B1 (ko) 정량 출몰 조절용 다각형 스틱 용기
KR102076650B1 (ko) 스틱형 화장품 용기의 고형 내용물 승강장치
KR101765715B1 (ko) 다색의 겔상 내용물이 수용되는 립글로즈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4

Year of fee payment: 5